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23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231B1
KR102567231B1 KR1020160075545A KR20160075545A KR102567231B1 KR 102567231 B1 KR102567231 B1 KR 102567231B1 KR 1020160075545 A KR1020160075545 A KR 1020160075545A KR 20160075545 A KR20160075545 A KR 20160075545A KR 102567231 B1 KR102567231 B1 KR 10256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ngine
supported
cylinder member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862A (ko
Inventor
유타카 요네다
도시오 도미나가
마사루 마츠모토
게이스케 사시마
요오헤이 시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2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엔진 보닛의 자세 전환이 가능한 것에 있어서, 자세 전환 작업을 행할 때의 노동력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었다.
엔진(34)의 상방을 덮는 엔진 보닛(35)과, 엔진(34)의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와, 기체 프레임(37)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통 형상의 지지 부재(38)와, 엔진 보닛(35)에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40)를 구비하고, 회전 지지점 부재(40)가 지지 부재(38)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엔진 보닛(35)이 후퇴 자세와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가 지지 부재(38)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엔진 보닛이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후퇴 자세와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엔진 보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주가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기립 설치되고, 그 지주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함께, 상단부에 소직경의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보닛측에 통 형상의 회전 지지점 부재가 구비되고,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가 지주의 상부에 형성된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기 지지되고, 회전 지지점 부재의 상단부가 탈곡 장치에 연결된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0-75118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엔진 보닛측의 회전 지지점 부재는, 지주 및 탈곡 장치에 연결된 지지 부재의 각각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의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긴 지주를, 원동부에 구비되는 다른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불리한 면이 있고,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회전 지지점 부재가 고정측 부재(지주 및 지지 부재)에 대하여 끼워 넣기 지지되는 개소는, 소정의 치수 공차가 있어, 약간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끼워 넣기 지지되는 개소에 있어서의 치수 공차를 0으로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회전 지지점 부재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지지점 길이, 즉,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간격이 짧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끼워 넣기 지지 개소에 있어서의 치수 공차에 기인한 덜걱거림에 의해, 돌출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엔진 보닛 전체가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캐빈을 포함하는 운전부 전체가 엔진 보닛과 일체적으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에서는, 이 경사량이 커질 우려가 있었다.
돌출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엔진 보닛 전체가 하방으로 경사지면, 엔진 보닛을 돌출 자세로부터 후퇴 자세로 전환할 때에, 엔진 보닛 전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후퇴 자세를 향하여 회전시킬 필요가 있어, 자세 전환 작업을 행할 때의 노동력 부담이 증가되는 불리가 있다.
따라서, 엔진 보닛의 자세 전환이 가능한 것에 있어서, 자세 전환 작업을 행할 때의 노동력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는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기립 설치됨과 함께 통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엔진 보닛에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엔진 보닛이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후퇴 자세와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측에는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통 형상의 지지 부재가 기립 설치된다. 보닛에는, 엔진 보닛에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회전 지지점 부재가 지지 부재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지지점 부재는, 통 형상의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 부재에 대한 끼워 넣기 삽입 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회전 지지점 부재를 종래의 것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회전 지지점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에 있어서, 회전 지지점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간격이 종래보다도 커진다.
그 결과, 고정측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간격이 종래의 것보다 커지므로, 회전 지지점 부재가 고정측 부재에 대하여 지지되는 개소에 소정의 치수 공차가 존재하여 덜걱거림이 발생하고 있어도, 회전 지지점 부재에 있어서의 고정측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간격이 길어지므로, 돌출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엔진 보닛 전체가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량은 적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기립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유효 이용하여,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지지되고 있다.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지 부재 대신에, 기체 프레임으로 지지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와 같이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성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큰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로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지지하므로, 평면에서 본 설치 스페이스를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설치 스페이스를 적게 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하면서, 엔진 보닛을 돌출 자세로부터 후퇴 자세로 전환할 때에, 엔진 보닛 전체를 상방으로 크게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자세 전환 작업을 행할 때의 노동력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의 통 내부에,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를 축심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가, 지지 부재의 통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된다. 베어링부는, 지지 부재의 통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지지 부재의 축심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어링부의 위치에 의해 회전 지지점 부재의 지지 부재에 대한 삽입 깊이가 정해지므로, 베어링부의 지지 부재의 축심 방향을 따르는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회전 지지점 부재의 지지 부재에 대한 삽입 깊이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하 도중 위치에, 그 위치보다도 상부측 개소에 있어서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의 내경을 갖는 직경 축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직경 축소부의 상부의 단차부에 의해 받침 지지되어, 상기 직경 축소부가 상기 베어링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끼워 넣기 삽입된 회전 지지점 부재는, 그 하단부가,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하 도중 위치에 형성된 직경 축소부의 상부의 단차부에 의해 받침 지지된다. 그리고, 직경 축소부 또는 그 근방에 구비된 미끄럼 이동부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되어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에 직경 축소부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지지점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회전 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부의 외주부와 상기 직경 축소부의 내주부 사이에 미끄럼 이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 축부가, 직경 축소부의 내주부에 끼워 넣어지고, 회전 축부의 외주부와 직경 축소부의 내주부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회전 지지점 부재가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직경 축소부의 내주부를 유용하게 이용하여 회전 지지점 부재를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미끄럼 이동부가 소형이어서 가공의 수고도 적고 간이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는, 직경 방향 내측이며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통 형상의 내통 부재와, 그 내통 부재의 직경 방향 외측이며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통 형상의 외통 부재를 구비하고, 그것들을 일부 끼워 맞추는 상태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상단부에 의해 상기 직경 축소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가 연결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통 형상의 내통 부재와 통 형상의 외통 부재를, 내통 부재가 하측에 위치하고, 외통 부재가 상측에 위치하고, 그것들이 일부 끼워 맞춰지는 상태로 연결하여, 지지 부재가 구성된다.
내통 부재의 상단부는, 외통 부재의 통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 내통 부재의 상단부에 의해 직경 축소부가 형성됨과 함께,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하 도중 위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된다. 내통 부재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측에는 외통 부재가 존재하고, 내통 부재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은 내통 부재가 존재하므로, 내통 부재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의 내경은, 내통 부재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측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이다.
내통 부재와 외통 부재가 연결 해제 가능하기 때문에, 그것들의 연결을 해제하고, 외통 부재를 제거하면, 내통 부재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는 상태로 되므로, 이 내통 부재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전 지지점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외통 부재의 외주부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 중 직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외통 부재의 외주부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지지되어 있다. 회전 지지점 부재는 외통 부재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는 상태에서 끼워 넣기 삽입되므로,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회전 지지점 부재의 장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지지점 부재를 경사가 적은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콤바인 전방부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탈곡 장치와 배기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
도 5는 콤바인 전방부의 우측면도.
도 6은 원동부의 좌측면도.
도 7은 회전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8은 곡립 탱크의 배면도.
도 9는 곡립 탱크의 평면도.
도 10은 곡립 탱크의 사시도.
도 11은 곡립 탱크의 사시도.
도 12는 배기관의 종단 정면도.
도 13은 차열 커버의 사시도.
도 14는 차열 커버의 횡단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자탈형의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참조 부호 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2)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3)에 의해 주위가 덮인 운전부(4)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는, 예취부(2)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5)와,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6)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운전부(4)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7)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원동부(8)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언로더(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부호(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 도 1 및 도 2에 부호(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도 2에 부호(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예취부(2)는 예취 대상으로 되는 식립곡간의 밑동을 분초 안내하는 분초구(10)와, 분초된 식립곡간을 세로 자세로 기립시키는 복수의 기립 장치(11), 기립된 식립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2), 예취곡간을 세로 자세로부터 서서히 가로 쓰러짐 자세로 되도록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5)에 공급하는 종반송 장치(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5)는 공급된 예취곡간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5a)과 끼움 지지 레일(5b)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기체 후방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14)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한다. 급실(14)은 탈곡 장치(5)의 좌우 양측의 가로 측벽(15), 천장판(16), 전방부 벽(17), 후방부 벽(18)의 각각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급실(14)의 내부에, 전방부 벽(17)과 후방부 벽(18)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후 축심 주위에서 회전 구동되는 급동(19), 그 하방측의 외주를 따르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수망(20)(도 4 참조) 등을 구비하고, 급동(19)과 수망(20)에 의해 예취곡간의 이삭 끝측을 훑기 처리하여 탈곡 처리를 행한다.
탈곡 처리된 후의 처리물이 하방의 선별부(21)에서 곡립과 볏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된다. 곡립은, 도시하지 않은 1번 처리물 반송 스크루에 의해 탈곡 장치(5)의 우횡측 외측으로 반출된 후, 양곡 컨베이어(22)에 의해 리프팅되어 곡립 탱크(6)의 내부에 반송된다. 곡립 탱크(6)는 탈곡 장치(5)로부터 보내어지는 곡립을 저류한다. 그 후, 곡립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은, 언로더(9)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선별부(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탈곡 처리물을 요동 이송하면서 비중차 선별을 행하고, 풍구(23)에서 발생하는 선별풍에 의해 볏짚 부스러기 등을 날려버리고, 탈곡 장치(5)의 기체 후방 단부에 형성된 배진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풍구(23)는 탈곡 장치(5)의 기체 전방부측 하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풍구(23)는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구동축(24)의 외주부에 복수의 블레이드체(25)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23)가 구비되는 개소의 탈곡 장치(5)의 좌우 양측의 가로 측벽(15)에 흡기구(26)가 형성되어 있다. 풍구(23)는 구동축(24)이 회전 구동되어 블레이드체(25)가 회전함으로써, 좌우의 흡기구(26)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면서, 그 흡인한 공기를 선별부(21)를 향하여 선별풍으로서 송풍한다.
탈곡 장치(5)는 천장판(16)과 급동(19) 등을 일체적으로 상방으로 개방하여, 수망(20)에 부착되어 있는 막힘 곡간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작업 종료 후의 점검 수리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4)에 있어서의 전방부 벽(17), 후방부 벽(18), 급동(19), 천장판(16) 등을 구비한 상부 구조체(27)가, 일체적으로 지지 아암(28)을 통해, 기체 우측(곡립 탱크측)에 위치하는 전후 축심 X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부 프레임체(29)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구조체(27)와 하부 프레임체(29)에 걸쳐 유압 실린더(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30)를 신축 조작함으로써, 상부 구조체(27)는 하부 프레임체(29)에 근접하여 천장판(16)이 폐쇄된 폐쇄 위치와, 상승 요동하여 천장판(16)이나 급동(19) 등이 개방된 유지 보수용의 개방 위치(도 4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 주위의 개폐 구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는 운전 좌석(7), 운전 좌석(7)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31), 이 프론트 패널(31)과 운전 좌석(7)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32), 운전 좌석(7)에 대하여 기체 좌우 방향 내측(좌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3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는 상방측이 캐빈(3)으로 덮여 있다. 운전 좌석(7)은 원동부(8)에 구비된 디젤 형식의 엔진(34)의 상방을 덮는 엔진 보닛(35)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35)은 엔진(34)의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판부(35a), 엔진(34)의 기체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면부(35b), 상면부(35b)의 후방에 이어지는 상태에서 운전 좌석(7)의 후방에 형성된 급기실 구성부(35c) 등을 구비하여 엔진 룸을 형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35), 프론트 패널(31), 사이드 패널(33), 바닥부(32), 운전 좌석(7), 캐빈(3) 등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운전부 구조체(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운전부 구조체(36)는 도 2 및 도 5∼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7)의 좌측 후방부측의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37)에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운전부 구조체(36)의 회전 지지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도 5∼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의 좌측 후방부측 개소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37)으로부터 통 형상의 지지 부재(38)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운전부 구조체(36)의 배면부의 좌측 개소에, 아암부(39)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40)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 지지점 부재(40)가 지지 부재(38)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되어,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운전부 구조체(36)가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후퇴 자세와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부가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8)는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내통 부재(41)와,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통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내통 부재(41)가 하측에 위치하고, 외통 부재(42)가 상측에 위치함과 함께, 내통 부재(41)와 외통 부재(42)가 일부 끼워 맞춰지는 상태에서 볼트(43)로 연결되어 있다. 내통 부재(41)의 하부를, 기체 프레임(37)에 용접 고정된 고정 핀(44)에 외부 끼움 장착한 상태에서,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45)를 기체 프레임(37)에 볼트 연결함으로써, 내통 부재(41)는 기체 프레임(37)에 고정되어 있다. 외통 부재(42)의 상하 길이는 내통 부재(41)의 상하 길이보다도 길다.
지지 부재(38)의 내부에, 회전 지지점 부재(40)를 축심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하는 베어링부(46)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8)의 내부에 있어서, 내통 부재(41)의 상단부에 의해 직경 축소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직경 축소부(47)보다도 하부측 개소의 내경은, 직경 축소부(47)보다도 상부측 개소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축소부(47)의 내주부에는 미끄럼 이동 안내용의 부시(4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하단부에는,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의 회전 축부(49)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하단부가 내통 부재(41)의 상측 단부면에 의해 받침 지지됨과 함께, 회전 축부(49)가 직경 축소부(47)의 내주부에 구비된 부시(48)에 끼워 맞춰져,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재(38)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하단부에 형성된 회전 축부가 부시(48)에 끼워 넣어지고,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하단부면이 내통 부재(41)의 상단부면(41a)에 접촉 지지되어, 회전 지지점 부재(40)가 내통 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내통 부재(41)의 상단부가 베어링부(46)로서 기능함과 함께, 회전 축부(49)와 직경 축소부(47)의 내주부에 구비된 부시(48) 사이에 미끄럼 이동부(5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상단부는, 탈곡 장치(5)의 가로 측벽(15)에 연결된 브래킷(50)에 의해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통 부재(41)와 외통 부재(42)는, 그것들이 끼워 맞춰지는 개소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라서 볼트로 연결되어 있다. 이 볼트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내통 부재(41)와 외통 부재(42)를 분리 가능하다. 내통 부재(41)와 외통 부재(42)의 연결이 해제되어, 외통 부재(42)가 내통 부재(41)로부터 제거되면, 내통 부재(41)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내통 부재(41)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부시(48)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운전부 구조체(36)가 회전 지지점 부재(40)를 통해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재(38)에 지지된다. 그리고, 엔진 보닛(35)을 갖는 운전부 구조체(36)가 상하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37)에 지지되고, 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부 구조체(36)가 원동부(8)의 상방을 덮도록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후퇴 자세와, 도 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동부(8)의 상방을 개방하도록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다. 운전부 구조체(3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원동부(8)의 상방이 크게 개방되므로, 원동부(8)의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곡립 탱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의 저부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V자형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곡립 탱크(6)의 최하단부에는,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기체 후방부측 외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스크루(51)가 구비되어 있다. 반송 스크루(51)에 의해 기체 후방부측 외측으로 반송된 곡립은, 언로더(9)(도 1, 도 2 참조)에 의해 반송되어 기체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더(9)는 반송 스크루(51)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상방을 향하여 세로 이송 반송하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와, 그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상부에 접속됨과 함께, 곡립을 선단의 배출구(52)까지 가로 이송 반송하는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는 기체 정면에서 보아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저부 경사면(6a)에 있어서의 기체 전방부측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또한 기체 정면에서 보아 대략 마름모형의 제1 요입부 Q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요입부 Q1은, 세로 방향을 따른 자세이며 또한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의 안측 세로면(6b)과, 세로 방향을 따른 자세이며 또한 좌우 방향을 따른 자세의 후방측 세로면(6c)과,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면(6d)의 각 면에 의해 둘러싸인 요입부로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요입부 Q1의 상측에는, 탈곡 장치(5)의 우측의 가로 측벽(15)에 근접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세로 방향을 따른 자세의 전방부 좌측면(6e)과, 그 전방부 좌측면(6e)의 상단부로부터 탈곡 장치(5)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 좌측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경사면(6f)과, 그 상부 경사면(6f)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을 따른 자세의 연장측 세로면(6g)과, 전방면측에 위치하는 전방부면(6h)과,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후방부면(6i)에 의해 형성되는 팽출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상방을 향하여 팽출하는 팽출부(6A)를 형성함으로써 곡립 저류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요입부 Q1의 기체 후방측에 이어지며, 기체 후방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오목홈으로서의 제2 요입부 Q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요입부 Q2는, 저부 경사면(6a)의 상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세로면(6j)으로부터 탱크 내측에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안측 세로면(6k)과, 기체 후방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의 저부면(6l)과, 기체 후방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의 상부면(6m)의 각 면에 의해 둘러싸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요입부 Q2에는, 후술하는 배기관(75)이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요입부 Q2의 기체 후방측에 이어지며, 또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3 요입부 Q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요입부 Q3은, 곡립 탱크(6)의 우측부에 있어서, 저부 경사면(6a)으로부터 탱크 상단부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길고, 또한 탱크 내측(기체 우측)에 요입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요입부 Q3은, 팽출부(6A)의 후방부면(6i)과, 후방부측에 위치하여 기체 좌측일수록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의 후방부측 세로면(6n)과, 최안측에 위치하는 협폭의 안측 세로면(6o)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요입부 Q3에는, 양곡 컨베이어(22)가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3 요입부 Q3의 후방부측 세로면(6n)과 후방부측의 좌측면(6p) 사이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하부측 개소를 절결하는 상태로, 제3 요입부 Q3의 기체 후방측에 이어지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마름모형(도 9 참조)의 제4 요입부 Q4가 형성되어 있다. 제4 요입부 Q4는, 세로 방향 자세이며 또한 전후 방향 자세의 내측 세로면(6q)과, 세로 방향 자세이며 또한 내측 세로면(6q)의 전단부로부터 기체 내측일수록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의 후방측 세로면(6r)과, 저부 경사면(6a)과 대략 평행한 경사 자세의 상측면(6s)의 각 면에 의해 둘러싸인 요입부로 되어 있다. 이 제4 요입부 Q4에는, 탈곡 장치(5)의 선별부에서 발생하는 가지가 붙어 있는 벼 등의 2번 처리물을 급실(14)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된다.
곡립 탱크(6)의 후방부 좌측 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 볏짚 반송 장치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제5 요입부 Q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측의 좌측면(6p)과 후방면측에 위치하는 후방부면(6t)에 걸쳐, 기체 후방부측일수록 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의 경사면(6u)을 구비하며, 제5 요입부 Q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좌측면(6e)과 후방부측의 좌측면(6p)은, 기체 좌우 방향에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팽출부(6A)의 연장측 세로면(6g)은 전방부 좌측면(6e)과 후방부측의 좌측면(6p)보다도 기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요입부 Q2의 안측 세로면(6k)과, 제4 요입부 Q4의 내측 세로면(6q)은, 기체 좌우 방향에서 대략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회전 축심인 상하 축심 Y2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37)에 지지되어,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통상 작업 자세(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기체 횡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도 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걸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 구조체(3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할 때는, 미리 곡립 탱크(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해 둘 필요가 있다.
〔원동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8)는 엔진(34), 에어 클리너(54), 엔진 냉각용의 라디에이터(55), 냉각 팬(5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54)는 엔진 보닛(35)의 급기실 구성부(35c)에 구비되고, 프리클리너(54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3)의 지붕부의 후방부 우측 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34)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저감하는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와, 그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에서 처리된 후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저감하는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처리 조작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디젤 미립자를 포집하는 공지 기술인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DPF)(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배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킨다.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는 공지 기술인 선택 촉매 환원(SCR)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원제의 일례인 요소수를 배기 가스 중에 분사하여 가수 분해시켜 암모니아를 생성하고, 그 암모니아(NH3)와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NOx)을 화학 반응시켜, 질소(N2)와 물(H2O)로 환원시킴으로써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킨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는 엔진 보닛(3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운전 좌석(7)보다도 기체 좌측으로 편의한 상태에서, 사이드 패널(33)의 하방이며 또한 엔진(34)의 상부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내측 개소에, 길이 방향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는 기체 전후 양측의 한 쌍의 지지부(59, 60)에 의해 엔진(34)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에 있어서의 기체 전방부측의 하측 개소에 배기 가스 도입구(61)가 구비되고, 배기 가스 도입구(61)가 엔진(34)측의 배기관(63)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에 있어서의 기체 후방부측의 우측 개소에 배기 가스 출구부(62)가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는 엔진 보닛(35)의 외부이며, 평면에서 보아 운전부(4)의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는 곡립 탱크(6)의 전방부 하방에 위치함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곡립 탱크(6)와 중복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는 정면에서 보아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저부 경사면(6a)에 탱크 내측을 향하여 요입하는 제1 요입부 Q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가 제1 요입부 Q1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는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로부터 공급되는 배기 가스에 대하여 요소수가 분사 공급되는 원통 형상의 도우징부(64)와, 도우징부(64)보다도 대직경의 원통 형상이며 또한 환원 처리를 행하는 본체 처리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도우징부(64)와 본체 처리부(65)는, 각각의 하부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도우징부(64)에서 요소수가 분사 공급된 배기 가스가 본체 처리부(65)에 공급되도록 연통하고 있다. 원통 형상의 도우징부(64) 및 본체 처리부(65)는 각각, 원통 형상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 처리부(65)는 원통 형상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이 기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도우징부(64)는 본체 처리부(65)에 대하여 기체 우측에 위치하여, 본체 처리부(65)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태에서, 원통 형상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이 기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는 원통 형상의 본체 처리부(65) 및 도우징부(64)의 원통 형상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 즉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세로 배치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는 상부측의 연결 지지부(66) 및 하부측의 연결 지지부(67)에 의해, 운전부 구조체(3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외통 부재(42)에 지지되어 있다. 즉, 상부측의 연결 지지부(66) 및 하부측의 연결 지지부(67)의 각각에 있어서, 외통 부재(42)의 외주부에 일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연결 브래킷(68)이 고정되어 있다.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본체 처리부(65)의 외주부에, 상하 양측의 연결 브래킷(68)에 대응하는 개소에 가로 방향 지지체(69)가 고정되어 있다. 상하 양측의 가로 방향 지지체(69)를 상하 양측의 연결 브래킷(68)에 볼트로 연결함으로써,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가 외통 부재(42)에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에 있어서의 기체 후방부측의 기체 우측(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배기 가스 출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 있어서, 본체 처리부(65)에 대하여 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도우징부(64)의 상부측 개소에 배기 가스 공급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의 배기 가스 출구부(62)와,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배기 가스 공급부(70)가 접속 부재로서의 연통 접속관(71)을 통해 연통 접속되어 있다. 연통 접속관(71)은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의 배기 가스 출구부(62)에 플랜지 연결됨과 함께,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배기 가스 공급부(70)에 플랜지 연결된다.
연통 접속관(71)은 가요성을 갖는 벨로즈관(71A)을 구비하고 있어, 휨 변형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벨로즈관(71A)을 구비함으로써, 고무 마운트를 통해 기체 프레임(37)에 지지되는 엔진(34)의 진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를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 공급하는 환원제로서의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72)가 운전부(4)의 바닥부(32)의 하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72)는 기체 프레임(37)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요소수 탱크(72)의 요소수를 펌프에 의해 배관을 통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 송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사되지 않고 남은 요소수는 요소수 탱크(72)로 되돌려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 있어서의 본체 처리부(65)의 상부측이며 또한 기체 후방부측 개소에는 배기 가스 유출관(73)이 구비되어 있다. 배기 가스 유출관(73)은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배기 가스 출구부(74)로부터 기체 후방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기단부 측부(73a)와, 이 기단부 측부(73a)의 연장 단부로부터 기체 후방 방향 상태로부터 기체 상방 후방 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굴곡 선단 측부(73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 및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서 처리되어, 배기 가스 유출관(73)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75)이 구비되어 있다. 이 배기관(7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차열 커버〕
도 3, 도 6, 도 8,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와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열을 차단하는 차열 커버(7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차열 커버(76)는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 중, 상부측 개소, 탈곡 장치(5)와는 반대측에 대응하는 개소, 및 후방부측 개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개소를 덮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부가하면, 차열 커버(76)는 곡립 탱크(6)의 제1 요입부 Q1에 있어서의 안측 세로면(6b), 후방측 세로면(6c), 상측면(6d)의 각각에 대향하는 개소를 덮어 차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6)의 제1 요입부 Q1에 있어서의 상측면(6d)은 저부 경사면(6a)과 대략 평행한 경사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측면(6d)은 안측 세로면(6b)에 이어지는 기체 우측(탈곡 장치와 반대측)의 단부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고, 기체 좌측(탈곡 장치측)으로 갈수록 높은 위치로 되는 경사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열 커버(76)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6)의 상측면(6d)에 대향하는 개소를 덮는 상부면(77)은, 곡립 탱크(6)의 상측면(6d)을 따르도록, 탈곡 장치(5)측으로 갈수록 높은 위치로 되는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면(77)을 경사 자세로 함으로써,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상방측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서 발생하는 열이 좁은 공간 내에 가득 차는 것을 방지하여 열을 발산하기 쉬워진다.
경사 자세의 차열 커버(76)의 상부면(77)은, 기단부측 부분(77a)과 그것에 이어지는 연장측 부분(77b)으로 분할되어 있다. 기단부측 부분(77a)은 곡립 탱크(6)의 안측 세로면(6b)에 대향하는 안측면(78) 및 곡립 탱크(6)의 후방측 세로면(6c)에 대향하는 후방측면(79)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면(77)의 연장측 부분(77b)은 그 하단부가 상부면(77)의 기단부측 부분(77a)에 복수 개소를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되어 있다. 볼트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연장측 부분(77b)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의 후방측 세로면(6c)에 대향하는 개소를 덮는 차열 커버(76)의 후방측면(79)은, 후방측 세로면(6c)을 따르는 경사면 부분(79a)과,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가로 방향 연장 설치면 부분(79b)과, 가로 방향 연장 설치면 부분(79b)과 상부면(77)의 연장측 부분(77b)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측 연장 설치면 부분(79c)을 구비하고, 곡립 탱크(6)의 후방측 세로면(6c)에 대향하는 개소를 대략 전역을 덮고 있다. 가로 방향 연장 설치면 부분(79b)의 상부측 개소에는, 배기 가스 유출관(73)이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측 연장 설치면 부분(79c)은 통기부로서의 다공 형상 부재(81)를 구비하고 있다. 다공 형상 부재(81)는 망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공 형상 부재(81)는 망체에 한하지 않고, 다수의 구멍을 뚫어 형성한 다공 형상 판체 등이어도 된다.
곡립 탱크(6)의 안측 세로면(6b)에 대향하는 개소를 덮는 차열 커버(76)의 안측면(78)[탈곡 장치(5)측과 반대측의 측면에 상당]에는, 통기부로서의 다공 형상 부재(82)가 구비되어 있다. 다공 형상 부재(82)는 망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공 형상 부재(82)는 망체에 한하지 않고, 다수의 구멍을 뚫어 형성한 다공 형상 판체 등이어도 된다.
안측면(78)의 기체 전방부 하방측에는 탈곡 장치(5)측을 향하여 요입하는 요입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83)를 형성함으로써, 곡립 탱크(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원동부(8)에 작업자가 손을 넣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 중 탈곡 장치(5)에 면하는 기체 좌횡측 개소는, 차열 커버(76)로 덮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개방된 개소가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풍구(23)의 선별풍의 흡기구(26)와 측면에서 보아 중복되어 있다. 풍구(23)가 회전 작동함으로써, 흡기구(26)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인할 때에,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의 공기를 함께 흡인한다.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의 공기는,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서 발생하는 열이 원인으로 고온으로 되어 있다. 풍구(23)가 작동하고 있는 예취 작업 중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고온의 공기가 풍구(23)에 의해 흡인되어 탈곡 장치(5) 내를 통과한 후 기체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풍구(23)에 의해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의 공기가 흡인되는 것에 수반하여, 원동부(8) 내의 공기도 아울러 흡인된다. 또한, 안측면(78)의 다공 형상 부재(82)를 통하여 외부의 저온의 공기가 흡인되므로,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의 공기의 온도가 저하된다.
노상 주행 시와 같이, 풍구(23)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의 공기가 풍구(23)에 의해서는 흡인되지 않지만,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의 공기는, 안측면(78)의 다공 형상 부재(82)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차열 커버(76)의 내부의 좁은 공간에 열이 가득 차는 일은 없다.
차열 커버(76)는 기체측의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에 대하여 복수 개소 볼트 고정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다. 곡립 탱크(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하였을 때 차열 커버(76)는 기체측에 남게 된다. 곡립 탱크(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한 후에, 운전부 구조체(36)를 돌출 자세로 전환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차열 커버(76)의 상부면(77) 중 연장측 부분(77b) 및 상부측 연장 설치면 부분(79c)을 제거한다. 그것에 의해 운전부 구조체(36)가 회전에 수반하여 차열 커버(76)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부측 연장 설치면 부분(79c)이 상부면(77)의 연장측 부분(77b)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차열 커버(76)는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와의 사이, 및, 곡립 탱크(6)와의 사이에 간격을 둔 상태에서 구비되고, 공기에 의해 단열층을 형성하여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로부터의 열이 곡립 탱크(6)에 전달되기 어려워지도록 하고 있다.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주위 중 원동부(8)에 면하는 기체 전방부측 개소는, 차열 커버(76)로 덮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원동부(8)에 구비된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와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를 접속하는 연통 접속관(71)을 차열 커버(76)에 간섭하지 않게 양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배기관〕
배기관(75)은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6) 사이에 있어서, 배기구(84)가 탈곡 장치(5)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배기관(75)의 상단부에 배기구(84)가 형성되고, 그 배기관(75)의 상단부가 탈곡 장치(5)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75)은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측에 위치하는 상하 연장 설치관으로서의 제1 배기관(75A)과, 배기구(84)측에 위치하는 배기관(75)의 상단부로서의 제2 배기관(75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배기관(75A)은,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의 배기 가스 출구부(74)에 대응하는 개소로부터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2 배기관(75B)은, 제1 배기관(75A)에 대하여 만곡되어 탈곡 장치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배기관(75A)은, 배기 가스 유출관(73)의 출구부로부터 탈곡 장치(5)의 상단부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배기관(75A)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관(85)과, 외측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관(86)의 2중 관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외부관(86)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6)의 제2 요입부 Q2측을 덮는 단면 대략 U자형의 커버 부재(8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내부관(85)의 내부를 통류하는 배기 가스의 열이 외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내부관(85)은 외부관(86)에 내부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관(86)에 고정되고, 상방측을 향하여 외부관(86)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외부관(86)의 기체 전방부측 개소가, 장착 브래킷(88)을 통해 탈곡 장치(5)의 우측 측벽에 지지되어 있다. 외부관(86)의 기체 후방부측 개소가, 양곡 컨베이어(22)를 탈곡 장치(5)의 우측의 측벽에 지지하기 위한 연결 부재(89)에 지지되어 있다. 커버 부재(87)는 외부관(86)에 구비된 장착 브래킷(90)에 볼트 연결로 고정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관(75B)은, 제1 배기관(75A)의 내부관(85)보다도 대직경으로 설치되고, 제2 배기관(75B)의 배기 유동 방향 상측 개소와 내부관(85)의 배기 유동 방향 하측 개소가 배기 유동 방향을 따라서 중복되고, 그것들 사이에 직경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의 유동에 수반되는 이젝터 작용에 의해,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내부로 흡인하여 배기 가스의 냉각을 행할 수 있다.
제2 배기관(75B)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제2 배기관(75B)이, 제1 배기관(75A)에 대하여 만곡되어, 탈곡 장치(5)측으로 향해져 있다. 제2 배기관(75B)은,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되는 원통 형상체로 구성되고,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방으로 갈수록 탈곡 장치(5)측을 향하여 대략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도록 만곡 형상으로 탈곡 장치(5)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배기관(75B)의 선단부의 단부면에 배기구(84)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84)는 상부 테두리가 하부 테두리보다도 곡립 탱크(6)로부터 이격되는 측 즉 기체 좌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84)는 원통 형상체를 상측이 하측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전후 방향에서 보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관(75B)의 배기구(84)는 탈곡 장치(5)의 상부 구조체(27)가 개방 위치로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기구(84)의 하부 테두리가 상부 테두리보다도 곡립 탱크(6)측으로 후퇴한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75)은 선단부가 곡립 탱크(6)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게다가, 배기관(75)의 선단부는 수납 위치에 있는 언로더(9)의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B)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B)를 수납 위치에 수납하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기체 진동 등에 의해 수납 위치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있어도, 배기관(75)이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B)에 간섭할 우려가 없다.
엔진(34)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에서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정화 처리가 행해지고,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에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정화 처리가 행해지고, 정화 처리를 종료한 배기 가스가 배기관(75)을 통해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가, 통 형상의 내통 부재와 통 형상의 외통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1개의 통 형상체의 내부에 통 내부에서 성형 가공에 의해 직경 축소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직경 축소부의 상부의 단차부에 의해 회전 지지점 부재를 받침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지지 부재의 내부에 전용의 베어링 부재를 별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지지점 부재(4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회전 축부(49)가 구비되고, 회전 축부(49)의 외주부와 직경 축소부(47)의 내주부 사이에 미끄럼 이동부(53)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를 평탄 형상으로 하고, 직경 축소부의 단차부에 의해 회전 지지점 부재를 받치고, 외통 부재의 내주부와 회전 지지점 부재의 외주부 사이에 미끄럼 이동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저감하는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5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엔진(34)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저감하는 제1 배기 가스 처리 장치(57)이어도 되고, 다른 종류의 배출 가스 처리 장치이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 보닛이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후퇴 자세와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34 : 엔진
35 : 엔진 보닛
37 : 기체 프레임
38 : 지지 부재
40 : 회전 지지점 부재
41 : 내통 부재
41a : 상단부
42 : 외통 부재
46 : 베어링부
47 : 직경 축소부
49 : 회전 축부
53 : 미끄럼 이동부
58 : 제2 배기 가스 처리 장치(배기 가스 처리 장치)
Y1 : 상하 축심

Claims (6)

  1. 엔진과,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는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기립 설치됨과 함께 통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엔진 보닛에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지지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엔진 보닛이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후퇴 자세와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의 통 내부에,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를 축심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하 도중 위치에, 그 위치보다도 상부측 개소에 있어서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의 내경을 갖는 직경 축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직경 축소부의 상부의 단차부에 의해 받침 지지되어, 상기 직경 축소부가 상기 베어링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점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회전 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부의 외주부와 상기 직경 축소부의 내주부 사이에 미끄럼 이동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직경 방향 내측이며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통 형상의 내통 부재와, 그 내통 부재의 직경 방향 외측이며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통 형상의 외통 부재를 구비하고, 그것들을 일부 끼워 맞추는 상태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상단부에 의해 상기 직경 축소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가 연결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외통 부재의 외주부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60075545A 2015-08-21 2016-06-17 콤바인 KR102567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3930A JP6523865B2 (ja) 2015-08-21 2015-08-21 コンバイン
JPJP-P-2015-163930 2015-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862A KR20170022862A (ko) 2017-03-02
KR102567231B1 true KR102567231B1 (ko) 2023-08-16

Family

ID=5820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45A KR102567231B1 (ko) 2015-08-21 2016-06-17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23865B2 (ko)
KR (1) KR102567231B1 (ko)
CN (1) CN1064656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7138B (zh) * 2018-06-19 2022-08-2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半喂入联合收割机、收割机
JP7271745B2 (ja) * 2018-08-01 2023-05-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001A (ja) * 2011-06-10 2013-01-07 Kubota Corp 収穫機
JP2014124160A (ja) 2012-12-27 2014-07-0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975A (en) * 1964-03-31 dafoe
US3583518A (en) * 1968-10-15 1971-06-08 Deere & Co Operator{3 s station for a self-propelled agricultural machine
US4319653A (en) * 1980-03-24 1982-03-16 Carlson Richard B Engine enclosure for tractor
JP3511834B2 (ja) * 1997-03-11 2004-03-2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GB9707158D0 (en) * 1997-04-08 1997-05-28 Boss Group Ltd Two directional industrial sidelift truck with rotatable cab
JPH11270127A (ja) * 1998-03-26 1999-10-05 Sumitomo Forestry Co Ltd 足場脚部用連結具
JP2001207476A (ja) * 2000-01-25 2001-08-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軸受装置
JP4180999B2 (ja) * 2003-09-09 2008-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船のエンジン吸気構造
JP2005155820A (ja) * 2003-11-27 2005-06-16 Amachi:Kk ヒンジ
JP4934004B2 (ja) * 2007-11-01 2012-05-1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原動部構造
JP5155796B2 (ja) 2008-09-26 2013-03-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8141535B2 (en) * 2009-01-26 2012-03-27 Caterpillar Inc. Exhaust system device with mounting bracket
JP5002048B2 (ja) * 2010-11-05 2012-08-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101428554B1 (ko) * 2011-09-29 2014-08-08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5968764B2 (ja) * 2012-11-15 2016-08-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14145307A (ja) * 2013-01-29 2014-08-14 Iseki & Co Ltd Doc処理装置付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001A (ja) * 2011-06-10 2013-01-07 Kubota Corp 収穫機
JP2014124160A (ja) 2012-12-27 2014-07-0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862A (ko) 2017-03-02
CN106465605B (zh) 2021-04-30
CN106465605A (zh) 2017-03-01
JP2017038577A (ja) 2017-02-23
JP6523865B2 (ja)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127B1 (ko) 콤바인
KR102649574B1 (ko) 콤바인
JP6437353B2 (ja) コンバイン
JP2013001132A (ja) 収穫機
JP2016168975A (ja) コンバイン
JP2019004711A (ja) 収穫機
KR102567231B1 (ko) 콤바인
JP6367866B2 (ja) コンバイン
JP6512995B2 (ja) コンバイン
JP2015208242A (ja) コンバイン
JP6807763B2 (ja) コンバイン
JP6481902B2 (ja) コンバイン
JP6921887B2 (ja) コンバイン
JP6416025B2 (ja) コンバイン
JP5667523B2 (ja) 収穫機
JP2018113992A (ja) 収穫機
JP6436407B1 (ja) コンバイン
JP2012147735A (ja) コンバイン
JP2019129742A (ja) コンバイン
JP6868224B2 (ja) コンバイン
JP6908100B2 (ja) コンバイン
JP2021175404A (ja) コンバイン
JP6945304B2 (ja) コンバイン
JP6440648B2 (ja) 収穫機
JP202117540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