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35B1 -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35B1
KR102565335B1 KR1020180140161A KR20180140161A KR102565335B1 KR 102565335 B1 KR102565335 B1 KR 102565335B1 KR 1020180140161 A KR1020180140161 A KR 1020180140161A KR 20180140161 A KR20180140161 A KR 20180140161A KR 102565335 B1 KR102565335 B1 KR 10256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unit
bullet
det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67A (ko
Inventor
허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35B1/ko
Priority to US16/284,290 priority patent/US11054025B2/en
Priority to CN201910209905.2A priority patent/CN111188898B/zh
Publication of KR2020005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67A/ko
Priority to US17/335,827 priority patent/US115062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47Ratio selector apparatus with essentially straight linear movement for gear selection, e.g. straight selection movement using detent mechanism for improving fee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28Fixing failures by repairing failed parts, e.g. loosening a sticking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32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7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a part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 e.g. shift rods or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5Ramp contours for generating force threshold, e.g. cams or pushers for generating additional resistance for a reverse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7Detents for range se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레버의 고착 또는 끼임에 의해 변속레버가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멈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의 정확한 스트로크 동작이 수행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으로 정확히 변속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JAMMING PROTECTON APPARATUS OF SHIFT LE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변속레버가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고착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재된 자동변속기는 주행중 기어비를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전환시켜 주는 장치로서, 주행중 변속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발진과 가속 및 감속을 원활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에는 운전자가 주차와 중립 및 전진 주행 그리고 후진 주행을 조작하기 위해 운전석의 측부에 변속레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변속레버장치는 운전자가 변속 조작할 때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변속레버와, 변속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바디로 구성된다.
특히, 변속레버는 각 변속단으로 이동시 조작감을 부여하여 변속된 기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편, 운전자가 기어의 변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변속레버의 조작성이 좋지 않으면 운전자의 변속조작이 변속기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불편한 변속감으로 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변속레버의 이동시 원하는 변속단으로 정확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디텐트 구조에 의해 변속레버의 고착이나 끼임 현상이 발생되면 인식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인식 오류는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으로 올바른 변속이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변속 오조작에 따른 사고 발생 우려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058384 A (2009.06.0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레버 조작시 고착 또는 끼임에 의해 변속레버가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멈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레버; 변속레버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거동되는 불렛이 구비된 접촉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촉부의 불렛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변속레버의 회전시 불렛이 타고 넘어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안착되어 거동 가능하게 마련된 디텐트부; 및 디텐트부에 연결되고, 동작시 디텐트부가 거동되도록 하는 거동발생부;를 포함한다.
변속레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접촉부는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불렛과, 가이드홈에서 불렛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불렛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는 디텐트부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디텐트부는 수용홈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용홈 내에 안착되며, 불렛이 접촉되는 단부에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동발생부는 하우징 내부에서 디텐트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디텐트부가 불렛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동발생부는 하우징 내부에서 디텐트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팽창 또는 수축 동작을 통해 디텐트부가 불렛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속레버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른 정상 상태/비정상 상태 데이터가 기저장되며, 변속레버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입력시 거동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변속레버가 회전된 후 위치가 고정된 시점에서 경과시간이 기저장된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경과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변속레버의 위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거동발생부를 동작시킨 후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되는지 체크하고,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을 경우 거동발생부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거동발생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변속레버의 위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는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레버의 고착 또는 끼임에 의해 변속레버가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멈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의 정확한 스트로크 동작이 수행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으로 정확히 변속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의 제어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레버(20); 변속레버(20)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거동되는 불렛(31)이 구비된 접촉부(30);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접촉부(30)의 불렛(31)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변속레버(20)의 회전시 불렛(31)이 타고 넘어가는 그루브(41)가 형성되며, 하우징(10)에 안착되어 거동 가능하게 마련된 디텐트부(40); 및 디텐트부(40)에 연결되고, 동작시 디텐트부(40)가 거동되도록 하는 거동발생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변속레버(20), 접촉부(30), 디텐트부(40), 거동발생부(50)로 구성되며, 변속레버(20)의 경우 다양한 조작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레버봉 타입을 도식하였으며, 레버봉 형태뿐만 아니라 다이얼 타입, 휠 타입 등 다양한 변속레버(20)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변속레버(20)에는 탄성적으로 거동되는 불렛(31)이 구비된 접촉부(30)가 설치되고, 하우징(10) 내부에는 불렛(31)이 접촉도록 배치되며 불렛(31)이 타고 넘어가는 그루브(41)가 형성된 디텐트부(40)가 마련된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20)가 조작됨에 따른 회전 동작시 불렛(31)이 디텐트부(40)의 그루브(41)를 타고 이동되고, 이때 불렛(31)은 탄성적으로 거동됨으로써 불렛(31)이 그루브(41) 타고 넘어 감에 따라 변속레버(20)에 조작력이 발생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디텐트부(40)가 하우징(10)에 고정되지 않고 안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거동 가능하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디텐트부(40)에 연결되고 동작시 디텐트부(40)가 거동되도록 하는 거동발생부(50)가 마련된다. 여기서, 거동발생부(5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디텐트부(40)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디텐트부(40)가 불렛(31)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거동발생부(50)는 진동 가진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동작에 의해 진동판에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디텐트부(40)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동발생부(5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디텐트부(40)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팽창 또는 수축 동작을 통해 디텐트부(40)가 불렛(31)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거동발생부(50)는 에어의 입출입 방법을 통해 팽창 또는 수축이 반복됨으로써, 디텐트부(40)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거동발생부(50)는 디텐트부(4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해 디텐트부(40)가 불렛(31)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됨으로써 불렛(31)과 디텐트부(40)가 순간적으로 이격되어 마찰력이 해소된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20)의 불렛(31)이 디텐트부(40)의 그루브(41)에 고착되는 경우 디텐트부(40)가 거동발생부(50)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불렛(31)과 디텐트부(40)의 정지마찰력이 순간적으로 해소되어 변속레버(20)가 정상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20)에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접촉부(30)는 가이드홈(21)에 삽입되고 가이드홈(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불렛(31)과, 가이드홈(21)에서 불렛(31)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불렛(3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변속레버(20)가 레버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며, 변속레버(20)에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21)에서 불렛(31)이 탄성부(32)를 통해 탄발 지지되어 가이드홈(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20)의 회전시, 변속레버(20)와 함께 가이드홈(21)이 회전됨에 따라 접촉부(30)가 회전되고, 접촉부(30)의 불렛(31)이 디텐트부(40)의 그루브(41)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절도감에 따른 조작력이 발생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0)에는 디텐트부(40)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수용홈(11)이 형성되고, 디텐트부(40)는 수용홈(1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용홈(11) 내에 안착되며, 불렛(31)이 접촉되는 단부에 그루브(41)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디텐트부(40)가 하우징(10)에서 거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거동발생부(50)의 동작시 하우징(10)에서 거동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에는 디텐트부(40)가 안착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되고, 디텐트부(40)가 수용홈(11)에 안착됨에 따라 자유롭게 거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텐트부(40)는 수용홈(1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용홈(11)에서 디텐트부(40)가 수용홈(11)의 개방된 부분으로만 거동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디텐트부(40)가 수용홈(11)의 형상과 일치하지 않거나, 크기가 과도하게 작게 형성되며, 디텐트부(40)와 수용홈(11)의 이격거리만큼 디텐트부(40)가 이동되어 불필요한 거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디텐트부(40)가 수용홈(11)에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디텐트부(40)는 수용홈(1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수용홈(11)에 안착되어 수용홈(11)의 개방부를 향해서만 거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로 인해, 거동발생부(50)의 동작시 디텐트부(40)는 수용홈(11)의 개방된 부분으로 거동되고, 수용홈(11)의 개방된 부분으로 디텐트부(40)의 그루브(41)가 형성됨에 따라 디텐트부(40)와 불렛(31)의 마찰 저감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거동발생부(50)는 하기의 제어를 통해 동작될 수 있으며, 도 3의 순서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20)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60); 및 센서부(60)를 통해 변속레버(20)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변속레버(20)의 위치에 따른 정상 상태/비정상 상태 데이터가 기저장되며,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입력시 거동발생부(5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60)는 변속레버(2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70)는 센서부(60)를 통해 변속레버(20)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변속레버(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거동발생부(50)의 동작 타이밍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70)에는 변속레버(20)의 위치에 따른 정상 상태 / 비정상 상태 데이터가 기저장된다. 여기서, 제어부(70)에 저장된 정상 상태는 변속레버(20)가 N단, D단 등 특정 변속단에 위치된 상태이고, 비정상 상태는 변속레버(20)가 정상 상태를 제외한 위치인 것으로, 접촉부(30)의 불렛(31)이 디텐트부(40)의 그루브(41)에 끼임 또는 고착되어 정상 상태의 위치로 이동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어부(70)는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입력되면 거동발생부(50)를 동작시킴으로써, 거동발생부(50)에 의해 디텐트부(40)가 거동되고 디텐트부(40)의 거동에 의해 그루브(41)에 접촉된 불렛(31)이 순간적으로 이격되어 정지 마찰력이 해소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20)는 고착 또는 끼임 상태에서 벗어나, 정상 상태의 위치로 회전되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변속레버(20)가 회전된 후 위치가 고정된 시점에서 경과시간이 기저장된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경과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변속레버(20)의 위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에 기저장되는 설정시간은 1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변속레버(20)를 조작하여 변속레버(20)의 위치가 고정된 시점에서 경과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운전자가 특정 변속단을 선택한 것이고, 해당 위치에서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를 판단 후 거동발생부(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거동발생부(50)의 불필요한 동작이 방지된다.
한편, 제어부(70)는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거동발생부(50)를 동작시킨 후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변동되는지 체크하고,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을 경우 거동발생부(50)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거동발생부(50)를 동작시키면, 접촉부(30)의 불렛(31)과 디텐트부(40)의 그루브(41) 간의 정치마찰력이 해소되어 변속레버(20)가 정상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거동발생부(50)의 일시적인 동작에 의해서도 불렛(31)과 그루브(41) 간의 정지 마찰력이 해소되지 못할 수 있는바, 제어부(70)는 거동발생부(50)를 동작시킨 후 센서부(60)를 통해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변동되는지 체크하고,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을 경우 거동발생부(50)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변속레버(20)가 비정상 위치에서 탈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70)는 변속레버(20)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거동발생부(50)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거동발생부(50)의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고, 변속레버(20)의 위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다시 판단함으로써, 이후 변속레버(20)의 끼임 또는 고착을 판단하여 원활한 변속레버(20)의 위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레버(20)의 끼임 방지 장치는 변속레버(20) 조작시 변속레버(20)의 고착 또는 끼임에 의해 변속레버(20)가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멈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레버(20)의 정확한 스트로크 동작이 수행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으로 정확히 변속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하우징 11:수용홈
20:변속레버 21:가이드홈
30:접촉부 31:불렛
32:탄성부 40:디텐트부
41:그루브 50:거동발생부
60:센서부 70:제어부

Claims (9)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레버;
    변속레버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거동되는 불렛이 구비된 접촉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촉부의 불렛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변속레버의 회전시 불렛이 타고 넘어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안착되어 거동 가능하게 마련된 디텐트부; 및
    하우징 내부에서 디텐트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팽창 또는 수축 동작을 통해 디텐트부가 불렛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되도록 구성된 거동발생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속레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접촉부는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불렛과, 가이드홈에서 불렛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불렛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디텐트부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디텐트부는 수용홈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용홈 내에 안착되며, 불렛이 접촉되는 단부에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거동발생부는 하우징 내부에서 디텐트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디텐트부가 불렛의 접촉방향으로 거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5. 삭제
  6.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레버;
    변속레버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거동되는 불렛이 구비된 접촉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촉부의 불렛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변속레버의 회전시 불렛이 타고 넘어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안착되어 거동 가능하게 마련된 디텐트부;
    디텐트부에 연결되고, 동작시 디텐트부가 거동되도록 하는 거동발생부;
    변속레버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른 정상 상태/비정상 상태 데이터가 기저장되며, 변속레버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입력시 거동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변속레버가 회전된 후 위치가 고정된 시점에서 경과시간이 기저장된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경과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변속레버의 위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7. 삭제
  8.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레버;
    변속레버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거동되는 불렛이 구비된 접촉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촉부의 불렛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변속레버의 회전시 불렛이 타고 넘어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안착되어 거동 가능하게 마련된 디텐트부;
    디텐트부에 연결되고, 동작시 디텐트부가 거동되도록 하는 거동발생부;
    변속레버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른 정상 상태/비정상 상태 데이터가 기저장되며, 변속레버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입력시 거동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거동발생부를 동작시킨 후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되는지 체크하고,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을 경우 거동발생부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어부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거동발생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변속레버의 위치가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KR1020180140161A 2018-11-14 2018-11-14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KR10256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61A KR102565335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US16/284,290 US11054025B2 (en) 2018-11-14 2019-02-25 Jamming protection apparatus of shift lever for vehicle
CN201910209905.2A CN111188898B (zh) 2018-11-14 2019-03-19 用于车辆的装置及其操作方法
US17/335,827 US11506282B2 (en) 2018-11-14 2021-06-01 Jamming protection apparatus of shift lev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61A KR102565335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67A KR20200056167A (ko) 2020-05-22
KR102565335B1 true KR102565335B1 (ko) 2023-08-09

Family

ID=7055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61A KR102565335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54025B2 (ko)
KR (1) KR102565335B1 (ko)
CN (1) CN111188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4173A1 (de) 2021-04-27 2022-10-27 Hyundai Motor Company Getriebesystem und gangschaltanordnung für ein getriebesystem eines 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308A (ja) * 2005-06-15 2006-12-28 Honda Motor Co Ltd シフト装置
JP2017081332A (ja) * 2015-10-27 2017-05-18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031A (en) * 1976-11-25 1978-03-01 Otake Seisakushiyo Kk Paddy field weeder
JP4633948B2 (ja) 2001-03-08 2011-02-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0494788B1 (ko) * 2002-10-24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DE10315644B4 (de) * 2003-04-04 2005-04-2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Monostabile Schaltung mit P-Position
KR101232413B1 (ko) 2006-03-21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디텐트 장치
DE102007015375B4 (de) * 2007-03-28 2010-09-09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zur Auswahl von Schaltstufen eines shift-by-wire Gangwechselgetriebes
KR20090058384A (ko) 2007-12-04 2009-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쉬프트 구조
DE102007058922B3 (de) * 2007-12-05 2009-06-18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Kulissenwelle
DE102008015874A1 (de) * 2008-03-26 2009-10-01 Lemförder Electronic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mit Haptikemulation
WO2010083848A1 (en) 2009-01-22 2010-07-29 Kongsberg Automotive Ab Gear shift assembly with a detent mechanism
JP5503499B2 (ja) * 2010-11-01 2014-05-28 ボッシュ株式会社 チェンジレバーロック制御装置、これを備えたチェンジレバーユニット、およびチェンジレバーロック制御方法
US9091340B2 (en) * 2011-05-11 2015-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tching shifter with override feature
US8960040B2 (en) 2011-09-14 2015-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nic shifter with adaptive position
DE102011087330A1 (de) 2011-11-29 2013-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EP2581629B1 (en) * 2012-03-22 2014-06-04 Kongsberg Automotive AB Shifter assembly with reduced lash
WO2015078970A2 (de) * 2013-11-29 2015-06-04 Marquardt Gmbh Stellglied,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KR20150070670A (ko) * 2013-12-17 2015-06-25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US9529378B2 (en) 2014-11-21 2016-12-27 Dura Operating, Llc Vehicle shifter assembly
KR102169362B1 (ko) 2015-03-06 2020-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구조
US10677344B2 (en) * 2017-03-10 2020-06-09 Kuster North America, Inc. Auto return to park rotary shif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308A (ja) * 2005-06-15 2006-12-28 Honda Motor Co Ltd シフト装置
JP2017081332A (ja) * 2015-10-27 2017-05-18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06282B2 (en) 2022-11-22
CN111188898B (zh) 2022-09-27
CN111188898A (zh) 2020-05-22
US20200149630A1 (en) 2020-05-14
US11054025B2 (en) 2021-07-06
US20210285540A1 (en) 2021-09-16
KR20200056167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165B2 (en) Shift device
KR101694014B1 (ko)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US6658952B2 (en) Shift device
JP4245039B2 (ja) 車両用シート制御システム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KR101795181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오조작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439105B1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의 변속제어방법
JP2006349016A (ja) シフト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565335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끼임 방지 장치
KR101305787B1 (ko) 통합 제어 변속레버장치
US7124874B2 (en) Shift lever device
KR2021011245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CN111664244B (zh) 旋钮式换挡杆设备
CN107575566B (zh) 调节变速杆空挡位置的方法
JP2007210450A (ja) シフト装置
JPH06193729A (ja) シフトバイワイヤ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N113748281B (zh) 用于提供手动换挡模式的控制单元和方法
JP2008126837A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選択装置
KR20160036253A (ko)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
CN210830416U (zh) 车辆用变速装置
KR10047626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안전장치
KR100969096B1 (ko) 게이트형 변속 조작기구
JP2005226687A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KR20220039272A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4633385B2 (ja) 変速機のチェンジ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