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704B1 -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704B1
KR102561704B1 KR1020200160495A KR20200160495A KR102561704B1 KR 102561704 B1 KR102561704 B1 KR 102561704B1 KR 1020200160495 A KR1020200160495 A KR 1020200160495A KR 20200160495 A KR20200160495 A KR 20200160495A KR 102561704 B1 KR102561704 B1 KR 10256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dried
kneading
drying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653A (ko
Inventor
정학민
한소희
Original Assignee
(주)화인내츄럴
정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내츄럴, 정학민 filed Critical (주)화인내츄럴
Priority to KR102020016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이나 건강식 또는 다이어트를 위하여 물과 함께 먹게 되는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소환을 목넘김할 경우에 목 넘김이 용이하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향을 가미토록 하여 먹을때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으로, 제환전의 반죽(연합)단게에서 1차 반죽된 것을 2차 돌밀에 의한 복수의 반복작업에 의하여 반죽을 찰지게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제환토록 하고, 제환된 것을 일정한 조건으로 건조한 상태에서 농축액과 정제수로 혼합된 코팅액을 코팅팬에 투입하여 소환의 표면에 분사하여 환표면에 정립코팅하면서 열풍으로 일정조건으로 건조토록 한 후 이 상태에서 다시 향과 식물성 오일과 정제수로 혼합된 2차 코팅액으로 코팅팬에 투입하여 분사코팅한 후 열풍에 의하여 건조토록 하면서 즉시 냉각토록 하여 코팅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Methods of manufacture of easy-to-take pill}
본 발명은 한약이나 건강식 또는 다이어트를 위하여 물과 함께 먹게 되는 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소환을 목넘김할 경우에 목 넘김이 용이하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향을 가미토록 하여 먹을때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현재 환은 한방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환은 대부분 자연상태의 그대로를 섭취한다고 하여 부작용의 우려가 없어 다이어트는 물론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으로도 많이 애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은 대부분 분말상을 물과함게 반죽하여 제환토록 하고, 제환된 것을 건조과정을 통하여 수분이 최소로 유지되는 상태로 건조토록 함으로서 장시간 보관시에도 수분의 존재로 인한 균의 증식으로 인한 변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장시관 보관시에 변질을 방지할 수 있지만 건조된 환을 섭취할 경우 특히 소환을 물과 함께 다수개(2.0mm~5.0mm size로 통상 10~20여개/g)를 한번에 섭취할 경우에 한번에 목넘김이 되지 않으면서 목에 걸림등으로 인한 목넘김에 불편함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환의 주원료인 분말상의 천연물의 고유의 향이 가공과정에서 혼합되면서 독특한 향이 발생되면서 목넘김이 불편한 상태에서 이러한 향의 존재로 인하여 더욱더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어 비위가 약한 분들에게는 구토등의 유발은 물론 이로 인한 꾸준한 섭취가 불가능하여 실질적인 환의 섭취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14674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011508호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목넘김이 용이하면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향을 제공토록 하여 꾸준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붕해속도를 조절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환전의 반죽(연합)단게에서 1차 반죽된 것을 2차 돌밀에 의한 복수의 반복작업에 의하여 반죽을 찰지게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제환토록 하고, 제환된 것을 일정한 조건으로 건조한 상태에서 농축액과 정제수로 혼합된 코팅액을 코팅팬에 투입하여 소환의 표면에 분사하여 환표면에 정립코팅하면서 열풍으로 일정조건으로 건조토록 한 후 이 상태에서 다시 향과 식물성 오일과 정제수로 혼합된 2차 코팅액으로 코팅팬에 투입하여 분사코팅한 후 열풍에 의하여 건조토록 하면서 즉시 냉각토록 하여 코팅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건조된 소환이 농축액과 반죽되어지고 건조된 상태에서 그 표면에 농축액이 정제수랑 혼합된 코팅액이 코팅되어짐으로서 좋아하는 향이 지속적으로 발향토록 되는 소환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건조된 소환의 표면이 매끄럽게 됨으로서 목넘김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코팅이 코팅팬에서 이루어져 시간과 온도의 조절에 의하여 코팅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섭취후 인체의 내부에서의 붕해속도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용도로 조제가 가능하게 될 수 있어 섭취효과를 최도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으로 제조된 소환의 코팅된 상태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일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공정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환(소환을 포함하는 의미)에 따라 성상 및 스펙을 확인하여 입고되는 원료를 검사하는 공정이다.
그후 제2공정으로 제1공정에서 입고검사를 통하여 입고된 원료를 정확한 량으로 칭량을 하는 칭량공정이다.
이때 입고되는 원료에 따라 다양한 칭량 방식이 사용가능한 것이고, 특히 미량원료일 경우에는 정밀게측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3공정으로는 칭량된 것을 특히 분말원료일 경우에도 이물선별 및 균질혼합을 위하여 24메쉬 체망으로 걸러낸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일정시간동안 혼합하는 혼합 및 이물선별공정이다.
이때 혼합기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원료를 얻을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20분정도를 사용함으로서 가장혼합상태가 우수하면서 적절한 경제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혼합기에 혼합가능하게 복수의 분말원료가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게 적정상태로 채움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만일 혼합기에 적정량이 채움되지 않을 경우에는 더 짧은 시간으로 혼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4공정으로 상기 제3공정에서 이물선별되어 혼합된 분말원료에 일정량의 농축액과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액을 투입하여 1차 반죽후 반죽된 것을 돌 로라를 통해 얇은 시트상으로 눌러주면서 접혀지도록 하여 2~5회 반복토록 2차 반죽토록 하는 연합반죽공정이다.
본 발명에서의 1차 반죽은 교반기에서 일반적으로 행하는 것이고, 2차 반죽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돌 로라의 사이로 반죽된 것을 통과시켜 시트상으로 제조된 것을 접어서 반복적으로 시트상으로 눌러주도록 하여 반죽된 상태를 찰지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혼합액을 구성하는 농축액은 환을 먹고자 하는 분들의 선택되는 취향에 따라서 과일농축액, 커피농축액, 허브 농축액 등을 사용하는 것이고, 1차 반죽의 시간은 20분 정도하고 2차 반죽은 2~5회 반복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혼합액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농축액은 보통 50Brix 이상이므로 농축액과 정제수는 중랴비로 1:4~10의 비율로 혼합토록 하였고, 만일 농축액이 비율이 0.5이하일 경우 그 만큼 정제수양이 증가(희석배수 증가)하므로 원하는 맛이 약하고, 건조시간이 증가한다. 반대로 농축액 비율이 2.0 이상으로 높으면 정제수양이 감소하여 종축액 농도가 높아지므로 원하는 맛에는 근접하나 끈적임이 발생하여 제환시 환끼리 달라붙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경제성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5공정으로는 상기 연합반죽공정에 의하여 찰지게 반죽된 반죽물을 환제조기에 투입하여 환을 성형하는 제환공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환된 환의 사이즈를 2~5mm(오차범위±0.5mm)정도로 제환토록 하였고 이러한 크기는 목 넘김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6공정에서는 상기의 크기로 제환된 것을 크기와 형태의 불량을 선별하는 1차 선별공정이다.
이때 선별과정에서 미생물 검사를 병행토록 함으로서 안정성을 확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제7공정으로는 제환된 것을 선별완료된 상태에서 선별되어진 소환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토록 하는 건조공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분함량이 8%이하로 유지될 수 잇도록 50~70℃의 범위에서 5시간을 건조토록 한 것이다.
제8공정으로는 건조된 상태에서 농축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얻어진 코팅액을 사용하여 1차 코팅과 건조하는 공정이다.
이때 코팅괴 건조는 코팅팬에 건조된 환을 투입한 상태에서 코팅액을 분사하여 건조된 환의 표면에 정립코팅을 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토록 하는 것이고, 이때 코팅팬의 내부온도는 50±5℃의 범위에서 2시간 이상을 코팅건조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1차 코팅액은 1차 반죽을 위한 혼합액과 동일한 농축액과 정제수의 혼합이고 단지 배합비율을 정제수를 농축액의 2~5배로 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농축액의 농도를 좀더 높게 형성토록 하여 표면에만 집중적으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반죽과정에서 찰지게 반죽됨으로서 코팅액이 소환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되면서 광택이 용이하게 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코팅된 상태에서 건조는 코팅팬에서 코팅한 이후에 열풍을 제공하여 건조를 행하게 되는 것이고, 열풍에 의하여 건조토록 하여 소환 표면의 황변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고, 이때 소환의 품온 온도는 50±5℃로 하여 황변을 방지토록 한 것이고, 가능한 2시간 이상으로 상기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건조토록 함으로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9공정으로는 1차 코팅액으로 사용되는 농축액과 동일한 향과 광택증진은 물론 향이 표면에 머물도록 하기 위한 식물성 오일과 용매로 사용되는 정제수를 혼합하여 2차 코팅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2차 코팅액의 배합비율의 일실시예는 향은 60중량%이고, 식물성오일 5~10중량%의 범위이고, 정제수는 30~35중량% 범위로 사용하였다.
이때 향은 소환의 전체 중량에서 2중량%내외로 사용하고, 식물성 오일은 0.1~1.0중량%를 사용하고 정제수는 향 사용량의 오차범위를 감안하여 50±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2차 코팅액을 코팅팬에서 분사에 의하여 코팅토록 하고 코팅팬에서 열풍을 사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품온온도는 1차 코팅건조시와 동일하게 행함으로서 황변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2차 코팅액으로 사용되는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mct오일이거나 아보카도오일이거나 또는 포도씨유 오일이나 올리브 오일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을 혼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제10공정으로는 냉각공정이다.
즉 2차 코팅이후에 열풍에 의하여 건조된 상태에서 코팅팬에서 바로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냉각온도는 40℃를 사용하였고 이는 건조온도보다 대략 10℃정도 낮은 온도로 냉각토록 함으로서 급격하게 냉각하면서 주변의 습기를 빨아들이는 현상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ㅣ
따라서 낮은 온도 차이로 인하여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 하여 안정적인 소환을 유지토록 할 수 잇는 것이다.
그후 공정으로는 미생물 검사 및 붕해시험과 섭취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스틱포장과 그 상태에서 제품규격의 시험과 미생물검사를 하고 포장한 이후에도 육안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검사를 한후 실온보관하여 변질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소환
2:코팅층

Claims (5)

  1. 제조하고자 하는 환에 따라 성상 및 스펙을 확인하여 입고되는 원료를 검사하는 제1공정과
    제1공정에서 입고검사를 통하여 입고된 원료를 정확한 량으로 칭량을 하는 제2공정과
    칭량된 것이 분말원료일 경우에는 이물선별 및 균질혼합을 위하여 24메쉬 체망으로 걸러낸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혼합하는 혼합 및 이물선별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이물선별되어 혼합된 분말원료에 일정량의 농축액과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액을 투입하여 1차 반죽후 반죽된 것을 돌 로라를 통해 얇은 시트상으로 눌러주면서 접혀지도록 하여 2~5회 반복토록 반죽(연합)하는 제4공정과
    상기 반죽(연합)에 의하여 찰지게 반죽된 반죽물을 환 제조기에 투입하여 제환하는 제5공정과
    제5공정에서 제환된 것을 크기와 형태의 불량을 선별하는 1차 선별공정으로 되는 제6공정과
    제6공정에서 제환 선별완료된 상태에서 선별되어진 소환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토록 하는 제7공정과
    제7공정에서 건조된 상태에서 농축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얻어진 코팅액을 사용하여 1차 코팅과 수분함량이 8%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50~70℃의 범위에서 5시간을 건조하는 제8공정과
    제8공정에서 코팅된 표면에 1차 코팅액으로 사용되는 농축액과 동일한 향과 광택증진은 물론 향이 표면에 머물도록 하기 위한 식물성 오일과 용매로 사용되는 정제수를 혼합하여 2차 코팅액을 제조하여 코팅건조하는 제9공정과
    상기 1,2차 코팅 건조는 코팅팬에 건조된 소환을 투입한 상태에서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하고, 코팅후 열풍에 의하여 건조토록 하고, 상기 코팅팬에 투입된 소환의 품온온도는 50±5℃의 범위에서 2시간 이상 건조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된 상태에서 코팅팬의 내부에서 상기 건조온도보다 낮은 40℃의 온도로 냉각토록 하는 제10공정으로 제조되어지는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60495A 2020-11-25 2020-11-25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KR10256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95A KR102561704B1 (ko) 2020-11-25 2020-11-25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95A KR102561704B1 (ko) 2020-11-25 2020-11-25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653A KR20220072653A (ko) 2022-06-02
KR102561704B1 true KR102561704B1 (ko) 2023-08-01

Family

ID=8198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495A KR102561704B1 (ko) 2020-11-25 2020-11-25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7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74B1 (ko) * 2019-01-29 2019-10-21 김한철 환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508A (ko) 2016-07-25 2018-02-02 김형철 홍삼을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74B1 (ko) * 2019-01-29 2019-10-21 김한철 환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653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06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уч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сквитн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ырцовых пряников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ахарного печенья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Asif-Ul-Alam et al. Effects of drying on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reen banana (Musa sapientum) flour and development of baked product
CN104351297A (zh) 一种金桔清热降火饼干及其制备方法
CN104146033A (zh) 一种木薯巧克力蛋糕及其制作方法
CN104799274A (zh) 黄精粉丝及其生产工艺
RU239597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есочн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Lazou et al. Utilization of industrial hemp by‐product defatted seed flour: effect of its incorporation on the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soureki’, a rich‐dough baked Greek product
KR102561704B1 (ko) 섭취가 용이한 소환의 제조방법
KR101517899B1 (ko) 식방풍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쿠키 및 그 제조방법
CN107279219A (zh) 一种柿子全麦益生元饼干及其制作方法
JP5955692B2 (ja) 軟質化餅の製造方法
PT105482A (pt) Matriz proteica formatável contendo fruta, vegetais, chocolate ou cacau, processo para o seu fabrico e preparados contendo a referida matriz para aplicação na indústria alimentar
CN105341101A (zh) 一种桂花红糖脆性饼干及其制备方法
RU2626534C1 (ru) Сухая зерно-молочная каша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Jan et al. Preparation of nutri bar for lactating women
KR101766306B1 (ko) 삼채 분말을 함유한 초코파이의 제조방법
CN112314766A (zh) 一种冻干果粒奶片糖及其制备方法
CN107616290A (zh) 一种蔬菜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Lee et 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of high fibre bread incorporated with corncob powder
Ifediba et al. Proximate composition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whole wheat biscuit fortified with Moringa (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RU2782446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зглютенового теста и композиция теста
RU272946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учного кондитерского издел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Ani et al. Functional, Nutrition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iscuits Improved with Plantain, Breadfruit and Termite Flour
LT6390B (lt) Konditerijos gaminys
KR20220098923A (ko) 소환에 색상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