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191B1 - 와이어 그리퍼 - Google Patents

와이어 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191B1
KR102569191B1 KR1020167036472A KR20167036472A KR102569191B1 KR 102569191 B1 KR102569191 B1 KR 102569191B1 KR 1020167036472 A KR1020167036472 A KR 1020167036472A KR 20167036472 A KR20167036472 A KR 20167036472A KR 102569191 B1 KR102569191 B1 KR 10256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wire gripper
linear body
lin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196A (ko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다모쓰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6Horizont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5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손가락으로 파악(把握)하여 선단측을 들어올리기 쉬운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를 제공한다.
와이어 그리퍼(10)는, 고정 그립체부(20)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가 설치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14)와, 선형체 유지부(22)를 가지는 가동 그립체 부재(16)와, 상기 작동 부재(14)에 회동축(72)에 의해 연결되고, 작동 부재(14)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72)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상기 작동 부재(14) 및 상기 가동 그립체 부재(16)에, 연결 부재(72)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어, 연결 부재(72)를 인장하는 측으로부터 되미는 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설정되고, 중심에 가까운 영역 및 연결 부재(72)를 인장하는 측에 와이어 그리퍼를 파악하기 위한 파악부(500)를 구비하고, 파악부(500)는, 연결 부재(72)의 연결 부재 본체부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가 인장하는 측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 돌설된 연결 부재 안내부(26)에 의해 구성되며,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파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
본 발명은, 전선의 배분 공사 등을 행할 때 전선 등의 선형체(線形體)를 인장하는 장치에 장착되어 전선 등의 선형체를 그립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에 관한 것이다.
전선(선형체)의 배분 공사를 행하는 데 있어서는, 전선을 인장하여 배분 공사를 행하는 부위에 느슨함을 생기게 하기 위하여, 신축 가능한 봉형(棒形) 본체의 양단(兩端)에 와이어 그리퍼를 연결한 장선(張線) 장치가 사용된다. 장선 장치는, 양측의 와이어 그리퍼에 의해 전선을 그립한 후에, 봉형 본체의 길이를 축소시켜 양단에 연결한 와이어 그리퍼의 간격을 줄이는 것에 의해, 양측의 와이어 그리퍼에 의해 그립된 사이의 전선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느슨하게 한 전선은 소요 개소를 절단하여 전선의 배분 공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을 그립하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가 공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8,720,014호 공보
그런데, 일반적으로, 와이어 그리퍼는, 공사중의 가설(架設)된 전선을 그립할 때, 와이어 그리퍼의 레버 등을 손가락으로 걸어서 레버와는 반대측의 선단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전선에 접근하여 전선을 그립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와이어 그리퍼는, 레버 부재의 후방에 설치된 링부에, 손가락을 걸기 위해, 선단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구성의 와이어 그리퍼는, 그 선단측을 높이 들어올리기 어렵다.
그리고, 전선(선형체)을 직접 그립하는 영역 및 작동 부재 등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므로, 이들 부재의 각 부분을 굵게 형성하게 되면, 와이어 그리퍼의 선단측의 중량이 증가하여, 높은 곳에서 사용하는 와이어 그리퍼로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와이어 그리퍼를 전선에 장착하는 작업은, 가설된 전선에 대하여 실시되는 고소(高所) 작업이며, 활선(活線) 부분에 접할 우려도 있는 위험한 작업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지상에서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이에, 고소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와이어 그리퍼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손가락으로 파악(把握)하여 선단측을 들어올리기 쉬운 와이어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형체 등에 대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와이어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는, 선형체 가압부를 가지는 고정 그립체부 및 연결 부재 안내부가 설치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에 지지축에 의해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요동에 의해, 상기 고정 그립체부의 선형체 가압부를 향해 요동하는, 선형체 유지부를 가지는 가동 그립체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에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고, 작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어 그리퍼로서,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상기 작동 부재 및 상기 가동 그립체 부재에, 연결 부재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어,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으로부터 되미는(push back) 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설정되고,
중심(重心)에 가까운 영역 및/또는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에 와이어 그리퍼를 파악하기 위한 파악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악부는,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본체부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의 인장하는 측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 돌설(突設)된 연결 부재 안내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파악부를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파악하도록 형성된, 와이어 그리퍼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 본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를 가지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사람의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의 복측(腹側)이 걸리는 엄지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엄지 걸림부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의 상기 링부 측으로서, 고정 그립체부의 가설부 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는, 엄지 걸림부는, 연결 부재의 링부보다 선형체 가압부 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그리퍼 본체부의 연결 부재 안내부보다 연결 부재의 링부 측에 형성된, 청구항 2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이다.
본건의 발명에 의하면, 선형체 가압부를 가지는 고정 그립체부 및 연결 부재 안내부가 설치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에 지지축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요동에 의해, 상기 고정 그립체부의 선형체 가압부를 향해 요동하는, 선형체 유지부를 가지는 가동 그립체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에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고, 작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어 그리퍼로서,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상기 작동 부재 및 상기 가동 그립체 부재에, 연결 부재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어,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으로부터 되미는 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설정되고,
중심에 가까운 영역 및/또는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에 와이어 그리퍼를 파악하기 위한 파악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악부는,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본체부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의 인장하는 측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연결 부재 안내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파악부를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파악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그리퍼를 한 손으로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선형체에 대한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와이어 그리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의해 한층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정면도에서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하고, 정면도에서의 좌측을 전방(연결 부재를 가압하여 되돌리는 방향)으로 하고, 우측을 후방(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선형체 가압부와 선형체 유지부의 사이를 좁게 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선형체 가압부와 선형체 유지부와의 사이에 선형체를 장착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선형체 가압부와 선형체 유지부와의 사이를 넓게 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와 작동 부재와의 장착하고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7a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며, (C)는 (B)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D)는 우측면도이며, (E)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와 커버 부재와의 장착하고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계속되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계속되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계속되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으로부터 분리하는 수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도이며, (B)는 배면도이다.
도 18은 와이어 그리퍼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선형체 가압부와 선형체 유지부와의 사이를 넓게 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3a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며, (D)는 (B)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b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E)는 우측면도이며, (F)는 좌측면도이다.
도 23c는 연결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19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의 우측면도이다.
도 25a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여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해도이다.
도 25b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여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해도이다.
도 26a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여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해도이다.
도 26b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여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해도이다.
도 27a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여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해도이다.
도 27b는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여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는, 전선의 배분 공사 등을 행할 때 전선 등의 선형체를 인장하는 장치에 장착되어, 전선 등의 선형체를 그립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0)는, 전력선, 통신선과 같은 전선이나,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등의 선형체(W)를 장선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장하여 텐션을 줄 때, 선형체(W)를 그립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와이어 그리퍼(10)는, 장선기(도시하지 않음)의 양측에 와이어 그리퍼(10)를 1개씩 장착하고, 1개의 선형체(W)를 2개의 와이어 그리퍼(10)로 그립하고, 장선기로 인장하는 것에 의해 선형체(W)에 느슨함을 생기게 하여 행하는 분리 작업 등에서도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10)는, 선형체 가압부(24)를 가지는 고정 그립체부(20)를 설치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지지축(70)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14)와,
상기 작동 부재(14)의 요동에 의해, 상기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를 향해 요동하는, 선형체 유지부(22)를 가지는 가동 그립체 부재(16)와,
상기 작동 부재(14)에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고, 작동 부재(14)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18)를 구비하는 와이어 그리퍼(10)이다.
상기 연결 부재(18)는, 장척(長尺)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後端)에 설치된 링부(130)를 가지고, 상기 링부(130)는,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 본체부(80)와의 경계로부터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축선을 따라 측부 윤곽부(輪郭部)까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영역(100)은, 선형체(W)가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에 있어서,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서,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와 동등 또는 그보다 아래쪽의 위치이다.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상기 작동 부재(14) 및 상기 가동 그립체 부재(16)에, 연결 부재(18)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어,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보다 되미는 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중심에 가까운 영역 및/또는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에 와이어 그리퍼(10)를 파악하기 위한 파악부(5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악부(500)는,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인장하는 측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 돌설된 연결 부재 안내부(26)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파악부(500)를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파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9)를 구비한 와이어 그리퍼(10)의 중심(G)은, 연결 부재(18)가 되미는 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제1 상태),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 부재(18)를(상기 제1 상태 보다) 약간만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제2 상태), 커버 부재(19)를 구비한 와이어 그리퍼(10)의 중심(G1)은,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보다 약간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2 상태보다 더욱 인장할 때(제3 상태), 커버 부재(19)를 구비한 와이어 그리퍼(10)의 중심(G2)은, 상기 중심(G1)의 위치보다 더욱 인장하는 측에 위치한다.
커버 부재(19)를 구비하지 않는 와이어 그리퍼(10)의 중심(G3)은, 상기 제1 상태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1. 와이어 그리퍼의 구성
도 1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를 좁게 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를 장착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를 넓게 한 상태의 와이어 그리퍼(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10)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10)의 좌측면도이다.
와이어 그리퍼(10)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지지축(70)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14)와, 작동 부재(14)의 요동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형성된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를 향해 요동하는, 선형체 유지부(22)를 가지는 가동 그립체 부재(16)와, 작동 부재(14)에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의해 연결되고, 작동 부재(14)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18)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커버 부재 회동축(2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 부재(19)를 구비한다.
(a)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역 U자 형상이며, 상부에 있어서, 바로 앞쪽을 향해 돌설된 고정 그립체부(20)를 가지고 있다. 고정 그립체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체 가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 가압부(24)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부(12a)보다 위쪽을 향해 돌설된 가설부(24c)의 상단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을 향해 돌출된 처마 모양이며, 그 하면에 협지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 가압부(24)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는 개구부(36)가 형성되고, 선형체가 개구부(36)에 끼워넣어진다.
협지홈(24a)은,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후부(後部)에 있어서, 연결 부재 안내부(26)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인장하는 측에 있어서 하부 후방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선형체 가압부(24)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후술하는 작동 부재(14)를 축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구멍(30)보다 높이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에는, 연결 부재(18)를 삽통(揷通)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공(孔)(관통공)(28)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가이드공(28)은, 작동 부재(14)를 축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구멍(30)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이드공(28)의 하단(下端)은, 상기 지지축 구멍(30)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공(28)은, 선형체 가압부(24) 및 선형체 유지부(22)보다 후방, 즉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작동 부재(14)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연결 부재(18)를, 가이드공(28)에 삽통하고 유지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전부(前部)의 수연(垂延) 부분으로서, 선형체 가압부(24)의 아래쪽에 있어서, 작동 부재(14)를 지지축(70)에 의해 축지지하기 위한 원형 구멍의 지지축 구멍(30)이 천설되어 있다. 지지축 구멍(30)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정면 측)으로부터 건너편(배면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70)을 삽입하는 지지축 구멍(30)의 구멍 둘레는, 지지축(70)을 보호하기 위해 돌조(突條)(32)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32)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의 갈비뼈(리브) 모양이다. 돌조(32)는, 지지축 구멍(30)의 구멍의 외주 둘레의 연장되는 방향(지지축(70)의 축심(70a)의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조(32)는, 정상부(頂部)(32a)가 평면형이며, 지지축 구멍(30)의 구멍 주위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넓어진다. 돌조(32)는, 그 정상부(32a)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 및 선형체 가압부(24)의 협지홈(24a)와는 평행한 평면을 구비하고, 또한 그 주위 둘레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斷面)이 대략 사다리꼴이다. 돌조(32)는, 작동 부재(14)를 탑재해 두기 위한 자리를 구성한다.
돌조(32)의 외주 둘레는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돌조(32)를 주위에서 둘러싸도록, 원호형의 돌조(40)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40)는, 돌조(32)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고 있다. 돌조(40)와 돌조(32)의 사이에는, 스프링용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돌조(40)는, 지지축 구멍(30)의 하부로부터 전측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된, 정면에서 볼 때 원호형의 갈비뼈(리브) 모양이다. 돌조(40)는, 후방(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방향(도 1에 도시한 a 방향))의 하부가 노치되어 공소(空所)(42)가 형성되어 있고, 공소(42)는, 코일 스프링(1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돌조(40)는, 지지축 구멍(30)의 구멍의 외주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지지축(70)의 축심(70a)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조(40)는, 정상부(40a)가 평면형이며, 지지축 구멍(30)의 구멍의 외주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넓어진다. 돌조(40)는, 그 정상부(40a)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 및 선형체 가압부(24)의 협지홈(24a)과는 평행한 평면을 구비하고, 또한 그 주위 둘레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이다. 돌조(40)는, 작동 부재(14)를 탑재해 두기 위한 자리를 구성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가동 그립체 부재(16)를 고정 그립체부(20)와 평행하게 하여 선형체(W)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동 그립체 부재 지지부(68)를 가진다.
가동 그립체 부재 지지부(68)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후방의 높이 방향에서의 하부로서, 연결 부재 안내부(26)보다 높이 방향에서의 위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고정 그립체부(20)의 상부에 있어서, 커버 부재(19)를 커버 부재 회동축(210)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원형 구멍의 커버 부재 장착공(160)과, 커버 부재(19)를 압압체(押壓體)(220)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위치 결정하기 위한 원형 구멍의 나사구멍(162)이 천설되어 있다. 커버 부재 장착공(160)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전방에 위치하고, 나사구멍(162)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후방에 위치하고, 커버 부재 장착공(160)과 나사구멍(162)과는 병설(倂設)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 장착공(160) 및 나사구멍(162)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정면측)으로부터 건너편(배면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압체(220)는, 스프릴 와셔(spring washer) 또는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개재시켜 커버 부재(19)를 체결한다.
(b) 작동 부재
작동 부재(14)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상이며, 전방의 상부의 내각(內角) 부분에, 지지축(70)을 삽입하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이 천설되고, 후방의 상부의 내각 부분에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을 삽입하는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이 천설되고, 후방의 하부의 내각 부분에 연결 부재 회동축(72)을 삽입하는 연결 부재 장착공(64)이 천설되어 있다. 연결 부재 회동축(72) 및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은, 지지축(70)과 비교하여, 연결 부재(18)의 연장되는 방향인 후방(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작동 부재(14)는, 선형체 유지부(22)의 아래쪽에 있어서, 선형체 유지부(22)의 하면의 근방으로부터 수하(垂下)되어 있다.
작동 부재(14)는,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연결 부재 본체부(80)를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장착하는 부위가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수직하보다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체(W)의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基点)(t)을 선형체(W)의 중심선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도 25∼27 참조).
작동 부재(14)는,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연결 부재(18)가 선형체 유지부(22)의 아래쪽으로부터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연장되고 또한 중복(中腹)에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에 지지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도 25∼27 참조).
작동 부재(14)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일단부에 설치된 돌조(32) 상에 탑재되고, 지지축 구멍(30)과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을 일직선 상에 병렬하고, 지지축(70)을 추축(樞軸)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장착되어 있다. 작동 부재(14)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선형체 가압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요동한다. 또한, 작동 부재(14)는, 타단부에 연결 부재(18)의 일단부가 합쳐지고, 연결 부재(18)의 작동 부재 장착공(82)과 작동 부재(14)의 연결 부재 장착공(64)이 일직선 상에 병렬되고, 연결 부재 회동축(72)을 추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 부재(1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작동 부재(14)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에 있어서,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을 추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가동 그립체 부재(16)가 장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및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주변은, 작동 부재(14)의 바로 앞쪽 면 및 건너편 면 모두 그 외의 부분보다 높게 팽출(膨出)되어 있고, 그 팽출부의 정상부는, 장착공(60),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주위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인 평면이다. 즉,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a) 및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b)와,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2a) 및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2b)와, 및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4a) 및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4b)는, 평행하게 형성되고,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및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구멍 둘레(구멍의 외주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의 작동 부재(14)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a)의 슬라이드 접촉면(돌조(32)의 정상부(32a) 및 돌조(40)의 정상부(40a)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드 접촉면)은, 작동 부재(14)의 지지축(70)의 축심(70a)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의 협지홈(24a)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협지홈(22a)에 평행하게 되도록 수직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의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의 슬라이드 접촉면(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장착면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드 접촉면) 및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는,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축심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의 협지홈(24a)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협지홈(22a)에 평행하게 되도록 수직면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4a)의 슬라이드 접촉면(연결 부재(18)의 장착면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드 접촉면)은,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축심(72a)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의 협지홈(24a)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협지홈(22a)에 평행하게 되도록 수직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7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70a)을 가지는 원기둥형이며, 그 바로 앞쪽에 축심(70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flange portion)(70b)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70)은,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에 바로 앞쪽으로부터 끼워져 삽입되고,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지지축 구멍(30)에 나사 장착되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및 작동 부재(14)에 장착된다. 지지축(70)의 축심(70a)은, 작동 부재(14)의 요동의 중심이 된다. 지지축(70)은, 지지축 구멍(30)의 건너편에서 코킹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 부재 회동축(7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72a)을 가지는 원기둥형이며, 그 바로 앞쪽에 축심(72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72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회동축(72)은, 작동 부재(14)의 연결 부재 장착공(64) 및 연결 부재(18)의 작동 부재 장착공(82)에 바로 앞쪽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고, 작동 부재 장착공(82)의 건너편에서 코킹되어, 작동 부재(14) 및 연결 부재(18)에 장착된다.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축심(72a)은, 연결 부재(18)의 회동의 중심이 된다.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74a)을 가지는 원기둥형이며, 그 건너편에 축심(74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74b)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은, 후술하는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건너편의 제2 작동 부재 장착공(98)으로부터 작동 부재(14)의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및 제1 작동 부재 장착공(96)에 끼워져 삽입되고,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바로 앞쪽의 제1 작동 부재 장착공(96)의 바로 앞쪽으로 돌출한 부위에 있어서, 분할 핀(76)으로 고정되어 있다.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축심(74a)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회전의 중심이 된다.
제2 작동 부재 장착공(98)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에는, 원주 방향으로 원환형(圓環形) 단차부(98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플랜지부(74b)의 건너편의 표면은,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플랜지부(74b)를 원환형 단차부(98a)에 끼워서 삽입했을 때, 제2 작동 부재 장착부(94)의 건너편 면과 평면적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 구멍(30)과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은 동일 직경이며, 그 구멍의 외주 둘레를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병렬된다. 지지축 구멍(30)의 주위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와이어 그리퍼 본체 장착공(60),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및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주위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지지축(70)의 축심(70a),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축심(72a) 및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축심(74a)은, 평행하다.
또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와 작동 부재(14)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18)가 인장되는 측으로 작동 부재(14)를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110)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10)은, 지지축(70)을 삽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0)은, 코일부(112)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스프링용 홈(44)에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0)은, 코일부(1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직선형 제1 걸림부(114)가 작동 부재(14)의 건너편 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66)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부(11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직선형 제2 걸림부(116)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48)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걸림부(114)는, 와이어 그리퍼(10)가 무부하인 상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18)가 코일 스프링(110)에 의해 인장하는 측(도 1에 도시된 a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걸림 구멍(66)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돌조(32) 및 돌조(40)는,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a)와 대향하는 정상부(32a) 및 정상부(40a)의 슬라이드 접촉면이, 고정 그립체부(20)의 협지홈(24a)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며, 지지축(70)의 축심(70a)과 직교하도록,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돌조(32)의 정상부(32a) 및 돌조(40)의 정상부(40a)의 슬라이드 접촉면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및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각각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a, 62a, 64a) 및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b, 62b, 64b)의 슬라이드 접촉면과 대향하는 평행한 면이다. 그리고, 지지축(70)의 축심(70a)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 부재(14)가 회동하도록, 돌조(32)의 정상부(32a) 및 돌조(40)의 정상부(40a)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a)가, 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 및 연결 부재 장착공(64)의 각각의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a, 62a, 64a)의 슬라이드 접촉면을 지나는 수직 평면(P1), 및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 및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의 각각의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60b, 62b)의 슬라이드 접촉면을 지나는 수직 평면(P2)은, 지지축(70)의 축심(70a),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축심(72a) 및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축심(74a)과 수직이며, 또한 고정 그립체부(20)의 협지홈(24a)에 평행이다. 수직 평면(P1)은,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의 내측를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c) 가동 그립체 부재
가동 그립체 부재(1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전후에 있어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작동 부재 장착부(92) 및 제2 작동 부재 장착부(9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작동 부재 장착부(92)와 제2 작동 부재 장착부(94)는, 작동 부재(14)의 후부의 상부에 걸쳐져 있다. 제1 작동 부재 장착부(92)에는 제1 작동 부재 장착공(96)이 천설되고, 제2 작동 부재 장착부(94)에는 제2 작동 부재 장착공(98)이 천설되어 있다. 가동 그립체 부재(16)는, 일직선 상에 병렬된 제1 작동 부재 장착공(96), 제2 작동 부재 장착공(98) 및 작동 부재(14)의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에 관통 삽입된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에 의해, 작동 부재(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작동 부재 장착공(96), 제2 작동 부재 장착공(98) 및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62)은, 동일 직경이며, 이들 구멍의 외주 둘레가 평행하게 되도록 병렬되어 있다.
또한, 제1 작동 부재 장착부(92)와 제2 작동 부재 장착부(94)는, 이들이 대향하는 면(각각의 내면)이 평행한 수직면이며, 돌조(32)의 정상부(32a) 및 돌조(40)의 정상부(40a)에 평행하게 되도록 작동 부재(14)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작동 부재 장착부(92)와 제2 작동 부재 장착부(94)가 대향하는 면(각각의 내면)은, 제1 작동 부재 장착공(96) 및 제2 작동 부재 장착공(98)의 구멍의 외주 둘레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고,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축심(74a)과 직교한다. 작동 부재(14)에 장착된 가동 그립체 부재(16)는,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축심(7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회동 범위는, 작동 부재(14)의 요동에 의해 상면이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의 하면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보정할 정도의 회동이면 되고, 회동 범위는 규제되어 있다.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상면에는, 선형체(W)의 하부를 수용하는 선형체 유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 유지부(22)는, 그 상면에, 협지홈(22a)이, 고정 그립체부(20)의 하면에 형성된 협지홈(24a)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협지홈(22a)은,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d)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18)는, 장척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링부(130)는,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 본체부(80)와의 경계로부터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축선을 따라 측부 윤곽부까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영역은, 선형체(W)가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서,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와 동등 또는 아래쪽의 위치이다.
연결 부재(18)는, 작동 부재(14)의 건너편에 있어서(즉 가설부(24c) 쪽에 있어서), 작동 부재(14)의 하단보다, 인장하는 측의 위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18)는,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장착되는 부위가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수직하보다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체(W)의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이 선형체(W)의 중심선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도 25∼27 참조).
연결 부재(18)는,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선형체 유지부(22)의 아래쪽으로부터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되고 또한 중복에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에 지지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도 25∼27 참조).
연결 부재(18)는, 장척의 봉형체이며 또한 단면이 직사각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링부(130) 측에 설치된 엄지 걸림부(120)를 가지고 있다.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전부에는 작동 부재 장착공(82)이 천설되어 있다. 작동 부재(14)의 연결 부재 장착공(64)과 연결 부재(18)의 작동 부재 장착공(82)은, 동일 직경이며, 그 구멍의 외주 둘레를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병렬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18)는, 연결 부재 장착공(64)보다 작동 부재 장착공(82)에 관통 삽입된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작동 부재(14)에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지지축 구멍(30)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지지축 구멍(30) 및 가이드공(28)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연결 부재 장착공(64)에 장착된 연결 부재(18)는, 가이드공(28)에 관통 삽입되고,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도 1에 도시된 a 방향)을 향하여 상승한다.
연결 부재(18)는, 연결 부재 본체부(80)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돌조(32)의 정상부(32a) 및 돌조(40)의 정상부(40a)와 평행하고, 또한 고정 그립체부(20)의 협지홈(24a)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협지홈(22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작동 부재(14)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18)는,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축심(7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대략 직선형 밴드형체 내지 위쪽으로 갈수록 따라 완곡한 원호형 밴드형체이며, 상단 둘레와 상단 둘레를 따른 하단 둘레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좌측의 단부가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의해 작동 부재(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중간이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은,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위치보다 후방으로서 그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에 지지된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후방의 위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그 하단 둘레가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의 하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7a의 (C)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기준 평면 Pyz는, 고정 그립체부(20)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사이에 그립된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평면이기도 하다.
링부(130)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 환이며, 상 윤곽 부분(132)과 하 윤곽 부분(134)과 측 윤곽 부분(136)을 구비한다.
링부(130)는, 대략 계란형이며, 연결 부재 본체부(80) 측의 영역이 가늘고, 연결 부재 본체부(80) 측과는 반대측의 자유단 영역이 불룩하다.
경사 부분(140)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는 상 윤곽 부분(132)과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은,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링부(130)와의 경계부(138)로부터 자유단 측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테이퍼형이다.
하 윤곽 부분(134)은, 자유단 측인 측 윤곽 부분(136)이,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하단 둘레보다 약간 아래쪽을 향해 낮아지고 있다.
링부(130)는, 그 중앙에, 선형체(W)를 인장하는 와이어 등을 삽입하는 인장 구멍(144)이 천설되어 있다. 인장 구멍(144)은, 그 후방, 즉 인장하는 측의 구멍 둘레가 장선 장치의 훅 등을 걸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호형이다.
연결 부재(18)는, 링부(130)의 인장 구멍(144)에 장선 장치의 훅 등을 걸어서 인장할 때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이 선형체(W)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에 가까운 높이에, 링부(130)의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은, 절곡 영역(100)의 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10)가 장선 장치의 훅 등을 걸어서 장선 장치로 인장될 때,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인장할 수 있고, 와이어 그리퍼(10)를 경사지게 하거나, 선형체(W)를 굴곡·회전시키지 않고, 인장할 수 있다. 이는, 선형체(W)의 직경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거의 동일하다.
링부(130)는, 절곡 영역(100)에서,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건너편에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절곡되어 있다. 환언하면, 링부(130)는,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주면(主面)에 대하여,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개구부(36) 측보다 고정 그립체부(20)의 가설부(24c) 측을 향하여 절곡 영역(100)에서 선형체(W)를 피하도록 소정 각도로 건너편에 절곡되어 이루어진 경사 부분(140)과,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하 윤곽 부분(134)을 가지고 있다. 링부(130)는, 인장 구멍(144)의 상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사 부분(140)을 지나는 평면 Pxz가, 기준 평면 Pyz에 경사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 윤곽 부분(134)은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W)를 와이어 그리퍼(10)에 의해 잡을 때,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바로 앞쪽으로부터 건너편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그리퍼(10)를 파악부(500)에서 파악하여 선형체(W)를 향해 들어올려 선형체(W)에 접근해도, 선형체(W)가 링부(130)에 간섭하지 않고,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를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체(W)에 장착된 와이어 그리퍼(10)의 연결 부재(18)의 링부(130)를 장선기 등으로 인장하는 측을 향해 인장했을 때에도,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바로 앞쪽으로부터 건너편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므로, 링부(130)가 선형체(W)에 간섭받지 않고 인장할 수 있다.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축선(A1)(연결 부재 회동축(72)을 지남)과 링부(130)의 중심선(A2)(링부(130)의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을 지남)은 경사 교차하고 있다.
링부(130)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A2)은, 경사 부분(140)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는 상 윤곽 부분(132)과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과의 사이를 지난다.
절곡 영역(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체(W)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며, 또한 인장 구멍(144)을 통과하여 링부(130)에 걸친 위치이며, 선형체(W)의 아래쪽의 위치이다. 따라서, 링부(130)는, 선형체(W)에 가까운 측의 영역인 경사 부분(140)의 상측 영역이,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그립된 선형체(W)의 건너편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경사 부분(140)을 지나는 평면 Pxz는, 링부(130)의 상측이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그립된 선형체(W)의 건너편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절곡 영역(100)은,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상단 둘레이며 링부(130)의 앞쪽으로서,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링부(130)와의 경계보다 앞쪽으로부터, 링부(130)의 후방측까지 이어져 있다.
절곡 영역(100)은, 대략 직선형이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축선(A1)과 경사 교차하고 있고,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의 인장 구멍(144) 측으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절곡 영역(100)은, 링부(130)의 뒤쪽 영역의 아래쪽으로 이어져 있고, 링부(130)의 뒤쪽 영역의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과의 경계의 근방에 이어서, 링부(130)의 뒤쪽 영역을 절곡하고 있다.
절곡 영역(100)은, 링부(130)의 중심선(A2)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A2)과 대략 평행 또는 그와 가까운, 즉 상기 중심선(A2)과 이루는 각도가 작은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절곡 영역(100)은, 선형체(W)의 직경이 짧은 가는 선형체(W)라도, 또한, 선형체(W)의 직경이 긴 굵은 선형체(W)라도,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며, 즉 선형체 가압부(24) 및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또는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가까운, 즉 W가 연장되는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작은 각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링부(130)의 절곡 영역(100)은,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또는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5∼27 참조).
링부(130)의 절곡 영역(100)은,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dgj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지지축(70) 및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또는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5∼27 참조).
링부(130)는, 절곡 가공에 의해, 예를 들면, 단조(鍛造)에 의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절곡 부분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작고, 연결 부재(18)의 기계적 강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절곡은, 적어도 링부(130)에 이르는 절곡 영역(100)에서 실행되고 있으므로, 절곡 가공 시의 기계적 스트레스가, 링부(130)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 절곡 영역(100)은, 그 연장되는 방향이, 링부(130)의 중심선(A2)(링부(130)의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을 지남)과 대략 평행하므로, 연결 부재(18)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 방지가 더 한층 촉진되어,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소정 각도는, 선형체(W)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선형체(W)의 외주면이 링부(130)의 표면에 근접하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 각도, 즉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와 링부(130)의 인장 구멍(144)의 상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사 부분(140)을 지나는 평면 Pxz가 이루는 각도는, 25°이며, 소정 각도는, 15°∼40°의 범위이다.
소정 각도가 15° 미만이면, 선형체(W)에 간섭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또한, 소정 각도가 40°를 넘으면 장선 장치의 훅 또는 벨트를 걸어서 장선 장치로 인장할 때,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인장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로써, 링부(130)가 선형체(W)에 확실하게 간섭하지 않고, 선형체(W)에 근접한다. 따라서, 링부(130)의 중심선(A2)과 선형체(W)의 중심과의 위치가 크게 이격되지 않는다. 즉, 링부(130)는, 인장 구멍(144)에 장착된 장선 장치의 훅 또는 벨트를 인장할 때, 선형체(W)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인장되므로, 와이어 그리퍼(10)가 경사지지 않고, 또한, 선형체(W)가 굴곡되지 않고, 선형체(W)를 인장할 수 있다. 이 결과, 굴곡에 기인하는 선형체(W)의 표면에 생기는 손상 등이 억제된다.
(e) 파악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0)는, 사람이 한 손으로 와이어 그리퍼(10)를 파지하기 위한 파악부(500)를 구비한다.
파악부(500)는, 주로,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엄지 걸림부(1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파악부(500)는, 선형체 유지부(22) 및 선형체 가압부(24)보다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아래쪽으로서, 지지축 구멍(30)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건너편 면(배면측 면)에, 사람의 손바닥과, 검지의 밑의 근방을 대는 손닿음부(150)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건너편(배면측)에 연결 부재 안내부(26)가 형성된 영역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상부의 근방에 있어서, 검지을 대는, 검지 닿음부(152)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바로 앞쪽(정면 측)에 연결 부재(18)의 건너편(배면 측)으로부터 돌아서 온 중지(中指)의 복(腹)을 대는 중지 닿음부(154)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전방, 즉 되미는 측의 면에 중지의 밑의 근방을 대는 파지부(156)를 구비한다.
파지부(156)는, 대어진 중지에 의해 후방(인장하는 측)으로 당겨진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가이드공(28)의 바로 앞쪽의 본체부(26a)가 중지 닿음부(154)를 구성하고 있고, 중지 닿음부(154)는, 선형체 유지부(22)의 협지홈(22a)의 아래쪽에 있어서 수하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중지 닿음부(154)를 구성하는 본체부(26a)와는 반대측, 즉 가이드공(28)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의 본체부(26b)가 검지 닿음부(152)를 구성하고 있고, 검지 닿음부(152)는, 선형체 가압부(24)의 가설부(24c)의 아래쪽에 있어서 수하되어 있다.
본체부(26a)와 본체부(26b)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28)은,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중지의 선단으로부터 2번째의 관절(P1P 관절)과 손가락의 밑동의 관절(MP 관절)의 사이의 손가락의 상부에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를 지지하는 손가락 맞닿음부(158)를 구비한다.
손가락 맞닿음부(158)는, 가동 그립체 부재 지지부(68)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가지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전방의 면과 교차한다.
엄지 걸림부(120)는, 와이어 그리퍼(10)를 사람의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를 걸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와이어 그리퍼(10)를 한 손으로 안정적으로 잡기 쉽다. 돌기형의 엄지 걸림부(120)는,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링부(130) 측으로서, 고정 그립체부(20)의 가설부(24c) 측의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고, 연결 부재 본체부(80)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건너편으로 돌출되어 있다. 엄지 걸림부(120)는,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도 1에 도시된 a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엄지 걸림부(120)는, 링부(130)보다 전방에 있고, 또한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엄지 걸림부(120)보다 전방에 있다.
엄지 걸림부(120)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선형체(W)를 협지하는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후방 부분보다 후방측이지만, 링부(130)보다 전방측이다.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와이어 그리퍼(10)를 파악할 때, 중지 및 약지의 복(腹)을 대는 손가락 맞닿음부(84)를 구비한다.
그리고, 엄지 걸림부(120)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의 밸런스가 비교적 양호하며, 와이어 그리퍼(10)를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엄지 걸림부(120)에 걸쳐서 손으로 잡고, 와이어 그리퍼(10)를 들어올려 선형체(W)에 걸기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엄지 걸림부(120)의 사이의 길이(L1)는, 링부(130)를 후방으로 뺀 상태에 있어서, 엄지 걸림부(120)에 엄지를 걸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전방단에 검지, 중지 및 약지를 걸어서 파악하기 위하여, 엄지와 검지의 사이의 길이(L2)가 3cm∼6cm라고 하면, 그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18)는, 장척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를 가지고,
상기 연결 부재(18)의 와이어 그리퍼를 사람의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가 걸리는 엄지 걸림부(120)는,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링부(130) 측으로서, 고정 그립체부(20)의 가설부(24c) 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부(130)는,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에 대하여, 링부(130)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와의 경계로부터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축선을 따라 측부 윤곽부까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영역은, 선형체(W)가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서,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위치에서, 또한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와 동등 또는 아래쪽의 위치이다.
이러한 절곡된 영역의 절곡은, 단조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절곡 시에 엄지 걸림부(120)도 동시에 단조에 의해 절곡된다. 따라서, 엄지 걸림부(120)의 최상단은, 절곡된 영역을 절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절곡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낮은 형상이 된다.
(f) 커버 부재
커버 부재(19)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이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커버 부재 회동축(2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9)는,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에 의해 그립된 선형체(W)가 와이어 그리퍼(1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 부재(19)는,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9)는, 전방의 내각 부분에, 커버 부재 회동축(210)을 삽입하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170)이 천설되고, 후방의 상부의 내각 부분에, 커버 부재(19)를 손으로 회동시킬 때 이용하는 걸림 구멍(174)이 천설되어 있다. 커버 부재(19)의 중앙부에는, 커버 부재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의 가동역(可動域) 규제 장공(長孔)(176)이 천설되어 있다. 가동역 규제 장공(176)은, 압압체(220)와 협동하여 커버 부재(19)의 회동역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압압체(220)는, 커버 부재 회동축(210)과 비교하여 후방(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170)과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커버 부재 장착공(160)은 동일한 구멍 직경이며, 그 구멍의 외주 둘레를 평행하게 하여 병렬된다. 가동역 규제 장공(176)의 구멍 직경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나사 구멍(162)의 구멍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커버 부재(19)를 회동시켰을 때, 압압체(220)가 가동역 규제 장공(176)의 외주 둘레에 접촉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19)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상부의 고정 그립체부(20) 상에 탑재되고, 커버 부재 장착공(160)과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170)을 일직선 상에 병렬하고, 커버 부재 회동축(210)을 추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9)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회동한다. 이 때, 커버 부재(19)의 건너편 면이,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각각의 바로 앞쪽 면에 슬라이드 접촉한다.
커버 부재 회동축(2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210a)을 가지는 원기둥형이며, 그 바로 앞쪽에 축심(210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210b)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 회동축(210)은, 커버 부재(19)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170)에 바로 앞쪽으로부터 끼워져 삽입되고,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커버 부재 장착공(160)에 나사 장착되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및 커버 부재(19)에 장착된다. 커버 부재 회동축(210)의 축심(210a)은, 커버 부재(19)의 회동의 중심이 된다.
압압체(2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220a)을 가지는 원기둥형이며, 그 바로 앞쪽에 축심(220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220b)을 구비하고 있다. 압압체(220)는, 커버 부재(19)의 가동역 규제 장공(176)에 바로 앞쪽으로부터 끼워져 삽입되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압체(220)는, 플랜지부(220b)를 회전 조작하여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나사 구멍(162)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압압체(220)는, 와셔(180)를 통하여 커버 부재(19)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을 압압하는 위치까지 진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부재(19)를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위치 결정(고정)한다. 그리고, 커버 부재(19)를 회동할 때는, 압압체(220)를 후퇴 이동시켜 느슨하게 하여, 커버 부재(19)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을 압압하는 것을 해제한다.
2. 와이어 그리퍼의 조작
(a)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에 장착하는 수순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그리퍼(10)를 선형체(W)에 장착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리퍼(10)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측을 위로 하여 들어올려질 때, 사람의 한쪽 손(왼손)으로 작동 부재(14)와 연결 부재(18)와의 연결 부분을 파지하고, 사람의 다른 쪽 손(오른손)으로 파악부(500)를 구성하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연결 부재(18)를 잡는다.
이 때, 사람의 손가락의 밑에 가까운 손바닥에 연결 부재(18)(건너편 면)를 닿게하고,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을 절곡하여 이들 손가락의 복(腹)을 연결 부재(18)의 바로 앞쪽 면에 대고, 엄지 두덩을 연결 부재(18)의 건너편 면에 맞닿게 한다.
엄지는, 굽혀져서 엄지 걸림부(120)에 엄지의 검지 측의 면을 건다.
검지은, 뻗어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건너편 면 및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건너편 면에 맞닿게 한다.
중지는, 굽혀져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바로 앞쪽(정면측)에, 손가락의 복(腹)을 붙인다.
그리고, 중지과 엄지가 가까워지도록 하여, 도 3에 나타낸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를 되미는 측 방향(도 3에 나타낸 b 방향)으로 가압하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엄지 걸림부(120)와의 간격이 줄일 수 있다. 이로써,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상태가 되어,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가 통과하기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체(W)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삽통되고, 선형체 가압부(24)의 하면에 형성된 협지홈(24a)에, 선형체(W)의 상부가 수용되어, 와이어 그리퍼(10)가 선형체(W)에 매달린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19)를 위치 결정하고 있는 압압체(220)가 느슨하게 되고, 커버 부재(19)가 가동역 규제 장공(176)에 의해 가동역을 규제하면서, 커버 부재 회동축(210)의 축심(210a)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 방향(도 14에 나타낸 d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 부재(19)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의 바로 앞쪽의 개구부를 대략 절반을 막는다. 그 후, 압압체(220)가, 플랜지부(220b)의 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나사 구멍(162)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진퇴 이동하고, 와셔(180)를 통하여 커버 부재(19)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을 압압하는 위치까지 진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부재(19)를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위치 결정(고정)한다.
이 와이어 그리퍼(10)의 선형체(W)로의 장착이, 선형체(W)인 전선의 배분 공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선을 양측으로부터 끌어들이는 작용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선 장치의 양단에는, 연결 부재(18)의 링부(130)의 인장 구멍(144)을 이용하여, 와이어 그리퍼(10)에 연결하는 연결 수단(300)이 설치된다. 장선 장치는 양단에 연결한 후, 그 길이를 줄이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10)의 연결 부재(18)에는, 인장하는 측(도 15에 나타낸 a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이 가해진다.
와이어 그리퍼(10)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가 인장하는 측 방향(도 15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으로 인장되면 연결 부재(18)의 일단측이 연결된 작동 부재(14)는 지지축(70)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방향 화살표 방향(도 15에 나타낸 c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작동 부재(14)의 회동에 의해, 가동 그립체 부재(16)는 고정 그립체부(20)의 방향으로 밀어올려지고, 선형체 유지부(22)의 협지홈(22a)에 선형체(W)의 하부가 수용되고,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가 끼워넣어져 그립된다.
장선 장치에 의해 인장하는 측 방향(도 3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인장력이 더욱 가해지면, 와이어 그리퍼(10)에 의해 그립된 선형체(W)는, 인장하는 측 방향(도 3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 화살표 a 방향으로 인장되므로, 이로써 양측의 와이어 그리퍼(10)가 서로 끌어들여지게 되어, 양측의 와이어 그리퍼(10)의 사이에 있는 선형체(W)는, 느슴함이 생긴 상태가 되어, 배분 공사를 실시할 수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리퍼(10)의 장착 작업은, 선형체(W)에 와이어 그리퍼(10)를 장착시키는 작업 및 연결 부재(18)에 장선 장치 등의 연결 수단(300)을 연결하는 작업을, 모두 정면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이며 위험 작업이기도 한 전선의 배분 공사 등을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b) 와이어 그리퍼를 선형체로부터 분리하는 수순
다음으로, 와이어 그리퍼(10)를 선형체(W)로부터 분리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리퍼(10)의 링부(130)의 인장 구멍(144)에 연결된 장선 장치 등에 의한 연결 수단(300)을 해제하여, 연결 부재(18)에 대한 인장력을 해제한다.
그 후, 커버 부재(19)를 위치 결정하고 있는 압압체(220)가 느슨하게 되고, 커버 부재(19)가 가동역 규제 장공(176)에 의해 가동역을 규제하면서, 커버 부재 회동축(210)의 축심(210a)을 중심으로 하여, 걸림 구멍(174)을 손으로 걸어서 상방향 화살표 방향(도 14에 나타낸 d 방향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 부재(19)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의 바로 앞쪽의 개구부을 개구한다. 그 후, 압압체(220)가, 플랜지부(220b)의 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나사 구멍(162)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진퇴 이동하고, 와셔(180)를 통하여 커버 부재(19)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바로 앞쪽 면을 압압하는 위치까지 진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부재(19)를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위치 결정(고정)한다.
다음으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연결 부재(18)가 사람의 손에 의해 잡힌다. 이 때, 와이어 그리퍼(10)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측을 위로 하여 들어올려질 때, 사람의 한쪽 손(왼손)으로 작동 부재(14)와 연결 부재(18)와의 연결 부분을 파지하고, 사람의 다른 쪽 손(오른손)으로 파악부(500)를 구성하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연결 부재(18)를 잡는다.
이 때, 사람의 손가락의 밑에 가까운 손바닥에 연결 부재(18)(건너편 면)를 대고,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을 절곡하고 이들 손가락의 복(腹)을 연결 부재(18)의 바로 앞쪽 면에 대고, 엄지 두덩을 연결 부재(18)의 건너편 면에 맞닿게 한다.
엄지는, 굽혀져서 엄지 걸림부(120)에 엄지의 검지 측의 면을 건다.
검지은, 뻗어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건너편 면 및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건너편 면에 맞닿게 한다.
중지는, 굽혀져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바로 앞쪽(정면측)에, 손가락의 복(腹)을 붙인다.
그리고, 중지와 엄지가 가까워지도록 하여,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를 되미는 측으로 가압하여,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엄지 걸림부(120)와의 간격이 줄일 수 있다. 이로써,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상태가 된다. 가동 그립체 부재(16)는 선형체(W)로부터 이격되므로, 선형체(W)의 그립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선형체(W)로부터 고정 그립체부(20)를 분리하여 와이어 그리퍼(10)를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1000)에 대하여, 주로 도 19 내지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100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10)와는, 연결 부재(18)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와이어 그리퍼(1000)는, 선형체 가압부(24)를 가지는 고정 그립체부(20)가 설치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에 지지축(70)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14)와,
상기 작동 부재(14)의 요동에 의해, 상기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를 향해 요동하는, 선형체 유지부(22)를 가지는 가동 그립체 부재(16)와,
상기 작동 부재(14)에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고, 작동 부재(14)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18)를 구비하는 와이어 그리퍼(1000)이다.
상기 연결 부재(18)는, 장척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를 가지고, 상기 링부(130)는,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 본체부(80)와의 경계로부터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축선을 따라 측부 윤곽부까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영역은, 선형체(W)가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서,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와 동등 또는 아래쪽의 위치이다.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 상기 작동 부재(14) 및 상기 가동 그립체 부재(16)에, 연결 부재(18)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어,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보다 되미는 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중심에 가까운 영역 및/또는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에 와이어 그리퍼(1000)를 파악하기 위한 파악부(15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악부(1500)는,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가 인장하는 측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 돌설된 연결 부재 안내부(26)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파악부(1500)를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파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9)를 구비한 와이어 그리퍼(1000)의 중심(G)은, 연결 부재(18)가 되미는 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제1 상태),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 부재(18)를 (상기 제1 상태 보다) 약간만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제2 상태), 커버 부재(19)를 구비한 와이어 그리퍼(1000)의 중심(G1)은,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보다 약간만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2 상태보다 더욱 인장할 때(제3 상태), 커버 부재(19)를 구비한 와이어 그리퍼(1000)의 중심(G2)은, 상기 중심(G1)의 위치보다 더욱 인장하는 측에 위치한다.
커버 부재(19)를 구비하지 않는 와이어 그리퍼(1000)의 중심(G3)은, 상기 제1 상태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a)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18)는, 장척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링부(130)는,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 본체부(80)와의 경계로부터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축선을 따라 측부 윤곽부까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영역은, 선형체(W)가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서,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와 동등 또는 아래쪽의 위치이다.
연결 부재(18)는, 작동 부재(14)의 건너편에 있어서(즉 가설부(24c) 쪽에 있어서), 작동 부재(14)의 하단보다, 인장하는 측의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18)는,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장착되는 부위가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수직하보다 인장하는 측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체(W)의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이 선형체(W)의 중심선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도 25∼27 참조).
연결 부재(18)는,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선형체 유지부(22)의 아래쪽으로부터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되고 또한 중복에서 연결 부재 안내부(26)에 지지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도 25∼27 참조).
연결 부재(18)는, 장척의 봉형체이며 또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링부(130) 측에 설치된 엄지 걸림부(120)를 가지고 있다.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전부에는 작동 부재 장착공(82)이 천설되어 있다. 작동 부재(14)의 연결 부재 장착공(64)과 연결 부재(18)의 작동 부재 장착공(82)은, 동일 직경이며, 그 구멍의 외주 둘레를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병렬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18)는, 연결 부재 장착공(64)보다 작동 부재 장착공(82)에 관통 삽입된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작동 부재(14)에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지지축 구멍(30)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지지축 구멍(30) 및 가이드공(28)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14)의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60)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연결 부재 장착공(64)에 장착된 연결 부재(18)는, 가이드공(28)에 관통 삽입되고,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도 19에 도시된 a 방향)을 향해 상승한다.
연결 부재(18)는, 연결 부재 본체부(80)가,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돌조(32)의 정상부(32a) 및 돌조(40)의 정상부(40a)와 평행하고, 또한 고정 그립체부(20)의 협지홈(24a)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협지홈(22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작동 부재(14)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18)는,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축심(7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대략 직선형 밴드형체 내지는 위쪽으로 갈수록 완곡한 원호형 밴드형체이며, 상단 둘레와, 상단 둘레를 따른 하단 둘레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좌측의 단부가 연결 부재 회동축(72)에 의해 작동 부재(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중간이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은, 연결 부재 회동축(72)의 위치보다 후방으로서 그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에 지지된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후방의 위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그 하단 둘레가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가이드공(28)의 하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3a의 (D) 및 도 2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 및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기준 평면 Pyz는, 고정 그립체부(20)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사이에 그립된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평면이기도 하다.
링부(130)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 환이며, 상 윤곽 부분(132)과 하 윤곽 부분(134)과 측 윤곽 부분(136)을 구비한다.
링부(130)는, 대략 계란형이며, 연결 부재 본체부(80) 측의 영역이 가늘고, 연결 부재 본체부(80) 측과는 반대측의 자유단 영역이 불룩하다.
경사 부분(140)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는 상 윤곽 부분(132)과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은,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링부(130)와의 경계부(138)로부터 자유단 측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테이퍼형이다.
하 윤곽 부분(134)은, 자유단 측인 측 윤곽 부분(136)이,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하단 둘레보다 약간 아래쪽을 향해 낮아지고 있다.
링부(130)는, 그 중앙에, 선형체(W)를 인장하는 와이어 등을 삽입하는 인장 구멍(144)이 천설되어 있다. 인장 구멍(144)은, 그 후방, 즉 인장하는 측의 구멍 둘레가 장선 장치의 훅 등을 걸기 쉽게 하기 위해 원호형이다.
연결 부재(18)는, 링부(130)의 인장 구멍(144)에 장선 장치의 훅 등을 걸어서 인장할 때,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이 선형체(W)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에 가까운 높이에, 링부(130)의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은, 절곡 영역(100)의 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10)가 장선 장치의 훅 등을 걸어서 장선 장치로 인장될 때,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인장할 수 있고, 와이어 그리퍼(10)를 경사지게 하거나, 선형체(W)를 굴곡·회전시키지 않고, 인장할 수 있다. 이는, 선형체(W)의 직경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거의 동일하다.
링부(130)는, 절곡 영역(100)에서,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건너편에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절곡되어 있다. 환언하면, 링부(130)는,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주면에 대하여,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개구부(36) 측으로부터 고정 그립체부(20)의 가설부(24c) 측을 향하여 절곡 영역(100)에서 선형체(W)를 피하도록 소정 각도로 건너편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경사 부분(140)과,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하 윤곽 부분(134)을 가지고 있다. 링부(130)는, 인장 구멍(144)의 상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사 부분(140)을 지나는 평면 Pxz가, 기준 평면 Pyz에 경사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 윤곽 부분(134)은 기준 평면 Pyz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W)를 와이어 그리퍼(10)에 의해 잡을 때,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바로 앞쪽으로부터 건너편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그리퍼(10)를 파악부(500)에 의해 파악하여 선형체(W)를 향해 들어올리고 선형체(W)에 접근해도, 선형체(W)가 링부(130)에 간섭하지 않고,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를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체(W)에 장착된 와이어 그리퍼(10)의 연결 부재(18)의 링부(130)를 장선기 등으로 인장하는 측을 향해 인장할 때에도, 링부(130)의 상측의 영역이 바로 앞쪽으로부터 건너편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므로, 링부(130)가 선형체(W)에 간섭받지 않고 인장할 수 있다.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축선(A1)(연결 부재 회동축(72)을 지남)과 링부(130)의 중심선(A2)(링부(130)의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을 지남)은, 경사 교차하고 있다.
링부(130)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A2)은, 경사 부분(140)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는 상 윤곽 부분(132)과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의 사이를 지난다.
절곡 영역(100)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체(W)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또한 인장 구멍(144)을 통하여 링부(130)에 걸친 위치로서, 선형체(W)의 아래쪽의 위치이다. 따라서, 링부(130)는, 선형체(W)에 가까운 측의 영역인 경사 부분(140)의 상측 영역이,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그립된 선형체(W)의 건너편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경사 부분(140)을 지나는 평면 Pxz는, 링부(130)의 상측이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그립된 선형체(W)의 건너편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절곡 영역(100)은,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상단 둘레에서 링부(130)의 앞쪽으로서,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링부(130)와의 경계보다 앞쪽으로부터, 링부(130)의 후방측까지 이어져 있다.
절곡 영역(100)은, 대략 직선형이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축선(A1)과 경사 교차하고 있고,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의 인장 구멍(144) 측에 이어져 있다.
그리고, 절곡 영역(100)은, 링부(130)의 뒤쪽 영역의 아래쪽에 이어져 있고, 링부(130)의 뒤쪽 영역의 하 윤곽 부분(134)의 하측 영역과의 경계의 근방에 이어서, 링부(130)의 뒤쪽 영역이 절곡되어 있다.
절곡 영역(100)은, 링부(130)의 중심선(A2)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A2)과 대략 평행 또는 거기에 가까운, 즉 상기 중심선(A2)과의 이루는 각도가 작은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절곡 영역(100)은, 선형체(W)의 직경이 짧은 가는 선형체(W)라도, 또한, 선형체(W)의 직경이 긴 굵은 선형체(W)라도,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며, 즉 선형체 가압부(24) 및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또는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에 가까운, 즉 W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작은 각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링부(130)의 절곡 영역(100)은,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선형체 유지부(2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또는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5∼27 참조).
링부(130)의 절곡 영역(100)은, 선형체(W)의 직경이 가늘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근접하여 선형체(W)를 그립했을 때 및 선형체(W)의 직경이 굵어서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가 이격되어 선형체(W)를 그립할 때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지지축(70) 및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74)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또는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5∼27 참조).
링부(130)는, 절곡 가공에 의해, 예를 들면, 단조에 의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절곡 부분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작고, 연결 부재(18)의 기계적 강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절곡은, 적어도 링부(130)에 걸친 절곡 영역(100)에서 실행되고 있으므로, 절곡 가공 시의 기계적 스트레스가, 링부(130)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 절곡 영역(100)은, 그 연장 방향이, 링부(130)의 중심선(A2)(링부(130)의 인장력이 걸리는,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t)을 지나는)과 거의 평행하므로, 연결 부재(18)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 방지가 더 한층 촉진되어,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소정 각도는, 선형체(W)가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선형체(W)의 외주면이 링부(130)의 표면에 근접하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 각도, 즉 고정 그립체부(20)의 선형체 가압부(24)와 가동 그립체 부재(16)의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Pyz와 링부(130)의 인장 구멍(144)의 상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사 부분(140)을 지나는 평면 Pxz가 이루는 각도는, 25°이며, 소정 각도는, 15°∼40°의 범위이다.
소정 각도가 15° 미만이면, 선형체(W)에 간섭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또한, 소정 각도가 40°를 넘으면 장선 장치의 훅 또는 벨트를 걸어서 장선 장치로 인장할 때, 선형체(W)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인장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로써, 링부(130)가 선형체(W)에 확실하게 간섭하지 않고, 선형체(W)에 근접한다. 따라서, 링부(130)의 중심선(A2)과 선형체(W)의 중심의 위치가 크게 이격되지 않는다. 즉, 링부(130)는, 인장 구멍(144)에 장착된 장선 장치의 훅 또는 벨트를 걸 때, 선형체(W)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인장되므로, 와이어 그리퍼(10)가 경사지지 않고, 또한, 선형체(W)가 굴곡되지 않고, 선형체(W)를 인장할 수 있다. 이 결과, 굴곡에 기인하는 선형체(W)의 표면에 생기는 손상 등이 억제된다.
(b) 파악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관한 와이어 그리퍼(1000)는, 사람이 한 손으로 와이어 그리퍼(1000)를 파지하기 위한 파악부(1500)를 구비한다.
파악부(1500)는, 주로,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엄지 걸림부(11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파악부(1500)는, 선형체 유지부(22) 및 선형체 가압부(24)보다 높이 방향에서의 아래쪽이며, 지지축 구멍(30)보다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건너편 면(배면측 면)에, 사람의 손의 손바닥과 검지의 밑의 근방을 대는 손닿음부(150)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건너편(배면측)에 연결 부재 안내부(26)가 형성된 영역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상부의 근방에 있어서, 검지을 대는, 검지 닿음부(152)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의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바로 앞쪽(정면측)에 연결 부재(18)의 건너편(배면측)으로부터 돌아서 온 중지의 복(腹)을 대는, 영역을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전방, 즉 되미는 측의 면에 중지의 밑의 근방을 대는 파지부(156)를 구비한다.
파지부(156)는, 대어진 중지에 의해 후방(인장하는 측)으로 당겨진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가이드공(28)의 바로 앞쪽의 본체부(26a)가 중지 닿음부(154)를 구성하고 있고, 중지 닿음부(154)는, 선형체 유지부(22)의 협지홈(22a)의 아래쪽에 있어서 수하되어 있다.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중지 닿음부(154)를 구성하는 본체부(26a)와는 반대측, 즉 가이드공(28)을 협지한 건너편의 본체부(26b)가 검지 닿음부(152)를 구성하고 있고, 검지 닿음부(152)는, 선형체 가압부(24)의 가설부(24c)의 아래쪽에 있어서 수하되어 있다.
본체부(26a)와 본체부(26b)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28)은, 연결 부재(18)의 연결 부재 본체부(80)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는, 중지의 선단으로부터 2번째의 관절(P1P 관절)과 손가락의 밑동의 관절(MP 관절)의 사이의 손가락의 상부에서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12)를 지지하는 손가락 맞닿음부(158)를 구비한다.
손가락 맞닿음부(158)는, 가동 그립체 부재 지지부(68)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가지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전방의 면과 교차한다.
엄지 걸림부(1120)는, 와이어 그리퍼(1000)를 사람의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를 걸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000)를 한 손으로 안정적으로 잡기 쉽다. 돌기형의 엄지 걸림부(1120)는,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링부(130) 측으로서, 고정 그립체부(20)의 가설부(24c) 측의 영역의 높이 방향에서의 중부(中部)에 형성되고, 연결 부재 본체부(80)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건너편(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엄지 걸림부(1120)는, 연결 부재(18)를 인장하는 측(도 19에 도시된 a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엄지 걸림부(1120)는, 링부(130)보다 전방에 있고, 또한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엄지 걸림부(1120)보다 전방에 있다.
엄지 걸림부(1120)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선형체(W)를 협지하는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후방 부분보다 후방측이지만, 링부(130)보다 전방측이다.
엄지 걸림부(1120)의 최상단은, 링부(130)의 중심선(A2)보다 낮은 위치이며, 또한 절곡된 영역을 절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절곡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낮은 형상으로 된다. 엄지 걸림부(1120)는, 링부(130)의 중심선(A2)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와이어 그리퍼(1000)를 파악부(1500)에 의해 파악하여 선형체(W)를 향해 들어올리고 선형체(W)에 근접할 때 및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를 협지할 때에 있어서, 선형체(W)가 엄지 걸림부(1120)에 건 엄지에 간섭하지 않는다.
연결 부재 본체부(80)는, 와이어 그리퍼(1000)를 파악할 때, 중지 및 약지의 복(腹)을 대는 손가락 맞닿음부(84)를 구비한다.
그리고, 엄지 걸림부(1120) 및 연결 부재 안내부(26)는,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의 밸런스가 비교적 양호하며, 와이어 그리퍼(1000)를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엄지 걸림부(1120)에 걸쳐서 손으로 잡고, 와이어 그리퍼(1000)를 들어올리고 선형체(W)에 걸기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 안내부(26)와 엄지 걸림부(1120)의 사이의 길이(L1)는, 링부(130)를 후방으로 뺀 상태에 있어서, 엄지 걸림부(1120)에 엄지를 걸고, 연결 부재 안내부(26)의 전방단에 검지, 중지 및 약지를 걸어서 파악하기 위하여, 엄지와 검지의 사이의 길이(L2)가 3cm∼6cm라고 하면, 그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18)는, 장척형의 연결 부재 본체부(80)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후단에 설치된 링부(130)를 가지고,
상기 연결 부재(18)의 와이어 그리퍼를 사람의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가 걸리는 엄지 걸림부(1120)는, 연결 부재 본체부(80)의 링부(130) 측으로서, 고정 그립체부(20)의 가설부(24c) 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부(130)는,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에 대하여, 링부(130)와 연결 부재 본체부(80)와의 경계로부터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축선을 따라 측부 윤곽부까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영역은, 선형체(W)가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그립되었을 때, 상기 선형체 가압부(24)와 상기 선형체 유지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서,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상기 선형체 유지부(22)로 동등 또는 아래쪽의 위치이다.
이러한 절곡된 영역의 절곡은, 단조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엄지 걸림부(1120)의 최상단은, 링부(130)의 중심선(A2)보다 낮은 위치이며, 또한 절곡된 영역을 절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절곡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낮은 형상으로 된다. 엄지 걸림부(1120)는, 링부(130)의 중심선(A2)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와이어 그리퍼(1000)를 파악부(1500)에 의해 파악하여 선형체(W)를 향해 들어올리고 선형체(W)에 근접할 때 및 선형체 가압부(24)와 선형체 유지부(22)의 사이에 선형체(W)를 협지할 때에 있어서, 선형체(W)가 엄지 걸림부(1120)에 건 엄지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기재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구,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는, 전선뿐만 아니라, 포도덩굴 시렁이나 수목을 인장하는 선형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 1000: 와이어 그리퍼
12: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12a: 와이어 그리퍼 본체부
14: 작동 부재
16: 가동 그립체 부재
18: 연결 부재
19: 커버 부재
20: 고정 그립체부
22: 선형체 유지부
24: 선형체 가압부
24c: 가설부
22a, 24a: 협지홈
26: 연결 부재 안내부
26a: 본체부
26b: 본체부
28: 가이드공
30: 지지축 구멍
32, 40: 돌조
32a, 40a: 정상부
36: 개구부
42: 공소
44: 스프링용 홈
48, 66: 걸림 구멍
60: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
62: 가동 그립체 부재 장착공
64: 연결 부재 장착공
68: 가동 그립체 부재 지지부
60a, 62a, 64a: 건너편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
60b, 62b, 64b: 바로 앞쪽의 구멍 주변의 팽출부의 정상부
70: 지지축
72: 연결 부재 회동축
74: 가동 그립체 부재 회동축
70a, 72a, 74a: 축심
70b, 72b, 74b: 플랜지부
76: 분할핀
80: 연결 부재 본체부
82: 작동 부재 장착공
84: 손가락 맞닿음부
92: 제1 작동 부재 장착부
94: 제2 작동 부재 장착부
96: 제1 작동 부재 장착공
98: 제2 작동 부재 장착공
98a: 단차부
100: 절곡 영역
110: 코일 스프링
112: 코일부
114: 제1 걸림부
116: 제2 걸림부
120, 1120: 엄지 걸림부
130: 링부
132: 상 윤곽 부분
134: 하 윤곽 부분
136: 측 윤곽 부분
138: 경계부
140: 경사 부분
144: 인장 구멍
150: 손닿음부
152: 검지 닿음부
154: 중지 닿음부
156: 파지부
158: 손가락 맞닿음부
160: 커버 부재 장착공
162: 나사 구멍
170: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장착공
174: 걸림 구멍
176: 가동역 규제 장공
180: 와셔
210: 커버 부재 회동축
220: 압압체
210a, 220a: 축심
210b, 220b: 플랜지부
300: 연결 수단
500, 1500: 파악부
t: 인장력이 걸리는 기점
W: 선형체
Pyz: 선형체 가압부 및 선형체 유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인 좌우 축을 포함하는 기준 평면
A1: 연결 부재 본체부의 축선
A2: 링부의 중심선

Claims (3)

  1. 선형체(線形體) 가압부를 가지는 고정 그립체부 및 연결 부재 안내부가 설치된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 본체 부재;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에 지지축에 의해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부재;
    상기 작동 부재의 요동에 의해, 상기 고정 그립체부의 상기 선형체 가압부를 향해 요동하는, 선형체 유지부를 가지는 가동(可動) 그립체 부재; 및
    상기 작동 부재에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작동 부재를 요동시키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와이어 그리퍼로서,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 상기 작동 부재 및 상기 가동 그립체 부재에, 상기 연결 부재보다 많은 중량이 배분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보다 되미는(push back) 측이 무거운 중량 배분으로 설정되고,
    중심(重心)에 가까운 영역 및/또는 상기 연결 부재를 인장하는 측에 상기 와이어 그리퍼를 파악(把握)하기 위한 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를 지지하는 손가락 맞닿음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본체부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 부재의 인장 측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돌설(突設)된 상기 연결 부재 안내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파악부를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파악하도록 형성된,
    와이어 그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 본체부 및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의 후단(後端)에 설치된 링부를 가지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와이어 그리퍼를 사람의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의 복측(腹側)이 걸리는 엄지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엄지 걸림부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부의 링부 측으로서, 상기 고정 그립체부의 가설부(架設部) 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걸림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링부보다 상기 선형체 가압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그리퍼 본체부의 상기 연결 부재 안내부보다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링부 측에 형성된, 와이어 그리퍼.
KR1020167036472A 2016-01-06 2016-06-13 와이어 그리퍼 KR102569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1102 2016-01-06
JPJP-P-2016-001102 2016-01-06
JP2016052458 2016-03-16
JPJP-P-2016-052458 2016-03-16
PCT/JP2016/067540 WO2017119148A1 (ja) 2016-01-06 2016-06-13 掴線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196A KR20180103196A (ko) 2018-09-19
KR102569191B1 true KR102569191B1 (ko) 2023-08-21

Family

ID=5927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472A KR102569191B1 (ko) 2016-01-06 2016-06-13 와이어 그리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00499B2 (ko)
EP (1) EP3402022B1 (ko)
JP (1) JP6205076B1 (ko)
KR (1) KR102569191B1 (ko)
CN (1) CN107408799B (ko)
AU (1) AU2016277723B2 (ko)
MY (1) MY185502A (ko)
TW (1) TWI721072B (ko)
WO (1) WO2017119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0246S1 (en) * 2016-01-06 2019-06-04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per
US10272420B2 (en) * 2016-10-06 2019-04-30 Uop Llc Composition of matter and structure of zeolite UZM-55
CN108178059B (zh) * 2018-02-05 2024-02-20 江苏省送变电有限公司 一种夹板式承托吊具
US11833376B2 (en) * 2019-11-01 2023-12-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orizontal lifeline shuttle apparatus
KR102647746B1 (ko) * 2020-03-02 2024-03-14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그립 공구
KR102162545B1 (ko) * 2020-03-26 2020-10-0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307B2 (ja) 1994-04-28 2001-06-25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WO2014045616A1 (ja) 2012-09-21 2014-03-27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WO2015115451A1 (ja) 2014-01-30 2015-08-06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297A (en) * 1970-06-18 1971-08-17 Crescent Niagara Corp Wire grip
JP3827393B2 (ja) * 1997-03-06 2006-09-27 株式会社永木精機 線状体把持器
US8720013B2 (en) * 2009-06-02 2014-05-13 Yasuharu Nagaki Trigger grip
TWI451649B (en) * 2009-06-02 2014-09-01 Trigger grip
US8720014B2 (en) 2009-06-02 2014-05-13 Yasuharu Nagaki Trigger grip
CN201556914U (zh) * 2009-11-03 2010-08-18 四川电力试验研究院 多分裂输电导线扭振防舞器
CN102222873B (zh) * 2011-06-24 2014-02-26 乐山科杰发电力器材有限公司 一种节能螺栓型耐张线夹
JP5850800B2 (ja) 2012-05-24 2016-02-0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JP3180307U (ja) * 2012-09-28 2012-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US9768596B2 (en) * 2012-09-28 2017-09-19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per
JP5953227B2 (ja) * 2012-12-27 2016-07-2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CN203504108U (zh) * 2013-09-17 2014-03-26 火炬电气集团有限公司 跳线悬垂线夹
CN203707661U (zh) * 2013-12-02 2014-07-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触碰式自动挂线装置
CN204905813U (zh) * 2015-08-21 2015-12-23 江苏双汇孚泰电气有限公司 四挂点四分裂联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307B2 (ja) 1994-04-28 2001-06-25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WO2014045616A1 (ja) 2012-09-21 2014-03-27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WO2015115451A1 (ja) 2014-01-30 2015-08-06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2408A1 (en) 2018-07-26
TWI721072B (zh) 2021-03-11
EP3402022A1 (en) 2018-11-14
JP6205076B1 (ja) 2017-09-27
KR20180103196A (ko) 2018-09-19
EP3402022B1 (en) 2022-11-09
MY185502A (en) 2021-05-19
JPWO2017119148A1 (ja) 2018-01-11
US10700499B2 (en) 2020-06-30
CN107408799A (zh) 2017-11-28
WO2017119148A1 (ja) 2017-07-13
TW201733230A (zh) 2017-09-16
EP3402022A4 (en) 2019-10-16
AU2016277723A1 (en) 2017-07-20
AU2016277723B2 (en) 2021-01-14
CN107408799B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368B1 (ko) 와이어 그리퍼
KR102569191B1 (ko) 와이어 그리퍼
JP6317769B2 (ja) 掴線器
TWI530040B (zh) Tight line
JP5959654B2 (ja) 掴線器
KR102162545B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JP3180307U (ja) 掴線器
US20120111123A1 (en) Grip mounted safety shield
JP2016093079A (ja) 間接工法における間接工具によって把持される把手構造及び間接工法用カバー
JP2022160118A (ja) 紐かけ治具及び紐かけ方法
JP2000228808A (ja) 架空地線の張替工具及び張替方法
KR100801906B1 (ko) 케이블 고정구
JP2015074412A (ja) キャスターストッパ
JP2019214094A (ja) 作業支援具
JP2000316399A (ja) 枝打ち用木登り具
JPH01183377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用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