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004A -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004A
KR20150088004A KR1020140008293A KR20140008293A KR20150088004A KR 20150088004 A KR20150088004 A KR 20150088004A KR 1020140008293 A KR1020140008293 A KR 1020140008293A KR 20140008293 A KR20140008293 A KR 20140008293A KR 20150088004 A KR20150088004 A KR 20150088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ignal
fence
control unit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해
Original Assignee
(주) 삼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 삼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00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8004A/ko
Publication of KR2015008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도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측에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유동되는 차단봉이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감지기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가 구비되어 차도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1펜스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가 구비되어 상기 차도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설치되는 제2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횡단보도가 설치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로써, 별도의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을 이루지 않고도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교통안내장비의 설치 없이도 횡단보도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도로를 운행하는 사용자에게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볼라드의 점멸이 대기시간을 이룬 후에 점멸되는 구성을 통하여 차량 운전자의 급제동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넷째, 복잡한 장비의 구성 없이도 횡단보도를 이동하려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는 물론이고,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증가 없이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Crosswalk safety signal device}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신호등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도 보행자가 안전하게 차량이 이동하는 차도 또는 도로를 횡단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횡단보도란, 도로를 이동하는 사람이 도로와 도로 사이를 가로지르는 차량의 운행차도를 가로지르며 건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로 표지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횡단보도는 대개 차도의 위에 안전표지나 도로 표지로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식별이 원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하여 설치되는 것이 보통으로 이러한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경우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용자에게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하며 작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는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는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보행자의 안전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61583(2011.08.26) (2)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14918(2013.10.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차도에서도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보행자와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횡단보도 이동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하여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이동을 확보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의 연동되는 작용 없이도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의 이동을 차량 운전자에게 원활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횡단보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보행자의 이동시에도 차량 운전자가 횡단보도와의 제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안전사고 또한 예방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유동되는 차단봉이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감지기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가 구비되어 차도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1펜스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가 구비되어 상기 차도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설치되는 제2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은 보행자가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볼라드를 점멸시키고, 지지봉의 차단봉을 유동시키는 보행자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일측 바닥면에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감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제1펜스와 제2펜스의 볼라드는 황색 또는 적색을 이루도록 점멸되고,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볼라드는 상기 감지기의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황색신호를 나타낼 시, 3~5초간 대기신호를 이룬 후에 적색으로 점멸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볼라드는 상기 감지기의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적색신호를 나타낼 시, 10~20초간 대기신호를 이룬 후에 황색으로 점멸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횡단보도가 설치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로써, 별도의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을 이루지 않고도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교통안내장비의 설치 없이도 횡단보도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도로를 운행하는 사용자에게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볼라드의 점멸이 대기시간을 이룬 후에 점멸되는 구성을 통하여 차량 운전자의 급제동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넷째, 복잡한 장비의 구성 없이도 횡단보도를 이동하려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는 물론이고,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증가 없이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의 제어부, 감지기, 차단봉, 감지판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로 보행자가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를 보행자가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측에 제어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10)에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유동되는 차단봉(120)이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봉(100)과, 상기 지지봉(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횡단보도(10)로 진입하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감지기(200)와, 상기 제어부(11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20)가 구비되어 차도(3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1펜스(300)와, 상기 제어부(11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20)가 구비되어 상기 차도(30)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설치되는 제2펜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00)은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차도(30)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10)의 진입로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행자가 상기 감지기(200)를 통과하는 경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구비된 차단봉(12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지지봉(100)과 인접하게 설치된 감지기(200)를 통하여 횡단보도(10)로 진입하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상기 지지봉(100)에 구비된 제어부(11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110)에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차단봉(12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에서는 상기 제어부(110)로 감지기(200)의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지지봉(100)의 차단봉(120)이 유동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10)로 감지기(200)의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도로(30)에 설치 구성되는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로 제어부(110)의 신호가 전송된 후 보행자가 지지봉(100)에 구비된 보행자스위치(130)를 작동시킨 후에 지지봉(100)에 구비된 차단봉(120)이 상,하 유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인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와 주위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감지기(200)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시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봉(10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횡단보도(10)로 진입하거나 벗어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지지봉(100)에 구비된 제어부(110)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감지기(200)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동작센서(미도시) 또는 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지지봉(100)의 제어부(110)와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전선을 통하여 연결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보행자스위치(130)는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봉(100)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10)로 신호를 전달하여 지지봉(100)에 구비된 차단봉(120)을 유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술한 지지봉(100), 제어부(110), 차단봉(120), 감지기(200)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전선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감지기(200)의 보행자 감지신호가 제어부(110)로 원활하게 전송되고, 이러한 신호를 통하여 차단봉(12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횡단보도(10)가 표시되는 도로(30)에는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20)가 구비된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제1펜스(300)는 횡단보도(10)가 표시된 도로(3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비된 볼라드(20)가 점멸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도로(30)를 운행하는 차량(C)의 운전자가 횡단보도(10)를 건너려는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펜스(400)는 상기 제1펜스(300)와 같이, 횡단보도(10)가 표시된 도로(30)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비된 볼라드(20)가 점멸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도로(30)를 운행하는 차량(C)의 운전자가 횡단보도(10)를 건너려는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제1펜스(300) 및 제2펜스(400)는 본 발명에서 펜스의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로(30)를 운행하는 차량(C)의 운전자가 횡단보도(10)로 진입하려는 보행자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로(30) 상에 설치되어 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구성이라면 펜스는 물론이고, 볼라드(20)가 구비된 차선형태, 차단막, 화단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라드(20)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볼라드(20)의 구성은 종래의 볼라드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봉(100)의 일측 바닥면에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압력센서(211)가 구비된 감지판(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판(210)은 도로(30)에 표시된 횡단보도(10)로 보행자가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구비된 압력센서(211)를 통하여 지지봉(100)에 구비된 제어부(110)로 신호를 전달하여 보행자의 횡단보도(10) 진입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감지기(200)가 손상되어 기능을 이루지 못하거나 상기 감지기(200)를 벗어나 횡단보도(10)로 진입하려는 보행자가 있는 경우, 이를 원활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보행자의 횡단보도(10) 진입신호를 전달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에 구비된 볼라드(20)를 점멸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감지기(200)를 벗어나 횡단보도(10)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감지판(210)을 통하여 원활하게 보행자의 횡단보도(10) 진입을 차도(30)를 운행하는 차량(C)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횡단보도(10)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10)를 통하여 작동되는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는 황색 또는 적색을 이루도록 점멸되고, 상기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는 상기 감지기(200)의 신호가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황색신호를 나타낼 시, 3~5초간 대기신호를 이룬 후에 적색으로 점멸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는 상기 감지기(200)의 신호가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적색신호를 나타낼 시, 10~20초간 대기신호를 이룬 후에 황색으로 점멸 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감지판(210)에 보행자가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진입한 보행자에게 "좌측 지지봉(110)에 구비된 보행자스위치(130)를 누르면 5초후 차단봉이 열립니다"라는 안내 멘트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봉(11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위와 같이, 보행자가 스피커(미도시)의 안내에 따라 보행자스위치(130)를 누르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차단본이 올라갑니다, 주위를 살피시고 안전하게 횡단하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안내 멘트는 상기 제어부(120)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미도시)에서 송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110)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는 보행자의 횡단시간을 상기 제어부(120)에 입력하여 지정하는 경우 약 20~30초간, 상기 지지봉(100)의 차단봉(110)이 유동하기 전에 보행자에게 "위험하오니 다음에 건너가 주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피커(미도시)의 안내 멘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를 통하여 제어하며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안내 멘트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행자 스위치(130)는 보행자가 연이어 버튼을 누르는 경우, 최초 버튼을 누른 시점을 인식하여 지지봉(100)에 구비된 차단봉(110)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00)에 구비된 차단봉(110)은 오전 7~9시 또는 오후 2~4시와 같이, 차단봉(110)의 제어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차단봉의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며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30)를 가로지르도록 표시된 횡단보도(10)와 인접하게 본 발명인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를 설치 구성한다.
이때, 보행자가 감지기(200)를 통과하며 횡단보도(10)로 진입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감지기(200)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가 지지봉(100)의 제어부(110)로 전달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10)의 신호가 도로(30)에 설치 구성된 제1펜스(300)의 볼라드(20)와, 제2펜스(300)의 볼라드(20)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상기 감지기(200)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의 신호를 상기 볼라드(20)로 전달하게 되는 경우, 상기 볼라드(20)는 노란색 신호가 점멸된 후, 보행자가 상기 지지봉(100)에 구비된 보행자스위치(130)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11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볼라드(20)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볼라드(20)가 적색 신호를 점멸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감지기(200)와 보행자스위치(13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한 후, 상기 볼라드(20)로 황색과 적색 신호를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로(30)를 운행하는 차량(C)의 운전자가 불필요한 급제동 없이도 횡단보도(10)를 이동하는 보행자를 사전에 감지하여 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제어부(11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볼라드(20)가 점멸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보행자스위치(130)에 의한 차단봉(120)의 상,하 유동은 볼라드(20)의 점멸이 이루어진 3~5초 후에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도로(30)를 운행하는 차량(C) 운전자가 보행자의 횡단보도(10) 이동을 원활하게 감지한 후 보행자가 횡단보도(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횡단보도(10)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행자가 횡단보도(10)의 진입시, 상술한 감지기(200)를 거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설명한 감지판(210)의 구성을 통하여 감지기(200) 이외에도 원활하게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볼라드(20) 또는 지지봉(100)의 차단봉(120) 제어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감지기(200)를 통하여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지지봉(100)에 구비된 보행자스위치(130)를 보행자가 누르는 경우, 상기 지지봉(100)의 차단봉(120)이 상,하 유동되어 보행자의 횡단보도(10)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감지기(200)의 보행자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볼라드(20)와 차단봉(120)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감지기(200)와 보행자스위치(130)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볼라드(20)와 차단봉(120)의 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보행자가 횡단보도(10)를 진입하는 경우, 상기 차단봉(120)과 볼라드(20)가 작동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보행자가 횡단보도(10)를완전히 건넌 후에는 감지기(200), 감지판(210)의 구성을 통하여 도로(30)에 설치되어 적색 점멸을 이루는 볼라드(20)가 황색으로 변경되며 점멸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는 상기 볼라드(20)가 황색 또는 적색의 점멸을 이루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볼라드(20)의 황색 또는 적색의 점멸 후에는 황색 또는 적색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로(30)를 운행하는 차량(C) 운전자가 원활하게 볼라드(20)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는 상기 볼라드(20)의 색상과 점멸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도 편리하게 설치 구성하여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횡단보도 20: 볼라드
30: 차도 100: 지지봉
110: 제어부 120: 차단봉
130: 보행자 스위치 200: 감지기
210: 감지판 211: 압력센서
300: 제1펜스 400: 제2펜스
C: 차량

Claims (4)

  1. 내측에 제어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10)에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유동되는 차단봉(120)이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봉(100)과,
    상기 지지봉(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횡단보도(10)로 진입하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감지기(200)와,
    상기 제어부(11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20)가 구비되어 차도(3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1펜스(300)와,
    상기 제어부(11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개의 볼라드(20)가 구비되어 상기 차도(30)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설치되는 제2펜스(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00)은
    보행자가 상기 제어부(110)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1펜스(300)와 제2펜스(300)의 볼라드를 점멸시키고, 지지봉(100)의 차단봉을 유동시키는 보행자스위치(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00)의 일측 바닥면에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압력센서(211)가 구비된 감지판(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를 통하여 작동되는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는 황색 또는 적색을 이루도록 점멸되고,
    상기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는 상기 감지기(200)의 신호가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황색신호를 나타낼 시, 3~5초간 대기신호를 이룬 후에 적색으로 점멸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펜스(300)와 제2펜스(400)의 볼라드(20)는 상기 감지기(200)의 신호가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적색신호를 나타낼 시, 10~20초간 대기신호를 이룬 후에 황색으로 점멸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KR1020140008293A 2014-01-23 2014-01-23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KR20150088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93A KR20150088004A (ko) 2014-01-23 2014-01-23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93A KR20150088004A (ko) 2014-01-23 2014-01-23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04A true KR20150088004A (ko) 2015-07-31

Family

ID=5387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293A KR20150088004A (ko) 2014-01-23 2014-01-23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80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488B1 (ko) * 2019-10-02 2020-04-28 이경진 회전형 교통 신호 안내 장치
KR20200051432A (ko) 2018-11-05 2020-05-13 조동현 조기위험경보기를 내장한 자전거 도로 펜스
CN111424586A (zh) * 2020-05-11 2020-07-17 厦门诚通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备用栏杆的栏杆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432A (ko) 2018-11-05 2020-05-13 조동현 조기위험경보기를 내장한 자전거 도로 펜스
KR102105488B1 (ko) * 2019-10-02 2020-04-28 이경진 회전형 교통 신호 안내 장치
CN111424586A (zh) * 2020-05-11 2020-07-17 厦门诚通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备用栏杆的栏杆机
CN111424586B (zh) * 2020-05-11 2024-04-12 厦门诚通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备用栏杆的栏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1806470B1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66123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101446113B1 (ko)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884001B1 (ko) 보행자와 운전자의 주의환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061583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10163547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200481229Y1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CN111052197A (zh) 人行横道语音提示辅助装置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2210645B1 (ko) 보행안전지원시스템
KR102305577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KR101977716B1 (ko) 차량의 안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
KR102002860B1 (ko) 보행자를 보호하는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219094B1 (ko) 좌회전 감지 신호등의 제어방법
KR2013011217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60067435A (ko) 횡단보도의 무단횡단 알림 시스템
KR20150088004A (ko) 횡단보도 안전 신호장치
KR101289433B1 (ko) 보행자 안전차단기
AU2010201018A1 (en) Improvements to pedestrian crossings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20160128169A (ko) 교차로 위험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