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892B1 -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 Google Patents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892B1
KR102565892B1 KR1020180032667A KR20180032667A KR102565892B1 KR 102565892 B1 KR102565892 B1 KR 102565892B1 KR 1020180032667 A KR1020180032667 A KR 1020180032667A KR 20180032667 A KR20180032667 A KR 20180032667A KR 102565892 B1 KR102565892 B1 KR 10256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ship
opening
support
support posi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748A (ko
Inventor
히데노부 신나카
하루히토 후루야
와타루 기요카와
히데키 사토
유키노리 가메다
가즈야 아리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10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4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all rollers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참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획벽에 형성되고, 내부 영역에서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반송 장치에 의한 참배 대상물의 이동 가능 범위 내의 위치에,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 위치가 설치된다.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내부 지지 위치와, 참배 대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내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본 발명은, 참배(參排) 대상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paying area)와, 보관부와 참배부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을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반송 장치와, 복수의 보관부 및 반송 장치가 배치되는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구비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일례가, 일본공개특허 평9―108055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위패나 골호(骨壺) 등이 수납되는 용기(10)가 참배 대상물로 되는 입체 제단 장치이며, 용기(10)를 보관하는 복수의 수납실(23)과, 예배자에 의한 예배가 행해지는 예배당(27)과, 수납실(23)과 예배당(27)와의 사이에서 용기(10)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30)와, 복수의 수납실(23) 및 반송 장치(30)가 배치되는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외벽(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예배자가 예배에 방문했을 때는, 반송 장치(30)에 의해 원하는 용기(10)가 수납실(23)로부터 인출되어 예배당(27)으로 반송된다.
일본공개특허 평9―108055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을 보관부에 처음으로 보관하는 경우에는, 참배 대상물을, 보관부가 배치된 내부 영역에 대하여 그 외측의 영역(외부 영역)로부터 반입(搬入)한다. 또한,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에 대하여 어떠한 작업(예를 들면, 참배 대상물로서의 수납 용기에 골호 등의 수납물을 처음으로 또는 추가로 수납하는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참배 대상물을, 내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으로 반출한다. 그리고, 내부 영역에 대한 참배 대상물의 출입[반출(搬出) 또는 반입]은, 납골식 등의 의식에 있어서 유족 등의 눈앞에서 행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내부 영역에 대한 참배 대상물의 출입에 있어서 승려나 유족 등에 의해 행해지는 사람의 수작업은, 엄숙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소행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용이한 작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영역에 대한 참배 대상물의 출입은, 일반적으로, 참배자가 참배를 위해 방문하는 빈도보다 낮은 빈도로 행해지므로, 구획벽의 외측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한다는(내부 영역에 대한 참배 대상물의 출입을 행할 때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이용한다는 등) 관점이나 미관의 관점 등에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획벽의 외측에 있어서 상시 점유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하는 것도 요구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내부 영역에 대한 참배 대상물의 출입에 대한 기재는 없다.
그래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획벽의 외측에 있어서 상시 점유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하면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
본 개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상기 보관부와 상기 참배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복수의 보관부 및 상기 반송 장치가 배치되는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구비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영역에서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참배 대상물의 이동 가능 범위 내의 위치에,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 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참배 대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出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획벽에 형성되므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 참배 대상물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 영역과 그 외측의 영역(외부 영역)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내부 지지 위치와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참배 대상물을, 지지부에 의해 지지시킨 상태로 개구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개구부를 통과시킬 때 참배 대상물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과시킬 때 참배 대상물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 이외에는, 지지부를 내부 지지 위치로 퇴피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획벽의 외측에 있어서 상시 점유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획벽의 외측에 있어서 상시 점유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하면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평면도
도 2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측면도
도 3은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참배부 근방에서의 측면도
도 4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참배부 근방에서의 평면도
도 5는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참배부 근방에서의 평면도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이하, 단지 보관 설비(1)라고 함]는, 참배 대상물(10)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65)와, 참배자(P)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6)와, 보관부(65)와 참배부(6)[구체적으로는, 참배부(6)에 설치된 내부 지지 위치(30)]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20)와, 복수의 보관부(65) 및 반송 장치(20)가 배치되는 내부 영역(A1)을 구획하는 구획벽(7)을 구비한 설비이다. 즉, 보관 설비(1)는, 참배 설비이다. 보관 설비(1)는, 반송 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5)(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고, 반송 장치(20)는, 제어 장치(5)에 의한 제어를 받아, 참배자(P)가 참배하려고 하는 참배 대상물(10)을 보관부(65)로부터 참배부(6)로 반송하고, 또한 참배가 종료된 참배 대상물(10)을 참배부(6)로부터 보관부(65)로 반송한다.
도 2에 1개의 참배 대상물(10)의 측벽부를 절결(切缺)하여 그 내부를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대상물(10)은, 유골이 저장된 골호를 수납물(2)로 하는 수납 용기(container for religious purposes)이며, 수납물(2)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형(본 예에서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물(2)로서의 골호에는, 고인 또는 애완동물의 유골(이하, 단지 「유골」이라고 함)이 수납된다. 수납물(2)는, 골대 등의 골호 이외의 용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수납물(2)[또는 수납물(2)에 수납되는 것]은, 고인 또는 애완동물의 유회(遺灰)(이하, 단지 「유회」라고 함), 유골 및 유회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는 제조물(예를 들면, 위패나 불상 등), 유골도 유회도 함유하지 않은 제조물(예를 들면, 위패나 불상 등), 고인이나 애완동물의 유품 등의, 유골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벽(7)은, 상하 방향 Z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 영역(A1)의 측 주위(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구획벽(7)의 외측의 영역[구획벽(7)에 대하여 내부 영역(A1)는 반대측의 영역]을 외부 영역(A2)으로 한다. 구획벽(7)에는, 참배 대상물(1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7a)[수평면을 따르는 제1 방향 X에서 볼 때 참배 대상물(10)보다 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영역(A1)에서의 개구부(7a)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반송 장치(20)에 의한 참배 대상물(10)의 이동 가능 범위 내의 위치에,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 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영역(A1)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출입시킬 때, 참배 대상물(10)은 이 개구부(7a)를 통해 내부 영역(A1)과 외부 영역(A2)과의 사이에서 이동된다.
개구부(7a)에는, 상기 개구부(7a)를 개폐 가능한 개폐 도어(5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도어(50)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7a)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50)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7a)의 일부의 영역만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도어(50)는, 개방 도어(hinged door), 미닫이 도어(sliding door), 접는 도어(folding door) 등의 각종 형태의 도어로 할 수 있고, 좌우 여닫이식의 도어와 같이 복수의 도어체를 구비한 도어로 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도어(50)를 1개의 개방 도어로 하고 있고, 개폐 도어(50)는, 개구부(7a)의 제2 방향 Y(수평면에 있어서 제1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端部)에 배치된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요동축(搖動軸) 주위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폐 도어(50)는, 수동으로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개폐 도어(50)에는 개폐 조작용의 파지부(把持部)가 설치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개폐 도어(50)를 개폐하기 위한 힘을 보조하는 기구(機構)(스프링의 가압력을 이용한 기구 등)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도어(50)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의 한쪽 또는 양쪽이, 스프링의 가압력이나 구동력원(전동 모터 등)의 구동력 등에 의해, 인위적인 조작(스위치 등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벽(7)의 일부는 참배부(6)에 배치되어 있고, 구획벽(7)은, 내부 지지 위치(30)와, 참배부(6)에서의 참배자(P)의 참배 위치(S)를, 제1 방향 X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칸막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내부 지지 위치(30)는 참배부(6)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 지지 위치(30)와 제1 방향 X에 대향하는 개구부(7a)는, 구획벽(7)에서의 참배부(6)에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향 X에서의 내부 지지 위치(30)에 대하여 개구부(7a)[또는 개폐 도어(50)]가 위치하는 측을 제1 측 X1으로 하고, 제1 측 X1와는 반대측을 제2 측 X2로 한다.
개구부(7a)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50)는, 창(52)(참배용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창(52)은, 개폐 도어(50)의 일부분에, 구체적으로는, 폐쇄 상태의 개폐 도어(50)에서의 내부 지지 위치(30)에 지지된 참배 대상물(10)이 제1 방향 X에 대향하는 부분에, 참배자(P)가 상기 참배 대상물(10)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참배자(P)는, 참배를 행할 때, 창(52)을 통해 내부 지지 위치(30)에 지지된 참배 대상물(10)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지지 위치(30)는, 참배자(P)가 참배를 행할 때 참배부(6)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와, 공통의 위치로 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참배 대상물(10)의 단면(端面)(또는 상기 단면에 장착된 판형체)에는, 수납물(2)에 관계가 있는 정보가 조각이나 인쇄 등에 의해 기록되어 있고, 참배 대상물(10)은, 상기 단면이 창(52)에 근접하도록 내부 지지 위치(30)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납물(2)에 관계가 있는 정보는, 예를 들면, 고인의 가명(성씨), 고인의 가문, 고인이 좋아하는 말 등이며,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표현된다.
창(52)은, 참배 대상물(10)의 상기 단면의 형상 및 치수에 맞추어 형성되고, 여기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52)에는 창 부재(window member)(8)가 배치되어 있다. 창 부재(8)는, 창(52)에 끼워지는 크기의 평판형(외측 에지 형상이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창 부재(8)로서, 투명 유리판이나, 통전 상태의 전환에 의해 투명 상태와 불투명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광(調光)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획벽(7)에서의 개구부(7a)의 하측을 구획하는 부분에는, 향이나 공물 등이 놓여지는 제단(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7a)의 주위의 구획벽(7)의 외면(제1 측 X1을 향하는 면)에는, 묘지의 장식(裝飾)(예를 들면, 묘석을 모방한 화강암의 모양 등)이 행해져 있다. 개폐 도어(50)에서의 창(52)을 제외한 부분의 외면에, 동일한 장식이 행해져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방향 X의 같은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보관부(65)에 의해 보관 선반(storage rack)(60)이 형성되어 있다. 1개의 보관 선반(60)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관부(65)는, 상하 방향 Z로 복수 단 또한 제2 방향 Y로 복수 열 배치되어 있다. 즉, 보관 선반(60)은, 선반 안길이 방향이 제1 방향 X로 되고, 또한 선반 가로 폭 방향이 제2 방향 Y로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관 선반(60)은, 상하 방향 Z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주(支柱; column)(64)와,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암(support arm)(63)(판형 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암(63) 각각은, 제1 방향 X로 배열되는 한 쌍의 지주(64)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보관부(65)는, 지주(64)에 의해 제2 방향 Y로 구획되는 동시에, 지지암(63)에 의해 상하 방향 Z로 구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대상물(10)은, 제2 방향 Y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지지암(63)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 상태에서, 보관부(65)에 보관된다. 1개의 보관부(65)에는 1개의 참배 대상물(10)이 보관된다. 보관 선반(60)은, 제1 방향 X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보관 선반(60) 중, 제1 측 X1에 배치되는 보관 선반(60)을 제1 보관 선반(61)이라고 하고, 제2 측 X2에 배치되는 보관 선반(60)을 제2 보관 선반(62)이라고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지지 위치(30)는, 제1 보관 선반(61)에 있어서 일부의 보관부(65) 대신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관 선반(61)에는, 보관부(65)를 형성하기 위한 단위 공간[지지암(63) 및 지주(64)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상하 방향 Z로 복수 단 또한 제2 방향 Y로 복수 열 배치되어 있고, 그 중 일부의 단위 공간이 내부 지지 위치(30)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지지 위치(30)에는 한 쌍의 지지암(63) 대신에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참배 대상물(10)은, 내부 지지 위치(30)에 있어서, 제2 방향 Y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탑재 지지부(31)는, 지지암(63)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 X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참배 대상물(10)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평탄한 지지면이 상기 판형 부재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지지 위치(30)에는, 반송 장치(20)와는 별개로 참배 대상물(10)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탑재 지지부(31)가 형성되어 있고, 반송 장치(20)에 의해 내부 지지 위치(30)로 반송된 참배 대상물(10)은, 탑재 지지부(31)에 탑재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20)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이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장치(20)는, 바닥면부에 설치된 레일(49)로 안내되어 주행하는 주행체(41)와, 주행체(41)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mast)(42)와, 마스트(42)에 안내되어 승강(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하는 승강체(43)와, 승강체(43)에 지지된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4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5)는, 각종 센서(예를 들면, 로터리 인코더 등)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 장치(20)의 작동[구체적으로는, 주행체(41)의 주행 작동, 승강체(43)의 승강 작동, 및 이송탑재 장치(45)의 이송탑재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또한 메모리 등의 주변 회로를 구비하고, 이들 하드웨어와, 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의 협동에 의해, 제어 장치(5)의 각 기능이 실현된다. 제어 장치(5)는, 반송 장치(20)에 설치되어도, 반송 장치(20)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5)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분리된 복수의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경우, 일부의 하드웨어가 반송 장치(20)에 설치되고, 나머지의 하드웨어가 반송 장치(20)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송탑재 장치(45)는, 반송 장치(20)에서의 참배 대상물(10)의 지지부[후술하는 하방 지지부(44)]와, 이송탑재 대상 개소(箇所)[보관부(65) 또는 내부 지지 위치(30)]에서의 참배 대상물(10)의 지지부[본 예에서는 한 쌍의 지지암(63) 또는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을 이송탑재하는 장치이다. 이송탑재 장치(45)는, 참배 대상물(10)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44)를 제1 방향 X를 따라 출퇴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는, 승강체(43) 측으로 퇴피시킨 퇴피 위치[도 1에 나타낸 하방 지지부(44)의 위치]와, 이 퇴피 위치로부터 이송탑재 대상 개소 측으로 돌출된 돌출 위치[도 2에 나타낸 하방 지지부(44)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하방 지지부(44)를 제1 방향 X를 따라 출퇴 이동시킨다. 하방 지지부(44)의 제2 방향 Y의 폭은, 한 쌍의 지지암(63)의 제2 방향 Y의 간격 및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의 제2 방향 Y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는, 퇴피 위치에 대하여 제1 방향 X의 양측의 돌출 위치에, 하방 지지부(44)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송탑재 장치(45)에 의한 하방 지지부(44)로부터 보관부(65)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반송 장치(20)는, 먼저, 주행체(41)의 주행 작동 및 승강체(43)의 승강 작동에 의해,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한 상태로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하방 지지부(44)를, 이송탑재 대상의 보관부(65)에 대하여 설정된 상측 목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반송 장치(20)는, 이송탑재 장치(45)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하방 지지부(44)를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이송탑재 대상의 보관부(65)가 제1 보관 선반(61)의 보관부(65)인 경우에는, 하방 지지부(44)는 퇴피 위치에 대하여 제1 측 X1의 돌출 위치까지 제1 측 X1을 향해 이동되고, 이송탑재 대상의 보관부(65)가 제2 보관 선반(62)의 보관부(65)인 경우에는, 하방 지지부(44)는 퇴피 위치에 대하여 제2 측 X2의 돌출 위치까지 제2 측 X2를 향해 이동한다. 그 후, 반송 장치(20)는, 승강체(43)의 승강 작동에 의해 하방 지지부(44)를 하강시켜 참배 대상물(10)을 보관부(65)에 내린 후, 이송탑재 장치(45)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하방 지지부(44)를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송탑재 장치(45)에 의한 하방 지지부(44)로부터 탑재 지지부(31)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에 대해서는, 상측 목표 위치가 탑재 지지부(31)에 대하여 설정된 상측 목표 위치로 치환되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하방 지지부(44)로부터 제1 보관 선반(61)의 보관부(65)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지지 위치(30)에서의 참배 대상물(10)의 지지 위치는, 제1 보관 선반(61)의 보관부(65)에서의 참배 대상물(10)의 지지 위치보다 제1 측 X1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탑재 지지부(31)에 참배 대상물(10)을 이송탑재하는 경우의 돌출 위치는, 제1 보관 선반(61)의 보관부(65)에 참배 대상물(10)을 이송탑재하는 경우의 돌출 위치보다 제1 측 X1으로 설정된다.
이송탑재 장치(45)에 의한 보관부(65)로부터 하방 지지부(44)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반송 장치(20)는, 먼저, 주행체(41)의 주행 작동 및 승강체(43)의 승강 작동에 의해, 퇴피 위치의 하방 지지부(44)를, 이송탑재 대상의 보관부(65)에 대하여 설정된 하측 목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반송 장치(20)는, 이송탑재 장치(45)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하방 지지부(44)를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승강체(43)의 승강 작동에 의해 하방 지지부(44)를 상승시켜 참배 대상물(10)을 하방 지지부(44)에 의해 보관부(65)로부터 들어올리고, 그 후, 이송탑재 장치(45)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하방 지지부(44)를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의 돌출 위치는, 이송탑재 장치(45)에 의한 하방 지지부(44)로부터 보관부(65)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과 마찬가지로, 이송탑재 대상의 보관부(65)가 제1 보관 선반(61) 및 제2 보관 선반(62) 중 어느 보관부(65)인지에 따라 퇴피 위치에 대하여 제1 측 X1 또는 제2 측 X2의 돌출 위치로 된다. 그리고, 동일한 보관부(65)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측 목표 위치 및 하측 목표 위치에 대하여, 하측 목표 위치는, 제2 방향 Y에 대해서는 상측 목표 위치와 같은 위치로 설정되고, 상하 방향 Z에 대해서는 상측 목표 위치보다 설정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설정된다.
이송탑재 장치(45)에 의한 탑재 지지부(31)로부터 하방 지지부(44)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에 대해서는, 하측 목표 위치가 탑재 지지부(31)에 대하여 설정된 하측 목표 위치로 치환되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보관 선반(61)의 보관부(65)로부터 하방 지지부(44)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이송탑재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동일한 탑재 지지부(31)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측 목표 위치 및 하측 목표 위치에 대하여, 하측 목표 위치는, 제2 방향 Y에 대해서는 상측 목표 위치와 같은 위치로 설정되고, 상하 방향 Z에 대해서는 상측 목표 위치보다 설정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설정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벽(7)에는 개구부(7a)가 형성되므로, 개폐 도어(50)를 개방 상태로 하여 개구부(7a)를 개방함으로써(도 3, 도 4 참조), 참배 대상물(10)을 내부 영역(A1)과 외부 영역(A2)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참배 대상물(10)을 보관부(65)에 처음으로 보관하는 경우에는, 참배 대상물(10)을 개구부(7a)를 통해 외부 영역(A2)으로부터 내부 영역(A1) 내의 내부 지지 위치(30)로 이동시키고, 또한 반송 장치(20)의 반송 작동에 의해 상기 참배 대상물(10)을 내부 지지 위치(30)로부터 보관부(65)로 이동시킴으로써, 참배 대상물(10)을 외부 영역(A2)으로부터 내부 영역(A1) 내의 보관부(65)에 반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보관부(65)에 보관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10)에 대하여 어떠한 작업[예를 들면, 참배 대상물(10)에 수납물(2)을 처음으로 또는 추가로 수납하는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반송 장치(20)의 반송 작동에 의해 참배 대상물(10)을 보관부(65)로부터 내부 지지 위치(30)까지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참배 대상물(10)을 개구부(7a)를 통해 내부 지지 위치(30)로부터 외부 영역(A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참배 대상물(10)을 내부 영역(A1) 내의 보관부(65)로부터 외부 영역(A2)으로 반출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이 내부 영역(A1)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출입(반출 또는 반입)할 때의 사람의 수작업을 용이한 작업으로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영역(A1)에서의 개구부(7a)에 대하여 제1 방향 X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내부 지지 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지지 위치(30)에 설치되어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탑재 지지부(31)가,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개구부(7a)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7a)는,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한 상태의 탑재 지지부(31)를 제1 방향 X로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지지 위치(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대상물(10)의 전체가 내부 영역(A1)에 위치하도록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는 위치인 것에 대하여, 외부 지지 위치(39)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대상물(10) 중 적어도 일부가 내부 영역(A1)의 외측[즉, 외부 영역(A2)]에 위치하도록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는 위치이다. 참배부(6)에서의 내부 영역(A1)과 외부 영역(A2)과의 경계 위치를 개구부(7a)의 위치로 하면, 도 4에 있어서 외부 지지 위치(39)에 지지된 참배 대상물(10)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지지 위치(39)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10)의 전체가 외부 영역(A2)에[즉, 개구부(7a)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재 지지부(31)가 「지지부」에 상당한다.
탑재 지지부(31)를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32)가, 개구부(7a)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안내 지지부(32)의 설치 위치는, 개구부(7a)의 위치에 따라 설정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X에서 볼 때 개구부(7a)와 중복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내부 지지 위치(30)에는,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가 제2 방향 Y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의 각각에 대하여 안내 지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지지부(32)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내 지지부(32)는, 탑재 지지부(31)를 제1 방향 X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안내부(32b)와, 제2 안내부(32b)를 제1 방향 X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안내부(32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안내부(32a)는 고정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 X로 배열되는 한 쌍의 지주(64)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 지지부(31)가 내부 지지 위치(3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탑재 지지부(31)의 전체 및 안내 지지부(32)의 전체[제1 안내부(32a) 및 제2 안내부(32b)의 양쪽]가 개구부(7a) 및 개폐 도어(50)보다 제2 측 X2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제2 안내부(32b)를 제1 안내부(32a)에 대하여 제1 측 X1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탑재 지지부(31)를 제2 안내부(32b)에 대하여 제1 측 X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 지지부(31)가 외부 지지 위치(39)로 이동된다. 탑재 지지부(31)가 외부 지지 위치(39)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탑재 지지부(31) 중 적어도 제1 측 X1의 부분이 개구부(7a)보다 제1 측 X1에 배치된다. 또한, 탑재 지지부(31)가 외부 지지 위치(39)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제2 안내부(32b)를 제1 안내부(32a)에 대하여 제2 측 X2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탑재 지지부(31)를 제2 안내부(32b)에 대하여 제2 측 X2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 지지부(31)가 내부 지지 위치(30)로 이동된다. 그리고, 안내 지지부(32)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제2 안내부(32b)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안내부(32a)가 탑재 지지부(31)를 제1 방향 X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나, 제2 안내부(32b)와 탑재 지지부(31)과의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의 다른 안내부가 개재(介在)하는 구성 등으로 할 수있다.
탑재 지지부(31)는, 수동으로(즉, 인력으로)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탑재 지지부(31)의 각각의 제1 측 X1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탑재 지지부(31)를 사람의 손에 의해 인출하기 위한 인출 조작용의 파지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33)를 파지하여 탑재 지지부(31)를 인출함으로써, 탑재 지지부(31)를 내부 지지 위치(30)로부터 외부 지지 위치(39)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33) 또는 다른 부분을 밀어넣음으로써, 탑재 지지부(31)를 외부 지지 위치(39)로부터 내부 지지 위치(30)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파지부(33)는, 탑재 지지부(31)에 지지된 참배 대상물(10)에 간섭하지 않도록, 탑재 지지부(31)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33)는, 각종 형상[예를 들면, 볼록형, 오목형, 판형, 봉형(棒形), 구멍 형상 등] 또는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탑재 지지부(31)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보조하는 기구(스프링의 가압력을 이용한 기구 등)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탑재 지지부(31)의 내부 지지 위치(30)로부터 외부 지지 위치(39)에 대한 돌출 이동(projecting movement), 및 탑재 지지부(31)의 외부 지지 위치(39)로부터 내부 지지 위치(30)에 대한 퇴피 이동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스프링의 가압력이나 구동력 근원(전동 모터 등)의 구동력 등에 의해, 인위적인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파지부(3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 지지부(31)에 대하여 제1 측 X1으로 돌출되지 않도록[즉, 파지부(33)의 전체가 탑재 지지부(31)의 제1 측 X1의 단부보다 제2 측 X2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파지부(33)가 탑재 지지부(31)에 대하여 제1 측 X1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 지지 위치(30)에 위치하는 탑재 지지부(31)에 지지된 상태의 참배 대상물(10)과 개폐 도어(50)를 제1 방향 X에 의해 근접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탑재 지지부(31)에 지지된 상태의 참배 대상물(10)과 개폐 도어(50)를 제1 방향 X에 근접 배치함으로써, 참배자(P)로부터 본 참배 대상물(10)의 육안관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나, 참배부(6)에서의 연출 효과(엄숙함이나 고급감 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탑재 지지부(31)를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내부 영역(A1)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출입시킬 때, 참배 대상물(10)을, 탑재 지지부(31)에 의해 지지시킨 상태로 개구부(7a)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외부 지지 위치(39)에 위치하는 탑재 지지부(31)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탑재 하강은, 참배 대상물(10)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행해지지만, 개구부(7a)를 통과시켜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을 이동시킬 때는, 참배 대상물(10)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구부(7a)를 통과시킬 때 참배 대상물(10)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 영역(A1)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구체적으로는, 외부 영역(A2)과 내부 지지 위치(30)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 납골식 등의 의식에 있어서 내부 영역(A1)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출입을 유족 등의 눈앞에서 행하는 경우에, 엄숙한 분위기를 느끼도록 하는 소행을 승려나 유족 등이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참배 대상물(10)에 대한 수납물(2)의 사람의 손에 의한 출입을, 내부 영역(A1)에 대한 참배 대상물(10)의 출입의 기회에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지만, 탑재 지지부(31)를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참배 대상물(10)에 대한 수납물(2)의 출입을, 외부 지지 위치(39)에 위치하는 탑재 지지부(31)에 의해 참배 대상물(10)이 지지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즉, 참배 대상물(10)에 대한 수납물(2)의 출입을, 참배 대상물(10) 중 적어도 일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체)가 개구부(7a)의 외측[개구부(7a)에 대하여 내부 영역(A1)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 점으로부터도, 내부 영역(A1)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상기 출입에 따른 사람의 수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지지 위치(30)가, 참배자(P)가 참배를 행할 때 참배부(6)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와 공통의 위치로 되지만, 참배부(6)에 있어서 참배자(P)에 의한 참배가 행해질 때는, 탑재 지지부(31)를 내부 지지 위치(30)에 퇴피시키는 동시에 개폐 도어(50)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참배부(6)에 있어서 엄숙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도어(50)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참배자(P)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내부 영역(A1) 내의 범위를, 창(52)의 개구 면적에 따른 비교적 좁은 범위[개구부(7a)의 개구 면적에 따른 범위보다 좁은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내부 지지 위치(30)에 위치하는 탑재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된 참배 대상물(10) 이외의, 내부 영역(A1)에 존재하는 것[반송 장치(20) 등]을 참배자(P)의 눈에 닿기 어렵게 하여, 참배를 행하는 참배자(P)에 엄숙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탑재 지지부(31)의 의도하지 않은 출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탑재 지지부(31)의 출퇴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와 탑재 지지부(31)의 출퇴 이동을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록 장치(lock mechanism)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참배 대상물(10)의 탑재 지지부(31)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나, 탑재 지지부(31)에서의 설정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참배 대상물(10)에 대하여 접촉 작용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상기 설정 위치로 교정하는 안내부를, 탑재 지지부(31)에 설치해도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다음에,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지지 위치(30)가, 참배자(P)가 참배를 행할 때 참배부(6)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와 공통의 위치로 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지지 위치(30)를, 상기 지지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개폐 도어(50)가 창(52)을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또는 개구부(7a)에 개폐 도어(50)가 설치되지 않고 개구부(7a)가 상시 개방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도어(50)의 개폐 동작과 탑재 지지부(31)의 출퇴 이동이, 각각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 도어(50)의 개폐 동작과 탑재 지지부(31)의 출퇴 이동[내부 지지 위치(30)로부터 외부 지지 위치(39)에 대한 돌출 이동(projecting movement), 또는 외부 지지 위치(39)로부터 내부 지지 위치(30)에 대한 퇴피 이동(retracting movement)]이 연동(連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폐 도어(50)의 개방 동작과 탑재 지지부(31)의 돌출 이동이 연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개폐 도어(50)의 개폐 동작과 탑재 지지부(31)의 출퇴 이동을 연동시키는 기구는, 예를 들면, 링크 기구나 기어 기구 등의 기계적 기구나, 중력을 이용한 기구[예를 들면, 개폐 도어(50)가 개방되면, 탑재 지지부(31)에 대한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탑재 지지부(31)가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기구 등]으로 할 수 있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개구부(7a)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부가, 반송 장치(20)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참배 대상물(10)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탑재 지지부(31)인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기 위해 반송 장치(20)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개구부(7a)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하방 지지부(44)가,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개구부(7a)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한 「지지부」에 상당한다. 이 경우, 참배자(P)에 의한 참배가 행해질 때는, 하방 지지부(44)에 의해 내부 지지 위치(30)에 이동된 참배 대상물(10)을, 참배자(P)에 의한 참배가 종료될 때까지, 그대로 하방 지지부(44)에 의해 지지한 상태로 한다. 또한, 내부 영역(A1)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10)을 출입시킬 때는, 보관부(65)로 내부 지지 위치(30) 사이에서의 하방 지지부(44)의 이동에 더하여,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 사이에서의 하방 지지부(44)의 출퇴 이동이 행해진다.
또는, 도 5에 나타낸 예와 같이, 반송 장치(20)가,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20)에 상당하는 제1 반송 장치(21)와는 별개로, 제1 반송 장치(21)와 내부 지지 위치(30)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2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참배 대상물(10)을 지지하기 위해 제2 반송 장치(22)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개구부(7a)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반송 장치(22)에 의한 참배 대상물(10)의 반송 경로는 제1 방향 X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송 경로의 일단(一端)(제2 측 X2의 단부)이, 제1 반송 장치(21)와 제2 반송 장치(22)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이 이송탑재되는 중계 위치(37)로 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2)는, 제1 방향 X의 위치가 고정된 고정 반송부(搬送部)(34)에 더하여,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출퇴 이동 가능한 이동 반송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반송부(35)는, 고정 반송부(34)에 대하여 제2 방향 Y의 양측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반송부(34) 및 이동 반송부(35)의 각각에는, 복수의 구동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참배 대상물(10)을 중계 위치(37)와 내부 지지 위치(30)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이동 반송부(35)를 내부 지지 위치(3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 반송부(35)에 설치된 구동 롤러 및 고정 반송부(34)에 설치된 구동 롤러의 양쪽을 구동한다. 또한, 참배 대상물(10)을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이동 반송부(35)를 출퇴 이동시키지만, 이 경우에는, 이동 반송부(35)에 설치된 구동 롤러는 구동하지 않고, 고정 반송부(34)에 설치된 구동 롤러를 이동 반송부(35)의 출퇴 이동에 맞추어(동기시켜) 구동한다. 이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동 반송부(35)가,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개구부(7a)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한 「지지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반송 장치(22)가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제2 반송 장치(22)를 벨트 컨베이어나 슬랫 컨베이어 등의 롤러 컨베이어 이외의 반송 기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2 반송 장치(22)로서, 반송면(搬送面)을 제2 방향 Y의 전역(全域)에 있어서 제1 방향 X로 신축(伸縮) 가능한 것을 이용하고, 반송면에서의 제1 측 X1의 단부의 위치를 내부 지지 위치(30)와 외부 지지 위치(39)와의 사이에서 변위(變位)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고정 반송부(34) 및 이동 반송부(35) 중 고정 반송부(34)에만 구동 롤러가 설치되고, 이동 반송부(35)에는 구동 롤러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즉, 프리 롤러만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지지 위치(39)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10)의 전체가 외부 영역(A2)[개구부(7a)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지지 위치(39)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10)의 일부만(제1 측 X1의 부분만)이 외부 영역(A2)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45)가, 하방 지지부(44)를 제1 방향 X를 따라 출퇴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탑재 장치(45)가, 참배 대상물(10)을 제2 방향 Y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를 제1 방향 X를 따라 출퇴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 이송탑재 장치(45)가, 참배 대상물(10)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플랜지부 등)를 파지(把持)하는 파지부를 제1 방향 X를 따라 출퇴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 이송탑재 장치(45)가, 참배 대상물(10)의 측면에 설치된 피걸어맞춤부(손잡이 등)에 계탈(係脫) 가능한 걸어맞춤부[훅(hook)]를 제1 방향 X를 따라 출퇴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 등으로 할 수도 있다.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20)가 스태커 크레인인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장치(20)가, 천정측에 형성된 주행 레일[주행 경로(travelling path)]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천정 반송차(ceiling transport vehicle)나,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면서 바닥면부를 자율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article transport vehicle) 등의, 스태커 크레인 이외의 반송 장치라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20)가 단일의 반송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송 장치(20)가, 서로 참배 대상물(10)을 이송탑재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5의 예와 같이, 반송 장치(20)가 제1 반송 장치(21)와 제2 반송 장치(2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을 상기 실시형태의 탑재 지지부(31)과 조합시키는 경우에는, 제2 반송 장치(22)와 탑재 지지부(31)가 상대적으로 승강함으로써, 내부 지지 위치(30)에 있어서 제2 반송 장치(22)와 탑재 지지부(31)와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10)이 이송탑재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7)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참배 대상물(10)이, 외형이 직육면체형의 수납 용기(container for religious purposes)인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참배 대상물(10)이, 유골이나 골호 등의 수납물(2)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외형이 직육면체형이 아닌 수납 용기라도 된다. 예를 들면, 불당 등의 건축물의 외형을 가지는 수납 용기나, 불상이나 보살(지장 보살 등) 등의 신앙 대상물의 외형을 가지는 수납 용기를, 참배 대상물(10)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용기에는, 수납물(2)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씌울 수 있는 형태의 것[수납물(2)을 상방 및 측방으로부터 덮는 형태의 것]도 포함된다. 또한, 참배 대상물(10)이 수납 용기가 아닌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참배 대상물(10)을, 전술한 위패나 불상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배 대상물(10)은, 경의가 표해지는 대상(고인 등)의 대신으로 되는 물체(유골 등), 또는 그와 같은 물체를 수납하기 위한 용기로 할 수 있다.
(8)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보관부(65)에 1개의 참배 대상물(10)이 보관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보관부(65)에, 복수의 참배 대상물(10)[예를 들면, 2개의 참배 대상물(10)]이 제1 방향 X로 배열되어 보관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보관 설비(1)이 제1 보관 선반(61) 및 제2 보관 선반(62)의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관 설비(1)가 제1 보관 선반(61) 및 제2 보관 선반(62)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9)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하는 것(그 외의 실시형태로서 설명한 실시형태끼리의 조합을 포함함)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상기 보관부와 상기 참배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복수의 보관부 및 상기 반송 장치가 배치되는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구비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영역에서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참배 대상물의 이동 가능 범위 내의 위치에,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 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참배 대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획벽에 형성되므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 참배 대상물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 영역과 그 외측의 영역(외부 영역)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내부 지지 위치와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참배 대상물을, 지지부에 의해 지지시킨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개구부를 통과시킬 때 참배 대상물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과시킬 때 참배 대상물을 사람의 손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 이외에는, 지지부를 내부 지지 위치로 퇴피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획벽의 외측에 있어서 상시 점유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획벽의 외측에 있어서 상시 점유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하면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참배부에서의 상기 참배자의 참배 위치를 칸막이하도록, 상기 참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창을 가지고, 상기 창은, 상기 개폐 도어에서의 상기 내부 지지 위치에 지지된 상기 참배 대상물이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참배자가 상기 참배 대상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참배부에 있어서, 참배자에 의한 참배와, 내부 영역에 대한 참배 대상물의 출입과의 양쪽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질 때는, 지지부를 내부 지지 위치로 퇴피시키는 동시에 개폐 도어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외부 지지 위치에 위치하는 지지부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참배를 위한 공간의 형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참배자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내부 영역 내의 범위를 창의 개구 면적에 따른 비교적 좁은 범위(개구부의 개구 면적에 따른 범위보다 좁은 범위)로 한정할 수 있고, 이 결과, 내부 영역에 존재하는 참배 대상물 이외의 것(반송 장치 등)을 참배자의 눈에 닿기 어렵게 하여, 참배를 행하는 참배자에 엄숙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는, 개폐 도어를 개방 상태로 하여, 지지부가 내부 지지 위치와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를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함으로써,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의 참배 대상물을, 내부 지지 위치와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구부를 통해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내부 지지 위치를, 참배자가 참배를 행할 때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와 공통의 위치로 할 수 있으므로, 이들 내부 지지 위치 및 지지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 영역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나 구획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재[장식 부재나 제단 등]의 공통화에 의해, 설비의 비용의 저감이나 설비의 설치 스페이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에 상기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의 개방 동작과 상기 지지부의 돌출 이동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 도어의 개방 동작과 지지부의 돌출 이동이 연동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지부를 내부 지지 위치로부터 외부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람의 수작업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킬 때의 사람의 수작업의 용이화를 더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각각의 구성의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장치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상기 참배 대상물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탑재 지지부이며, 상기 탑재 지지부를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반송용(搬送用) 지지부를, 내부 지지 위치와 외부 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출퇴 이동 가능한 지지부로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용 지지부를 외부 지지 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만큼, 반송 장치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능력을 낮게 억제하여 반송 장치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탑재 지지부 및 안내 지지부를 반송 장치와는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들은 내부 영역에 대하여 참배 대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소에만 설치하면 되므로, 설비 전체로서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전술한 각 효과 중, 적어도 1개를 얻을 수 있으면 된다.
1: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6: 참배부
7: 구획벽
7a: 개구부
10: 참배 대상물
20: 반송 장치
30: 내부 지지 위치
31: 탑재 지지부(지지부)
32: 안내 지지부
39: 외부 지지 위치
50: 개폐 도어
52: 창
65: 보관부
A1: 내부 영역
P: 참배자
S: 참배 위치

Claims (6)

  1. 참배(paying) 대상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
    상기 보관부와 상기 참배부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transport)하는 반송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보관부 및 상기 반송 장치가 배치되는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
    을 포함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영역에서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참배 대상물의 이동 가능 범위 내의 위치에,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 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참배 대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참배 대상물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퇴(出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전체가 상기 개구부에 대해 상기 내부 영역의 측에 배치되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전체가 닫힘 상태의 상기 개폐 도어에 대해 상기 내부 영역의 측에 배치되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참배부에서의 상기 참배자의 참배 위치를 칸막이하도록, 상기 참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창을 포함하고,
    상기 창은, 상기 개폐 도어에서의 상기 내부 지지 위치에 지지된 상기 참배 대상물이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참배자가 상기 참배 대상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의 개방 동작과 상기 지지부의 돌출 이동(projecting movement)이 연동(連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내부 지지 위치와 상기 외부 지지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내부 지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안내 지지부의 전체가 상기 개구부에 대해 상기 내부 영역의 측에 배치되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장치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참배 대상물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탑재 지지부인,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20180032667A 2017-03-22 2018-03-21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2565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5645A JP6720907B2 (ja) 2017-03-22 2017-03-22 参拝設備
JPJP-P-2017-055645 2017-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748A KR20180107748A (ko) 2018-10-02
KR102565892B1 true KR102565892B1 (ko) 2023-08-09

Family

ID=6358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67A KR102565892B1 (ko) 2017-03-22 2018-03-21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4958B2 (ko)
JP (1) JP6720907B2 (ko)
KR (1) KR102565892B1 (ko)
CN (1) CN108625660A (ko)
SG (1) SG10201802246TA (ko)
TW (1) TWI742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55760C (en) * 2016-01-21 2024-02-06 Eickhof Columbaria, Inc. Columbarium with inner ossuary
IT201700089864A1 (it) * 2017-08-03 2019-02-03 Icam S R L Dispositivo di accesso selettivo per una stazione di prelievo/deposito in un magazzino, e stazione di prelievo/deposito provvista di tale dispositivo di accesso selettivo
JP7105009B1 (ja) 2021-06-14 2022-07-22 公益社団法人緑山空海 参拝設備
NO347132B1 (en) * 2021-10-19 2023-05-30 Autostore Tech As An assembly comprising a storage cell and a goods holder, a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assemblies and 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the module
IT202100029399A1 (it) * 2021-11-19 2023-05-19 Michele Antuofermo Ossario automatizzato per la movimentazione di cassette per reliqui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561A (ja) * 1999-07-09 2001-01-23 Hiroshi Inoue 免震機能付き納骨システム
JP2005240539A (ja) * 2004-01-28 2005-09-08 Kanazawa Seizai Kk 香炉箱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8359A (en) * 1985-12-09 1987-08-25 See Jacques L Storage and display system
JPS62240010A (ja) * 1986-04-10 1987-10-20 山縣 丈治 参拝装置
US4862655A (en) * 1987-09-14 1989-09-05 Lepage Bernard E Mass interment system
US5195812A (en) * 1991-02-27 1993-03-23 Paul Eickhof Columbarium
US5477594A (en) * 1993-12-29 1995-12-26 Christian Memorial Cultural Center Niche panel
JPH09108055A (ja) 1995-10-23 1997-04-28 Koyo Autom Mach Co Ltd 収納棚における収納物落下防止装置
JPH09137637A (ja) * 1995-11-10 1997-05-27 Daifuku Co Ltd 納骨保管装置
US20110044792A1 (en) * 2005-08-30 2011-02-24 Talley Paul A Facility And Method For Interment And Automated Retrieval Of Interred Subjects
US20080116772A1 (en) * 2006-01-04 2008-05-22 Champagne Dennis R Wall-mounted urn display cabinet
CN201306036Y (zh) * 2008-04-08 2009-09-09 黄金富 多层式骨灰墓园
ATE497566T1 (de) * 2008-12-04 2011-02-15 Stefan Leeder Urnensäule
US8782969B2 (en) * 2009-06-02 2014-07-22 Eickhof Columbaria Inc. Columbarium construction and shutter mounting system
US8465243B2 (en) * 2009-07-16 2013-06-18 Wes van Ooy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a package from a dispensing system
KR20110135121A (ko) * 2010-06-10 2011-12-16 황영철 자동 참배 시스템 및 방법
US7926228B1 (en) * 2010-10-08 2011-04-19 Snow William L Cremation niche
HK1150142A2 (en) * 2011-07-20 2011-11-04 Ng See Ying Betty Modern green environmental public cemetery
US8510921B2 (en) * 2011-10-07 2013-08-20 Joshua Florea Display for urn or casket
JP5842276B2 (ja) * 2012-02-28 2016-01-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移載装置
CN103488860A (zh) * 2012-06-12 2014-01-01 好爸爸高科技集团有限公司 远程纪念遗体被埋葬在纪念设施中的死者的纪念系统和方法
US8935837B2 (en) * 2012-12-28 2015-01-20 Boris Jairala, JR. Hanging memorial
US9157252B2 (en) * 2013-08-26 2015-10-13 Terry School Niche-assist inurnment system
US20150252583A1 (en) * 2014-03-05 2015-09-10 Matthews Resources, Inc. Patron-accessible memorialization structures
JP6304107B2 (ja) * 2015-04-06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A2955760C (en) * 2016-01-21 2024-02-06 Eickhof Columbaria, Inc. Columbarium with inner ossuary
JP6332324B2 (ja) * 2016-04-27 2018-05-30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車
CN205604828U (zh) * 2016-05-17 2016-09-28 王敏良 一种墓葬系统
US20180202184A1 (en) * 2017-01-19 2018-07-19 Biondan North America Inc. Funerary construction for containing funerary obje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561A (ja) * 1999-07-09 2001-01-23 Hiroshi Inoue 免震機能付き納骨システム
JP2005240539A (ja) * 2004-01-28 2005-09-08 Kanazawa Seizai Kk 香炉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2261B (zh) 2021-10-11
US20180274259A1 (en) 2018-09-27
TW201838554A (zh) 2018-11-01
JP6720907B2 (ja) 2020-07-08
SG10201802246TA (en) 2018-10-30
KR20180107748A (ko) 2018-10-02
CN108625660A (zh) 2018-10-09
US10604958B2 (en) 2020-03-31
JP2018159188A (ja)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892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2565887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2558458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2469331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0245114B1 (ko) 입체 제단 장치
TWI797194B (zh) 參拜對象物的保管設備
KR102503638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JPH09108055A (ja) 収納棚における収納物落下防止装置
JP2010150750A (ja) 自動貸金庫装置
KR100262047B1 (ko) 입체 제단 장치의 제례용 용기 전시 장치
JP6765852B2 (ja) 横連立型フォークパーキングとその入出庫方法
JP3454339B2 (ja) 物品移載装置
KR100262046B1 (ko) 입체 제단 장치의 제례용 위패 상자
JP2021066594A (ja) 扉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IT9068080A1 (it) Sistema meccanizzato di stoccaggio e movimentazione di cassette di sicurezza, ad esempio per istituti bancari
JPH0474513B2 (ko)
JP2003227246A (ja) 自動搬送式納骨壇
JPH0662089U (ja) 移動式床下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