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91B1 -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91B1
KR102561691B1 KR1020197031476A KR20197031476A KR102561691B1 KR 102561691 B1 KR102561691 B1 KR 102561691B1 KR 1020197031476 A KR1020197031476 A KR 1020197031476A KR 20197031476 A KR20197031476 A KR 20197031476A KR 102561691 B1 KR102561691 B1 KR 10256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ing device
trigger
stapling
delete delete
sta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851A (ko
Inventor
디미트리오스 타키디스
벤자민 위브슈미드
사무엘 호크스트래서
미카엘 베트슈타인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3702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07Particular clinch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1Nail feeding devices
    • B25C1/005Nail feeding devices for rows of contiguous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8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6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85Hand-held stapling tools, e.g. manually operated, i.e. not resting on a working surface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06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06Feeding means
    • B25C5/1624Feeding means employing mechanical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37Supports for the staples being f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에 고정 수단, 특히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고정 장치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기 모터 및 특히 전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충전식 축전지와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설계되는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으며, 작동 트리거는 하우징의 손잡이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해 보다 나은 사용자 친화성과 더 나은 제어 및 특히 매거진 장치에 대한 더 나은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 모터는 손잡이부 내에 배치되고 이의 회전축은 토출기의 가속 경로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물체에 고정 수단, 특히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 및 메인 하우징부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ejector device)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exit opening)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고정 장치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magazine device)와, 전기 모터 및 특히 전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충전식 축전지와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설계되는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으며, 작동 트리거는 하우징의 손잡이부 영역에 배치된다.
스테이플(staple), 못(nail), 클램프(clamp) 등과 같은 고정 요소를 가속화하기 위해 그리고 물체에 이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해, 유체, 특히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구는, 예를 들어, 가구에 가죽 커버와 같은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가구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판지 상자의 바닥 또는 상부 커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용 분야에 따라, 스테이플러(stapler)는 기본 설계 배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압식 스테이플러는 실린더 내에서 상사점(upper dead center)과 하사점(lower dead center)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을 항상 포함한다. 고정 요소를 박기 위한 요소는 피스톤의 이동 경로 내부에 위치하고, 매거진 장치로부터 고정 수단의 드라이브 트랙으로 유입되는 고정 요소와 접촉하여 이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두 가지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수단을 갖고, 이에 따라 하나의 모드에서는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고정 요소의 단일 샷(shot)을 유발하고, 다른 모드에서는, 트리거가 작동되고 및/또는 네일 건(nail gun)의 접촉면 영역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의 기계적 접촉이 표면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한,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다수의 연속 샷을 유발하는, 고정 수단인 못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압식 공구가 알려져 있다.
또한, 판지 상자 속으로 삽입된 스테이플의 레그(leg)를 구부리는 펜치(pincer) 요소를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이플링 장치는 특히 판지 상자를 닫기 위해, 특히 판지 상자의 커버 플랩(cover flap)을 닫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면,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가 이미 판지 상자를 뚫었을 때, 토출된 두 개의 레그가 달린 스테이플을 펜치 요소로 잡고, 각각의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base leg)의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해, 펜치 요소의 동작에 대해 토출 동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는 예를 들어 EP 2 679 344 A2에 공지되어 있다. EP 2 679 344 A2의 판지 상자 스테이플러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다른 스테이플러와 달리 전기적으로 작동하며 공압식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EP 2 679 344 A2의 스테이플러는 이러한 목적으로, 축전지에 의해 구동되고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에 통합된 DC 전기 모터를 갖는다. 전기 모터와 이의 축전지는, 스테이플러의 손잡이와 스테이플 공급용 매거진 사이에서 매거진 바로 옆에 위치하는, 스테이플러의 하우징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면, 모터의 하우징부로 인해 매거진을 쉽게 관리할 수 없는 것이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특히, 모터의 하우징부는, 예를 들어,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의 남은 수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스테이플러를 사용할 때 매거진을 자유롭게 보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거진 장치를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점검할 수 있고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산업 또는 상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터는 이제 손잡이부 내에 배치되고 이의 회전축은 토출기의 가속 경로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매거진을 다른 장소에 배치하거나 이의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매거진에 대한 더욱 쉬운 접근이 가능해진다. 놀랍게도, 전기 모터는 이전보다 매거진 장치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거진 장치에 대한 접근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하우징의 손잡이부에 전기 모터를 통합함으로써, 모터는 모터를 유지하는 것 이외의 이유로 어쨌든 존재할 필요가 있는 하우징의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에 대해서만 필요한 스테이플링 장치의 별도의 하우징부 및 그와 관련된 무게를 피할 수 있으며, 손잡이는 의도한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는 또한 놀라운 방식으로 인체공학적 개선을 제공하는데, 토출 또는 배출 기구에 대한 드라이브의 연결 또는 부착을 포함하는, 모터 및 가능하게는 기어의 무게가 적어도 손잡이 내부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터 및 모터와 관련된 모터의 다른 구성요소로 인한 무게는, 사용하는 동안 조작자가 스테이플링 장치를 잡고 다루는 부위에 대해 토크를 거의 또는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자는 스테이플링 장치를 다루기 위해 적은 힘을 소비해야 하고 따라서 빨리 피로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모터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 전체 모터는, 조작자가 손으로 손잡이부를 잡고 이에 따라 스테이플링 장치를 유지하는 손잡이부 영역 내에 및/또는 그 아래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감속 및 토크 부스팅을 위해, 모터 뒤에 삽입되는 기어, 특히 유성 기어가 또한 하우징의 손잡이부 내에, 또는 적어도 바로 옆에 또는 그 영역 내에 배치될 때 상기한 이점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 전원 공급 수단은 교환 가능한 축전지로 설계되고, 이는 하우징의 손잡이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의 리셉터클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축전지 배치의 이러한 위치로 인해, 또한 축전지로 인해, 스테이플링 장치를 다루는 데는 아주 약간의 토크만이 필요하고, 약간의 힘만 들여도 스테이플링 장치를 다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의 하나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의 손잡이부 상의 축전지 배치에서, 축전지로부터 모터까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모든 전원 공급 라인이 손잡이 내에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의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는 전기 모터는 브러시리스 DC 모터로 설계될 수 있다. 마모가 발생하기 쉬운 브러시가 없으면, 서비스 수명이 길어지고 모터를 유지 보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브러시가 없다는 것은 모터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인체공학적 관점에서만 그리고 손잡이 내에 모터를 수용할 수 없도록 손잡이부를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생산 및 포장 분야에서 공업용으로 휴대용 이동식 스테이플링 장치용 드라이브로서 모터를 사용하여 스테이플을 토출하는 양태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비해 독립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특히,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와 관련하여 독립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플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기의 가속 경로에 대한 전기 모터의 회전축은 60° 내지 120°의 범위에서 선택된 각도이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90°의 각도라는 점에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유리한 인체공학적 디자인이 또한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축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두 개의 축은 서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축 사이의 상기한 각도는 하나의 축을 다른 축 방향으로 투사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전원 공급 수단은 손잡이의 일단의 영역 내에,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원 공급 수단이 교환 가능한 축전지로 선택되고, 신속한 연결, 예를 들어, 멈춤쇠(detent) 또는 스냅 연결(snap connection)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축전지용 리셉터클은 하우징의 손잡이부의 자유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과 축전지 사이의 전기 접촉은 리셉터클에 통합된 접촉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전원 공급 수단과 전기 모터 사이의 특히 짧은 배선을 달성한다. 이는 스테이플러의 조립과 수리 모두를 용이하게 한다. 짧은 배선은 또한 배선의 약간의 전기 저항을 의미하며, 이는 전기 손실을 줄이고, 스테이플링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축전지의 에너지 함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손잡이부의 자유 단부에서의 축전지의 무게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양호한 균형을 제공한다. 축전지의 무게는 또한 스테이플링 장치의 토출 기구 또는 토출기 장치에 대한 평형추(counterweight)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물체에 스테이플, 특히 대체로 U자형인 스테이플을 박기 위해 제공되는 제 8 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의 경우, 매거진의 충전을 단순화하는 과제가 마찬가지로 해결된다. 이러한 과제는, 매거진 내에 수용된 스테이플의 공급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해 제공되는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 또는 충전 레벨 신호 수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자는 매거진이 비워질 것인지를 항상 인식하거나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거진이 예기치 않게 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인된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매거진을 충전하기 위한 스테이플은 일반적으로 서로 붙어있는 특정 수의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블록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스테이플 블록은 따라서 스테이플 수와 스테이플 크기에 따라 특정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 이외에, 적어도 대략 스테이플링 장치에 적합한 스테이플 블록의 길이인 마킹이 매거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가 마킹에 도달하면, 매거진에 새로운 스테이플 블록을 추가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매거진 내에 있다. 매거진의 길이 및 스테이플 블록의 길이에 따라, 매거진의 단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마킹은 스테이플 블록의 길이의 정수 배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가 의해 마킹에 도달하면, 정수 배수(N = 1, 2, 3 등)에 대응하여, 다수의 스테이플 블록이 매거진에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신호가 전송된다. 따라서,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 및 마킹에 의해, 스테이플 공급이 끝나갈 때마다 용이하게 매거진을 완전히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충전 공정 사이의 작업 사이클이 가능한 한 길어질 수 있고, 따라서 비생산적인 충전 공정의 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 및 메인 하우징부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스테이플, 못,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 요소를 가속화하기 위해 그리고 물체에 이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해, 유체, 특히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구는, 예를 들어, 가구에 가죽 커버와 같은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가구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판지 상자의 바닥 또는 상부 커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용 분야에 따라, 스테이플러는 기본 설계 배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압식 스테이플러는 실린더 내에서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을 항상 포함한다. 고정 요소를 박기 위한 요소는 피스톤의 이동 경로 내부에 위치하고, 매거진 장치로부터 고정 수단의 드라이브 트랙으로 유입되는 고정 요소와 접촉하여 이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두 가지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수단을 갖고, 이에 따라 하나의 모드에서는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고정 요소의 단일 샷을 유발하고, 다른 모드에서는, 트리거가 작동되고 및/또는 네일 건의 접촉면 영역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의 기계적 접촉이 표면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한,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다수의 연속 샷을 유발하는, 고정 수단인 못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압식 공구가 알려져 있다.
또한, 판지 상자 속으로 삽입된 스테이플의 레그를 구부리는 펜치 요소를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이플링 장치는 특히 판지 상자를 닫기 위해, 특히 판지 상자의 커버 플랩을 닫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면,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가 이미 판지 상자를 뚫었을 때, 토출된 두 개의 레그가 달린 스테이플을 펜치 요소로 잡고, 각각의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해, 펜치 요소의 동작에 대해 토출 동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는 예를 들어 EP 2 679 344 A2에 공지되어 있다. EP 2 679 344 A2의 판지 상자 스테이플러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다른 스테이플러와 달리 전기적으로 작동하며 공압식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EP 2 679 344 A2의 스테이플러는 이러한 목적으로, 축전지에 의해 구동되고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에 통합된 DC 전기 모터를 갖는다. 전기 모터와 이의 축전지는, 스테이플러의 손잡이와 스테이플 공급용 매거진 사이에서 매거진 바로 옆에 위치하는, 스테이플러의 하우징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스테이플러에서, 스테이플이 물체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없다는 단점이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테이플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하는 관점에서 품질을 개선한,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를 생성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과제는, 방출된 광이, 스테이플러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U자형 스테이플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위치하는, 하우징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순간적인 공간 방향으로 인해, 적어도 스테이플링 장치가 스테이플, 특히 대체로 U자형인 스테이플을 토출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조작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광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스테이플링 공정 동안 스테이플이 또한 이를 위해 지정된 위치에 있는 물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작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를 종래보다 더욱 잘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물체의 방향으로 지향성 광선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지향성 광선으로 인해, 특히 정확한 위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전달될 수 있다. 지향성 광선을 방출하는 발광 수단은 예를 들어 레이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광선은,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의 스테이플 면이 연장되는 평면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플 면은 특히 U자형 스테이플의 대칭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베이스 레그의 중간을 통해 연장되고 스테이플의 두 개의 사이드 레그(side leg)에 평행하다. 이러한 정보는, 두 개의 접을 수 있는 커버 플랩이 하나 이상의 스테이플에 의해 결합되어 판지 상자의 커버를 형성하는, 판지 상자의 처리와 관련하여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광선으로 인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광선은 두 개의 커버 플랩 사이의 연결 부위와 정렬될 수 있고, 따라서 모든 경우 각각의 스테이플의 하나의 레그가 두 개의 커버 플랩 각각에 배치되는 공칭 위치에 스테이플링 장치가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대안적인 또는 보충적인 교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이 하우징 조립체 내에 위치하고,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의 스테이플 면이 연장되는 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테이플 면, 즉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스테이플링 장치의 토출 채널이 배치되는 평면에 대한 정보는 마찬가지로 물체에 스테이플을 정확하게 박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발광 수단의 도움으로 중간면(midplane)과 스테이플 면 모두가 표시될 수 있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는 별도로 중요성을 또한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이한 색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발광 수단을 필요로 하거나, 상이한 색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필요로 하며,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상이한 색상은 또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테이플의 토출면에 관한 위치 정보 또는 다른 위치 정보 외에, 하나 이상의 발광 수단은 또한 스테이플링 장치가 스테이플을 토출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러한 각각의 위치 정보에 대해 상이한 색상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는 예를 들어 트리거 상에 있는 조작자의 손가락의 존재 및/또는 스테이플의 토출을 위한 배출구일 수 있는 접촉면 영역에서의 물체의 존재, 또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과 물체 사이의 접촉을 검출하는 것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장치 전방으로 향하는 광선을 방출하는 단지 하나의 발광 수단을 포함한다. 광선은 토출되는 각각의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에,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그의 중간을 통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놓여야 한다. 광선의 이러한 바람직한 방향은 또한, 토출될 특정 비변형 스테이플의 세 개의 레그에 걸쳐 이어지는, 스테이플 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평면에 놓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평면은 바람직하게 두 개의 자유로운 (아직 변형되지 않은) 레그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모든 경우에 이들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이 광선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레이저 광선일 수 있다. 포인트 레이저 외에, 이와 관련하여 특히 관심이 있는 레이저는 방출된 광이 물체 상에 선으로 나타나는 선형 레이저이다. 이 경우 광선은 선형 레이저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이다. 이러한 레이저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제조업체에 의해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광선에 대해 하나 이상의 LED와 같은 다른 광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토출될 각각의 (아직 변형되지 않은) 스테이플의 세 개의 레그에 의해 형성되는 스테이플 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은 바람직하게 이 스테이플 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 이 스테이플 면을 비추고 및/또는 스테이플 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광선을 방출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이러한 발광 수단은 하우징의 측면으로 스테이플용 배출구의 어느 한쪽에 제공된다. 이들 발광 수단은 바람직하게 LED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에 대해 하나 이상의 레이저와 같은 다른 광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두 개의 발광 수단, 즉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플 중심의 위치에 대한 신호를 보내고,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스테이플 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과는 별도로 그리고 제 1 항의 전제부의 특징과 관련하여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해 독립적인 중요성을 또한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독립적인 발명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가 발광 수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수단에 의해 방출된 지향성 광의 방향(방출 방향)을 변경하고 설정할 수 있는 조정 수단이 발광 수단을 위해 제공된다. 발광 수단의 배향된 광선이 가장 정확한 가능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때문에, 레이저는 스테이플링 장치에서의 의도된 방향과 위치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장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조 및/또는 조립 공차로 인해, 레이저, 특히 선형 레이저(라인 레이저)가 홀더 내의 의도된 방향 및/또는 위치를 정확하게 차지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본원에 기술된 조정 수단에 의해, 이러한 부정확성이 수정될 수 있고, 레이저가 원하는 대로 배향될 수 있다. 라인 레이저의 경우, 특히 물체 상에 레이저 광에 의해 형성된 라인의 경로는 이러한 방식으로 변경되고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술된 교시는 또한 레이저 이외의 발광 수단, 예를 들어 발광 수단으로서의 LED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종래의 레이저, 특히 라인 레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레이저의 하우징은 외부 표면을 구비해야 하는데, 이 외부 표면은 원형 단면을 갖고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는 홀더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결합 부재가 하우징 상에 제공되는데, 이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이 홀더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에 의해, 레이저는 다른 방향으로 주어질 수 있고, 따라서 잘못된 방향 또는 배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 요소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조립 동안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조립되고 사용할 준비가 된 스테이플링 장치에서도 작동을 위해 접근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테이플링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그 후에도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가능한 실시형태의 하나의 유리한 변경에서, 결합 요소는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홀더의 리세스를 통해 수동 작동을 위해 접근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결합 요소는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하고 바람직하게 슬롯형 리세스 내에 적어도 약간 클램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요소는 예를 들어 O-링일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 상에 응력 하에 배치된다. 응력은, O-링을 회전시키려고 할 때 O-링과 하우징 사이에서 상대 이동은 발생하지 않지만, 대신 하우징이 O-링의 움직임과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적어도 약간의 클램핑으로 인해, 발광 수단이 홀더 내에서 의도치 않게 움직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하려면 신중한 작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O-링은 회전 운동을 위해 리세스를 통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로써 발광 수단의 하우징은 이의 방향이나 정렬의 변화를 겪고 이에 따라 이동된다.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O-링이 홀더의 리세스에 배치되는 약간의 클램핑 작용으로 인해, 적어도 약간의 마찰력에 대해 회전이 발생하고, 이로써 발광 수단은 매우 작은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발명으로서 중요성을 또한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이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 특히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트리거 상에 놓은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은 바람직하게 작동 트리거 내에 또는 작동 트리거 바로 옆의 하우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트리거 수단 상의 이러한 센서로 인해, 조작자가 트리거 수단과 접촉한 경우 또는 손가락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가 트리거 수단 근처에 있는 경우에만 스테이플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추가 안전 조치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조치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조건 이외에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적합한 검출 수단은 예를 들어 근접 센서, 포토다이오드 또는 포토레지스트일 수 있다.
스테이플링 공정의 수행을 위한 또 다른 조건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신체 부위의 존재에 대한 검출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스위치 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을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도 입증되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은 사용자가 또한 스테이플링 장치를 사용하려고 할 때에만 스위치 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교시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밴드를 이용하여 포장 제품을 스트래핑하기 위한 이동식 스트래핑 장치(strapping device)로서, 이에 의해 이러한 밴드 루프가 신장되고, 이후 신장된 루프 상에 밴드 루프의 폐쇄부가 배치될 수 있는 스트래핑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스트래핑 장치 상에 삽입 위치 및/또는 스트래핑 장치 내의 스트래핑 밴드의 최종 위치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이 이러한 스트래핑 장치의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발광 수단은, 방출된 광이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고, 이 정보에 의해 조작자가 스트래핑 장치 내의 의도된 공칭 위치에 밴드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지시 받도록, 스트래핑 장치의 하우징 조립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플링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트리거에 대한 안전성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해 트리거가 작동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될 때, 트리거는 처음에 제 1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해서만 작동되고, 추가 작동시에만 두 스프링 요소 모두의 스프링력에 대해 트리거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토출의 트리거는 바람직하게 트리거의 작동에 대해 제 2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이 트리거에 작용한 후에 발생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두 스프링 요소 모두는 트리거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지만, 이들은 트리거의 다양한 작동 거리가 이동한 후에만 각각의 트리거 상에서 처음으로 작용한다. 제 2 스프링 요소의 추가 작용으로 인한 갑자기 증가하는 스프링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토출의 트리거가 이제 임박하다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테이플의 토출을 보다 잘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청구범위,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 및 메인 하우징부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고정 수단인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구부릴 수 있는 클린치 장치(clinch device)와, 작동 트리거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스테이플, 못,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 요소를 가속화하기 위해 그리고 물체에 이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해, 유체, 특히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구는, 예를 들어, 가구에 가죽 커버와 같은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가구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판지 상자의 바닥 또는 상부 커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용 분야에 따라, 스테이플러는 기본 설계 배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압식 스테이플러는 실린더 내에서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을 항상 포함한다. 고정 요소를 박기 위한 요소는 피스톤의 이동 경로 내부에 위치하고, 매거진 장치로부터 고정 수단의 드라이브 트랙으로 유입되는 고정 요소와 접촉하여 이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두 가지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수단을 갖고, 이에 따라 하나의 모드에서는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고정 요소의 단일 샷을 유발하고, 다른 모드에서는, 트리거가 작동되고 및/또는 네일 건의 접촉면 영역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의 기계적 접촉이 표면과의 접촉을 검지하는 한,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다수의 연속 샷을 유발하는, 고정 수단인 못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압식 공구가 알려져 있다.
또한, 판지 상자 속으로 삽입된 스테이플의 레그를 구부리는 펜치 요소를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이플링 장치는 특히 판지 상자를 닫기 위해, 특히 판지 상자의 커버 플랩을 닫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면,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가 이미 판지 상자를 뚫었을 때, 토출된 두 개의 레그가 달린 스테이플을 펜치 요소로 잡고, 각각의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해, 펜치 요소의 동작에 대해 토출 동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는 예를 들어 EP 2 679 344 A2에 공지되어 있다. EP 2 679 344 A2의 판지 상자 스테이플러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다른 스테이플러와 달리 전기적으로 작동하며 공압식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EP 2 679 344 A2의 스테이플러는 이러한 목적으로, 축전지에 의해 구동되고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에 통합된 DC 전기 모터를 갖는다. 전기 모터와 이의 축전지는, 스테이플러의 손잡이와 스테이플 공급용 매거진 사이에서 매거진 바로 옆에 위치하는, 스테이플러의 하우징부에 수용된다.
이미 알려진 이러한 스테이플러에서, 트리거의 작동은 물체 상에 장치를 내려놓은 후에만 가능하고, 따라서 이러한 스테이플러로는 작업 속도가 비교적 느릴 수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테이플을 박을 때 작업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 영역에 제공되고, 스테이플링 공정 동안 스테이플을 구부리기 위한 클린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요소는 접촉면에서 나오는,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이러한 검출 수단 및 이에 의해 제공되는 검출 신호는 트리거의 후속 작동 없이도 스테이플을 이용하는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장치의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트리거의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만이 트리거되어 단 하나의 스테이플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한번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이 트리거되어 매번 하나의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또한 해결된다. 상기한 제 2 작동 모드 대신에 또는 제 3 작동 모드로서 보충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추가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소정의 미리 결정된 또는 가변적인 미리 결정 가능한 간격으로 완전히 자동으로 수행되는 모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후자의 작동 모드에서 스테이플의 토출은, 예를 들어, 첫 번째 토출 이후 이러한 한번의 자동 연속 토출의 추가적인 자동 토출을 위한 특정 해제 조건이 존재하는 한 또는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조건은, 예를 들어, 스테이플링 장치가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지지 않았고, 오히려 일련의 스테이플의 자동 토출을 위해 물체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각각의 물체 위로 당겨지거나 안내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플링 장치가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지자마자,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자동으로 발생하는 일련의 스테이플 토출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이플링 장치가 각각의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물체 상에 스테이플링 장치의 존재가 검출되는 한, 자동으로 발생하는 연속 토출이 계속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검출 공정을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는 이러한 해제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물체 상의 스테이플링 장치의 존재가 자동 모드에서 자동으로 발생하는 이러한 일련의 토출의 첫 번째 토출에 대해서만 검출되어야 하고, 이후의 모든 토출은 이러한 검출 없이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 토출 이후의 토출의 수 및/또는 시간 간격과 관련하여, 이들은 바람직하게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저장된 소정의 값에 따라 발생될 것이다. 이 모드에서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의 수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의 최대 값이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 속도를 크게 높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물체 내에 일련의 스테이플을 배치하기 위해, 물체를 가로질러 자동 모드에서 물체 위에 놓여진 스테이플링 장치를 단지 잡아당길 수 있고, 그러면 스테이플은 미리 결정된 또는 미리 결정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토출되고 물체에 박힐 것이다. 각각의 사용자가 스테이플링 장치를 자신의 작업 속도 및 작업 방식 맞출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자동 모드에 대해 티치-인(teach-in) 모드가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사용자가 각각의 트리거 수단 또는 트리거를 연속적으로 두 번 이상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시간 간격을 수신하고 기억한다. 자동 모드의 상기한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은 이러한 시간 간격으로 정확하게 토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교시에 의해, 클린치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해 보다 빠른 작업 방식 또는 보다 쾌적하고 덜 피로한 작업 방식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린치 장치가 장착된 스테이플링 장치의 경우, 여러 번의 연속적인 개별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반자동 모드를 실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트리거 요소의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는 제 2 작동 모드로서 제공되는, 반자동의 여러 번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의 이러한 작동 모드에서는, 조작자가 각각의 이들 스테이플링 공정에 대해 트리거 요소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필요 없이, 각각의 클린치 공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트리거 요소는 한번만 작동시키면 된다. 자동 모드와 대조적으로, 반자동 모드에서는, 각각의 첫 번째 스테이플 토출 이후 스테이플 토출을 트리거하기 위해, 이는 자동 모드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고, 반자동 모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하나의 가능한 조건은, 예를 들어, 트리거가 계속 작동될 때 일련의 스테이플의 반자동 토출을 수행하기 위해 스테이플 토출 이후 스테이플링 장치가 반드시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져야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플링 장치가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지지만 트리거의 작동에 의해 물체 상에 다시 놓여지지 않으면,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일련의 반자동으로 발생하는 스테이플 토출을 정지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를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는 이러한 해제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반자동적 발생하는 스테이플 토출은 작동을 종료시킴으로써, 특히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트리거 수단 이외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될 때 두 가지 작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서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해제 신호를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는 해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세 가지 가능한 작동 모드, 즉 수동 모드, 반자동 모드 및 자동 모드가 제공되며, 세 가지 모든 작동 모드에서, 해제 수단은, 각각의 스테이플이 토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우 다음 스테이플이 토출을 위해 해제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제 수단은 특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따라서 스테이플링 공정은 안전 관련 조건이 충족될 때만 수행될 수 있다. 해제 수단은 따라서 접촉면 영역에서의 물체의 존재, 특히 접촉면과 물체 사이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플을 이용하는 스테이플링 공정은 검출 수단에 의해 접촉면 영역에서 물체를 검출할 때만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접촉 해제 수단, 즉 접촉면 영역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최소의 기계적 접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접촉 검출 장치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접촉면에서 물체, 특히 접촉면과 각각의 물체 사이의 접촉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이론적으로 다양한 검출 원리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물체가, 광 송신기에 의해 방출되어 광 수신기에 의해 검출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표면의 역할을 하는, 광 검출 수단, 특히 예를 들어 광 송신기 및 광 수신기를 갖는 것들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검출 수단이 가능하다. 추가의 검출 수단은, 예를 들어, 물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포토레지스트, 초음파 거리 센서, 근접 센서 및 다른 센서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경은 접촉면 영역에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된 검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검출 수단 중 하나가 이 검출 수단 아래에 있는 물체의 존재, 특히 물체와의 접촉을 인식하고 해당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제공한 경우, 굽은 물체와 같이 평평하지 않은 물체는 이미 스테이플링 공정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일한 실시형태 또는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수단 모두는 스테이플링 공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가능 신호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테이플이, 각각의 스테이플 레그의 구부림과 함께 접촉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갖는 물체에 박힐 필요가 있는 한, 이는 스테이플링 공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검출 장치 모두가 각각의 검출 수단 영역 내의 물체의 존재를 제공해야 하는 기능적 안정성의 증가에 크게 기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는 배출구의 두 개의 짧은 측면 에지 중 하나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검출 수단 중 하나의 검출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스테이플의 두 레그 모두(하나의 레그만이 아니라 두 레그 모두)가 각각의 물체를 관통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실제 트리거 수단에 추가하여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수단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가능한 작동 모드로서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 설정될 수 있는 반자동 모두와 관련하여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검출 장치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반자동 모드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은, 가능한 스테이플링 공정의 반자동 사이클의 초기 트리거 이후, 접촉면이 또한 물체 상에 실제로 위치하거나 적어도 물체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발생할 것이다. 또한, 접촉면 영역에 존재하는 물체 또는 접촉면과 물체의 접촉에 대해 반자동 모드에서 각각 확인된 검출 결과는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을 가능하게 하고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스테이플링 공정의 후속 수행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이 사이클에서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을 위해, 접촉면 영역에서 물체의 부재를 먼저 검출하고, 이후 다시 한번 접촉면 영역에서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토출을 해제하기 위해 각각 주어진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된 후에, 스테이플의 토출은 소정의 시간 지연으로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두 가지 조건, 즉 트리거 상의 신체 부위 및 스테이플용 배출구 아래에 있는 물체의 존재의 검출과 관련된 존재가 있을 수 있다. 두 물체 모두가 모두 검출되면, 스테이플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토출은 트리거되고, 예를 들어, ... ms 내지 ... ms 범위의 시간 지연으로 발생될 것이다. 스테이플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올 때 스테이플링 장치가 실제로 물체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간 지연은 더 큰 안전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검출 수단으로 인해, 검출 수단이 물체에 가까워지면서 아직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접촉을 이미 존재하는 것을 잘못 검출하고, 따라서 스테이플의 토출이 너무 일찍 발생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토출 조건이 달성될 때 토출을 위한 짧은 지연을 제공하는, 기술된 바람직한 교시에 의해, 추가로 증가된 작업 속도에도 불구하고, 검출 수단의 이러한 거동이 상쇄될 수 있고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연의 길이는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조정 가능하다. 대안으로, 고정적이고 변경 불가능한 시간 지연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 및 메인 하우징부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quick lock)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carrier piece)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스테이플, 못,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 요소를 가속화하기 위해 그리고 물체에 이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해, 유체, 특히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구는, 예를 들어, 가구에 가죽 커버와 같은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가구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판지 상자의 바닥 또는 상부 커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용 분야에 따라, 스테이플러는 기본 설계 배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압식 스테이플러는 실린더 내에서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을 항상 포함한다. 고정 요소를 박기 위한 요소는 피스톤의 이동 경로 내부에 위치하고, 매거진 장치로부터 고정 수단의 드라이브 트랙으로 유입되는 고정 요소와 접촉하여 이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두 가지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수단을 갖고, 이에 따라 하나의 모드에서는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고정 요소의 단일 샷을 유발하고, 다른 모드에서는, 트리거가 작동되고 및/또는 네일 건의 접촉면 영역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의 기계적 접촉이 표면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한, 트리거의 각각의 작동이 다수의 연속 샷을 유발하는, 고정 수단인 못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압식 공구가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요소가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는 단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요소의 사용자 친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작동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한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및/또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멤브레인 키패드 요소(membrane keypad)로서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키패드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 중앙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공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요소를 가능한 한 많이 포함하고, 이를 멤브레인 키패드로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경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단일 토출 작동 모드 및 트리거의 단 한번의 작동 이후 여러 번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반자동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스위치 온된 작동 모드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작동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키패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작동 모드 대신에 또는 제 3 작동 모드로서 추가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물체 상에 스테이플링 장치의 존재가 검출되는 한, 추가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소정의 미리 정해진 또는 가변적인 미리 결정 가능한 간격으로 완전히 자동으로 수행되는 이러한 모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작업 속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인체공학 및 기능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멤브레인 키패드 장치 상에 제공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가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의 축전지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한,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또한, 특히 디스플레이 수단의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 의해, 특히 색의 변화 및/또는 점멸 모드로의 변화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방출된 광이, 스테이플러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U자형 스테이플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위치하는, 하우징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발광 수단은, 광을 방출하지 않고, 준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의 실제 스위치 온은 이후 바람직하게 또 다른 조건이 충족된 후에만, 예를 들어, 조작자가 자신의 손 또는 손가락을 스테이플링 장치의 특정 위치에 놓은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해, 트리거 예를 들어 근접 센서 상에 또는 그 근처에 검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 상에 배치되는 작동 준비 디스플레이 수단은 발광 수단의 작동 준비에 대한 신호를 보낼 수 있고, 그 결과 더 이상의 별도의 스위칭 과정 없이 발광 수단이 스위치 온되고, 발광 수단이 스위치 온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조건의 이행에만 달려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예를 들어, 멤브레인 키패드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 있다. 이는 또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의 측면 표면, 특히 경사진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조작자가 또한 경고 또는 오작동 신호를 즉시 의식하고 인지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으로 바람직한 작업 위치가 달성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 및 메인 하우징부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스테이플, 못,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 요소를 가속화하기 위해 그리고 물체에 이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해, 유체, 특히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고정 수단을 박기 위한 이러한 공구는, 예를 들어, 가구에 가죽 커버와 같은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가구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판지 상자의 바닥 또는 상부 커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용 분야에 따라, 스테이플러는 기본 설계 배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압식 스테이플러는 실린더 내에서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을 항상 포함한다. 고정 요소를 박기 위한 요소는 피스톤의 이동 경로 내부에 위치하고, 매거진 장치로부터 고정 수단의 드라이브 트랙으로 유입되는 고정 요소와 접촉하여 이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판지 상자 속으로 삽입된 스테이플의 레그를 구부리는 펜치 요소를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이플링 장치는 특히 판지 상자를 닫기 위해, 특히 판지 상자의 커버 플랩을 닫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를 사용하면,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가 이미 판지 상자를 뚫었을 때, 토출된 U자형의 두 개의 레그가 달린 스테이플을 펜치 요소로 잡고, 각각의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해, 펜치 요소의 동작에 대해 토출 동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는 예를 들어 EP 2 679 344 A2에 공지되어 있다. EP 2 679 344 A2의 판지 상자 스테이플러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다른 스테이플러와 달리 전기적으로 작동하며 공압식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EP 2 679 344 A2의 스테이플러는 이러한 목적으로, 축전지에 의해 구동되고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러에 통합된 DC 전기 모터를 갖는다. 전기 모터와 이의 축전지는, 스테이플러의 손잡이와 스테이플 공급용 매거진 사이에서 매거진 바로 옆에 위치하는, 스테이플러의 하우징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면, 모터의 하우징부로 인해 매거진을 쉽게 관리할 수 없는 것이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특히, 모터의 하우징부는, 예를 들어,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의 남은 수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스테이플러를 사용할 때 매거진을 자유롭게 보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토출 채널에 걸린 스테이플은 시간 소모적인 방식으로 토출 채널로부터 제거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거진 장치가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가능하면 신속하게 토출 채널에 걸린 스테이플을 제거하고 스테이플링 장치를 다시 작동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산업적으로 또는 상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신속 잠금장치가, 캐리어 피스 상에 매거진을 설치하는 동작 동안, 서로 평행하지 않은 두 개의 다른 방향으로 매거진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바람직하게는 매번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 방향으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유형의 스테이플링 장치에서 해결된다. 바람직하게, 스테이플링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 매거진은 또한 이들 두 개의 평행하지 않은 종축을 따라, 그러나 역순으로 그리고 반대 이동 방향으로 매거진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제거될 수 있다. 매거진의 제거와 설치를 위해, 이동이 각각의 경우 두 개의 다른 축 또는 이동 방향을 따라 가능할 때만 특히 유리하다. 설치와 제거를 위한 동작은 명확하게 변함없는 것이고 또한 간단하고 신속한 동작이므로, 매거진은 신속하게 제거하고 다시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과제는 또한 제 15 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이 경우, 매거진을 설치하는 동작 동안 매거진을 상호 수직인 두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특히 사용자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방향 중 하나가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에 평행하게 또는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제거 과정 동안, 접촉면에 평행하게 수행된 이동이 수행될 제 1 이동이고 스테이플링 장치 자체에 의해서도 제 2 이동이 수행될 수 있는 경우, 매거진의 제거는 작업 중인 물체로부터 들어올려 제거할 필요 없이 물체 상의 작업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두 가지 동작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 정지부(end stop)에 의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이는 먼저 수행되는 동작일 것이고, 따라서 조작자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자는 적절한 장소에서 제 1 동작에서 제 2 동작으로 넘어가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접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신속 잠금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 레버 또는 신속 잠금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 매거진의 양측 영역에서 접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특히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하면서도 기능적으로 안전한 신속 잠금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회전 레버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사전 인장되고 또는 사전 인장될 수 있고, 매거진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레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레버의 잠금 러그(locking lug)는 잠금 위치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능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회전 레버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에 배치되고, 매거진의 대응 요소와 상호작용한다. 이 경우 특히 유리한 해결책은 대응 요소가, 매거진이 삽입된 상태에서 토출 채널의 한 측면 상의 토출 채널, 바람직하게는 매거진 측의 토출 채널의 측면과 경계를 이루는, 매거진 상에 배열된 플레이트일 때이다.
신속 잠금장치가, 매거진을 해제하도록 설계된 해제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매거진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체 잠금 수단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기능적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체 잠금은 이러한 시도가 이루어질 때 매거진의 유지력을 더욱 증가시키거나 형태 맞춤(form fit )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자체 잠금의 몇 가지 가능성 중 하나는, 예를 들어, 해제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매거진을 제거하려고 시도할 때, 매거진이 신속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수단인 회전 레버를 해제 방향 반대로 돌리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청구범위,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순전히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움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 링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테이플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테이플링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의 매거진의 총검(bayonet)형 배열 및 안내를 위한 가이드를 갖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스테이플링 장치 내로 매거진을 삽입하는 동안의 도 4에 따른 도면이고;
도 6은 매거진이 단부 위치에 있는 도 5에 따른 도면이고;
도 7은 매거진을 삽입하는 동안 아래로부터 스테이플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매거진을 더 삽입한 도 7에 따른 도면이고;
도 9는 매거진이 단부 위치에 있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도면이고;
도 11은 가이드에서 매거진을 제거하기 시작한 도 10에 따른 도면이고;
도 12는 매거진을 더 제거한 도 9 및 도 11에 따른 도면이고;
도 13은 토출기용 차단 장치를 구비한 도 1의 스테이플링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해제 위치에 있는 도 13의 차단 장치를 도시하고;
도 15는 차단 위치에 있는 도 13 및 14의 차단 장치를 도시하고;
도 16은 차단 위치에 폴(pawl)이 있는 차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매거진 장치 상에 배치된 마킹 장치를 갖는 도 1의 스테이플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스테이플이 더 소모될 때의 마킹 장치를 도시하고;
도 19는 매거진에서 거의 모든 스테이플이 소모된 마킹 장치를 도시하고;
도 20은 위치설정 보조기(positioning aid)로서의 발광 수단의 광선을 나타낸 스테이플링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스테이플링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홀더 내의 도 20 및 도 21의 발광 수단을 도시하고;
도 23은 도 22의 단면도이고;
도 24는 두 개의 추가 발광 수단으로부터 스테이플링 장치의 측면에서 나오는 두 개의 광선을 나타낸 스테이플링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배면도이고;
도 26은 도 20 내지 도 25의 두 개의 발광 수단으로부터 서로 수직으로 배향된 두 개의 광선 평면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서로 정렬된 광 평면을 방출하는 두 개의 발광 수단을 도시한 스테이플링 장치의 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대안적인 발광 수단 및 두 개의 광 샤프트(light shaft)를 갖는 도 27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측면도이고;
도 30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헤드 영역을 도시하고;
도 31은 트리거 및 트리거의 작동력에 대항하는 두 개의 스프링 요소를 갖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2는 작동 초기 단계의 트리거 및 하나는 트리거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트리거에서 이격된, 두 개의 스프링 요소를 나타낸 도 31의 부분도이고;
도 33은 두 스프링 요소 모두가 트리거에 지지되는, 작동 후반 단계의 트리거를 나타낸 도 32에 따른 도면이고;
도 34는 접촉면 영역에서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두 개의 기계적 검출 수단(접점 스위치)을 구비하는 스테이플링 장치를 각각 나타낸 세 개의 정면도로서, 검출 수단은 두 개의 부분 절단도에서 다른 검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표면에 고정 수단, 특히 스테이플을 박기 위해 산업 또는 상업 분야에서 제공되는 휴대용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러(1)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는 스테이플을 몰아내거나 토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우징은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부(2)와 손잡이부(3)를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부(2)에는, 스테이플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매거진 장치(4)가 배치된다. 메인 하우징부(2)의 내부에는, 가속 경로에서 매거진 장치(4)로부터 맨 앞에 있는 스테이플에 부딪치고, 이를 가속화하며, 이를 토출 채널(9)과 이의 배출구(10)로부터 밀어내는, 모터(7)에 의해 구동되는 토출기(8)를 포함하는 토출 기구(6)가 배치된다. 배출구(10)는, 모터 구동 방식으로 스테이플러(1)를 사용하여 각각의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해 스테이플러(1)가 물품 또는 물체 상에 놓인 실질적으로 평평한 접촉면(11)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스테이플링 장치는 판지 상자를 닫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두 개의 소위 클린처(clincher, 14)(도 3)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각의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해, 자신이 수행하는 동작이 토출기(8)의 동작과 동기화되고 자신의 동작에 의해 판지 상자에 박힌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주조 가능한 또는 사출 성형 가능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조립될 수 있는 두 개의 절반부를 갖는다. 각각의 하우징 절반부는 따라서 메인 하우징부(2)의 일부와 손잡이부(3)의 일부를 갖는다.
메인 하우징부(2) 내에 위치하는 토출 기구(6)는 편심 캠이 장착된, 모터(7)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요소를 포함한다. 캠은 직선으로 이동하는 리프팅 요소의 슬라이드 내로 안내된다. 리프팅 요소는, 이동 방향의 반전이 각각 발생하는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도록 직선으로 안내된다. 리프팅 요소 상에 제공되는 캠용 슬라이드는 리프트 축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1 슬라이드 세그먼트 및 리프트 축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인접한 제 2 슬라이드 세그먼트를 갖는다.
리프팅 요소에는, 하나의 단부에 의해 전달 로드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는 마찬가지로 리프팅 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요소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 요소의 하단에는 토출기가 위치하고, 이는 리프팅 요소 및 가이드 요소와 함께 이동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진동 운동을 수행한다. 모터 구동 경로에 있는 토출기는, 가이드 요소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토출기의 단부에 의해 그리고 여기에 제공된 단부면에 의해, 각각 토출 채널 내에 위치하는 스테이플 공급의 맨 앞의 스테이플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레버 기어(2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클린처(14)가 가이드 요소에 연결된다. 각각의 클린처(14)는 이의 자유 단부에 블레이드(14a)를 갖는데, 이는 각각의 클린처(14)의 회전 운동에 의해 토출기(8)의 토출 스트로크 동안 물체, 여기서는 판지 상자를 관통하고, 스테이플의 두 개의 U자형 레그 중 하나를 스테이플(12)의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판지 상자로부터 쉽게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12)의 하나의 레그가 판지 상자의 두 개의 접을 수 있는 플랩 중 하나를 관통하고 이에 의해 판지 상자가 닫힐 수 있도록, 판지 상자 상에 이의 접촉면(11) 옆에 배치된다. 클린처(14)가 스테이플(12)의 레그를 구부린 후, 클린처(14)는, 판지 상자 및 판지 상자의 두 개의 플랩 하부에 도달한 동일한 경로 상의 링크 요소 및 가이드 요소의 상향 스트로크 동안, 판지 상자로부터 다시 뒤로 회전한다. 따라서 링크 요소의 하향 및 상향 스트로크 동작은 따라서 동일한 직선 경로를 따르지만 이동 방향은 반대이다. 여기서 이동은 링크 요소의 가이드 채널의 중심에 위치하는 공통 종축을 따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 기구(6)는 이 경우 모터, 즉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를 위해, 브러시리스 DC 전기 모터(7)는 손잡이부(3)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손잡이부(3)는, 사용자가 스테이플링 장치를 사용하고 이를 수동으로 안내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손이 움켜잡도록 설계된 하우징의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전기 모터(7)는, 적어도 길이 방향 연장부의 일부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손과 손가락이 움켜잡도록 설계되고 제공되는, 대략 손잡이부가 외부에 그립(3a)을 갖는 부위에서 손잡이부(3) 내부에 위치한다. 그립(3a) 영역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3)를 잡고, 이러한 방식으로 집게손가락으로 그립(3a) 영역에 위치하는 트리거(29)를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29)는 모터(7)와 파워 보드(25) 바로 옆에 위치한다. 트리거(29)를 작동시킴으로써, 스테이플의 토출이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모터(7)를 제어하고 모터 전류를 조절하도록 설계된 파워 일렉트로닉스 보드(25)는 손잡이부(3) 내에 위치한다. 손잡이부(3)에는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충전식 축전지(26)를 위한 리셉터클이 또한 이의 자유 단부 영역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파워 일렉트로닉스 보드(25)는 축전지(26)와 전기 모터(7) 사이에 위치한다. 축전지(26)와 파워 일렉트로닉스 보드(25) 사이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 보드(25)와 전기 모터 사이의 배선(30)에 필요한 배선(30)도 하우징의 손잡이부(3) 내에 위치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모터의 회전축(7a)은 스테이플러의 접촉면(11)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다. 마찬가지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모터의 회전축(7a)은 적어도 대략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정확하게, 스테이플을 위한 가이드 또는 토출 채널의 종축(13) 및 리프팅 요소의 직선 운동 축(13)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전기 모터는 유성 기어(27)에 부착되며, 이에 의해 각각의 모터 속도가 감소된다, 즉 느려진다. 기어의 출력측에서 모터 회전축(7a)에 연결된 유성 기어(27)의 회전축은 모터 회전축(7a)과 정렬된다. 기어의 출력측에서의 구동 운동은 토출 기구의 크랭크를 구동하고 또한 토출 기구(6)를 통해 토출기(8)와 클린처(14)를 구동한다. 모터 회전축(7a)은, 기어(27) 또는 전기 모터(7)로부터 토출 기구(6)까지의 모터 회전 운동의 적용 지점과 동일한, 접촉면(11)으로부터의 거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는 별도로 그 자체의 중요성을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 양태를 갖는다. 이 양태는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 특히 손가락의 검출을 위한 검출 수단(31)을 갖는 트리거(29)에 관한 것이다. 이 검출 수단(31)은 트리거(29)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트리거(29)의 바로 옆에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의 검출을 위한 검출 수단은 근접 센서, 포토다이오드 또는 포토레지스트로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신호 케이블에 의해,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트리거(29)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요소(17, 18)의 스프링력에 대해 작동될 수 있다. 트리거(29)가 작동될 때, 이는 처음에 제 1 스프링(17)의 스프링력에 대해서만 발생하고, 트리거의 추가 작동시에만 제 2 스프링(18)이 트리거(29)에 대한 스프링력으로 작용한다. 트리거(29)의 추가 작동 경로로 인해 제 2 스프링(18)이 트리거(29)의 추가 누름에 대해 압축 스프링으로서 스프링력을 제공하자마자, 두 스프링 요소(17, 18) 모두의 스프링력이 작용하고, 트리거는 이제 두 스프링 요소(17, 18) 모두에 대해 작동되어야 한다.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11) 영역에는, 배출구(10) 옆의 어느 한쪽에 검출 수단(19, 20)이 위치하며, 이에 의해 접촉면(11) 바로 아래 그리고 이에 따라 배출구(10) 아래에 있는 물체의 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두 검출 수단(19, 20)(센서) 모두는 스테이플링 장치가 스테이플(12)이 전달될 수 있는 물체 내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제어 수단이 스테이플(12)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두 검출 수단(19, 20) 모두가 물체를 검출하고, 각각 대응 신호를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당하는 물체가 없는 상태에서 스테이플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사람을 다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배출구(10)의 각각의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19, 20)을 가짐으로써, 배출구(10) 전체 또는 이의 일부만이 물체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또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수단(19, 20)은 배출구(10)의 길이보다 큰, 서로에 대한 간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물체 내에 하나의 레그만이 삽입됨으로써, 의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개의 검출 수단(19, 20)은 바람직하게 광학 센서로 설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계적 센서 또는 다른 기능 원리에 기초한 센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광학 센서 이외에, 예를 들어, 광을 방출하고 방출된 광의 반사를 검출하는 센서가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근접 센서는 오랫동안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어 왔고, 따라서 그 구성에 대해서는 더 이상 논의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면은 또한 접촉면(11)의 광학적 검출 수단 대신에 검출 수단(119, 120)으로서 기계식 접촉 스위치가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포함한다. 이들 검출 수단(119, 120)은 광학적 검출 수단(19, 20)이 제공되는 접촉면(11)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는 별도로 그 자체의 중요성을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 양태를 갖는다. 이 양태는, 트리거(29)의 각각의 작동에 대한 (오직) 하나의 스테이플의 단일 샷 모드 외에, 반자동 모드 및/또는 완전 자동 모드의 설정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반자동 모드는 버튼, 여기서는 멤브레인 키패드(33)의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스테이플러의 디스플레이/제어 장치에서 매번 스위치 온/오프될 수 있다. 트리거(29)의 단 한번의 작동 이후, 반자동 모드를 스위치 온함으로써, 스테이플링 공정은 개별적인 자동 발생 스테이플링 공정에 대해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한 매번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은 특히 트리거(29)의 검출 수단(36)이 손가락을 검출하고 검출 수단(19, 20)이 배출구(10) 영역에서 물체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검출 수단(19)의 이러한 검출 신호가 없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플(12)에 대해 해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출 신호로 인해 첫 번째 스테이플이 해제되고 따라서 토출되면, 추가 스테이플의 출력을 위해 이 작동 모드에서 트리거를 더 이상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반자동 모드에서 스테이플링 공정의 트리거를 위한 조건은, 예를 들어, 접촉면이 물체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검출 수단이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반자동 모드에서 첫 번째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한 후, 이는 또한 검출 수단(19, 20)이 접촉면(11)을 물체로부터 중간에 제거하는 것을 검출하고 이후 접촉면(11) 영역의 물체의 존재를 다시 한번 검출하는, 반자동 모드에서의 동일한 연속 토출의 후속 스테이플링 공정을 위한 조건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테이플러가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져서 다시 내려진 것을 검출해야 한다. 또한, 조작자가 트리거 위에 손가락을 놓았지만 조작자가 트리거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 검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트리거(29)가 중단 없이 작동되는 경우 일련의 스테이플 토출이 반자동 모드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광학 근접 센서와 같은 검출 수단은, 특정 센서가 각각의 물체에 바로 옆에 있지만 스테이플링 장치와 물체 사이에 아직 접촉이 없을 때, 물체의 존재에 대한 신호를 이미 보낼 수 있다. 반자동 모드에서, 즉 스테이플링 장치가 이의 접촉면(11)에 의해 물체 상에 아직 완전히 위치하지 않았을 때마다, 스테이플이 너무 일찍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검출 신호 이후 시간 지연이 각각의 스테이플 토출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시간 지연은 제어 시스템 내의 고정된 시간 값으로 저장되거나,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조작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특히 소정 범위의 시간 값에서 조정될 수 있다. 가능한 시간 지연은 예를 들어 5 밀리초 내지 350 밀리초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밀리초 내지 200 밀리초 범위의 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50 밀리초의 값이 제공된다.
각각의 개별 스테이플 토출을 위해 트리거의 작동이 각각 필요한 수동 작동 모드 외에, 반자동 모드에 추가하여 (완전) 자동 모드가 마지막으로 대안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가능하다. 다른 두 가지 작동 모드 대신에 설정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이러한 바람직한 제 3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능 조건의 이행을 검출한 후 그리고 트리거(29)가 작동한 후, 트리거(29)가 작동 상태로 유지되거나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접촉면(11)이 물체 상에 방해하지 않고 존재하는 한, 스테이플은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특정 시간 간격 후에 일련의 스테이플 토출로부터 스테이플의 토출이 발생할 때마다, 스테이플러(1)는 물체를 가로질러 당겨질 수 있고 그렇게 되도록 제공된다. 트리거(29)가 해제되고 및/또는 스테이플러가 물체로부터 들어올려지자마자, 제어 시스템은 추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정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자동 모드와 함께, 한번의 스테이플 토출과 바로 다음의 스테이플 토출 사이의 시간 간격은 변경될 수도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이 간격은 대응하는 입력에 의한 값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1) 상에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추가의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간격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티치-인(학습) 모드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스테이플링 장치에 의해 두 개의 스테이플을 토출하는 시간 간격은 조정 가능한 티치-인 모드에서 저장될 수 있다. 이 간격은 자동 모드에 대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 모드는 사용자의 작업 방식 및 작업 속도에 맞춰질 수 있다.
접촉면(11) 영역에는, 토출 채널(9)의 배출구(10)의 두 개의 짧은 측면 에지 영역에, 검출 수단(36)이 물체의 검출을 위해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검출 수단(36)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가 이의 접촉면(11)에 의해 물체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따라서 스테이플링 공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검출 수단(36)의 검출 신호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전달되고 스테이플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출 수단(36)은 다양한 원리에 의해,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광학적 검출 수단으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비스듬한 저면도에서 삽입된 매거진(37)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매거진에는 스테이플(12)의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토출 채널(9) 방향으로 스프링 장착 푸셔(38)에 의해 눌려진다. 따라서, U자형 스테이플(12)의 맨 앞의 스테이플은 토출 채널(9) 내에 항상 존재하고, 이는 이동 중에 토출기(8)에 의해 잡히고, 가속화되며 배출구(10)에서 빠져 나간다.
이러한 도면의 예시에서, 매거진(37)의 양측에 회전 레버(40)와 이의 회전축(41)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들 회전 레버(40)와 회전축(41)은 신속 잠금장치에 해당하며, 이에 의해 매거진이 스테이플링 장치(1)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신속 잠금장치를 해제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회전 레버(40)는 매거진의 대향 측면에 위치하고, 이 둘 모두는 각각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두 개의 회전축(41)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촉면(11)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회전축(41)은 또한 토출 채널(9)의 종축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면에서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플링 장치의 메인 하우징부는 서로 이격된, 매거진(37)을 위한 두 개의 가이드 몸체(42)를 갖는다. 두 개의 가이드 몸체(42) 각각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매거진을 위한 가이드 요소를 구비한다. 이들의 벽에는, 가이드 몸체(42)는 접촉면(11)에 평행한, 매거진(37)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요소(43)를 구비하며, 이러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부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들 가이드 요소(43)는 가이드 몸체에서 접촉면(1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세스이며, 여기서는 슬롯형 리세스이다. 슬롯형 리세스의 단부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 단부 정지부(43a)의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슬롯형 리세스는 가이드 몸체의 벽의 직사각형 리세스로(44)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인 리세스(44)는 매거진(37)과 스테이플링 장치의 하우징 사이의 명확하게 안내되는 상대 이동을 위한 가이드 요소의 역할도 한다. 리세스(44)의 상단면 벽 경계(44a)는 여기서 접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리세스(44)를 통해 안내되는 이동을 위한 단부 정지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리세스(44)의 하부 개방 직사각형 형상에서 볼 때, 상단면 벽 경계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두 개의 리세스(44) 각각은 가이드 요소(43)로서 접촉면(11)에 평행하게 그리고 토출 채널(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에 인접해 있다. 여기서 단지 예로서 예로서 기술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두 개의 가이드 몸체 각각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동일한 가이드 요소(43, 44)를 갖는다.
매거진(37)은 토출 채널 근처의 측벽(46)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고 앞뒤에 배치된 두 개의 브래킷(47)을 구비한다. 브래킷(47)은 측벽(4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매거진(37)이 스테이플링 장치(1)에 삽입될 때 접촉면(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갖는다. 브래킷(47)은 서로 이격되고, 이들이 가이드 몸체의 가이드 요소(43, 44)의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고 리세스의 각각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그리고 이들 길이 방향 연장부만을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매거진(37)을 스테이플링 장치(1)에 부착하기 위해, 브래킷(47)은 가이드 요소(44)의 하부 개방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따라서 브래킷(47)은, 각각의 브래킷(47)이 가이드 요소(44)의 각각의 리세스의 상단부(단부 정지부)에 도달할 때까지, 접촉면(11)에 평행한 가이드 요소 내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방향은 접촉면(11)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이제, 각각의 브래킷(47)은, 브래킷(47)이 이들 각각의 단부 정지부(43a)에 동시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가이드 요소(43)의 각각의 슬롯형 리세스 내로 접촉면(11)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요소(43)의 슬롯 및 브래킷(47)의 두께는, 각각의 가이드 요소(44) 내의 단부 정지부(44a)에 도달한 후의 브래킷(47)이 가이드 요소(43)의 각각의 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이제 접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매거진(37)을 삽입할 때, 가이드 요소(44)의 리세스 내에서의 매거진(37)의 첫 번째 이동 또는 이의 브래킷(47)의 첫 번째 이동과 가이드 요소(43)의 슬롯 내에서의 브래킷(47)의 두 번째 이동은 따라서 서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스테이플링 장치(1)로부터 매거진을 제거하기 위해, 슬롯은 이제 반대의 이동 방향으로, 그러나 동일한 경로를 따라 나오게 된다. 매거진(37)을 삽입할 때와 제거할 때 모두, 기술된 경로를 따라 매거진(37) 대신 스테이플링 장치(1)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매거진(37)과 스테이플링 장치(1)의 가이드 몸체(42) 사이의 대응하는 상대 이동만이 중요하다.
두 개의 가이드 몸체(42) 각각에서, 회전축(41) 중 하나는 매거진(37) 영역에서 양측에 있는 각각의 가이드 몸체(42)를 통해 안내되고, 바람직하게 압축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스프링 요소(49)는 가이드 몸체(42)에 배치되고 지지된다. 각각의 회전축(41)은 스프링 요소(49)(압축 스프링)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매거진의 동일한 측면의 각각의 스프링 요소(49)보다 작은, 토출 채널(9)로부터의 거리를 갖는다. 각각의 회전축(41)은 스테이플러의 접촉면(11)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또한 토출 채널(9)의 종축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레버(40)는 따라서 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접촉면(1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면에 놓인다. 각각의 회전축(41)은 또한 회전 레버(40) 중 하나를 통해 안내된다.
각각의 가이드 몸체(42)는 매거진(37)과 매거진의 이 측면에 속하는 회전 레버(40) 사이에 위치한다. 이의 외측에서, 각각의 회전 레버(40)는 숄더(shoulder, 50)를 갖는다. 숄더(50)는 스테이플링 장치(1)의 캐리어 몸체의 표면에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따라서 스테이플링 장치(1) 내의 매거진(37)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두 개의 회전 레버(40) 각각은 매거진(37)의 방향으로 토출 채널측에서 이의 단부가 만곡되고, 성형된 단부면(45)을 구비한다(도 7 내지 12).
스테이플링 장치(1)는, 매거진측 개구 영역에 있고 또한 매거진(37)이 삽입되어 될 때 매거진 측에서 토출 채널(9)과 경계를 이루고 매거진(37)의 일부가 되는 리어 플레이트(rear plate, 51)를 갖는다. 리어 플레이트(51)는 스테이플(12)이 저장되는 매거진(37)의 레일을 넘어 양측으로 연장된다. 리어 플레이트(51)의 측면 표면은 대략 배출 채널측의 회전 레버(40)의 단부 높이에 위치한다. 회전 레버 단부의 단부면(45)은 각각 둔각을 이루는 두 개의 부분 표면(40a, 40b)을 구비하고, 이들은 리어 플레이트(51)의 각각의 측면 표면(51a)과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플 걸림으로 인해, 스테이플링 장치(1)에 고정된 매거진(37)을 해제하고 이를 제거하거나, 매거진(37)을 재충전하기 위해, 먼저 두 개의 회전 레버(40)는 이들 각각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그리고 스프링 요소(49)의 스프링력에 대해 작동되어야 한다. 삽입된 매거진(37)이 신속 잠금장치에 고정된 경우, 회전 레버(40)의 후방부(40c)는 각각의 가이드 몸체(42)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다. 이들 회전 레버부(40c)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의 형태로 스프링 요소(49)에 의해 가이드 몸체(42)로부터 멀리 밀린다. 회전 레버(40)의 결과적인 회전 운동은, 캐리어 몸체 또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 레버(40)의 숄더(50)의 단부 정지부에 의해 매번 제한된다. 회전 레버(40)의 작동은 이제 먼저 스프링력에 대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유발하고, 따라서 회전 레버(40)의 후방부(40c)는 도 7, 도 8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몸체(42)에 지지된다. 회전 레버(40)의 전단부의 성형된 단부면은 리어 플레이트(51) 상의 이들의 동일한 잠금 위치로부터 리어 플레이트(51)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여기서 서로를 향해 경사진 회전 레버(40)의 성형된 단부면의 두 개의 부분 표면(40a, 40b)은 리어 플레이트의 단부면의 에지 영역에 대해 밀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거진(37)은 가이드(가이드 요소(43, 44))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 해제되고, 따라서 신속 잠금장치는 풀린다.
한편, 회전 레버(40)의 각각의 단부면이 리어 플레이트(51)의 단부면(51a)에 지지되고 신속 잠금장치가 손으로 해제되지 한, 신속 잠금장치는 자체 잠금에 의해 잠긴다. 매거진(37)을 당기면, 회전 레버(40)의 전단부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리어 플레이트(51)는, 신속 잠금장치를 풀 때 회전 방향에 대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두 회전 레버(40) 모두를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매거진측의 리어 플레이트(51) 상의 캐리어측 또는 하우징측의 회전 레버(40)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을 증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속 잠금장치가 풀린 후, 매거진(37)은 접촉면(11)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이동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방향은 가이드 요소(43)의 슬롯 및 내부에 안내된 브래킷(47)에 의해 결정된다. 이동은 브래킷(47)이 가이드 요소(44)의 리세스의 측면 경계 벽에 부딪치자마자 정지된다. 이 위치에서, 모든 브래킷(47)은 이들의 상단부에서 가이드 요소(44)의 리세스 내부에서 전체 길이 방향 연장부와 함께 위치한다. 리세스의 개방 하단부를 향한 가이드 요소(44)의 리세스 내부에서의 브래킷(47)의 이동 또는 대안적으로 브래킷(47)을 따른 리세스의 이동에 의해, 매거진(37)은 스테이플링 장치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매거진(37)을 제거하는 간단하고 안전한 선택은 스테이플링 장치(1)를 이의 접촉면(11)과 매거진(37)의 바닥에 의해 베이스에 지지되도록 배치하고 회전 레버(40)를 작동시키는 것인데, 이는 신속 잠금 레버라고도 할 수 있다. 이후, 매거진(37)은 브래킷(47)의 단부 정지부까지 제 1 방향으로 접촉면(11)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후, 스테이플러는, 가이드 요소(44)의 리세스가 브래킷으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접촉면(11)에 수직으로 매거진에 대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매거진(37)은 이제 스테이플링 장치(1)에서 분리되어 자유롭게 접근될 수 있다.
매거진(37)을 스테이플링 장치(1) 에 삽입하기 위해, 매거진(37)과 스테이플링 장치(1) 사이의 상기한 이동은 이제 역순으로 그리고 반대 이동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도 10, 도 11 및 도 12). 매거진(37)은 아래에서부터 가이드 요소(44)의 리세스로 이의 브래킷(47)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접촉면(11)에 수직인 매거진(37)의 이동에 의해, 브래킷(47)은 리세스에 삽입되어 제 1 단부 정지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매거진(37)은 토출 채널(9)의 방향으로 제 1 이동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매거진(37) 상에 배치된 리어 플레이트(51)는 토출 채널측에서 회전 레버(40)의 단부와 접촉하고 이들을 각각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스프링 요소(49)의 스프링력에 대해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어 플레이트(51)는 역회전하는 회전 레버(40)를 지나갈 수 있고, 그 결과 스프링 요소에 의해 로딩된 회전 레버(40)는 이제 반대 회전 방향으로 다시 잠금 위치로 회전한다. 작용하는 스프링력으로 인해, 회전 레버(40)는 튀어 돌아오고, 이는 조작자에 대해 단부 위치에 적절히 배치된 매거진(37)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 중 하나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 레버(40)의 전방 단부면의 부분 표면(40a) 중 하나는 리어 플레이트(51)의 전방에 도달하여 매거진(37)의 당김에 대해 이를 고정시킨다. 반면에, 전방 단부면의 다른 부분 표면(40b)은 리어 플레이트(51)의 측면 표면(단부면)(51a)에 지지되고, 따라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회전 레버(40)는 이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매거진(37) 외에, 리어 플레이트(51)는 또한, 매거진측에서 토출 채널(9)과 경계를 이루는, 스테이플러(1) 상의 의도된 공칭 위치에 배치된다.
스테이플링 장치 내에 매거진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스테이플링 장치가 트리거될 수 없는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단 수단을 갖는 차단 장치를 포함한다. 차단 수단은 토출기(8)의 이동 경로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토출기(8)는 리프팅 운동을 수행할 수 없다. 차단 수단은 두 개의 단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 1 단부 위치의 차단 수단은 토출기(8)의 이동 경로 외부에 위치하고, 따라서 스테이플을 토출하기 위한 리프팅 운동을 하도록 토출기를 해제한다. 반면에, 제 2 단부 위치에서, 차단 수단은 이동 경로에 있고 따라서 토출기를 차단한다.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차단 수단은, 샤프트(56) 상에 배치되고 샤프트(56)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폴(55)로 설계된다. 샤프트(56)와 이의 회전축은 토출기(8)의 리프팅 운동에 수직으로 그리고 매거진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스테이플(12)의 베이스 레그(12a)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폴(55)은 두 개의 레그(55a, 55b)를 가지며, 하나의 레그(55a)는 샤프트(56)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레그(55b)는 샤프트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폴(55)은 배출구(10)에 가까운 이의 하단부에서 레그(55a) 상에 구동 러그(driving lug, 57)를 갖는다. 또한, 압축 스프링(58)은 다른 레그(55b)에 대해 가압하고, 따라서 토출기의 방향으로 레그(55b)를 누르는 경향이 있다. 폴(55)에 대해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압축 스프링의 힘은 폴(55)을 이의 레그(55b)와 함께 토출기(8)의 홈(8a)으로 회전시킬 것이다. 이 단부 위치에서, 폴(55)의 레그(55b)는 따라서 토출 채널(9) 내에서의 이동에 대해 토출기를 차단한다.
스테이플링 장치에 매거진(37)을 삽입함으로써, 매거진의 구성요소(59)는 스테이플링 장치(1) 내의 매거진의 단부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폴의 레그(55a)에 대해 가압한다. 길이 방향 연장부에 평행하게 매거진(37)이 이동할 때, 매거진의 구성요소는 폴(55)의 구동 러그(57)와 맞물리고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해 폴(55)을 회전시키며, 그 결과 레그(55b)는 토출기(8)의 홈으로부터 회전되고 이에 따라 또한 토출기(8)의 이동 경로로부터 회전된다. 매거진(37)이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제 2 단부 위치에서 구동 러그(57)에 대해 지지됨으로써 폴(55)을 유지하고, 여기서 폴(55)은 도 13 및 도 14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의 토출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러한 제 2 단부 위치의 폴(55)은 토출 채널(9) 외부에 위치하고 따라서 토출 동작을 위해 토출기를 해제한다. 매거진(37)이 다시 한번 더 제거되면, 다시 구동 러그(57)와 폴(55)을 해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폴(55)은 압축 스프링(58)의 힘으로 인해 제거 동작 동안 토출기(8)를 차단하는 단부 위치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거진에는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60)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마킹(61)이 매거진(37)의 하나 이상의 고정부에 배치되어,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 공급의 충전 정도를 나타낸다. 마킹은, 예를 들어,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의 공급 또는 적층 방향에 따라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차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상이한 충전 정도를 나타내고 이러한 정도를 상징화한다. 광학적 차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색상의 부분 마킹(61a, 61b, 61c)일 수 있다. 특히, 매거진을 다시 충전할 필요가 있는 최소 충전 레벨 마킹은 적색과 같은 색 신호, 특히 적색 신호로 지정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다른 유형의 마킹도 가능하다. 최소 충전 레벨에 도달한 것에 대해, 음향 신호가 추가로 또는 그 자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매거진(37)은 또한, 스테이플(12)에 대한 매거진(37)의 특정 충전 레벨을 마킹(61)으로 나타내는, 사용 중에 고갈된 스테이플 스택과 함께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 수단(63)을 갖는다. 이를 위한 특히 유리한 해결책은 스프링 장착 슬라이드(64)인데, 이에 의해 매거진(37) 내에 배치된 스테이플(12) 스택이 스테이플링 장치(1)의 토출 채널(9)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마킹(61)의 도움으로 충전 레벨을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간단한 디자인 형태는, 예를 들어, 스테이플 스택에 대해 안착되는 슬라이드(64)의 하나의 단부면이 특정 충전 레벨을 마킹으로 표시하거나 나타내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구현된 해결책은, 슬라이드 상에 배열되고 표시 수단(63)으로서 마킹을 가리키는 화살표(62)를 필요로 한다. 화살표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64)의 손잡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가 매거진(37) 내에서 또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스테이플을 유지하기 위해 뒤로 당겨질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양태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0 내지 도 28은 하우징을 갖는 스테이플링 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스테이플링 장치(1)는 하우징으로부터 광을 방출하는 수단(70)을 포함한다. 발광 수단(70)은 하우징의 전단부(1a)에 위치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발광 수단(70)은 토출 채널(9) 위에서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라인 레이저이다. 레이저(70)는 스테이플링 장치(1) 전방에서 하우징 개구(71)로부터 전방으로 방출한다. 도 20 및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인 레이저는 특정 물체를 겨냥하는 광 평면을 광선(72)으로서 방출한다. 이러한 광 평면은 투사된 직선(72a)으로서 물체 상에서 인식될 수 있다. 레이저(70)는 바람직하게 정확히 하우징의 중간 분할면의 하우징 개구(하우징 개구)로부터 광을 방출하고, 이 또한 토출 채널(9)의 중앙과 스테이플, 특히 토출 채널(9)에 존재하는 스테이플(12)의 베이스 레그(12a)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투사선(72a)은 토출되는 스테이플(12)의 베이스 레그(12a)의 중앙을 반영한다. 따라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사용자는 특정 물체에 투사된 선(72a)에 자신을 정렬하여, 가능한 한 정확하게 스테이플(12)을 박을 수 있으며, 이 투사선(72a)은, 베이스 레그(12a)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이 위치에서 스테이플 토출이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 레그(12a)를 나타낸다. 따라서, 라인 레이저(70)는 위치설정 보조기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는 스테이플링 장치(1)의 특정 방향 및 토출될 스테이플(12)의 특정 방향을 달성하기 위해 투사선(72a)에 자신을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레이저로 설계되는 발광 수단(70)뿐만 아니라 위치설정 보조기로서 가능한 다른 발광 수단은, 예를 스테이플링 장치(1) 상의 스위치 또는 버튼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특정 조건이 존재할 때 각각의 발광 수단의 자동 온/오프가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기능으로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트리거(29)를 터치하거나 그의 손가락이 트리거에 근접하여 검출될 때 자동 스위치 온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접촉면(1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19, 20)은 접촉면(11) 바로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함으로써, 각각의 발광 수단이 자동으로 스위치 온되어 스테이플 위치에 대해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라인 레이저(70)는, 홀더(75) 내에서 스테이플링 장치(1)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단면이 원형인 하우징(74)을 갖는다. 홀더(75)는 마찬가지로 이를 위해, 내부에 라인 레이저(70)가 배치되고 장착되는 단면이 원형인 리셉터클(76)을 갖는다. 원형 리셉터클(76)의 종축은 각각의 물체에 대해 비스듬히 그리고 스테이플링 장치(1)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아래쪽으로 향한다. 라인 레이저(70)의 하우징(74)의 외부 표면(74a)에는, 탄성적으로 신장된 O-링(77)이 배치되어 있다. O-링(77)의 일부는 홀더(75)의 벽의 리세스(78)에 위치하고, 따라서 이러한 O-링(77)의 일부는 파지를 위해 접근될 수 있다. 리세스(78)를 통한 O-링(77)의 회전 작동에 의해, 홀더(75) 내에서 라인 레이저(70)의 회전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레이저(70)의 하우징(7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된 O-링(77)은 작동하는 동안 레이저(70)가 홀더(75) 내에서 회전하도록 레이저(70)를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존재하는 홀더(75) 내에서의 O-링(77)의 약간의 클램핑은 작동하는 동안 극복되고, 홀더(75) 내에서 레이저(70)의 아주 작은 회전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레이저(70)를 회전시킴으로써, 물체 상에 투사된 선(72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홀더(75) 내에 레이저(70)를 설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설계된 공칭 위치로부터의 실제 회전 위치의 편차는, 투사된 (광) 선(72a)이 각각의 각각의 스테이플(12)의 베이스 레그(12a)와 관련하여 적어도 약간 비스듬한 경향을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O-링(77)과 홀더(75) 내의 리세스(78)에 의해, 이러한 잘못된 방향의 수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이저는 공칭 위치에 정확하게 배향될 수 있다. 사용 도중 이러한 잘못된 방향이 발견되면, 스테이플링 장치의 조립 및 전달 이후에도 이러한 수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은 토출되는 스테이플(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또한 나타내는 두 개의 추가 발광 수단(80)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두 개의 발광 수단은 마찬가지로 레이저, 특히 라인 레이저로 설계될 수 있다. 동일하게 설계된 두 개의 발광 수단(80)은 각각 하우징 아래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토출 채널 위에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일측에 위치한다. 각각의 라인 레이저(80)는 마찬가지로 특정 물체를 향해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하우징 개구로부터 광을 방출하고, 이는 다시 한번 더 직선 투사선으로서 광학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두 개의 라인 레이저(80)의 구조 및 배치뿐만 아니라 조정 가능성을 포함하는 홀더 내의 이들의 배치는 레이저(70)에 대한 해결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레이저(80) 각각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광 평면을 방출하고, 이들 각각은, 선(70a)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토출 채널의 중심선과 정렬된 특정 물체 상에 선(80a)을 투사한다. 라인(80a)은 또한 토출되는 스테이플(12)의 베이스 레그(12a)와 정렬되어 연장된다. 또한, 스테이플링 장치의 양측에서 레이저(80)에 의해 투사된 라인(80a)은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두 개의 발광 수단은 토출되는 스테이플의 베이스 레그(12a)의 길이 방향 경로 또는 토출되는 스테이플(12)의 세 개의 레그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발광 수단(80)은 또한 미리 결정 가능한 위치에서 스테이플을 토출하고 이를 물체에 박기 위한 위치설정 보조기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발광 수단(70, 80)은 또한 레이저 이외의 광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에서, 레이저는 특히 하나 이상의 LED(86)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발광 수단(80)으로서 LED의 경우, 바람직하게 투명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커버(84)를 갖는 일종의 광 샤프트(85)가 각각 하우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광 샤프트(85)는 바람직하게, 위치가 각각의 발광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평면에 놓인다. 따라서, 스테이플링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발광 LED가 내부에 위치하고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는 광 샤프트를 스테이플링 장치(1)의 어느 한쪽에 갖는 경우, 두 개의 광 샤프트(85) 각각은 토출되는 스테이플의 세 개의 레그에 의해 형성된 스테이플 면에 위치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링 장치(1)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경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수단, 특히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수단이 또한 광 샤프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 한 가지이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색으로만 발광하는 두 개의 발광 수단이 또한 광 샤프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수단인 레이저에 의해 상이한 색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스테이플링 장치(1)가 사용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오작동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또는 스테이플링 장치가 어떤 모드에 있는지에 대해 및/또는 트리거(29)의 검출 수단이 트리거(29) 상의 손가락을 검출했는지 여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에 대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상이한 색상 대신에 또는 그 외에, 발광 수단의 점멸 신호 또는 특정 발광 수단의 변화하는 광 방출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은 또한 멤브레인 키패드(33)로서 스테이플러의 디스플레이/제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멤브레인 키패드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1)의 메인 하우징부(2)의 경사진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된다. 이 멤브레인 키패드(33)는 설정할 수 있거나 불러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버튼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멤브레인 키패드는 작동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멤브레인 키패드(33)는, 설정된 기능, 값, 오작동, 축전지의 충전 상태 및/또는 작동 모드에 대한 신호를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보내기 위해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멤브레인 키패드에 통합된 발광 수단 및/또는 문자-숫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광 수단 및/또는 문자-숫자 디스플레이는 또한 멤브레인 키패드의 버튼에 통합될 수 있다. 발광 수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숫자 디스플레이는 또한 이를 위해 점멸 모드가 또한 가능한 것처럼, 선택적으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를 상이하고 변화하는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적색과 같은 경고 색은 특히 중요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또한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 중 하나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물체에 고정 수단, 특히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고정 장치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기 모터 및 특히 전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충전식 축전지와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설계되는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으며, 작동 트리거는 하우징의 손잡이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전기 모터는 손잡이부 내에 배치되고, 이의 회전축은 토출기의 가속 경로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은 손잡이의 일단의 영역 내에,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은 교환 가능한 축전지로 설계되고, 이는 손잡이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모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 수단 라인은 손잡이 내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손잡이부는 그립, 특히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된 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기의 가속 가속 경로에 대한 전기 모터의 회전축은 60° 내지 120°의 범위에서 선택된 각도이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90°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는 전기 모터는 브러시리스 DC 모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 뒤에 삽입되고 손잡이 내에 위치하는 기어, 특히 유성 기어를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
8.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매거진 내에 수용된 스테이플의 공급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 또는 충전 레벨 신호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 또는 충전 레벨 신호 수단은 매거진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충전 레벨을 상징화하기 위해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상이한 마킹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의 마킹, 특히 상이한 색상의 마킹이 매거진의 하나의 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 스택의 전진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장착 슬라이드로서, 슬라이드는 표시 수단, 특히 마킹을 가리키는 선 또는 화살표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가 매거진 내의 현재의 스테이플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스프링 장착 슬라이드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인된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방출된 광이, 스테이플러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U자형 스테이플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위치하는, 하우징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물체의 방향으로 지향성 광선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광선은,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의 스테이플 면이 연장되는 평면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선은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의 중간면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은 하우징 조립체 내에 위치하고,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 특히 U자형 스테이플의 스테이플 면이 연장되는 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은 하우징 조립체 내에서 투명한 또는 적어도 반투명한 커버 또는 발광체 또는 광섬유 뒤에 위치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출 가능한 스테이플의 스테이플 면이 연장되는 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하우징 조립체의 두 개의 다른 측면 상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발광 수단, 또는 상이한 색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상이한 색상은 또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수단에 의해 방출된 광의 방출 방향을 변경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홀더 내의 발광 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의 조정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정 수단은 홀더 내의 발광 수단의 회전 위치를 변경하고 설정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1.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은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 특히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에 놓은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은 작동 트리거 내에 또는 작동 트리거 바로 옆의 하우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의 검출을 위한 검출 수단은 근접 센서, 포토다이오드 또는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 시스템은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 부위의 존재에 대한 검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스위치 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는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고, 이의 회전축은 토출기의 가속 경로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는 하우징의 손잡이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해 작동될 수 있고, 작동될 때, 트리거는 처음에 제 1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해서만 작동되고, 추가 작동시에만 두 스프링 요소 모두의 스프링력에 대해 트리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구부릴 수 있는 클린치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구부릴 수 있는 클린치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 영역에 제공되고, 스테이플링 공정 동안 스테이플을 구부리기 위한 클린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요소는 접촉면에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수단은 접촉면 영역 내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장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배출구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장치는 배출구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에 대해 더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광학적 검출 수단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한 검출 수단인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장치의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만이 트리거되어 단 하나의 스테이플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한번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이 트리거되어 매번 하나의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작동 모드에서, 한번의 트리거 작동 이후 발생하는 스테이플을 이용하는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이 접촉면 아래에 있는 물체를 검출한 후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만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작동 모드에서, 한번의 트리거 작동 이후 발생하는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장치 모두가 접촉면 아래에 있는 물체를 검출한 후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만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은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 특히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 시스템은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2.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구부릴 수 있는 클린치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장치의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만이 트리거되어 단 하나의 스테이플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한번의, 바람직하게는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이 트리거되어 매번 하나의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트리거 수단 이외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될 때 두 가지 작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서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해제 신호를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해제 수단은 접촉면 영역에서의 물체의 존재, 특히 접촉면과 물체 사이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접촉면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의 신체 부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이 트리거 영역에 배치된 해제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영구적으로 작동될 때 일련의 스테이플링 공정 중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각각의 경우, 이전의 스테이플링 공정 이후 스테이플링 장치를 물체로부터 들어올리고 다시 물체 상에 내려놓은 후에 수행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반자동 작동 모드를 특징으로 하고, 들어올리는 동작과 다시 한번 내려놓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주어진 시간 간격으로 영구적으로 작동될 때 일련의 스테이플링 공정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각각의 수행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자동 작동 모드를 특징으로 하고, 스테이플링 공정은, 트리거가 작동 상태로 유지되고 스테이플링 장치가 이의 접촉면에 의해 물체 상에 방해하지 않고 존재하는 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티치-인 모드에서 조정되고 및/또는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브 장치는 전기 모터 및 바람직하게 전기 모터에 연결될 수 있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작동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에 대한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및/또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멤브레인 키패드 요소로서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키패드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단일 토출 작동 모드 및 트리거의 단 한번의 작동 이후 여러 번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반자동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스위치 온된 작동 모드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공정이 주어진 또는 미리 결정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되는 자동 모드로 스테이플링 장치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하고,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스위치 온된 작동 모드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작동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키패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전지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또한, 특히 디스플레이 수단의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 의해, 특히 색의 변화 및/또는 점멸 모드로의 변화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된 광이, 스테이플러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U자형 스테이플에 대한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위치하는, 하우징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발광 수단의 온 상태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멤브레인 키패드 장치는 압전식으로(piezoelectrically) 또는 기계식 클릭 스위치(mechanical click switch)에 의해 작동하는 멤브레인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의 측면 표면, 특히 경사진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신속 잠금장치는, 캐리어 피스 상에 매거진을 설치하는 동작 동안, 서로 평행하지 않은 두 개의 다른 방향으로 매거진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매거진을 설치하는 동작 동안 매거진을 상호 수직인 두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방향 중 하나는, 배출구가 위치하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평평한 접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 배치된 매거진을 제거하기 위해, 가이드 수단은, 스테이플링 장치가 단부 정지부까지 접촉면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후 스테이플링 장치가 매거진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매거진은 제 4 항에 따른 이동에 의해서만 스테이플링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속 잠금장치의 잠금 또는 형태 맞춤을 제거할 수 있는, 신속 잠금장치의 수동 작동 해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신속 잠금장치, 특히 신속 잠금장치의 회전 레버는, 매거진과 상호작용하는 잠금 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잠금 러그의 이동 궤적이 제한되고 신속 잠금장치의 형태 맞춤 잠금이 발생하도록, 잠금 위치에서 매거진의 두 개의 평행하지 않은 표면에 지지되는 성형된 잠금 러그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신속 잠금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 레버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레버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사전 인장될 수 있고, 매거진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레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레버의 잠금 러그는 잠금 위치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축은 회전 레버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거진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그리고 회전 레버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신속 잠금장치의 자체 잠금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는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고, 전기 모터의 회전축은 토출기의 가속 경로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구부릴 수 있는 클린치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5.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신속 잠금장치의 수동 작동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신속 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신속 잠금장치의 잠금 또는 형태 맞춤은 해제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신속 잠금장치는, 접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레버를 해제 수단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항 내지 제 14 항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7.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를 갖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수단을 토출하기 위해 고정 장치가 매번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신속 잠금장치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캐리어 피스 상의 토출 채널 영역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단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차단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차단 수단은 제 1 단부 위치에서 토출기의 이동 궤적 내에 배치되고, 제 2 단부 위치에서 차단 수단은 토출기의 이동 궤적에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차단 수단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는 매거진 장치의 매거진에 의해 제 1 단부 위치에서 제 2 단부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차단 수단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 회전 장치되고, 스테이플링 장치 상의 리셉터클 내에 배치된 매거진은 차단 수단을 제 2 단부 위치에 유지하고, 차단 수단은 매거진이 스테이플링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 매거진에 의해 해제될 수 있고, 따라서 차단 수단은 제 2 단부 위치로부터 제 1 단부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토출기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 스테이플러
1a: 전단부
2: 메인 하우징부
3: 손잡이부
3a: 그립
4: 매거진 장치
6: 토출 기구
7: 모터
7a: 회전축
8: 토출기
8a: 홈
9: 토출 채널
10: 배출구
11: 접촉면
12: 스테이플
12a: 베이스 레그
13: 종축
14: 클린처
14a: 블레이드
17: 스프링 요소
18: 스프링 요소
19: 검출 수단
119: 검출 수단
20: 검출 수단
120: 검출 수단
25: 파워 일렉트로닉스 보드
26: 축전지
27: 유성 기어
28: 레버 기어
29: 트리거
30: 배선
31: 검출 수단
33: 멤브레인 키패드
36: 검출 수단
37: 매거진
38: 푸셔
40: 회전 레버
40a: 부분 표면
40b: 부분 표면
40c: 후방부
41: 회전축
42: 가이드 몸체
43: 가이드 요소
43a: 단부 정지부
44: 직사각형 리세스(가이드 요소)
44a: 벽 경계
45: 단부면
46: 측벽
47: 브래킷
49: 스프링 요소
50: 숄더
51: 리어 플레이트
51a: 측면 표면
55: 폴
55a: 레그
55b: 레그
56: 샤프트
57: 구동 러그
58: 압축 스프링
59: 구성요소
60: 충전 레벨 디스플레이
61: 마킹
61a: 부분 마킹
63: 표시 수단
64: 슬라이드
70: 발광 수단(여기서는, 레이저)
71: 하우징 개구
72: 광선
72a: 선
74: 하우징
74a: 외부 표면
75: 홀더
76: 리셉터클
77: O-링
78: 리세스
80: 발광 수단(여기서는, 레이저)
82a: 선
82: 광선
84: 커버
85: 광 샤프트
86: LED

Claims (84)

  1.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은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스테이플링 장치의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장치의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만이 트리거되어 단 하나의 스테이플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한번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이 트리거되어 매번 하나의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에 놓은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은 작동 트리거 내에 또는 작동 트리거 바로 옆의 하우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의 검출을 위한 검출 수단은 근접 센서, 포토다이오드 또는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 시스템은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신체 부위의 존재에 대한 검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스위치 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접촉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가 스테이플의 토출을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는 하우징의 손잡이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거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해 작동될 수 있고, 작동될 때, 트리거는 처음에 제 1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해서만 작동되고, 추가 작동시에만 두 스프링 요소 모두의 스프링력에 대해 트리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수단은 접촉면 영역 내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장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배출구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장치는 배출구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에 대해 더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광학적 검출 수단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한 검출 수단인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5. 삭제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작동 모드에서, 한번의 트리거 작동 이후 발생하는 스테이플을 이용하는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이 접촉면 아래에 있는 물체를 검출한 후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만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작동 모드에서, 한번의 트리거 작동 이후 발생하는 각각의 스테이플링 공정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검출 장치 모두가 접촉면 아래에 있는 물체를 검출한 후 스테이플링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만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은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19. 삭제
  20.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은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스테이플의 두 개의 레그를 구부릴 수 있는 클린치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장치의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장치의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단 한번의 작동에 의해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만이 트리거되어 단 하나의 스테이플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트리거 수단의 한번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연속적인 스테이플링 공정이 트리거되어 매번 하나의 스테이플이 토출되고 클린치 장치에 의해 이의 레그가 구부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1. 제 1 항, 제 2 항 및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수단 이외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될 때 두 가지 작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서 스테이플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해제 신호를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2. 제 1 항, 제 2 항 및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 수단은: 접촉면 영역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접촉면과 물체 사이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3. 제 1 항, 제 2 항 및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 아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은 접촉면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4. 제 1 항, 제 2 항 및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의 신체 부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이 트리거 영역에 배치된 해제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5. 물체에 스테이플을 박기 위한 이동식 휴대용 스테이플링 장치로서, 스테이플링 장치는, 메인 하우징부(2) 및 메인 하우징부(2)에서 멀리 연장되는 손잡이부(3)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로서, 메인 하우징부 내에는 토출기 장치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링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고정 장치를 토출하기 위해 매번 고정 장치가 가속화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스테이플링 장치 상에서 스테이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 장치와,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토출기 장치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와, 작동 트리거(29)를 갖는 트리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이, 그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된 토출기 장치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고 배출구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수단은 트리거 상에 놓인 신체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트리거가 영구적으로 작동될 때 일련의 스테이플링 공정 중 한번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각각의 경우, 이전의 스테이플링 공정 이후 스테이플링 장치를 물체로부터 들어올리고 다시 물체 상에 내려놓은 후에 수행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반자동 작동 모드를 특징으로 하고, 들어올리는 동작과 다시 한번 내려놓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6. 제 1 항, 제 2 항, 제 20 항 및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각각의 경우 주어진 시간 간격으로 영구적으로 작동될 때 일련의 스테이플링 공정의 스테이플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스테이플링 장치의 자동 작동 모드를 특징으로 하고, 스테이플링 공정은, 트리거가 작동 상태로 유지되고 스테이플링 장치가 이의 접촉면에 의해 물체 상에 방해하지 않고 존재하는 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7. 제 1 항, 제 2 항, 제 20 항 및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은 스테이플링 장치의 티치-인 모드에서 조정 또는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링 장치.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KR1020197031476A 2017-05-03 2018-05-03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KR10256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5653A KR102648643B1 (ko) 2017-05-03 2018-05-03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5912017 2017-05-03
CH00593/17 2017-05-03
CH5952017 2017-05-03
CH00595/17 2017-05-03
CH5922017 2017-05-03
CH5932017 2017-05-03
CH00591/17 2017-05-03
CH5942017 2017-05-03
CH00592/17 2017-05-03
CH00594/17 2017-05-03
PCT/IB2018/000458 WO2018203128A2 (de) 2017-05-03 2018-05-03 Elektrisch angetriebene heftvorrichtu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653A Division KR102648643B1 (ko) 2017-05-03 2018-05-03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51A KR20200002851A (ko) 2020-01-08
KR102561691B1 true KR102561691B1 (ko) 2023-07-28

Family

ID=640160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476A KR102561691B1 (ko) 2017-05-03 2018-05-03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KR1020237025653A KR102648643B1 (ko) 2017-05-03 2018-05-03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653A KR102648643B1 (ko) 2017-05-03 2018-05-03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311995B2 (ko)
EP (1) EP3600779A2 (ko)
JP (1) JP7271438B2 (ko)
KR (2) KR102561691B1 (ko)
CN (1) CN110545960B (ko)
CH (1) CH713984A2 (ko)
DE (1) DE202020003656U1 (ko)
WO (1) WO20182031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4834B2 (en) * 2016-04-15 2022-11-22 Marquette University Smart trigger system
US11638989B2 (en) * 2019-09-30 2023-05-02 Lantern Holdings, LLC Active safety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a fastner tool
JP2022010621A (ja) * 2020-06-29 2022-01-17 株式会社マキタ 打ち込み工具
CN112060798B (zh) * 2020-08-17 2021-05-14 浙江贝思特钉业有限公司 一种智能订书机用订钉帮扶机构
KR102301078B1 (ko) * 2020-11-03 2021-09-09 최정일 로봇팔에 스테이플러장치를 결합한 로봇 스테이플러장치
DE102022212833A1 (de) 2022-11-30 2024-06-0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ndwerkzeugmaschine zum Eintreiben von breiten Klammer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669A (ja) * 2000-04-17 2001-10-23 Max Co Ltd レーザー光を利用した簡易穴狙い釘打機
US20090242604A1 (en) * 2008-03-31 2009-10-01 Illinois Tool Works Inc. Cap assembly of a fastener-driving tool having switch mechanism incorporated therein for switching modes of operation of the fastener-driving tool
JP2011520635A (ja) * 2008-05-21 2011-07-21 ポリ・システムズ・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固定具を駆動するための工具
JP2011218493A (ja) * 2010-04-09 2011-11-04 Makita Corp 打込み工具
US20150136829A1 (en) * 2013-11-20 2015-05-21 Revive Construction LLC Tool enhancements

Family Cites Families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0611A (en) * 1939-07-22 1941-10-23 Belle Linsk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ackers
US3040606A (en) * 1959-02-24 1962-06-26 Signode Steel Strapping Co Strap sealing tool with full stroke compelling means
US3194281A (en) * 1962-12-18 1965-07-13 Allegheny Steel Band Co Method and tool for locking strapping band ends together
CH409772A (de) * 1964-02-04 1966-03-15 Borbe Wanner Ag Spann- und Schliessvorrichtung für Bandbereifungen
US3396760A (en) * 1966-03-04 1968-08-13 Interlake Steel Corp Strapping tool
US3651391A (en) * 1969-09-26 1972-03-21 Black & Decker Mfg Co Electronic switch arrangements
JPS54109188U (ko) * 1978-01-20 1979-08-01
JPS54109188A (en) 1978-02-16 1979-08-27 Sumitomo Electric Ind Ltd Method of fabricating self-fusing flat type insulated wire
DK214379A (da) * 1978-05-25 1979-11-26 Gerrard Ind Ltd Emballageombindingsvaerktoej
US4349143A (en) 1980-05-12 1982-09-14 Parker Manufacturing Co. Electric stapler and driver assembly therefor
US4491262A (en) 1980-05-12 1985-01-01 Parker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magnetic stapling tool
US4356845A (en) * 1980-10-24 1982-11-02 Rca Corporation Holding and notching tool for CRT implosion protection
US4550643A (en) 1984-05-02 1985-11-05 Duo-Fast Corporation Fastener driving tool
US4716813A (en) * 1985-05-06 1988-01-05 Stanley-Bostitch, Inc. Pneumatically operated stapler with improved actuating and clinching mechanism
US4791968A (en) * 1987-12-14 1988-12-20 Signode Corporation Head for sealless strapping machine
US5346114A (en) * 1990-09-14 1994-09-13 Max Co., Ltd. Electric stapler with unmovably fixed magazine
US5413266A (en) * 1991-09-17 1995-05-09 Acco Usa, Inc. Compact gear arm powered stapler with movable anvil
US5197647A (en) 1991-10-21 1993-03-30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with improved feeding mechanism
US5996460A (en) * 1992-03-13 1999-12-07 Waite; Lance H. Cut line indicator for power cutting material
US5285708A (en) * 1992-05-18 1994-02-15 Porter-Cable Corporation Miter saw alignment system
US5261587A (en) 1993-01-04 1993-11-16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with improved, adjustable, tool-actuating structures
US5263626A (en) 1992-12-29 1993-11-23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with actuating structure biased by dual biasing means
JPH0733575A (ja) 1993-07-14 1995-02-03 Central Glass Co Ltd 肥料被覆用組成物及び被覆粒状肥料及びその製造法
JP2568736Y2 (ja) * 1993-12-06 1998-04-15 マックス株式会社 可搬形電動ステープル打機
US5933288A (en) 1994-10-31 1999-08-03 Geo Labs, Inc. Proximity switch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JP3473233B2 (ja) * 1995-11-16 2003-12-02 ニスカ株式会社 ステープラ
US5685473A (en) 1996-06-07 1997-11-11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having adjustable controlling mechanism
US5794831A (en) 1996-07-12 1998-08-18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detection and firing control system for powered fastener driving tools
JP2973193B2 (ja) 1997-01-20 1999-11-08 株式会社タワダ 段ボ−ル用ステ−プラ−
FR2761500B1 (fr) * 1997-03-28 1999-05-28 Sensormatic France Sa Machine semi-automatique pour apposer un dispositif anti-vol sur un article, notamment en tissu
US5967397A (en) 1997-09-02 1999-10-19 The Stanley Works Staple and brad driving tool
US5927585A (en) * 1997-12-17 1999-07-27 Senco Products, Inc. Electric multiple impact fastener driving tool
JP2000167782A (ja) * 1998-12-02 2000-06-20 Nisca Corp ステープラ用針パッケージ及びステープラ装置
US7207251B2 (en) * 1999-02-05 2007-04-24 Hitachi Koki Co., Ltd. Cutter with laser generator that irradiates cutting position on workpiece to facilitate alignment of blade with cutting position
AU2238701A (en) * 1999-12-21 2001-07-03 Isaberg Rapid Ab Stapler with reversible electric motor
JP3874990B2 (ja) * 2000-04-18 2007-01-31 株式会社マキタ 切断機の照明装置
EP1393140A4 (en) * 2001-02-22 2013-04-24 Robert Bosch Co Ltd TOOLS WITH ORIENTATION DETECTION
US6422272B1 (en) * 2001-04-04 2002-07-23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 sealer with fast-acting dual action piston
US6651862B2 (en) 2001-04-30 2003-11-25 Illinois Tool Works Inc. Trim-type fastener driving tool
DE10132995B4 (de) 2001-07-06 2007-07-26 Mezger Heftsysteme Gmbh +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egenambosslosen Heften von Heftklammern einer Heftklammer-Rolle
JP2003260675A (ja) * 2002-03-04 2003-09-16 Makita Corp 電動工具のスイッチ
US6957756B2 (en) 2002-04-10 2005-10-25 Illinois Tool Works Inc. Tool with nosepiece for bending fastener upon installation and fastener therefor
US7282818B2 (en) * 2002-04-10 2007-10-16 Credo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hand tool having a proximity detector
US6808101B2 (en) 2002-05-24 2004-10-26 Illinois Tool Works Inc. Framing tool with automatic fastener-size adjustment
US6739490B1 (en) 2002-06-24 2004-05-25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supply an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ool
CA2479979C (en) * 2002-07-25 2007-03-13 Yih Kai Enterprise Co., Ltd. Handy electric nailing gun
JP3955251B2 (ja) * 2002-09-30 2007-08-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テープラ
US6695192B1 (en) 2002-09-30 2004-02-24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depth control for fastener driving tool
US7163134B2 (en) * 2004-02-09 2007-01-16 Illinois Tool Works Inc. Repetitive cycle tool logic and mode indicator for combustion powered fastener-driving tool
US6971567B1 (en) * 2004-10-29 2005-12-06 Black & Decker Inc. Electronic control of a cordless fastening tool
US7191927B2 (en) 2005-06-13 2007-03-20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having trigger control mechanism for alternatively permitting bump firing and sequential firing modes of operation
US20060289595A1 (en) * 2005-06-28 2006-12-28 Basso Industry Corp. Nailer with an illumination device
US7562801B2 (en) 2005-08-22 2009-07-21 The Stanley Works Stapler with guide
US7341172B2 (en) 2005-09-15 2008-03-11 Illinois Tool Works Inc. Tool-less rotatable depth adjustment for fastener-driving tool
CN2871121Y (zh) 2006-01-20 2007-02-21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带照明装置的电动工具
US7617581B2 (en) * 2006-03-07 2009-11-17 Xerox Corporation Stapler with illuminated stapling position
US8104659B2 (en) 2006-03-27 2012-01-31 Stanley Black & Decker, Inc. Electromagnetic stapler with a manually adjustable depth adjuster
WO2007133329A2 (en) 2006-04-20 2007-11-22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having trigger control mechanism for alternatively permitting bump firing and sequential firing modes of operation
US7918374B2 (en) * 2007-01-29 2011-04-05 Halex/Scott Fetzer Company Portable fastener driving device
WO2009078808A1 (en) * 2007-12-18 2009-06-25 Nanyang Polytechnic Method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residual staple quantity in dispensing devices
US8827132B2 (en) 2008-04-23 2014-09-09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driving tool and workpiece positioning attachments
TWI590929B (zh) * 2008-05-20 2017-07-11 Max Co Ltd tool
TWI332445B (en) * 2008-12-05 2010-11-01 Pegatron Corp Stapler
EP2255935B1 (en) * 2009-05-28 2012-06-20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2011088269A (ja) * 2009-09-25 2011-05-06 Makita Corp 打ち込み工具
US8511961B2 (en) 2009-10-02 2013-08-20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nd method of prolonging use of a driver blade in a fastening tool
US8522830B2 (en) * 2009-12-03 2013-09-03 Teknika Usa, Inc. Two stroke crimping device
US8631986B2 (en) * 2009-12-04 2014-01-21 Robert Bosch Gmbh Fastener driver with an operating switch
US8174274B2 (en) * 2009-12-23 2012-05-08 Campbell Hausfeld/Scott Fetzer Company Nailer with integrated stud finder
CN102407516A (zh) 2010-09-21 2012-04-11 美克司株式会社 电动式装订器
US8636185B2 (en) 2010-11-15 2014-01-28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dvance delay for fastener driving tool
US20120174525A1 (en) 2010-12-13 2012-07-12 Dunmow Systems Corporation Construction fastening and locating system and method
US9272799B2 (en) * 2011-10-04 2016-03-01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ealing tool for strap
JP2014528365A (ja) * 2011-10-13 2014-10-27 ポリ・システムズ・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締結具を駆動するための手持ち式動力工具
US9724812B2 (en) * 2012-06-28 2017-08-08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Cordless carton closing tool and method of replacing a carton closer clinching member
US10464197B2 (en) * 2012-06-28 2019-11-05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Carton closing tool having tool-free adjustment members
US9381633B2 (en) 2012-10-22 2016-07-05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including a reversion trigger
US9636811B2 (en) 2013-03-11 2017-05-02 Illinois Tool Works Inc. Actuation lockout for a fastener-driving tool
US9114494B1 (en) * 2013-03-14 2015-08-25 Kenneth Jack Mah Electronic drill guide
US9718180B2 (en) 2013-05-09 2017-08-01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improved motor and controller cooling
DE102013106657A1 (de) 2013-06-25 2015-01-08 Illinois Tool Works Inc. Eintreibwerkzeug zum Eintreiben von Befestigungsmitteln in ein Werkstück
DE102013106658A1 (de) 2013-06-25 2015-01-08 Illinois Tool Works Inc. Eintreibwerkzeug zum Eintreiben von Befestigungsmitteln in ein Werkstück
EP2842695B1 (en) 2013-08-25 2020-12-02 Signode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Fastener driving tool
US9796072B2 (en) 2013-08-30 2017-10-24 Illinois Tool Works Inc. Staple tool
US9847194B2 (en) 2014-03-28 2017-12-19 Black & Decker Inc. Integrated electronic switch and control module for a power tool
US9643306B2 (en) 2014-04-15 2017-05-09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including a driving device
EP3007197A1 (de) * 2014-10-07 2016-04-13 HILTI Aktiengesellschaft Näherungs- oder Berührungssensor in einer Werkzeugmaschine
US10322501B2 (en) 2015-01-16 2019-06-18 Black & Decker Inc. Fastening tool having timed ready to fire mode
US9783981B2 (en) 2015-04-28 2017-10-10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Insulation with installation gui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US10577137B2 (en) * 2015-12-09 2020-03-03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Electrically powered combination hand-held notch-type strapping tool
JP6645339B2 (ja) * 2016-04-22 2020-02-14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669A (ja) * 2000-04-17 2001-10-23 Max Co Ltd レーザー光を利用した簡易穴狙い釘打機
US20090242604A1 (en) * 2008-03-31 2009-10-01 Illinois Tool Works Inc. Cap assembly of a fastener-driving tool having switch mechanism incorporated therein for switching modes of operation of the fastener-driving tool
JP2011520635A (ja) * 2008-05-21 2011-07-21 ポリ・システムズ・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固定具を駆動するための工具
JP2011218493A (ja) * 2010-04-09 2011-11-04 Makita Corp 打込み工具
US20150136829A1 (en) * 2013-11-20 2015-05-21 Revive Construction LLC Tool enhanc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0779A2 (de) 2020-02-05
CH713984A2 (de) 2019-01-15
US11311995B2 (en) 2022-04-26
TW202116501A (zh) 2021-05-01
DE202020003656U1 (de) 2020-11-26
CN110545960B (zh) 2024-04-02
US11865686B2 (en) 2024-01-09
KR20200002851A (ko) 2020-01-08
KR20230117630A (ko) 2023-08-08
KR102648643B1 (ko) 2024-03-18
WO2018203128A2 (de) 2018-11-08
US20200094389A1 (en) 2020-03-26
JP7271438B2 (ja) 2023-05-11
WO2018203128A3 (de) 2019-01-17
US20220250223A1 (en) 2022-08-11
JP2020518473A (ja) 2020-06-25
CN110545960A (zh) 2019-12-06
US20200039046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691B1 (ko) 전기 작동식 스테이플링 장치
US8746526B2 (en) Fastener driver with blank fire lockout
US8336748B2 (en) Fastener driver with driver assembly blocking member
KR0142018B1 (ko) 체결용 공구
US10272553B2 (en) Driving tool
JP5758841B2 (ja) 打ち込み工具
JPH0624720B2 (ja) 携帯式止金打込み機
TWI816009B (zh) 打擊工具
JP2011025362A (ja) 打込み工具
JP2020518473A5 (ko)
US20070023473A1 (en) Spring-powered stapler
WO2013161909A1 (ja) 打込み工具
US20230364760A1 (en) Power tool
US20070045374A1 (en) Powered stapler
US11480330B2 (en) Driving tool
WO2013168719A1 (ja) 打ち込み工具
TWI833982B (zh) 裝訂裝置
JP5266924B2 (ja) ステープル打ち用釘打機
JPH09169006A (ja) 電動ホッチキス
KR100722208B1 (ko) 스테플러
JPH0647667Y2 (ja) 釘打機の起動安全装置
CN115089244A (zh) 适用不同长度的钉仓组件的电动吻合器
JP2003103478A (ja) 釘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