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742B1 -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742B1
KR102563742B1 KR1020220166468A KR20220166468A KR102563742B1 KR 102563742 B1 KR102563742 B1 KR 102563742B1 KR 1020220166468 A KR1020220166468 A KR 1020220166468A KR 20220166468 A KR20220166468 A KR 20220166468A KR 102563742 B1 KR102563742 B1 KR 10256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hole
lifting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to KR102022016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742B1/ko
Priority to US18/378,923 priority patent/US119823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7Handle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material, by special measures to obtain aesthetical effects, or by auxiliary functions, e.g.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표시하는“OPEN” 또는 “CLOSE”의 표시가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Angle valve with locking check function}
본 발명은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내부이동로(1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블레이드(200);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부(3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중앙측에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부(300)와 나사체결되는 승강가이드블럭(400);과,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제1 안착공간(5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공간(510)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는 제1 통공(520)이 타공형성되는 상부플랜지부(50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를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600); 및, 상기 핸들부(600)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게 되면 상승하여 “CLOSE”가 표시되는 개폐표시가이드부(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밸브는 진공펌프와 진공설비 사이의 배관 등에 설치되어 진공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밸브는 형태에 따라 핸들을 구성한 후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유입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앵글밸브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04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는 디스크를 밸브시트와 밀착 또는 이격시키기 위하여, 회전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도록 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과 같이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면에는 일방향치형부가 성형된 하부회전부재와 상기 상부회전부재의 일방향치형부와 동일한 형상의 일방향치형부를 저면에 구비하는 상부회전부재와 상기 하부회전부재가 상부회전부재와 결합하도록, 스템의 상단부와의 사이에서 하부회전부재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상부회전부재를, 하부회전부재를 사이에 두고, 스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방향치형부는, 각각의 치형의 일측면은 둔각을 가지고, 그 반대측면은 90도 이하의 예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부회전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하부회전부재를 일방향으로는 항상 회전시키고, 타방향으로는 일정함 힘 이상이 걸리면 헛돌게 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디스크가 밸브시트를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항상 일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의 정확한 단속은 물론이고 밸브시트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는 잠김상태에서 스템을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임의로 잠김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밸브의 잠금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OPEN” 또는 “CLOSE”의 표시가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된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는,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내부이동로(1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블레이드(200);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부(3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중앙측에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부(300)와 나사체결되는 승강가이드블럭(400);과,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제1 안착공간(5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공간(510)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는 제1 통공(520)이 타공형성되는 상부플랜지부(50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를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600); 및, 상기 핸들부(600)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게 되면 상승하여 “CLOSE”가 표시되는 개폐표시가이드부(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600)는, 상기 제1 안착공간(510)에 안착되되, 내측에 제2 안착공간(6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공간(611)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는 제2 통공(612)이 타공형성되며, 외주면에 걸림공(613)이 타공형성되는 걸림핀고정체(610)와, 상기 제2 안착공간(611) 내에 위치되되,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는 결합홈(621)이 함몰형성되고, 하부측 외주면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걸림핀이동공간(622)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에 결합돌기(623)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체(620)와,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 내에 위치하되,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623)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공(631)이 타공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공(613)에 걸려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632)가 돌출형성되는 걸림핀(630)과, 상기 결합돌기(623)에 감겨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제2 안착공간(51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핀(630)과 결합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532)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 스프링(640) 및, 내부에 분할플레이트(651)가 형성되어 상부에는 상기 개폐표시가이드부(700) 안착되는 상기 제3 안착공간(65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핀고정체(610) 및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를 감싸는 제4 안착공간(653)이 형성되는 손잡이부(6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플레이트(651)에는 복수개의 제1 승강핀통과공(654)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회전체(620)에는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승강핀통과공(624)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632)의 외측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고리형상의 걸쇠부(63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613)의 선단은 단턱구조로 형성되며, 말단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표시가이드부(700)는, 상기 제3 안착공간(652)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710)과, 상기 제3 안착공간(652)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롤러부(720)와, 상기 제2 스프링(710) 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승강핀통과공(731)이 타공형성되고, 중앙측에 상기 롤러부(720)가 통과되는 롤러통과공(732)이 타공형성되는 승강접시부(730)와, 선단은 상기 제3 승강핀통과공(73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 및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승강핀(740)과,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720)와 접촉되는 경사부(751)가 형성되고, 상부에 “OPEN” 및 “CLOSE”표시가 형성되는 표시부(750)와, 상부에 “OPEN” 또는 “CLOSE”의 표시가 나타나는 확인창(761)이 형성되는 커버부(760) 및 상기 표시부(750)의 일측과 상기 커버부(76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표시부(7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7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핀(740)은 메인몸체(741)와, 상기 메인몸체(741)의 상부에 상기 메인몸체(74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승강핀통과공(731)에 삽입되는 선단핀부(742)와, 상기 메인몸체(741)의 하부에 상기 메인몸체(74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에 삽입되는 말단핀부(743) 및, 상기 말단핀부(743)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걸림핀삽입홈(7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밸브의 잠금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OPEN” 또는 “CLOSE”의 표시가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측면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구성 중 커버부를 가압했을 때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8 및 도 9는 도 7 상태에서의 걸림핀, 걸림돌기 및 승강핀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구성 중 커버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 상태에서의 걸림핀, 걸림돌기 및 승강핀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의 구성 손잡이부를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배출구를 개방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1)는 크게, 본체부(100), 개폐블레이드(200), 샤프트부(300), 승강가이드블럭(400), 상부플랜지부(500), 핸들부(600) 및 개폐표시가이드부(7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명확하고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9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개방상태, 반시계방향을 폐쇄상태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체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펌프(미도시)와 챔버(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직각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연결되고, 후술할 개폐블레이드(200)가 위치되는 공간형태의 내부이동로(11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개폐블레이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내부이동로(110) 내에 위치하고, 후술할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후술할 핸들부(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후술할 상부플랜지(500)의 내측 하부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 사이에는 벨로우즈(800)를 더 형성함으로써, 공정부산물 등으로부터 상기 샤프트부(300)가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출구(130)의 폐쇄시 긴밀한 밀폐를 위해 오형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샤프트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샤프트부(300)는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 후술할 승강가이드블럭(400) 및 회전체(620)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것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샤프트부(3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승강가이드블럭(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다음으로, 승강가이드블럭(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블럭(400)은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플랜지부(500)의 내측 중앙측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300)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승강이드블럭(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샤프트부(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
다음으로, 상부플랜지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는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립 및 분해가 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 상기 승강가이드블럭(400), 벨로우즈(800)가 내설되고, 상부 내측에는 후술할 걸림핀고정체(610)가 안착되는 제1 안착공간(5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안착공간(510)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도록 제1 통공(520)이 타공형성된다.
다음으로, 핸들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들부(600)는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걸림핀고정체(610), 회전체(620), 걸림핀(630), 제1 스프링(640) 및 손잡이부(65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핀고정체(610)는 상기 제1 안착공간(510)에 안착되어 위치고정되고, 후술할 손잡이부(65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는 후술할 걸림핀(30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는 후술할 회전체(620)가 안착되도록 제2 안착공간(6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안착공간(611)의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어 상기 샤프트부(300)가 상기 회전체(620)에 결합되도록 제2 통공(612)이 타공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핀고정체(6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손잡이부(6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핀(630)이 후술할 결합돌기(62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핀(63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632)가 진입하여 상기 걸림핀(3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걸림공(613)이 타공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공(613)의 선단은 상기 손잡이부(650)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더라도 상기 걸림핀(630)이 회전되지 못하게 단턱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613)의 말단은 상기 손잡이부(6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공(613)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632)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620)는 상기 제2 안착공간(611)에 안착되고, 상기 손잡이부(650) 및 상기 샤프트부(300)와 같이 회전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체(620)의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도록 결합홈(621)이 함몰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체(620)의 하부측 외주면 둘레에는 내측방향으로 걸림핀이동공간(622)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걸림핀(630)이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돌기(623)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핀(630)이 상기 결합돌기(623)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돌기(62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체(620)에는 후술할 승강핀(740)이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제2 승강핀통과공(624)이 타공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은 후술할 제1 승강핀통과공(654) 및 제3 승강핀통과공(731)과 동일한 중심축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핀(630)은 상기 결합돌기(6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 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6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되면, 상기 걸림공(613)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능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승강핀(740)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핀(740)의 상승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회전체(6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강하게 되면, 상기 걸림공(613)과 접촉되어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승강핀(740)과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승강핀(740)의 상승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6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핀(740)과 접촉할 수 있는 면과 접촉되지 않는 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핀(630)에는 상기 결합돌기(623)와 힌지결합이 되도록 힌지공(631)이 타공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핀(630)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공(613)에 걸려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632)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632)의 외측면은 상기 회전체(6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632)가 상기 걸림공(613)의 말단을 타고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632)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공(613)의 선단에 긴밀하게 걸릴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걸쇠부(63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640)은 상기 결합돌기(623)에 감겨진 상태로 일측은 상기 제2 안착공간(51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핀(630)과 결합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532)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일종의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회전체(6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걸림공(613)에 상기 걸림돌기(632)가 위치하는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623)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핀(630)이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632)가 상기 걸림공(613)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스프링(640)은 후술할 제2 스프링(710)보다 큰 장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650)는 내부에 분할플레이트(651)가 형성되어 상부에는 상기 개폐표시가이드부(700) 안착되는 상기 제3 안착공간(65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핀고정체(610) 및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를 감싸는 제4 안착공간(653)이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분할플레이트(651)에는 상기 승강핀(740)이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제1 승강핀통과공(654)이 타공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 또한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 및 제3 승강핀통과공(731)과 동일한 중심축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개폐표시가이드부(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표시가이드부(700)는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핸들부(600)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게 되면 “CLOSE”가 표시되고,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하게 되면 “OPEN”가 표시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스프링(710), 롤러부(720), 승강접시부(730), 승강핀(740), 표시부(750) 및 커버부(7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스프링(710)은 상기 제3 안착공간(652)에 안착되어 후술할 승강접시부(7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부(720)는 상기 제3 안착공간(652)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접시부(730)의 상승 또는 하강 위치에 따라 후술할 표시부(75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접시부(730)는 상기 제3 안착공간(652)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710) 상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승강핀통과공(731)이 타공형성되어 상기 승강핀(740)의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승강접시부(730)의 중앙측에는 상기 롤러부(720)가 통과되도록 롤러통과공(732)이 타공형성된다.
또한, 승강접시부(730)의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스프링안착홈(733)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홈(733)에는 제3 스프링(770)이 내설된다. 이때, 상기 제3 스프링(770)은 상기 표시부(7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출구(130)가 폐쇄되어 후술할 확인창(761)에 “CLOSE”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접시부(730)를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 스프링(710)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핀(740)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3 스프링(770) 또한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750)가 상기 롤러부(720)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술할 확인창(761)에 “CLOSE” 표시에서“OPEN”표시로 바뀌게 된다.
상기 승강핀(740)은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선단은 상기 제3 승강핀통과공(73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 및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을 통과하여 상기 승강접시부(730)의 가압여부 또는 상기 제2 스프링(710)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성요소로서, 메인몸체(741)와, 상기 메인몸체(741)의 상부에 상기 메인몸체(74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승강핀통과공(731)에 삽입되는 선단핀부(742)와, 상기 메인몸체(741)의 하부에 상기 메인몸체(74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에 삽입되는 말단핀부(743) 및 상기 말단핀부(743)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걸림핀삽입홈(74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말단핀부(743)의 지름은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스프링(7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강접시부(730)가 상기 제3 안착공간(652)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한편, 상기 승강핀(740)은 평면상 3개가 구비되어 삼각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750)은 상기 승강접시부(73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구(130)의 개폐여부표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 “OPEN” 및 “CLOSE”표시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720)와 접촉되는 경사부(75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760)는 상기 승강접시부(730)의 상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부(760)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부(750)의 “OPEN” 또는 “CLOSE”의 표시가 나타나도록 확인창(761)이 타공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가 폐쇄상태에서 오픈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632)가 상기 걸림공(613)에 걸린 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핀(630)이 상기 걸림핀삽입홈(744)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며, 상기 커버부(760)의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확인창(761)에는 “CLOSE”의 표시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2, 3 스프링(710, 770)은 인장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확인창(761)에 “CLOSE”의 표시가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76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표시부(750)가 사선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확인창(761)에 “OPEN”의 표시가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핀(740)이 하강하여 상기 걸림핀삽입홈(744)이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3 스프링(710, 770)은 압축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60)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6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6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승하여 상기 걸림돌기(632)가 상기 걸림공(613)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핀(630)이 상기 걸림핀삽입홈(7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핀(630)의 수직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커버부(760)가 제2 스프링(71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지 않고 눌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출구(130)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6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6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제1 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핀(630)이 회전하여 상기 걸림돌기(632)가 상기 걸림공(613)에 걸린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핀(630)이 상기 걸림핀삽입홈(744)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상기 승강핀(740)의 수직이동 제한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2 스프링(7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강접시부(730)가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제3 스프링(7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표시부(750)가 상기 롤러부(720)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확인창(761)에 “CLOSE”의 표시가 노출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100: 본체부 110: 내부이동로
120: 인입구 130: 배출구
200: 개폐블레이드
300: 샤프트부
400: 승강가이드블럭
500: 상부플랜지부 510: 제1 안착공간
520: 제1 통공
600: 핸들부 610: 걸림핀고정체
611: 제2 안착공간 612: 제2 통공
613: 걸림공 620: 회전체
621: 결합홈 622: 걸림핀이동공간
623: 결합돌기 624: 제2 승강핀통과공
630: 걸림핀 631: 힌지공
632: 걸림돌기 633: 걸쇠부
640: 제1 스프링 650: 손잡이부
651: 분할플레이트 652: 제3 안착공간
653: 제4 안착공간 654: 제1 승강핀통과공
700: 개폐표시가이드부 710: 제2 스프링
720: 롤러부 730: 승강접시부
731: 제3 승강핀통과공 732: 롤러통과공
733: 스프링안착홈 740: 승강핀
741: 메인몸체 742: 선단핀부
743: 말단핀부 744: 걸림핀삽입홈
750: 표시부 751: 경사부
760: 커버부 761: 확인창
770: 제3 스프링
800: 벨로우즈

Claims (5)

  1. 삭제
  2.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내부이동로(1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블레이드(200);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중앙측에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부(300)와 나사체결되는 승강가이드블럭(4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제1 안착공간(5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공간(510)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는 제1 통공(520)이 타공형성되는 상부플랜지부(500);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를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600); 및
    상기 핸들부(600)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게 되면 상승하여 “CLOSE”가 표시되는 개폐표시가이드부(700);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600)는,
    상기 제1 안착공간(510)에 안착되되, 내측에 제2 안착공간(6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공간(611)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가 통과되는 제2 통공(612)이 타공형성되며, 외주면에 걸림공(613)이 타공형성되는 걸림핀고정체(610)와,
    상기 제2 안착공간(611) 내에 위치되되, 하부에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는 결합홈(621)이 함몰형성되고, 하부측 외주면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걸림핀이동공간(622)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에 결합돌기(623)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체(620)와,
    상기 걸림핀이동공간(622) 내에 위치하되,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623)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공(631)이 타공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공(613)에 걸려 상기 회전체(62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632)가 돌출형성되는 걸림핀(630)과,
    상기 결합돌기(623)에 감겨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제2 안착공간(61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핀(630)과 결합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632)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 스프링(640) 및,
    내부에 분할플레이트(651)가 형성되어 상부에는 상기 개폐표시가이드부(700) 안착되는 제3 안착공간(65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핀고정체(610) 및 상기 상부플랜지부(500)를 감싸는 제4 안착공간(653)이 형성되는 손잡이부(6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플레이트(651)에는 복수개의 제1 승강핀통과공(654)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회전체(620)에는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승강핀통과공(624)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표시가이드부(700)는,
    상기 제3 안착공간(652)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710)과,
    상기 제3 안착공간(652)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롤러부(720)와,
    상기 제2 스프링(710) 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승강핀통과공(731)이 타공형성되고, 중앙측에 상기 롤러부(720)가 통과되는 롤러통과공(732)이 타공형성되는 승강접시부(730)와,
    선단은 상기 제3 승강핀통과공(73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 및 상기 제1 승강핀통과공(654)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승강핀(740)과,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720)와 접촉되는 경사부(751)가 형성되고, 상부에 “OPEN” 및 “CLOSE”표시가 형성되는 표시부(750)와,
    상부에 “OPEN” 또는 “CLOSE”의 표시가 나타나는 확인창(761)이 형성되는 커버부(760) 및
    상기 표시부(750)의 일측과 상기 커버부(76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표시부(7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7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핀(740)은
    메인몸체(741)와,
    상기 메인몸체(741)의 상부에 상기 메인몸체(74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승강핀통과공(731)에 삽입되는 선단핀부(742)와,
    상기 메인몸체(741)의 하부에 상기 메인몸체(74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승강핀통과공(624)에 삽입되는 말단핀부(743) 및,
    상기 말단핀부(743)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걸림핀삽입홈(7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1).
KR1020220166468A 2022-12-02 2022-12-02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KR10256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468A KR102563742B1 (ko) 2022-12-02 2022-12-02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US18/378,923 US11982374B1 (en) 2022-12-02 2023-10-11 Angle valve with locking check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468A KR102563742B1 (ko) 2022-12-02 2022-12-02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742B1 true KR102563742B1 (ko) 2023-08-08

Family

ID=8756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468A KR102563742B1 (ko) 2022-12-02 2022-12-02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82374B1 (ko)
KR (1) KR102563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081A (ja) * 1994-12-13 1996-06-25 Komoda:Kk バルブ開閉用ハンドル
KR200235304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밸브 개폐장치
KR20120004596U (ko) * 2010-12-16 2012-06-26 (주)지에스티산업 풀림 방지용 밸브
KR20130087425A (ko) * 2012-01-27 2013-08-06 (주)제이엔비 개폐표시 및 록킹시스템을 구비한 앵글밸브
KR102241733B1 (ko) * 2020-03-02 2021-04-20 주식회사 에스알티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208A (en) * 1914-08-20 1915-05-11 John T Gorman Gas-cock.
US1266937A (en) * 1916-08-30 1918-05-21 Charles J Haselwander Safety attachment for valves.
US1343530A (en) * 1919-10-20 1920-06-15 Tallman Albert Romaine Gas-cock
US20050199292A1 (en) * 2004-03-10 2005-09-15 Stedman David W. Fluid device actuator with manual overrid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081A (ja) * 1994-12-13 1996-06-25 Komoda:Kk バルブ開閉用ハンドル
KR200235304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밸브 개폐장치
KR20120004596U (ko) * 2010-12-16 2012-06-26 (주)지에스티산업 풀림 방지용 밸브
KR20130087425A (ko) * 2012-01-27 2013-08-06 (주)제이엔비 개폐표시 및 록킹시스템을 구비한 앵글밸브
KR20130087340A (ko) * 2012-01-27 2013-08-06 (주)제이엔비 개폐표시 및 록킹 기능을 갖는 앵글밸브
KR102241733B1 (ko) * 2020-03-02 2021-04-20 주식회사 에스알티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2374B1 (en)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3742B1 (ko)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JP6580377B2 (ja) 施錠機構付きバルブと集積弁
US7926511B1 (en) Toilet fill valve with valve lock
US3720233A (en) Combination purge and regulating valve
US20240183462A1 (en) Angle valve with locking check function
KR102241733B1 (ko)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KR102525650B1 (ko)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KR20220122250A (ko) 누설 방지 성능이 향상된 플러그 밸브
KR102131911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EP3628900A1 (en) Sealing system for a valve
JP6703355B2 (ja) 排水栓装置
KR20220045986A (ko)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핸들을 갖는 가스 실린더 밸브
KR101142197B1 (ko) 버튼형 벨로우즈 밸브
KR101107785B1 (ko) 레버형 핸들을 갖는 벨로우즈 밸브
JPS6126689Y2 (ko)
CN205612274U (zh) 安全阀及具有其的烹饪器具
US2587947A (en) Arrangement for maintaining a closure in any of a plurality of open positions
KR20190093276A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JP2531181Y2 (ja) 過流出防止弁付きガスコック
KR102070416B1 (ko)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KR20080051996A (ko) 스톱밸브
JPS5841423Y2 (ja) ガスコツク
KR830000831Y1 (ko) 최대 액체 레벨 조정밸브
JPS5922368Y2 (ja) ガスコツク
TWM548742U (zh) 泵浦之逆止閥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