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354B1 -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54B1
KR102563354B1 KR1020210106948A KR20210106948A KR102563354B1 KR 102563354 B1 KR102563354 B1 KR 102563354B1 KR 1020210106948 A KR1020210106948 A KR 1020210106948A KR 20210106948 A KR20210106948 A KR 20210106948A KR 102563354 B1 KR102563354 B1 KR 10256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joint
inner panel
fixing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783A (ko
Inventor
문동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21010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개구를 갖으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조인트 핀과, 상기 핀 본체의 타측에서 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조인트 핀을 포함하는 피벗핀; 상기 피벗핀의 개구 내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샤프트 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고 이너판넬의 일면 접촉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서 연장되며 이너판넬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제2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터드; 및, 이너판넬과 마주보면서 연장되며 제1샤프트 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1조인트 핀이 끼워지는 제1조인트 공이 형성된 제1측판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2조인트 핀이 끼워져 지지되는 제2조인트 공이 형성된 제2측판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스터트가 결합된 피벗핀은 제1측판과 제2측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고, 핀 본체, 제1조인트 핀과, 제2조인트 핀은 일체로 한 몸체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A frameless door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 guide rail on the inner panel}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안정성이 높은 고정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리스 도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위치 조정구조가 마련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이 없는 프레임 리스 도어에 윈도우의 장착 작업시, 도어를 차체에 장착 전에 미리 위치 결정한 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에 대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는 도어의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쿠페나 컨버터블과 같은 일부 자동차에서는 별도의 프레임이 없는 상태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가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승하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프레임 리스 자동차에서는, 도어 내부에 윈도우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어 내부에서 정밀하게 위치조정하여 도어가 프레임이 없이도 원하는 경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레귤레이터에는, 윈도우의 승하강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는데, 프레임 리스 타입의 자동차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도어 내부의 이너판넬에 위치조정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고정구조가 별도로 필요하고 하게 된다.
종래의 고정구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핀(100)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130)의 상단에 힌지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벗블럭(110)과, 일측은 상기 피벗블럭(110)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이너판넬에 위치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터드(120)를 포함한다.
이때, 스터드(120)는 가이드 레일(130)과 이너판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피벗블럭(110)은 가이드 레일(130)과 이너판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피벗블럭(110)은 일부가 절개부가 형성된 스프링 핀이 가이드 레일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피벗블럭이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회전을 할 수 있으나, 지나치게 자유로운 회전을 하지 못하게 억제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먼저, 종래의 고정구조는 피벗블럭, 스프링 핀, 스터드의 3개의 구성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많은 부품들을 서로 조립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재료비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생산단가를 높이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정구조는 스프링 핀이 억지끼움식으로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있어서 지나치게 자유로운 회전이 억제되나, 작업자가 가이드 레일을 이동하거나 기타 작업공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터드에 부딪히게 하는 경우 스터드가 과도한 회전을 해버리게 되는 일이 있는데, 이 경우 스터드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고정구조는 스터드를 이너판넬에 너트에 의하여 고정한 후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너트는 다시 풀어야 하는 경우 너트와 함께 스터드가 피벗블럭에서 회전해버려서 스터드가 피벗블럭에서 빠져버리게 되는 일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편의성이 개선된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를 제고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구조는,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개구를 갖으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조인트 핀과, 상기 핀 본체의 타측에서 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조인트 핀을 포함하는 피벗핀;
상기 피벗핀의 개구 내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샤프트 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고 이너판넬의 일면 접촉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서 연장되며 이너판넬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제2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터드; 및,
이너판넬과 마주보면서 연장되며 제1샤프트 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1조인트 핀이 끼워지는 제1조인트 공이 형성된 제1측판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2조인트 핀이 끼워져 지지되는 제2조인트 공이 형성된 제2측판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스터트가 결합된 피벗핀은 제1측판과 제2측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고,
핀 본체, 제1조인트 핀과, 제2조인트 핀은 일체로 한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에서,
상기 제1조인트 핀과, 제1조인트 공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조인트 핀과, 제2조인트 공은 피벗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비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에서,
상기 제2조인트 핀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탄면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에서,
상기 제2조인트 핀에는 한 쌍의 평탄면과 연결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원형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에서,
상기 제1샤프트 부재가 상기 개구에 삽입된 후에, 상기 개구 주변의 피벗핀 측면을 내측으로 타격하여 제1샤프트 부재가 상기 피벗핀에 대하여 회동불가능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는, 기존의 피벗블럭과 스프링 핀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피벗핀으로 단순화하여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략하고 이에 따라 조립이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에 대한 피벗핀의 회전각도를 간단한 구조로 제한할 수 있어서 운반이나 조립과정에서 피벗핀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벗핀과 스터드를 회전불가하게 고정시키고 있어서 스터드를 이너판넬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피벗핀이 스터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구조가 프레임 리스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전면도면.
도 2는 도 1의 후면도.
도 3은 가이드 레일과 이너판넬을 고정구조에 의하여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5는 가이드 레일과 이너판넬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가이드 레일이 이너판넬에 대하여 각도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도어에서 윈도우가 승강하는 방향에 근거하는 것이고, "하방"의 방향지시어는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는 고정구조는 프레임이 없는 도어에서 가이드 레일과 이너판넬에 고정결합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과 이너판넬의 간격과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도 1,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프레임 리스 도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레임 리스 도어에는 윈도우를 승하강할 수 있는 레귤레이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70)와,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서 승하강하며 윈도우가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71)와, 구동수단(73)에 의하여 순환괘적 이동하며 캐리어 플레이트(71)에 연결되어 캐리어 플레이트(71)를 승하강시키는 케이블(72)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40)은 도어 내부의 이너판넬(6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40)의 상부에는 각도 및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고정구조(1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조정구조(74)가 마련된다.
작업자는 고정구조(10)와 하부 조정구조(74)를 이용하여 윈도우의 승하강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하여 프레임이 없는 상태에도 윈도우가 정확하게 설계자가 원하는 경로를 따라서 승하강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정구조(10)는, 피벗핀(20), 스터드(30), 가이드 레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벗핀(20)은, 개구를 갖으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핀 본체(23)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조인트 핀(21)과, 상기 핀 본체의 타측에서 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조인트 핀(2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핀본체(23)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스터드(3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개구(231)가 마련된다. 핀본체(23)는 가이드 레일(40)에 설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핀본체(23)에서 개구(231)의 위치는 베이스 부재(41)의 통과공(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샤프트 부재(3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제1조인트 핀(21)은, 가이드 레일(40)의 제1측판(42)에 힌지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원형단면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조인트핀은 피벗핀(20)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제2조인트 핀(22)은, 가이드 레일(40)의 제2측판(43)에 힌지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비원형단면을 가지고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조인트핀은, 피벗핀(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비원형단면을 가지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조인트 핀(22)의 외주면에는 2개의 평탄면(221)과 2개의 원형면(222)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2개의 평탄면(221)은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조인트 공(431)과 협력하여 회전각도가 일정이상 되는 경우 회전이 될 수 없게 회전각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2조인트 핀(22)의 평탄면(221)은, 제2조인트 공(431)의 평탄내벽(4311)과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있어서 제2조인트 핀(22)의 평탄면(221)이 제2조인트 공(431)의 평탄내벽(4311)과 접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회전을 허용한다.
다만, 회전각이 소정각도 이상되는 경우에는 제2조인트 핀(22)의 평탄면(221)이 제2조인트 공(431)의 평탄내벽(4311)에 접촉됨으로서 피벗핀(20)의 회전각을 제한하게 된다.
설계자는 필요에 따라서 평탄면(221)의 크기와 공차 등을 조절하여 회전각도를 원하는 범위가 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회전각의 범위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는 평탄면(221)의 크기를 작게 하고, 회전각의 범위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평탄면(221)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서 약간의 회전만으로도 평탄내벽(4311)에 접촉하여 회전이 불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원형면(222)은, 한 쌍의 평탄면(221)과 연결되며 서로 대향하고 있게 된다. 상기 원형면(222)은 허용회전각 내에서 제2조인트 핀(22)이 제2조인트 공(43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평탄면(221)과 평탄내벽(4311)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피벗핀(20)의 원형면(222)이 제2조인트 공(431)의 원형내벽(4312)에 접촉하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조인트 핀(22)의 단부에는 제2조인트 핀(22)이 제2측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된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걸림턱부는 가이드 레일(40)에 설치된 후에 타격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피벗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의 제1조인트 공(421)을 통하여 삽입된 후에, 제2조인트 핀(22)이 제2조인트 공(431)에 끼워넣을 수 있게 한다. 제2조인트 핀(22)의 단부가 제2조인트 공(431)에 삽입되어 제2측벽에 대하여 돌출된 후에는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리벳팅 공정을 수행함으로서 제2조인트 핀(22)이 제2측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핀 본체, 제1조인트 핀(21), 제2조인트 핀(22)은 일체로 한 몸체로 이루어져서 기존의 복수의 구성으로 분리된 제품과 대비할 때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30)는, 상기 피벗핀(20)의 개구 내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샤프트 부재(31)와, 상기 제1샤프트 부재(31)의 일단에 마련되고 이너판넬(60)의 일면 접촉되는 고정판부(32)와, 상기 고정판부(32)에서 연장되며 이너판넬(60)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고정너트(50)에 체결되는 제2샤프트 부재(3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샤프트 부재(31)는, 상기 피벗핀(20)의 개구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스터드(30)를 피벗핀(20)에 고정결합하는 구성이다. 제1샤프트 부재(31)를 소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터드(30)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제1샤프트 부재(31)는 가이드 레일(40)과 이너판넬(6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샤프트 부재(31)가 스터드(30) 내부에 깊게 삽입되면 가이드 레일(40)과 이너판넬(6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제1샤프트 부재(31)가 스터드(30) 내부에 얕게 삽입되면 가이드 레일(40)과 이너판넬(6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판부(32)는, 제1샤프트 부재(31)와, 제2샤프트 부재(3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샤프트 부재(31)와, 제2샤프트 부재(33)보다 외경이 큰 원판부재이다. 이러한 고정판부(32)는 이너판넬(60)의 구멍(6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너판넬(60)에 걸리게 구성된다. 고정판부(32)를 이너판넬(60)의 일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2샤프트 부재(33)를 이너판넬(60)의 타면에서 너트(50)에 의하여 고정하면 스터드(30)가 이너판넬(6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2샤프트 부재(33)는, 고정판부(32)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2샤프트 부재(33)는 이너판넬(60)의 구멍(61)을 통과하여 이너판넬(60)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서, 너트(50)에 끼워지게 구성된다. 제2샤프트 부재(33)를 이너판넬(60)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너트(50)를 체결하면 스터드(30)가 이너판넬(60)에 고정된다.
유지보수를 위하여 너트(50)를 풀게 되면 제2샤프트부재가 이너판넬(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캐리어 플레이트(71)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풀리(70)가 설치되고 풀리(70)보다 상부에는 피벗핀(20)과 스터드(30)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40)은 이너판넬(60)과 마주보면서 연장되며 제1샤프트 부재(31)가 통과하는 통과공(411)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41)와, 상기 베이스 부재(4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1조인트 핀(21)이 끼워지는 제1조인트 공(421)이 형성된 제1측판(42)과, 상기 베이스 부재(4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2조인트 핀(22)이 끼워져 지지되는 제2조인트 공(431)이 형성된 제2측판(4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41)는, 이너판넬(60)과 마주보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베이스 부재(41)에는, 제1샤프트 부재(31)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411)이 마련된다. 상기 통과공(411)은 제1샤프트 부재(31)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샤프트 부재(31)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측판(42)은, 베이스 부재(4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베이스 부재(4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서, 금속소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측판(42)의 중앙에는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제1조인트 공(42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조인트 공(421)은 제1조인트 핀(21)과 대응되는 원형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제1조인트 핀(21)은 제1조인트 공(421) 내부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측판(43)은, 베이스 부재(4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베이스 부재(4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서,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측판(43)은, 제1측판(42)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1측판(42)과의 사이에 핀 본체가 삽입되게 한다. 이러한 제2측판(43)의 중앙에는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제2조인트 공(4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조인트 공(431)은, 제2조인트 핀(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제2조인트 핀(22)보다는 다소 큰 크기를 가지고 있게 된다. 즉, 제2조인트 핀(22)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조인트 공(431)은, 한 쌍의 평탄내벽(4311)과, 한 쌍의 원형내벽(43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원형내벽(4312)은 제2조인트 핀(22)의 원형면(222)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평탄내벽(4311)은 제2조인트 핀(22)의 평탄면(221)과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고정구조(10)를 조립하기 위하여, 피벗핀(20)의 제2조인트 핀(22)을 제1측판(42)의 제1조인트 공(421) 내에 넣은 후에 추가로 삽입하여 제2조인트 핀(22)이 제2측판(43)의 제2조인트 공(431) 내에 끼워지게 된다. 이후에, 제2조인트 핀(22)의 단부를 리벳팅하여 제2조인트 핀(22)이 가이드 레일(4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이후에, 스터드(30)의 제1샤프트 부재(31)를 베이스 부재(41)의 통과공(411)에 넣은 후에 피벗핀(20)의 개구에 나사결합한다. 이때 제1샤프트 부재(31)와 피벗핀(20)의 삽입깊이가 가이드 레일(40)과 이너판넬(60)의 간격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므로 차종마다 미리 설정된 값에 의거하여 적절한 깊이가 될 수 있게 한다.
이상태에서, 스터드(30)의 제2샤프트 부재(33)를 이너판넬(60)의 구멍(61)에 끼워넣고 너트(50)를 체결하여 이너판넬(60)에 대한 고정시킨다. 한편, 윈도우의 승하강 경로를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40)의 하단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0)의 상단은 이너판넬(60)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피벗핀(20)이 제1측판(42)과 제2측판(4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40)과 이너판넬(60) 사이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10)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먼저, 종래기술에서는 스프링 핀에 축지지된 피벗블럭이 스터드(30)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였는데 반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핀과 피벗블럭이 하나의 피벗핀(20)으로 대체되어 보다 간단한 구조로 조립을 간편하게 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스프링 핀이 가이드 레일(40)에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전이 어느정도 구속되어 있기는 하지만 작업자가 가이드 레일(40)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인접 물체나 공구에 부딪히면 스터드(30)가 과도하게 회전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은 제2측판(43)과 제2조인트 핀(22)이 서로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터드(30)가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회전하는 일이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정구조(10)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샤프트 부재(31)가 핀 본체에 단순하게 끼워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샤프트 부재(31)가 핀 본체에 끼워져서 위치를 맞춘 후에 핀 본체 내부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제1샤프트 부재(31)가 핀 본체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보다 확실하게 회전불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샤프트 부재(31)가 상기 개구에 삽입된 후에, 상기 개구 주변의 피벗핀(20) 측면을 내측으로 타격하여 코킹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제1샤프트 부재(31)가 상기 피벗핀(20)에 대하여 회동불가능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40)을 이너판넬(60)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코킹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제1샤프트 부재의 나사산이 뭉개지면서 핀 본체 내에 회전불가능하게 끼여있게 된다. 추후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이너판넬의 후면에 배치된 너트를 풀게 되는 경우 너트만 풀리고 스터드가 피벗핀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들면서 고정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되는 범위라면 확장되어 해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고정구조 20...피벗핀
21...제1조인트 핀 22...제2조인트 핀
23...핀본체 30...스터드
31...제1샤프트 부재 32...고정판부
33...제2샤프트 부재 40...가이드 레일
41...베이스 부재 42...제1측판
43...제2측판 50...너트
60...이너판넬 70...풀리

Claims (5)

  1.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개구를 갖으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조인트 핀과, 상기 핀 본체의 타측에서 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조인트 핀을 포함하는 피벗핀;
    상기 피벗핀의 개구 내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샤프트 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고 이너판넬의 일면 접촉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서 연장되며 이너판넬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제2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터드; 및,
    이너판넬과 마주보면서 연장되며 제1샤프트 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1조인트 핀이 끼워지는 제1조인트 공이 형성된 제1측판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세워지고 상기 제2조인트 핀이 끼워져 지지되는 제2조인트 공이 형성된 제2측판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스터드가 결합된 피벗핀은 제1측판과 제2측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고,
    상기 제1조인트 핀과, 제1조인트 공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조인트 핀과, 제2조인트 공은 피벗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비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조인트 핀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과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원형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조인트 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평탄면과 마주보면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평탄면과 이격된 거리만큼 제2조인트 핀이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평탄내벽과, 상기 원형면과 마주보는 원형내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 부재가 상기 개구에 삽입된 후에, 상기 개구 주변의 피벗핀 측면을 내측으로 타격하여 제1샤프트 부재가 상기 피벗핀에 대하여 회동불가능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KR1020210106948A 2021-08-12 2021-08-12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KR10256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948A KR102563354B1 (ko) 2021-08-12 2021-08-12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948A KR102563354B1 (ko) 2021-08-12 2021-08-12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83A KR20230024783A (ko) 2023-02-21
KR102563354B1 true KR102563354B1 (ko) 2023-08-04

Family

ID=8532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948A KR102563354B1 (ko) 2021-08-12 2021-08-12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84B1 (ko) 2001-09-11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875753B1 (ko) 2007-06-08 2008-12-24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윈도우 레귤레이터
JP4842756B2 (ja) 2006-10-05 2011-12-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975375B1 (ko) * 2017-07-24 2019-05-07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2756B1 (ko) * 1968-12-16 1973-12-14
KR0162578B1 (ko) * 1995-11-22 1998-12-15 김태구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84B1 (ko) 2001-09-11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JP4842756B2 (ja) 2006-10-05 2011-12-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875753B1 (ko) 2007-06-08 2008-12-24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975375B1 (ko) * 2017-07-24 2019-05-07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83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908B2 (en) Engaging piece for window regulator
EP1362973B1 (en) Egress hinge
JP6423319B2 (ja)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108779656B (zh) 拉线式车窗调节器
DE102015209851A1 (de) Kraftfahrzeug-Tür sowie Türgriffsystem für eine derartige Kraftfahrzeug-Tür
CN101684704A (zh) 用于门的翼扇的固定装置
CN101435300A (zh) 能够不用工具地安装的角部铰链
KR102563354B1 (ko) 가이드 레일을 이너판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리스 도어의 고정구조
US20110232197A1 (en) Window regulator apparatus for vehicle
CN114059869A (zh) 汽车车门铰链结构
CN110114546B (zh) 车辆用窗玻璃升降机构
KR20150112986A (ko) 가이드 레일을 통해 가이드 방향으로 가구 부품을 가이드하기 위한 주행부 및 가구 피팅
US7043878B2 (en) Cabriolet door with adjustable window regulator rail and corresponding method of assembly
KR20100059521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EP1722057A2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Door and Window Hinges
CN204627249U (zh) 滑轮调节装置
KR200187436Y1 (ko) 창문용 호차
KR10083965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핑장치
KR20220031369A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N111469954A (zh) 汽车天窗的装配结构及装配方法
KR100875753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84473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세팅 지그
KR100400812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CN219316744U (zh) 阻尼拨动组件及推拉门窗系统
KR20240012142A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위치조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