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906B1 - 케이블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906B1
KR100801906B1 KR1020070046171A KR20070046171A KR100801906B1 KR 100801906 B1 KR100801906 B1 KR 100801906B1 KR 1020070046171 A KR1020070046171 A KR 1020070046171A KR 20070046171 A KR20070046171 A KR 20070046171A KR 100801906 B1 KR100801906 B1 KR 10080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ate
gripping
holding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현
Original Assignee
박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현 filed Critical 박귀현
Priority to KR102007004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C)을 와이어클램프(1)의 행거(1a)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C)의 일측면을 파지하는 파지홈(52a)을 갖는 파지판(52)과, 이 파지판(52)의 양측을 차폐하는 경사형성된 차폐판(54) 및, 이 차폐판(54)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되는 절곡날개(56)를 갖는 아우터부재(50); 상기 파지판 반대편의 상기 케이블의 타측면을 파지하는 파지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 사이로 삽입되는 파지판(62) 및, 이 파지판(62)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아우터부재(50)의 절곡날개(56)에 단부가 걸린상태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아우터부재(5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경사형성된 슬라이딩판(64)을 갖는 인너부재(60) 및; 상기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클램프(1)의 행거(1a)에 걸리는 걸고리(6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가 케이블(C)을 감싸면서 파지하므로, 케이블(C)의 파지면적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케이블, 파지, 행거, 고리, 슬라이딩

Description

케이블 고정구 { DEVICE FOR CABLE FIXING }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아우터부재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아우터부재 52, 62 : 파지판
52a, 62a : 파지홈 54 : 차폐판
56 : 절곡날개 60 : 인너부재
64 : 슬라이딩판 66 : 걸고리
본 발명은 전신주에 장착된 와이어클램프의 행거에 케이블의 일부분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전신주나 옥상 등에 장착된 케이블분배기를 통해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분배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처짐이 방지되도록 긴장상태로 당겨지면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분배된다. 그러나, 이렇게 케이블을 당기면서 선로작업을 함에 따라, 케이블은 종종 케이블분배기로부터 분리되면서 이탈된다. 따라서, 선로작업자는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케이블 고정구를 사용한다. 즉, 케이블 고정구는 케이블이 케이블분배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케이블 고정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12a)가 연결된 원통형의 내관(12) 및, 이 내관(12)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외관(14)으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2) 및 외관(14) 사이에 케이블(C)이 삽입됨에 따라 케이블(C)을 파지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케이블 고정구는 걸고리(12a)가 전신주의 와이어(W)에 장착된 와이어클램프(1)의 행거(1a)에 걸림에 따라, 케이블(C)의 일부분을 와이어클램프(1)에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고정구(10)는 작업자의 선로작업에 의해 케이블(C)이 당겨져도,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1a)에 걸고리(12a)가 걸려있으므로 케이블(C)이 과도하게 당겨지지 않는다. 즉, 내관(12) 및 외관(14) 사이에 파지된 케이블(C)은 행거(1a)에 걸고리(12a)가 걸려있으므로 약간만 당겨질 뿐 더 이상 과도하게 당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C)은 선로작업시 작업자에 의해 당겨져도 케이블분배기(CD)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외관(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단부(외관의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14a)가 직교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14a)는 작업자가 원통형의 외관(14)을 파지할 경우 작업자의 손으로 파고 들면서 작업자의 손이 외관(14)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외관(14)은 플랜지(14a)가 작업자의 손에 걸림에 따라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 한편, 외관(14)은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파지하는 부분(내주면)에 볼록한 형태로 돌출되면서 굴곡형성되는 굴곡부(14b)를 갖는다. 이러한 굴곡부(14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곡선지게 형성됨에 따라 내·외관(12, 14) 사이에 파지된 케이블(C)을 가압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케이블 고정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2) 및 외관(14)이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성형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 2에 확대 도시(I-I'선 확대도)된 바와 같이 내관(12) 및 외관(14)의 지름(관경)이 케이블(C)의 지름(굵기)에 비해 너무 크게 형성되므로 재료비가 과도하게 소요된다.
또, 일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원통관을 형성하는 외관(14)이,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형성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관경이 큰 반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C)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파지할 수 없다. 즉, 외관(14)이 케이블(C)의 지름에 알맞은 관경으로 형성되지 않고, 케이블(C)의 지름 보다 훨씬 큰 관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C)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없다. 특히, 외관(14)은 케이블(C)의 지름 보다 훨씬 큰 관경의 반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케이블(C)과 사실상 선접촉하면서 케이블(C)을 파지하므로 케이블(C)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없다.
또한, 외관(14)에 삽입되는 내관(1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전체가 외관(14)에 삽입되지 않고 절반정도(일부)만 삽입되므로 케이블(C)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없다. 즉, 내관(12)이 형상적 특성에 의해 외관(14)에 깊이 삽입되지 못하므로 케이블(C)의 파지면적을 크게 확보하지 못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케이블 고정구(10)는 크기에 비해 파지력이 미흡하므로 케이블(C)을 견고히 파지할 수 없다.
아울러, 외관(14)에 도 1과 같이 플랜지(14a)를 성형할 경우 플랜지(14a)의 테두리에 날카로운 버(Burr)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 의해 상처가 날뿐만 아니라, 플랜지(14a)가 외관(14)을 파지하는 작업자의 손바닥을 파고들면서 작업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외관(14)을 힘껏 파지할 수 없다.
게다가, 작업자가 외관(14)을 힘껏 파지할 수 없으므로 내관(12) 및 외관(14)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다. 물론, 내관(12) 및 외관(14)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으므로 케이블(C)은 견고하게 파지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외관(14)의 굴곡부(14b)가 곡선지게 형성되어, 굴곡부(14b)가 케이블(C)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없다. 즉, 굴곡부(14b)가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C)을 강력하게 파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서로 결합되면서 컴팩트한 크기의 육면체형태를 이루는 한쌍의 파지부재가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케이블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파지부재의 일부분이 케이블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형을 형성하여,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파지함으로, 케이블과 면접촉하면서 파지면적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케이블을 파지하는 도중에 케이블의 일부가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여 케이블이 파지하는 도중에 파지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파지부재가 케이블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침투하면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파지부재의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걸고리의 일부분이 파지부재에 걸려서 견고히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는, 케이블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파지홈을 갖는 파지판과, 이 파지판의 양측에서 직교상태로 절곡되어 파지판의 양측을 차폐하고,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양단의 높이로 인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경사형성된 차폐판 및, 이 차폐판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되는 절곡날개를 갖는 아우터부재; 상기 아우터부재의 파지판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의 타측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의 차폐판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부재의 파지판과 대향하는 파지판 및, 이 파지판의 양측에서 직교상태로 절곡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의 차폐판에 대응형성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경사형성되며, 차폐판과 밀착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아우터부재의 절곡날개에 단부가 걸린상태로 절곡날개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단부가 절곡날개에 정합상태로 끼워짐에 따라 아우터부재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딩판을 갖는 인너부재 및; 상기 인너부재의 파지판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와이어클램프의 행거에 걸리는 걸고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아우터부재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아우터부재(50) 및 인너부재(60), 그리고 인너부재(60)에 연결 된 걸고리(6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모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우터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52a)이 형성되어 케이블(C)을 파지하는 파지판(52)과, 이 파지판(52)의 양측에서 직교상태로 절곡형성된 차폐판(54) 및, 이 차폐판(54)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된 절곡날개(5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파지판(52)은 파지홈(52a)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홈(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판(5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파지홈(52a)은 후술되는 케이블(C)의 굵기에 대응하는 폭(내경)을 갖는다. 또한, 파지홈(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지름)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케이블(C)의 일측면을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차폐판(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판(52)의 양측을 차폐한다. 이러한, 차폐판(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의 높이(H, H')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차폐판(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성되어 측면상 사다리꼴 형태를 이룬다. 즉, 차폐판(54)은 측면상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또 한편, 절곡날개(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5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도면의 상단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54)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내향절곡되어 차폐판(54)과 동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절곡날개(56)는 후술되는 인너부재(60)의 슬라이딩판(64)이 삽입되어 걸린다.
다음, 인너부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62a)이 형성되어 전술한 파지홈(52a)이 형성된 파지판(52)과 함께 후술되는 케이블(C)을 파지하는 파지판(62) 및, 이 파지판(62)의 양측에서 직교상태로 절곡형성된 슬라이딩판(6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파지판(62)은 전술한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부재(50)의 파지판(52) 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는다. 또한, 파지판(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부재(50)의 파지홈(52a)에 대응하는 파지홈(62a)을 갖는다. 이러한 파지홈(6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케이블(C)의 타측면을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결론적으로,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은 아우터부재(50)의 파지판(52)과 동일한 형태로 대칭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딩판(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판(64)은 차폐판(54)과 동일하게 측면상 사다리꼴 형태로 경사형성된다. 하지만, 슬라이딩판(64)은 차폐판(54)에 대응형성되되, 도면의 상단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절곡날개(56)가 단부에 형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슬라이딩판(64)은 전술한 파지판(62)이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될 경우 아우터부재(50)의 절곡날개(56)에 삽입되어 단부(상단부)가 절곡날개(56)에 걸린상태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의 파지판(52, 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의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면서 마주한다.
마지막으로, 걸고리(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으로 구성되며, 고리형태의 일단부(66a) 및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에 연결되는 한쌍의 타단부(66b)를 갖는다. 이때, 걸고리(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판(62)의 끝부분이 컬링가공됨에 따라 타단부(66b)의 끝부분이 파지판(62)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과 일체를 이루는 걸고리(66)는 인너 및 아우터부재(60, 50)의 결합시, 타단부(66b)가 파지판(62) 보다 우선적으로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된다. 즉, 걸고리(66)의 타단부(66b)는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 보다 먼저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 사이로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은 걸고리(66)의 타단부(66b)가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들 사이로 삽입된 후, 작업자에 의해 걸고리(66)가 당겨짐에 따라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들 사이로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도면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과정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우터부재(50)는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판(52)에 형성된 파지홈(52a)에 케이블(C)이 안착된다. 이렇게 아우터부재(50)의 파지홈(52)에 케이블(C)이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되면, 인너부재(60)는 아우터부재(50)에 형성된 한쌍의 차폐판(54) 사이로 삽입된다. 즉, 인너부재(60)는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되면서 아우터부재(50)에 결합된다. 이렇게,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되는 인너부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걸고리(66)는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되는 인너부재(6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아우터부재(5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걸고리(66)는 인너부재(60)로 인하여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들 사이로 삽입된다.
이렇게, 아우터부재(50)와 결합하는 인너부재(60)는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판(64)의 선단부가 아우터부재(50)의 후단부로 삽입되면서 아우터부재(50)와 결합한다. 이때, 슬라이딩판(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에 형성된 절곡날개(56)의 후단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판(64)은 걸고리(66)가 작업자에 의해 당겨질 경우 차폐판(54)과 밀착을 이루면서 절곡날개(56)에 삽입된 상태로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부재(50)의 선단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절곡날개(5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인너부재(60)의 슬라이딩판(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반대방향, 즉 후단부로 갈수록 폭(높이)이 점점 넓어진다. 반면, 절곡날개(56)가 형성된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방향, 즉 선단부로 갈수록 폭(높이)이 점점 좁아진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판(64)은 폭이 좁은 차폐판(54)의 선단을 향해 슬라이딩할 경우 폭이 넓은 후단부가 도면상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날개(56)에 정합상태로 끼워져서 걸린다. 따라서, 슬라이딩판(64)은 후단부가 절곡날개(56)에 걸림에 따라 슬라이딩이 종료된다. 즉, 슬라이딩판(64)은 절곡날개(56)에 완전하게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딩판(64)은 후단부가 도면상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54) 후단부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의 파지판(52, 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다. 즉, 케이블(C)은 파지판(52, 62)들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파지판(52, 62)에 형성된 반원형의 파지홈(52a, 62a)들은 파지판(52, 62)들이 서로 마주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상태를 이루면서 케이블(C)을 감싼다. 즉, 파지홈(52a, 62a)들은 서로 대향됨에 따라 원통형을 형성하면서 케이블(C)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파지한다. 이때, 아우터부재(50)의 파지홈(52a)은 도면상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일측면(도면상 하부측 외주면)을 감싸고, 인너부재(60)의 파지홈(62a)은 도면상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타측면(도면상 상부측 일측면)을 감싼다. 물론, 서로 대향하는 파지판(52, 62)은 파지홈(52a, 62a)에 의해 케이블(C)을 파지한다.
이러한 파지판(52, 62)은 경사형성된 슬라이딩판(64)이 절곡날개(56)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므로, 슬라이딩판(64)이 슬라이딩을 하면 할수록 케이블(C)을 점점 더 강하게 가압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슬라이딩판(64)은 도면의 (a)와 같이 절곡날개(56)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고리(66)가 당겨질 경우,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슬라이딩판(64)은 사다리꼴 형태로 경사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하부로 하강한다. 물론, 파지판(52, 62) 사이의 틈(G)은 슬라이딩판(64)이 하강됨에 따라 점점 줄어든다. 이에 따라,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은 슬라이딩판(64)에 의해 점점 하부로 하강하면서 케이블(C)을 점차적으로 강하게 가압한다. 따라서, 케이블(C)이 개재된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의 파지판(52, 62)은, 슬라이딩판(64)의 슬라이딩에 의해 케이블(C)을 점차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면서 견고하게 파지한다.
한편,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파지홈(52a, 62a)들이 서로 마주하면서 케이블(C)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므로 케이블(C)과 면접촉한다. 이에 따라,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케이블(C)의 파지에 필요한 파지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파지홈(52a, 62a)이 원통형으로 케이블(C)을 파지함에 따라 파지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이 아우터부재(5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므로, 케이블(C)의 파지면적을 보다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인너부재(60)의 후단부가 아우터부재(50)의 후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케이블(C)의 파지면적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케이블(C)을 더욱 견고하게 파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서로 결합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육면체를 이룬다. 따라서,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작업자의 손에 파지될 경우 형상적인 특성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즉, 종래의 아우터(외관) 및 인너부재(내관)는 모서리가 없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의 손에서 쉽게 회전되거나 미끄러지면서 이탈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직사각형의 육면체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각 면의 모서리로 인하여 작업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의 파지판(52, 62)은 도면의 하부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면서 케이블(C)을 파지한다. 이때, 파지판(52, 62)에 형성된 파지홈(52a, 62a)들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을 형성하면서 케이블(C)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싼다. 물론, 아우터부재(50)의 파지홈(52a)은 케이블(C)의 일측면(도면상 하부측 외주면)을 감싸고, 인너부재(60)의 파지홈(62a)은 케이블(C)의 타측면(도면상 상부측 일측면)을 감싼다. 따라서, 케이블(C)의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감싸지므로 케이블(C)의 파지면적은 충분히 확보된다.
다른 한편, 걸고리(66)의 타단부(66b)는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타단부(6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판(62)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컬링부(62')에 의해 파지판(62)에 고정된다. 즉, 타단부(66b)는 컬링부(62')에 삽입됨에 따라 파지판(62)에 고정된다.
이렇게, 컬링부(62')에 고정되는 타단부(66b)는 도면의 상부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분이 납작하게 형성된다. 이때, 타단부(66b)는 미도시된 프레스에 의해 끝부분이 납작하게 형성된다. 물론, 타단부(66b)는 끝부분이 납작하게 형성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분의 폭이 확장된다. 따라서, 타단부(66b)는 끝부분이 컬링부(62')에 걸림에 따라 작업자가 걸고리(66)를 당겨도 컬링부(6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C)은 미도시된 보빈에 감겨져서 보관되므로 보빈에서 풀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의 굴곡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블(C)은 작업자의 한쪽 손에 파지되어 아우터부재(50)에 삽입된 후, 작업자가 아우터부재(50)에 인너부재(60)에 삽입하려고 다른 한쪽 손으로 인너부재(60)를 파지하는 사이,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유동(회전)하면서 파지홈(52a)의 단부에서 파지홈(52a)의 외측으로 이탈한다. 즉, 케이블(C)은 작업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파지홈(52a)에서 이탈되면서 파지홈(52a)의 단부 외측에 위치한 파지판(52)의 상부로 이동(이탈)한다. 이렇게, 케이블(C)이 이동하게 되면, 작업자는 인너부재(60)를 파지한 다른 한쪽 손을 이용하여 케이블(C)을 다시 파지홈(52a)에 삽입한 후 인너부재(60)를 아우터부재(50)에 삽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아우터부재(50)는 케이블(C)의 파지홈(52a)의 단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케이블(C)이 파지홈(52a)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유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케이블 유동수단은 파지판(52)에 형성된 파지홈(52a)의 단부에서 케이블(C)의 일부분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케이블(C)은 케이블 유동수단에 의해 파지홈(52a)의 단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유동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52a)의 단부에 벌어진 형태의 확장부(E)를 형성하여, 케이블(C)의 유동에 필요한 리세스를 파지홈(52a)의 단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지홈(52a)은 확장부(E)에 의해 단부가 확장된다. 이때, 확장부(E)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파지홈(52a)은 단부에 케이블(C)이 유동되는 유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파지홈(52a)의 단부에 확장부(E)가 마련되므로, 케이블(C)은 작업자가 움직여도 확장부(E)의 유효공간에서만 유동하고 파지홈(52a)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케이블(C)은 파지홈(52a)의 확장부(E)에서만 유동만 될 뿐 파지홈(52a)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못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아우터부재(50)에 케이블(C)이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케이블 유동수단은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확장부(E)는 인너부재(60)에도 마련할 수 있다. 즉, 인너부재(60)에 형성된 파지홈(62a)의 단부에도 전술한 확장부(E)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부재(50)는 케이블(C)을 파지하는 파지판(52)에 요철을 제공하여 파지판(52)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파지력 강화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아우터부재(50)는 파지력 강화부재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케이블(C)을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력 강화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모서리를 갖는 복수개의 가압돌기(52b)를 파지홈(52a)을 따라 이격형성하여, 가압돌기(52b)가 케 이블(C)에 부분적으로 침투하면서 케이블(C)을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가압돌기(52b)는 도면에 확대 도시(측단면도)된 바와 같이, 파지판(52)의 파지홈(52a) 일부분을 프레스 가공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압돌기(52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모서리가 날카롭게 각이 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가압돌기(52b)는 전술한 인너부재(60)의 슬라이딩방향(S)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이 슬라이딩방향(S)과 반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압돌기(52b)의 모서리를 슬라이딩방향(S)과 반대로 형성하는 이유는 모서리부분이 용이하게 케이블(C)에 침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왜냐햐면, 케이블(C)은 선로공사시 슬라이딩방향(S)의 반대편으로 당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블(C)이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가압돌기(52b)는 날카롭게 돌출된 모서리가 케이블(C)에 침투하면서 박힌다. 물론, 케이블(C)은 가압돌기(52b)가 박힘에 따라 슬라이딩방향(S)의 반대편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여기서, 전술한 가압돌기(52b)는 전술한 인너부재(50)의 파지홈(52a)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가 케이블(C)이 개재된 상태로 서로 결합하면서 케이블 분배기(CD)에 연결된 케이블(C)을 파지한다. 그리고, 인너부재(60)에 연결된 걸고리(66)의 고리(66a)는 전신주의 와이어(W)에 장착된 와이어클램프(1)의 행거(1a)에 걸린다. 이에 따라,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는 걸고리(66)에 의해 와이어클램프(1)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는, 선로작업에 의해 케이블(C)이 당겨질 경우, 케이블(C)이 케이블 분배기(CD)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케이블(C)은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에 파지된 부분이 걸고리(66)에 의해 와이어클램프(1)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케이블 분배기(CD)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는, 파지판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는 차폐판 및 슬라이딩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사각의 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므로, 종래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시간 및 재료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아우터 및 인너부재가 케이블을 원통형으로 감싸면서 면접촉 상태로 파지하므로, 케이블의 파지면적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파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인너부재가 아우터부재에 완전히 삽입되므로 전체적이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파지면적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파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아우터부재의 외주면에 종래와 같은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가 아우터부재를 힘껏 감싸쥔 상태로 케이블의 파지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작업자가 케이블이 수용된 아우터부재를 힘껏 감싸쥔 상태로 인너부재를 아우터부재에 삽입할 수 있다.
아울러, 아우터부재에 인너부재가 삽입되어도 파지홈에 삽입된 케이블이 확장부에 의해 파지홈에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파지홈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케이블의 표면을 침투하면서 케이블을 가압하므로, 케이블의 파지력이 대폭적으로 강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 인너부재의 파지판에 형성된 컬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고리의 타단부 끝부분이 납작하게 확장형성되어 컬링부에 걸리므로, 걸고리를 인너부재의 파지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아우터부재의 차폐판 상단에 형성되는 절곡날개가 내향절곡됨에 따라 종래와 달리 버(Burr)가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케이블(C)의 일부분을 와이어클램프(1)의 행거(1a)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C)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파지홈(52a)을 갖는 파지판(52)과, 이 파지판(52)의 양측에서 직교상태로 절곡되어 파지판(52)의 양측을 차폐하고,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양단의 높이(H, H')로 인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경사형성된 차폐판(54) 및, 이 차폐판(54)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되는 절곡날개(56)를 갖는 아우터부재(50);
    상기 아우터부재(50)의 파지판(52)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C)의 타측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파지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부재(50)의 파지판(52)과 대향하는 파지판(62) 및, 이 파지판(62)의 양측에서 직교상태로 절곡되고, 상기 아우터부재(50)의 차폐판(54)에 대응형성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경사형성되며, 차폐판(54)과 밀착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아우터부재(50)의 절곡날개(56)에 단부가 걸린상태로 절곡날개(56)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단부가 절곡날개(56)에 정합상태로 끼워짐에 따라 아우터부재(5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되, 후단부가 차폐판(54) 후단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슬라이딩판(64)을 갖는 인너부재(60); 및
    상기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클램프(1)의 행거(1a)에 걸리는 걸고리(66);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및 인너부재(50, 60)의 파지판(52, 62)에 파지된 상기 케이블(C)의 일부분이 상기 파지판(52)에 형성된 상기 파지홈(52a)의 단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케이블(C)이 파지홈(52a)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유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유동수단은, 상기 파지홈(52a)의 단부에 벌어진 형태의 확장부(E)를 형성하여, 파지홈(52a)의 단부를 통해 케이블(C)의 유동에 필요한 리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C)을 파지하는 상기 아우터부재(50)의 파지판(52)에 요철을 제공하여 상기 파지판(52)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파지력 강화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력 강화부재는, 돌출된 모서리를 갖는 복수개의 가압돌기(52b)를 상기 파지판(52)의 파지홈(52a)에 이격형성하여, 상기 가압돌기(52b)가 상기 케이블(C)에 부분적으로 침투하면서 상기 케이블(C)을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66)는,
    고리형태의 일단부(66a); 및
    상기 일단부(66a)에서 연장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고, 컬링가공에 의해 상기 인너부재(60)의 파지판(62)에 형성되는 컬링부(62')에 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파지판(62)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타단부(66b);를 포함하며,
    상기 타단부(66b)는 끝부분이 확장되어 상기 컬링부(62')에 끝부분이 걸리도록, 끝부분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납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
KR1020070046171A 2007-05-11 2007-05-11 케이블 고정구 KR10080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171A KR100801906B1 (ko) 2007-05-11 2007-05-11 케이블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171A KR100801906B1 (ko) 2007-05-11 2007-05-11 케이블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906B1 true KR100801906B1 (ko) 2008-02-12

Family

ID=3934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171A KR100801906B1 (ko) 2007-05-11 2007-05-11 케이블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972B1 (ko) 2012-08-31 2013-05-07 정재식 케이블용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99U (ko) * 1993-07-10 1995-02-18 도직현 케이블 고정 클램프
KR200152196Y1 (ko) 1997-06-07 1999-07-15 박철웅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99U (ko) * 1993-07-10 1995-02-18 도직현 케이블 고정 클램프
KR200152196Y1 (ko) 1997-06-07 1999-07-15 박철웅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972B1 (ko) 2012-08-31 2013-05-07 정재식 케이블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324B2 (en)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having side or top actu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for
JP2015504501A (ja) ホースクランプ
TW201728026A (zh) 緊線器
JP2009118586A (ja) クランプ式電流計の保持具
US7415913B2 (en) Fish tape pliers
KR100801906B1 (ko) 케이블 고정구
JP2018514074A (ja) 延長コード、ソケットおよびソケットのカバー
JP5946892B2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JP2015186430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WO2010098545A2 (ko) 파마기
CN210471198U (zh) 钥匙环
KR101595514B1 (ko)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JP2003264917A (ja) 電線補修用カバ−
JP5792237B2 (ja) 配電線用絶縁カバー
JP5705589B2 (ja) ケーブル挿入補助具
KR101942070B1 (ko) 발열집게용 전선텐션장치
CN204216390U (zh) 网线易拔钳
KR101947764B1 (ko)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 지지대
KR101753815B1 (ko) 퍼머세팅용 가열집게
JP5960205B2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JP5882037B2 (ja) 間接活線作業用具
KR20180001890U (ko) 와이어 삽입 툴
JP6449421B1 (ja) 金属製ピンチ及びこれを用いた物干し具
KR20200141259A (ko) 묶음 대상물의 결속이 용이한 묶음 밴드
KR101371665B1 (ko) 콜게이트튜브 삽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