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733B1 -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733B1
KR102241733B1 KR1020200026001A KR20200026001A KR102241733B1 KR 102241733 B1 KR102241733 B1 KR 102241733B1 KR 1020200026001 A KR1020200026001 A KR 1020200026001A KR 20200026001 A KR20200026001 A KR 20200026001A KR 102241733 B1 KR102241733 B1 KR 10224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rotrusion
valve
shaft
val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to KR102020002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밸브의 오픈상태 또는 잠금상태에서 공정에 따른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샤프트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의 정확성,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Angle valve with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앵글밸브의 오픈상태 또는 잠금상태에서 공정에 따른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샤프트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의 정확성,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글밸브는 진공펌프와 진공설비 사이의 배관 등에 설치되어 진공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앵글밸브는 형태에 따라 핸들을 구성한 후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유입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앵글밸브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04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는 디스크를 밸브시트와 밀착 또는 이격시키기 위하여, 회전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도록 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과 같이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면에는 일방향치형부가 성형된 하부회전부재와 상기 상부회전부재의 일방향치형부와 동일한 형상의 일방향치형부를 저면에 구비하는 상부회전부재와 상기 하부회전부재가 상부회전부재와 결합하도록, 스템의 상단부와의 사이에서 하부회전부재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상부회전부재를, 하부회전부재를 사이에 두고, 스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방향치형부는, 각각의 치형의 일측면은 둔각을 가지고, 그 반대측면은 90도 이하의 예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부회전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하부회전부재를 일방향으로는 항상 회전시키고, 타방향으로는 일정함 힘 이상이 걸리면 헛돌게 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디스크가 밸브시트를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항상 일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의 정확한 단속은 물론이고 밸브시트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개폐장치”는 잠김상태에서 스템을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임의로 잠김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앵글밸브의 오픈상태 또는 잠금상태에서 공정에 따른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샤프트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의 정확성,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부재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밸브하우징의 3면에 개폐표식부를 구성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작업자가 앵글밸브의 오픈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는,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100);과, 상기 밸브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중앙에 축삽입공(210)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축삽입공(210)의 하부 내측면에 제1 나사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공(210)의 상부에 상기 축삽입공(2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스토퍼안착부(230)를 포함하는 밸브블럭(200);과, 상기 축삽입공(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되, 상부 외측면에 기어톱니(311)를 포함하는 기어부(310)가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부(220)와 맞물리는 제2 나사산부(320)가 형성되는 샤프트부재(300);와,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블레이드(400);와, 상기 밸브블럭(2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되, 상부는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위치되는 스위치부재(500);와,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부(310)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500)는, 상부 후면측에 눌림홈(510)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눌림홈(510)에 상기 스토퍼부재(600)를 가압하는 눌림돌기(520)가 형성되며, 상기 눌림돌기(520)와 상기 눌림홈(510) 사이에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스토퍼부재(600)를 가압하는 위치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탄성부재(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600)는, 중앙에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축부(610)가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제1, 2 가압면부(620, 630)가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제1, 2 가압면부(620, 630)는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눌림돌기(520)와 맞닿도록 연결되며, 후면 일측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진 제1 걸림돌기(640)가 돌출형성되고, 후면 타측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진 제2 걸림돌기(6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톱니(311)는 상기 제1, 2 걸림돌기(640, 65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1 가압면부(62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사이에 상기 제1 걸림돌기(640)가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반시계방향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2 가압면부(63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사이에 상기 제2 걸림돌기(650)가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핸들부재(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블럭(200)은 상부밸브블럭(201)과 하부밸브블럭(2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의 후면측, 일측 및 타측에는 표시창(24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의 내측에는 연결공(250)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상기 하부밸브블럭(202)의 내측에는 상기 표시창(240)의 위치에 맞춰 안착홈(260)이 각각 함몰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안착홈(260)에는 CLOSE / OPEN이 표시된 개폐표식부(270)가 각각 위치되며, 각각의 상기 개폐표식부(270)에는 각각의 상기 연결공(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700)의 하부와 맞닿는 가이드봉(28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250)에는 상기 핸들부재(7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280)이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창(240)에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CLOSE 또는 OPEN이 표시되도록 제2 탄성부재(2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블럭(200)의 하부와 상기 블레이드(400)의 상부 사이에는 벨로우즈(8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앵글밸브의 오픈상태 또는 잠금상태에서 공정에 따른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샤프트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의 정확성,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부재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밸브하우징의 3면에 개폐표식부를 구성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작업자가 앵글밸브의 오픈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구성 중 샤프트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및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구성 중 샤프트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및 부분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는 크게, 밸브하우징(100), 밸브블럭(200), 샤프트부재(300), 블레이드(400), 스위치부재(500) 및 스토퍼부재(6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명확하고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을 일측, 우측을 타측, 윗쪽을 전면측, 아래쪽을 후면측으로 설정하고, 도 4를 기준으로 윗쪽을 상방향, 아래쪽을 하방향으로 설정하며, 일부 도면은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도시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시계방향을 폐쇄상태, 반시계방향을 개방상태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밸브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하우징(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펌프(미도시)와 진공설비(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본체로서,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직각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밸브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연결되고, 후술할 블레이드(400)가 위치되는 공간형태의 내부이동로(11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밸브블럭(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블럭(2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밸브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샤프트부재(300)의 회전에 의한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하고, 후술할 스위치부재(500) 및 스토퍼부재(600)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작업 및 조립의 편의에 따라 반으로 구분하여 상부밸브블럭(201) 및 하부밸브블럭(202)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밸브블럭(200)은 축삽입공(210), 제1 나사산부(220), 스토퍼안착부(230), 표시창(240), 연결공(250), 안착홈(260), 개폐표식부(270), 가이드봉(280) 및 제2 탄성부재(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축삽입공(210)은 상기 밸브블럭(200)의 중앙 수직방향에 통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샤프트부재(30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나사산부(220)는 상기 밸브블럭(200)의 하부,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밸브블럭(202)에 타공형성된 상기 축삽입공(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일종의 나사산으로서, 후술할 샤프트부재(300)의 제2 나사산부(220)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재(30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스토퍼안착부(230)는 상기 밸브블럭(200)의 상부,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에 타공형성된 상기 축삽입공(210)의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공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후술할 스토퍼부재(600) 및 스위치부재(500)의 상부가 위치된다.
상기 표시창(240)은 상기 밸브블럭(200)의 상부,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의 전면측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면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개폐표식부(270)의 CLOSE / OPEN 표시가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표시창(240)이 형성된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의 내측은 상부방향으로 더 함몰되어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CLOSE / OPEN가 표시되어 있는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상, 하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연결공(250)은 상기 표시창(240)과 연결된 상기 공간에 상방향으로 타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개폐표식부(270)와 연결되는 후술할 가이드봉(280)이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들부재(700)의 하부와 상기 가이드봉(280)의 상부가 맞닿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안착홈(260)은 상기 밸브블럭(200)의 하부,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밸브블럭(202)의 내측에 상기 표시창(240)과 연결된 상기 공간에 맞춰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개폐표식부(270)가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개폐표식부(270)는 수직방향으로 CLOSE / OPEN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상기 안착홈(260)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개폐표시부(270)가 상기 안착홈(2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CLOSE 표시가 상기 표시창(24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개폐표시부(270)가 상기 안착홈(260)을 이탈하여 상기 표시창(240)과 연결된 상기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OPEN 표시가 상기 표시창(24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가이드봉(280)은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축으로서, 각각의 상기 연결공(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연결공(250)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핸들부재(700)의 하부와 맞닿게 구성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290)는 상기 연결공(25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28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핸들부재(7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280)에 가압이 이루어지거나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창(240)에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CLOSE 또는 OPEN이 표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7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후술할 블레이드(400)가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는 상태가 되고, 이 경우, 상기 가이드봉(280)은 상기 핸들부재(700)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CLOSE 표시가 상기 표시창(240)에 노출되고, 반대로 상기 핸들부재(7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400)가 상기 배출구(130)를 개방하는 상태가 되고, 이 경우, 상기 가이드봉(280)은 상기 핸들부재(700)에 의해 가압이 해제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OPENE 표시가 상기 표시창(240)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샤프트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샤프트부재(3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축삽입공(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400)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기어부(310), 제2 나사산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부(310)는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상부 외측면. 상세하게는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일종의 기어로서,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와 맞물리는 기어톱니(3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톱니(311)는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면상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기 기어톱니(311)의 기어돌기 높이(h)는 후술할 제1 걸림돌기(640) 또는 제2 걸림돌기(650)의 폭(d, d`)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걸림돌기(640) 또는 제2 걸림돌기(650)가 상기 기어톱니(311)를 원활하게 넘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나사산부(320)는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일종의 나사산으로서, 상기 제1 나사산부(220)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상기 제1 나사산부(220)를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블레이드(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블레이드(4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밸브블럭(200)의 하부와 상기 블레이드(400)의 상부 사이에는 벨로우즈(800)를 더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부재(300) 및 상기 밸브블럭(200) 내부를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스위치부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위치부재(500)는 도 2,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밸브블럭(200)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조작버튼으로서,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가압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부재(500)는 눌림홈(510), 눌림돌기(520) 및 제1 탄성부재(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눌림홈(510)은 상기 스위치부재(300)의 상부 후면측에 함몰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후술할 눌림돌기(520) 및 제1 탄성부재(530)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눌림홈(510)은 상기 눌림돌기(520)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눌림돌기(520)는 상기 눌림홈(51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스위치부재(60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530)는 상기 눌림돌기(520)와 상기 눌림홈(510) 사이에 구비되는 일종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상, 하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눌림돌기(520)의 상기 스토퍼부재(600)를 가압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눌려지는 면(전면)을 따라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가압 위치에 원활하게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가압 위치(후술할 제1 가압면부(620) 또는 제2 가압면부(630))에 있는 상태에서 CLOSE 또는 OPEN을 위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구조상 상기 기어톱니(311)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600)가 후술할 회전축부(610)를 중심으로 전면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눌림돌기(520) 또한 전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스토퍼부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부재(600)는 도 2,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힌지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움직여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부(310)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토퍼부재(600)는 회전축부(610), 제1 가압면부(620), 제2 가압면부(630), 제1 걸림돌기(640) 및 제2 걸림돌기(6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부(610)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가로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축부(610)를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부재(600)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전면측은 전면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제1, 2 가압면부(620, 6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압면부(620)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전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재(500)가 아래쪽을 향할 때 상기 눌림돌기(520)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눌림돌기(520)에 의해 상기 제1 가압면부(620)가 지지됨에 따라 후술할 제1 걸림돌기(640)가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압면부(630)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전면측 상부에 상기 제1 가압면부(62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재(500)가 윗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눌림돌기(520)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눌림돌기(520)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면부(630)가 지지됨에 따라 후술할 제2 걸림돌기(650)가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1 걸림돌기(640)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후면 일측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눌림돌기(520)가 제1 가압면부(620)를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걸림돌기(640)의 후면 하부가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눌림돌기(520)가 제1 가압면부(62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제2 걸림돌기(650)는 상기 제1 걸림돌기(650)와 반대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스토퍼부재(600)의 후면 타측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눌림돌기(520)가 제2 가압면부(630)를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걸림돌기(650)의 후면 상부가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눌림돌기(520)가 제2 가압면부(63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1 가압면부(62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사이에 상기 제1 걸림돌기(640)가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반시계방향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2 가압면부(63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사이에 상기 제2 걸림돌기(650)가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임의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구성하여 작동의 정확성과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의 밀폐시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출구(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400)에 의해 상기 배출구(130)를 폐쇄하기 위해 먼저,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위치부재(500)를 아랫쪽으로 내려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1 가압면부(620)를 가압한 상태를 만든다. 이로 인하여, 제1 걸림돌기(640)는 상기 기어톱니(3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핸들부재(7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샤프트부재(300)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의 상기 기어톱니(311)는 상기 제1 걸림돌기(640)의 경사면에 걸쳐지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의 상기 기어톱니(311)는 상기 제1 걸림돌기(640)의 측면에 맞닿게 된다.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의 상기 기어톱니(311)는 상기 제1 걸림돌기(640)를 전방측으로 밀어 넘어가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의 상기 기어톱니(311)는 상기 제1 걸림돌기(640)의 측면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돌기(640)는 상기 회전축부(610)의 회전구조 및 상기 눌림돌기(520)에 결합된 상기 제1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핸들부재(300)를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00)가 상기 배출구(130)를 밀폐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핸들부재(300)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280)이 눌려져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표시창(240)에는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CLOSE 표시가 노출된다.
한편, 앵글밸브(1)의 개방 작동과정은 밀폐 작동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100: 밸브하우징 110: 내부이동로
120: 인입구 130: 배출구
200: 밸브블럭 201: 상부밸브블럭
202: 하부밸브블럭 210: 축삽입공
220: 제1 나사산부 230: 스토퍼안착부
240: 표시창 250: 연결공
260: 안착홈 270: 개폐표식부
280: 가이드봉 290: 제2 탄성부재
300: 샤프트부재 310: 기어부
311: 기어톱니 320: 제2 나사산부
400: 블레이드
500: 스위치부재 510: 눌림홈
520: 눌림돌기 530: 제1 탄성부재
600: 스토퍼부재 610: 회전축부
620: 제1 가압면부 630: 제2 가압면부
640: 제1 걸림돌기 650: 제2 걸림돌기
700: 핸들부재
800: 벨로우즈

Claims (8)

  1. 내부이동로(110) 및 인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100);
    상기 밸브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중앙에 축삽입공(210)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축삽입공(210)의 하부 내측면에 제1 나사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공(210)의 상부에 상기 축삽입공(2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스토퍼안착부(230)를 포함하는 밸브블럭(200);
    상기 축삽입공(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되, 상부 외측면에 기어톱니(311)를 포함하는 기어부(310)가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부(220)와 맞물리는 제2 나사산부(320)가 형성되는 샤프트부재(300);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30)를 개폐하는 블레이드(400);
    상기 밸브블럭(2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되, 상부는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위치되는 스위치부재(500);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부(310)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500)는,
    상부 후면측에 눌림홈(510)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눌림홈(510)에 상기 스토퍼부재(600)를 가압하는 눌림돌기(520)가 형성되며,
    상기 눌림돌기(520)와 상기 눌림홈(510) 사이에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스토퍼부재(600)를 가압하는 위치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탄성부재(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600)는,
    중앙에 상기 스토퍼안착부(230)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축부(610)가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제1, 2 가압면부(620, 630)가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제1, 2 가압면부(620, 630)는 상기 스위치부재(5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눌림돌기(520)와 맞닿도록 연결되며,
    후면 일측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진 제1 걸림돌기(640)가 돌출형성되고,
    후면 타측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진 제2 걸림돌기(6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톱니(311)의 기어돌기 높이(h)는 상기 제1, 2 걸림돌기(640, 650)의 폭(d, d`)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1 가압면부(62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사이에 상기 제1 걸림돌기(640)가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반시계방향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눌림돌기(520)가 상기 제2 가압면부(63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톱니(311)사이에 상기 제2 걸림돌기(650)가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0)가 시계방향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핸들부재(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럭(200)은 상부밸브블럭(201)과 하부밸브블럭(2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의 후면측, 일측 및 타측에는 표시창(24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밸브블럭(201)의 내측에는 연결공(250)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상기 하부밸브블럭(202)의 내측에는 상기 표시창(240)의 위치에 맞춰 안착홈(260)이 각각 함몰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안착홈(260)에는 CLOSE / OPEN이 표시된 개폐표식부(270)가 각각 위치되며,
    각각의 상기 개폐표식부(270)에는 각각의 상기 연결공(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700)의 하부와 맞닿는 가이드봉(28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250)에는 상기 핸들부재(7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280)이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창(240)에 상기 개폐표식부(270)의 CLOSE 또는 OPEN이 표시되도록 제2 탄성부재(2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럭(200)의 하부와 상기 블레이드(400)의 상부 사이에는 벨로우즈(8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1).



KR1020200026001A 2020-03-02 2020-03-02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KR10224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001A KR102241733B1 (ko) 2020-03-02 2020-03-02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001A KR102241733B1 (ko) 2020-03-02 2020-03-02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733B1 true KR102241733B1 (ko) 2021-04-20

Family

ID=7574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001A KR102241733B1 (ko) 2020-03-02 2020-03-02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742B1 (ko) * 2022-12-02 2023-08-08 주식회사 에스알티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76U (ja) * 1992-03-13 1993-10-15 株式会社大東バルブ製作所 バルブ
KR200235304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밸브 개폐장치
KR20150007659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스톱 밸브
KR101525113B1 (ko) * 2013-12-16 2015-06-10 (주)와이즈산전 진공밸브
KR20180005788A (ko) * 2016-07-06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76U (ja) * 1992-03-13 1993-10-15 株式会社大東バルブ製作所 バルブ
KR200235304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밸브 개폐장치
KR20150007659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스톱 밸브
KR101525113B1 (ko) * 2013-12-16 2015-06-10 (주)와이즈산전 진공밸브
KR20180005788A (ko) * 2016-07-06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742B1 (ko) * 2022-12-02 2023-08-08 주식회사 에스알티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733B1 (ko) 락킹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US6042083A (en) Butterfly valve
JP7215912B2 (ja) ハンドレバー
JP6580377B2 (ja) 施錠機構付きバルブと集積弁
KR19990077463A (ko) 덮개부재의개폐구조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102525650B1 (ko) 락킹 확인 기능이 포함된 앵글밸브
CN107917203A (zh) 蝶阀
US20220282795A1 (en) Rocker-arm-type Graded Faucet and Valve Element Thereof
KR102563742B1 (ko) 락킹 확인 기능을 포함한 앵글밸브
CN216045497U (zh) 一种蝶阀
JP6703355B2 (ja) 排水栓装置
KR20220045986A (ko)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핸들을 갖는 가스 실린더 밸브
KR102494843B1 (ko) 가스미터의 역류차단장치
JPH0821543A (ja) 水栓におけるディスク弁体のシール構造
JP4696298B2 (ja) 流体用ディスペンサー
JP4053118B2 (ja) トグル型手動弁
KR200402525Y1 (ko) 밸브 봉인장치
JP3592820B2 (ja)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US20240183462A1 (en) Angle valve with locking check function
KR20070020633A (ko) 밸브 봉인장치
JP2964301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のヘッドケースの取付構造
JP2531627Y2 (ja) ガスコック
TWM570353U (zh)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tructure of valve type locomotive throttle valve
KR100696706B1 (ko) 벨로우즈 앵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