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979B1 -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979B1
KR102567979B1 KR1020180143831A KR20180143831A KR102567979B1 KR 102567979 B1 KR102567979 B1 KR 102567979B1 KR 1020180143831 A KR1020180143831 A KR 1020180143831A KR 20180143831 A KR20180143831 A KR 20180143831A KR 102567979 B1 KR102567979 B1 KR 10256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housing structure
mount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354A (ko
Inventor
마리나 에렌베르거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5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1.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2.1 차량 측 수용부, 고정 장치에 의해서 차량 측 수용부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 측면부, 및 고정 장치를 해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이와 같은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2.2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장치는 차량 측에 배열되어 있고, 고정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3 승용차의 충전 공간 커버에서 사용됨.

Description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MOUNTING A HOUSING STRUCTURE IN A VEHICLE INTERIOR}
본 발명은, 차량 측 수용부, 고정 장치에 의해서 차량 측 수용부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 측면부, 및 고정 장치를 해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이와 같은 장치는 DE 195 32 276 A1호에 충전 공간 커버의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충전 공간 커버는, 승용차의 충전 공간 내에서 뒷좌석의 등 받침대 뒤에서 차량 가로 방향으로 차량 고정 수용부 내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카세트 하우징(cassette housing)을 구비한다. 충전 공간은 마주 놓여 있는 자신의 측벽에 각각 측방 난간을 구비하고, 이 측방 난간에는 각각 고정 수용부가 통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 수용부 내로 카세트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다. 카세트 하우징을 고정 수용부 내에 장착하기 위해, 카세트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측면부의 영역에 고정 장치를 구비하며, 이 고정 장치에 의해서 하우징 측면부의 전면이 차량에 고정된 상응하는 고정 수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장치를 해체하기 위해, 하우징 측면부 내에 작동 버튼이 제공되어 있다. 작동 버튼을 누름으로써 고정 장치가 해체되고, 카세트 하우징이 차량에 고정된 고정 수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소화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제어 장치가 차량 측에 배열되어 있고, 제동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제어 장치가 차량 측에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조작자를 위한 간소화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제동 장치도 바람직하게는 차량 측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차량 실내에 있는 하우징 구조물 자체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경우,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장치의 조작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장치의 조작을 위해 하우징 구조물 자체에 접근할 필요 없이, 오히려 다만 제어 장치의 차량 측 어셈블리에만 접근하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예컨대 수평으로 인출 가능한 충전 공간 커버용으로 제공되어 있거나, 예컨대 충전 공간과 차량 객실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 가능한 분리 장치용으로도 제공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차량 실내의 차광 장치를 위해서도, 특히 자동차의 투명한 루프 섹션의 영역에, 후방 윈도우 영역에, 또는 측방 윈도우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 구조물로서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배출 슬롯이 제공되어 있는 폐쇄된 카세트 하우징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 슬롯을 통해서 유연한 평면 구조물이 인출 및 삽입 가능하다. 하우징 구조물은 대안적으로 또한 개방된 프레임 구조물 또는 지지 구조물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로서는, 바람직하게 순전히 기계식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에 전기식 또는 전자식 구성 요소 또는 공압식 구성 요소 및/또는 유압식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가 고정 장치에 대해 간격을 두고 있는 작동 부재를 구비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작동 부재는 바람직하게 기계식 원격 전달 요소에 의해서 고정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는, 전기식 또는 전자식 원격 전달도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로서의 형성은, 특히 충전 공간이 매우 깊은 경우에도, 조작자가 복잡하게 충전 공간 내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충전 공간 커버의 부분으로서의 하우징 구조물이 차량 측 수용부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구조물이 충전 공간 커버의 카세트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차량 측 수용부는 차량 실내의 측방 난간에 제공되어 있다. 측방 난간은 차량 실내의 충전 공간의 측벽의 부분이다. 바람직하게, 카세트 하우징은 충전 공간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가로 방향으로, 충전 공간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에 제공되어 있고 서로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차량 측 수용부 사이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가 수용부에 할당된 이젝팅 장치(ejecting device)를 구비하고, 상기 이젝팅 장치는 제어 장치가 차량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작동될 때에 하우징 측면부에 작동 임펄스를 제공한다. 작동 임펄스는, 하우징 측면부를 수용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차량 중앙으로 그리고/또는 차량 후방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측면부가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우징 세로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선형 동작을 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은 충전 공간 커버의 카세트 하우징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마주 놓인 전면에서 카세트 하우징의 하우징 중앙부와 접하여 하우징 중앙부와 연결된 2개의 하우징 측면부 중 하나 이상이 하우징 중앙부의 연장부 내에서, 다시 말해 하우징 종축을 따라서 제한적으로 선형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측면부를 하우징 중앙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카세트 하우징을 차량 측 수용부로부터 제거하거나 이 수용부 내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 개별 하우징 측면부의 전면은, 하우징 측면부의 전면이 개별 차량 측 수용부의 상보적인 프로파일링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링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구조물 내에 와인딩 샤프트(winding shaft)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 상에 유연한 평면 구조물이 감고 풀 수 있게 고정되어 있으며, 와인딩 샤프트에는 이 와인딩 샤프트를 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 모터가 할당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는, 평면 구조물의 자유로운 전면 단부 영역에서 반대 방향의 인장력이 특히 조작자의 행동에 의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자마자, 유연한 평면 구조물이 자동으로 하우징 구조물 내부에서 감길 수 있게 된다. 스프링 모터는 또한 와인딩 스프링으로서도 지칭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 측 수용부가 측방 난간을 따라서 제한적으로 동작을 하도록 지지된 고정 캐리지를 구비한다. 고정 캐리지는 바람직하게 제한된 이동 경로에 걸쳐서 차량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 캐리지 내에 바람직하게 상응하는 수용 프로파일링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수용 프로파일링 내에는 하우징 측면부의 전면이 형상 결합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고정 캐리지의 제한된 이동 가능성으로 인해서는, 조작자가 하우징 구조물 또는 카세트 하우징을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 측 수용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위하여, 고정 장치의 해체 후에 하우징 구조물 또는 카세트 하우징을 고정 캐리지와 함께 차량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그리고 이로써 조작자에 더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세트 하우징 또는 하우징 구조물이 마주 놓인 2개의 차량 측 수용부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만 수용부에만 고정 캐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거나, 2개의 수용부에 고정 캐리지를 각각 하나씩 제공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카세트 하우징 또는 하우징 구조물은 하나의 측면에서 또는 2개의 측면에서 차량 세로 방향으로 조작자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젝팅 장치가 측방 난간에 배열된 이젝터를 구비하고, 상기 이젝터는 작동 중에 하우징 측면부에 차량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작동 임펄스를 가한다. 이 목적을 위해, 고정 장치가 해체될 때에 하우징 측면부에 작동 임펄스가 가해지는 상황을 야기하는 구동 장치의 활성화를 야기하기 위하여, 이젝터에는 바람직하게 구동 장치, 바람직하게는 선형의 또는 회전식 스프링 구동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젝터가 수평의 피봇팅 평면에 피봇팅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 어셈블리(latch assembly)로서 구현되어 있다. 래치 어셈블리에는, 래치 어셈블리의 피봇팅 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토크를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가하는 스프링 구동부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토크는 재차 원하는 동작 임펄스를 차량 가로 방향으로 또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하우징 측면부에 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그리핑 요소(gripping element)를 구비하고, 이 작동 부재는 기계식 원격 전달 요소를 통해서 이젝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핑 요소로서는, 조작자에 의한 파지를 위한 루프, 링, 레버 등과 같은 기계식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원격 전달 요소로서는, 바람직하게 인장 하중 및/또는 압축 하중을 수용할 수 있고 전달할 수 있는 형상 안정적인 전달 로드, 보덴 케이블(bowden cable), 케이블 윈치(cable winch), 레버 또는 이들과 유사하게 형성된 일체형의 또는 다중형의 부품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 실내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에 서로에 대해 상보적이고 고정 장치를 각각 하나씩 갖춘 2개의 수용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는 2개의 고정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형성은, 서로 마주 놓인 2개 수용부의 2개의 고정 장치가 동시에 해체됨으로써, 차량 실내 내부에서 하우징 구조물의 평행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 실내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의 영역에 작동 부재가 각각 하나씩 제공되어 있으며, 기계식 연결 부재가 2개 작동 부재의 동시 동작을 위해 제공되어 있다. 기계식 연결 부재는, 마주 놓여 있는 차량 측 수용부의 2개 고정 장치의 동시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보장해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연한 평면 구조물의 형상 안정적인 가로 프로파일이 연결 부재로서 제공되어 있다. 형상 안정적인 가로 프로파일은, 푸는 방향으로 평면 구조물의 전방 전면 영역에 제공되어 있고 평면 구조물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평면 구조물의 연장 프로파일이다. 상기 연장 프로파일에는 마주 놓인 전단부에 고정 핀이 또한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핀에 의해서는 연장 프로파일이 평면 구조물을 형성할 때에 차량 측 고정부 내에서 커버 평면의 커버 위치에 충전 공간 커버의 커버 평면으로서 매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용부에 차량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젝터가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있고, 하우징 구조물은 2개의 전면에 하우징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우징 측면부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이 경우 하우징 측면부는 자신의 외부 최종 위치의 방향으로 하우징 중앙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프링력에 의해서 작동된다. 이젝터는, 2개의 하우징 측면부가 차량 중앙 쪽으로 그리고 이로써 하우징 중앙부 쪽으로 내부로 가압되는 상황 및 2개 수용부의 상응하는 고정 프로파일링으로부터 해제되는 상황을 야기한다. 기계식 연결 부재가 유연한 평면 구조물의 연장 프로파일로서 형성되어 있고, 2개 작동 부재의 영역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걸려 있는 경우에는, 와인딩 샤프트의 와인딩 스프링의 토크가 하우징 측면부의 릴리스 후에 카세트 하우징을 수용부의 영역에서 강제로 작동 부재에 고정된 연장 프로파일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며, 이로 인해 평면 구조물은 상응하는 정도로 와인딩 샤프트 상에 감기고, 카세트 하우징은 차량 실내 내부에서 차량의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변위된다. 따라서, 스프링 모터로서 이용되는 와인딩 스프링의 토크는, 연장 프로파일을 작동 부재의 영역에 간단히 일시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카세트 하우징을 충전 공간 내부에서 평행하게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범위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승용차의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를 고정 장치의 해체 위치에서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하우징 구조물의 고정 위치에서 도시하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장치를 하우징 구조물의 해체 위치에서 도시하며,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를 위한 또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를 위한 차량 실내의 측방 난간을 확대된 개략도로 도시하고,
도 6 및 도 7은 승용차의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좌측 및 우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8 내지 도 10은 승용차의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을 다양한 기능 위치에서 도시하고,
도 11 및 도 12는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제어 장치 및 고정 장치를 도 8 및 도 10과 유사하게 개략적인 사기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제어 장치 및 고정 장치를 갖춘 장치의 기능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해서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은, 승용차의 차량 실내를 위한 충전 공간 커버의 카세트 하우징을 고정 및 릴리스하기 위한 장치(1, 1a, 1b)와 관련이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동일한 부분들 및 섹션들에는, 구별 가능한 철자 a 내지 c가 부분적으로 부가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각각의 장치(1 내지 1b)는 승용차의 충전 공간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충전 공간은 승용차의 차량 실내의 후방 영역에 제공되어 있고, 뒷좌석의 등 받침대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개별 충전 공간 커버의 카세트 하우징은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가로 방향으로 2개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2 내지 2c) 사이로 연장된다. 각각의 카세트 하우징은 하나의 하우징 중앙부(5, 5a, 5b) 및 2개의 하우징 측면부(6, 6a, 6b)를 구비하며, 이들 하우징 측면부는 하우징 중앙부(5, 5a, 5b)의 마주 놓인 전면에서 하우징 중앙부(5, 5a, 5b)와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 측면부(6, 6a, 6b) 중 하나 이상은 하우징 중앙부(5, 5a, 5b)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우징 종축을 따라서, 다시 말하자면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가로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선형 동작을 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선형 동작 가능한 하우징 측면부(6, 6a, 6b)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압축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카세트 하우징의 중앙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부에 놓인 최종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우징 측면부(6, 6a, 6b)는 외부 부하 없이 스프링력의 제공에 의해 외부 최종 위치에서 하우징 중앙부(5, 5a, 5b)의 상응하는 정지부에 고정된다.
장착된 기능 위치에서는, 카세트 하우징(5 내지 5b, 6 내지 6b)이 충전 공간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2 내지 2c)의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기능 위치에서 뒷좌석의 등받이 어셈블리 바로 뒤에 위치되어 있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상응하는 장치(1 내지 1b)가 위치되어 있는 충전 공간은 차량 후방 입구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차량 세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자가 장착된 충전 공간 커버 및 이로써 또한 장착된 카세트 하우징(5 내지 5b, 6 내지 6b)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간단한 수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장치(1 내지 1b)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공되어 있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카세트 하우징(5 내지 5b, 6 내지 6b) 내에는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와인딩 샤프트 상에는 커버 평면(3, 3a) 형태의 유연한 평면 구조물이 감고 풀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커버 평면(3, 3a)의 인출 또는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커버 평면(3, 3a)은, 카세트 하우징(5 내지 5b, 6 내지 6b)의 세로 측 영역에 있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세로 슬롯을 통과해서 카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된다. 커버 평면(3, 3a)에 가해지는 외부 인장 부하 또는 고정 부하가 제거된 경우에, 커버 평면(3, 3a)을 감긴 정지 위치로, 다시 말하자면 커버 평면(3, 3a)이 카세트 하우징(5 내지 5b, 6 내지 6b) 내부에서 삽입된 위치로 돌려보내기 위하여, 와인딩 샤프트(12, 12a, 12b)는 와인딩 스프링(13, 13a)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감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커버 평면(3, 3a)은 푸는 방향으로 전방에 있는 자신의 전단부 영역에 형상 안정적인 가로 프로파일(4, 4a)을 구비하며, 이 가로 프로파일은 연장 프로파일로서도 지칭된다. 가로 프로파일(4)은 커버 평면(3)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고, 자신의 마주 놓인 전단부 영역에 의해서 커버 평면(3, 3a)의 개별 측면 에지 위로 돌출한다. 푸는 방향으로 전방으로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형상 안정적인 윤곽부가 가로 프로파일(4)에 연결되며, 이 형상 안정적인 윤곽부에는 커버 평면(3)을 파지하기 위한 그리핑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측방 난간(2 내지 2c)에는, 한 편으로는 개별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 내에 개별 하우징 측면부(6 내지 6b)의 전면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가 제공되어 있다. 다른 한 편으로, 각각의 측방 난간(2 내지 2c)은 예컨대 수평의 지지 영역(9 내지 9c)을 구비하며, 이 수평 지지 영역은 개별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로부터 차량 중심부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개별 측방 난간(2)은 충전 공간 및 이로써 차량 실내의 차량에 고정된 측방 라이닝의 부분이다. 지지면(9 내지 9c)은 개별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개별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는 개별 측방 난간(2 내지 2c)의 예컨대 수직 벽 섹션에 제공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뿐만 아니라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측방 난간(2, 2a)의 예컨대 수평 지지면(9, 9a)에서는 간격을 두고 차량 측 수용부(7, 7a) 뒤에 - 승용차의 정상적인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 작동 부재(10, 10a)가 배열되어 있다. 작동 부재(10, 10a)는 측방 난간(2, 2a)에서 차량 측에 차량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작동 버튼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작동 부재(10, 10a)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지지부는 측방 난간(2, 2a)에서 지지면(9, 9a)의 영역에 통합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지지면(9, 9a)은 상응하는 리세스를 구비하고, 이 리세스를 통과하여 작동 부재(10, 10a)가 정지 위치(도 5)에서 위로 돌출한다. 작동 부재(10, 10a)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 자신의 정지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된다. 측방 난간(2, 2a)에 있는 리세스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가로 프로파일(4, 4a)에 의해서 작동 부재(10, 10a)를 아래로 가압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 중앙 쪽으로 아래로 이동되어 있다. 작동 부재(10, 10a)는 차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그리고 차량 수직 방향으로 예컨대 수직으로 위로 돌출하는 스톱 에지(14, 14a)를 구비하며, 이 스톱 에지는 차량 측 수용부(7, 7a) 쪽을 향하는 작동 부재(10, 10a)의 일 표면의 측에 위치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차량 측 수용부(7)가 고정 캐리지를 구비하며, 이 고정 캐리지는 카세트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 측면부(6)를 수용하고, 측방 난간(2)의 가이드 레일(8)을 따라서 차량 세로 방향으로 제한된 선형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캐리지(7)는 측방 난간(2)의 가이드 레일(8) 내에 통합된 안전 볼트(11)에 의해서 자신의 고정된 정지 위치(도 1)에 고정된다. 안전 볼트(11)는 고정 장치의 부분이고,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 부재(10, 10a)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원격 제어 장치는 기계식 원격 제어 장치로서 구현되어 있다.
차량 측 수용부(7)의 고정 캐리지에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하며, 이 스프링력은 안전 볼트(11)의 상응하는 풀림에 의해서 고정 캐리지가 풀릴 때에, 차량 측 수용부(7)의 고정 캐리지가 상응하는 스프링력에 의해서 차량 세로 방향으로 차량 후방 쪽으로 뒤로 변위되는 상황을 야기한다. 이 경우에는, 충전 공간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2)의 마주 놓인 차량 측 수용부(7)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마주 놓인 고정 캐리지도 동일한 방식으로 릴리스 되고, 스프링력에 의해서 차량 후방 쪽으로 뒤로 변위된다. 고정 캐리지 및 카세트 하우징(5, 6)을 차량 세로 방향으로 뒤로 끌어당기는 스프링력은 간단한 방식으로 카세트 하우징(5, 6) 내부에서 와인딩 샤프트(12, 12a)의 와인딩 스프링(13, 13a)에 의해 구성된다. 가로 프로파일(4)이 양측에서 작동 부재(10)의 스톱 에지(14)에서 개별 측방 난간(2)의 지지면(9) 내에서 차량 세로 방향으로 전방으로 차단되어 있음으로써, 안전 볼트(11)의 풀림에 의한 고정 캐리지의 릴리스 후에 고정 캐리지 및 카세트 하우징(5, 6)에 감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와인딩 스프링(13)의 토크는, 커버 평면(3)을 와인딩 샤프트 상에 감기 위하여 차량 후방 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강제로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카세트 하우징(5, 6)은 거의 자동으로, 차단된 가로 프로파일(4)을 향해 이동된다.
가로 프로파일(4)이 형상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 프로파일이 2개 작동 부재(10)의 정지 위치에서 스톱 에지(14)에 접하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가로 프로파일(4)을 수동으로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마주 놓인 측방 난간(2)의 2개 작동 부재(10)가 동시에, 동시적으로 그리고 동기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마주 놓인 차량 측 수용부(7)의 2개의 안전 볼트(11)가 동시에 풀림으로써, 결과적으로 2개의 고정 캐리지는 서로 동시에, 카세트 하우징(5, 6)과 함께 뒤로 이동된다. 이 경우, 카세트 하우징(5, 6)은 마주 놓인 측방 난간(2)의 지지면(9)을 따라서 평행하게 차량 후방 쪽으로 뒤로 변위된다. 웹 형상의 정지 윤곽(14)의 영역에서 카세트 하우징(5, 6)이 정지하고, 그 다음에는 간단한 방식으로 위로 차량 측 수용부(7)의 고정 캐리지의 상응하는 수용 프로파일링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따른 전술된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장치(1a)에서의 중요한 차이점은, 차량 측 수용부(7a)가 차량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별 측방 난간(2a)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다. 개별 차량 측 수용부(7a)에는 이젝터(11a)를 갖는 이젝팅 장치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이젝터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작동 부재(10a)를 통해서 작동된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마주 놓인 2개의 하우징 측면부(6a)가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제한적으로 선형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이젝터(11a)는 상응하는 부하가 가해질 때에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2개의 하우징 측면부(6a)를 차량 중앙으로 그리고 이로써 하우징 중앙부(5a) 쪽으로 내부로 가압하며, 이로 인해 상응하게 하우징 측면부(6a)의 전면 프로파일링이 차량 측 수용부(7a)의 상보적인 수용 프로파일링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그 다음에, 하우징 측면부(6a)가 동일한 방식으로 개별 측방 난간(2a)의 개별 지지면(9a)에서 정지 에지(14a)의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정지 에지에는 가로 프로파일(4a)의 개별 전단부 영역이 마주 놓인 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기계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차량 측 수용부(7a) 내에서 작동 부재(10a)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이젝터(11a) 간에 기능적인 결합을 만들어준다. 작동 부재(10a)에 의한 이젝터(11a)의 동기 방식의 그리고 이로써 동시적이고 동기적인 풀림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로 프로파일(4a)의 전단부 영역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하우징 측면부(6a)가 측방 난간(2a)의 지지면(9a)을 따라서 장애 없이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위하여, 차량 측 수용부(7a)는 차량 후방 쪽으로 연결되는 측방 난간(2a)의 벽 섹션에 대하여 차량 중앙 쪽으로 내부로 돌출한다. 그 이유는, 하우징 측면부(6a)가 이젝터(11a)에 의해서 상응하는 작동 중에 하우징 중앙부(5a)의 중앙 쪽으로 내부로, 하우징 측면부(6a)가 차량 측 수용부(7a)로부터 자유롭게 될 때까지 가압되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카세트 하우징이 와인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차량 후방 쪽으로 이동되며, 이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하우징 측면부(6a)가 재차 자신의 외부 최종 위치로 가압된다. 이 경우에 하우징 측면부(6a)가 측방 난간(2a)의 수직 벽 섹션에 끼게 되는 현상(jamming)을 피하기 위하여, 차량 측 수용부(7a)에 차량 후방 쪽으로 뒤로 연결되는 마주 놓인 수직 벽 섹션들의 서로에 대한 간격은 하우징 측면부(6a)의 외부 최종 위치에서 카세트 하우징의 길이보다 크다.
카세트 하우징(5a, 6a)은, 커버 평면(3a)이 완전히 감겨 있고 가로 프로파일(4a)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카세트 하우징(5a, 6a)의 세로 슬롯 영역에서 카세트 하우징(5a, 6a)의 상응하는 세로 측에 접하게 되자마자, 정지 웹(14a)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제는, 커버 평면, 가로 프로파일 및 윤곽부를 포함하는 카세트 하우징이 간단한 방식으로 수동으로 위로 인출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장치(1b)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측면부(6b)가 전면에서 차량 가로 방향으로 차량 측 수용부(A) 내로 삽입됨으로써, 카세트 하우징(5b, 6b)은 일 측에서 - 본 경우에는 좌측 측방 난간(2b)의 영역에서 - 차량 측 수용부(A)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카세트 하우징(5b, 6b)이 마주 놓인 측면부(6b)의 영역에서 마주 놓인 차량 측 수용부(7b) 내부로 수평으로 피봇팅 된다. 이 목적을 위해, 마주 놓인 측방 난간(2b)은 예컨대 수평으로 내부로 돌출하는 지지면(9b)을 구비한다. 수용부(7b)에 할당된 하우징 측면부(6b)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하우징 세로 방향으로 제한된 선형 동작을 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력에 의해서 외부 최종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된다. 차량 측 수용부(7b)는 하우징 측면부(6b)의 상응하는 전면 고정 프로파일링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래치 어셈블리(11b)를 구비한다. 하우징 측면부(6b)의 전면 고정 프로파일링뿐만 아니라 하우징 측면부(6c)의 고정 프로파일링을 위한 상응하는 수용 프로파일링을 형성하기 위한 래치 어셈블리(11b)의 윤곽부도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현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추가의 설명을 위해서는 도 11 내지 도 14가 보완적으로 참조된다. 래치 어셈블리(11b)가 도 8에 도시된 수용부(7b)의 수용 위치에서는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고정 장치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측면부(6c)의 전면 고정 프로파일링(21c)의 로킹 결합은 도 8에 따른 화살표 방향으로의 피봇팅 동작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하우징 측면부(6b)는, 고정 프로파일링(21c)이 래치 어셈블리(11b, 11c)의 수용 프로파일링들 사이에 파지될 때까지, 래치 어셈블리(11b)의 외부 윤곽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에 차량 중앙 쪽으로 후퇴한다.
래치 어셈블리(11b)의 고정 장치를 풀기 위하여, 원격 전달 요소로서 이용되는 인장 벨트(16b)를 구비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원격 제어 장치의 인장 벨트(16b)는 루프로서 형성된 그리핑 요소(15b) 내부와 통하고, 상기 그리핑 요소는 간격을 두고 차량 측 수용부(7b) 뒤에서 차량 중앙 쪽으로 측방 난간(2b)으로부터 돌출한다. 인장 벨트(16b)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측방 난간(2b)의 수직 벽 섹션 뒤에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측방 난간(2b)에 의해 덮여 있다. 조작자가 카세트 하우징(5b, 6b)의 고정 위치에서(도 9) 루프로 형성된 그리핑 요소(15b)에서 도 10에 따른 화살표 방향으로 뒤로 이동하자마자, 자신의 고정 위치의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 받은 래치 어셈블리(11b)는 수평 평면에서 피봇팅 되며, 이로 인해 - 차량 세로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 앞에 있는 래치 어셈블리(11b)의 래치 섹션은 차량 중앙 쪽으로 내부로 피봇팅되는 한편, 뒤에 있는 래치 어셈블리(11b)의 래치 섹션은 측방 난간(2b) 내부로 피봇팅되어 하우징 측면부(6b)를 릴리스한다. 래치 어셈블리(11b)의 전방 래치 섹션은 하우징 측면부(6b)의 고정 프로파일링(21c)에 차량 후방 쪽으로 뒤로 작동 임펄스를 가하고, 이로 인해 하우징 측면부(6b)는 재차 지지면(9b) 상에서 예컨대 도 8에 따른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뒤로 이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세트 하우징의 상응하는 우측 절반이 조작자에 의해서 간단히 파지될 수 있다. 조작자는 마주 놓인 하우징 측면부의 영역에 있는 카세트 하우징을 마주 놓인 차량 측 수용부(A)로부터 끌어내고, 이제는 커버 평면, 가로 프로파일 및 윤곽부를 포함하는 카세트 하우징을 차량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기능 방식은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적어도 대체로 동일하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상응하는 개략도들은 보완적으로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참조 부호들도 갖는다.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다만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의 차이점들만 논의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카세트 하우징은 일 측에서 도 6에 따른 도면과 유사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주 놓여 있는 지지부는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도면들에 상응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의 중요한 차이점은, 원격 전달을 위한 원격 제어 장치가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인장 벨트(16b)와 같은 순수한 인장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오히려 본 경우에는 원격 전달 로드(16c) 형상의 형상 안정적인 인장 수단/압축 수단을 구비한다는 데 있다. 또한, 상응하는 그리핑 요소(15c)는, 전면에서 원격 전달 로드(16c)에 고정되어 있고 차량 세로 방향으로 뒤로 측방 난간(2c)으로부터 돌출하는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루프로서 형성된 그리핑 요소(15b)가 중앙 쪽으로 측방 난간(2b)으로부터 돌출한다. 원격 전달 로드(16c)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전방으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캐리지(18c)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캐리지는 래치 어셈블리(11c)와 제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래치 어셈블리(11c)는 -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 차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팅 축을 중심으로 측방 난간(2c)에 피봇팅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래치 어셈블리(11c)의 예컨대 수평 피봇팅 평면이 나타나게 된다. 래치 어셈블리(11c)는 자신의 수용 프로파일링 그리고 전방 및 후방 래치 섹션과 관련하여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어 캐리지(18c)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래치 어셈블리(11c)를 관통해서 돌출하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피봇팅 축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외측에서 제어 캐리지(18c)에 이웃하여 위치되어 있다. 제어 캐리지(18c)는 원격 전달 로드(16c)를 포함하여 차량 세로 방향으로 측방 난간(2c)에 선형 동작을 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제어 캐리지(18c)는 링크 가이드(link guide)로서 형성된 제어 곡선(20c)을 구비한다. 래치 어셈블리(11c)에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해서 알 수 있지만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 곡선(20c) 내부로 돌출하는 링크 핀이 제공되어 있다. 제어 캐리지(18c) 및 원격 전달 로드(16c)가 차량 세로 방향으로 변위되자마자, 제어 곡선(20c)은 링크 핀과 함께 래치 어셈블리(11c)의 강제 가이드를 규정한다. 제어 캐리지(18c) 및 원격 전달 로드(16c)에는 반동 스프링(17c)이 할당되어 있으며, 이 반동 스프링은 한 편으로는 난간 측 스톱(22)에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어 캐리지(18c)에서 지지되고, 제어 캐리지(18c) 및 원격 전달 로드(16c)를 도 13에 따른 정지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리핑 요소(15c)에서 수동으로 차량 후방으로 이동되자마자, 제어 캐리지(18c)는 스크루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반동 스프링(17c)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래치 어셈블리(11c)는 도 13 및 도 14에 따라 시계 바늘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팅 된다. 이 경우에는, 래치 어셈블리(11c)의 전방 래치 섹션이 하우징 측면부(6c)의 고정 프로파일링(21c)에 동작 임펄스를 차량 세로 방향으로 뒤로 가하며, 이로 인해 하우징 측면부(6c)는 차량 후방으로 측방 난간(2b, 2c)의 지지면(9b, 9c)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동작 임펄스의 강도는 그리핑 요소(15)의 수동 견인 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조작자는, 그리핑 요소(15c)에서 약하고 느리게 끌어당기는 경우보다 그리핑 요소(15c)에서 신속하고 힘있게 끌어당기는 경우에, 하우징 측면부(6c)의 지지면(9b, 9c) 상에서 더 긴 슬라이딩 거리에 도달할 수 있다.
2 내지 2c. 측방 난간 5.5a.5b. 하우징 중앙부
6. 6a.6b. 하우징 측면부 7 내지 7c. 차량측 수용부

Claims (14)

  1.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 고정 장치에 의해서 상기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 측면부(6 내지 6c), 및 고정 장치를 해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1, 1a, 1b)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차량 측에 배열되어 있고, 고정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가 수용부(7 내지 7c)에 할당된 이젝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젝팅 장치는 제어 장치가 차량 가로 방향으로 또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작동될 때에 하우징 측면부(6 내지 6c)에 작동 임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이젝팅 장치가 측방 난간(2a, 2b, 2c)에 배열된 이젝터(11a, 11b, 11c)를 구비하고, 상기 이젝터는 작동 중에 하우징 측면부에 차량 가로 방향으로 또는 차량 세로 방향으로 작동 임펄스를 가하며,
    상기 이젝터가 수평의 피봇팅 평면에 피봇팅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 어셈블리(11b, 11c)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고정 장치에 대해 간격을 두고 있는 작동 부재(10, 10a; 15b, 15c)를 구비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조물이 충전 공간 커버의 카세트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차량 측 수용부(7 내지 7c)는 차량 실내의 측방 난간(2 내지 2c)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측면부(6 내지 6c)가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우징 세로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선형 동작을 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 구조물 내에 와인딩 샤프트(12, 12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 상에 유연한 평면 구조물(3, 3a)이 감고 풀 수 있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와인딩 샤프트(12, 12a)에는 상기 와인딩 샤프트를 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 모터(13, 13a)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측 수용부(7)가 측방 난간(2)을 따라서 제한적으로 동작을 하도록 지지된 고정 캐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그리핑 요소(15b, 15c)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15b, 15c)는 기계식 원격 전달 요소(16b, 16c)를 통해서 이젝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 실내(2)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2, 2a)에 서로에 대해 상보적이고 고정 장치를 각각 하나씩 갖춘 2개의 수용부(7, 7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2개의 고정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마주 놓인 측방 난간(2, 2a)의 영역에 작동 부재(10, 10a)가 각각 하나씩 제공되어 있으며, 기계식 연결 부재가 2개 작동 부재(10, 10a)의 동시 동작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평면 구조물(3, 3a)의 형상 안정적인 가로 프로파일(4, 4a)이 연결 부재로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용부(2, 2a)에 차량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젝터가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있으며, 하우징 구조물은 2개의 전면에 하우징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하우징 측면부(6, 6a)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측면부(6, 6a)는 자신의 외부 최종 위치의 방향으로 하우징 중앙부(5, 5a)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프링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1020180143831A 2017-11-20 2018-11-20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102567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20725.6A DE102017220725B4 (de) 2017-11-20 2017-11-20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Gehäusestruktur in einem Fahrzeuginnenraum
DE102017220725.6 201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54A KR20190058354A (ko) 2019-05-29
KR102567979B1 true KR102567979B1 (ko) 2023-08-17

Family

ID=6370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831A KR102567979B1 (ko) 2017-11-20 2018-11-20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86119A1 (ko)
KR (1) KR102567979B1 (ko)
CN (1) CN109808606A (ko)
DE (1) DE102017220725B4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691A1 (de) * 2009-09-16 2011-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Kofferraumabdeckung
US20150203044A1 (en) * 2014-01-22 2015-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ll cov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2276C2 (de) 1995-09-01 1997-08-07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abdeckung für einen Kombi-Personenkraftwagen
DE102005023967B4 (de) * 2005-05-20 2007-04-19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längsverstellbarer Wickelwelle
DE102014211163B4 (de) * 2013-06-28 2023-12-21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sowie Antriebsvorrichtung hierfür
DE102015201058A1 (de) * 2015-01-22 2016-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de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691A1 (de) * 2009-09-16 2011-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Kofferraumabdeckung
US20150203044A1 (en) * 2014-01-22 2015-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ll cov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54A (ko) 2019-05-29
CN109808606A (zh) 2019-05-28
DE102017220725A1 (de) 2019-05-23
DE102017220725B4 (de) 2020-11-12
EP3486119A1 (de)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6642B2 (ja) 自動車の室内用の防御装置
US7918490B2 (en) Drive device for moving a covering element, door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rive device
JP3670610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ーム用カバー装置
JP4392611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409521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storage space of a motor vehicle and drive device therefor
KR20080014631A (ko) 자동 수축기능을 갖는 수동 윈도우 블라인드
CN106585502B (zh) 用于机动车的行李舱的保护装置
KR20090009749A (ko) 롤러 블라인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차양 롤러 블라인드
JP2004075062A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2007039026A (ja) 滑らかな押圧要素を備えるローラブラインド
US3865397A (en) Vehicle safety belt systems
JP4286449B2 (ja) 可撓性ドアパネルを備えたローリングドア
KR101558799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CN110236813B (zh) 轮椅制动系统
KR102567979B1 (ko)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20140111311A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291572B1 (ko) 자동차용 차양 시스템
CN109098596B (zh) 一种车辆门的无源锁闭装置及应用有该锁闭装置的门载系统
CN107995897B (zh) 用于机动车窗的遮蔽装置
US9010831B2 (en) Motor vehicle with an adjustable loading panel in a cargo space
KR101744587B1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DE102016219504A1 (de) Laderaumabdec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0440285B1 (ko)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안전장치
ITRM990514A1 (it) Struttura di tetto.
JPH0820284A (ja) 車輌トランク用仕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