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298U -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298U
KR20080003298U KR2020070002410U KR20070002410U KR20080003298U KR 20080003298 U KR20080003298 U KR 20080003298U KR 2020070002410 U KR2020070002410 U KR 2020070002410U KR 20070002410 U KR20070002410 U KR 20070002410U KR 20080003298 U KR20080003298 U KR 20080003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oarding
sprocket
boxes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944Y1 (ko
Inventor
서강원
Original Assignee
서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원 filed Critical 서강원
Priority to KR2020070002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4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paternost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3Express or shuttle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도 상부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아치형의 좌우 이동수단(10)(10')에 의해 교차 왕복 이동하는 제1,2호 탑승박스(30)(30')를 이용하여 차도 양측 인도에서 대향측 인도로 교차 이동하면서 차도를 횡단하도록 하므로서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편안함은 물론 특히 노약자나 장애자들이 더욱 간편하게 도로를 횡단하도록 제공함과, 설치,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 위치의 변경이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제공되어 설치 사용상의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차도, 이동수단, 왕복, 횡단, 안전성, 탑승박스, 레일, 체인, 보행자

Description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TRANSFER EQUIPMENT FOR GOING ACROSS A ROAD}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탑승박스의 지지 및 안내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이동수단 11,11': 프레임
13,13': 스프로켓 15,15': 체인
20,20': 지지봉 30,30': 탑승박스
40,40': 보호박스 22: 안내롤
25: 레일 50: 구동전달수단
60: 전원차단부 70: 전원연결부
본 고안은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도 양측의 인도에서 지상의 아치형 이동수단을 따라 반대 측 인도까지 교차 왕복 이동하는 두개의 제1,2호 탑승박스에 의해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행자 및 노약자, 장애자들을 신속, 편리하고 안전하게 차도를 횡단하도록 제공하는 차도 횡단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차도를 건너기 위해서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횡단하고 있다.
상기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별도의 신호체계에 의해 원활히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하여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의 소통을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차량의 소통을 원활히 제공하기 위해서 차도의 상,하부 육교 또는 지하도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육교 또는 지하도를 이용하여 차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보행자 특히 노약자나 장애자의 경우에 계단을 올라가고 내려가는 불편함은 물론 미끄러짐이나 추락의 안전사고 우려를 갖고 있었다.
뿐만아니라 상기한 육교 또는 지하도는 한 번 시공으로 위치 변경 등이 곤란하고, 시공에 따른 시간과 공간 및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 로서, 차도의 양측에 위치하는 인도에서 지상의 아치형 이동수단을 따라 반대 측 인도까지 동시에 교차 왕복 이동하는 두개의 제1,2호 탑승박스에 의해 도로 차량의 소통을 원활히 제공하면서 보행자 및 노약자, 장애자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차도를 횡단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설치,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설치 위치의 변경이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제공되므로서 설치 사용상의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도 상부로 설치되는 제1,2호 아치형 프레임 내부를 따라 스프로켓과 체인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체인이 정,역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구동전달수단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역 구동 제어되는 제1,2호 이동수단을 병렬 구성하고,
상기 제1,2호 이동수단의 각 체인에는 지지봉에 의해 각각 제1,2호 탑승박스가 설치되어 체인을 따라 도로의 양측 인도로 상호 교차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측 인도에는 제1,2호 탑승박스가 삽입 안내되는 제1,2호 보호박스를 설치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2호 탑승박스의 지지봉에 좌우로 베어링 회전하는 안내롤을 설치하여 제1,2호 이동수단의 체인을 따라 설치된 레일에 지지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차도 상부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두쌍의 제1,2호 아치형 프레임(11),(11')내부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스프로켓(13)(13')에 각각 체인(15)(15')을 감합 설치하고, 상기 체인(15)(15')이 정,역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구동전달수단(50)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역 구동 제어되는 제1,2호 이동수단(10)(10')을 병렬 구성하고,
상기 제1,2호 이동수단(10)(10')의 각 체인(15)(15')에는 지지봉(20)(2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에 각각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공간과 전후로 개폐도어를 갖는 제1,2호 탑승박스(30)(30')가 설치되어 체인을 따라 도로의 양측 인도로 상호 교차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측 인도에는 제1,2호 탑승박스(30)(30')가 삽입 안내되고 전방에 개폐도어를 갖는 제1,2호 보호박스(40)(40')를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전달수단(50)은 구동모터(M)의 구동축과 스프로켓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축(52)의 일측에 이동수단(10)의 스프로켓(13)과 스프로켓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전달축(54)과 스프로켓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이동수단의 체인(15) 을 정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52)의 타측에는 이동수단(10')의 스프로켓(13')과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전달축(56)과 스프로켓에 체인으로 연결된 종동축(57)이 상호 기어(58)(58') 치합되게 연결하여 이동수단의 체인(15')을 역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달수단(50)은 구동모터(M)의 구동력으로 이동수단(10)(10')의 체인(15)(15')을 각각 상호 역회전하도록 동력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그 동력전달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순 구조의 변경정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제1,2호 탑승박스(30)(30')의 지지봉(20)(20')에는 좌우로 베어링 회전하는 안내롤(22)(22)을 설치하여 제1,2호 이동수단(10)(10')의 체인을 따라 설치된 레일(25)(25)에 지지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호 보호박스(40)(40') 내부에는 저면에 탑승박스(30)(30')가 도착하여 터치 작동시에 전원을 차단하여 탑승박스를 정지 작동하도록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60)와, 상기 탑승박스(30)(30') 내부에는 다시 탑승박스를 이동작동하도록 구동모터의 전원을 복귀시키는 전원연결부(70)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호 보호박스의 상단은 탑승박스의 원활히 삽입 안내되도록 유입가이드(42)를 형성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80은 체인(15)(15')의 유격을 조정하는 조정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차도를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특히 노약자, 장애자 등이 도로의 양측 인도에 위치하고 있는 보호박스(40)(40')에서 탑승박스(30)(30')를 이용하여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상호 교차되게 건널수 있도록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행자가 도로 양측의 인도에 설치되는 제1,2호 보호박스(40)(40') 내에서 탑승박스(30)(30')에 탑승하여 내부의 전원연결부(70)인 출발버튼(미도시)을 조작한다.
이때, 상기 보호박스, 탑승박스는 항상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인도측에 출발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보행자는 신속하게 탑승한 후 출발 조작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일측 인도에 탑승한 탑승박스(30)(30')는 제1,2호 이동수단(10)(10')에 의해 상호 건너편 인도로 교차되게 이동하여 도로를 횡단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2호 이동수단(10)(10')의 아치형 프레임(11)(11') 내부에 스프로켓(13)(13')에 각각 감합 설치된 체인(15)(15')이 상호 역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체인에 지지봉(20)(20')으로 연결 지지된 제1,2호 탑승박스(30)(30')는 상호 대향측 인도로 교차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2호 이동수단(10)(10')의 체인(15)(15')은 단일 구동모터(M)에 의해 상호 역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구동모터(M)의 구동축과 스프로켓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축(52)의 일측에 이동수단(10)의 스프로켓(13)과 스프로켓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전달축(54)과 스프로켓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이동수단의 체인(15)을 정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52)의 타측에는 이동수단(10')의 스프로켓(13')과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전달축(56)과 스프로켓에 체인으로 연결된 종동축(57)이 상호 기어(58)(58') 치합되게 연결하여 이동수단의 체인(15')을 역회전하도록 함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2호 이동수단(10)(10')에 의해 차도를 횡단하는 제1,2호 탑승박스(30)(30')는 각 탑승박스의 지지봉(20)(20')에 좌우로 설치되어 베어링 회전하는 안내롤(22)(22)이 체인을 따라 설치된 레일(25)(25)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하게 횡단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횡단 이동한 상기 제1,2호 탑승박스(30)(30')는 양측 인도에 설치되는 보호박스(40)(40')내에 일정하게 삽입되어 도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호 탑승박스(30)(30')가 보호박스(40)(40')내에 삽입되면, 전원차단부(60)를 터치하게 되어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더 이상의 이동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박스(40)(40')와 제1,2호 탑승박스(30)(30')의 개폐도어가 자동 개방되어 탑승자가 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제1,2호 탑승박스(30)(30')가 양측 인도로 대향되 게 교차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양측 인도에서 언제나 건너편으로 연속하여 횡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2호 이동수단(10)(10')을 아치형으로 형성하므로서 도시 미관을 미려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제1,2호 보호박스 및 제1,2호 탑승박스와 이동수단 만을 설치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설치 시공이 간편하게 제공됨은 물론 상기 제1,2호 보호박스 및 제1,2호 탑승박스와 이동수단만을 들어 위치 이동하므로서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는 차도의 양측에 위치하는 인도에서 지상의 아치형 이동수단을 따라 반대 측 인도까지 동시에 교차 왕복 이동하는 두개의 제1,2호 탑승박스에 의해 도로 차량의 소통을 원활히 제공하면서 보행자 및 노약자, 장애자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차도를 횡단하도록 제공함은 물론 설치, 시공이 간편함과 설치 위치의 변경이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제공되어 설치 사용상의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양측에 인도가 있는 차도를 횡단함에 있어서,
    차도 상부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두쌍의 제1,2호 아치형 프레임(11),(11')내부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스프로켓(13)(13')에 각각 체인(15)(15')을 감합 설치하고, 상기 체인(15)(15')이 정,역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구동전달수단(50)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역 구동 제어되는 제1,2호 이동수단(10)(10')을 병렬 구성하고,
    상기 제1,2호 이동수단(10)(10')의 각 체인(15)(15')에는 지지봉(20)(2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에 각각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공간과 전후로 개폐도어를 갖는 제1,2호 탑승박스(30)(30')가 설치되어 체인을 따라 도로의 양측 인도로 상호 교차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측 인도에는 제1,2호 탑승박스(30)(30')가 삽입 안내되고 전방에 개폐도어를 갖는 제1,2호 보호박스(40)(40')를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수단(50)은 구동모터(M)의 구동축과 스프로켓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축(52)의 일측에 이동수단(10)의 스프로켓(13)과 스프로켓에 체인 연 결되어 구동하는 전달축(54)과 스프로켓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이동수단의 체인(15)을 정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52)의 타측에는 이동수단(10')의 스프로켓(13')과 체인 연결되어 구동하는 전달축(56)과 스프로켓에 체인으로 연결된 종동축(57)이 상호 기어(58)(58') 치합되게 연결하여 이동수단의 체인(15')을 역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호 탑승박스(30)(30')의 지지봉(20)(20')에는 좌우로 베어링 회전하는 안내롤(22)(22)을 설치하여 제1,2호 이동수단(10)(10')의 체인을 따라 설치된 (25)(25)에 지지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KR2020070002410U 2007-02-09 2007-02-09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KR200441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410U KR200441944Y1 (ko) 2007-02-09 2007-02-09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410U KR200441944Y1 (ko) 2007-02-09 2007-02-09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298U true KR20080003298U (ko) 2008-08-13
KR200441944Y1 KR200441944Y1 (ko) 2008-09-23

Family

ID=4132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410U KR200441944Y1 (ko) 2007-02-09 2007-02-09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024B1 (ko) * 2022-05-31 2023-08-08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시니어 보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024B1 (ko) * 2022-05-31 2023-08-08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시니어 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44Y1 (ko) 2008-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543B2 (en) Traffic installation
US8985890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CN107842287B (zh) 一种用于地铁平台的小孩防护装置
KR200441944Y1 (ko) 차도 횡단용 왕복 이동장치
RU2413640C1 (ru) Общественно-индивидуальный транспорт (варианты)
CN103469707B (zh) 一种多功能城市道路
KR101054018B1 (ko) 자전거 고속도로
CN103352405A (zh) 自动路
KR100700064B1 (ko) 보도를 갖는 도로의 보행자 보호장치
EP1798341A1 (en) Traffic lane separation unit, component member thereof, and mobile traffic lane separation device
WO2008025201A1 (fr) Voie surélevée faible vitesse
CN201826231U (zh) 公交车辆拼装式立交桥
CN201778294U (zh) 一种防乱闯红灯栏杆
CN101338541A (zh) 缓解交通堵塞的十字路口高架通道
Macdonald et al. Towards a More Accessible Tram System in Melbourne–challenges for infrastructure design
EP3649030B1 (en) Transportation system for people and/or things
CN101469572A (zh) 城市与小区规划
CN107489077B (zh) 一种人车合一式分时立交桥
KR100798490B1 (ko) 도로변 매입형 보도 및 차도 겸용 차단기
EP1016615B1 (en) Bridge-type conveyance system for crossing roads and the like
CN204920361U (zh) 一种多层自动停车结构
WO2010140962A1 (en) Transport system
Pandit et al. Bicycle Tracks
CN210657983U (zh) 一种大跨度钢结构人行天桥
CN103068659A (zh) 交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