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72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725A
KR20110139725A KR1020117023990A KR20117023990A KR20110139725A KR 20110139725 A KR20110139725 A KR 20110139725A KR 1020117023990 A KR1020117023990 A KR 1020117023990A KR 20117023990 A KR20117023990 A KR 20117023990A KR 20110139725 A KR20110139725 A KR 2011013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wearer
width direction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808B1 (ko
Inventor
신페이 고마츠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 접촉면에 착용자에게 냉감을 주는 냉감제가 배치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냉감제는, 물에 의해 용해되는 마이크로 캡슐화제에 의해 둘러싸여,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 접촉면에 배치된다. 착용자의 뇨에 의해 막이 용해되면, 냉감제의 성분이 발산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자극을 준다. 이에 따라, 착용자에게 기저귀의 교체 시기를 의식하게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교체 시기」를 시사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장착시에 땀이 차거나 땀으로 달라붙는 것을 경감할 목적으로, 착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물질이 도포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기능을 갖는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청량감을 주는 화합물(이하, 청량제라고 함)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자극이 강하다고 느낄 착용자도 있다. 과도한 자극은, 착용자에게 청량감보다 오히려 위화감을 준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06277호 공보(제4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25245호 공보
발명의 개요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F1-F1'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냉감재를 배치하는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코터 도공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코터 도공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한 도포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MD 방향으로 불연속한 위치에 냉감재를 배치한 도공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를 붙인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와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당연히 포함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구성)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F1-F1'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의 흡수성 물품(1)은, 예를 들어 생리용 냅킨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전방 영역(F)과 중앙 영역(M)과 후방 영역(R)을 갖는다. 전방 영역(F)은, 착용자의 배쪽 피부 표면에 접촉한다. 중앙 영역(M)은, 착용자의 질구멍 주변의 피부 표면에 접촉한다. 후방 영역(R)은, 착용자의 엉덩이쪽 피부 표면에 접촉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10)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착용자에 대하여 청량감을 주는 화합물(이하, 청량제라고 함)을 포함한 재료(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를 냉감재(100)로 기재한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체(30)는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냉감재(100)는,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냉감재(100)는, 도 1에서 망점 표시된 영역(A1, A2)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흡수체(30)의 착용자측의 표면을 덮는 제1 시트(11)와, 제1 시트(11)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시트(12, 13)를 갖는다.
이면 시트(20)는, 윙(21), 윙(22)을 갖는다. 윙(21)과 윙(22)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의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 형성된다. 윙(21)과 윙(22)은, 중앙 영역(M)에서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면 시트(20)의 중앙 영역(M)의 폭은, 전방 영역(F) 및 후방 영역(R)의 폭보다 크다.
제1 시트(11)는, 이면 시트(2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1 시트(11)의 단부의 형상은, 이면 시트(20)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제1 시트(11)는, 적어도 흡수체(30)의 표면을 덮는다.
제2 시트(12, 13)는, 제1 시트(11)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2 시트(12)는, 흡수체(30)의 단부의 일부 및 윙(21)을 덮는다. 제2 시트(12)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는 대략 직선이며, 제1 시트(11)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와 겹친다. 제2 시트(12)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 단부는, 이면 시트(20)의 외측 둘레의 일부 및 윙(21)의 형상과 일치한다.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100∼5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50∼35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폭방향의 치수는, 30∼2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0∼18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시트(13)는, 흡수체(30)의 측가장자리의 일부 및 윙(22)을 덮는다. 제2 시트(13)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는 대략 직선이며, 제1 시트(11)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 단부와 겹친다. 제2 시트(13)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 단부는, 이면 시트(20)의 외측 둘레의 일부 및 윙(22)의 형상과 일치한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F1-F1'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윙(21)은, 제2 시트(12)에 의해 덮인다. 윙(22)은, 제2 시트(13)에 의해 덮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12, 13)는, 제1 시트(11)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11a, 11b)에서 제1 시트(11)와 접합되어 있다. 냉감재(100)는, 제2 시트(12, 13)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냉감재(100)는, 제2 시트(12, 13)의 이면에 접한다.
또, 제2 시트(12)는, 제2 시트(12)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12a)와, 가장자리부(12a)보다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되접음부(12b)를 갖는다. 제2 시트(12)가 제1 시트(11)에 겹쳐, 제1 시트(11)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11a)와 제2 시트(12)의 가장자리부(12a)가 접합된 상태로, 되접음부(12b)가 제1 시트(11)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되접힘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10a)이 형성된다. 제2 시트(13)도 제2 시트(12)와 마찬가지로, 제2 시트(13)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13a)와, 가장자리부(13a)보다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되접음부(13b)를 가지며, 제1 시트의 단부(11b)에 접합된다.
또, 흡수성 물품(1)에서, 제1 시트(11), 제2 시트(12, 13), 이면 시트(20) 및 흡수체(30)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1 시트(11), 제2 시트(12, 13) 및 이면 시트(20)의 둘레 가장자리가 접합되고, 흡수체(30)가 내측에 밀봉되어 있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접합 방법으로는,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 멜트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시트(11)와 흡수체(30)는, 압착부(41)와 압착부(42)에 의해 서로 압착된다. 압착부(41) 및 압착부(42)는,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에,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압착부(41) 및 압착부(42)는, 히트 엠보스 가공에 의해 압착된다.
이면 시트(20)에서 쇼츠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이면 시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접착재가 라인형으로 도포된다. 접착재는, 이면 시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라인 도포된다. 윙(21) 및 윙(22)에서, 쇼츠와 접촉하는 표면에도 또 접착재가 도포된다. 접착재에는, 점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보호 시트는, 사용시에는 착용자에 의해 박리된다.
다음으로, 제1 시트(11)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시트(11)는 부직포이다. 제1 시트(11)의 소재는, 직포,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의 예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진 섬유, 코어-시스(core-sheathe) 구조 등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웨브 포밍 방법으로는, 건식(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에어 레이드법 등) 및 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건식법과 습식법 중, 복수의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또,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작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제1 시트(11)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부직포의 상층측에 요철을 형성한 부직포, 또는 웨브 형성시에 공기를 닿게 하여 부직포에 두께 불균일을 형성한 요철 부직포를 제1 시트(11)에 이용할 수도 있다.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체액이 제1 시트(11)를 투과하기 전에 제1 시트(11)의 표면을 타고 확산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제2 시트(12, 13)는, 제1 시트(11)와 동일한 재료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단, 제2 시트(12, 13)를 타고 넘어 흡수성 물품(1) 외측으로 경혈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제2 시트(12, 13)는, 피부와의 접촉면(10a)을 구성한다. 그 때문에, 피부에 대한 마찰 자극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에어 스루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면 시트(2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고, 단위 중량(단위면적 당 무게(g))이 15∼30 g/㎡의 범위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흡수체(3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형 폴리머, 섬유형 폴리머, 열가소성의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의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흡수체의 성형 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와 고분자 흡수체를 피복재로 덮는 것에 의해, 흡수체(30)를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분자 흡수체는, 흡수성,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폴리머이다. 또, 흡수체(30)는, 예를 들어, 은ㆍ구리ㆍ아연ㆍ실리카ㆍ활성탄ㆍ알루미노규산염 화합물ㆍ제올라이트 등의 입상 소취재, 또는 입상 항균재를 첨가해도 좋다. 또한, 흡열 반응에 의해 냉각 효과가 있는 입상 냉각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 레이드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성형한 에어 레이드 시트이어도 좋다. 흡수체(30)로서, 에어 레이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에어 레이드 시트의 두께는, 0.3∼5.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레이드 시트의 예로는, 섬유형과 입자형 폴리머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입자형 폴리머는, 에어 레이드 시트에 있어서, 층형상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치우쳐 있어도 좋다.
흡수체(30)에는, 착용중의 형붕괴나 뒤틀림의 방지, 또는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에 대한 엠보스는, 패터닝된 엠보스 롤과 플랫 롤 사이에 흡수체를 통지(通紙)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엠보스 롤의 패턴은, 격자형ㆍ도트형ㆍ물결형 등이 이용되지만, 두께를 조정하기 쉬운 격자형의 패턴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냉감재(1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감재(100)는, 청량제가 다수의 세공에 분자를 흡착할 수 있는 다공질 재료에 담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청량제란,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올 유도체인 멘톨, 캄파 및 티올 등이다. 또, 다공질 재료는, 예를 들어, 실리카 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나노 다공성 재료 등이다.
다공질 재료에 담지(흡착)된 청량제는, 고습도하에서 모관 응축에 의해 물(수증기)과 치환되어, 다공질 재료의 외부에 방출된다. 모관 응축이 발생하는 다공질 재료의 세공 직경과 상대 습도의 관계는, 소위 켈빈식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쾌적」하다고 판단되는 습도는 45%∼55%라고 한다. 또, 쇼츠 내의 온도가 33∼37℃일 때, 습도가 60% 정도에 도달하면, 착용자는 땀이 차는 것을 느낀다고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다공질 재료의 세공 직경을 원하는 습도에서 흡착된 분자와 수분의 치환이 발생하는 세공 직경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재료는, 온도 20∼40℃, 상대 습도 60∼85%의 범위일 때 수증기가 모관 응축을 일으키는 세공 직경을 갖는다. 또, 온도 20∼40℃, 상대 습도 60∼85%의 범위일 때 수증기가 모관 응축을 일으키는 조건에 합치한 세공 직경을 갖는 세공이 다공질 재료의 전체 세공의 30∼100%를 차지한다.
일례로서, 다공질 재료가 실리카 겔인 경우, 켈빈식에 의하면, 세공 직경은 4∼13 nm이다. 세공 직경이 4 nm보다 작으면, 상대 습도가 60%보다 낮은 상태, 즉,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지 않는 쾌적한 조건하에서 청량제가 방출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에게 자극감을 주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또, 세공 직경이 13 nm을 넘는 경우에는, 습도가 85%를 넘어도 청량제가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는 조건이 되더라도, 착용자에게 청량감을 줄 수 없다. 또, 다공질 재료의 평균 입경은,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재료의 평균 입경이 1.5 mm을 넘으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다공질 재료에 담지시키는 청량제의 양은, 청량제의 종류, 다공질 재료의 평균 입경, 세공 직경 분포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 g/㎡∼10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1 g/㎡ 이하이면, 착용자에게 청량감을 주기 어렵다. 또, 100 g/㎡을 넘으면, 착용자에게 자극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청량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질 재료에 담지된 상태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 특정한 용매에 가용인 락트산멘틸이나 멘톤글리세린아세탈 등의 청량제는, 용액의 상태로 소정의 위치에 도포할 수 있다.
(냉감재의 배치 방법 1)
전술한 실시형태에 예시한 위치에 냉감재(100)를 배치하는 배치 방법에는, 이하의 방법이 있다. 배치 방법 1은, 청량제가 다공질 재료에 담지된 냉감재(100)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도포한 영역에, 롤을 이용하여 냉감재(100)를 접착한다.
도 3은, 냉감재(100)를 배치하는 배치 장치(200)의 개략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 장치(200)는, 자재(110)를 소정의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201)와, 자재(110)의 표면에 핫 멜트형 접착제(이하, HMA라고 함)를 도포하는 HMA 도공부(202)를 갖는다. 또, 배치 장치(200)는, HMA가 도포된 자재(110)의 표면에 냉감재(100)를 배치하는 표면 처리 롤(203)과, 냉감재(100)가 축적된 저류조(204)를 갖는다. 표면 처리 롤(203)은, 표면에 세공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처리 롤(203)이 저류조(204)에 저류된 냉감재(10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 표면에 형성된 세공이 냉감재(100)로 충전된다. 표면 처리 롤(203)이 자재(110)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냉감재(100)는, HMA가 도포된 자재(110)의 표면에 전사된다.
여기서, 자재(110)는, 예를 들어, 제2 시트(12, 13) 또는 이면 시트(20)이다. 즉, 도 3의 배치 장치(200)에 의해, 냉감재(100)는, 제2 시트(12, 13)의 이면(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 접촉면의 반대면), 또는 이면 시트(20)의 피부측에 배치된다. 냉감재(100)는, HMA에 의해 자재(110)의 표면에 접착되므로, HMA의 도포 간격, 도포 면적 등을 변경함으로써, 자재(110)에서 단위면적 당 배치하는 냉감재(100)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HMA의 도포량은, 5∼10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HMA의 도포 간격은, MD 방향의 폭이 0.5 mm이고, MD 방향의 간격이 0.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배치 방법은, HMA에 의해 제2 시트(12, 13) 또는 이면 시트(20)에 냉감재(100)를 접착하기 때문에, 소정의 배치 위치(영역 A1, A2)로부터 냉감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쾌적한 청량감을 줄 수 있다.
이면 시트(20)로서 열에 약한 소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이면 시트(20)에 HMA를 도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따라서, 제2 시트(12, 13)의 이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감재의 배치 방법 2)
배치 방법 2는, 특정한 용매에 가용인 락트산멘틸이나 멘톤글리세린아세탈 등의 청량제를 용액의 상태로 소정의 위치에 도포하는 방법이다. 청량제가 용액인 경우에는, 코터 도공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코터 도공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자재(110)의 소정 영역의 표면에, 코터(300)에 의해 냉감재(100)를 도포한다. 냉감재(100)는, 도포 영역(PA, PB)에 도포된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자재(110)의 길이 방향을 반송 방향(MD)에 일치시켜 반송한다.
도 5는, 코터 도공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실현 가능한, 도포 영역(PA)에 배치되는 냉감재(100)의 도포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냉감재(100)를 도포 영역(PA)의 전면(全面)에 도포하는 패턴 A, 냉감재(100)를 도포 영역에 스트라이프형으로 도포하는 패턴 B, 냉감재(100)를 도포 영역의 외측, 즉, 도 4에서,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도포하는 패턴 C, 흐르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패턴 D 등을 들 수 있다. 냉감재(100)의 도포량은, 예를 들어, L-멘톨 함유 마이크로스피어(심라이즈사 제조) 멘톨 비율 25%를 이용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5∼5 g/㎡이다.
또한, 소위 플렉소 도공법, 그라비아 도공법 등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D 방향으로 불연속한 위치에 냉감재(10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의하면,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이며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에 냉감재(100)를 배치함으로써, 냉감재(100)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냉감재(100)는, 고습도 환경하에서 다공질 재료로부터 방출된다. 방출된 냉감재(100)는, 피부의 냉감 수용기 TRPM8(CMR1)과 접촉하여, 수용기의 임계값을 0∼5℃ 정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피부의 환경 온도가 변하지 않은 상태로 피부의 체감 온도가 0∼5℃ 정도 저감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땀이 차는 것을 느끼는 환경하에서 체감 온도가 저감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청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냉감재(100)는, 체액(수분)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냉감재(100)가 체액과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청량재의 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량 작용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는 조건이 되기 전에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청량재가 방출된다고 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감재(100)는, 제2 시트(12, 13)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제2 시트(12, 13)가 액체 불투과성인 경우에는, 냉감재(100)가 수분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땀이 차는 것을 느끼는 조건이 될 때까지 청량재가 방출되지 않는다.
또,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2 시트(12)가 제1 시트(11)에 겹쳐, 제1 시트(11)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11a)와 제2 시트(12)의 가장자리부(12a)가 접합된 상태로, 되접음부(12b)가 제1 시트(11)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되접힘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1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 13)의 이면끼리 접합한 경우에 비해, 접합한 시트의 사이로부터 제2 시트(12, 13)의 이면측으로 수분이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1)의 표면의 수분이 냉감재(1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에 의해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실시형태는, 소위 라이너, 요실금 용품(요실금 패드라고 함)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물품은, 전술한 도 1에 개시된 평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착용자의 가랑이 형상 및 쇼츠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면 된다. 흡수성 물품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호리병형 등으로 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경혈 등의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 등의 엘라스틱재를 이용한 주름을,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에 형성해도 좋다.
고분자 흡수체로서, 일반적으로, 흡수성이나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는, 흡수체, 고분자 흡수체 및 흡습재 외에, 은ㆍ구리ㆍ아연ㆍ실리카ㆍ활성탄ㆍ알루미노규산염 화합물ㆍ제올라이트 등의 입상 소취재를 배치해도 좋다.
은ㆍ구리ㆍ아연ㆍ실리카ㆍ활성탄ㆍ알루미노규산염 화합물ㆍ제올라이트, 흡습재로서 사용 가능한 전해질 등 중에는,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항균 작용 또는 살균 작용)를 갖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전해질을 흡습재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에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당연히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실시예]
시험 제품을 피험자에게 착용시켜, 관능 평가에 의해 「땀이 차는 것」을 측정했다.
○ 제품 형상
제품 길이 : 230 mm, 제품 폭 : 100 mm
다공질 재료 : B형 실리카 겔(L 멘톨 10%)
배합 : B형 실리카 겔 90%, L 멘톨 10%
평균 입경 50 ㎛, 평균 세공 직경 : 7.5 nm
멘톨 용액에 실리카 겔을 침지한 후, 건조시킨다.
담지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2∼8 h
흡수체 : 150 g/㎡의 펄프와 15 g/㎡의 흡수성 폴리머의 혼합체, 이 혼합체를 15 g/㎡의 티슈 사이에 끼워 넣는다.
표면 시트 : PE/PET 에어 스루 25 g/㎡,
세컨드 시트 : PE/PET 에어 스루 20 g/㎡,
사이드 시트(제2 시트) : 폴리프로필렌 스펀 본드(소수성) 20 g/㎡,
백시트 : 폴리에틸렌 필름 25 g/㎡,
피복재로서 티슈를 이용했다. 티슈와 흡수체로서의 혼합체와의 사이에 L-멘톨 담지 B형 실리카 겔을 배치하고, 핫 멜트 접착제로 고정했다.
L-멘톨 담지 B형 실리카 겔을 핫 멜트 접착재로 고착한 제2 시트(12, 13)와 제1 시트(11) 사이의 영역에 배치했다. 배치량은 50 g/㎡로 했다.
○ 시험
테스트 환경 : 온도 27℃, 습도 70%,
의복 : 속옷, 폴로셔츠, 스커트,
쇼츠에 샘플 제품을 장착.
생리용 냅킨 상의 회음부 상대 위치에 소형 온습도계를 부착했다.
상기 환경내에서, 피험자에게 60분간, 입위 자세를 유지시켰다. 그 결과, 피험자는, 장착 직후(습도 55%)에는 땀이 차는 것을 느끼지 않았다. 장착으로부터 15분후, 가랑이 안쪽에 땀이 차는 것이 60%를 넘고 나서, 청량감을 느꼈다. 그 후, 45분간 습도는 80%까지 상승했지만, 땀이 차는 것을 느끼지 않았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것은, 시험중의 조건하에서, 청량재가 방출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9-088487호(2009년 3월 31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청량제에 의해 착용자에게 과도한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땀이 차거나 달라붙는 것 등에 의한 불쾌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1.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착용자측의 표면을 덮는 제1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시트를 가지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1 시트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는 상기 제2 시트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량제를 포함한 재료는 상기 제2 시트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의 이면에 접착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제2 시트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제2 시트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되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제1 시트에 겹쳐져, 상기 제1 시트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와 제2 시트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가 접합된 상태로, 상기 되접음부가 상기 제1 시트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되접힘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액체를 투과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고,
    상기 제2 시트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량제는 다공질 재료에 파지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17023990A 2009-03-31 2010-03-31 흡수성 물품 KR101778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8487 2009-03-31
JP2009088487A JP5452964B2 (ja) 2009-03-31 2009-03-31 吸収性物品
PCT/JP2010/055921 WO2010114053A1 (ja) 2009-03-31 2010-03-3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725A true KR20110139725A (ko) 2011-12-29
KR101778808B1 KR101778808B1 (ko) 2017-09-14

Family

ID=4282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990A KR101778808B1 (ko) 2009-03-31 2010-03-3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109088A1 (ko)
EP (1) EP2415437B1 (ko)
JP (1) JP5452964B2 (ko)
KR (1) KR101778808B1 (ko)
CN (1) CN102378610B (ko)
BR (1) BRPI1006347B8 (ko)
EA (1) EA201101413A1 (ko)
WO (1) WO2010114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5910B2 (ja) * 2009-03-31 2014-04-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09029194A1 (de) 2009-09-04 2011-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eenah Abtrennung gefärbter Stoffe aus wasserhaltigen Flüssigkeiten
US9283127B2 (en) 2012-03-30 2016-03-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decolorizing structures
US9237975B2 (en) 2013-09-27 2016-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ide barriers and decolorizing agents
JP5914581B2 (ja) * 2014-06-27 2016-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78495B2 (ja) * 2014-06-30 2019-03-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16516B2 (ja) 2014-06-30 2018-10-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70533B2 (ja) * 2014-12-25 2016-08-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05373B2 (ja) * 2015-06-30 2018-04-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を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
JP6045655B1 (ja) 2015-06-30 2016-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70367901A1 (en) * 2016-06-27 2017-12-28 Deborrah R. Peoples Ellis Enhanced sanitary pad
KR101918594B1 (ko) 2017-08-10 2019-02-08 배병열 패치용 코팅장치
JP6482736B1 (ja) * 2017-11-08 2019-03-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022823B (zh) * 2017-11-08 2021-10-15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7200071B2 (ja) * 2019-08-30 2023-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31635B2 (ja) * 2020-03-26 2024-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吸収性物品
JP2021186207A (ja) * 2020-05-28 2021-1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5252285A (zh) * 2022-09-06 2022-11-01 广东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具备液体扩散提示功能的卫生巾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596B2 (ja) * 1991-11-19 2002-03-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悪臭発生防止部材
IL101492A0 (en) * 1992-04-03 1992-12-30 Shalom Levy Anti-skin rash preparation
JPH065664A (ja) * 1992-06-17 1994-01-14 Fujitsu Ltd ベアチップのリペア方法と装置
US6166285A (en) * 1994-11-28 2000-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uffs with skin care composition disposed thereon
US6156020A (en) * 1997-11-15 2000-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icro-particulate storage member
EP1250941A1 (en) * 2001-04-17 2002-10-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a mint odor-free cooling agent
ATE327778T1 (de) * 2001-04-17 2006-06-15 Procter & Gamble Erfrischende zusammensetzugen
US6642427B2 (en) * 2001-05-14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change element
EP1275403A1 (en) * 2001-07-10 2003-01-15 Lin I. Shan Additive for a sanitary napkin and a method of adding the same
SE0202127D0 (sv) * 2002-07-08 2002-07-08 Sca Hygiene Prod Ab Artikel i form av en dambinda, ett trosskydd eller ett inkontinensskydd för kvinnor
DE60334077D1 (de) * 2003-05-19 2010-10-21 Procter & Gamble Flüchtiges Material enthaltender absobierender Hygieneartikel mit Sperrschichtverpackung
US7767876B2 (en) * 2003-10-30 2010-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visibly highlighted wetness sensation member
JP4326392B2 (ja) * 2004-03-31 2009-09-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91327B2 (ja) * 2006-01-27 2011-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4994957B2 (ja) * 2006-05-31 2012-08-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WO2008002220A1 (en) * 2006-06-30 2008-01-03 Sca Hygiene Products Ab Top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US7910797B2 (en) * 2006-09-18 2011-03-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ensation aspect
JP4922802B2 (ja) * 2007-03-26 2012-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6347A2 (pt) 2020-05-12
JP2010234027A (ja) 2010-10-21
EA201101413A1 (ru) 2012-04-30
EP2415437A1 (en) 2012-02-08
CN102378610B (zh) 2015-12-02
JP5452964B2 (ja) 2014-03-26
EP2415437A4 (en) 2013-05-15
KR101778808B1 (ko) 2017-09-14
CN102378610A (zh) 2012-03-14
WO2010114053A1 (ja) 2010-10-07
BRPI1006347B1 (pt) 2020-11-24
BRPI1006347B8 (pt) 2021-06-22
EP2415437B1 (en) 2015-01-07
US20120109088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725A (ko) 흡수성 물품
JP5465910B2 (ja) 吸収性物品
JP5815916B2 (ja) 吸収性物品
JP5513267B2 (ja) 吸収性物品
CN109152679B (zh) 吸收性物品
CN105431120B (zh) 具有袋的吸收性制品及其相关方法
RU2244535C2 (ru) Объединенный покрывающий и передаточный слой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изделия (варианты) и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JP2011255023A5 (ko)
JP7036674B2 (ja) 吸収性物品
TWI705802B (zh) 吸收性物品(二)
JP4925867B2 (ja) 吸収性物品
JP7088731B2 (ja) 吸収性物品
JP2019162401A (ja) 吸収性物品
KR20110107379A (ko) 흡수성 물품
RU2752380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микрокапсулированный материал с изменяемым фазовым состоянием,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материала с изменяемым фазовым состоянием на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WO2013176210A1 (ja) 衛生用品用不織布シートおよび衛生用品
WO2019177076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