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386B1 -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86B1
KR102564386B1 KR1020200090247A KR20200090247A KR102564386B1 KR 102564386 B1 KR102564386 B1 KR 102564386B1 KR 1020200090247 A KR1020200090247 A KR 1020200090247A KR 20200090247 A KR20200090247 A KR 20200090247A KR 102564386 B1 KR102564386 B1 KR 10256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isible
state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476A (ko
Inventor
쇼헤이 호소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접속 상태를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확인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단자를 갖는다.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형성한 제2 단자 및 시인 부재를 갖는다.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시인 부재는,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와,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HAVING VISIBLE MEMBER}
본 발명은, 시인(視認) 부재,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공업 기기, 그 외 여러 가지의 기기의 조립 공정에서는,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BtoB 커넥터가 폭넓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커넥터간의 접속, 환언하면, 커넥터에 형성한 단자간의 접속을, 사람의 손에 의하는 일 없이 기계에 의해 완전하게 또한 확실하게 자동화하는 것, 환언하면, 완전한 로봇 끼워맞춤의 실현이 종래부터 과제로 되어 왔다. 최근, 커넥터의 수요가 증가 경향에 있는 것, 또한, 인건비의 고상승, 비용 다운의 요청, 작업자의 작업 미스에 의한 커넥터의 파손, 그 외의 여러 가지의 요인에 의해, 상기 과제의 해결이 급선무로 되어 있다. 단자의 접속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344418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해야 할 커넥터끼리를 정확하게 정면 대향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직접적으로는, 단자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 나아가서는, 단자의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어떠한 수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단자간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종래의 수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통 검사, 즉, 단자간에 전기 신호를 실제로 흐르게 하여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 외에, 어떠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것, 예를 들면, 1) 높이 제어, 즉, 커넥터의 위치를 커넥터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들 측정값에 기초하여 확인을 행하는 것, 2) 스트로크 제어, 즉,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들 측정값에 기초하여 확인을 행하는 것, 3) 하중 제어, 즉, 커넥터를 접속시킬 때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고, 그들 측정값에 기초하여 확인을 행하는 것 등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344418호
상기 1) 내지 3)에 든 종래의 수법은, 모두 간접적인 확인 수법으로서 직관적, 직접적인 확인 수법이 아니고, 또한, 측정 오차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의 높이 제어에서는, 기판간 높이의 공차, 예를 들면, 끼워맞춤 시의 기울기, 땜납 부풀어오름 높이, 기판간의 불균일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공차를 보상할 필요가 있고, 특히, 저배형의 커넥터에서는 설계 성립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2)의 스트로크 제어나 상기 3)의 하중 제어에서는, 예를 들면, 기판이나 케이스체의 휨 등에 의해, 고객선에서의 검증이 곤란, 또는,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 3)의 하중 제어에서 사용되는 하중 센서는 일반적으로 고가이고, 또한, 설비가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1) 및 2)의 수법에서는, 특히, 복수의 커넥터가 기판 상에 밀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커넥터에 대해서 이 수법을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단자간에 전기 신호를 실제로 흐르게 하여 확인하는 도통 검사는, 단자간 접속의 직접적인 확인 수법이기는 하지만, 단자의 접속이 불완전한 경우라도 전기 신호가 흘러 버린다. 이와 같이, 검사 지그 등의 추가로의 설비 투자가 필요해지고, 또한, 이러한 결점 때문에, 결국은, 상기 1) 내지 3)에 든 어느 하나의 수법이 병용되는 경우도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소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고, 단자의 접속 상태를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확인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그러한 커넥터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커넥터 장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한 제2 단자 및 시인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시인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상기 맞닿음부와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이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한쪽의 커넥터(제2 커넥터)의 하우징(제2 하우징)에, 상대 커넥터(제1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제1 하우징)의 일부와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를 포함하는 시인 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의 접속 상태를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 결과, 확인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커넥터 장치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상기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접속의 전(前)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에 있고, 상기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는,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접속의 전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에 있고, 상기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가능한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인 상태의 변화는, 위치, 크기, 형상, 모양, 또는 색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인부는, 상기 맞닿음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추가로, 상기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시인부는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맞닿음을 통하여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하여 가동하고, 상기 시인부는, 상기 가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긴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추가로 또한, 상기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긴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상기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인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인 부재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인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태양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인 부재는, 실장부와, 상기 제1 하우징의 둘레벽을 덮는 덮개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의 접속 상태를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확인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그와 같은 커넥터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일 예를 그의 주변 부재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시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시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시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확인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합한 실시 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1)의 일 예를 그의 주변 부재와 함께 사시도로 나타낸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주변 부재로서 회로 기판(3)만을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장치(1)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4)를 구비한다. 이들 플러그 커넥터(2) 및 리셉터클 커넥터(4)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고,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 방향 「α1」을 따라, 서로 접속, 예를 들면, 끼워맞춤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 및 리셉터클 커넥터(4)는, 각각, 접속 방향 「α1」과 직교하는 긴쪽 방향 「β」 및, 접속 방향 「α1」 및 긴쪽 방향 「β」의 쌍방과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주변 부재로서, 플렉시블 케이블이나 플렉시블 기판, 회로 기판 등의 도전 부재(7)를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2)는, 도전 부재(7)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플러그 커넥터(2)는, 가요성을 갖는 도전 부재(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4)는, 회로 기판(3)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단, 이와는 반대로, 플러그 커넥터(2)를 회로 기판에 실장한 상태로,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4)를 가요성을 갖는 도전 부재에 고정한 상태로, 또한,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의 쌍방을 가요성을 갖는 도전 부재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해도 물론 좋다.
플러그 커넥터(2)는, 플러그 하우징(제1 하우징)(20)과, 플러그 하우징(20)에 형성한 플러그 단자(제1 단자)(30) 및 보강 금구(32)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20)은, 커넥터 장치의 저배화를 실현하기 위해, 편평 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2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틀 형상의 둘레벽(22)을 갖는다. 둘레벽(22)은, 접속 방향 「α1」을 따르는 방향 「α」로 높이를 갖고, 긴쪽 방향 「β」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측벽(22a)과 짧은쪽 방향 「γ」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단벽(22b)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명백하지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 중앙에는, 둘레벽(22)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형상의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패임부에 리셉터클 커넥터(4)의 섬부(41)가 끼워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30)는,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어 있고, 측벽(22a)에 있어서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복수, 여기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30)는, 실장부(30a)에서, 도전 부재(7)(도 2 참조)에 고정된다. 도전 부재(7)는, 일반 플렉시블 케이블 등과 마찬가지로, 각 기기로부터 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4)에 형성한 시인창(45)을 통하여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도전 부재(7)의 폭은,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인창(45)을 막지 않는 정도의 크기, 환언하면, 플러그 커넥터(2)의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도 작은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치수 설정은, 통상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특수한 설계를 필요로 하는 일은 없다.
보강 금구(32)는,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플러그 하우징(20)의 단부에 각각 1개 형성되어 있다. 각 단부에 있어서, 보강 금구(32)의 일부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측벽(22a) 및 단벽(22b)의 각각에 있어서 일부(32b, 32c)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보강 금구(32)는, 플러그(30)와 마찬가지로, 그 실장부(32a)에 있어서 도전 부재에 고정된다.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4)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4)는, 리셉터클 하우징(제2 하우징)(40)과, 리셉터클 하우징(40)에 형성한 리셉터클 단자(제2 단자)(50) 및 시인 부재(6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단자(50)와 시인 부재(60)는, 리셉터클 하우징(40)에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40)은, 플러그 하우징(20)과 마찬가지로, 편평 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4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틀 형상의 둘레벽(42)을 갖는다. 둘레벽(42)은, 접속 방향 「α1」을 따르는 방향 「α」에 높이를 갖고, 긴쪽 방향 「β」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측벽(42a)과 짧은쪽 방향 「γ」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단벽(42b)을 포함한다. 평면에서 보아 중앙에는, 접속 방향 「α1」을 따르는 방향 「α」에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고, 또한, 둘레벽(42)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섬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섬부(41)와 둘레벽(42)의 사이에,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틀 형상의 끼워맞춤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촉부(51) 및 그의 주변부는, 섬부(41)에 형성한 단자 수용 홈(41a)에 배치되고, 단자 수용 홈(41a)으로부터 외부로 다소 돌출된 상태로 또한 짧은쪽 방향 「γ」에 탄성 변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자(50)는,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어 있고, 측벽(42a)에 있어서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복수, 여기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자(50)는, 실장부(52)에서, 회로 기판(3)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시인 부재(60)는,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40)의 단부에 각각 1개씩, 리셉터클 하우징(40)의 측벽(42a) 및 단벽(42b)의 각각에 있어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시인 부재(60)는, 리셉터클(50)과 마찬가지로, 실장부(61a, 62a)에 있어서 회로 기판(3)에 납땜된다.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의 끼워맞춤 시에는, 리셉터클 커넥터(4)의 끼워맞춤 오목부(43)에, 플러그 커넥터(2)의 둘레벽(22)이, 이와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2)의 둘레벽(22)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의 직사각형 형상의 패임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리셉터클 커넥터(4)의 섬부(41)가, 각각, 접속 방향 「α1」을 따라 삽입된다. 이들의 삽입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2)에 형성한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커넥터(4)에 형성한 리셉터클 단자(50)가, 각각 접속된다.
시인 부재(60)는,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 상태를,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하우징(40)에 형성한 관통공과 연통한 시인창(45)을 통하여,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접속 상태의 확인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가 끼워맞춤되기 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 상태에 있을 때, 유저는, 리셉터클 하우징(40)에 형성한 시인창(45)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4)의 외부의 소정 위치로부터 시인 부재(60)의 일부(시인부(65))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가 끼워맞춤된 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 상태에 있을 때, 유저는, 적어도 리셉터클 커넥터(4)의 외부의 전술한 소정 위치에서는, 시인 부재(60)의 일부(시인부(65))를 이미 확인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 상태를, 시인창(45)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시인부(65)의 유무에 의해, 시각을 통하여 직관적,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인부(65)의 상태는, 카메라를 사용한 화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확인해도 좋다. 특히, 소형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화상 인식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시인 부재(6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시인 부재(60)를 위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b)는, 시인 부재(60)를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시인 부재(60)는, 1매의 탄성 작용을 갖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시인 부재(60)는, 주로, 기체(基體)(61), 상면 보강부(61b)(61b-1, 61b-2a, 61b-2b, 61b-2c), 중간 연결부 61c(61c-1, 61c-2, 61c-3), 탄성 연결부 66-1, 66-2, 맞닿음부(63)(63-1, 63-2), 시인부(65)(65-1, 65-2) 및, 측벽(62-1, 62-2)을 포함한다. 측벽(62-1, 62-2)은 추가로, 상면 보강부(62b)(62b-1, 62b-2), 내벽 보강부(62c)(62c-1, 62c-2) 및, 저부 보강부(62d)(62d-1, 62d-2)를 포함한다.
기체(61)는, 리셉터클 커넥터(4)의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큰 1개의 판 형상체이다. 기체(61)는, 짧은쪽 방향 「γ」를 따라 폭넓게 연재(延在)하고, 또한, 「α」방향을 따라 실장부(61a)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61)는, 거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40)의 내부에 매입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일부밖에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없다.
기체(61)와 연속한 상태로, 상면 보강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 보강부(61b)는, 기체(61)와 달리, 리셉터클 하우징(4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하우징(40)의 단벽(42b)의 정부(頂部)를 덮어, 리셉터클 하우징(40)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면 보강부(61b)는, 제1 상면 보강부(61b-1)와 제2 상면 보강부(61b-2)를 포함한다. 제1 상면 보강부(61b-1)는,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기체(61)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고, 긴쪽 방향 「β」를 따라 리셉터클 하우징(40)의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제2 상면 보강부(61b-2)는, 제1 상면 보강부(61b-1)와 연속한 상태로,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분지한 제1 상면 보강부(61b-1)보다도 협폭인 3개의 고정편(61b-2a, 61b-2b, 61b-2c)으로서 형성된 부분으로서, 이들 고정편(61b-2a, 61b-2b, 61b-2c)은, 각각, 긴쪽 방향 「β」을 따라 리셉터클 하우징(40)의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시인창(45)(도 2, 도 3 참조)은,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의, 고정편(61b-2a)과 고정편(61b-2b)의 사이 및, 고정편(61b-2b)과 고정편(61b-2c)의 사이에, 각각 1개씩 배치된다.
또한, 이들 고정편(61b-2a, 61b-2b, 61b-2c)의 각각과 연속한 상태로, 또한, 단벽(42b)의 정부로부터 접속 방향을 따르는 방향 「α」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중간 연결부(61c-3, 61c-1, 61c-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간 연결부(61c-3, 61c-1, 61c-2) 중,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부(61c-3)는,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고정편(61b-2a)과 동일한 폭을 갖고, 한편,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단부에 위치하는 중간 연결부(61c-1, 61c-2)는 각각, 고정편(61b-2b, 61b-2c)보다도 작은 폭을 갖는다. 중간 연결부(61c-1, 61c-2)의 각각의 단부에는, 추가로, 끼워맞춤 오목부(43)의 저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절곡된 탄성 연결부(66-1, 66-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탄성 연결부(66-1, 66-2)를 통하여, 맞닿음부(63-1, 63-2)와 시인부(65-1, 65-2)가, 이들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연결부(66-1, 66-2)는, 시인부(65-1, 65-2)를, 중간 연결부(61c-1, 61c-2)의 단부와는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방향 짓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3 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63-1, 63-2)는,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시인부(65-1, 65-2)와 리셉터클 단자(50)와의 사이에 위치 매김되어 있고, 끼워맞춤 오목부(43)에 배치되어 있다.
맞닿음부(63-1, 63-2)는, 중간 연결부(61c-1, 61c-2)의 각각의 단부에,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각각 탄성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맞닿음부(63-1, 63-2)는, 탄성 연결부(66-1, 66-2)보다도,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중심으로 치우친 측에 위치 매김되어 있다. 맞닿음부(63-1, 63-2)는, 리셉터클 커넥터(4)의 끼워맞춤 오목부(43)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의 적어도 일부,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에 형성한 보강 금구(32)와 맞닿을 수 있다. 맞닿음부(63-1, 63-2)는, 이들의 맞닿음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하여 가동한다.
시인부(65-1, 65-2)는, 각 맞닿음부(63-1, 63-2)로부터 연속한 상태로,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긴쪽 방향 「β」을 따라 리셉터클 하우징(40)의 외방을 향하는 편(片)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시인부(65-1, 65-2)는, 시인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곡면을 형성하도록 둥글게 절곡되어 있다.
측벽(62-1, 62-2)은, 리셉터클 커넥터(4)의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긴쪽 방향 「β」를 따라 연재하고 있는 비교적 큰 2개의 판 형상체이다. 측벽(62-1, 62-2)은, 각각, 「α」방향을 따라 실장부(62a)로부터 세워져 있다. 또한, 측벽(62-1, 62-2)은, 기체(61)와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40)의 내부에 매입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일부밖에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없다.
각 측벽(62-1, 62-2)의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단부에, 측벽(62-1, 62-2)과 연속한 상태로, 상면 보강부(62b-1, 62b-2)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 보강부(62b-1, 62b-2)는, 측벽(62-1, 62-2)과 달리, 리셉터클 하우징(4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하우징(40)의 측벽(42a)의 정부를 덮고, 리셉터클 하우징(40)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추가로, 상면 보강부(62b-1, 62b-2)와 연속한 상태로, 또한, 측벽(42a)의 정부로부터 「α」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내벽 보강부(62c-1, 62c-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벽 보강부(62c-1, 62c-2)의 단부에는, 추가로, 끼워맞춤 오목부(43)의 일부를 차지하는 저부 보강부(62d-1, 62d-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벽 보강부(62c-1, 62c-2)의 중간 위치에는, 플러그 커넥터(2)에 형성한 보강 금구(32)의 일부가 계지될 수 있는 계지 돌출부(6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인부(65)의 동작을, 맞닿음부(63) 및 시인부(65)의 구조에 기초하여 재차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 3의 상태, 즉,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가 끼워맞춤되기 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시인 부재(60)의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한편, 도 7의 (a)는, 도 2의 상태, 즉,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가 끼워맞춤된 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 후에 있어서의 시인 부재(60)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인 부재(60)는, 1매의 탄성 작용을 갖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시인부(65-1, 65-2)는, 맞닿음부(63-1, 63-2)와 연결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도 6의 상태로부터 도 7의 상태로 변화했을 때, 즉,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4)가 끼워맞춤되고,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가 접속되었을 때, 맞닿음부(63-1, 63-2)는, 리셉터클 커넥터(4)의 일부(예를 들면, 보강 금구(32))와 맞닿아 가동하는, 더욱 상세하게는, 맞닿음부(63-1, 63-2)는, 「α」방향을 따라 저측으로 밀린다. 이에 응답하여, 시인부(65-1, 65-2)는,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한 위치를, 도 6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7에 나타낸 위치로 변화시키는, 환언하면, 시인부(65-1, 65-2)는,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4)의 중심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시인부(65-1, 65-2)는, 이와 같이, 플러그 단자(30)와 리셉터클 단자(50)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의 전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4)의 외부,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창(45)을 통하여 시인 가능한 상태에 있지만, 맞닿음부(63-1, 63-2)의 가동에 응답하여,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시인 상태를 변화시킨다. 이 결과,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인부(65-1, 65-2)는, 시인창(45), 환언하면, 리셉터클 커넥터(4)의 외부의 소정 위치의 시계로부터 사라져,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4A)의 평면도, 도 9는, 플러그 커넥터(2A)와 리셉터클 커넥터(4A)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시인 부재(60A)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시인 부재(60A)를 위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시인 부재(60A)를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3, 도 2, 도 5에 대응한다.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주요 상위(相違)는, 시인 부재(60A)의 리셉터클 하우징(40A)에 대한 부착 방법 및, 시인 부재(60A)의 형상에 있다. 단, 시인 부재(60A)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좋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의 주요 상위만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A」의 문자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인 부재(60A)는, 주로, 기체(61A), 상면 연결부(61Ab)(61 Ab-1, 61Ab-2), 하방으로 향하는 중간 연결부(61Ac)(61Ac-1, 61Ac-2), 맞닿음부(63A)(63A-1, 63A-2), 및 시인부(65A)(65A-1, 65A-2)를 포함한다. 시인 부재(60A)는, 리셉터클 하우징(40A)에, 압입 고정된다. 리셉터클 하우징(40A)에 고정되었을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은, 주로, 맞닿음부(63A)(63A-1, 63A-2)와, 시인부(65A)(65A-1, 65A-2)뿐이다.
기체(61A)는, 리셉터클 커넥터(4A)의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큰 1개의 판 형상체이다. 기체(61A)는, 짧은쪽 방향 「γ」를 따라 폭 넓게 연재하고, 또한, 「α」방향을 따라 실장부(61Aa)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61A)의 짧은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는, 리셉터클 하우징(40A)에 대하여 압입 고정하기 위한 계지부(68a)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61A)와 연속한 상태로, 2개의 상면 연결부(61Ab-1, 61Ab-2)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 연결부(61Ab-1, 61Ab-2)는, 기체(61A)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하우징(40A)의 내부에 조입된다.
또한, 상면 연결부(61Ab-1, 61Ab-2)의 각각과 연속한 상태로, 또한, 정부측으로부터 「α」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중간 연결부(61Ac-1, 61Ac-2)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결부(61Ac-1, 61Ac-2)에는, 기체(61A)와 마찬가지로, 짧은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리셉터클 하우징(40A)에 대하여 압입 고정하기 위한 계지부(68b)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결부(61Ac-1, 61Ac-2)의 각각의 단부에는, 맞닿음부(63A-1, 63A-2)와 시인부(65A-1, 65A-2)가, 이들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63A-1, 63A-2)는,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폭 넓게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맞닿음부(63A-1, 63A-2)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연결부(66A-1, 66A-2)로서의 기능을 완수한다.
맞닿음부(63A-1, 63A-2)는, 중간 연결부(61Ac-1, 61Ac-2)의 각각의 단부에, 따라서,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각각 탄성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63A-1, 63A-2)는, 리셉터클 커넥터(4A)의 끼워맞춤 오목부(43A)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A)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다. 맞닿음부(63A-1, 63A-2)는, 이들의 맞닿음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4A)에 대하여 가동한다.
시인부(65A-1, 65A-2)는, 각 맞닿음부(63A-1, 63A-2)로부터 연속한 상태이고, 따라서,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긴쪽 방향 「β」을 따라 리셉터클 하우징(40A)의 외방을 향하는 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시인부(65A-1, 65A-2)는, 시인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서, 시인부(65A)의 동작을, 맞닿음부(63A) 및 시인부(65A)의 구조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 도 7에, 각각 상당한다.
도 11의 (a)는, 도 8의 상태, 즉, 플러그 커넥터(2A)와 리셉터클 커넥터(4A)가 끼워맞춤되기 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A)와 리셉터클 단자(50A)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시인 부재(60A)의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한편, 도 12의 (a)는, 도 9의 상태, 즉, 플러그 커넥터(2A)와 리셉터클 커넥터(4A)가 끼워맞춤된 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A)와 리셉터클 단자(50A)의 접속 후에 있어서의 시인 부재(60A)의 평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인 부재(60A)는, 1매의 탄성 작용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시인부(65A-1, 65A-2)는, 맞닿음부(63A-1, 63A-2)와 연결된 상태에 있다. 도 11의 상태로부터 도 12의 상태로 변화했을 때, 즉, 플러그 커넥터(2A)와 리셉터클 커넥터(4A)가 끼워맞춤되고, 플러그 단자(30A)와 리셉터클 단자(50A)가 접속되었을 때, 맞닿음부(63A-1, 63A-2)는, 리셉터클 커넥터(4A)의 일부와 맞닿아 가동하는, 더욱 상세하게는, 맞닿음부(63A-1, 63A-2)는, 접속 방향 「α1」을 따라 저측으로 밀린다. 이러한 맞닿음부(63A-1, 63A-2)의 가동에 응답하여, 시인부(65A-1, 65A-2)는,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한 위치를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 변화시키는, 추가로 말하면, 시인부(65A-1, 65A-2)는,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4A)의 중심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시인부(65A)는 이와 같이, 플러그 단자(30A)와 리셉터클 단자(50A)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 여기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의 전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4A)의 외부,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창(45A)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에 있지만, 맞닿음부(63A-1, 63A-2)의 가동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인창(45A), 환언하면, 리셉터클 커넥터(4A)의 외부의 소정 위치의 시계로부터 사라져,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4B)의 평면도, 도 14는, 플러그 커넥터(2B)와 리셉터클 커넥터(4B)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시인 부재(60B)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시인 부재(60B)를 위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시인 부재(60B)를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 13 내지 15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3, 도 2, 도 5에 대응한다.
제3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주요 상위는, 시인 부재(60B)의 리셉터클 하우징(40B)에 대한 부착 방법 및, 시인 부재(60B)의 형상에 있다. 부착 방법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생각해도 좋다. 시인 부재(60B)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동작 태양이, 그들과 약간 상이하다. 이하,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의 주요 상위만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B」의 문자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인 부재(60B)는, 주로, 기체(61B), 상방을 향하는 중간 연결부(69)(69-1, 69-2), 상면 연결부(61Bb)(61Bb-1, 61Bb-2), 하방을 향하는 중간 연결부(61Bc)(61Bc-1, 61Bc-2), 맞닿음부(63B)(63B-1, 63B-2) 및, 시인부(65B)(65B-1, 65B-2)를 포함한다. 시인 부재(60B)는, 리셉터클 하우징(40B)에, 압입 고정된다. 리셉터클 하우징(40B)에 고정되었을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은, 주로, 맞닿음부(63B)(63B-1, 63B-2)와, 시인부(65B)(65B-1, 65B-2)뿐이다.
기체(61B)는, 리셉터클 커넥터(4B)의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큰 1개의 판 형상체이다. 기체(61B)는, 짧은쪽 방향 「γ」을 따라 폭 넓게 연재하고, 또한, 「α」방향을 따라 실장부(61Ba)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61B)와 연속한 상태로, 2개의 중간 연결부(69-1, 69-2)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로, 이들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2개의 상면 연결부(61Bb-1, 61Bb-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간 연결부(69-1, 69-2) 및, 상면 연결부(61Bb-1, 61Bb-2)는, 모두, 기체(61B)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하우징(40B)의 내부에 조입된다.
또한, 상면 연결부(61Bb-1, 61Bb-2)의 각각과 연속한 상태로, 또한, 정부측으로부터 접속 방향을 따르는 방향 「α」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중간 연결부(61Bc-1, 61Bc-2)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결부(61Bc-1, 61Bc-2)의 각각의 단부에는, 맞닿음부(63B-1, 63B-2)와 시인부(65B)(65B-1, 65B-2)가, 이들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63B-1, 63B-2)는,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폭 넓게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맞닿음부(63B-1, 63B-2)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연결부(66)로서의 기능을 완수한다.
맞닿음부(63B-1, 63B-2)는, 중간 연결부(61Bc-1, 61Bc-2)의 각각의 단부에, 따라서,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각각 탄성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63B-1, 63B-2)는, 리셉터클 커넥터(4A)의 끼워맞춤 오목부(43B)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B)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다. 맞닿음부(63B-1, 63B-2)는, 이들 맞닿음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4B)에 대하여 가동한다.
시인부(65B-1, 65B-2)는, 각 맞닿음부(63B-1, 63B-2)로부터 연속한 상태로, 따라서, 짧은쪽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긴쪽 방향 「β」을 따라 리셉터클 하우징(40B)의 외방을 향하는 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시인부(65B-1, 65B-2)는, 시인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6, 도 17을 참조하면서, 시인부(65B-1, 65B-2)의 동작을, 맞닿음부(63B-1, 63B-2) 및 시인부(65B-1, 65B-2)의 구조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 도 7에, 각각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상태, 즉, 플러그 커넥터(2B)와 리셉터클 커넥터(4B)가 끼워맞춤되기 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B)와 리셉터클 단자(50B)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시인 부재(60B)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17은, 도 14의 상태, 즉, 플러그 커넥터(2B)와 리셉터클 커넥터(4B)가 끼워맞춤된 후, 환언하면, 플러그 단자(30B)와 리셉터클 단자(50B)의 접속 후에 있어서의 시인 부재(60B)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인 부재(60B)는, 1매의 탄성 작용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시인부(65B-1, 65B-2)는, 맞닿음부(63B-1, 63B-2)와 연결된 상태에 있다. 도 16의 상태로부터 도 17의 상태로 변화했을 때, 즉, 플러그 커넥터(2B)와 리셉터클 커넥터(4B)가 끼워맞춤되고, 플러그 단자(30B)와 리셉터클 단자(50B)가 접속되었을 때, 맞닿음부(63B-1, 63B-2)는, 리셉터클 커넥터(4B)의 일부와 맞닿음되어 가동하는, 더욱 상세하게는, 맞닿음부(63B-1, 63B-2)는, 접속 방향 「α1」을 따라 저측으로 밀린다. 이 맞닿음부(63B-1, 63B-2)의 가동에 응답하여, 시인부(65B-1, 65B-2)는, 리셉터클 커넥터(4B)에 대한 위치를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 변화시키는, 추가로 말하면, 시인부(65B-1, 65B-2)는,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4B)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으로 밀린다. 시인부(65B-1, 65B-2)는 이와 같이, 플러그 단자(30B)와 리셉터클 단자(50B)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 여기에서는,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달리, 접속 전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4B)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에 있지만, 맞닿음부(63B-1, 63B-2)의 가동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긴쪽 방향 「β」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4B)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40B)의 외부의 소정 위치로부터 돌출하여,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된다.
<화상 확인 시스템>
도 18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확인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편의상, 여기에서는,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1A)를 이용한 화상 확인 시스템의 일 예를, 특히, 도 11의 (b)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제2 실시 형태 이외의 다른 커넥터 장치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18에서는, 도 11의 (b)와 마찬가지로, 편의상, 리셉터클 커넥터(4A) 등은 생략되어 있다.
화상 확인 시스템은, 적어도,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 화상 검지부(8)와, 컴퓨터 처리 장치(CPU)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 판정부(9)를 포함한다. 판정부(9)에 있어서의 판정에는, 화상 처리 소프트로서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프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화상 검지부(8)는,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4A)의 시인창(45A)(도 8, 도 9 참조)의 상부의 소정 위치에, 어떠한 고정 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각 시인창(45A)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한 시인부(65A)(65A-1, 65A-2)를, 예를 들면, 「α1」방향에서 시인한다.
판정부(9)는, 화상 검지부(8)에 의해 검지된 시인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플러그 단자(30A)와 리셉터클 단자(50A)의 접속 상태를 판정한다. 시인 상태의 변화는, 시인창(45A)을 통하여 출몰할 수 있는 복수의, 여기에서는 합계 4개의, 시인부(65A)(65A-1, 65A-2)의 각각에 있어서 지시된다. 화상 검지부(8)는, 이들 모든 시인부(65A)의 각각에 대해서, 시인 상태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시인 상태의 변화는, 도 8, 도 9에 나타낸 2개의 상태간에 있어서의 변화, 즉, 시인창(45A)을 통하여 시인부(65A)가 보이는 상태와, 시인창(45A)을 통하여 시인부(65A)가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의 사이의 변화로서 파악할 수도 있지만, 추가로, 도 8에 나타낸 상태에만 있어서의 변화, 즉, 시인창(45A)을 통하여 시인부(65A)가 보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인부(65A)가 보이고 있는 정도나 그의 형상 등도 포함한, 변화하는 시인 상태의 변화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추가로 또한, 복수의 시인부(65A)의 각각에 있어서의 시인 상태의 변화의 비교 결과를, 시인 상태의 변화로서 파악해도 좋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2A)와 리셉터클 커넥터(4A)의 기울기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시인 상태의 변화의 상세한 분석에 의해, 판정부(9)에 의한 판정 결과에는, 접속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결과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접속 불량의 개소, 그의 정도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워맞춤의 완료 상태를 시인 가능하게 하고, 화상 검지를 이용하여, 끼워맞춤의 완료 상태를, 직관적,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를 맞닿음부와 맞닿음시키고 있지만,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부분을, 당해 맞닿음부와 맞닿음시킴으로써 시인 상태를 변화시켜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의 어느 부분을, 당해 맞닿음부와 맞닿음시킴으로써,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면 충분하다.
또한, 시인 상태를, 시인부의 물리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변화시키고 있지만, 맞닿음부에 있어서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고, 따라서,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크기, 형상, 모양, 또는 색채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시인 상태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시인 상태의 변화는, 기계적·구조적인 변화에 더하여, 전기적, 화학적인 변화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시인부의 형상을 단순한 4각 형상이 아니라, 3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또한, 모양이나 색채를 부여함으로써, 시인 상태의 변화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시인부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끼리가 접속하기 전에 시인 가능으로 해도 좋고, 또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끼리가 접속한 후에 시인 가능하게 해도 좋고, 또한, 단자끼리가 접속하는 전후의 쌍방에 있어서 시인 가능하게 해도 좋다. 단자끼리가 접속하는 전후의 쌍방에 있어서 시인 가능하게 한 경우라도, 맞닿음부에 있어서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고, 유저가 그러한 시인 상태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면, 단자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인부는, 단자끼리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추가로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인부를,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형성하고 있지만, 한쪽에만 형성해도 좋다. 단, 양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접속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인부를 짧은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2개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2개 형성할 필요는 없고, 1개만 형성해도 좋다. 단, 적어도 2개 형성한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를 끼워맞춤시킬 때에,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4)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상태로 끼워맞춤시켜 버린 경우라도, 그러한 기울기를 용이하게 판별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와 맞닿음되는 부분을 보강 금구로 했지만, 맞닿음과 단자의 접속 상태를 관련지을 수 있는 것이라면, 상대 커넥터의 어느 부분과 맞닿음시켜도 좋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며, 물품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단지 대표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 형태의 변형 및 수정이 전술의 교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 형태 그리고 대체적인 실시 형태는, 첨부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설명하는 물품 및 방법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다.
1 : 커넥터 장치
2 :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
3 : 기판
4 :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
20 : 플러그 하우징(제1 하우징)
22b : 단벽
30 : 플러그 단자(제1 단자)
40 : 리셉터클 하우징(제2 하우징)
43 : 끼워맞춤 오목부
45 : 시인창
50 : 리셉터클 단자(제2 단자)
60 : 시인 부재
63 : 맞닿음부
65 : 시인부

Claims (16)

  1. 기판 실장형의 제1 커넥터와 기판 실장형의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기판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면방향에 있어서 틀을 이루고 있는 둘레벽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한 제2 단자 및 시인(視認)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틀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시인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상기 맞닿음부와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인부의 일부가, 상기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외부에 시인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접속의 전(前)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에 있고, 상기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변화하거나,
    또는,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접속의 전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에 있고, 상기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가능한 상태로 변화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상태의 변화는, 위치, 크기, 형상, 모양, 또는 색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상기 맞닿음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시인부는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맞닿음을 통하여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하여 가동하고,
    상기 시인부는, 상기 가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커넥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긴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커넥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긴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상기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태로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부재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인 탄성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부재는, 실장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둘레벽을 덮는 덮개부를 추가로 갖는, 커넥터 장치.
  13. 커넥터 장치에 사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기판 실장형의 제1 커넥터와 기판 실장형의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기판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면방향에 있어서 틀을 이루고 있는 둘레벽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한 제2 단자 및 시인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틀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시인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상기 맞닿음부와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인부의 일부가, 상기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외부에 시인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시인 상태의 변화를 화상을 통하여 검지하는 화상 검지부와,
    상기 화상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상기 시인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상기 커넥터 장치에 이용하는 시스템.
  15. 커넥터 장치에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기판 실장형의 제1 커넥터와 기판 실장형의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기판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면방향에 있어서 틀을 이루고 있는 둘레벽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한 제2 단자 및 시인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틀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시인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접속의 전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적어도 일부와 상기 맞닿음부와의 맞닿음에 응답하여 시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인부의 일부가, 상기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외부에 시인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시인 상태의 변화를 화상을 통하여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검지된 상기 시인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상기 커넥터 장치에 이용하는 방법.
KR1020200090247A 2019-08-27 2020-07-21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KR102564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4422A JP7206169B2 (ja) 2019-08-27 2019-08-27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JP-P-2019-154422 201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76A KR20210025476A (ko) 2021-03-09
KR102564386B1 true KR102564386B1 (ko) 2023-08-04

Family

ID=7467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47A KR102564386B1 (ko) 2019-08-27 2020-07-21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8203B2 (ko)
JP (1) JP7206169B2 (ko)
KR (1) KR102564386B1 (ko)
CN (2) CN112448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6169B2 (ja) * 2019-08-27 2023-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220022094A (ko) * 2020-08-17 2022-02-2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접속 커넥터
JP1689504S (ko) * 2020-12-08 2021-07-12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617B2 (ja) * 1993-12-22 2000-09-25 大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複極式電解槽
JP2017199614A (ja) * 2016-04-28 2017-11-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検査装置、コネクタ嵌合検査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嵌合検査方法
JP2018078072A (ja) * 2016-11-11 2018-05-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3871A (ja) * 1990-10-26 1992-06-09 Nec Gumma Ltd コネクタ
JP3091617U (ja) 2002-07-24 2003-02-07 船井電機株式会社 映像音響機器のケーブルの接続状態表示構造及びケーブルの接続状態表示構造
JP2006344418A (ja) 2005-06-07 2006-12-21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携帯端末
JP5614549B2 (ja) * 2011-11-30 2014-10-29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端子接続装置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927703B2 (ja) * 2012-11-15 2016-06-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コネクタ
JP5809198B2 (ja) * 2013-06-10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771989B2 (ja) * 2016-08-09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207069118U (zh) *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7341651B2 (ja) * 2018-10-24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7206169B2 (ja) * 2019-08-27 2023-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617B2 (ja) * 1993-12-22 2000-09-25 大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複極式電解槽
JP2017199614A (ja) * 2016-04-28 2017-11-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検査装置、コネクタ嵌合検査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嵌合検査方法
JP2018078072A (ja) * 2016-11-11 2018-05-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34265A (ja) 2021-03-01
CN112448234A (zh) 2021-03-05
KR20210025476A (ko) 2021-03-09
CN212676539U (zh) 2021-03-09
JP7206169B2 (ja) 2023-01-17
US11258203B2 (en) 2022-02-22
US20210066854A1 (en) 2021-03-04
CN112448234B (zh)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386B1 (ko) 시인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5586395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3107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8801454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JP554702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80005B2 (ja) コネクタの嵌合状態を検査する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並びにコネクタを有する電気機器の組立方法
US20060040539A1 (en) Contact member for flat wiring member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TW201131909A (en) Connector
US9444166B2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4811002A (en) Relative positional relation detecting system
JP2002175519A (ja) 電気部品の検査方法、電気接続箱の検査装置及び端子金具の検査装置
CN101308966B (zh) 成套电路板连接器和将连接器安装至电路板的方法
JP6716271B2 (ja) アクセサリ用信号端子コネクタ、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アクセサリ
US11848520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JP6470074B2 (ja) コネクタ
US6037791A (en) Vision aided docking mechanism for semiconductor testers
CN110740607B (zh) 容纳装置和用于识别容纳装置中的元件载体的方法
JP4439945B2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の圧入状態検査装置及び圧入状態検査方法
JP7377335B2 (ja) コネクタ
JPH076592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検査装置
JPH1140268A (ja) コネクタ
JP4073557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3013890B2 (ja) コネクタの圧入浮き検査装置
JPH0982444A (ja) コネクタ検査器
JP5611100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