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09B1 -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9709B1 KR102569709B1 KR1020210101727A KR20210101727A KR102569709B1 KR 102569709 B1 KR102569709 B1 KR 102569709B1 KR 1020210101727 A KR1020210101727 A KR 1020210101727A KR 20210101727 A KR20210101727 A KR 20210101727A KR 102569709 B1 KR102569709 B1 KR 1025697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medium
- nozzle
- heating
- nozzles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65—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29B7/428—Parts or accessories, e.g. casing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29B7/488—Parts, e.g. casings, sealings; Accessories, e.g. flow controlling or thrott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58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29B7/826—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01—Extrusion nozzles or 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B29C48/3003—Materials, coating or lining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45—Extrusion nozzle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ly arranged ports, for simultaneously extruding multiple strands, e.g. for pelleti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노즐의 온도 불균일을 억제함과 함께 노즐의 승온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을 제공한다. 다이 플레이트는, 용융 수지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각 노즐의 노즐 벽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가열 매체 안내부를 구비한다. 가열 매체 안내부는,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유입구와, 가열 매체를 가열 매체 유로로부터 배출하는 유출구와, 복수의 노즐의 각각의 노즐 벽의 외주면과 함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을 갖는다.
Description
이 출원은, 2020년 8월 1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35999호 및 2020년 12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217132호를 기초로 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본 발명은,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 펠릿의 조립 장치로서, 다이 플레이트와 커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1891호 공보 참조). 다이 플레이트는, 압출기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을 갖는다. 커터 장치는, 상기 노즐로부터 압출된 수지를 펠릿상으로 절단한다. 이 다이 플레이트 중 수지가 토출되는 측의 면은, 절단된 펠릿을 수송하기 위한 순환수에 노출된다. 그래서 노즐에 수지가 고착되지 않도록, 다이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노즐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 또는 열매체유 등의 가열 매체를 통과시키는 가열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1891호 공보에는, 노즐이 다수 형성된 원판상의 다이 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다이 플레이트는, 그 주위 방향을 따라 90도마다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그 중 하나의 영역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다이 플레이트는, 그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내측 환상 가열 통로가 형성되고, 그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외측 환상 가열 통로가 형성되고, 내측 환상 가열 통로와 외측 환상 가열 통로 사이에, 복수 개의 노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군이 배치되어 있다.
노즐군은, 다이 플레이트의 4개의 영역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각 노즐군은, 복수의 노즐 가열 영역을 갖는다. 복수의 노즐 가열 영역은, 주위 방향과 교차하는 일정 방향(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히트 채널과, 주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내측 환상 가열 통로 및 외측 환상 가열 통로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각 노즐 가열 영역에는, 상기한 교차 방향을 따라 복수의 노즐이 3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환상 가열 통로에는 가열 매체 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환상 가열 통로에는 가열 매체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가열 매체 입구를 통해, 스팀, 열매체유 등의 소정 온도로 가열된 가열 매체가 각 가열 통로에 공급된다. 가열 매체는, 외측 환상 가열 통로, 각 히트 채널, 내측 환상 가열 통로를 거쳐 가열 매체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가열 장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가열 장치에서 다시 전술한 소정 온도로 가열된 가열 매체가 가열 매체 입구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 매체가 상기한 각 유로를 순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1891호 공보에 기재된 다이 플레이트에서는, 복수의 노즐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 제조되는 수지 부재의 품질에도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각 노즐 가열 영역에는, 복수의 노즐의 노즐 구멍이 주위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3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열 매체(F)가 복수의 히트 채널에 흐르면, 히트 채널에 가까운 열(양단의 열)과 먼 열(중앙의 열) 사이에서 노즐로의 입열량에 차가 발생하여, 각 노즐 가열 영역 내에서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노즐의 토출부 주변에 수지가 고착되면, 커터 장치에 의해 절단되는 수지 펠릿의 형상에 변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노즐 사이의 온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이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과제를 근거로 하여, 복수의 노즐 사이에 있어서의 가열 유로(히트 채널)로부터의 거리의 차를 저감시키는 것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종래와 같이 복수의 가열 유로로 둘러싸인 영역에 복수의 노즐 구멍을 개구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노즐의 각각의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복수의 노즐 벽을 마련하여 당해 각각의 노즐 벽의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접촉시킨다고 하는 새로운 착상을 얻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새로운 착상에 기초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 플레이트는, 노즐군과,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군은,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노즐 벽과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다. 복수의 노즐 벽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한다.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도록 가열 매체를 상기 외주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갖는다. 상기 안내 벽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한다. 상기 안내 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은, 수지 기계이다. 당해 수지 기계는, 상기에 기재된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노즐의 상기 수지 유로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부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에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은,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이다. 당해 노즐 가열 방법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로서,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획정하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복수의 노즐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을 갖는 것을 준비하는 것과, 상기 가열 유로의 입구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고, 당해 가열 매체를 상기 안내 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복수의 노즐을 가열한 후, 상기 가열 유로의 출구로부터 가열 매체를 배출시키는 것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3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IA-VIA선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IB-VIB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제1 노즐군의 각 노즐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제2 노즐군의 각 노즐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각 유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가열 유로에 배치된 노즐 주위에서의 가열 매체의 유동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배치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XII-X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XIII-X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XIV-XIV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6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7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8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9는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20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21a는 노즐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1b는 노즐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1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1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2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3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4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종래의 다이 플레이트의 가열 유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3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IA-VIA선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IB-VIB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제1 노즐군의 각 노즐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제2 노즐군의 각 노즐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각 유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가열 유로에 배치된 노즐 주위에서의 가열 매체의 유동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배치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XII-X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XIII-X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XIV-XIV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6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7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8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9는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20은 노즐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21a는 노즐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1b는 노즐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1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1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2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3은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4는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종래의 다이 플레이트의 가열 유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는, 수지 펠릿의 조립 장치에 사용되고, 용융 수지가 압출되어 통과하는 다수의 노즐과,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 벽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매체가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유로를 갖는다. 그리고 다이 플레이트의 수지 사출측의 노즐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커터 장치가 배치되어,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수지를 커터에 의해 절단하여 수지 펠릿을 성형한다. 이 수지의 절단은, 수중에서 행해진다.
또한, 가열 매체 유로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가열 매체가 보내진다. 가열 매체로서는, 핫 오일, 또는 증기 등의 유체가 사용되고, 가열 매체 유로를 유동시켜 노즐 벽과 열교환된 후, 가열 매체는 가열 매체 유로로부터 배출된다.
<다이 플레이트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 플레이트(100)는 축선 L(중심선)을 중심으로 전체가 편평한 원판형(링형)이다. 다이 플레이트(100)는, 노즐 배치부(13)와, 플랜지부(11)를 갖는다. 노즐 배치부(13)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직경 방향의 중간 부분(내측 부분)에 배치되고, 플랜지부(11)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직경 방향의 외측 부분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다이 플레이트(100)는 링 형상을 갖고 있다. 노즐 배치부(13)는, 플랜지부(11)보다 두꺼우며, 축선 L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노즐 배치부(13)에는, 복수의 노즐(15)이 축선 L을 따라 당해 노즐 배치부(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노즐(15)은, 축선 L과 평행한 축 방향 ED를 따라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한다(압출한다). 또한, 복수의 노즐(15)의 집합체가 노즐군으로 정의된다. 각 노즐(15)은, 도 2에 도시하는 원통형의 노즐 벽(15a)의 내측에 형성된 노즐 구멍(15b)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노즐(15)은 상기 축 방향 ED로 연장되는 노즐 벽(15a)과, 토출부(15f)를 각각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노즐(15)은 복수의 노즐 벽(15a)과, 복수의 토출부(15f)를 갖는다. 노즐 벽(15a)은, 내주면(15s)과, 외주면(15t)을 갖는다. 내주면(15s)은,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한 노즐 구멍(15b), 즉 수지 유로를 둘러싸고 있다. 외주면(15t)은, 내주면(15s)과는 반대측에서 내주면(15s)을 따라 배치된다. 토출부(15f)는, 노즐 벽(15a)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토출한다.
또한, 노즐 배치부(13)는, 정상면(13a)을 갖는다. 정상면(13a)은, 플랜지부(11)로부터 돌출되는 노즐 배치부(13)의 돌출 방향의 선단측에서 축선 L과 교차하는(직교하는) 면이다. 정상면(13a)은, 노즐(15)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를 절단하기 위한 평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정상면(13a)은, 절단되는 용융 수지의 기단부면을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노즐(15)의 축 방향(수지 압출 방향) ED는, 축선 L과 평행하지만, 축 방향 ED는 축선 L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축 방향 ED는, 수지 펠릿의 조립 장치(수지 기계)의 구조에 따라서, 상하 방향, 수평 방향 및 그 밖의 방향으로 적절하게 설정되면 된다.
노즐 배치부(13)에 배치되는 노즐군은, 주위 방향을 따라 2분할된,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을 포함하고, 각각의 노즐군은, 직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열(본 실시 형태에서는 3열)을 갖고, 각 열에서는 복수의 노즐(15)이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노즐(15)의 주위에는, 노즐 배치부(13)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가열 매체 유로(가열 매체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가열 매체 유로는,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복수의 노즐(15)에 안내하여 복수의 노즐(15)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노즐군을 분할함으로써,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을 개별로 가열 제어할 수 있어,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가 얻기 쉬워진다. 또한, 각 노즐(15)은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산재되는 형태여도 된다. 다음으로, 이 가열 매체 유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열 매체 유로>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II-III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후술하는 도 6a에 도시하는 III-III선의 단면이기도 하다. 다이 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까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는 2개의 독립된 가열 매체 유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다이 플레이트(100)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와,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를 더 갖는다. 각 가열 매체 안내부는,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복수의 노즐(15)에 안내하여 가열한다.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를 갖고,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에 대해 독립된 제2 가열 매체 유로(23)를 갖는다.
제1 가열 매체 유로(21)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15)의 축 방향 ED(축선 L과 동일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2단의 가열 매체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 플레이트(100)에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를 노즐(15)의 축 방향에 있어서 분리하는 칸막이부(24)(베이스 벽)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열 매체 유로(21)는,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유입구(25A)(수용구)와,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유출구(27A)(배출구)와, 유입구(25A)로부터 유출구(27A)까지를 연통하는 가열 유로(29A1)(도 3)(제1 부 안내부) 및 가열 유로(29A2)(도 4)(제2 부 안내부)를 갖는다. 제2 가열 매체 유로(23)도 마찬가지로, 유입구(25B)(수용구)와, 유출구(27B)(배출구)와, 가열 유로(29B1)(도 3)(제3 부 안내부) 및 가열 유로(29B2)(도 4)(제4 부 안내부)를 갖는다. 각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는, 후술하는 안내 벽(50)에 의해 각각 획정된다. 또한, 유입구(25A), 유출구(27A), 유입구(25B), 유출구(27B) 각각은, 복수 마련되어도 된다.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가열 유로(29A1)는, 제1 노즐군(17)의 영역에서, 노즐(15)의 수지 사출측(도 1, 도 2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가열 유로(29A2)는, 제2 노즐군(19)의 영역에서, 노즐(15)의 수지 진입측(도 1, 도 2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열 유로(29A1)와 가열 유로(29A2)는, 제1 연락 유로(31A)(제1 연통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V선의 단면도이다. 수지 사출측의 가열 유로(29A1)는, 경사져 형성된 제1 연락 유로(31A)를 통해, 수지 진입측의 가열 유로(29A2)에 접속된다.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가열 유로(29B1, 29B2)도 마찬가지로, 도 3, 도 4에 도시하는 경사진 제2 연락 유로(31B)(제2 연통부)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도 6a는 도 3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IA-VIA선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VIB-VIB선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유입구(25A)와, 수지 사출측에 배치된 가열 유로(29A1)는, 상기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유로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1 유입측 유로(33A1)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유출구(27A)와, 수지 진입측에 배치된 가열 유로(29A2)는, 제1 유출측 유로(33A2)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유입구(25B) 및 유출구(27B)도 마찬가지로,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입구(25B)에는 경사진 제2 유입측 유로(33B1)가 접속되고, 유출구(27B)에는 제2 유출측 유로(33B2)가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에서는, 제1 노즐군(17) 및 제2 노즐군(19)이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또한, 각 노즐군(17, 19)의 형상은, 반환상, 원호상 또는 곡선상이라고도 할 수 있음).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각 가열 유로는, 그 환상 형상의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유로 내에 복수의 노즐(15)이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가열 유로를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이 각각 획정하고 있다.
도 7은 제1 노즐군(17)의 각 노즐(15)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가열 유로(29A1)의 개략 확대도이다(또한, 편의상, 도 7에서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음). 가열 유로(29A1) 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례로 복수의 노즐(15)로 이루어지는 외경측 노즐 열(NL1), 중간 노즐 열(NL2), 내경측 노즐 열(NL3)이, 각각 원호상으로 병설되어 있다(도 2도 참조). 각 노즐(15)은, 각각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경측 노즐 열(NL1) 및 내경측 노즐 열(NL3)은, 각 노즐(15)을 형성하는 노즐 벽(15a)끼리의 사이에 주위 방향의 간극이 있어도 되고, 노즐 벽(15a)끼리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상세에 대해서는 후술됨). 도 7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외경측 노즐 열(NL1) 및 내경측 노즐 열(NL3)에서는, 복수의 노즐(15)은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서로 독립되어 배치되어 있다(독립 노즐). 또한, 중간 노즐 열(NL2)에 있어서는,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노즐(15)의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 벽(15a)끼리는 서로 접속되고, 유로 벽(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중간 노즐 열(NL2)의 복수의 노즐(15)은, 본 발명의 접촉 노즐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되는 가열 유로가,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도 2)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외경측 노즐 열(NL1)의 더 외경측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유로 벽(43)이 형성되고, 내경측 노즐 열(NL3)의 더 내경측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유로 벽(45)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 벽(43, 45)은, 모두 노즐 배치부(13)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경측의 유로 벽(43)과 중간 노즐 열(NL2)에 의한 유로 벽(41)의 사이, 및 내경측의 유로 벽(45)과 중간 노즐 열(NL2)에 의한 유로 벽(41)의 사이에는, 각각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한 쌍의 유로가 형성된다. 당해 한 쌍의 유로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열 유로(29A1)의 유입구(25A)측의 반대측(점 A2, A3의 근방)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연통되어 있음).
따라서, 가열 유로(29A1)는, 주위 방향의 한쪽 측(도 7의 점 A2)을 향하는 왕유로(往流路)(47)와, 왕유로(47)의 앞쪽 끝(도 7의 점 A2, 점 A3)에서 되꺾여 왕유로(47)를 따라 주위 방향의 다른 쪽 측(도 7의 점 A4)을 향하는 복유로(復流路)(49)를 갖고 있다. 왕유로(47)와 복유로(49)는 중간 노즐 열(NL2)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며, 왕유로(47)는 외경측 노즐 열(NL1)의 각 노즐(15)의 직경 방향 양옆에 각각 형성되고, 복유로(49)는 내경측 노즐 열(NL3)의 각 노즐(15)의 직경 방향 양옆에 각각 형성된다. 즉, 가열 유로(29A1)를 흐르는 가열 매체는, 유입구(25A)와 접속되는 점 A1로부터 화살표 F1, F2, F3을 따라 점 A2에 도달하고, 화살표 F4와 같이 점 A2로부터 점 A3으로 되꺾여, 화살표 F5, F6을 따라 점 A4에 도달한다. 점 A4에 도달한 가열 매체는, 화살표 F7을 따라 제1 연락 유로(31A)를 통해 가열 유로(29A2)(도 8)의 점 A5를 향한다.
도 8은 제2 노즐군(19)의 각 노즐(15)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가열 유로(29A2)의 개략 확대도이다(또한, 편의상, 도 8에서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음). 가열 유로(29A2)도 마찬가지로, 가열 유로(29A1)와 대략 선대칭으로 배치되고, 외경측 노즐 열(NL1), 중간 노즐 열(NL2), 내경측 노즐 열(NL3)이, 각각 원호상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유로 벽(41, 43, 45)에 의해, 왕유로(47) 및 복유로(49)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열 유로(29A2)에 있어서는, 점 A5로 보내진 가열 매체는, 화살표 F8, F9를 따라 점 A6에 도달하고, 화살표 F10과 같이 점 A6으로부터 점 A7로 되꺾여, 화살표 F11, F12, F13을 따라 점 A8에 도달한다. 점 A8에 도달한 가열 매체는, 유출구(27A)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외경측의 유로 벽(43)과 중간 노즐 열(NL2)에 의한 유로 벽(41) 사이에는 외경측 노즐 열(NL1)이 배치되고, 내경측의 유로 벽(45)과 중간 노즐 열(NL2)에 의한 유로 벽(41) 사이에는 내경측 노즐 열(NL3)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각 유로 벽의 사이에 하나의 노즐 열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유로 벽의 사이에 복수의 노즐 열이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 유로에 있어서의 노즐 배치수가 증가하여, 수지 펠릿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제2 가열 매체 유로(23)에 대해 더 설명하면,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는, 각각 안내 벽(50)을 갖고 있다. 안내 벽(50)은,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과 함께,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를 각각 획정하는 벽부(안내면)이다. 또한, 안내 벽(50)은, 각 가열 유로 중 각 노즐(15)의 외주면(15t)과는 다른 부분을 획정한다. 특히, 안내 벽(50)은, 유입구(25A) 및 유입구(25B)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축 방향 ED와 교차(직교)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접촉한 후 유출구(27A) 및 유출구(27B)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한다.
안내 벽(50)은, 전술한 유로 벽(43, 45)(도 2, 도 7, 도 8) 및 칸막이부(24)(도 2) 외에도, 천장벽(53)과, 저벽(54)을 포함한다. 천장벽(53)은 노즐 배치부(13)의 상면부를 구성하고, 저벽(54)은 노즐 배치부(13)의 하면부를 구성한다. 또한, 천장벽(53)은 유입구(25A)로부터 제1 연락 유로(31A)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가열 유로(29A1)의 상면부(천장부)를 획정하고 있다. 한편, 저벽(54)은 제2 연락 유로(31B)로부터 유출구(27B)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가열 유로(29B2)의 하면부(저부)를 획정하고 있다. 칸막이부(24)는 상기한 가열 유로(29A1)의 하면부를 획정함과 함께, 상기한 가열 유로(29B2)의 상면부를 획정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베이스 벽은,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B2)의 상기 축 방향 ED의 양측 부분(도 2에서는 상하 부분)을 상기 흐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각각 칸막이하는(획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각 가열 유로는, 복수의 베이스 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노즐 벽(15a)은, 각 노즐 구멍(15b)(수지 유로)을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B2)로부터 격리하도록 상기한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베이스 벽은, 노즐 배치부(13)의 일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유로 벽(43, 4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노즐 벽(15a)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천장벽(53), 칸막이부(24), 저벽(54))끼리를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이 경우, 유로 벽(43, 45)은, 가열 매체가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각각 접촉하면서 노즐군의 주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과 함께 각 가열 유로를 주위 방향을 따라 획정하고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군은, 복수의 노즐(15) 중 주위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노즐(15p)과, 당해 하나의 노즐과는 반대측에서 복수의 노즐(15) 중 주위 방향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다른 노즐(15q)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내 벽(50)의 유로 벽(43)은, 하나의 노즐(15p)의 외주면(15t)에 접촉한 가열 매체가 다른 노즐(15q)의 외주면(15t)에 접촉하도록 주위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벽(50)의 유로 벽(45)은, 다른 노즐(15q)의 외주면(15t)에 접촉한 가열 매체가 하나의 노즐(15p)의 외주면(15t)에 접촉하도록 주위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 벽(43)(왕로 안내 벽)은, 노즐군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15)의 일단측(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당해 복수의 노즐(15)과의 사이에서 상기 주위 방향 중 제1 방향을 향해 가열 매체를 안내한다. 한편, 유로 벽(45)(귀로 안내 벽)은,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15)의 타단측(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기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유로 벽(43)에 의해 안내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주위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해 안내한다.
또한, 도 2의 지면 우측에 도시되는 가열 유로(29B1) 및 가열 유로(29A2)(도 8)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안내 벽(50)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도 9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각 유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 가열 매체 유로(21)에서는, 도 7,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축 방향 ED의 수지 사출측에 가열 유로(29A1)가 배치되고, 수지 진입측에 가열 유로(29A2)가 배치된다. 한편, 제2 가열 매체 유로(23)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를, 축선 L을 중심으로 하여 약 180° 반전시킨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가열 매체 유로(21)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를 흐르는 가열 매체는, 각 유로에 유입된 초기에 각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수지 사출측 부분(토출측 외주면)의 주위를 유동하고, 그 후에 노즐 벽(15a)의 수지 진입측 부분(상류측 외주면)의 주위를 유동한다.
즉, 유입구(25A, 25B)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가열 매체는,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 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을 따라 유동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에 대한 열교환을, 가열 매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즐(15)을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경우에는,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노즐끼리의 주위 방향 간극이 길어져, 노즐 배치의 스페이스 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을 주위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불필요한 스페이스(예를 들어, 도 45의 빈 영역(127))를 발생시키는 일이 적어져, 노즐(15)의 배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기에서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은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노즐 배치부(13)의 정상면(13a)에 가까운 가열 유로(29A1, 29B1)에는, 미리 가열된 가열 매체가 처음에 유동하기 때문에, 노즐 벽(15a)으로의 입열이 커진다. 한편, 다이 플레이트(100)는, 노즐 배치부(13)의 정상면(13a)측이 수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정상면(13a)측은, 가열 유로(29A2, 29B2)가 배치되는 수지 진입측과 비교하여 방열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입된 가열 매체가 가열 유로(29A1, 29B1)를 처음에 흐름으로써, 이러한 정상면(13a)측의 방열을 보충하면서 수지 사출측의 노즐 벽(15a)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유로(29A1, 29B1) 내를 유동한 후의 가열 매체는, 각 유로의 하류측에 상당하는 가열 유로(29A2, 29B2)로 각각 흘러, 가열 유로(29A2, 29B2) 내를 유동함으로써, 수지 진입측의 노즐 벽(15a)을 가열한다. 이에 의해, 가열 매체는, 각 노즐(15)을 노즐의 축 방향 ED를 따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노즐(15)로 이루어지는 노즐군이, 주위 방향을 따라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으로 분할되고, 노즐(15)의 수지 사출측 부분과 수지 진입측 부분의 양쪽에 있어서, 제1 노즐군(17)의 반주분과 제2 노즐군(19)의 반주분이 각각 다른 계통의 가열 매체 유로(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에 의해 가열되고 있다. 이에 의해, 특히 노즐(15)의 수지 사출측 부분에 있어서는, 1계통의 가열 매체 유로가 주위 방향 1주분에 걸쳐 각 노즐(15)을 가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물에 의한 방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불균일한 온도 분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을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으로 주위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분할된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을 개별로 가열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노즐(15)에 있어서,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가 얻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가, 주위 방향을 따른 왕유로(47)와 복유로(49)를 가짐으로써, 왕유로(47)와 복유로(49)의 배열 방향으로 가열 폭을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배열 방향은 직경 방향이지만, 각 유로는 후기와 같이 노즐 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도 되고, 직경 방향과 노즐 축 방향의 양쪽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노즐 배치부(13)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15)을 배치 가능한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수의 증가가 도모되어, 수지 펠릿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는, 유입구(25A, 25B)로부터 유출구(27A, 27B)까지 각각 1개의 연속된 유로로 이루어지므로, 가열 매체의 유속을 안정화시켜, 복수의 노즐(15)의 온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각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는, 적어도 그 주위 방향의 일부가, 서로 축 방향 ED에 있어서 겹치는 다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가 동일한 스페이스에 단층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로의 단면적이 작아지고, 이 결과, 가열 매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노즐 벽(15a)의 승온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각 유로에서는 1개의 긴 유로 내를 가열 매체가 흐르기 때문에, 각 유로 중 유입구(25A, 25B)측의 부분과 유출구(27A, 27B)측의 부분 사이에서, 가열 매체의 온도 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와 같은 다층 구조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가열 매체의 유로와 온도가 낮은 가열 매체의 유로가 축 방향 ED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인접하는 유로로부터의 전열을 받아, 양 유로 사이의 온도 차의 확대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열 유로는, 복수의 노즐(15)이 마련된 주위 방향 전역(영역 전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의하면, 노즐(15)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 전역에 가열 유로가 배치되므로, 모든 노즐(15)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온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노즐과 가열 유로의 관계>
다음으로,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의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주위 방향 및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직경 방향 중 한쪽으로 결정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전술한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에 있어서는,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회전시키는 부분이 필요해지는데, 이 회전 시에는 가열 매체의 압력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회전 횟수를 적게 할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다음에 나타내는 조건에 준하여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회전 횟수를 적게 할 수 있어, 가열 매체의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15)이, 환상의 노즐군(제1 노즐군(17), 제2 노즐군(19))의 중심으로부터 다중의 동심형으로, 또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노즐군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즐(15)의 수가 n, 노즐군의 외주연에서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즐(15)의 수가 m이라고 정의된다. 이때, m/4의 값의 소수 첫째 자리를 반올림한 정수값 NM이 n 이상인 경우, 가열 유로에 있어서, 노즐군의 주위 방향을 따른 유로 길이를, 노즐군의 직경 방향을 따른 유로 길이보다 길게 설정한다. 한편, 상기한 정수값 NM이 n 미만인 경우, 가열 유로에 있어서, 노즐군의 직경 방향을 따른 유로 길이를, 노즐군의 주위 방향을 따른 유로 길이보다 길게 설정한다.
표 1은, m=1 내지 16, n=1 내지 4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조건에 준하여 직경 방향 및 주위 방향 중 가열 매체가 흐르는 유로 길이가 길게 설정되는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R」은 직경 방향을 의미하고, 「C」는 주위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이 외경측 노즐 열(NL1), 중간 노즐 열(NL2), 내경측 노즐 열(NL3)의 3열(n=3)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외주연의 노즐(15)의 수가 9개(m=9)까지는, 직경 방향의 유로 길이를 주위 방향의 유로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고, 10개 이상(m≥10)이면, 주위 방향의 유로 길이를 직경 방향의 유로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열 매체의 흐름의 회전 횟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열 매체의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가열 유로 내에서의 가열 매체의 유동>
도 10은 가열 유로에 배치된 노즐(15)의 주위에서의 가열 매체의 유동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의 유로 내에는, 외경측 노즐 열(NL1), 중간 노즐 열(NL2), 내경측 노즐 열(NL3)이 각각 배치되고, 각 노즐 열을 따라 가열 매체가 흐른다. 외경측 노즐 열(NL1), 내경측 노즐 열(NL3)은, 주위 방향(도 10에서는 상하 방향으로서 나타냄)으로 인접하는 노즐(15)끼리의 사이에 간극 S가 존재하는 경우, 간극 S에도 가열 매체가 유입되고, 이 흐름에 의해 가열 매체와 노즐 벽(15a)의 열교환이 촉진되어, 노즐 벽의 가열 효과가 높아진다.
중간 노즐 열(NL2)은, 주위 방향으로 연속해서 유로 벽(41)을 형성한다.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노즐 열(NL2)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접하도록, 서로의 노즐 벽(15a)이 접합됨으로써 유로 벽이 형성되어도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15)의 노즐 벽(15a)끼리의 사이에 격벽(51)이 배치되면 된다. 격벽(51)은, 이산하여 배치된 노즐(15)의 노즐 벽(15a)끼리를 서로 연결하여 유로 벽(41)을 형성한다. 특히, 격벽(51)은 복수의 노즐(15) 중 인접하는 노즐(15)의 노즐 벽(15a)끼리를 외주면(15t)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서로 접속하고, 당해 노출된 외주면(15t)과 함께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각 가열 유로를 획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간 노즐 열(NL2)의 노즐 벽(15a)을 이용하여, 왕유로(47)와 복유로(49)를 서로 분리된 유로로 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노즐(15)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길이의 연속되는 격벽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다이 플레이트(1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한정된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유로의 배치 효율이 높아져, 노즐(15)의 배치수의 더한층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격벽(51)은 후기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이 산재되어 배치된 경우라도, 인접하는 노즐끼리를 접속함으로써, 연속된 유로 벽 및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의 노즐 배치부(13)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XII-X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XIII-X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XIV-XIV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의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다이 플레이트(100)는, 노즐 배치부(13)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노즐(15)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 안내부(20)를 갖는다. 가열 매체 안내부(20)는, 유입구(25A)(수용구)와, 유출구(27A)(배출구)(도 13)와, 안내 벽(50)을 갖는다. 안내 벽(50)은, 가열 유로(29A1)(제1 부 안내부)와, 가열 유로(29A2)(제2 부 안내부)와, 상하 연통 유로(31)(연통부)를 각각 획정한다. 가열 유로(29A1), 가열 유로(29A2) 및 상하 연통 유로(31)는 유입구(25A)와 유출구(27A)를 서로 연통하는 유로이다. 또한, 상하 연통 유로(31)(도 13)는, 가열 유로(29A1)와 가열 유로(29A2)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연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노즐군은, 축 방향 ED와 평행한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노즐(15)은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노즐 열이, 주위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4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열에는, 3개의 노즐(15)이 배치되어 있고,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노즐(15)이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노즐(접속 노즐의 일 양태)을 포함하고, 가열 유로(29A1, 29A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접촉 노즐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되는 노즐군 및 가열 매체 안내부(20)가 다이 플레이트(100)의 주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11과 같이, 1조의 노즐군 및 가열 매체 안내부(20)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22.5도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위 방향으로 16의 노즐군 및 가열 매체 안내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안내 벽(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각 가열 유로를 획정한다. 안내 벽(50)은,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접촉한 후 유출구(27A)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벽(50)은 가열 매체가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노즐군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과 함께 가열 유로(29A1, 29A2)를 직경 방향을 따라 획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벽(50)은, 복수의 유로 벽(55)(도 11)과, 천장벽(53)(베이스 벽)과, 저벽(54)(베이스 벽)과, 칸막이부(24)(베이스 벽)를 갖는다.
복수의 유로 벽(55)은,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를 각각 획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유로 벽(55)은, 노즐 배치부(13)의 일부로 구성된다.
천장벽(53)은, 유입구(25A)로부터 상하 연통 유로(31)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가열 유로(29A1)의 상면부(천장부)를 획정하고 있다. 저벽(54)은, 상하 연통 유로(31)로부터 유출구(27A)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가열 유로(29A2)의 하면부(저부)를 획정하고 있다. 칸막이부(24)는, 가열 유로(29A1)의 하면부를 획정함과 함께, 가열 유로(29A2)의 상면부를 획정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베이스 벽은,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의 상기 축 방향 ED의 양측 부분(도 13, 도 14에서는 상하 부분)을 각각 칸막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은, 각 노즐 구멍(15b)(수지 유로)을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로부터 격리하도록 상기한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베이스 벽도, 노즐 배치부(13)의 일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유로 벽(55)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흐름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연통 유로(31)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흐름으로 분류되어,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 중 토출부(15f)(도 14)측의 외주면(15t)(토출측 외주면)에 각각 접촉한 후, 상하 연통 유로(31)에 이른다. 그리고 가열 매체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연통 유로(31)를 통해 가열 유로(29A2)로 유입된다. 또한, 가열 매체는,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 중 토출부(15f)와는 반대측의 외주면(15t)(상류측 외주면)에 각각 접촉한 후, 유출구(27A)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이,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의 일부를 각각 획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가열 유로를 흐르는 가열 매체로부터 각 노즐(15)의 노즐 벽(15a)에 확실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열이 전달되어, 각 노즐(15)의 승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복수의 노즐(15) 사이에 있어서의 온도 차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수지 공급구(100S)에 화살표 DS 방향을 따라 유입된 용융 수지는, 각 노즐(15)의 토출부(15f)(도 4)로부터 압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펠릿으로 성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열 매체 안내부(20)의 가열 유로(29A1)에 유입된 가열 매체가, 처음에 토출부(15f)측의 외주면(15t)에 접촉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앞의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다이 플레이트(100)의 정상면(13a)측의 방열을 보충하면서, 수지 사출측의 노즐 벽(15a)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유로(29A1)를 흐른 가열 매체는, 상하 연통 유로(31)를 통해 가열 유로(29A2)에 유입됨으로써, 복수의 노즐(15)의 수지 진입측의 외주면(15t)을 더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서로 접함으로써,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의 일부를 구성하는 양태로 설명하였지만, 도 10의 중간 노즐 열(NL2)과 같이, 가열 매체 안내부(20)가 격벽(51)을 갖는 양태여도 된다. 이 경우, 격벽(51)은 인접하는 노즐(15)의 노즐 벽(15a)끼리를 외주면(15t)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서로 접속하면 된다. 이 경우도, 격벽(51)이, 노출된 외주면(15t)과 함께 흐름 방향을 따라 각 가열 유로를 획정함으로써, 가열 매체로부터 노즐 벽(15a)으로의 열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열 유로(29A1) 및 가열 유로(29A2)가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겹치도록 2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축 방향 ED를 따라 본 경우, 유입구(25A)와 유입구(25B)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이 플레이트(100)의 노즐 배치부(13)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4열의 노즐 열 중, 내측의 2열의 노즐 열에서는, 도 10의 외경측 노즐 열(NL1), 내경측 노즐 열(NL3)과 같이,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서로 독립되어 배치된 복수의 노즐(15)(독립 노즐)이 마련되어도 된다.
<노즐 배치>
도 15 내지 도 20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복수의 노즐(15)의 배치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가열 유로의 일부를 획정하는 복수의 노즐(15)은 이산되어 배치되고(랜덤 배치), 흐름 방향 DA를 따라 흐르는 가열 매체로부터 각각 열을 수취해도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5) 전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또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규칙 배치). 이 경우, 복수의 노즐(15)의 주위에,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는 유로 벽(안내 벽)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노즐(15)은,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이 밀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면적당 노즐(15)의 밀도가 커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도 각각의 노즐(15)의 외주면(15t)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유로에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각 노즐(15) 사이의 온도 차를 저감하여, 승온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5)이 밀접한 집단끼리를 격벽(51)이 접속함으로써,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 DA가 결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이 배플로서 기능할 수 있다.
<노즐 형상>
다이 플레이트(100)에 구비되는 노즐(15)의 형상은, 직경 치수가 일정한 노즐 구멍(15b)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21a, 도 21b는 노즐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1a에 도시하는 노즐(15A)과 같이, 노즐 구멍(15b1)이 수지 사출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원뿔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노즐 선단에서의 용융 수지의 사출 속도를 증가시켜, 보다 안정된 수지의 사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도시하는 노즐(15B)과 같이, 수지 사출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노즐 구멍(15b2)과, 직경 치수가 일정한 노즐 구멍(15b3)이, 수지 사출측을 향해 이 순서로 접속된 2단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용융 수지의 사출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수지의 유동이 안정되므로, 조립하는 수지 펠릿 형상의 변동이 작아진다.
또한, 도 21a 및 도 21b에 있어서 용융 수지의 흐름은, 화살표 ED와는 반대인 방향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용융 수지의 출구(토출부)의 단면적이 크게 설정됨으로써, 점도가 낮은 수지가 토출부에서 고화된 경우라도, 상류측으로부터의 압력으로 노즐의 경사(테이퍼)를 따라 고화된 수지를 압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형상 등 다른 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도, 노즐 벽(15a)의 내주면(15s)을 따라 외주면(15t)이 배치됨으로써, 가열 매체로부터 외주면(15t)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노즐(15)의 노즐 벽(15a)을 안정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가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노즐(15)의 축 방향 ED로 서로 겹쳐 배치되어 있지만, 가열 유로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각종 가열 유로의 배치 형태를 설명한다.
<가열 유로의 변형예>
도 22 내지 도 30은, 앞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어느 경우도 노즐이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2 내지 도 30에 나타내는 점선은, 다이 플레이트(100)의 노즐 배치부(13)를 도시하고 있다. 가열 유로는, 전술한 가열 유로(29A1, 29A2, 29B1, 29B2)와 같이 노즐 배치부(13)의 내부에 형성되고, 각 유로 단부에는, 전술한 유입구(25A, 25B) 및 유출구(27A, 27B)와 마찬가지로 유입구 및 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가열 유로(55A, 55B, 55C, 55D)는, 노즐 축 방향에 관하여 단일층의 유로이며, 주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서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분할된 가열 유로(55A, 55B, 55C, 55D)를 도시하고 있지만, 분할 수는 임의이며, 등간격에 한정되지 않고, 부등 간격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가열 유로(55A, 55B, 55C, 55D)는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노즐(도시하지 않음)의 배열 방향을 따라 가열 매체가 유동하여 다수의 노즐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독립된 가열 유로에 각각 가열 매체가 유동하므로, 입열량을 증가시켜 승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가열 유로(57)는, 단일층으로 1개의 연속된 환상 유로로 되어 있고, 복수의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 주위 방향 전역에 배치된다. 이 가열 유로(57)에 의하면, 유로의 분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열 유로(57)의 유량을 장소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로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각 노즐(15)의 승온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 전역에 가열 유로(57)가 배치되므로, 모든 노즐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온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15)의 축 방향 ED로 서로 겹치는 2단의 가열 유로(57A, 57B)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입열량을 증가시켜 승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온도 균일성도 향상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단의 가열 유로(57A, 57B)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가열 유로(57A, 57B)의 환 중심(환상의 노즐군의 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유입구와 유출구의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다이 플레이트(100)의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가열 유로(57A)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가열 유로(57B)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대해 180° 반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임의의 각도로 주위 방향으로 위상을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는 가열 유로(57A) 및 가열 유로(57B)에는, 서로 온도가 다른 가열 매체가 흘러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 사출측의 가열 유로(57A)에, 수지 진입측의 가열 유로(57B)보다도 고온의 가열 매체를 흐르게 함으로로써, 물에 노출되어 방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다이 플레이트(100)의 정상면(13a)(도 1 참조)에 가까운 측의 입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이 플레이트(100)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물에 의한 방열에 의한 수지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되는 가열 유로(59A, 59B)에서는, 환상의 유로의 반주마다,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각 유로의 위치가 서로 바뀌고 있다. 즉, 가열 유로(59A)는, 노즐의 수지 사출측에 반주분의 유로를 갖고, 나머지 반주분의 유로가 노즐의 수지 진입측에 배치된다. 가열 유로(59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반주분의 유로가 노즐의 수지 사출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절반의 유로가 수지 진입측에 배치된다. 가열 유로(59A)의 축 방향 ED의 위치가 바뀌는 위치에서, 가열 유로(59B)의 축 방향 ED의 위치가 바뀌고 있다.
이 가열 유로(59A, 59B)에 의하면, 가열된 가열 매체가 노즐의 수지 사출측 부분에 먼저 공급되므로, 수지 사출측으로의 입열을 수지 진입측보다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입열량 분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되는 가열 유로(61)는, 단일층으로 1개의 연속된 환상 유로이며,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왕유로(47)와, 왕유로(47)가 환상으로 대략 1주 연장된 후, 유로 앞쪽 끝에서 되꺾여 왕유로(47)를 따라 주위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유로(49)를 갖는다. 이 가열 유로(61)에 의하면, 직경 방향으로 이중으로 되어 유로가 형성되므로, 직경 방향의 가열 범위가 증가하여,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가 얻어진다.
또한,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2단의 가열 유로(61A, 61B)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입열량을 증가시켜 승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온도 균일성도 향상된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8의 각 가열 유로의 형태는, 서로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하는 4분할된 가열 유로(55A, 55B, 55C, 55D) 각각을, 도 27에 도시되는 왕유로(47) 및 복유로(49)로 구성해도 되고, 도 24 내지 도 26,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 ED에 있어서 다단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축 방향 ED로 다단으로 배치된 가열 유로(57A, 57B) 중, 수지 사출측의 유로를, 가열 유로 대신에, 유로 내를 공기로 채운 단열 공동이 마련되어도 된다. 도 29에 도시하는 가열 유로에서는, 축 방향 ED의 한쪽 측의 유로 부분에 단열 공동(6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 사출측에 배치된 단열 공동(63)이 다이 플레이트(100)의 물에 노출되는 면에 가까운 측으로부터의 방열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다이 플레이트(100)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단열 공동(63)은, 공기를 밀봉한 구성,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성, 일정 온도로 된 공기를 유동시키는 구성 등, 필요로 하는 단열 효과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열 공동(63)은, 도 24에 도시하는 가열 유로(57A)와 마찬가지의 형상인 것 외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없앤 1개의 환상의 공동이어도 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유로와 복유로를 갖는 단열 공동(63A)이 배치됨으로써, 직경 방향의 단열 폭을 증가시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열 공동(63)의 형태는 일례이며, 단열 효과가 얻어지는 형상이면, 그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앞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또는 제2 가열 매체 유로(23) 중 어느 한쪽 대신에, 상기한 바와 같이 유로 내를 공기로 채운 단열 공동이 배치되어도 된다.
도 31 내지 도 44는, 앞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열 유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어느 경우도 노즐이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부의 도면에 도시된 원판상의 점선은, 다이 플레이트(100)의 노즐 배치부(13)를 도시하고 있다. 가열 유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의 가열 유로(29A1, 29A2)와 같이 노즐 배치부(13)의 내부에 형성되고, 각 유로 단부에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다.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주위 방향의 일부에 마련된 가열 유로에 대해 설명하지만, 주위 방향의 다른 부분에도 마찬가지의 가열 유로가 배치된다.
도 31에서는,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3개의 가열 유로(65A, 65B, 65C)로 분류된다. 각 가열 매체는, 도시하지 않은 연통로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르면서 다시 합류하여, 유출구(25B)로부터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1개 및 출구 하나의 2단식). 본 변형예에서는, 축 방향 ED를 따라 본 경우, 유입구(25A)와 유입구(25B)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2에서는,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3개의 가열 유로(67A, 67B, 67C)로 분류된다. 각 가열 매체는, 도시하지 않은 연통로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열 유로(67B)를 흐르는 가열 매체만이 2개의 가열 유로로 분류되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르면서 가열 유로(67A, 67C)를 흐르는 가열 매체에 각각 다시 합류하여, 유출구(25B)로부터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1개 및 출구 2개의 2단식).
도 33에서는, 2개의 유입구(25A1, 25A2)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각각 2개의 가열 유로로 분류된다. 이 중, 주위 방향 내측의 2개의 가열 유로(69B, 69C)를 흐르는 가열 매체는,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에서 합류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주위 방향 외측의 2개의 가열 유로(69A, 69D)를 흐르는 가열 매체도 각각 하방으로 이동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르면서 전술한 가열 매체와 다시 합류하여, 유출구(25B)로부터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2개 및 출구 1개의 2단식).
도 34에서는, 상하 독립된 가열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에서는, 유입구(25A1)로부터 가열 유로(71A)로 유입된 가열 매체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2개의 흐름으로 분류되어, 각각 주위 방향의 외측 부분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른 후, 유출구(25B1, 25B2)로부터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하단에서는, 유입구(25A2)로부터 가열 유로(71B)로 유입된 가열 매체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2개의 흐름으로 분류되고, 각각 주위 방향의 외측 부분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른 후, 유출구(25B3, 25B4)로부터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2개 및 출구 4개의 2단식).
도 35, 도 36에서는, 각 변형예에 관한 노즐 배치부(13)의 수평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5에서는,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사이 및 그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진행하고, 개구(25C1, 25C2)로부터 더 주위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흘러, 유출구(25B1, 25B2)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1개 및 출구 2개의 1단식).
한편, 도 36에서는, 유입구(25A1, 25A2)로부터 각각 유입된 가열 매체는, 직경 방향 내측까지 진행한 후, 개구(25C1, 25C2)로부터 주위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3열의 노즐 열의 사이 및 그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하여, 유출구(25B)로부터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2개 및 출구 1개의 1단식).
다시 도 37의 모식적인 사시도를 참조하면, 동 도면에서도, 상하 독립된 가열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에서는, 유입구(25A1)로부터 가열 유로(73A)로 유입된 가열 매체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2개의 흐름으로 분류되어, 각각 주위 방향의 외측 부분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른 후, 유출구(25B1, 25B2)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하단에서는, 유입구(25A2, 25A3)로부터 가열 유로(73B, 73C)로 각각 유입된 가열 매체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합류하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흐른 후, 유출구(25B3)로부터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3개 및 출구 3개의 2단식). 본 변형예에서는, 상하단에 있어서의 가열 매체의 흐름이 반대로 되어 있다(대향류).
도 38에서는, 상하 독립된 2단의 가열 유로가 형성되고, 하측의 가열 유로는 또한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총 3단). 유입구(25A)로부터 가열 유로로 유입된 가열 매체는, 도 31과 마찬가지의 가열 유로를 통해, 유출구(25B)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최상단에 마련된 가열 유로(75)에서는, 유입구(25C)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분류되어, 각각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흐른 후, 유출구(25D1, 25D2)로부터 배출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열 유로(75)로 유입되는 가열 매체의 온도 또는 종류는, 가열 유로로 유입되는 가열 매체의 온도 또는 종류와는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유로(75)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 내의 가열 유로는, 축 방향 ED를 따라 복수단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때, 서로의 가열 유로는 서로 연통되어도 되고, 독립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한 각 변형예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마련되는 양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9 내지 도 44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적어도 한쪽이 배치된다.
도 39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배치된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사이 및 그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진행하고, 다시 주위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유출구(25C1, 25C2)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1개, 직경 방향 내측에 출구 2개).
도 40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유입구(25A1, 25A2)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사이 및 그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진행하고, 다시 주위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유출구(25C)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외측에 입구 2개, 직경 방향 내측에 출구 1개).
한편, 도 41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사이 및 그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하고, 다시 주위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배치된 유출구(25C1, 25C2)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내측에 입구 1개, 직경 방향 외측에 출구 2개).
도 42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유입구(25A1, 25A2)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사이 및 그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하고, 다시 주위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배치된 유출구(25C)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내측에 입구 2개, 직경 방향 외측에 출구 1개).
또한, 도 39 내지 도 42에서는, 각 유입구로 유입된 가열 매체가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각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가능한, 이른바 1패스 유로여도 된다.
도 43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하고, 또한 3열의 노즐 열의 주위 방향의 외측을 통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유출구(25C1, 25C2)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내측에 입구 1개, 직경 방향 내측에 출구 2개).
또한, 도 44에서는,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유입구(25A1, 25A2)로부터 가열 유로로 유입된 가열 매체는, 3열의 노즐 열의 주위 방향의 외측을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하고, 또한 3열의 노즐 열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다시 돌아가,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배치된 유출구(25C)로부터 각각 배출된다(직경 방향 내측에 입구 2개, 직경 방향 내측에 출구 1개).
상기와 같은 각 변형예에 관한 노즐 배치부(13)를 구비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있어서도, 가열 매체가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에 접촉하면서 흐르기 때문에, 복수의 노즐(15)을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배치부(13)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유입구 또는 유출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가열 매체의 공급 또는 회수를 행하는 외부 유로가 당해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열 매체가 수증기인 경우에는, 당해 수증기를 유출구로부터 다이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직접 배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의하면, 각 안내 벽(50)이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과 함께 각 가열 유로를 형성하고, 당해 가열 유로를 통과하는 가열 매체는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을 가열 매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15)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노즐(15)의 승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에 대한 열교환을,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다이 플레이트(100)에서는, 가열 유로의 축 방향 ED의 양측 부분이 베이스 벽에 의해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각각 획정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의 각각은, 상기 수지 유로를 상기 가열 유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열 매체는 가열 유로 내를 복수의 베이스 벽을 따라 안정적으로 흐르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가열 매체가 용융 수지 내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벽(50)에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유로 벽이 포함되어 있고, 당해 유로 벽은,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축 방향 ED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 매체가 가열 유로 내를 유로 벽을 따라 흐르면서,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벽(15a)에 접촉하여 당해 노즐 벽(15a)을 안정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앞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벽(50)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로 안내 벽으로서 기능하는 유로 벽(43)과, 귀로 안내 벽으로서 기능하는 유로 벽(45)을 포함한다. 한편, 양 유로 벽의 사이에서는, 복수의 노즐(15)의 일부가,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접속 노즐을 구성하여, 유로 벽(41)을 형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접속 노즐 중 하나의 접속 노즐의 외주면의 일부와 당해 하나의 접속 노즐에 인접하는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는,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접속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어 있다. 유로 벽(43)은,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당해 복수의 접속 노즐과의 사이에서 제1 흐름 방향(도 7의 화살표 F1, F2, F3)으로 가열 매체를 안내한다. 한편, 유로 벽(45)은,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에 대해 유로 벽(43)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유로 벽(43)에 의해 안내된 가열 매체를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흐름 방향과는 반대인 제2 흐름 방향(도 7의 화살표 F5, F6)을 향해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 노즐을 동일한 가열 매체의 흐름에 의해 유로 벽(43)측 및 유로 벽(45)측의 양측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각 유로 벽 및 복수의 접속 노즐이 다이 플레이트(100)의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양태로 설명하였지만, 도 11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유로 벽 및 복수의 접속 노즐이 다이 플레이트(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복수의 접속 노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병렬되어 배치되는 병렬 노즐이어도 된다. 즉, 유로 벽(41)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즐(15)의 노즐끼리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유로 벽(41)의 양측으로부터 복수의 병렬 노즐을 안정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 유로가, 왕유로(47)와, 상기 왕유로(47)의 유로 앞쪽 끝에서 되꺾여 상기 왕유로(47)를 따라 다른 쪽 측을 향하는 복유로(49)를 갖는 경우, 왕유로(47)와 복유로(49)의 배열 방향으로 가열 폭을 확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즐 배치부(13)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노즐(15)을 배치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수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어, 수지 펠릿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중간 노즐 열(NL2)과 같이, 인접하는 노즐(15)끼리의 각각의 외주면(15t)(복수의 접속 노즐 중 하나의 접속 노즐의 외주면의 일부와 다른 접속 노즐의 외주면의 일부)이 격벽(51)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경우, 각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가열 매체를 각 노즐(15)의 외주면(15t)에 각각 접촉시키면서 흐름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인접하는 노즐(15) 사이에 격벽(51)을 마련함으로써, 노즐(15) 간격보다도 긴 연속된 격벽을 새롭게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다이 플레이트(1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유로 배치의 스페이스 효율이 높아져, 노즐 배치수의 더한층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복수의 노즐(15)은,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직접 접속된 복수의 접촉 노즐에 상당한다. 이 경우, 복수의 접촉 노즐에 의해 가열 영역의 일부를 획정할 수 있으므로, 당해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15)을 밀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영역에 가열 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다른 벽을 배치할 필요가 저감된다.
또한, 도 10의 외경측 노즐 열(NL1) 및 내경측 노즐 열(NL3)에서는, 복수의 노즐(15)은 서로의 노즐 벽(15a)의 외주면(15t)끼리가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독립 노즐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독립 노즐의 간극에 가열 매체가 유입되면, 각 독립 노즐이 그 외주면(15t)을 통해 가열 매체로부터 효율적으로 흡열함으로써, 노즐 벽(15a)의 가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열 매체의 유량이 작은 영역 등이 있어도, 당해 영역에 상기 독립 노즐을 배치함으로써, 다이 플레이트(100) 내의 복수의 노즐(15) 사이의 온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앞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가열 유로는,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가열 유로에 대해 축 방향 ED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이 플레이트(100) 내에 서로 독립된 복수의 가열 유로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노즐(15)에 대한 가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가열 유로에 서로 다른 가열 매체나 서로 온도가 다른 가열 매체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가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축 방향 ED와 교차(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이 플레이트(100)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가열 유로는,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가열 유로에 대해 축 방향 ED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노즐(15)의 축 방향 ED의 온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 유로가 동일한 스페이스에 축 방향 ED로 단층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므로, 가열 매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노즐(15)의 승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가열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가열 유로와 축 방향 ED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가열 유로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가열 유로를 흐르는 가열 매체끼리에 있어서 열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양자의 온도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2개의 가열 유로(29A1, 29A2)(제1 부 안내부, 제2 부 안내부)와,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2개의 가열 유로(29B1, 29B2)(제3 부 안내부, 제4 부 안내부)에 의해,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을 각각 협동하여 가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가열 매체 안내부에 있어서의 가열 매체의 흐름이 정체되는 일이 있어도, 양 노즐군 중 한쪽의 노즐군의 가열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의 유입구(25A)는, 가열 유로(29A1)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도록 당해 가열 유로(29A1)에 연통되고,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유입구(25B)는, 가열 유로(29B1)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도록 당해 가열 유로(29B1)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리 가열된 가열 매체가, 가열 유로(29A1)를 통해 제1 노즐군(17) 중 토출측 외주면을 먼저 가열함과 함께, 가열 유로(29B1)를 통해 제2 노즐군(19) 중 토출측 외주면을 먼저 가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노즐(15)의 토출부(15f) 주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용융 수지의 토출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이 플레이트(100) 중 토출부(15f)측의 면(정상면(13a))이 물에 노출되어, 그 온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우라도, 각 노즐(15)에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온도 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 및 제2 가열 매체 유로(23)에는, 제1 노즐군(17)과 제2 노즐군(19) 사이에, 상기 가열 유로의 축 방향 ED의 배치순을, 제1 노즐군(17)측과 제2 노즐군(19)측에서 역전시키는 연락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노즐군(17)을 따른 가열 유로와, 제2 노즐군(19)을 따른 가열 유로를, 연락 유로에 의해 축 방향 ED로 서로 바꿀 수 있다. 즉, 제1 노즐군(17)측에서 수지 사출측에 배치된 가열 유로를, 연락 유로를 통해, 제2 노즐군(19)측에서 수지 진입측에 배치된 가열 유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유입구(25A)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유입구(25B)는, 축 방향 ED에 관하여 노즐(15)의 수지 사출측에 배치되고,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유출구(27A)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유출구(27B)는, 축 방향 ED에 관하여 노즐(15)의 수지 진입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의하면, 가열된 가열 매체가, 처음에 노즐(15)의 수지 사출측으로부터 공급되고, 그 후에 노즐(15)의 수지 진입측으로부터 배출되므로, 수지 사출측의 입열량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물에 노출되어 방열되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수지 사출측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유입구(25A)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유입구(25B)는, 환상의 노즐군의 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1 가열 매체 유로(21)의 유출구(27A)와 제2 가열 매체 유로(23)의 유출구(27B)는, 환상의 상기 노즐군의 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각 유입구와 주위 방향으로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의하면, 유입구와 유출구의 축 방향 ED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다이 플레이트의 박육화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배치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분할된 2개의 노즐군에 대해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와 같은 제1 가열 매체 안내부(20A)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20B)의 배치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분할된 2개의 노즐군에 대해 적용되어도 된다.
한편,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도 11)에서는, 가열 매체 안내부(20)는, 유입구(25A)(도 13)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복수의 노즐(15)의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가열 유로(29A1)(제1 부 안내부)와, 가열 유로(29A1)를 통과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복수의 노즐(15)의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가열 유로(29A2)(제2 부 안내부)와, 가열 유로(29A1)와 가열 유로(29A2)를 서로 연통하는 상하 연통 유로(31)(연통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미리 가열된 가열 매체가, 가열 유로(29A1)를 통해 복수의 노즐(15) 중 토출측 외주면을 먼저 가열할 수 있으므로, 각 노즐(15)의 토출부(15f)(도 14) 주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용융 수지의 토출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이 플레이트(100) 중 토출부(15f)측의 면이 물에 노출되어, 그 온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우라도, 각 노즐(15)에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온도 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이 플레이트(100)의 각 가열 매체 안내부에 구비된 안내 벽(50)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주위 방향을 따라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양태나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직경 방향을 따라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 벽(50)은, 축 방향 ED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것이면 되고, 각 가열 유로 내에는 안내 벽(50)이 축 방향 ED를 따라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부분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노즐군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경우에는, 다이 플레이트(100)에 불필요한 스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노즐(15)의 배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이 플레이트의 형상 및 제조 방법>
다이 플레이트(100)의 형상은, 상기한 원판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유로의 형상도 타원 환상, 또는 다각형 환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다이 플레이트(100)는, 조립하는 수지보다도 융점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소강, 스테인리스재 등의 철계 재료, 알루미늄 합금 재료, 티타늄 혹은 티타늄 합금, 니켈계 합금, 코발트계 합금, 텅스텐 합금 등의 금속 재료, 또는 고융점 타입의 특수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고융점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이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기계 가공 부품을 조립하여 제조해도 되고, 다이캐스트, 주조, 또는 절삭에 의한 잘라내기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또한, 3D 프린터 등에 의한 적층 조형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조형법에는, 예를 들어 레이저 적층 조형(LAM: Laser Additive Manufacturing)법, 전자 빔 적층 조형(EBM: Electron Beam Melting)법 등이 있다. 레이저를 열원으로 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분말 소결 적층 조형(SLM: Selective Laser Melting)법, 레이저 분체 육성 용접(LMD: Laser Metal Deposition), 선택적 레이저 용접(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등이 있다. 또한, 아크를 열원하는 것으로서, 아크에 의해 용가재를 용융 및 응고시켜 용착 비드를 형성하고, 이 용착 비드를 복수층으로 적층함으로써 적층 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각 적층 조형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다이 플레이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분말 소결 적층 조형 SLM법에 의하면, 조형물(다이 플레이트(100))을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조형물의 원료가 되는 구상의 분체를 조형 탱크에 부설한다. 분체를 평탄하게 고르게 한 분체 표면의 소정 영역에, 분체의 용융 열원이 되는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그러면, 레이저광이 조사된 분체는 소결 또는 용융 고화되어, 조형물을 구성하는 조형층이 조형된다. 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소정 영역은, 조형물이 되는 다이 플레이트의 형상(목표 형상)을 수평하게 얇게 슬라이스하여 분할한 복수의 단면 형상 중 어느 것의 2차원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그 후, 다시 분체를 조형층 상에 공급하여 평탄하게 고르게 하고, 분체 표면의 소정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다음 조형층이 조형된다. 이러한 수순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원하는 조형물을 조형할 수 있다. 즉, 금속 재료를 용융 및 응고시킨 층을 적층한 적층 조형물에 의해 다이 플레이트(100)가 형성된다.
그 밖의 적층 조형법도, 기본적으로는 조형물의 목표 형상을 복수층으로 슬라이스한 형상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조형하는 것이며, 제조 방법 자체는 공지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다이 플레이트(100)를 적층 조형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노즐 형상, 또는 가열 매체의 유로 형상이 복잡해도, 번잡한 가공을 수반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조형할 수 있으므로, 가공상의 제약이 적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 때문에, 가열 매체의 유로의 형상이, 가공이 용이한 단순한 직선 유로에 제한되지 않고, 유로 내에 다수의 노즐이 배치된 만곡된 유로라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노즐수(펠릿 생산성)·승온성·가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 설계가 가능해져, 다이 플레이트(100)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도 3이나 도 11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가열 매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본 경우, 유로의 단면적이 확대, 축소되는 복잡한 유로를 갖는 다이 플레이트(100)는, 적층 조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절삭 가공 등에 의해 상기와 같은 다이 플레이트(100)를 성형, 제조해도 되지만, 적층 조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가공 정밀도 및 제조 시간 등에서 우위이다.
특히, 전술한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관한 다이 플레이트(100)에 있어서의 노즐군 및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금속 재료를 용융 및 응고시킨 층을 축 방향 ED를 따라 적층한 적층 조형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는 저벽(54) 상에 복수의 노즐(15)의 하측 부분(상류측 부분, 수지 진입측 부분)을 형성하고, 용융, 응고시킨다. 다음으로, 그 위에 칸막이부(24) 및 복수의 노즐(15)의 상측 부분(토출측 부분)을 형성하고, 용융, 응고시킨다. 또한, 그 위에 천장벽(53)을 형성하고, 용융, 응고시킨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유로를 갖는 다이 플레이트(100)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지 기계>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 기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다이 플레이트(100)와, 수지 공급부와, 매체 공급부와, 처리부를 갖는다. 수지 기계는, 전술한 수지 펠릿의 조립 장치로 대표된다. 상기 수지 공급부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복수의 노즐(15)의 노즐 구멍(수지 유로)에 용융 수지를 공급한다. 상기 매체 공급부는, 다이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공급한다. 또한, 처리부는, 복수의 노즐(15)의 토출부(15f)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당해 처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커터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이 플레이트(100)의 복수의 노즐(15)을 가열 매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15)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노즐(15)의 승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노즐(15)의 토출부(15f)로부터 용융 수지를 안정적으로 토출하여, 커팅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
또한, 상기와 같은 다이 플레이트(100)에 대한 노즐 가열 방법은, 다이 플레이트(100)를 준비하는 것(준비 공정)과, 다이 플레이트(100)에 가열 매체를 공유하여 노즐(15)을 가열하는 것(가열 공정)을 포함한다. 준비 공정에서는, 다이 플레이트(100)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즐 벽(15a)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획정하는 내주면(15s)과 당해 내주면(15s)과는 반대측에서 내주면(15s)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15t)을 포함하는 노즐 벽(15a)과 노즐 벽(15a)의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토출부(15f)를 각각 갖는 복수의 노즐(15)과, 적어도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50)을 갖는 것을 준비한다. 또한, 가열 공정에서는, 상기 가열 유로의 입구(유입구, 수용구)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고, 당해 가열 매체를 복수의 노즐(15)의 각각의 외주면(15t)에 각각 접촉시켜 노즐(15)을 가열한 후, 상기 가열 유로의 출구(유출구, 배출구)로부터 가열 매체를 배출시킨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다이 플레이트(100)의 복수의 노즐(15)을 가열 매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15)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노즐(15)의 승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준비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매체 유로로서, 축 방향 ED에 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를 갖는 다이 플레이트(100)를 준비하고, 가열 공정에서는,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각각에 가열 매체를 개별로 공급해도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각 노즐(15)의 축 방향 ED에 있어서의 온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 매체 유로가 동일한 스페이스 내에 축 방향 ED에 관하여 단층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가열 매체 유로의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므로,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매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노즐(15)의 승온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준비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매체 유로로서,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각 가열 유로의 주위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축 방향 ED에 겹쳐 배치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100)를 준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가열 유로의 주위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축 방향 ED에 있어서 겹쳐 있으므로,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각 유로를 흐르는 가열 매체에 온도 차가 발생해도, 전열(열교환)에 의해 서로의 온도 차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준비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매체 유로로서, 서로 인접하는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끼리에 있어서의, 가열 매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된 다이 플레이트(100)를 준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인접하는 가열 유로끼리의 온도가 맞추어져, 온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준비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매체 유로로서, 서로 인접하는 제1 가열 매체 유로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끼리에 있어서의, 가열 매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설정된 다이 플레이트(100)를 준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가열 유로에 발생하는 온도 차를 한쪽의 가열 유로로부터 다른 쪽의 가열 유로로의 전열에 의해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매체 유로로서, 제1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에 흘리는 가열 매체의 온도와, 제2 가열 매체 유로의 가열 유로에 흘리는 가열 매체의 온도를 서로 다른 온도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한쪽의 가열 유로에 흘리는 가열 매체의 온도가 높고, 다른 쪽의 가열 유로에 흘리는 가열 매체의 온도가 낮아짐으로써, 다이 플레이트의 온도 분포를 가열 유로의 배치에 따라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 플레이트는, 노즐군과,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군은,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노즐 벽과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다. 복수의 노즐 벽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한다.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도록 가열 매체를 상기 외주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갖는다. 상기 안내 벽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한다. 상기 안내 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안내 벽이 복수의 노즐의 노즐 벽의 외주면과 함께 가열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당해 가열 유로를 통과하는 가열 매체는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노즐의 각각을 가열 매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벽을 갖고, 상기 가열 유로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은, 상기 수지 유로를 상기 가열 유로로부터 격리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열 매체는 가열 유로 내를 복수의 베이스 벽을 따라 안정적으로 흐르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가열 매체가 용융 수지 내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은,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벽을 갖고, 당해 적어도 하나의 유로 벽은, 상기 흐름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벽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열 매체가 가열 유로 내를 유로 벽을 따라 흐르면서, 복수의 노즐의 노즐 벽에 접촉하여 당해 노즐 벽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병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벽은,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당해 복수의 병렬 노즐과의 사이에서 제1 흐름 방향으로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왕로 안내 벽과,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에 대해 상기 왕로 안내 벽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왕로 안내 벽에 의해 안내된 가열 매체를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흐름 방향과는 반대인 제2 흐름 방향을 향해 안내하는 귀로 안내 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병렬 노즐을 동일한 가열 매체의 흐름에 의해 왕로 안내 벽 및 귀로 안내 벽의 양측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접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당해 하나의 접속 노즐에 인접하는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접속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가열 매체를 복수의 접속 노즐의 각각의 외주면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은,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상기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상기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를 서로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상기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가열 매체를 각 노즐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시키면서 격벽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상기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상기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 노즐에 의해 가열 영역의 일부를 획정할 수 있으므로, 당해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을 밀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영역에 가열 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다른 벽을 배치할 필요가 저감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독립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독립 노즐의 각각의 상기 노즐 벽은, 상기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독립 노즐은, 그 외주면을 통해 가열 매체로부터 효율적으로 흡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열 매체의 유량이 작은 영역 등이 있어도, 당해 영역에 상기 독립 노즐을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노즐 사이의 온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수용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안내 벽을 각각 포함하고, 서로 독립된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는,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에 대해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다이 플레이트 내에 서로 독립된 복수의 가열 유로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노즐에 대한 가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가열 특성에 따라서 각 가열 유로에 서로 다른 가열 매체나 서로 온도가 다른 가열 매체를 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가열 매체 안내부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가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이 플레이트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를 흐르는 가열 매체끼리에 있어서 열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양자의 온도 차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분할된 제1 노즐군 및 제2 노즐군을 갖고, 상기 제1 노즐군 및 상기 제2 노즐군에 각각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토출측 외주면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 외주면보다도 상기 토출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수용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안내 벽을 각각 포함하고, 서로 독립된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를 갖고,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제1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2 부 안내부와, 상기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부 안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제1 연통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제1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3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4 부 안내부와, 상기 제3 부 안내부와 상기 제4 부 안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제2 연통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2개의 부 안내부와,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2개의 부 안내부에 의해, 제1 노즐군 및 제2 노즐군을 각각 협동하여 가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가열 매체 안내부에 있어서의 가열 매체의 흐름이 정체되는 일이 있어도, 양 노즐군 중 한쪽의 노즐군 가열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수용구는, 상기 제1 부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도록 당해 제1 부 안내부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수용구는, 상기 제4 부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도록 당해 제4 부 안내부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미리 가열된 가열 매체가, 제1 부 안내부를 통해 제1 노즐군 중 토출측 외주면을 먼저 가열하는 한편, 제4 부 안내부를 통해 제2 노즐군 중 토출측 외주면을 먼저 가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노즐의 토출부 주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용융 수지의 토출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이 플레이트 중 상기 토출부측의 면이 물에 노출되어, 그 온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우라도, 각 노즐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온도 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토출측 외주면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 외주면보다도 상기 토출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1 부 안내부를 통과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2 부 안내부와, 상기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부 안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미리 가열된 가열 매체가, 제1 부 안내부를 통해 복수의 노즐 중 토출측 외주면을 먼저 가열할 수 있으므로, 각 노즐의 토출부 주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용융 수지의 토출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이 플레이트 중 상기 토출부측의 면이 물에 노출되어, 그 온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우라도, 각 노즐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온도 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은,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안내 벽은, 가열 매체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노즐군의 주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상기 주위 방향을 따라 획정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은,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안내 벽은, 가열 매체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노즐군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금속 재료를 용융 및 응고시킨 층을 적층한 적층 조형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각 노즐의 형상 또는 가열 유로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번잡한 가공을 수반하는 일 없이 이들을 조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이 플레이트의 가공상의 제약이 적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은, 수지 기계이다. 당해 수지 기계는, 상기에 기재된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노즐의 상기 수지 유로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부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에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다이 플레이트의 복수의 노즐을 가열 매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노즐의 토출부로부터 용융 수지를 안정적으로 토출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은,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이다. 당해 노즐 가열 방법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로서,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획정하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복수의 노즐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을 갖는 것을 준비하는 것과, 상기 가열 유로의 입구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고, 당해 가열 매체를 상기 안내 벽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복수의 노즐을 가열한 후, 상기 가열 유로의 출구로부터 가열 매체를 배출시키는 것을 구비한다.
본 방법에 의하면, 다이 플레이트의 복수의 노즐을 가열 매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의 노즐 사이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8)
- 다이 플레이트이며,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유로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은, 상기 수지 유로를 상기 가열 유로로부터 격리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은,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벽은, 상기 흐름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베이스 벽끼리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벽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병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벽은,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당해 복수의 병렬 노즐과의 사이에서 제1 흐름 방향으로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왕로 안내 벽과,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에 대해 상기 왕로 안내 벽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왕로 안내 벽에 의해 안내된 가열 매체를 상기 복수의 병렬 노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흐름 방향과는 반대인 제2 흐름 방향을 향해 안내하는 귀로 안내 벽을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 - 다이 플레이트이며,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접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당해 하나의 접속 노즐에 인접하는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접속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은,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상기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상기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를 서로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상기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다이 플레이트. - 다이 플레이트이며,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접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당해 하나의 접속 노즐에 인접하는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접속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접속 노즐 중 상기 하나의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와 상기 다른 접속 노즐의 상기 외주면의 일부가 서로의 외주면의 다른 부분을 남기고 직접 접속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독립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독립 노즐의 각각의 상기 노즐 벽은, 상기 가열 유로 내에 있어서 서로 독립되어 배치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 - 다이 플레이트이며,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수용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안내 벽을 각각 포함하며 서로 독립된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는,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에 대해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가열 유로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 - 다이 플레이트이며,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군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분할된 제1 노즐군 및 제2 노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군 및 상기 제2 노즐군에 각각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토출측 외주면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 외주면보다도 상기 토출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수용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안내 벽을 각각 포함하며 서로 독립된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제1 가열 매체 안내부 및 제2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제1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2 부 안내부와,
상기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부 안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제1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제1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3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노즐군의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4 부 안내부와,
상기 제3 부 안내부와 상기 제4 부 안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제2 연통부를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수용구는, 상기 제1 부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도록 당해 제1 부 안내부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수용구는, 상기 제4 부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도록 당해 제4 부 안내부에 연통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 - 다이 플레이트이며,
용융 수지를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군과,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고 당해 가열 매체를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을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가열 매체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와,
상기 가열 매체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가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토출측 외주면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 외주면보다도 상기 토출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상기 수용구로부터 유입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토출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1 부 안내부를 통과한 가열 매체를 받아들여,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상류측 외주면에 가열 매체를 각각 접촉시키도록 가열 매체를 안내하는 제2 부 안내부와,
상기 제1 부 안내부와 상기 제2 부 안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은,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안내 벽은, 가열 매체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노즐군의 주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상기 주위 방향을 따라 획정하고 있는, 다이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은,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의 상기 안내 벽은, 가열 매체가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노즐군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상기 가열 유로를 획정하고 있는, 다이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는, 금속 재료를 용융 및 응고시킨 층을 적층한 적층 조형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다이 플레이트. - 수지 펠릿의 조립 장치이며,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노즐의 상기 수지 유로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부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매체 안내부에 가열 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에 커팅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수지 펠릿의 조립 장치. -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이며,
상기 다이 플레이트로서,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 벽이며 용융 수지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수지 유로를 획정하는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주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벽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상기 축 방향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용융 수지를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복수의 노즐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과 함께 가열 매체가 흐르는 가열 유로를 획정하는 안내 벽을 갖는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이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것과,
상기 가열 유로의 입구에 가열 매체를 유입시키고, 당해 가열 매체를 상기 안내 벽을 따라 상기 복수의 노즐 벽의 각각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복수의 노즐을 가열한 후, 가열 매체를 상기 가열 유로의 출구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35999 | 2020-08-11 | ||
JPJP-P-2020-135999 | 2020-08-11 | ||
JP2020217132A JP7447374B2 (ja) | 2020-08-11 | 2020-12-25 | ダイプレート、樹脂機械及びダイプレートのノズル加熱方法 |
JPJP-P-2020-217132 | 2020-12-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0207A KR20220020207A (ko) | 2022-02-18 |
KR102569709B1 true KR102569709B1 (ko) | 2023-08-23 |
Family
ID=7731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1727A KR102569709B1 (ko) | 2020-08-11 | 2021-08-03 |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850786B2 (ko) |
EP (1) | EP3954521B1 (ko) |
KR (1) | KR102569709B1 (ko) |
CN (1) | CN11407438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2213951A1 (de) * | 2022-12-19 | 2024-06-20 | Cqlt Saargummi Technologies S.À.R.L. | Extrusions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auteils, Extrudieranlag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xtrusionsbauteils und Extrusionsbautei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05516A1 (en) * | 1999-12-24 | 2001-06-28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 Die for manufacturing resin pellets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87764A (en) * | 1965-06-01 | 1966-11-29 | Black Clawson Co | Plastic pelletizers |
US3452394A (en) * | 1966-10-31 | 1969-07-01 | Andale Co | Extruder heads |
US3599286A (en) * | 1968-11-12 | 1971-08-17 | Norton Co | Thermally insulated extrusion die and method of making |
US3749539A (en) | 1972-04-26 | 1973-07-31 | Eastman Kodak Co | Underwater pelletizer die plate |
US3857665A (en) * | 1973-04-11 | 1974-12-31 | United States Steel Corp | Polystyrene extruder die plate |
JPS5443265A (en) * | 1977-09-13 | 1979-04-05 | Japan Steel Works Ltd | Dice for making resin pellet |
FR2466333A1 (fr) * | 1979-10-02 | 1981-04-10 | Bell Ag Maschf | Procede pour l'acheminement d'une matiere synthetique plastifiee, notamment le long de parcours disposes en parallele |
US4378964A (en) * | 1980-01-08 | 1983-04-05 | Trw Inc. | Internally insulated extrusion die |
US4752196A (en) * | 1986-05-22 | 1988-06-21 | Rogers Tool Works, Inc. | Internally insulated extrusion die |
US4856974A (en) * | 1986-05-22 | 1989-08-15 | Rogers Tool Works, Inc. | Internally insulated extrusion die |
JPH11277528A (ja) | 1998-03-30 | 1999-10-12 | Kobe Steel Ltd | 樹脂ペレット製造用ダイス |
JP3732445B2 (ja) | 2002-01-30 | 2006-01-05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樹脂水中造粒ダイス |
JP4256294B2 (ja) * | 2004-03-31 | 2009-04-22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ダイプレート |
KR100783651B1 (ko) * | 2005-02-25 | 2007-12-07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금형장치, 성형품, 그 성형방법, 성형기 및 부쉬 |
JP4996547B2 (ja) * | 2008-06-05 | 2012-08-08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樹脂ペレット製造用ダイス及びその温度調整方法 |
US20100129479A1 (en) * | 2008-11-25 | 2010-05-27 | Kennametal Inc. | Pelletizing die plate, pelletizing di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JP5309191B2 (ja) * | 2011-06-20 | 2013-10-09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樹脂造粒用ダイプレート |
JP2013111891A (ja) | 2011-11-30 | 2013-06-10 | Japan Steel Works Ltd:The | 樹脂造粒用ダイプレート |
US9481121B2 (en) * | 2013-11-08 | 2016-11-01 | Kennametal Inc. | Extrusion die plate assembly for a pelletizer system |
US11598026B2 (en) * | 2014-05-07 | 2023-03-07 | Biax-Fiberfilm Corporation | Spun-blown non-woven web |
JP7262240B2 (ja) | 2019-02-15 | 2023-04-2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作業機械の操作装置、および作業機械 |
-
2021
- 2021-07-22 EP EP21187105.8A patent/EP3954521B1/en active Active
- 2021-07-28 US US17/387,945 patent/US11850786B2/en active Active
- 2021-08-03 KR KR1020210101727A patent/KR1025697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8-06 CN CN202110901821.2A patent/CN11407438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05516A1 (en) * | 1999-12-24 | 2001-06-28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 Die for manufacturing resin pelle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074384A (zh) | 2022-02-22 |
EP3954521A1 (en) | 2022-02-16 |
CN114074384B (zh) | 2024-06-28 |
KR20220020207A (ko) | 2022-02-18 |
US20220048235A1 (en) | 2022-02-17 |
EP3954521B1 (en) | 2023-05-03 |
US11850786B2 (en) | 2023-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87067A (en) | Die for producing plastic resin pellets | |
US9777973B2 (en) | Device for mixing and heat exchange | |
KR102569709B1 (ko) | 다이 플레이트, 수지 기계 및 다이 플레이트의 노즐 가열 방법 | |
CN102802908B (zh) | 用于注模系统的熔料通道几何构造 | |
JP2016203576A (ja) | 押出機用スクリュ並びに押出機および押出方法 | |
KR101825319B1 (ko) | 3차원 프린터의 출력물 냉각장치 | |
US20220288832A1 (en) | Melt distributor | |
CN114630744B (zh) | 用于挤出生产线的构件及其制造方法 | |
EP2537656B1 (en) | Die plate for resin granulation | |
JP7447374B2 (ja) | ダイプレート、樹脂機械及びダイプレートのノズル加熱方法 | |
US20240116217A1 (en) | Die Plate For Hot Die Face Granulation of Melt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CN114761202A (zh) | 具有可变尺寸的挤出口的3d打印装置及其控制方法 | |
WO2022259662A1 (ja) | 押出装置およびダイヘッド | |
EP4316774A1 (en) | Die, die manufacturing method, extrusion device, and pellet manufacturing method | |
JP7472063B2 (ja) | ノズル及び造形装置 | |
JP6039846B1 (ja) |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用ダイ | |
EP3703929B1 (en) | Polymer coextrusion head with a dual-channel nozzle | |
JP5183341B2 (ja) | 水中カット造粒装置のダイプレート | |
CN102264517B (zh) | 水中切割造粒装置用模 | |
JP5496288B2 (ja) | 水中カット造粒装置のダイプレート | |
JP7238151B2 (ja) | ダイス、ダイスの製造方法、押出機およびペレットの製造方法 | |
JPS6364296B2 (ko) | ||
JP2018008305A (ja) | 分流子 | |
JP2023069329A (ja) | ダイス、造粒装置および有機組成物ペレッ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