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650B1 -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650B1
KR102525650B1 KR1020210116296A KR20210116296A KR102525650B1 KR 102525650 B1 KR102525650 B1 KR 102525650B1 KR 1020210116296 A KR1020210116296 A KR 1020210116296A KR 20210116296 A KR20210116296 A KR 20210116296A KR 102525650 B1 KR102525650 B1 KR 10252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let
closing
handle
hand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387A (ko
Inventor
손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to KR102021011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6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밸브의 잠금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Angle valve with locking check function}
본 발명은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플렌지부(100);와, 상기 내부이동로(1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블레이드(200);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부(300);와, 상기 플렌지부(100)의 내측에 고정되되, 상기 샤프트부(300)와 나사체결되는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과, 상기 샤프트부(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결합되되, 상부에 확인창(601)이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600); 및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상기 핸들부(6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되고,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된 상태로 하강하며,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는 개폐표시블럭(7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밸브는 진공펌프와 진공설비 사이의 배관 등에 설치되어 진공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밸브는 형태에 따라 핸들을 구성한 후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유입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앵글밸브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04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는 디스크를 밸브시트와 밀착 또는 이격시키기 위하여, 회전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도록 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과 같이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면에는 일방향치형부가 성형된 하부회전부재와 상기 상부회전부재의 일방향치형부와 동일한 형상의 일방향치형부를 저면에 구비하는 상부회전부재와 상기 하부회전부재가 상부회전부재와 결합하도록, 스템의 상단부와의 사이에서 하부회전부재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상부회전부재를, 하부회전부재를 사이에 두고, 스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방향치형부는, 각각의 치형의 일측면은 둔각을 가지고, 그 반대측면은 90도 이하의 예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부회전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하부회전부재를 일방향으로는 항상 회전시키고, 타방향으로는 일정함 힘 이상이 걸리면 헛돌게 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디스크가 밸브시트를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항상 일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의 정확한 단속은 물론이고 밸브시트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는 잠김상태에서 스템을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임의로 잠김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밸브의 잠금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는,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플렌지부(100);와, 상기 내부이동로(1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블레이드(200);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부(300);와, 상기 플렌지부(100)의 내측에 고정되되, 상기 샤프트부(300)와 나사체결되는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과, 상기 샤프트부(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결합되되, 상부에 확인창(601)이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600); 및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상기 핸들부(6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되고,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된 상태로 하강하며,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는 개폐표시블럭(7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좌, 우 회전돌기(610, 62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 우 이동로(710, 720) 및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 하 걸림턱(730, 74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삽입홈(750)이 수직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삽입홈(750)에는 탄성부재(760)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상부와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 상부 사이에는 소정 높이(H)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탄성부재(76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링(7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60)는 인장상태가 되고, 상기 가압링(770)은 상기 탄성부재(760)의 인장력을 제공받아 상기 핸들부(600)를 가압하며,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표시블럭(700)는 상기 플렌지부(100)의 상단에 맞닿아 지지되기 전까지 상기 핸들부(600)와 같이 회전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이 상기 플렌지부(100)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 및 수직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부재(760)는 압축상태가 되고, 상기 공간의 높이(H)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면서 상기 배출구(130)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밸브의 잠금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개방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개방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및 핸들부, 개폐표시블럭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폐쇄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폐쇄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및 핸들부, 개폐표시블럭의 저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는 크게, 플렌지부(100), 개폐블레이드(200), 샤프트부(300),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 핸들가이드블럭(500), 핸들부(600) 및 개폐표시블럭(700)으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명확하고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의 (a)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폐쇄상태, 반시계방향을 개방상태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플렌지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플렌지부(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펌프(미도시)와 챔버(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본체로서,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직각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플렌지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연결되고, 후술할 개폐블레이드(200)가 위치되는 공간형태의 내부이동로(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렌지부(100)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 하 플렌지(101, 102)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개폐블레이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내부이동로(110) 내에 위치하고, 후술할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후술할 핸들부(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상 플렌지(101)의 하부와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 사이에는 벨로우즈(800)를 더 형성함으로써, 공정부산물 등으로부터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개폐블레이드(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출구(130)의 폐쇄시 긴밀한 밀폐를 위해 오형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샤프트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샤프트부(3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 후술할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 및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것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샤프트부(3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다음으로,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플랜지부(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 플렌지(101)의 내부 중앙에 연결피스 등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부(300)의 수직이동을 안내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샤프트부(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
다음으로, 핸들가이드블럭(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는 후술할 개폐표시블럭(7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600)와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샤프트부(300)와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부(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핸들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들부(6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확인창(601),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을 포함한다.
상기 확인창(601)은 상기 핸들부(600)의 상부면에 소정의 크기로 통공형성된 일종의 구멍으로서, 상기 배출구(130)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에 표시된 “OPEN” 또는 “CLOSE”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은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한 상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는 상기 핸들부(600)의 회전에 의해 후술할 좌, 우 이동로(710, 720)를 따라 각각 이동하여 상기 확인창(601)에 “OPEN” 또는 “CLOSE”표시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후술할 상, 하 걸림턱(730, 74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부(600)가 회전하는 상황에서도 상기 확인창(601)에 “OPEN” 또는 “CLOSE”표시가 고정된 상태로 위치시켜 줄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개폐표시블럭(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상기 핸들부(6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되고,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된 상태로 하강하며,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좌, 우 이동로(710, 720), 상, 하 걸림턱(730, 740), 삽입홈(750), 탄성부재(760) 및 가압링(770)을 포함한다.
상기 좌, 우 이동로(710, 720)는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외측면에 대칭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상기 핸들부(6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좌 이동로(710)는 상기 좌 회전돌기(610)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우 이동로(720)는 상기 우 회전돌기(620)의 이동을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 하 걸림턱(730)은 상기 좌, 우 이동로(710, 720)의 상단 및 하단쪽에 각각 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좌 회전돌기(610)는 상기 상 걸림턱(730)에, 상기 우 회전돌기(620)는 상기 하 걸림턱(740)에 각각 맞닿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되고,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좌 회전돌기(610)는 상기 하 걸림턱(740)에, 상기 우 회전돌기(620)는 상기 상 걸림턱(730)에 각각 맞닿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삽입홈(750)은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내측에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삽입홈(750)에는 후술할 탄성부재(760)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760)는 각각의 상기 삽입홈(750)에 삽입되는 일종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배출구(130)의 개폐상태에 따라 인장력을 통해 후술할 가압링(770) 및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을 서로 반대의 수직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760)와 상기 가압링(770) 사이에는 원활한 작동을 위해 베어링(78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링(770)은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상부와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소정 높이(H)를 가지는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부재(760)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탄성부재(760)가 인장상태인 경우, 인장력을 제공받아 상기 핸들부(600)를 가압하여 조작상황에 따라 상기 핸들부(600)와 같이 회전 및 하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배출구(130)를 폐쇄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출구(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확인창(601)에는 “OPEN”이 표시되고, 상기 좌 회전돌기(610)는 상기 상 걸림턱(730)에, 상기 우 회전돌기(620)는 상기 하 걸림턱(740)에 각각 맞닿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60)는 인장상태로서 인장력에 의해 상기 가압링(770)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부(600)을 상 방향으로 밀어주는 동시에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은 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의 인장력은 상기 핸들부(600)가 회전시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으로부터 별도로 회전되지 않고 같이 회전할 수 있는 크기의 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760)의 인장력에 의해 결합된 상기 핸들부(600), 개폐표시블럭(700) 및 핸들가이드블럭(500)이 같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개폐표시블럭(700)가 상기 플렌지부(100), 자세하게는 상 플렌지(101)의 상단에 맞닿아 지지되기 전까지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된 상태로 하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상부와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 상부 사이에 형성된 최초의 높이(H)를 유지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하강시켜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600), 개폐표시블럭(700) 및 핸들가이드블럭(500)이 같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부(300)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이 상기 플렌지부(100), 자세하게는 상 플렌지(101)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는 상기 배출구(130)를 일정 밀폐된 상태로 폐쇄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이 상기 플렌지부(100), 자세하게는 상 플렌지(101)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 및 수직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부재(760)는 압축상태가 되면서 상기 공간의 최초 높이(H)가 h만큼 줄어들게 되고, 상기 좌 회전돌기(610)는 상기 상 걸림턱(730)에서 상기 좌 이동로(710)를 따라 상기 하 걸림턱(740)으로 이동되어 위치고정, 상기 우 회전돌기(620)는 상기 하 걸림턱(740)에서 상기 우 이동로(720)를 따라 상기 상 걸림턱(730)으로 이동되어 위치고정됨으로써,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면서 h만큼 상기 샤프트부(300) 및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하강하여 상기 배출구(130)가 긴밀한 상태로 폐쇄된다.
상기 배출구(130)의 개방과정은 폐쇄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100: 플렌지부
101: 상 플렌지 102: 하 플렌지
110: 내부이동로 120: 인입구
130: 배출구
200: 개폐블레이드
300: 샤프트부
400: 수직이동가이드블럭
500: 핸들가이드블럭
600: 핸들부
601: 확인창
610: 좌 회전돌기 620: 우 회전돌기
700: 개폐표시블럭
710: 좌 이동로 720: 우 이동로
730: 상 걸림턱 740: 하 걸림턱
750: 삽입홈 760: 탄성부재
770: 가압링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플렌지부(100);
    상기 내부이동로(1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블레이드(200);
    상기 개폐블레이드(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부(300);
    상기 플렌지부(100)의 내측에 고정되되, 상기 샤프트부(300)와 나사체결되는 수직이동가이드블럭(400);
    상기 샤프트부(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핸들가이드블럭(500);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결합되되, 상부에 확인창(601)이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블레이드(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600); 및
    상기 핸들가이드블럭(500)과 상기 핸들부(6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되고,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확인창(601)에 “OPEN”이 표시된 상태로 하강하며, 상기 개폐블레이드(2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는 개폐표시블럭(7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좌, 우 회전돌기(610, 62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 우 이동로(710, 720) 및 상기 좌, 우 회전돌기(610, 6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 하 걸림턱(730, 74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삽입홈(750)이 수직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삽입홈(750)에는 탄성부재(760)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의 상부와 상기 핸들부(600)의 내측 상부 사이에는 소정 높이(H)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탄성부재(76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링(7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60)는 인장상태가 되고,
    상기 가압링(770)은 상기 탄성부재(760)의 인장력을 제공받아 상기 핸들부(600)를 가압하며,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표시블럭(700)는 상기 플렌지부(100)의 상단에 맞닿아 지지되기 전까지 상기 핸들부(600)와 같이 회전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표시블럭(700)이 상기 플렌지부(100)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 및 수직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60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부재(760)는 압축상태가 되고, 상기 공간의 높이(H)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확인창(601)에 “CLOSE”가 표시되면서 상기 배출구(130)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KR1020210116296A 2021-09-01 2021-09-01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KR10252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296A KR102525650B1 (ko) 2021-09-01 2021-09-01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296A KR102525650B1 (ko) 2021-09-01 2021-09-01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87A KR20230033387A (ko) 2023-03-08
KR102525650B1 true KR102525650B1 (ko) 2023-04-25

Family

ID=8550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296A KR102525650B1 (ko) 2021-09-01 2021-09-01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6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658B1 (ko) * 2010-07-26 2012-07-12 (주)제이엔비이엔지 반도체 제조설비의 진공압 측정용 앵글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442U (ko) * 1975-05-02 1976-11-10
KR200235304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밸브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658B1 (ko) * 2010-07-26 2012-07-12 (주)제이엔비이엔지 반도체 제조설비의 진공압 측정용 앵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87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045B1 (ko) 게이트 밸브
EP0247347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JP6326458B2 (ja) 両方向ゲートバルブ
US10795381B2 (en) Flow-rate adjustable valve
KR102525650B1 (ko)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US5398725A (en) Flow control device
US20160091111A1 (en) Lock Device and Valve Device
US20140034856A1 (en) Pneumatic control valv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0388434Y1 (ko) 핸들 스톱퍼가 구비된 개폐밸브
KR102241733B1 (ko)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US20110114091A1 (en) Tee connector for supplying aerosol
KR101118271B1 (ko) 벨로우즈 글로브 밸브
KR102563742B1 (ko)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KR102375630B1 (ko) 로크아웃 표지 장치 및 밸브
US11982374B1 (en) Angle valve with locking check function
KR20220045986A (ko)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핸들을 갖는 가스 실린더 밸브
US10883612B2 (en) Control valve having hollow piston for controlling flow of fluid
KR101142197B1 (ko) 버튼형 벨로우즈 밸브
KR102593229B1 (ko) 매니폴드 모듈화용 3웨이밸브
KR200409572Y1 (ko) 밸브의 스톱퍼 구조
KR102011931B1 (ko) 게이트밸브
US1097441A (en) Gas-cock-operating device.
KR102048484B1 (ko) 퓨즈콕
JP4377556B2 (ja) 電動流量制御弁
KR200264338Y1 (ko) 파이프용 슬라이드식 차단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