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903A -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903A
KR20200103903A KR1020190018513A KR20190018513A KR20200103903A KR 20200103903 A KR20200103903 A KR 20200103903A KR 1020190018513 A KR1020190018513 A KR 1020190018513A KR 20190018513 A KR20190018513 A KR 20190018513A KR 20200103903 A KR20200103903 A KR 20200103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driving
flat
self
str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현 filed Critical 박주현
Priority to KR102019001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903A/ko
Publication of KR2020010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20Stat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05D2201/021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xic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전기차에 관한 것으로, 무인으로 자율주행하는 사각평면의 전기차위에 가로등, 간이정원, 매점, 테이블, 의자 등을 구비하여 거리의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로 된 유도장치를 따라 주행 또는 정지하여 공원, 행사장, 공연장 등에서 이동식 상점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면형 저상 자율주행 전기차위에 판매대와 테이블, 간이정원, 가로등을 구비하고, 전면의 구동부에는 구동용 모터와 방향전환축을 구비하여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로 된 유도장치를 따라 자동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구동부의 전면에 전방센서와 카메라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차(1)가 정상운행상태에서는 도보 이하의 속도로 유도장치(7)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게 되며, 전기차(1)의 상부에 설치된 매점과 테이블에는 사람들이 노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오르내리며 상점을 이용하며 야간에도 가로등(5)을 통해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Flat low-phase electric vehicles with self-driving store streets}
본 발명은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인으로 자율주행하는 사각평면의 전기차위에 가로등, 간이정원, 매점, 테이블, 의자 등을 구비하여 거리의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로 된 유도장치를 따라 주행 또는 정지하면서 공원이나 행사장 또는 공연장 등에서 이동식 상점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문화 행사장 또는 공연장 등에는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음료수나 먹을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형 트럭이나 고정된 소형 매점 또는 개인적인 매매 행위를 통해 사람들에게 음식이나 커피 등의 음료수를 팔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형트럭이나 매점 등의 경우에는 음료수나 먹을거리를 팔기는 하지만 편안하게 앉아서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식으로 상점을 천천히 이동 또는 정지하여 행사장이나 놀이공원 또는 공연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평면형 저상 전기차가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면형 저상 전기차위에 판매대와 테이블, 간이정원, 가로등 등을 구비하고, 구동부에는 구동용 모터와 방향전환축을 부가하여 바닥에 부착된 인쇄물로 된 유도장치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무인으로 자율주행하는 사각평면의 전기차위에 가로등, 간이정원, 커피샵, 테이블, 의자, 판매대 등을 구비하여 거리바닥에 부착된 인쇄물을 따라 주행 또는 정지하여 상점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상점을 이용하면서 천천히 행사장이나 놀이공원 또는 공연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율주행식 평면형 저상 상점거리를 가진 전기차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자율주행식 평면형 저상 상점거리를 가진 전기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면에 부착된 유도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율주행식 평면형 저상 상점거리를 가진 전기차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자율주행식 평면형 저상 상점거리를 가진 전기차의 정면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 전기차(1)는 평면형 저상 전기차위에 판매대(2)와 테이블(3), 간이정원(4), 가로등(5) 등을 구비하고, 전면의 구동부(6)에는 구동용 모터와 방향전환축을 구비하여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로 된 유도장치(7)를 따라 자동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구동부(6)의 전면에는 전방센서(8)와 카메라(9)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부분에는 발이 끼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끼움 검출 방지바(미도시됨)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단, 상기 전기차(1)에 일렬로 또 다른 전기차를 기구적으로 연속 연결하여 같이 이동하면서 좀 더 넓은 규모의 상점거리를 조성할 수도 있다.
단, 도 2와 같이 전기차(1)의 정면에 상점거리를 표시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판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차(1)는 평면형 저상차량으로, 바닥과 지면을 매우 낮게 형성하여 사용자들이 오르내리기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차(1)의 측면, 즉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부분에는 발이 끼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끼움 검출 방지바가 구비되어 있어 사람들이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것으로, 만일 전기차(1)의 측면에 발이 끼는 등의 장애발생시에는 전기차(1)가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차(1)는 구동부(6)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전방센서(8)와 카메라(9)가 구비되어 있어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인 유도장치(7)를 전방센서(8)에서 인식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유도장치(7)를 따라 주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차(1) 측면의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케스트(10)가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차(1)의 전방에는 장애물 감지를 위한 전방센서(8)가 좌우에 부착되어 있어 장애물 감지시 경고음과 경고등으로 접근자에게 위험을 알려주며, 사람이 안전 범위 이내로 근접하면 전기차(1)가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한편, 지면에 부착되는 유도장치(7)는 RFID가 장착된 판재로, 전기차(1)의 전진, 좌회전, 우회전, 일단정지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에 인쇄된 표식을 카메라(9)가 인식하여 RFID와 연계하여 운행정보를 얻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 3은 이러한 유도장치(7)의 전진표지, 좌회전표지, 일시정지표지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유도장치(7)는 수동형 RFID태그를 유도표지에 내장하며, 전기차(1)의 전면부에는 리더기가 장착되어 있어 전기차(1)를 유도하게 되는 것으로, 전면의 카메라(9)가 유도표지의 형상을 인지하여 더욱 정교한 방향유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기차(1)내의 자율주행 제어부는 전진표시와 RFID태그의 정보를 인식하여 전진, 좌회전, 일시정지를 하게 되며, 일정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유도표지가 인식되지 않으면 정지하여 점검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전기차(1)가 정상운행상태에서는 도보 이하의 속도로 유도장치(7)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게 되며, 전기차(1)의 상부에 설치된 매점과 테이블에는 사람들이 노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오르내리며 상점을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야간에도 이용 가능하도록 구동부(6)쪽에 가로등(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차(1)에 다른 전기차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함께 이동 및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더 넓은 편의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1:전기차 2:판매대
3:테이블 4:간이정원
5:가로등 6:구동부
7:유도장치 8:전방센서
9:카메라 10:볼케스트

Claims (3)

  1. 평면형 저상 자율주행 전기차위에 판매대와 테이블, 간이정원, 가로등을 구비하고, 전면의 구동부에는 구동용 모터와 방향전환축을 구비하여 지면에 부착된 인쇄물로 된 유도장치를 따라 자동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구동부의 전면에는 전방센서와 카메라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가, 수동형 RFID태그를 유도표지에 내장하며, 전기차의 전면부에 장착된 리더기가 RFID태그를 인식하면 자율주행 제어부에서 전기차를 유도함과 함께 전면의 카메라가 유도표지 형상을 인식하여 더욱 정교하게 전기차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측면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케스트가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KR1020190018513A 2019-02-18 2019-02-18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KR20200103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13A KR20200103903A (ko) 2019-02-18 2019-02-18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13A KR20200103903A (ko) 2019-02-18 2019-02-18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03A true KR20200103903A (ko) 2020-09-03

Family

ID=7245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13A KR20200103903A (ko) 2019-02-18 2019-02-18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9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8366B1 (en) * 2021-07-26 2023-04-04 Kutitia Staffa Exotic dance club trai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8366B1 (en) * 2021-07-26 2023-04-04 Kutitia Staffa Exotic dance club tra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0120B1 (es) Paso de peatones con detector y avisador de presencia.
KR101049515B1 (ko) 시각장애인용 도로 안내 시스템
CN102505648B (zh) 一种交通道路幕墙及其工作方法
KR101446113B1 (ko)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US20100148989A1 (en) Safety or Alert Device
KR10163547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US20210261392A1 (en) Position assistance syste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20200103903A (ko)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JP2005216021A (ja) 自律走行ロボットクリーナー
KR20200051142A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
CN203898662U (zh) 一种盲人引导手杖系统
KR102399951B1 (ko) 도로 통합 관제 시스템
JP2009102903A (ja) 駐車場の降車位置表示装置、駐車場の乗車位置表示装置、及び駐車場の乗降位置表示装置。
CN202577186U (zh) 一种交通道路幕墙
JP2013097767A (ja) 重症心身障害者の自立的移動支援装置
KR20150088004A (ko)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KR20180024428A (ko) 색감지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 장치
KR101289966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장치
WO2019199123A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JPS60239894A (ja) 案内顕示装置
KR102611996B1 (ko) 횡단보도 세이프티 보드 시스템
KR20200082337A (ko) 충격에 따른 파손방지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교통 통제기
KR20240044266A (ko) 노약자용 횡단보도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