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024B1 - 시니어 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니어 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024B1
KR102565024B1 KR1020220067252A KR20220067252A KR102565024B1 KR 102565024 B1 KR102565024 B1 KR 102565024B1 KR 1020220067252 A KR1020220067252 A KR 1020220067252A KR 20220067252 A KR20220067252 A KR 20220067252A KR 102565024 B1 KR102565024 B1 KR 10256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senior
board system
passeng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석
여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023/142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paternoster return type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니어 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횡단보도상에 설치되어 신체적 약자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 승객을 탑승시켜 각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보딩장치; 각 보딩장치를 서로 다른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교통 신호장치와 연동되어 구동장치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승객을 탑승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쌍의 보딩장치가 구비되므로 횡단보도를 건너는 교통약자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니어 보드 시스템{Senior Board System}
본 발명은 시니어 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상에 설치되어 신체적 약자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레일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보딩장치가 승객을 탑승시킨 상태로 구동장치에 의하여 각 레일부를 따라 서로 다른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교통 신호장치와 연동된 제어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동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교통약자라 칭하며, 통상적으로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을 교통약자로 분류한다. 헌법에서 규정하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2005년 제정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은 교통약자가 아닌 사람들이 이용하는 모든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를 차별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이동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은 이동편의시설에 대하여, 휠체어 탑승설비, 장애인용 승강기, 장애인을 위한 보도, 임산부가 모유수유를 할 수 있는 휴게시설 등 교통약자가 교통수단, 여객시설 또는 도로를 이용할 때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과 설비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도로의 건널목에 설치되는 대표적인 도로 부속물인 횡단보도는 일반 보행자들에게도 매우 위험한 장소로서, 2020년 기준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는 연간 36,601건이 발생되었으며, 사망자는 1,093명, 부상자는 36,939명으로 집계되었다. 그 중 노인 보행자의 교통사고 건수는 9,739건, 사망자는 628명, 부상자는 9,233명이고, 어린이 보행자의 교통사고 건수는 2,079건, 사망자는 16명, 부상자는 2,135명이다.
이와 같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도로의 횡단보도의 교통사고 건수 중에서 교통약자의 교통사고 건수의 비율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횡단보도에 설치된 이동편의시설로는 음향 신호기, 점자블록, 경계석을 낮춘 턱낮춤, LED 블록 등이 존재할 뿐, 정작 교통약자를 위한 시설물이 적극적으로 설치되지 않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일반인에 비하여 걸음이 느린 노인들은 미처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했음에도 보행신호가 변경되는 위험에 처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우회전 차량이나 부주의한 운전자에 의하여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었다.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보행을 위하여 제안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61975호(2021. 05. 28.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보행자가 이동하는 무빙워크(1), 보행자의 탑승을 인식하기 위한 압전센서(2), 차량과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3),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막기 위한 개폐장치(4) 그리고 상기 카메라(3)와 연동되는 신호등(5)을 제안하였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사회적 약자의 보행편의를 위하여 아이디어 단계에서 제안된 기술로서,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의 상부에 무빙워크(1)가 설치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하중에 의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무빙워크(1)의 시공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2112호(2017. 10. 25.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횡단보도의 경계를 따라 가이드 레일(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6)을 따라 로봇(7)이 이동하면서 제어기(8)로부터 전달받는 신호 정보에 따라 장애물을 감지하면 각종 경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안된 것이나, 신체적으로 불리한 교통약자의 이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61975호 (2021. 05. 2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2112호 (2017. 10. 2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횡단보도를 건너는 교통약자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보조하고, 교통약자의 이동간에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다른 보행자의 안전한 이동을 해하지 않으며, 정확한 양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니어 보드 시스템은, 횡단보도상에 설치되어 신체적 약자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SB)에 있어서, 한 쌍의 직선부(10a)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한 쌍의 방향 전환부(10b)가 형성된 루프 구조를 이루어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일부(10); 승객을 탑승시켜 항시 서로 다른 직선부(10a)와 방향 전환부(10b)에 위치하도록 루프 구조를 따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는 한 쌍의 보딩장치(20); 각 보딩장치(20)를 서로 다른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30); 및 교통 신호장치와 연동되어 구동장치(3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제어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딩장치(20)는 판상형의 보딩 플레이트(2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휠(22)이 형성되고, 상기 보딩 플레이트(21)의 상부에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파지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딩 플레이트(21)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구동장치(30)는 보딩장치(20)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부(31)에 의하여 이동 휠(22)이 회전되고, 레일 감지장치(37)가 레일부(10)의 위치와 방향을 인식하여 이동 휠(22)을 조향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보딩장치(20)는 방향 전환부(10b)를 따라 90°로 방향을 전환한 상태로 정차하여 탑승 플랫폼(80)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도어부(26)로 승객이 승하차함으로써 탑승 플랫폼(80)의 대기 공간부(81)가 충분한 면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딩장치(20)의 이동방향에 존재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사물 감지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로부터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20)의 스피커(27)로부터 이동 명령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로부터 사물이 위험 거리(d)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40)가 구동장치(30)의 비상 제동장치(36)를 가동하고, 교통 신호장치의 보행신호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딩장치(20)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승객 감지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는 모든 승객이 파지부(24)를 파지한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로부터 파지부(24)를 파지하지 않은 승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20)의 스피커(27)로부터 파지 명령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40)는 모든 승객이 파지부(24)를 파지할 때까지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니어 보드 시스템에 의하면,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승객을 탑승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쌍의 보딩장치가 구비되므로 횡단보도를 건너는 교통약자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딩장치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파지부가 설치되어 교통약자의 이동간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승객 감지장치로부터 파지부를 파지하지 않은 승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의 스피커로부터 파지 명령이 출력되고, 모든 승객이 파지할 때까지 구동장치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딩장치의 이동에 의하여 일반 보행자의 이동이 간섭받지 않도록 한 쌍의 레일부를 횡단보도의 중심부나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물 감지장치로부터 이동 경로상에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이동 명령이 출력될 수 있으며, 특히 위험 거리 내에서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우선 비상 제동장치를 가동하고, 교통 신호장치의 보행신호를 연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부에 회전력이 동력 변환부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축회전으로 변환되어 한 쌍의 가동 휠이 회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보딩장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시간적 오차 없이 정확히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딩장치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횡단보도 보행을 위하여 제안된 선행기술문헌을 도시한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보드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시니어 보드 시스템(SB)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방향'을 보딩장치(2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측방향'은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시니어 보드 시스템(SB)은 횡단보도상에 설치되어 신체적 약자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레일부(10)와 한 쌍의 보딩장치(20), 구동장치(30) 및 제어장치(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10)는 보딩장치(20)가 가이드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딩장치(20)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서로 다른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쌍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딩장치(20)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물리적 이동을 직접적으로 보조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표면에 도포된 이미지 라인이거나 매립된 전자기적 유도 레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0)는 횡단보도의 중앙부에 형성되거나, 횡단보도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일부(10)가 횡단보도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정지선을 이탈한 차량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레일부(10)가 횡단보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일반 보행자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보딩장치(20)가 이동하는 외측으로 레일부(10)와 나란하게 볼라드나 플레이트와 같은 경계 시설물(70)이 선택적으로 나타난 후 다시 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일반 보행자는 경계 시설물(70)을 바탕으로 주의가 환기될 수 있으며, 보행신호가 재차 변경되면 경계 시설물(70)이 재차 사라짐으로써 차량이 간섭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딩장치(20)는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딩장치(20)는 경량화된 구조를 지니도록 판상형의 보딩 플레이트(2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휠(2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휠(22)은 보딩장치(2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레일부(10)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롤링 이동됨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가이드 부재(23)가 형성되어 레일부(10)를 따라 이동이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휠(22)은 횡단보도의 노면에서 롤링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휠(22)은 레일부(10)와 물리적으로 맞닿지 않은 상태로 후술할 레일 감지장치(37)가 인식하는 레일부(10)의 위치와 방향에 기초하여 조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동 휠(22)은 도로의 표면에 맞닿아 마찰에 의하여 롤링 이동된다.
또한, 상기 보딩 플레이트(21)의 상부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탑승한 승객이 직접 파지하거나, 휠체어와 같이 이동 보조장치를 결속하는 파지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4)는 보딩 플레이트(21)상에 직결된 경량화된 난간형 부재 또는 봉형 부재로 설치되어 보딩장치(20)를 전체적으로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탑승한 승객의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지부(24)는 보딩 플레이트(21)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객이 탑승하는 한 쌍의 이동방향에는 도어부(26)가 형성되며, 출발시에는 자동으로 락 장치가 가동되고 도착시에는 해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딩 플레이트(21)의 측방향에는 디스플레이부(25)가 설치되어 보행신호에 대기중인 차량이나 다른 보행자들에게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딩장치(20)는 인도측의 일부가 함몰되도록 경계를 낮춘 탑승 플랫폼(80)에 정차되어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객의 대기를 위한 소정의 대기 공간부(81)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탑승 플랫폼(80)에는 보딩장치(20)가 정차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리케이트(82)가 설치되어 위험 위치에 대기 중인 승객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30)는 각 보딩장치(20)를 서로 다른 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C)에 설치된 전원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구동부(31)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가동 휠(32)이 형성되고, 각 가동 휠(32)은 연결라인(33)을 매개로 연결된 종속 휠(34)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각 가동 휠(32)과 연결된 한 쌍의 종속 휠(34)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각 연결라인(33)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보딩장치(20)가 결속되어 연결라인(33)의 이동을 따라 상기 보딩장치(2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보딩장치(20)의 판상형 보딩 플레이트(21)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3)는 레일부(10)를 따라 가이드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23)에 연결라인(33)이 직간접적으로 결속되어 보딩장치(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라인(33)도 레일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일부(10)에는 롤링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1)가 구비됨으로써 가동 휠(32)과 종속 휠(34)의 회전에 종속되어 이동하는 연결라인(3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보딩장치(2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시간적 오차 없이 동일한 시점에 출발하고, 동일한 시점에 도착하도록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1)에 회전력이 동력 변환부(35)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축회전으로 변환되어 한 쌍의 가동 휠(32)이 정량적으로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형성한 점에 주요한 기술적 차별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동력 변환부(35)는 구동부(31)에 종속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35a)(35b)에 종속된 한 쌍의 가동 휠축(32a)(32b)이 회전되게 구비하되, 일측에는 방향 전환 기어(35c)가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가동 휠(3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30)는 보딩장치(20)에 일체로 설치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나 엔진과 같은 구동부(31)에 의하여 이동 휠(22)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30)는 레일부(10)를 인식하도록 이미지 센싱 또는 전류 감지가 가능한 레일 감지장치(37)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이미지 라인 또는 매립된 전자기적 유도레일로 형성되는 레일부(10)의 위치와 방향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이동 휠(22)을 조향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레일부(10)는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직선부(10a)와 방향 전환부(10b)가 형성된 루프 구조를 이루어 각 보딩장치(20)는 항상 직선부(10a)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도 방향 전환부(10b)를 거쳐 인접한 다른 직선부(10a)로 이동한 후 재차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보딩장치(20)는 서로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반복 이동하게 되며, 항시 서로 다른 직선부(10a)와 방향 전환부(10b)에 위치하도록 루프 구조를 반복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장치(30)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비효율을 제거하여 구동부(31)의 경제적 운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딩장치(20)가 이동하는 시작시점에는 미처 제동하지 못한 주행차량이 횡단보도로 진입할 우려가 있으므로, 차량의 정지선과 먼쪽에서 이동을 시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딩장치(20)는 방향 전환부(10b)를 따라 90°로 방향을 전환한 상태로 정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딩장치(20)는 일측 측면이 탑승 플랫폼(80)을 향하므로, 상기 탑승 플랫폼(80)을 향하는 측면에 도어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딩장치(20)는 레일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긴 장방형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에 인도의 상황에 따라서는 탑승 플랫폼(80)의 대기 공간부(81)가 충분한 면적으로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딩장치(20)는 방향 전환부(10b)에 의하여 90°로 방향을 전환한 상태로 정차하게 되므로 인도가 좁아 여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탑승 플랫폼(80)의 대기 공간부(81)가 충분한 면적으로 확보될 수 있으며, 탑승하는 도어부(26)의 사이즈를 충분히 넓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승하차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발휘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40)는 교통 신호장치와 연동되어 구동장치(3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횡단보도에 인접 설치되는 제어반(C)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반(C)에는 제어장치(40), 교통 신호장치, 전원, 통신모듈 등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는 일차적으로는 교통 신호장치의 신호에 대응되도록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이차적으로는 후술할 보딩장치(20)에 직접 설치되거나, 보딩장치(20)에 인접 설치되는 사물 감지장치(50) 또는 승객 감지장치(60)로부터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구동장치(30)의 가동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딩장치(20) 또는 보딩장치(20)의 이동방향에 연장된 위치에는 상기 보딩장치(20)의 이동방향에 존재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사물 감지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는 레이저 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에 사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딩장치(20)와 사물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로부터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딩장치(20)의 스피커(27)로부터 이동 명령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로부터 사물이 설정된 위험 거리(d) 내의 거리(D)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40)가 구동장치(30)의 비상 제동장치(36)를 즉각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사물 감지장치(50)가 위험 거리(d)보다 이격된 상태에서 사물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보딩장치(20)의 제어모듈을 바탕으로 즉각적으로 이동 명령을 출력하게 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 거리(d)에 도달할 때 까지 감지된 사물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40)가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20)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비상 제동장치(36)는 인가된 전력을 차단하여 구동부(31)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동력 전달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는 보딩장치(20)로부터 위험 거리(d) 이내에 사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단순히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중지시킴은 물론 교통 신호장치의 보행신호를 연장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른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딩장치(20)에는 보딩장치(20)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승객 감지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적외선 센서(61)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수와 각 승객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는 승객 감지장치(60)에 의하여 보딩장치(20)에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만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인가할 수 있으며, 승객이 탑승하면 즉각적으로 스피커(27)로부터 파지부(24)에 대한 파지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61)를 바탕으로 보딩장치(20)의 경계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승객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모듈이 위험 상황으로 인지하여 즉각적으로 스피커(27)로부터 위치 이동 명령이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는 보딩 플레이트(21)에 감압센서(62)를 구비하여 승객 인원의 수를 허용인원 이내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24)는 금속성 전도체로 제작되어 미세 전류센서(63)를 이용하여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임피던스를 계측하여 승객이 파지부(24)를 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로부터 파지부(24)를 파지하지 않은 승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20)의 제어모듈이 스피커(27)로부터 즉각적으로 파지 명령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40)는 모든 승객이 파지부(24)를 파지할 때까지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딩장치(20)의 이동 중에 승객이 파지부(24)를 재차 파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t)이 경과되는 경우에 스피커(27)로부터 파지 명령을 재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시니어 보드 시스템(SB)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B:시니어 보드 시스템 10:레일부
20:보딩장치 21:보딩 플레이트
22:이동 휠 23:가이드 부재
24:파지부 25:디스플레이부
26:도어부 27:스피커
30:구동장치 31:구동부
32:가동 휠 33:연결라인
34:종속 휠 35:동력 변환부
36:비상 제동장치 37:레일 감지장치
40:제어장치 50:사물 감지장치
60:승객 감지장치

Claims (11)

  1. 횡단보도상에 설치되어 신체적 약자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시니어 보드 시스템(SB)에 있어서,
    한 쌍의 직선부(10a)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한 쌍의 방향 전환부(10b)가 형성된 루프 구조를 이루어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일부(10);
    승객을 탑승시켜 항시 서로 다른 직선부(10a)와 방향 전환부(10b)에 위치하도록 루프 구조를 따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는 한 쌍의 보딩장치(20);
    각 보딩장치(20)를 서로 다른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30); 및
    교통 신호장치와 연동되어 구동장치(3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제어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딩장치(20)는 판상형의 보딩 플레이트(2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휠(22)이 형성되고, 상기 보딩 플레이트(21)의 상부에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파지부(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딩 플레이트(21)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30)는 보딩장치(20)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부(31)에 의하여 이동 휠(22)이 회전되고, 라인 감지장치(37)가 레일부(10)의 위치와 방향을 인식하여 이동 휠(22)을 조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딩장치(20)는 방향 전환부(10b)를 따라 90°로 방향을 전환한 상태로 정차하여 탑승 플랫폼(80)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도어부(26)로 승객이 승하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딩장치(20)의 이동방향에 존재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사물 감지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로부터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20)의 스피커(27)로부터 이동 명령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감지장치(50)로부터 사물이 위험 거리(d)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40)가 구동장치(30)의 비상 제동장치(36)를 가동하고, 교통 신호장치의 보행신호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딩장치(20)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승객 감지장치(6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는 모든 승객이 파지부(24)를 파지한 상태인지를 감지하며, 상기 승객 감지장치(60)로부터 파지부(24)를 파지하지 않은 승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딩장치(20)의 스피커(27)로부터 파지 명령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어장치(40)는 모든 승객이 파지부(24)를 파지할 때까지 구동장치(30)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보드 시스템.
KR1020220067252A 2022-05-31 2022-05-31 시니어 보드 시스템 KR102565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52A KR102565024B1 (ko) 2022-05-31 2022-05-31 시니어 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52A KR102565024B1 (ko) 2022-05-31 2022-05-31 시니어 보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024B1 true KR102565024B1 (ko) 2023-08-08

Family

ID=8756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252A KR102565024B1 (ko) 2022-05-31 2022-05-31 시니어 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98U (ko) * 2007-02-09 2008-08-13 서강원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JP2017149520A (ja) * 2016-02-24 2017-08-31 幸治 熊井 階段の昇降補助装置
KR101792112B1 (ko) 2010-10-26 201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횡단보도 보행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1064238A (ja) * 2019-10-16 2021-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物品搬送ロボット
KR20210061975A (ko) 2021-05-10 2021-05-28 김민규 보행 편리 증진을 위한 사회적 약자 횡단보도 무빙워크
KR102381877B1 (ko) * 2020-09-24 2022-03-31 박성호 로봇을 이용한 노약자 횡단보도 통행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98U (ko) * 2007-02-09 2008-08-13 서강원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KR101792112B1 (ko) 2010-10-26 201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횡단보도 보행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7149520A (ja) * 2016-02-24 2017-08-31 幸治 熊井 階段の昇降補助装置
JP2021064238A (ja) * 2019-10-16 2021-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物品搬送ロボット
KR102381877B1 (ko) * 2020-09-24 2022-03-31 박성호 로봇을 이용한 노약자 횡단보도 통행안내시스템
KR20210061975A (ko) 2021-05-10 2021-05-28 김민규 보행 편리 증진을 위한 사회적 약자 횡단보도 무빙워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515B1 (ko) 시각장애인용 도로 안내 시스템
KR101806470B1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1792112B1 (ko) 횡단보도 보행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84324B1 (ko)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
RU2136531C1 (ru) Монорельсов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32554B1 (ko)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
JP2012533130A (ja) 視覚障害者の道路案内装置
KR102381877B1 (ko) 로봇을 이용한 노약자 횡단보도 통행안내시스템
KR101964063B1 (ko) 역주행 방지 시스템
CN109478069A (zh) 电动车辆的控制方法及电动车辆
KR102565024B1 (ko) 시니어 보드 시스템
CN203898662U (zh) 一种盲人引导手杖系统
WO2005097658A1 (ja) 乗客コンベア
JP2011218075A (ja) 電動車椅子
KR10068251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궤도차량의 자율 주행시스템 및 그주행방법
JP2000331281A (ja) 車両判別装置及び車両判別方法及び駐車場設備
KR200452724Y1 (ko) 개폐형 볼라드
KR102611996B1 (ko) 횡단보도 세이프티 보드 시스템
JP2002352380A (ja) 歩行者誘導装置
KR20200103903A (ko)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JP2700375B2 (ja) プラットホーム安全確認装置
KR100987202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내장치
JP2006182045A (ja) 自動運転車両の逸脱防止システム
JP7457634B2 (ja) 軌道系交通システム
KR20240044266A (ko) 노약자용 횡단보도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