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525Y1 - 밸브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525Y1
KR200402525Y1 KR20-2005-0025427U KR20050025427U KR200402525Y1 KR 200402525 Y1 KR200402525 Y1 KR 200402525Y1 KR 20050025427 U KR20050025427 U KR 20050025427U KR 200402525 Y1 KR200402525 Y1 KR 200402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otrusion
valve
piec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록
조헌상
Original Assignee
서정록
조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록, 조헌상 filed Critical 서정록
Priority to KR20-2005-0025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나 기체가 이동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액체나 기체를 개폐시키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잠겨진 밸브를 타인이 쉽게 개방시킬 수 없도록 봉인하는 밸브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중앙이 관통된 볼이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에 스토퍼가 둘레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회전축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하여 회전축에 개방돌출편과 폐쇄돌출편이 형성된 레버를 너트로 고정하여 레버에 의해서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볼이 배관을 개폐시키는 밸브에 있어서;
레버의 개방돌출편과 폐쇄돌출편의 사이에는 돌출부의 스토퍼 안쪽에서 회전되는 레버고정편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레버를 돌려 밸브를 잠그고 레버를 고정하는 너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레버를 뒤집어 회전축에 고정하면 레버고정편의 단부가 하향으로 형성되면서 돌출부의 하부로 향하면서 폐쇄돌출편과 레버고정편의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놓여지며, 레버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에는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레버를 회전축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봉인장치{A valve sealing device}
본 고안은 액체나 기체가 이동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액체나 기체를 개폐시키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잠겨진 밸브를 타인이 쉽게 개방시킬 수 없도록 봉인하는 밸브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의 일정한 부분에 설치되어 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나 액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밸브는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앙이 관통된 볼을 외부에서 레버를 작동시켜 밸브와 볼의 관통부분이 일치되면 배관을 따라 기체나 액체가 이동되고 볼이 레버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관통된 부분이 배관과 불일치되면 기체나 액체가 배관을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는 유로로 사용되는 가스 등과 같은 배관에도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스배관의 경우에는 안전검사결과 배관의 이음새에 불량이 발생하여 사용을 금지시키거나 사용자가 요금을 장시간 체납하게 되면 가스를 임의로 사용할 수 없도록 봉인하여 체납으로 인한 손해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관의 밸브를 봉인하는 장치는 현재 많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가 레버를 밸브에 고정하는 너트를 해체한 상태에서 레버를 제거하거나 레버의 하부에 다른 부품을 끼워 레버를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하거나 와이어와 납덩이를 이용하여 밸브를 봉인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밸브를 봉인하는 방법은 구조가 복잡하여 밸브를 봉인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대부분의 집안에서 비치하는 공구로 쉽게 해체할 수 있는 나사나 볼트로 레버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임의로 봉인장치를 해체하거나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체납으로 인한 손해와 안전사고의 위험이 여전히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이 출원한 특허 10-2005-0074744호와 같이 레버를 잠근 상태에서 레버의 개방돌출편과 스토퍼의 사이에 별도의 레버고정구를 고정하여 레버가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하였으나, 설치자가 별도로 레버고정구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밸브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밸브 봉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봉인장치를 집안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해체할 수 없으며, 별도의 레버고정구를 휴대하지 않는 밸브 봉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밸브 봉인장치는, 배관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중앙이 관통된 볼이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에 스토퍼가 둘레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회전축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하여 회전축에 개방돌출편과 폐쇄돌출편이 형성된 레버를 너트로 고정하여 레버에 의해서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볼이 배관을 개폐시키는 밸브에 있어서;
레버의 개방돌출편과 폐쇄돌출편의 사이에는 돌출부의 스토퍼 안쪽에서 회전되는 레버고정편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레버를 돌려 밸브를 잠그고 레버를 고정하는 너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레버를 뒤집어 회전축에 고정하면 레버고정편의 단부가 하향으로 형성되면서 돌출부의 하부로 향하면서 폐쇄돌출편과 레버고정편의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놓여지며, 레버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에는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레버를 회전축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밸브 봉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밸브 봉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0)는 배관(200)의 사이에 고정되며 밸브(100)의 내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된 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된다.
내부에 볼이 고정되는 밸브(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며, 돌출부의 둘레 일측에는 스토퍼(111)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밸브(100)의 돌출부(110)에는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의 상단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반대쪽은 밸브(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볼과 연결되는 회전축(120)이 형성된다.
밸브(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볼과 연결되어 돌출부(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20)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회전축(120)을 회전시켜 볼의 중앙에 관통된 부분이 배관(200)과 일치시키거나 불일치시켜 배관(200)을 개폐시키는 레버(130)가 삽입된다.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레버(130)에서 회전축(120)이 고정되는 부분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개방돌출편(131)과 폐쇄돌출편(132)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직각의 개방돌출편(131)과 폐쇄돌출편(132)의 사이에는 밸브(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되는 스토퍼(111)를 위치시켜 레버(130)가 스토퍼(111)에 의해서 직각으로만 회전되면서 밸브(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볼을 회전축(120)으로 회전시켜 배관(200)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레버(130)의 상단부에는 너트(140)를 회전축(120)과 결합시켜 레버(130)가 회전축(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레버(130)의 개방돌출편(131)과 폐쇄돌출편(132)의 사이에는 레버고정편(150)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개방돌출편(131)과 폐쇄돌출편(132)의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레버고정편(150)은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30)를 회전시켜도 레버고정편(150)이 돌출부(110)의 스토퍼(111)에 닿지 않도록 형성하여 레버(13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형성한다.
레버(130)가 회전할 때 스토퍼(111)에 닿지 않도록 돌출되는 레버고정편(150)과 폐쇄돌출편(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돌출부(110)에 형성되는 스토퍼(111)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하여 레버(130)의 폐쇄돌출편(132)과 레버고정편(150)의 사이에 스토퍼(111)가 삽입되면 레버(130)가 회전축(120)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밸브(1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레버(130)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배관(200)과 수평으로 형성하면서 레버(130)에 형성되는 개방돌출편(131)이 밸브(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된 스토퍼(111)와 밀착되면 밸브(100)의 내부에 형성된 볼의 관통된 부분이 배관(200)과 일치하면서 밸브(100)가 개방되어 배관(200)을 따라 기체나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밸브(100)를 폐쇄시킬 때는 레버(130)를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레버(130)의 폐쇄돌출편(132)이 밸브(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된 스토퍼(111)와 밀착시키면서 회전축(120)을 회전시켜 볼의 관통부분이 배관(200)과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밸브(100)를 통해 액체가 기체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레버(130)가 회전되면서 밸브(100)가 잠긴 상태에서 요금의 체납이나 안전을 위하여 밸브(100)의 조작을 막기 위하여 봉인할 때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40)를 제거하고 레버(130)를 회전축(120)에서 이탈시킨다.
레버(130)가 밸브(100)의 회전축(120)에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되면 레버를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30)를 뒤집어 회전축(120)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밸브(100)의 회전축(120)에 뒤집어져서 고정되는 레버(130)의 레버고정편(150)은 도 11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향하면서 그 단부가 돌출부(110)의 스토퍼(111)에 밀착된다.
레버(130)가 뒤집혀져 회전축(120)에 고정되면서 레버(130)에 돌출되게 형성된 레버고정편(150)이 돌출부(110)의 스토퍼(111)에 밀착되어 고정될 때 레버(130)에 형성된 폐쇄돌출편(132)의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고정편(150)이 밀착되는 스토퍼(111)의 반대쪽에 밀착된다.
레버(130)의 폐쇄돌출편(132)과 레버고정편(150)의 사이에 돌출부(110)의 스토퍼(111)가 삽입되면 레버(130)가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100)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돌출부(110)의 스토퍼(111) 사이에 폐쇄돌출편(132)과 레버고정편(150)이 삽입되면서 회전축(120)에 고정되는 레버(130)의 상부에는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30)를 회전축(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60)를 고정한다.
레버(1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0)는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으로 형성하며, 하부는 회전축(120)과 결합되는 나사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고정부재(160)를 회전시키는 공구(170)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161)을 형성한다.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6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구삽입홈(161)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의 꼭지점부분 일부가 절개된 것처럼 편평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공구삽입홈(161)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다.
또한,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60) 상부에 형성되는 공구삽입홈(161)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삽입홈(161)을 일반 제품에 쉽게 사용하지 않는 육각의 별 모양으로 형성하여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없는 공구삽입홈(161)과 대응되는 공구(170)에 의해서만 고정부재(160)가 회전축(120)에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고정부재(16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공구삽입홈(161)과 공구(170)는 그 모양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160)가 공구(170)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레버(130)가 봉인되어 사용할 수 없는 밸브(100)는 고정부재(160)가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 형식의 공구로 회전시킬 수 없으며,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공구로는 고정부재(160)를 해체할 수 없어 봉인된 밸브(100)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밸브(100)를 다시 사용할 때는 공구(170)를 이용해 고정부재(160)를 회전축(120)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레버(130)를 회전축(120)에서 이탈시키고 레버(130)를 다시 뒤집어 회전축(120)에 삽입시켜 레버고정편(150)이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한 다음 너트(140)를 회전축(120)에 고정하여 레버(130)를 회전축(120)에 고정시킨다.
또한, 별도의 너트(140)를 사용하지 않고 레버(130)를 고정했던 고정부재(160)를 사용하여 레버(13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고정부재(160)를 사용하여 레버(130)를 고정하는 경우 별도의 너트(140)를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 봉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레버를 고정하는 너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레버를 회전축에서 이탈시킨 다음 회전시켜 다시 회전축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레버를 봉인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봉인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축에 삽입되는 레버의 폐쇠돌출편과 레버고정편의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위치되기 때문에 레버가 절대 회전되지 않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시중에서 쉽게 통용(通用)되지 않는 공구에 의해서 결합되거나 해체되는 고정부재를 원뿔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비치하는 공구로는 절대로 해체할 수 없기 때문에 체납으로 인한 손해와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를 봉인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구를 휴대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방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가 밸브의 돌출부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폐쇄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버를 고정하는 너트를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에서 레버를 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가 회전된 상태에서 밸브의 회전축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의 레버고정편과 폐쇄돌출편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위치된 상태에서 공구로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의 레버고정편과 폐쇄돌출편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위치되면서 레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의 레버고정편과 폐쇄돌출편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위치되면서 레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확대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의 레버고정편과 폐쇄돌출편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위치되면서 레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의 레버고정편과 폐쇄돌출편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위치되면서 레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밸브 110 : 돌출부
111 : 스토퍼 120 : 회전축
130 : 레버 131 : 개방돌출편
132 : 폐쇄돌출편 140 : 너트
150 : 레버고정편 160 : 고정부재
161 : 공구삽입홈 170 : 공구
200 : 배관

Claims (2)

  1. 배관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중앙이 관통된 볼이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에 스토퍼가 둘레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회전축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하여 회전축에 개방돌출편과 폐쇄돌출편이 형성된 레버를 너트로 고정하여 레버에 의해서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볼이 배관을 개폐시키는 밸브에 있어서;
    레버의 개방돌출편과 폐쇄돌출편의 사이에는 돌출부의 스토퍼 안쪽에서 회전되는 레버고정편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레버를 돌려 밸브를 잠그고 레버를 고정하는 너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레버를 뒤집어 회전축에 고정하면 레버고정편의 단부가 하향으로 형성되면서 돌출부의 하부로 향하면서 폐쇄돌출편과 레버고정편의 사이에 돌출부의 스토퍼가 놓여지며, 레버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에는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레버를 회전축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봉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육각 별 모양의 공구삽입홈을 형성하여 공구삽입홈과 대응되는 모양의 공구로만 고정부재를 해체 또는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봉인장치.
KR20-2005-0025427U 2005-09-02 2005-09-02 밸브 봉인장치 KR200402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427U KR200402525Y1 (ko) 2005-09-02 2005-09-02 밸브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427U KR200402525Y1 (ko) 2005-09-02 2005-09-02 밸브 봉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525Y1 true KR200402525Y1 (ko) 2005-12-01

Family

ID=4370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427U KR200402525Y1 (ko) 2005-09-02 2005-09-02 밸브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5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77B1 (ko) 2006-09-05 2008-04-28 주식회사 효성 승강기 내벽의 보호를 위한 카펫 보호 장치 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77B1 (ko) 2006-09-05 2008-04-28 주식회사 효성 승강기 내벽의 보호를 위한 카펫 보호 장치 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525Y1 (ko) 밸브 봉인장치
KR200400243Y1 (ko) 밸브 봉인장치
US6966077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a drain valve in a washstand
KR200427747Y1 (ko) 밸브 봉인장치
KR20070020633A (ko) 밸브 봉인장치
KR200450519Y1 (ko) 밸브의 봉인장치
KR20060016130A (ko) 유성기어가 설치된 볼밸브
JPH10169797A (ja) ガス栓
KR20110080942A (ko) 가스밸브 봉인장치
JPH1151240A (ja) 流体制御器
KR200432047Y1 (ko) 기계식 가스 공급관의 타이머 연결 장치
CN208845796U (zh) 一种三联塞门操作装置
JPH0536154Y2 (ko)
KR200264338Y1 (ko) 파이프용 슬라이드식 차단밸브
JPH0228308Y2 (ko)
KR20010106355A (ko) 파이프용 슬라이드식 차단밸브
KR200341321Y1 (ko) 물의 유입을 막는 수밀장치가 부착된 공기 흡입구
KR101895592B1 (ko) 방폭 확인 투시경 플러깅 잠금 머신센터
JPH0416042Y2 (ko)
KR200359731Y1 (ko) 볼밸브용 봉인장치
JP4865383B2 (ja) 埋設型継手
JPH0241407Y2 (ko)
KR200342572Y1 (ko) 볼밸브의 잠금장치
JP5094629B2 (ja) 止水栓
KR200438490Y1 (ko) 세면기 배수 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