KR10184528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289B1
KR101845289B1 KR1020110101497A KR20110101497A KR101845289B1 KR 101845289 B1 KR101845289 B1 KR 101845289B1 KR 1020110101497 A KR1020110101497 A KR 1020110101497A KR 20110101497 A KR20110101497 A KR 20110101497A KR 101845289 B1 KR101845289 B1 KR 10184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rojection
protrusion
rear shelf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117A (ko
Inventor
박규태
김선규
이항복
박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89B1/ko
Priority to US13/625,447 priority patent/US8936332B2/en
Publication of KR2013003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후방선반과, 후방선반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위치와 후방선반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회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방선반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물품 또는 식품을 냉장상태 또는 냉동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각실(2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각실(20)을 개폐하는 냉각실도어(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0)은 예를 들면, 냉동실(21) 및 냉장실(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도어(30)는 상기 냉동실(2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31) 및 상기 냉장실(22)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에는 상기 냉각실(2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소위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실(20)에는 상면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선반(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실(20)의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각 선반(40)의 상면에는 식품이 수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냉각실(2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각 냉각실(20)의 양 측벽에는 상기 선반(40)을 지지할 수 있게 선반지지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지지부(45)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냉각실(2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반지지부(미도시)는 상기 각 냉각실(20)의 벽면에 함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선반(4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의 개구를 차단하게 결합되는 패널(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널(42)은 강성부재, 예를 들면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수납하고자 하는 식품의 높이가 상기 선반(40)의 상하 설치 간격보다 클 경우, 식품의 수납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즉, 상측에 배치된 선반(40)의 상면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고 상기 상측 선반(40)을 상기 선반지지부(45)로부터 분리한 후, 높이가 높은 식품을 하측의 선반(40)에 수납하여야 하므로 수납이 번거롭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가 높은 식품을 보관하지 아니할 경우 다시 상측의 선반(40)을 상기 선반지지부(45)에 지지되게 설치한 후 상기 상측 선반(40) 및 하측 선반(40)에 각각 식품을 수납시켜야 하므로 식품의 인출 및 수납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후방선반; 및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위치와 상기 후방선반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회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방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선반 및 후방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전방선반을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상기 철회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의 저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영역에 구비되는 전방돌기와, 상기 후방선반의 후방영역에 구비되는 후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는 돌출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 및 상기 후방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는 원호형 단면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은 상기 후방돌기를 중심으로 수직하게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에는 상기 전방선반을 지지하는 전방선반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는 단일 판상의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과, 상기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은 강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은 유리부재로 형성되며, 일 면을 부식처리하여 형성된 부식처리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저부에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일 측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의 각 저부에는 합성수지부재로 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선반 및 상기 후방선반의 하측에 철회 가능한 전방선반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이 적층된 상태로 수직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높이가 높은 식품의 인출 후, 전방선반 및 후방선반을 초기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선반, 후방선반 또는 전방선반의 일 면에 부식처리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의 빛이 난반사 되게 하여 선반에 의한 눈부심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후방선반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전방선반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지지홀더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전방선반의 철회위치 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의 선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각실(120)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후방선반(150)과, 상기 후방선반(150)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위치와 상기 후방선반(1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회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방선반(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120)은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을 총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냉각실(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120)은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각실(120)을 개폐하는 냉각실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도어(130)는 상기 냉동실(12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31) 및 상기 냉장실(122)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실(120)의 내부에는 복수의 선반(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140)은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140)들은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상호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22)에 구비된 선반(140)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반(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실(120)(냉장실(122))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후방선반(150)과, 상기 후방선반(150)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위치와 상기 후방선반(1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회위치 간을 이동가능한 전방선반(1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150) 및 상기 전방선반(170)의 양 측에는 상기 후방선반(150) 및 전방선반(17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선반(150)은, 예를 들면, 거의 직사각 판 형상의 후방선반본체(151)와,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저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기(15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본체(151)는, 상기 냉장실(122)의 좌우방향을 따른 폭에 대응되는 길이와, 상기 냉장실(122)(냉각실(120))의 전후방향의 폭의 대략 절반에 대응되는 전후폭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선반본체(151)는 강성부재(예를 들면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후방 단부영역에는 상기 전방선반(170)을 지지할 수 있게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전방선반지지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선반(170)의 철회위치시 상기 전방선반(170)의 후방 단부가 상기 전방선반지지부(153)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지지부(153)는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선반지지부(153)는 금속부재 또는 합성수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5)는,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후방영역에 구비되는 후방돌기(156)와,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는 전방돌기(157)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155)는 합성수지부재(예를 들면 에이비에스(ABS)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저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57)는 예를 들면,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양 측 변부의 전방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57)는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저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57)는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양 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57)는 돌출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57)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56)는 예를 들면,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양 측 변부의 후방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56)는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하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56)는 상기 후방선반본체(151)의 양 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56)는 대략 원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돌기(156)는 소정 직경을 구비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선반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절취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57) 및 후방돌기(156)의 각 내측에는 상기 전방선반(170)이 삽입될 수 있게 전방선반삽입부(1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삽입부(160)는 상기 전방돌기(157) 및 후방돌기(156)의 각 내면에서 서로 나란하게 돌출된 한 쌍의 리브(161)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리브(161)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을 따라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리브(162)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리브(163)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선반(170)은, 대략 직사각 판 형상을 구비한 전방선반본체(171)와,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저부에 구비되는 돌기(1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본체(171)는, 상기 냉장실(122)(냉각실(120))의 좌우방향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와, 상기 냉장실(122)의 전후방향을 따른 폭의 대략 절반에 대응되는 폭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선반본체(171)는 강성부재(예를 들면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전방영역에는 손잡이(17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선반(170)의 인출 및/또는 수납시 전후방향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3)는 상기 전방선반본체(171)로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173)는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전방 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7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3)는 상기 결합부(174)의 중앙영역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75)는,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후방 영역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후방돌기(176)와,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전방 양 측 영역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돌기(17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77)는 상기 손잡이(173)의 결합부(174)의 양 측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177)의 저부는 예를 들면, 원호형상을 구비하게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돌기(177)는 상기 손잡이(177)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저부면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돌기(176)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부재(예를 들면 에이비에스(ABS)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76)는 상기 전방선반본체(171)의 양 측(변)부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으로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76)는, 예를 들면, 상기 전방돌기(177)에 비해 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176)의 각 일 측(외측)에는 상기 각 후방돌기(176)의 돌출방향에 가로로 돌출된 지지핀(178)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의 양 측에는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90)는 상기 냉장실(122)(냉각실(120))의 양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190)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2)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22)(냉각실(120))의 전후방향을 따른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190)는 상기 후방선반(150)을 지지하는 후방선반지지부(192)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반지지부(192)는 상기 후방선반(150)의 후방돌기(156) 및 전방돌기(157)를 각각 수용지지하는 후방돌기수용부(193) 및 전방돌기수용부(19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돌기수용부(194)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수용부(193)는 상기 후방돌기(156)를 수용할 수 있게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수용부(193)의 상측에는 상기 후방돌기(156)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절취된 입구(19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돌기(156)가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지지부재(190)는 상기 전방선반(170)을 상기 후방선반(150)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0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00)는 상기 각 지지부재(19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두께가 증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00)는 높이 차를 가지게 전후방향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00)는, 예를 들면, 전후방향을 따라 가장 전방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가장 높이가 높은 제1수평구간(202a)과, 상기 제1수평구간(202a)의 후방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구간(202b)과, 상기 제1경사구간(202b)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구간(202c)과, 상기 제2수평구간(202c)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2경사구간(202d)과, 상기 제2경사구간(202d)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수평구간(202e)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수평구간(202e)은 예를 들면, 상기 후방선반(150)의 후방돌기수용부(193)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선반(150) 및 전방선반(170)의 상향 회동시 상기 제3수평구간(202e)과 상기 후방선반(150) 및 전방선반(170)과의 간섭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구간(202a)에는 상기 전방선반(170)의 상기 지지위치시 상기 전방돌기(177)가 수용되는 걸림턱(2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03)은 상기 안내부(200)(제1수평구간)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03)은 대략 호형상(또는 반원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선반(170)이 불시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방선반(170)이 상기 지지위치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 후방선반(150) 및 전방선반(17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는 단일 판상의 선반(210)(이하, '선반(210)'으로 표기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210)은,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22)(냉각실(12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와, 상기 냉장실(122)의 전후폭에 대응되는 폭을 구비한 대략 직사각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210)은 강성부재로 된 선반본체(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반본체(211)는, 예를 들면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210)은 일 표면을 부식처리하여 형성되는 부식처리부(212a)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명의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식처리부(212a)는 상기 선반(210)의 저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본체(211)의 저부에는 복수의 돌기(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5)는 합성수지부재, 예를 들면 에이비에스(ABS)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5)는, 상기 냉장실(12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선반(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돌기(216)와, 상기 선반(2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돌기(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2)(냉각실(120))의 내벽에는 상기 선반(21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1)는 상기 냉장실(122)(냉각식)의 전방영역에 구비되는 전방지지돌기(223)와, 상기 전방지지돌기(222)의 후방영역에 이격배치되는 후방지지돌기(2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돌기(222)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돌기(216)의 전방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돌기(223)는 상기 후방돌기(217)의 전방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기(217)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돌기(223)의 선단부가 수용될 수 있게 삽입부(21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전방선반(170)은 지지위치시 상기 후방선반(15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선반(150)과 상호 협조적으로 동일 평면상의 지지면을 형성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선반(170)의 하측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식품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전방선반(170)을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가압 전에 상기 전방선반(170)의 전면부를 살짝 들어올려 상기 전방돌기(177)가 상기 걸림턱(203)으로부터 분리되게 한 후 상기 전방선반(170)을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170)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전방선반(170)의 전방돌기(177) 및 후방돌기(176)의 각 지지핀(178)이 안내부(20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170)이 상기 철회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하면 상기 전방선반(170)의 후방돌기(176)가 상기 제2경사구간(202d)을 따라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선반(170)의 후방변부가 상기 후방선반(150)의 전방변부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170)의 양 측 변부는 상기 후방선반(150)의 전방선반삽입부(160)에 삽입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후방으로 이동된 전방선반(170)은 상기 전방선반삽입부(160)에 의해 양 측변부가 지지되고 상기 전방선반지지부(153)에 의해 후방 변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170)이 상기 철회위치로 이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선반(150)의 전방영역이 상하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선반(170)의 하측의 선반(210) 또는 전방선반(170)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식품(예를 들면 병류)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의 하측에 배치된 선반(210) 또는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의 상측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식품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전방선반(170)을 상기 후방선반(150)의 하측의 철회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중첩 배치된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을 상향 가압하여 상향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중첩 배치된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을 상향 가압하면, 상기 후방선반(150)의 후방돌기(156)를 중심으로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이 상향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은 하측의 선반(210)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이 상향 회동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 영역이 상하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측의 선반(210) 또는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식품들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식품이 인출되면, 상향 회동된 전방선반(170) 및 후방선반(150)을 하향 회동시킨 후, 상기 전방선반(170)을 전방으로 당겨 지지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각실
121 : 냉동실 122 : 냉장실
130 : 냉각실도어 131 : 냉동실도어
132 : 냉장실도어 140,210 : 선반
150 : 후방선반 151 : 후방선반본체
152a,172a,212a : 부식처리부 153 : 전방선반지지부
155, 175,215 : 돌기 156,176,217 : 후방돌기
157,177,216 : 전방돌기 160 : 전방선반삽입부
162 : 상부리브 163 : 하부리브
170 : 전방선반 178 : 지지핀
190 : 지지부재 192 : 후방선반지지부
193 : 후방돌기수용부 194 : 전방돌기수용부
200 : 안내부 203 : 걸림턱
221 : 지지돌기 222 : 전방지지돌기
223 : 후방지지돌기

Claims (15)

  1. 냉각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후방선반;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위치와 상기 후방선반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회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방선반; 및
    상기 냉각실의 양 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방선반 및 후방선반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선반은, 후방선반본체; 상기 후방선반본체의 양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결합되는 후방돌기; 및 상기 후방선반본체의 양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결합되는 전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선반은, 전방선반본체; 상기 전방선반본체의 저부에 양 측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각각 결합되는 후방돌기; 상기 전방선반의 후방돌기의 외면에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지지핀; 및 상기 전방선반본체의 저부의 전방에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방선반의 후방돌기 및 전방돌기를 각각 수용하는 후방돌기수용부 및 전방돌기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선반의 후방돌기 및 전방돌기를 각각 지지하여 상기 후방선반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방선반의 지지위치 시 상기 전방선반의 전방돌기를 수용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돌기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방선반의 후방돌기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돌기와 후방돌기는, 상기 후방선반본체의 서로 다른 전후방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돌기수용부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후방돌기수용부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의 형상으로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후방선반의 후방돌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선반은 상기 지지위치 시 상기 후방선반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선반본체 및 전방선반본체는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선반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전방선반본체의 전방 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돌기는 돌출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전후방향을 따라 가장 전방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가장 높이가 높은 제1수평구간과, 상기 제1수평구간의 후방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구간과, 상기 제1경사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구간과, 상기 제2수평구간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2경사구간과, 상기 제2경사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수평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평구간은 상기 후방선반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는 단일 판상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과, 상기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은 강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후방선반 및 전방선반은 유리부재로 형성되며, 일 면을 부식처리하여 형성된 부식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저부에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일 측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저부에는 합성수지부재로 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101497A 2011-10-04 2011-10-05 냉장고 KR10184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497A KR101845289B1 (ko) 2011-10-05 2011-10-05 냉장고
US13/625,447 US8936332B2 (en) 2011-10-04 2012-09-2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497A KR101845289B1 (ko) 2011-10-05 2011-10-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17A KR20130037117A (ko) 2013-04-15
KR101845289B1 true KR101845289B1 (ko) 2018-04-04

Family

ID=4843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497A KR101845289B1 (ko) 2011-10-04 2011-10-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42B1 (ko) * 2018-11-29 202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15809645U (zh) * 2021-03-29 2022-02-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搁盘组件与制冷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054A (ja) * 2000-09-20 2002-03-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棚装置
KR200338104Y1 (ko) * 2003-10-23 2004-01-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선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054A (ja) * 2000-09-20 2002-03-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棚装置
KR200338104Y1 (ko) * 2003-10-23 2004-01-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선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17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332B2 (en) Refrigerator
US10036586B2 (en) Refrigerator
KR100431346B1 (ko) 선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KR101899808B1 (ko) 냉장고
US9903642B2 (en) Refrigeration device having a tray
KR20160100221A (ko) 냉장고
US20070228911A1 (en) Refrigerator
KR20170068794A (ko) 냉장고
KR20100032178A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897362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810467B1 (ko) 냉장고
KR101845289B1 (ko) 냉장고
KR20180032854A (ko) 냉장고
KR20090133009A (ko) 냉장고의 서랍
CN107289724A (zh) 冰箱及其抽屉组件
KR100513680B1 (ko) 냉장고
KR101838065B1 (ko) 냉장고
JP2016200319A (ja) 冷蔵庫
KR100651278B1 (ko) 냉장고의 서랍 장착구조
KR101659083B1 (ko) 냉장고
KR100965358B1 (ko) 냉장고
KR101713325B1 (ko) 냉장고
KR101055883B1 (ko) 냉장고의 전방삽입형 이중서랍
KR10095128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