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891B1 - 차량용 클러스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891B1
KR102569891B1 KR1020170133062A KR20170133062A KR102569891B1 KR 102569891 B1 KR102569891 B1 KR 102569891B1 KR 1020170133062 A KR1020170133062 A KR 1020170133062A KR 20170133062 A KR20170133062 A KR 20170133062A KR 102569891 B1 KR102569891 B1 KR 10256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pointer
light emitting
surface ligh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623A (ko
Inventor
박종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891B1/ko
Priority to US15/855,630 priority patent/US10195943B1/en
Priority to CN201711497810.2A priority patent/CN109664764B/zh
Publication of KR2019004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onto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K2350/9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Backlit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발광 표시부가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포인터; 상기 포인터를 회전시켜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 아래에서 상기 포인터 내측으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는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직선바와, 상기 직선바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면발광 표시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스터{Cluste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클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의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Pannel) 전면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항시 파악할 수 있도록 속도계, 타코미터, 온도계, 연료계 등을 포함하는 계기판인 클러스터(Cluster)가 장착된다.
클러스터는 차량의 속도, RPM, 냉각수의 온도 및 연료의 양 등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표시부에 마련된 포인터(Pointer)를 통해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통은 아날로그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방식은 클러스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형성되며, 그 눈금을 가리키는 포인터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야간 주행이나 차량 실내가 어두울 때에도 각각의 포인터들을 통해 현재 차량 상태를 운전자나 동승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의 내부에는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클러스터의 조명 장치는 표시부와 포인터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널리 사용되며, 조명 장치에 의해 밝아진 포인터가 클러스터의 눈금을 가리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높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클러스터의 포인터에 의한 시인성을 더욱 높여주고, 입체감을 통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더욱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용 클러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발광 표시부가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포인터; 상기 포인터를 회전시켜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 아래에서 상기 포인터 내측으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는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직선바와, 상기 직선바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면발광 표시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를 제공한다.
상기 포인터는 상기 비발광 영역 방향의 상기 직선바의 외측과 절곡바의 외측에 스탬핑된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직선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1 반사판과 이격되며 상기 절곡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직선바와 상기 절곡바의 하부에 스탬핑된 제3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RPM을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상태 표시부에는 수직 하부로부터 수직 상부까지 반원 형상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0 에서 8(각 숫자들은 1,000 RPM을 의미)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들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상태 표시부의 5,000 RPM을 지시하는 위치에서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 영역에 대한 광량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110°내지 130°일 수 있다.
상기 직선바와 상기 수평바는 동일한 수평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직선바는 상기 회전축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수직방향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눈금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면발광 표시부는 상기 눈금 표시부의 일측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직선바는 상기 눈금 표시부 영역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눈금 표시부의 타측에 인접 배치되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바는 상기 상태 표시부와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는 차량의 속도, RPM, 온도, 연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명실 또는 암실을 형성하며, 내측에 상기 포인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라이팅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박스는 상기 포인터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포인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측벽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상기 조명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켜 수광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면발광 표시부가 배치된 표시 패널; 직선바와, 상기 직선바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면발광 표시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바를 가지며,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포인터; 상기 회전축부 아래에서 상기 포인터 내측으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직선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과 이격되며 상기 절곡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 및 상기 직선바와 상기 절곡바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반사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RPM을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상태 표시부에는 수직 하부로부터 수직 상부까지 반원 형상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0 에서 8(각 숫자들은 1,000 RPM을 의미)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들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상태 표시부의 5,000 RPM을 지시하는 위치에서 상기 면발광부의 발광 영역에 대한 광량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110°내지 130°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명실 또는 암실을 형성하며, 내측에 상기 포인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라이팅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스터에 따르면, 절곡부에 의해 클러스터의 포인터가 더욱 밝아지게 되고, 면발광 표시부를 통해 포인터가 지시하고 있는 위치의 이하 영역까지 발광하도록 표시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높여주고 차량 정보를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비발광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클러스터의 발광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한 라이딩 박스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포인터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수직단면도로서, 포인터 내부에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비발광 상태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클러스터의 발광 상태를 보여주며, 도 3은 도 2에서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한 라이딩 박스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차량용 클러스터(1)는 표시 패널(100), 포인터(200), 회전축부(300), 조명부(500), 라이팅 박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차량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투명한 재질의 패널에 여러 형태의 차량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차량의 속도, RPM, 온도, 연료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패널(100)은 상태 표시부(110), 눈금 표시부(120), 면발광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10)는 클러스터(1)의 종류가 차량의 속도, RPM, 온도, 연료량 등을 나타내는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에는 클러스터(1)가 차량의 RPM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태 표시부(110)에는 수직 하부로부터 수직 상부까지 반원 형상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숫자들이(0 ~ 8, 각 숫자들은 1,000 RPM을 의미)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만약에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의 상태 표시부(110)는 C, H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료양을 나타내는 상태 표시부(110)는 E, F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태 표시부(110)를 보고, 운전자는 클러스터(1)의 종류가 온도계인지 타코미터인지 유량계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눈금 표시부(120)는 상태 표시부(110)의 측정 대상을 수치, 범위 등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들로 배열된 눈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 표시부(120)는 상술한 상태 표시부(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금 표시부(120)는 상태 표시부(110)의 숫자들 사이에 일정한 개수를 갖는 눈금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면발광 표시부(130)는 눈금 표시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면상으로 발광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면발광 표시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시에는 발광 영역(130a)과 비발광 영역(130b)으로 구획되며, 발광 영역(130a)을 통해 상태 표시부(110)의 측정 대상을 그래프(Graph)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발광 표시부(130)는 눈금 표시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인접배치되는 막대(Bar) 또는 띠(Ba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상태 표시부(110), 눈금 표시부(120), 면발광 표시부(130)를 제외한 표시 패널(100)의 나머지 영역에는 빛을 차단하는 광 차단부(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포인터(200)는 표시 패널(100) 하부에서 면발광 표시부(130)를 발광 영역(130a)과 비발광 영역(130b)으로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2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얇은 바늘 형상일 수 있으며, 발광 영역(130a)과 비발광 영역(130b)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일부분만 노출되게 보여질 수 있다. 실시예의 포인터(2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축부(300)는 포인터(200)를 회전시켜 면발광 표시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포인터(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축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20)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축(310)을 가지며, 회전축부(300)의 일측에는 포인터(20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320)는 스태핑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부(300)를 중심으로 하여 포인터(200)는 일정한 각도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조명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300) 아래에서 발광하면서 포인터(200) 내측으로 빛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500)는 회전축부(300)의 회전축(31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면서 발광할 수 있다. 조명부(500)에 의해 발광된 빛은 ① 회전축부(300)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② 회전축부(300)의 상부에서 포인터(200)까지, ③~④ 포인터(200)의 일 측면에서 면발광 표시부(130)의 발광 영역(130a)까지 발광하는 경로를 갖는데, 이 부분에 관해서도 후술한다.
라이팅 박스(400)는 상술한 포인터(200)와 회전축부(300)를 수용하며 표시 패널(1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팅 박스(400)는 바닥부(410)와 측벽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10)는 포인터(200)가 슬라이딩되도록 포인터(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00)는 회전축부(30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라이팅 박스(400)의 바닥부(410)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측벽부(420)는 바닥부(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라이팅 박스(400)의 공간부에는 상술한 포인터(200)와 회전축부(300)가 수용되며, 공간부는 포인터(200)의 이동에 따라 빛이 반사되는 명실(Light Room)과 빛이 차단되는 암실(Dark Room)로 변화될 수 있다.
측벽부(420)의 상부는 상술한 표시 패널(10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팅 박스(400)의 명실과 암실의 변화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면발광 표시부(130)도 발광 영역(130a)과 비발광 영역(13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포인터 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수직단면도로서, 포인터 내부에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포인터(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직선바(210)와, 직선바(210)에서 절곡된 절곡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터(2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00)는 빛을 통과하거나 발산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다.
직선바(210)는 일정한 수평 방향 두께(t1)를 가지며 회전축부(300)로부터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바(210)는 회전축부(300)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수직방향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직선바(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300)에 일단부가 결합되므로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광 표시부(1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직선바(210)는 눈금 표시부(120) 영역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선바(210)는 눈금 표시부(120)와 면발광 표시부(130)의 경계부터, 눈금 표시부(120)와 상태 표시부(110)의 경계중에서 그 단부가 오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절곡바(220)는 직선바(210)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직선바(210)와 동일한 수평 방향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절곡바(220)는 면발광 표시부(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바(220)는 눈금 표시부(120)와 면발광 표시부(130)의 경계부터 상태 표시부(110) 영역 중에서 단부가 오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포인터(200)는 일직선이 아닌 "ㄱ"자 형상으로 단부가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인터(200)의 이러한 형상은 포인터(200)의 단부로 갈수록 광량이 손실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포인터(200)의 단부 영역에 충분하게 많은 빛을 모아둘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포인터(200)의 절곡된 각도는 110°내지 130°일 수 있다. 상술한 절곡 각도 범위는 포인터(200)가 RPM을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10)의 숫자 5(5,000 RPM)을 지시하고 있을 때, 0에서 부터 5,000 RPM의 발광 영역(130a)을 가장 많은 광량을 포함(가시적으로 가장 밝은 범위)하여 채울 수 있는 각도에서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포인터(200)의 절곡된 각도는 차종에 따라서 112.5˚, 124°등을 가질 수 있다.
포인터(200)는 직선바(210)의 외측과 절곡바(220)의 외측에 스탬핑(Stamping)된 반사판(210a, 220a, 24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210a, 220a, 240a)들은 포인터(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빛들을 반사시켜 빛의 경로를 조정함과 아울러 빛을 특정 부위로 모아줄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반사판(210a, 220a, 240a)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바(2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210a)과, 제1 반사판(210a)과 이격되며 절곡바(2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210a, 220a, 24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바(210) 절곡바(220)의 하부에 스탬핑된 제3 반사판(24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500)를 통해 이동하는 빛은 포인터(200)의 수광부(305)를 통해 포인터(200) 내부로 굴절되어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305)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터(200)의 내부로 유입된 빛은 포인터(200)의 외측면(도 1 내지 도 3에서 우측)에 배치된 제1 반사판(210a), 제2 반사판(210b)에 의해서 포인트(200)의 우측 방향으로 빛은 차단되며, 포인터(200)의 내측면(도 1 내지 도 3에서 좌측)으로는 빛을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포인터(200)의 내측면(좌측) 방향은 명실 또는 발광 영역(130a)이 되며, 포인터(200)의 외측면(우측) 방향은 암실 또는 비발광 영역(130b)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스터에 따르면, 절곡부에 의해 클러스터의 포인터가 더욱 밝아지게 되고, 면발광 표시부를 통해 포인터가 지시하고 있는 위치의 이하 영역까지 발광하도록 표시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높여주고 차량 정보를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클러스터 100 : 표시 패널
110 : 상태 표시부 120 : 눈금 표시부
130 : 면발광 표시부 130a : 발광 영역
130b : 비발광 영역 140 : 광 차단부
200 : 포인터 210 : 직선바
220 : 절곡바 230 : 이음부
210a, 220a, 240a : 반사판 300 : 회전축부
310 : 회전축 320 : 모터
400 : 라이팅 박스 410 : 바닥부
420 : 측벽부 500 : 조명부

Claims (23)

  1. 면발광 표시부가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포인터;
    상기 포인터를 회전시켜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 아래에서 상기 포인터 내측으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는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직선바와, 상기 직선바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면발광 표시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바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눈금 표시부와 상기 눈금 표시부의 타측에 인접 배치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바는 상기 상태 표시부와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면발광 표시부는,
    상기 눈금 표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인접하여 배치되고,
    발광시 상기 발광 영역을 통해 상기 상태 표시부의 측정 대상을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포인터는,
    상기 비발광 영역 방향의 상기 직선바의 외측과 절곡바의 외측에 스탬핑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직선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1 반사판과 이격되며 상기 절곡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직선바와 상기 절곡바의 하부에 스탬핑된 제3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클러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RPM을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상태 표시부에는 수직 하부로부터 수직 상부까지 반원 형상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0 에서 8(각 숫자들은 1,000 RPM을 의미)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들이 배열되는, 차량용 클러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상태 표시부의 5,000 RPM을 지시하는 위치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발광 영역에 대한 광량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선정되는, 차량용 클러스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110°내지 130°인, 차량용 클러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바와 상기 절곡바는 동일한 수평 두께를 갖는, 차량용 클러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바는 상기 회전축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수직방향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형상을 갖는, 차량용 클러스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는 상기 눈금 표시부의 일측에 인접 배치되는 차량용 클러스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바는 상기 눈금 표시부 영역까지의 길이를 갖는, 차량용 클러스터.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차량의 속도, RPM, 온도, 연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명실 또는 암실을 형성하며, 내측에 상기 포인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라이팅 박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박스는
    상기 포인터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포인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측벽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18. 제1항, 제4항 내지 제12항 그리고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상기 조명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켜 수광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19. 면발광 표시부가 배치된 표시 패널;
    직선바와, 상기 직선바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면발광 표시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바를 가지며,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를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포인터;
    상기 포인터 내측으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직선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과 이격되며 상기 절곡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 및
    상기 직선바와 상기 절곡바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RPM을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바는 상기 상태 표시부와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면발광 표시부는,
    눈금 표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인접하여 배치되고,
    발광시 상기 발광 영역을 통해 상기 상태 표시부의 측정 대상을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에는 수직 하부로부터 수직 상부까지 반원 형상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0 에서 8(각 숫자들은 1,000 RPM을 의미)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들이 배열되는, 차량용 클러스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상태 표시부의 5,000 RPM을 지시하는 위치에서 상기 면발광 표시부의 발광 영역에 대한 광량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선정되는, 차량용 클러스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절곡된 각도는 110°내지 130°인, 차량용 클러스터.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명실 또는 암실을 형성하며, 내측에 상기 포인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라이팅 박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KR1020170133062A 2017-10-13 2017-10-13 차량용 클러스터 KR10256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62A KR102569891B1 (ko) 2017-10-13 2017-10-13 차량용 클러스터
US15/855,630 US10195943B1 (en) 2017-10-13 2017-12-27 Instrument cluster for vehicle
CN201711497810.2A CN109664764B (zh) 2017-10-13 2017-12-29 用于车辆的仪表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62A KR102569891B1 (ko) 2017-10-13 2017-10-13 차량용 클러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23A KR20190041623A (ko) 2019-04-23
KR102569891B1 true KR102569891B1 (ko) 2023-08-23

Family

ID=6520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62A KR102569891B1 (ko) 2017-10-13 2017-10-13 차량용 클러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95943B1 (ko)
KR (1) KR102569891B1 (ko)
CN (1) CN109664764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546A (ja) * 2002-10-23 2004-05-20 Denso Corp 車両用指針計器
JP2006138725A (ja) * 2004-11-11 2006-06-01 Denso Corp 指針と車両用指針計器
US20070126567A1 (en) * 2004-06-01 2007-06-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indicator assembly
JP2009198325A (ja) 2008-02-21 2009-09-03 Yazaki Corp 車両用指針計器
JP2013508698A (ja) 2009-10-24 2013-03-07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エレクトロニ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ポインタを有する表示計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7910B2 (ja) * 1985-07-03 1997-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ヘツド移動装置
JPH0742101Y2 (ja) * 1987-05-29 1995-09-27 矢崎総業株式会社 計 器
JPH05248896A (ja) 1992-03-09 1993-09-28 Yazaki Corp 指示計器
DE19807483B4 (de) * 1997-02-28 2004-02-26 Siemens Ag Zeigerinstrument
DE19758383A1 (de) * 1997-12-23 1999-06-24 Mannesmann Vdo Ag Anzeigeeinheit
JP2003302261A (ja) 2002-04-05 2003-10-24 Yazaki Corp 指針式指示装置
JP2004045131A (ja) 2002-07-10 2004-02-1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メータ
JP4062246B2 (ja) 2003-11-28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指針計器
JP2005343299A (ja) * 2004-06-02 2005-12-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FR2882180B1 (fr) * 2005-02-11 2009-05-15 Johnson Controls Tech Co Dispositif d'affichage pivotante portant un organe d'eclairage alimente par un ruban flexible en boucle
JP2009264925A (ja) * 2008-04-25 2009-11-12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5851471B2 (ja) * 2013-10-15 2016-02-03 日本精機株式会社 指針式計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546A (ja) * 2002-10-23 2004-05-20 Denso Corp 車両用指針計器
US20070126567A1 (en) * 2004-06-01 2007-06-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indicator assembly
JP2006138725A (ja) * 2004-11-11 2006-06-01 Denso Corp 指針と車両用指針計器
JP2009198325A (ja) 2008-02-21 2009-09-03 Yazaki Corp 車両用指針計器
JP2013508698A (ja) 2009-10-24 2013-03-07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エレクトロニ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ポインタを有する表示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23A (ko) 2019-04-23
CN109664764A (zh) 2019-04-23
CN109664764B (zh) 2023-01-13
US10195943B1 (en)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689B2 (en) Display device
JP5851471B2 (ja) 指針式計器
JP5067639B2 (ja) 計器照明装置
US7779774B2 (en) Indicating instrument with light pointer
JP6478009B2 (ja) 表示装置
EP2557400A1 (en) Light guide plate and pointer instrument with same
US9908413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5146003B2 (ja) 指示計器
WO2011136040A1 (ja) 指針式計器
KR20170068117A (ko)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JP2012032286A (ja) 表示装置
JP2011221182A (ja) 照明用導光板及び車両用表示装置
KR20100057685A (ko)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콤비네이션 계기
KR102569891B1 (ko) 차량용 클러스터
JP200731576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4904009B2 (ja) 計器
JP4808978B2 (ja) 指針式表示装置
JP2011095078A (ja) 車両用計器
JP5904297B2 (ja) 車両用メータユニット
JP4796720B2 (ja) 自発光指針及び指針式表示装置
JP5513166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5815249B2 (ja) 指針ユニット及び指針計器
JP4626843B2 (ja) 表示装置
JP4062246B2 (ja) 指針計器
JP6876493B2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