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575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575B1
KR102565575B1 KR1020177037505A KR20177037505A KR102565575B1 KR 102565575 B1 KR102565575 B1 KR 102565575B1 KR 1020177037505 A KR1020177037505 A KR 1020177037505A KR 20177037505 A KR20177037505 A KR 20177037505A KR 102565575 B1 KR102565575 B1 KR 10256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bsorbent article
sheet
microcapsules
contac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907A (ko
Inventor
도시유키 다니오
도모유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Abstract

본 개시는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 시트(21)와,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55)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1)으로서, 피부 접촉 시트(17)가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布帛)을 포함하고,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며, 그리고 피부 접촉 시트(17)가 그 내부에 마이크로캡슐(55)을 포함하고,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측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측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1)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 예컨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등에서는, 오랜 세월 쌓아온 기술 개발에 의해 기본적 성능이 향상되고, 이전과 비교하여, 경혈 등의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 샘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어지게 되어, 현재는, 한층 더 고기능화, 예컨대 방향 기능, 냉감 기능 등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착용자에게 과도한 자극이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고, 땀 차는 것이나 달라붙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청량제를 포함하는 재료를 구비하며, 상기 청량제를 포함하는 재료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402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청량제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청량제와 착용자 사이에 표면 시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청량제와 착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 착용자에게 과도한 자극이 부여되는 것은 억제되지만, 착용자가 청량제의 작용을 실감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피부 접촉 시트와, 착의 접촉 시트와,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피부 접촉 시트가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布帛)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가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며, 그리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가 그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흡수성 물품(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부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피부 접촉 시트와, 착의 접촉 시트와,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피부 접촉 시트가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가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며, 그리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가 그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며, 그리고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다. 그 결과, 마이크로캡슐 및 냉감 성분이 착용자에게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쉽게 자극을 주지 않는 한편, 마이크로캡슐 및 냉감 성분이 착용자 가까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냉감 성분에 의한 냉감 작용을 신속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냉감 성분에 의한 냉감 작용을 장시간에 걸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2]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에 도공된 접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유지하고 있는,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에 도공된 접착부가 마이크로캡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착용자가 움직인 경우여도, 마이크로캡슐이 그 위치를 바꾸기 어려워, 마이크로캡슐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그 결과, 착용자의 피부에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태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3]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직경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은,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다. 그 결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은 형태를 형성하기 쉬워지는 것 이외에도 마이크로캡슐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양태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4]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있지 않는,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태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5]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90 질량% 이상이 4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양태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마이크로캡슐의 90 질량% 이상이 4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기 때문에,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으며, 그리고 흡수성 물품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있지 않는 형태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양태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6]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40 ㎛ 이상 또한 6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과 6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을 4:1∼1:4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양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마이크로캡슐이 특정한 입경을 갖기 때문에,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으며, 그리고 흡수성 물품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있지 않는 형태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양태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7]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와 상기 착의 접촉 시트 사이에,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시트가 그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면과 상기 피부 비접촉면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적은 개수 밀도로 포함하는, 양태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보조 시트가 마이크로캡슐을 소정의 개수 밀도로 포함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캡슐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널리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양태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냉감 작용을, 착용자의 피부에 장시간에 걸쳐 작용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8]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보조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 시트측의 면에 도공된 접착부로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더 구비하는, 양태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보조 시트의 피부 접촉 시트측의 면에 도공된 접착부가 마이크로캡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착용자가 움직인 경우여도, 마이크로캡슐이 그 위치를 바꾸기 어려워, 마이크로캡슐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그 결과,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태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양태 9]
상기 흡수성 물품이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랩부를 가지며, 상기 피부 접촉 시트 및 착의 접촉 시트가 상기 한 쌍의 플랩부를 형성하고 있는, 양태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9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한 쌍의 플랩부가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구비하고 있고, 땀 차기 쉬운 히프 등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부여하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 냉감 성분에 의한 냉감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양태 9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조기에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이하, 「제1 실시형태」라고 칭함)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생리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부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 영역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1) 및 마이크로캡슐(55), 그리고 접착부(59) 및 접착부(63)가 생략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을 가지며,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되는 흡수성 물품 본체부(3)와, 흡수성 물품 본체부(3)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랩부, 즉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와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를 갖는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중앙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는 흡수성 물품(1)의 후방에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후방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본체부(3)는, 액투과성 시트(9)와, 액불투과성 시트(11)와, 액투과성 시트(9)와 액불투과성 시트(11) 사이의 흡수체(13)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의,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는, 피부 접촉면(15)을 갖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면(22)을 갖는 착의 접촉 시트(21)와,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 시트(21) 사이의 보조 시트(19)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도,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와 마찬가지로, 피부 접촉면(15)을 갖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면(22)을 갖는 착의 접촉 시트(21)와,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 시트(21) 사이의 보조 시트(19)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성 물품 본체부(3)가 액불투과성 시트(11)에 고정된 점착부(23)를 가지며,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 본체부(3)가 점착부(23)를 통해 착용자의 착의 내측에 고정된다.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 본체부(3)에 형성되고, 액투과성 시트(9) 및 흡수체(13)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29)와, 액투과성 시트(9) 및 흡수체(13)를 관통하는 개구부(35)와, 액투과성 시트(9) 및 액불투과성 시트(11)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1)의 외측 가장자리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부(37)(압착부)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 본체부(3)의 액투과성 시트(9)와, 사이드 플랩부(5)의 피부 접촉 시트(17) 및 히프 플랩부(7)의 피부 접촉 시트(17)는 연속되어 있고, 단일 시트(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본체부(3)의 액불투과성 시트(11)와, 사이드 플랩부(5)의 착의 접촉 시트(21) 및 히프 플랩부(7)의 착의 접촉 시트(21)는 연속되어 있고, 단일 시트(필름)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액투과성 시트(9)를 Z 형상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음부(41)와, 접음부(41)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33)를 갖는다. 또한, 접음부(41)는, 흡수한 체액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즉 흡수성 물품 본체부(3)로부터 사이드 플랩부(5) 및 히프 플랩부(7)의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샘 방지벽을 형성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성 물품 본체부(3)의 액투과성 시트(9)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ridge portion; 43)와, 이랑부(43)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고랑부(groove portion; 47)를 갖는 부직포이다. 또한, 사이드 플랩부(5)의 피부 접촉 시트(17)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45)와, 이랑부(45)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고랑부(49)를 갖는 부직포이다. 또한, 히프 플랩부(7)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편의상, 이랑부(43) 및 이랑부(45), 그리고 고랑부(47) 및 고랑부(49)는 생략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는, 착의 접촉 시트(21)의 착의 접촉면(22)에 고정된 한 쌍의 점착부(25)를 가지며,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가, 점착부(25)를 사이에 두고, 액불투과성 시트(11)와 마주보도록 절곡된 후, 한 쌍의 점착부(25)를 통해, 착용자의 착의의 외측에 고정된다.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는, 착의 접촉 시트(21)의 착의 접촉면(22)에 고정된 한 쌍의 점착부(27)를 가지며,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는, 절곡되지 않고, 한 쌍의 점착부(27)를 통해, 착용자의 착의의 내측에 고정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 시트(21)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1)의 외측 가장자리를 시일하는 시일부(39)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는, 피부 접촉면(15)을 갖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보조 시트(19)와, 착의 접촉 시트(21)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31)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히프 플랩부(7)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착의 접촉 시트(21)와, 소망에 의한 피부 접촉 시트(17)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1)의 외측 가장자리를 시일하는 시일부(39)를 갖는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 및 한 쌍의 히프 플랩부(7) 각각은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1)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1)에서는, 냉감 성분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내부에 존재하고,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측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측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17)가 포백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측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측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와, 보조 시트(19) 사이에만 존재하는 경우보다도 신속하게, 마이크로캡슐(55) 중의 냉감 성분에 의한 냉감 작용을 착용자에게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측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측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고 또한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측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측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기 때문에,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에 존재하기 어렵고, 마이크로캡슐(55) 중의 냉감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 위에, 구체적으로는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에 도공된 접착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접착부(59)는,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 위에, 파형의 도공 패턴으로 도공되어 있고,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비접촉면(57)의 일부를 덮고 있다. 접착부(59)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보조 시트(19)를 접합시키는 것과 더불어,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피부 접촉 시트(17)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는 마이크로캡슐(55), 구체적으로는 피부 접촉 시트(17)와 보조 시트(19) 사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55)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고,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에 존재하기 어렵게 되므로, 마이크로캡슐(55) 중의 냉감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에, 마이크로캡슐(55)을 갖고 있지 않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55) 중의 냉감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보조 시트(19)가 보조 시트(19)의 내부에 마이크로캡슐(55)을, 피부 접촉 시트(17)의 두께 방향의 중앙면(65)과 피부 비접촉면(57) 사이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캡슐(55)의 개수 밀도보다도 적은 개수 밀도로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55)이,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으로 널리 분포되기 때문에, 냉감 성분에 의한 냉감 작용을 장시간에 걸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중앙면을 획정하는 두께(㎜)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에카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 FS-60DS[측정면 44 ㎜(직경), 측정압 3 g/㎠]를 준비하고, 표준 상태(온도 23±2℃, 상대 습도 50±5%) 하에, 흡수체의 상이한 5개의 부위를 가압하고,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가압 10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두께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보조 시트(19)의 피부 접촉 시트 측면(61)에 도공된 접착부(63)를 갖는다. 또한, 접착부(63)는, 보조 시트(19)의 피부 접촉 시트 측면(61) 위에 파형의 도공 패턴으로 도공되어 있고, 보조 시트(19)의 피부 접촉 시트 측면(61)의 일부를 덮고 있다. 접착부(63)는, 보조 시트(19)와, 피부 접촉 시트(17)를 접합시키는 것과 더불어,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보조 시트(19)와 피부 접촉 시트(17) 사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55)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고, 마이크로캡슐(55)이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에 존재하기 어렵게 되므로, 마이크로캡슐(55) 중의 냉감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접착부(63)가 피부 접촉 시트(17)의 피부 접촉면(15)에서 먼 위치에도 마이크로캡슐(55)을 유지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캡슐(55)이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으로 널리 분포되어,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에게, 마이크로캡슐(55) 중의 냉감 성분을 장시간에 걸쳐 작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가,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은 형태를 형성하기 쉽게 되며, 그리고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캡슐이 존재하지 않는 형태를 형성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 중앙의 중앙면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 사이의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 중앙의 중앙면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 사이의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섬유 밀도의 고저는, 시료를 액체 질소에 침지하고, 계속해서, 침지 후의 시료를 2개로 나누어, 그 단면을 현미경, 예컨대 전자현미경 또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판단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마이크로캡슐의 평량은, 내포하는 냉감 성분의 농도, 양 등에 따라서도 변화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5∼12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g/㎡이다. 상기 평량이 0.5 g/㎡를 하회하면, 마이크로캡슐에 포함되는 냉감 성분이 그 작용을 발휘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평량이 12 g/㎡를 초과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지만,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영역으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 중앙의 중앙면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 사이의 영역을 들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영역으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 중앙의 중앙면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 사이의 영역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의 대소는, 피부 접촉 시트의 섬유 밀도의 높낮이와 마찬가지로 육안으로 판단된다. 또한, 식별성의 관점에서, 마이크로캡슐을 착색하거나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이 수용성 전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오드 등에 의해 착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0.9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0.80배, 그리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30∼0.70배이다.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음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존재하기 어렵게 되고, 마이크로캡슐 중의 냉감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 중앙의 중앙면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 사이의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 중앙의 중앙면과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 사이의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섬유 직경은, 시료를 액체 질소에 침지하고, 계속해서, 침지 후의 시료를 둘로 접어, 그 단면 화상을 현미경, 예컨대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고, 화상으로부터, 섬유의 섬유 직경을 임의로 50곳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직경 1∼1,000 ㎛의 크기를 가지며, 코어 재료(제2 기능성 성분)를 내포하는 공간을 갖는 캡슐을 의미한다.
상기 캡슐은, 코어 재료를 내포하고 또한 코어 재료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외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형, 부정형 등의 외관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은, 코어 재료를 유지하는 공간을 하나 갖는 단핵형, 또는 코어 재료를 유지하는 공간을 복수 갖는 다핵형일 수 있다. 상기 공간의 형상으로는, 구형, 부정형 등의 공간 형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예로서는, 외관이 구형이고 또한 다핵형의 공간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수붕괴성의 마이크로캡슐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붕괴성의 마이크로캡슐은, 체액 등의 액체(수용액)와 접함으로써, 내포하는 냉감 성분을 방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수붕괴성의 마이크로캡슐은, 액체와 접하면, 마이크로캡슐의 소재가 물에 용해되어 붕괴되고, 마이크로캡슐이 액체와 접하면, 마이크로캡슐이 물에 팽윤하여 그 강도가 저하되며, 마이크로캡슐이 파괴됨으로써 붕괴되는 등에 의해, 냉감 성분을 방출한다.
수붕괴형의 마이크로캡슐은, 25℃에 있어서, 물 100 g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3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 g의 범위의 수용해도를 갖는다.
상기 수용해도는, 시험 온도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OECD 가이드라인 No. 105 플라스크법에 따라 측정된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소재로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당류, 예컨대 단당류(예컨대, 포도당), 이당류(예컨대, 자당), 다당류(예컨대, 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알긴산나트륨, 수용성 전분 등), 젤라틴, 수용성 폴리머(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비닐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내포할 수 있는 냉감 성분으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냉감재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피부의 신경에 있는 수용체 활성화 채널(TRPM8)에 작용하는 것, 예컨대 멘톨(예컨대, l-멘톨) 및 그 유도체, 살리실산메틸, 캄파(camphor), 식물(예컨대, 민트, 유칼립투스) 유래의 정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감 성분으로는, 기화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낮추는 것, 예를 들어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및 에탄올을 들 수 있다.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은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Symrise사에서 시판되는 INCAP(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상이 4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90 질량% 이상이 상기 입경을 가짐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널리 분포되기 쉽게 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40 ㎛ 이상 또한 6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과 6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을, 바람직하게는 4:1∼1:4, 보다 바람직하게는 3:1∼1:3, 더욱 바람직하게는 2:1∼1:2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질량비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널리 분포되기 쉽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입경은 체(sieve)에 의해 측정된다. 예를 들어, 4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의 질량비는, 80 ㎛의 체를 통과하고 또한 구멍 크기 40 ㎛의 체 위에 남는 마이크로캡슐의 질량비를 산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캡슐 중, 40 ㎛ 이상 또한 6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은, 구멍 크기 60 ㎛의 체를 통과하고 또한 구멍 크기 40 ㎛의 체 위에 잔존하는 질량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캡슐 및 내포되는 냉감 성분이 착용자에게 직접 닿기 어려워,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 성분에 의한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캡슐을, 착용자의 피부에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을 정도로 소량 가져도 좋다.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마이크로캡슐의 양이 소량이라면, 착용자의 피부에 과도한 자극(냉감 작용)을 쉽게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피부 접촉 시트는,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인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시트일 수 있고, 상기 포백으로서는, 상기 섬유로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예컨대, SMS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피부 접촉 시트는, 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땀을 흘렸을 때에, 땀이 피부 접촉 시트 내로 침투하기 쉽게 되어,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냉감 성분이 신속하게 방출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피부 접촉 시트가,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와, 이랑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고랑부를 갖는 부직포여도 좋다. 그러한 부직포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0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30218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함유하는 웨브를 복수 층 중첩시키고, 중첩된 복층 웨브에 기체를 분사하여 요철 구조를 형성한 후, 요철 구조를 갖는 웨브를 가열 처리하여 웨브 중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의 교차 부분을 열융착시킴으로써, 전술한 부직포가 제조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복층 웨브를 통기성 지지 부재(예컨대, 메쉬형 지지 부재)에 배치하고, 통기성 지지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층 웨브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기체(통상은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복층 웨브의 상면에, 이랑부 및 고랑부를 포함하는 이랑-고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층 웨브의 하면은, 통기성 지지 부재의 형상을 따른 형상이 된다. 예를 들어, 메쉬형 지지 부재의 웨브 배치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복층 웨브의 하면은 대략 평탄해진다(따라서, 형성되는 부직포의 하면도 대략 평탄해진다).
웨브의 상면 중, 기체가 분사된 영역에는, 통기성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랑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고랑부 사이에 이랑부가 형성된다. 이 때, 기체가 분사된 영역의 섬유가 고랑부의 양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랑부의 섬유 밀도는, 통상, 고랑부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아진다.
이랑부 및 고랑부의 수, 간격, 평량, 섬유 밀도 등은, 노즐의 수, 구경 및 피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온도 및 분사량, 웨브의 장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지만, 그러한 부직포는, 예를 들어 복층 웨브에 있어서, 상층 웨브의 섬유 밀도를, 하층 웨브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분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랑부의 섬유 밀도(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 밀도)를, 고랑부의 섬유 밀도(피부 접촉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섬유 밀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랑부의 섬유 밀도가 고랑부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은 부직포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02034호, 동 2008-023311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지만, 그러한 피부 접촉 시트는, 예를 들어, 복층 웨브에 있어서, 상층의 웨브의 섬유 직경을, 하층의 웨브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소망에 의한 보조 시트로서는, 피부 접촉 시트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에 관한 부호는 도 1∼도 4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직포 롤(101)로부터 풀어낸 부직포 시트(103)를,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Z 접음 부재(105)에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엠보스 장치(107)에 통과시킴으로써, 압착부(33)를 구비하는 접음부(41)를 갖는 접음 시트(109)가 형성된다. 또한, 접음 시트(109)는, 그 상면이 흡수성 물품의 내면을 형성한다.
또한, 부직포 시트(103)는, 흡수성 물품(1)의 액투과성 시트(9)와,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5) 및 한 쌍의 히프 플랩부(7)의 피부 접촉 시트(17)를 형성하고, 접음부(41)는 흡수성 물품(1)의 접음부(41)를 형성하며, 접음부(41)의 압착부(33)는 흡수성 물품(1)의 압착부(33)를 형성한다.
접음 시트(109)의, 흡수성 물품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1)의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3)과, 한 쌍의 히프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5)과, 잘라내야 할 트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7)에, 반송 방향(MD)을 따라, 접착제 도공기(119)로부터, 접착제를 도공하고, 접음 시트(109) 위에, 2개의 접착부(59)를 형성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착부를 갖는 접음 시트(120)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접착부를 갖는 접음 시트(120)의, 흡수성 물품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1)의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3)과, 한 쌍의 히프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5)과, 잘라내야 할 트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7)에, 또한 접착부(59) 위에, 반송 방향(MD)을 따라, 마이크로캡슐 도공기(121)로부터 마이크로캡슐(55)을 도공하고, 접음 시트(109) 위의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3)의 각각의 위에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1)을 형성하고, 한 쌍의 히프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5)의 각각의 위에,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3)을 형성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착부 및 마이크로캡슐을 갖는 접음 시트(123)를 형성한다.
또한, 마이크로캡슐 도공기(121)의, 접음 시트(109)를 사이에 끼워, 마이크로캡슐(55)을 흡인하는 흡입 박스(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 시트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와,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는, 마이크로캡슐 도공기의 에어압, 접음 시트를 사이에 끼워, 마이크로캡슐 도공기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흡입 박스의 흡인압 등을 조절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접음 시트(109)의,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3)과, 한 쌍의 히프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5)과, 잘라내야 할 트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7)에, 반송 방향(MD)(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 L)을 따라, 접착제 도공기(124)로부터 접착제를 도공하고,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3)과, 한 쌍의 히프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5)과, 잘라내야 할 트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7) 위에, 그리고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1) 및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53) 위에, 접착부(63)를 형성하고, 접착부, 마이크로캡슐 및 접착부를 갖는 접음 시트(125)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접착부, 마이크로캡슐 및 접착부를 갖는 접음 시트(125)의, 사이드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3) 및 히프 플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115) 위에, 제2 부직포롤(127)로부터 풀어낸 보조 시트(129)를 중첩시켜, 제1 적층 시트(131)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 적층 시트(131) 위에, 접착제 도공기(133)로부터 접착제를 도공하고, 그 위에, 흡수체(135)를 중첩시켜, 제2 적층 시트(137)를 형성한다.
또한, 흡수체(135)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흡수체 제조 장치(139)에 의해 제조되고, 흡수체 제조 장치(139)는, 재료 공급부(141)와, 흡입 드럼(143)과, 흡입 드럼(143)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 몰드(145)와, 흡입부(146)를 구비한다.
계속해서, 제2 적층 시트(137)를 엠보스 장치(147)에 통과시켜, 제2 적층 시트(137)에 흡수성 물품(1)의 압착부(29)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제2 적층 시트(137)를, 관통 구멍 형성기(149)에 통과시켜, 거기에 흡수성 물품(1)의 개구부(35)를 형성함으로써, 제3 적층 시트(151)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3 적층 시트(151)에, 접착제 도공기(153)로부터 접착제를 도공하고, 계속해서, 필름 롤(155)로부터 필름(156)을 풀어내어, 제3 적층 시트(151) 위에 중첩시킴으로써, 제4 적층 시트(157)를 형성한다. 또한, 필름(156)은, 흡수성 물품(1)의 흡수성 물품 본체부(3)의 액불투과성 시트(11)와, 사이드 플랩부(5) 및 히프 플랩부(7)의 착의 접촉 시트(21)를 형성한다.
제4 적층 시트(157)를, 엠보스 장치(159)에 통과시켜, 제4 적층 시트(157)를 그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제5 적층 시트(161)를 형성한다.
제5 적층 시트(161)를, 커터 롤 및 앤빌(anvil) 롤을 구비하는 절단 장치(163)에 통과시켜, 제5 적층 시트(161)를, 흡수성 물품(1)과, 잘라내야 할 트림부를 구획하는 경계면에서 절단하고, 흡수성 물품(1)과, 트림부(도시하지 않음)로 분리한다.
분리된 트림부는, 흡인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의 접촉면(22)을 흡인함으로써 잘라내어진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웨브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외피 성분으로 하는 복합 섬유(평균 섬도: 3.3 dtex, 평균 섬유 길이: 38 ㎜)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외피 성분으로 하는 복합 섬유(평균 섬도: 3.3 dtex, 평균 섬유 길이: 51 ㎜)의 혼합물(질량비 4:3)로부터, 웨브 No. 1(평량: 35 g/㎡)을 형성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외피 성분으로 하는 복합 섬유(평균 섬도: 1.7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외피 성분으로 하는 복합 섬유(평균 섬도: 2.3 dtex, 평균 섬유 길이: 45 ㎜)의 혼합물(질량비 1:1)로부터, 웨브 No. 2(평량: 25 g/㎡)를 형성하였다.
(2) 부직포의 제조
웨브 No. 1 위에, 웨브 No. 2를 중첩시켜 웨브를 형성하고,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31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이랑부 및 고랑부를 포함하는 이랑-고랑 구조를 갖는 피부 접촉 시트 No. 1을 형성하였다.
이용한 부직포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설정은 다음과 같다.
분사구 332의 직경: 1.0 ㎜(진원)
분사구 322의 피치: 3.0 ㎜
분사 기체 온도: 310℃
하나의 분사구당 분사 기체 풍량: 5 ℓ/분
웨브 반송 속도: 속도 100 m/분
통기성 지지 부재 310(메쉬형 지지 부재): 70 메쉬
히터부 340에 의한 가열 처리: 가열 처리 온도를 140℃, 통과 풍속 1.2 m/초로 6초간 처리
(3) 흡수성 물품의 제조
도 5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따라, 도 1∼도 4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 No. 1을 제조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은 냉감 성분으로서 멘톨을 포함하고 있고, 평량: 1.5 g/㎡가 되도록 도공되었다.
흡수성 물품 No. 1의 사이드 플랩부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았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았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았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캡슐은 존재하지 않았다.
[제조예 2]
부직포의 제조시에, 웨브 No. 1을 2장 중첩시킨 점과, 마이크로캡슐을 도공할 때에, 마이크로캡슐 도공기의 도공압을 낮추어, 흡입 박스로부터의 흡인을 행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성 물품 No. 2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예 2에서는, 마이크로캡슐 도공기의 도공압을 낮추었지만, 마이크로캡슐의 평량은, 제조예 1과 동등하였다.
흡수성 물품 No. 1의 사이드 플랩부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피부 접촉 시트의 내부에, 마이크로캡슐이 거의 들어가 있지 않았다. 또한,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마이크로캡슐은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복수 명의 볼런티어 피험자에게, 흡수성 물품 No. 1 및 흡수성 물품 No. 2를 착용시켜준 결과, 흡수성 물품 No. 1은, 흡수성 물품 No. 2와 비교하여, 냉감을 느끼는 것이 빠르며, 그리고 냉감을 느끼고 있는 시간도 길다는 회답을 얻었다.
1 : 흡수성 물품
3 : 흡수성 물품 본체부
5 : 사이드 플랩부
7 : 히프 플랩부
9 : 액투과성 시트
11 : 액불투과성 시트
13 : 흡수체
15 : 피부 접촉면
17 : 피부 접촉 시트
19 : 보조 시트
21 : 착의 접촉 시트
22 : 착의 접촉면
23, 25, 27 : 점착부
29, 31, 33 : 압착부
35 : 개구부
37, 39 : 시일부
41 : 접음부
43, 45 : 이랑부
47, 49 : 고랑부
51, 53 : 마이크로캡슐 존재 영역
55 : 마이크로캡슐
57 : 피부 비접촉면
59, 63 : 접착부
61 : 피부 접촉 시트 측면
65 : 중앙면

Claims (9)

  1. 피부 접촉 시트와, 착의 접촉 시트와,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피부 접촉 시트가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布帛)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가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며, 그리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가 그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가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에 도공된 접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가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유지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직경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의 상기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도 작은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있지 않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90 질량% 이상이 4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40 ㎛ 이상 또한 6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과 60 ㎛ 이상 또한 80 ㎛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부분을 4:1∼1:4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피부 접촉 시트와 상기 착의 접촉 시트 사이에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시트가 그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상기 피부 접촉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면과 상기 피부 비접촉면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개수 밀도보다도 적은 개수 밀도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보조 시트의 상기 피부 접촉 시트측의 면에 도공된 접착부로서, 냉감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더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랩부를 가지며, 상기 피부 접촉 시트 및 착의 접촉 시트가 상기 한 쌍의 플랩부를 형성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77037505A 2015-06-30 2016-05-30 흡수성 물품 KR102565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2205 2015-06-30
JP2015132205A JP6045655B1 (ja) 2015-06-30 2015-06-30 吸収性物品
PCT/JP2016/065927 WO2017002503A1 (ja) 2015-06-30 2016-05-3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907A KR20180023907A (ko) 2018-03-07
KR102565575B1 true KR102565575B1 (ko) 2023-08-09

Family

ID=5754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505A KR102565575B1 (ko) 2015-06-30 2016-05-3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045655B1 (ko)
KR (1) KR102565575B1 (ko)
CN (1) CN107708636B (ko)
MY (1) MY177582A (ko)
PH (1) PH12017550151A1 (ko)
TW (1) TWI717361B (ko)
WO (1) WO2017002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4108A (zh) * 2017-09-01 2019-11-2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温感物品
JP3213494U (ja) * 2017-09-01 2017-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機能性物品
KR101959532B1 (ko) * 2017-09-27 2019-03-18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캡슐화된 냉감제 처리된 생리대
CN110022808B (zh) * 2017-11-08 2021-05-07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WO2019092808A1 (ja) * 2017-11-08 2019-05-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体
CN110022823B (zh) * 2017-11-08 2021-10-15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WO2019240642A1 (en) * 2018-06-15 2019-12-1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and method of applying phase change material to an absorbent article
WO2019240643A1 (en) * 2018-06-15 2019-12-1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and method of applying phase change material to an absorbent article
BR112021026913A2 (pt) * 2019-08-30 2022-03-15 Unicharm Corp Artigo absorvente
CN114206281B (zh) * 2019-08-30 2023-03-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7254045B2 (ja) * 2020-03-31 2023-04-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AU2021443104A1 (en) * 2021-04-29 2023-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N113995577B (zh) * 2021-12-07 2022-09-06 广东冰冰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防侧漏的经期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21A (ja) 2000-03-31 2001-10-09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着用物品
CN1839776A (zh) 2005-04-01 2006-10-04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2008006227A (ja) 2006-06-30 2008-01-17 Jichi Medical Univ ラパロポート
WO2010114051A1 (ja) 2009-03-31 2010-10-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378611A (zh) 2009-03-31 2012-03-1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WO2014050757A1 (ja) 2012-09-28 2014-04-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4957B2 (ja) * 2006-05-31 2012-08-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CN101104082A (zh) * 2006-06-07 2008-01-16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次性吸收物品
WO2009028236A1 (ja) * 2007-08-28 2009-03-05 Kao Corporation 賦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452964B2 (ja) 2009-03-31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25015B2 (ja) * 2012-03-30 2016-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21A (ja) 2000-03-31 2001-10-09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着用物品
CN1839776A (zh) 2005-04-01 2006-10-04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2008006227A (ja) 2006-06-30 2008-01-17 Jichi Medical Univ ラパロポート
WO2010114051A1 (ja) 2009-03-31 2010-10-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378611A (zh) 2009-03-31 2012-03-1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WO2014050757A1 (ja) 2012-09-28 2014-04-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7550151B1 (en) 2018-07-09
WO2017002503A1 (ja) 2017-01-05
CN107708636B (zh) 2020-08-28
JP6045655B1 (ja) 2016-12-14
JP2017012455A (ja) 2017-01-19
KR20180023907A (ko) 2018-03-07
MY177582A (en) 2020-09-21
CN107708636A (zh) 2018-02-16
TWI717361B (zh) 2021-02-01
TW201717871A (zh) 2017-06-01
PH12017550151A1 (en)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75B1 (ko) 흡수성 물품
TWI708597B (zh) 吸收性物品
JP525873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21058655A (ja) 3次元基材
JP5016020B2 (ja) おりものシート
JP4023996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RU2723405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TW201121521A (en) Absorbent article
TW201228642A (en) Absorbent article
JP2009297048A (ja) 吸収性物品
JPH10234776A (ja) 体液吸収性物品
KR20110139725A (ko) 흡수성 물품
EP254730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web of a laminate material for retaining faece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bsorbent article
RU2713963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потовпитывающий лист
RU2724844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TWI637733B (zh) Absorbent article
JP2004073759A (ja) 吸収性物品
JP6172809B2 (ja) 吸収性物品
WO2022071516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088731B2 (ja) 吸収性物品
KR101785900B1 (ko) 흡수성 물품
JP2018079033A (ja) 吸収性物品
JP6982101B2 (ja) 吸収性物品
JP2012090689A (ja) 吸収性物品
JP5255323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