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5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55B1
KR102560455B1 KR1020160119240A KR20160119240A KR102560455B1 KR 102560455 B1 KR102560455 B1 KR 102560455B1 KR 1020160119240 A KR1020160119240 A KR 1020160119240A KR 20160119240 A KR20160119240 A KR 20160119240A KR 102560455 B1 KR102560455 B1 KR 10256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ulsator
blade
ring gea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223A (ko
Inventor
김영준
김영종
김동철
유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633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6336584B2/en
Priority to PCT/KR2016/011283 priority patent/WO2017061836A1/en
Priority to US15/766,678 priority patent/US11028518B2/en
Publication of KR2017004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46System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ear trains each with orbital gears, i.e.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상기 펄세이터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단부로 상승시키도록 펌핑하는 블레이드; 상기 펄세이터 및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 및 블레이드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의 저면에 체결되는 지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세탁조의 상부로 펌핑함으로 순환시키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는 세탁조의 위로 세탁대상물을 넣고 빼는 세탁기를 말한다. 탑 로딩 세탁기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기이다.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기는 세제, 세탁수 및 세탁 대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 세탁수를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세탁수류와 이에 의한 마찰 및 세제의 유화작용 등으로 세탁물을 세탁한다.
펄세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정·역회전을 통해 세탁조 내부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세탁조의 외부에 순환수를 펌핑하기 위한 순환펌프를 상기 구동모터와 별개로 구비하고, 세탁조 하부의 세탁수를 펌핑하여 세탁조의 상부에서 포 위로 뿌려줌에 따라, 적은 물의 사용량으로도 세탁수가 세탁조 내부에 투입된 세탁대상물('포'라고도 함)을 용이하게 적셔줄 수 있는 세탁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터와 별개로 펌프를 구비하는 경우 추가로 펌프 구입 비용이 발생하여 세탁기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펌프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해야하므로 제어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1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1)와 외조(2) 사이의 공간에 머무는 세탁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세탁조(1) 내부에 상하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세탁판(3)과, 세탁조(1) 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4)와, 구동모터(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임펠러(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을 개시하고 있다. 세탁판(3) 및 임펠러(4)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는 안내유로(3)를 통해 상승하며 펌핑수류 토출공(7)을 통해 세탁조 내부로 다시 공급된다.
종래 기술2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60);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30)과 펄세이터(60)의 회전력을 형성하는 구동모터(50); 상기 펄세이터(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30) 내부로 직류로 분출되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수단(70);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수류형성수단(70)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분출압을 형성하는 원심블레이드부(71)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블레이드부(71)와 상기 펄세이터(60)는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모터(50)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종래 기술1 : 한국특허공개번호 2003-0049818 (2003. 06. 25.) 종래 기술2 : 한국특허공개번호 2013-0049094 (2013. 05. 13.)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에서는 세탁수가 급수된 상태에서 펄세이터만 회전하면서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이루어지므로, 세제 용해도가 낮아 세탁 성능이 저하되고,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이루어지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펄세이터 외에도 수류를 형성시키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에서는,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위까지 세탁수가 내조의 내부로 급수됨으로써, 물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적은 량의 물 사용량으로도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에서는, 내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대상물이 한쪽으로 몰린 상태로 회전할 경우에 내조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세탁대상물이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한쪽으로 몰려 있을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가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너터브 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1의 경우 임펠러(4)와 세탁물 사이의 접촉이 제한되어 마찰에 의한 세탁력이 약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며의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임펠러와 세탁물 사이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도, 상측으로 세탁수를 펌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 2에서, 원심블레이드부(71)에 의한 분출압을 높이기 위해서 구동모터(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면, 펄세이터(60)의 회전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어 오히려 원할한 세탁에 방해가 되고 세탁물의 마모도가 커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세탁물에 의한 부하가 지나치게 커진다. 반면, 상기 종래 기술 2에서, 펄세이터(60)의 회전속도가 소정 치 이상이 되지 않도록 구동모터(50)의 회전속도를 제한시키면, 원심블레이드부(71)에 의한 분출압의 정도까지 같이 제한받게 된다. 즉, 종래 기술 2에서는 원심블레이드부(71)와 펄세이터(60)가 일체로 회전하므로, 구동모터(50)의 회전수를 높이거나 낮추는 어느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며의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서로 별도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만약 구동모터를 2개 사용하여 서로 별도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부품비용이 추가되고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계 구조를 모두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고, 모터 제어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동일한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회전수는 높이고 펄세이터의 회전수는 낮춤으로써, 펌핑압력의 증가와 더불어 펄세이터의 회전속도를 제한할 수 있는 2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과제는, 동일한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와 펄세이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합적인 수류를 형성시켜 세제 용해, 포적심 및 세탁 기능을 향상시키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과제는, 동일한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와 펄세이터의 회전수를 각각 원하는 감속비로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는,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과제는, 동일한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와 펄세이터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지지하면서도, 수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상기 펄세이터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단부로 상승시키도록 펌핑하는 블레이드; 상기 펄세이터 및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 및 블레이드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의 저면에 체결되는 지그를 포함한다. 후술할 제 1, 2, 4, 6, 9, 10 실시예는 지그가 구비되는 경우를 구체화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그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외주부에서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펄세이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모두 가려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와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베이스는,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상기 제1단차부의 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상기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착면에 체결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 2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세탁기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세탁축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 및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선기어 및 캐리어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기어는 상기 지그에 고정될 있다.
후술할 제 1, 4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세탁기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세탁축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선기어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기어는 상기 캐리어 및 링기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그에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 2, 4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는, 내부에 상기 선기어, 유성기어, 링기어 및 캐리어를 수용하는 기어박스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하우징은 상기 지그에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 2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기어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기어수용홈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링기어회전방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후술할 제 1, 2, 4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입홈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유동되는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측으로 안내하여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펌핑된 세탁수를 토출시키는 세탁수 토출부; 필터를 내장하고,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분출구를 통해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내부로 분출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세탁수 토출부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여, 상기 세탁수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펌핑된 세탁수를 토출시키는 세탁수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의 단부는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저면과 세탁수 토출부의 결합부재와 함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3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앙결합부; 상기 중앙결합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상기 중앙결합부의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할 제 6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세탁기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세탁축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세탁축과 결합되고 상기 세탁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상기 세탁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2베벨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2베벨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상기 세탁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베벨기어와 반대방향으로 자전하는 제3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그에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할 제 9, 10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세탁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유성기어모듈 및 상기 제1유성기어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제2유성기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성기어모듈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선기어; 상기 제1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1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제1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제1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성기어모듈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상기 제2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제2유성기어; 상기 제2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2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제2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제2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제1캐리어 및 제1링기어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캐리어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링기어는 상기 지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을 통해서, 상측에서 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시킬 수 있고, 세제용해 및 포적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세제 용해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은량의 물로도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수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고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로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펌핑압력 및 펌핑수두를 증가시킴과 더불어 원할한 세탁을 수행시키고 세탁물의 마모도 및 회전부하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통해서, 단일 축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기능을 달성하면서도, 별도의 구동모터가 불요하고 축계의 변경이 불요하며, 제어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성기어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구동모터의 토크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높은 효율 영역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에 의해 펄세이터와 반대방향으로 세탁수를 교반시킴으로써, 블레이드와 펄세이터 사이의 상대 회전속도를 높여, 세제 용해도 및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에 의해 펄세이터와 반대방향으로 세탁수를 교반시킴으로써, 펄세이터 위로 투입된 세탁대상물이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한쪽으로 몰려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펄세이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펌핑된 세탁수가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 및 순환덕트 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지그(146)가 베이스의 안착면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b의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기어박스하우징과 지그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5의 펄세이터 및 지그가 베이스의 안착면에 장착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5의 펄세이터 및 지그가 베이스의 안착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4의 베이스에 지그 및 세탁수 토출부가 3중 체결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4의 베이스에 지그 및 세탁수 토출부가 3중 체결된 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지그의 저면에 형성되는 에어갭을 보여주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B1-B1' 및 도 12의 B2-B2'를 따라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복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3-B3' 및 도 15의 B4-B4'를 따라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복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복수의 베벨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복수의 베벨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19는 도 17b의 B5-B5' 및 도 18b의 B6-B6'을 따라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복수의 베벨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동력전달부의 사시도이다.
도 20c는 도 20a의 동력전달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은 종래 기술1에 개시되는 도면이다.
도 25는 종래 기술2에 개시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세탁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고정'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직접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의 제 2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위치가 유지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동일 회전속도와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같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아우터 터브(110;Outer Tub) 및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를 구비한다.
캐비닛(100)은 직육면체의 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캐비닛(100)의 형상은 예시일 뿐 외형 및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캐비닛(100)의 상부에는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01)가 구비된다.
아우터 터브(11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아우터 터브(1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서스펜션 바(111)에 의해 현수되어 지지된다. 아우터 터브(110)는 세탁수 공급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세제공급부로부터 세제를 공급받아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 및 혼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세탁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클러치의 단속에 의해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으며 세탁 및 헹굼 시에는 고정되고 탈수 시에 회전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탈수공을 구비하는 이너 터브(120a), 이너 터브(120a)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란서(125), 이너 터브(120a)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21), 베이스(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브(124)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에 저장되는 세탁수는 허브의 세탁수유입공(124a)을 통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의 하부로 유입된다.
허브(124)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전체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허브(124)에는 복수의 세탁수유입공(124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세탁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클러치의 단속에 의해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으며 세탁 및 헹굼 시에는 고정되고 탈수 시에 회전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탈수공을 구비하는 이너 터브(120a), 이너 터브(120a)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란서(125), 이너 터브(120a)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21), 베이스(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브(124)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에 저장되는 세탁수는 허브의 세탁수유입공(124a)을 통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의 하부에는 펄세이터(12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판으로서, 회전판(122a)과, 회전판(122a)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돌기부(122b)와, 회전판(122a)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2c)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돌기부(122b)의 상부에 상부캡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돌출부(122c)의 일단부는 중심돌기부(122b)에 연결되고, 돌출부(122c)의 타단부는 회전판(122a)의 외주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때, 돌출부(122c)는 상하방향으로 굴곡있게 형성되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펄세이터(122)는 정/역방향의 회전수류를 통해 세탁대상물을 비벼서 빠는 효과를 얻는다.
펄세이터(122)는 복수의 관통공(122a1)이 형성되고, 세탁수가 관통공(122a1)을 통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하부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중앙부 저면에는 요입홈(122b1)이 형성되고, 요입홈(122b1)에 후술할 제 1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40,240,340,440,540,640,740,840,940,1040)가 구비된다.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는 유성기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540,640)는 복수의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740,840,940,1040)는 듀얼 유성기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40,440,740,840,940,10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로 전달한다.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펄세이터(122)로 전달함에 따라 펄세이터(122)의 토크(Torque)가 증가된다.
동력전달부(240,340,740,840,940,10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블레이드(123)로 전달함에 따라 블레이드(123)의 토크(Torque)가 증가된다.
동력전달부(340,440,540,640,740,1040)는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가 증가되고, 보다 복합적인 수류가 형성된다.
펄세이터(122)의 하부에 블레이드(12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123)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이너터브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123)는 원형의 회전판(123a)을 포함한다. 블레이드(123)는 회전판(123a)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펌핑날개부(123b)를 포함한다. 회전판(123a)은 구동모터(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분이고, 펌핑날개부(123b)는 회전판(123a)의 하부에 채워져 있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펌핑하는 부분이다. 펌핑날개부(123b)의 일단부는 회전판(123a)의 중심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펌핑날개부(123b)의 타단부는 회전판(123a)의 외주부를 향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세탁기는, 블레이드(123)에 의하여 유동되는 세탁수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상측으로 안내하여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2개가 구비된다. 2개의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상호 마주보도록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베이스(121)에 결합되어 블레이드(123)에 의하여 유동되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토출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이너 터브(120a)의 내면에 구비되어 세탁수 토출부(127)로 유입된 세탁수를 이너 터브(120a)의 상단으로 안내하는 순환덕트(126)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이너 터브(120a)의 상단에 배치되어 순환덕트(126)를 통하여 안내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필터부(128)를 포함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와 연결되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하부의 세탁수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상부로 상승시키며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재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126a)를 제공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주면에 커버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배면은 개방되고 순환덕트(126)의 측단부는 컬링(curling) 가공 또는 구부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컬링 부위의 배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체결돌기에 의해 순환덕트(126)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slit)이 형성되고, 체결돌기가 슬릿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내부에 세탁수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유로)이 형성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 터브(120a) 내부의 세탁수와 섞이지 않도록 이너 터브(120a)의 내부공간과 독립적인 공간, 즉 순환유로(126a)를 형성한다.
순환덕트(126)의 하부에 세탁수 토출부(127)가 연결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블레이드(123)에 의해 토출되는 세탁수를 받아 순환덕트(126)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베이스(121)의 외측 하부에 배치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토출바디(127a)의 하부에 형성되는 세탁수 토출구, 토출바디(127a)의 상부에 형성되는 덕트연통구를 포함한다.
토출바디(127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블레이드(123)로부터 순환덕트(126)로 이동 시 반경방향에서 직상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토출구는 베이스(121)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토출구를 통해 토출바디(127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바디(127a)의 상측은 상기 덕트연통구를 통해 순환덕트(126)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토출바디(127a)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순환덕트(126) 내부로 상승한다.
순환덕트(126)의 상단부에 필터부(128)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필터하우징(128a), 필터하우징(128a)의 내부에 구비되는 그물(net) 구조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구비한다. 그물의 구멍 크기는 매우 작아서 예를 들면 직경이 수㎛~수백㎛ 크기로 세탁물에서 나온 미세한 보푸라기를 모두 걸러낼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세탁물을 비벼서 빠는 펄세이터(122) 타입의 경우 세탁물에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많이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보푸라기가 포함된 세탁수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세탁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128a)의 하측은 순환덕트(126)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필터하우징(128a)의 일 측면은 이너 터브(120a)의 내부와 연통된다. 필터하우징(128a)의 일 측면에 분출구(128a1)가 형성된다. 분출구(128a1)는 세로방향 폭은 좁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펌핑된 세탁수가 이너 터브의 내부로 넓게 분사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의 외측 하부에는 구동모터(130)가 구비된다.
구동모터(130)는 한 개의 모터 회전력으로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세탁축(132a)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모터(130)는 세탁축(132a)에 의해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30)가 가동되면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는 항시 회전하게 된다. 펄세이터(122) 또는 블레이드(123)는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와 연결될 경우에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다른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 또는 블레이드(123)는 동력전달부(340,440,540,640,740,840,1040)와 연결될 경우에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모터케이싱(131), 모터케이싱(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자와 고정자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자는 모터케이싱(131)의 내부에 고정되고, 회전자는 고정자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자는 회전축(132)와 연결되어, 회전축(132)을 회전시킨다. 회전축(132)은 모터케이싱(131)의 중심부 저면에서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를 향해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회전축(132)의 상부에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세탁축(132a)이 구비된다. 회전축(132)은 후술할 세탁축(132a)과 일체로 연결된다.
구동모터(130)와 펄세이터(122) 사이에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가 배치되어,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를 통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펄세이터(122)로 전달한다. 또한, 구동모터(130)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가 배치되어, 블레이드(123)로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의 하부에 위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배치되어,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의 설치공간이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세탁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구비된다.
배수구는 아우터 터브(110)에 저장된 세탁수를 세탁 완료 후 배수시킨다. 배수구는 배수호스와 연결되고, 배수호스의 일단부는 배수구와 연결되고, 배수호스의 타단부는 캐비닛(100)의 외부에 연결되어 세탁 완료된 세탁수 및 탈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2a, 2b 및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이너터브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1)가 구비된다. 베이스(121)의 상부는 이너터브의 하단부와 용접 또는 컬링(CURLING) 가공 등에 의해 결합된다. 베이스(121)는 하부에 단차부(121b,121c)(step portion)를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하부에 제1단차부(121b)를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하부에 제2단차부(121c)를 형성한다.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모두 가려지게 배치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펄세이터(122)는 블레이드(123)를 모두 덮도록 배치된다. 블레이드(123)의 상측은 가려져,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의 세탁대상물에 접촉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23)는 회전시 세탁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지않고 세탁수 펌핑에 의한 부하를 받는다. 펄세이터(122)는 세탁대상물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이스(121)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21)의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에 블레이드(123)가 배치된다. 베이스(121)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베이스(121)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 블레이드(123)가 배치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중앙 부분(중앙에 가까운 부분)이 가장 낮은 상측면을 형성한다. 베이스(121)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2단차부(121c) 및 제1단차부(121b)가 배치된다.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베이스(121)의 상측면을 따라갈 때, 제2단차부(121c)에 의해 베이스(121)의 상측면이 높아진다. 베이스(121)의 제2단차부(121c)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베이스(121)의 상측면을 따라갈 때, 제1단차부(121b)에 의해 베이스(121)의 상측면이 높아진다. 제1단차부(121b)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단차부(121c)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21)는 상부에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121a)를 구비한다. 라운드부(121a)는 세탁대상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세탁수가 용이하게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하부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해준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라운드부(121a)는 베이스(12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라운드부(121a)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라운드부(121a)는 베이스(121)의 가장자리에서 회전축(132) 방향으로 점점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다. 라운드부(121a)의 가장자리는 이너 터브(120a)의 하단과 연결된다.
라운드부(121a)에는 반원형의 돌기부(121a1)가 서로 마주보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반원형의 돌기부(121a1)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이격 배치된다. 반원형의 돌기부(121a1)는 라운드부(121a)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21)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세탁시 펄세이터(122)의 교반작용에 의한 비벼 빠는 효과를 더욱 극대시킬 수 있다.
제1단차부(121b)는 펄세이터(122)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제1단차부(121b)의 둘레의 내측에 블레이드(123)가 배치된다. 제1단차부(121b)는 펄세이터(122)의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한다. 제1단차부(121b)는 라운드부(121a)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단차부(121b)의 상부는 라운드부(121a)의 내주부(회전축에 가까운 방향의 말단부)에 연결된다. 제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의 외주부 사이에 일정한 갭이 형성되어, 펄세이터(122)의 회전 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제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 사이의 갭은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갭이 좁으면 좁을수록 더욱 좋다. 그 이유는, 상기 갭을 통해 세탁대상물로부터 빠진 동전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예를 들어 1mm 정도이면 족하다.
제2단차부(121c)는 블레이드(123)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제1단차부(121b)의 둘레의 내측에 제2단차부(121c)의 둘레가 배치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펄세이터(122)의 둘레의 내측에 제2단차부(121c)의 둘레가 배치된다. 제2단차부(121c)는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한다. 제2단차부(121c)는 베이스(121)의 저면과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은 최저면을 형성한다. 제2단차부(121c)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의 외주부와 연결된다.
베이스(121)의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베이스(121)의 상기 중앙 부분은 중앙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121)의 외측 하부에서 베이스(121)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베이스(121)의 저면에 허브(124)가 구비된다. 베이스(121)의 상기 중앙 부분에 허브(124)가 배치된다. 허브(124)는 이너 터브(120a)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전체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허브(124)에는 복수의 세탁수유입공(124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세탁수유입공(124a)은 부채꼴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단차부(121b)와 제2단차부(121c) 사이에 안착면(121d)이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다. 안착면(121d)에 후술할 동력전달부(140,240,440,640,940,1040)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146)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지그(146)는 안착면(121d)에 체결된다. 지그(146)는 실시예에 따라 필요 여부가 달라진다.
유성기어모듈을 구비한 동력전달부(140,240,340,440)의 선기어(142,242,342,442), 유성기어(143,243,343,443) 및 링기어(145,245,345,445)는 순차적으로 회전축(13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선기어(142,242,342,442), 유성기어(143,243,343,443) 및 링기어(145,245,345,445) 중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가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보다 회전축(123a)에 가까이 배치된 경우에, 지그(146)가 필요하다. 후술할 제 1, 2 및 4실시예에서 지그(146)가 구현된다. 이 경우, 지그(146)는, 상기 선기어(142,242,442), 유성기어(143,243,443) 및 링기어(145,245,445) 중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보다 회전축(123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기어를 고정시킨다. 지그(146)가 고정시키는 기어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 지그(146)는, 상기 선기어(142,242,442), 유성기어(143,243,443) 및 링기어(145,245,445) 중 블레이드(123) 또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를 고정시킨다.
복수의 베벨기어를 구비한 동력전달부(540,640)의 제1베벨기어(5421,6421) 및 제3베벨기어(5423,6423)는 순차적으로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5421,6421) 및 제3베벨기어(5423,6423) 중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가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보다 하측에 배치된 경우에, 지그(146)가 필요하다. 후술할 제 6실시예에서 지그(146)가 구현된다. 이 경우, 지그(146)는 제2베벨기어(6422)를 고정시킨다. 지그(146)가 고정시키는 제2베벨기어(6422)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 지그(146)는, 상기 제1베벨기어(6421), 제2베벨기어(6422) 및 제3베벨기어(6423) 중 블레이드(123) 또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를 고정시킨다.
듀얼 유성기어모듈을 구비한 동력전달부(740,840,940,1040)의 제1유성기어모듈(740a,840a,940a,1040a) 및 제2유성기어모듈(740b,840b,940b,1040b)는 순차적으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배치된다. 제1유성기어모듈(740a,840a,940a,1040a)의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는 순차적으로 회전축(13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제2유성기어모듈(740b,840b,940b,1040b)의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는 순차적으로 회전축(13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 중 어느 하나는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 중 다른 하나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다. 이 경우에 4가지 조합이 가능하고, 각각 후술할 제 7 내지 10실시예로 구체화될 수 있다.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가 제2유성기어(943b,1043b)인 경우에, 제2링기어(945b,1045b)를 고정시키는 지그(146)가 필요하다. 후술할 제 9 및 10실시예에서 지그(146)가 구현된다. 이 경우, 지그(146)는, 제2링기어(945b,1045b)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제1유성기어(1043a) 및 제1링기어(945a) 중 어느 하나를 같이 고정시킨다. 지그(146)가 고정시키는 기어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 지그(146)는, 상기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블레이드(123) 또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를 고정시킨다.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지그(146)가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그(146)가 펄세이터(122)의 직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될 경우, 지그(146)를 덮기 위한 덮개가 필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경우 베이스(121)가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펄세이터(122)와 지그(146)가 동일한 직경으로 제1단차부(121b)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배치되므로, 지그(146)를 덮기 위한 덮개가 불필요하다.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로 전달하기 위해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2)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축(132a)이 구비된다.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는, 후술할 선기어, 유성기어, 링기어, 제1베벨기어, 제2베벨기어, 제3베벨기어 등이 있다.
지그(146)는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된다. 지그(146)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지그(146)에 고정된 어느 하나의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킨다.
세탁축(132a)은 허브(124)의 중심부, 블레이드(12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동력전달부(140,240,340,440,740,840,940,104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베이스(121)의 저면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블레이드(123)의 중심부에 원형의 축결합부(123c)가 구비되고, 축결합부(123c)에 세탁축(132a)이 결합되어,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이 세탁축(132a)으로부터 축결합부(123c)를 통해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123)는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속도(회전수)로 회전하여, 펄세이터(122)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 예를 들면 300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는 원하는 펌핑압력 및 펌핑수두를 확보하고, 순환덕트(126)를 따라 흐르는 순환수의 펌핑속도를 빠르게 하며 필터하우징(128a)의 분출구(128a1)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적은 물의 사용량으로도 포를 충분히 적셔줄 수 있다.
도 1 내지 10을 참고하여 상기 제 1실시예를 기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10에 대한 설명 중, 동력전달부(140)에 대한 구성 및 지그(146)의 구성여부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후술할 제 2 내지 10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가능하다.
동력전달부(140)는 선기어(142), 복수의 유성기어(143), 링기어(145)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140)는 캐리어(144)를 포함한다. 선기어(142), 복수의 유성기어(143), 링기어(145)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내부에 구비된다. 캐리어(144)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내부에 구비된다.
동력전달부(140)은 세탁축(132a)과 연결되는 선기어(14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다. 동력전달부(140)는 선기어(142)와 링기어(145)의 기어비에 의해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140)는 복수의 유성기어(143)를 연결하는 캐리어(144)를 통해 펄세이터(122)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링기어(145)는 고정된다. 이를 위해, 링기어(145)를 고정하기 위해 기어박스하우징(141)은 링기어수용홈(145a)을 구비하여 링기어(145)의 일부가 링기어수용홈(145a)에 삽입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은 링기어(145)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회전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어박스하우징(141)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외측 하부를 받쳐줄 수 있다.지그(146)는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배치된다. 지그(146)는 베이스(121)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체결부재(146b1)에 의해 체결되는 중앙결합부(146a)와, 베이스(121)의 안착면(121d)과 체결부재(127b3)에 의해 체결되는 연장부(146b)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결합부(146a)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어박스하우징(141)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기어박스하우징(141)과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146b1)에 의해 체결된다.
연장부(146b)는 중압결합부에서 베이스(121)의 제1단차부(121b)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46b)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장부(146b)는 연결부(146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146b)는 베이스(121)의 안착면(121d)에 안착되고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146b1)에 의해 상기 안착면(121d)과 체결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토출바디(127a)의 양쪽 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재(127b)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재(127b)는 지그(146) 및 베이스(121)와 함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체결부재(127b3)에 의해 지그(146) 및 베이스(121)와 체결된다.
결합부재(127b)는 제2단차부(121c)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로 제2단차부(121c)를 따라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재(127b)는 체결부재(127b3)를 관통시키는 상부면과, 상부면에서 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곡률로 이루어지는 측면을 포함한다.
결합부재(127b)는 내부에 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127b3)의 체결을 위해 너트부(127b1)를 구비한다. 너트부(127b1)의 외주면과 결합부재(127b)의 측면을 연결하는 보강리브(127b2)가 구비되어, 결합부재(127b)를 보강해줄 수 있다. 상부에서부터 하방향으로 지그(146)의 연장부(146b)의 단부, 베이스(121)의 안착면(121d) 및 결합부재(127b)의 너트부(127b1)가 두께방향으로 3중으로 중첩 배치되고, 중첩된 3개의 부재들은 체결부재(127b3)에 의해 3중 체결된다.
도 2a 내지 4를 참고하여, 이너터브의 상단부에 발란서(125)가 장착된다. 발란서(125)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발란서(125)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다. 발란서(125)는 세탁대상물의 편심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발란서(125)는 내부에 소금물 등과 같은 유체를 전체 내부 체적 대비 40%~70% 정도의 부피로 저장할 수 있다. 발란서(125)는, 세탁대상물이 인너 터브(120a)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에, 이너 터브(120a)의 공진 영역에서 내부의 유체가 세탁대상물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세탁대상물의 편심에 의해 발생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진동을 상쇄시킨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덕트(126)가 구비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와 연결되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하부의 세탁수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상부로 상승시키며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재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126a)를 제공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 터브(120a)의 내주면에 커버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배면은 개방되고 순환덕트(126)의 측단부는 컬링(curling) 가공 또는 구부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컬링 부위의 배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체결돌기에 의해 순환덕트(126)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주면에 체결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순환덕트의 배면에는 고무재질의 오링이 개방된 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순환덕트와 이너터브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내부에 세탁수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유로)이 형성된다.
순환덕트(126)의 하부에 세탁수 토출부(127)가 연결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블레이드(123)에 의해 베이스에서 토출되는 세탁수를 받아 순환덕트(126)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베이스(121)의 라운드부(121a)의 외측 하부에 배치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토출바디(127a), 토출바디(127a)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세탁수 토출구, 토출바디(127a)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덕트연통구를 포함한다.
토출바디(127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블레이드(123)로부터 순환덕트(126)로 이동 시 반경방향에서 직상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토출바디(127a)는 상부면에 제1단차부(121b) 및 라운드부(121a)와 연결되도록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라운드부(121a)와 제2단차부(121c) 사이의 각진 부분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토출구는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덕트연통구는 순환덕트(126)의 하단부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제2단차부(121c)에는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된 물이 토출되는 제1연통홀(121c)이 형성된다. 베이스(121)는 제2단차부(121c)에 상기 세탁수 토출구와 블레이드(123)의 외주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1연통홀(121c1)을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라운드부(121a)에 상기 덕트연통구와 순환덕트(126)의 하단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2연통홀(121a2)을 형성한다.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제1연통홀(121c1)과 상기 세탁수 토출구를 통해 토출바디(127a)의 내부로 유입된다. 토출바디(127a)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덕트연통구와 제2연통홀(121a2)을 통해 순환유로(126a)로 상승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상단부에 필터부(128)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필터하우징(128a), 필터하우징(128a)의 내부에 구비되는 그물(net) 구조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구비한다. 그물의 구멍 크기는 매우 작아서 예를 들면 직경이 수㎛~수백㎛ 크기로 세탁대상물에서 나온 미세한 보푸라기를 모두 걸러낼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세탁대상물을 비벼서 빠는 펄세이터 타입의 경우 세탁대상물에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많이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보푸라기가 포함된 세탁수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세탁대상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보푸라기를 필터로 제거하지 않는 경우에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부에 보푸라기가 끼이게 되며, 이는 헹굼 시 및 탈수 시 보푸라기가 세탁대상물로 다시 묻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128a)의 일측은 순환덕트(126)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필터하우징(128a)의 타측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와 연통된다. 필터하우징(128a)의 타측면에 분출구(128a1)가 형성된다. 분출구(128a1)는 세로방향 폭이 좁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펌핑된 세탁수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넓게 분사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고하여, 펄세이터(122), 지그(146) 및 블레이드(123)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펄세이터(122)는 지그(14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블레이드(123)는 지그(14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그(146)는 세탁 및 헹굼 시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베이스(121)에 고정된다.
동력전달부(140)은, 기어박스하우징(141), 선기어(142), 유성기어(143),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를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은 상부하우징(141a)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 하우징(141a,141b)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부징과 하부 하우징(141b)은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141a)의 외곽 테두리에 플랜지 형태의 제1체결부(141a1)가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141b)의 외곽 테두리에 플랜지 형태의 제2체결부(141b1)가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1체결부(141a1)와 제2체결부(141b1)는 상하 두께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은 내부에 "ㄷ"자 단면 형상의 링기어수용홈(145a)을 구비한다. 링기어수용홈(145a)에 링기어(145)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링기어수용홈(145a)은 내측방향으로 개방된다. 링기어수용홈(145a)은 상부 하우징(141a)과 하부하우징에 각각 형성되는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기어수용홈(145a)에 삽입되는 링기어(145)는 링기어수용홈(145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받는다. 또한, 링기어수용홈(145a)에 복수의 링기어회전방지돌기(145b)가 구비되어, 링기어(145)의 회전을 제한한다. 링기어회전방지돌기(145b)는 링기어(145)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링기어수용홈(145a)의 내주면에 형성되거나, 링기어(145)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링기어수용홈(145a)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145)의 외주면에 복수의 링기어회전방지홈(145c)이 링기어회전방지돌기(145b)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링기어회전방지돌기(145b)가 링기어회전방지홈(145c)에 삽입됨으로 링기어(145)의 회전을 제한한다.
선기어(142)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선기어(142)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세탁축(132a)과 연결되어, 세탁축(132a)으로부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선기어(142)는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한다. 세탁축(132a)의 동력전달을 위해, 세탁축(132a)의 외주면을 따라 세레이션 등과 같은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선기어(142)의 내주면에도 세레이션 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축(132a)은 선기어(14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 선기어(142)가 세탁축(132a)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선기어(14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된다. 각 유성기어(143)는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이를 가진다. 복수의 유성기어(143)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유성기어(143)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을 통해 캐리어(144)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와 링기어(145) 사이에 기어이끼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과 공전을 수행한다. 유성기어(143)의 자전방향은 선기어(142)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유성기어(143)의 공전을 위해 링기어(145)는 고정된다. 유성기어(143)의 공전방향은 선기어(14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링기어(145)는 복수의 유성기어(143)의 외주면의 기어이와 맞물리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캐리어(144)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을 통해 복수의 유성기어(143)를 연결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은 유성기어(143)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캐리어(144)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한다.
캐리어(144)의 일측은 유성기어 연결축(144a)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캐리어(144)의 타측은 펄세이터(122)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부연결축(144c)을 구비한다. 상부연결축(144c)은 세탁축(132a)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세탁축(132a)의 상부에 배치된다. 하지만, 상부연결축(144c)과 세탁축(132a)은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상부연결축(144c)은 상부 하우징(141a)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상부연결축(144c)은 펄세이터(122)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부(140)에 의해 감속 및 증가된 토크가 캐리어(144)와 상부연결축(144c)을 통해 펄세이터(122)로 전달된다.
상부연결축(144c)의 외부를 감싸도록 동력전달캡(144c)이 상부연결축(144c)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전달캡(144c)의 외주면은 세레이션과 같은 돌기 구조를 가지고, 상부연결축(144c)의 상부에 동력전달캡(144c)이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장착되고, 동력전달캡(144c)의 상부에 펄세이터(122)의 중심돌기부(122b)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장착되며, 펄세이터(122), 동력전달캡(144c) 및 상부연결축(144c)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44b1)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캐리어(144)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펄세이터(122)로 전달된다.
상부연결축(144c)은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상부면에 삽입되는 제1베어링(147a)에 의해 지지되며 기어박스하우징(141)에 대하여 회전한다.
캐리어(144)는 복수의 유성기어(143)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캐리어(1441)와 복수의 유성기어(143)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캐리어(14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캐리어(1441) 및 하부 캐리어(1442)는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부 캐리어(1441)의 내측면과 선기어(142)의 상부면 사이에 제2베어링(147b)이 구비되고, 하부 캐리어(144)의 내측면과 선기어(142)의 하부면 사이에 제4베어링(147d)이 구비됨으로, 캐리어(144)와 상부연결축(144c)이 세탁축(132a) 및 선기어(14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7을 참고하여, 도시된 기어박스하우징(141)의 하부 하우징(141b)은 지그(146)의 중앙결합부(146a)에 삽입 장착된다. 상부 하우징(141a)의 제1체결부(141a1), 하부하우징의 제2체결부(141b1) 및 지그(146)의 중앙결합부(146a)는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과 지그(146)의 체결을 위해, 제2체결부(141b1)의 하부면에 결합부(141c)가 돌출 형성되고, 지그(146)의 중앙결합부(146a)에 상기 결합부(141c)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홀(146a1)이 형성된다. 또한, 기어박스하우징과 지그의 결합부에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기어박스하우징과 지그의 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 기어박스하우징과 지그가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보다 직경이 더 커서 기어박스하우징과 지그 사이의 체결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와 결합홀이 삽입되면 기어박스하우징이 지그 위에 안착 고정되므로 체결부재의 체결 시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8a를 참고하여, 베이스(121)의 제2단차부(121c)는 베이스(121)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 상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배치되고 블레이드(123)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 8b를 참고하여, 도시된 베이스(121)의 제1단차부(121b)는 베이스(121)의 저면 및 안착면(121d)에 대하여 수직 상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지그(146)의 외주부 및 펄세이터(122)의 외주부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고 펄세이터(122)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121) 내부에 별도의 덮개가 없어도 제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 및 지그(146) 사이의 틈새가 좁아서 동전 등 이물이 틈새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9b를 참고하여, 지그(146)의 연장부(146b)의 단부에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베이스(121)의 안착면(121d)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세탁수 토출부(127)의 결합부재(127b)의 너트부(127b1)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체결부재(127b3)가 제1 및 제2체결홀을 관통하여 너트부(127b1)에 삽입 체결된다. 이에 의해, 별도의 너트가 없어도 세탁수 토출부(127)에 일체로 형성되는 너트부(127b1)에 의해 지그(146)를 베이스(121)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지그(146)의 중앙결합부(146a)의 저면에 복수의 돌기부(121a1)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부(121a1)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21a1) 사이에 공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주머니 역할을 하는 에어갭(146d1)이 형성된다.
베이스(121)와 아우터 터브(110)의 저면 사이에 저장된 물이 베이스의 내부로 차오르면 지그(146)의 중앙결합부(146a)의 공기가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려고 할 때 에어갭(146d1)이 공기 주머니 역할을 하여 물 높이가 에어갭(146d1) 안쪽으로 상승할 때까지 공기의 빠짐을 지연시킨다. 이때 미쳐 빠져나가지 못한 공기는 물을 밀어내어 시일러(sealer) 역할을 함으로 축계 등 부속품이 침수되는 것을 막는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탁수는 세탁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세탁수 공급호스를 통해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세제는 세제공급부로부터 세탁수와 함께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와 아우터 터브(110) 사이로 흘러들어와 아우터 터브(110) 내의 하부에 저장된다.
아우터 터브(110)의 하부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허브(124)의 세탁수유입공(124a)을 통해 베이스(121) 내부로 유입된다. 베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되어, 세탁수 토출부(127)와 순환덕트(126)를 거쳐 필터하우징(128a)의 분출구(128a1)를 통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부로 분출된다.
이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상부로 분출된 세탁수는 넓게 퍼지면서 세탁대상물을 적셔주기가 용이하다. 또한,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세탁수 중에 잠기지 않고 떠 있는 세탁대상물에도 세탁수가 골고루 뿌려짐으로 세탁대상물의 세제 침투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세탁 성능이 향상된다.
세탁대상물을 적셔준 세탁수는 펄세이터(122)의 관통공(122a1)을 통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저면으로 내려가거나 베이스(121)의 제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의 외주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아래로 스며들어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저면으로 내려간다.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저면으로 내려간 세탁수는 다시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 내부로 순환된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여 펄세이터(122), 동력전달부(140) 등의 지지구조 및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우터 터브(110)는 서스펜션 바(111)에 의해 캐비닛(100)에 매달리게 현수되어 지지된다.
모터케이싱(131)은 고정브라켓(133)에 의해 아우터 터브(110)의 하부에 고정된다.
회전축(132)은 모터하우징에서 아우터 터브(110)의 저면을 향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아우터 터브(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의해 아우터 터브(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3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축(132a)은 허브(12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수직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세탁축(132a)은 블레이드(123)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축결합부(123c)와 결합되어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블레이드(123)로 감속없이 전달한다. 또한, 세탁축(132a)은 중력방향으로 배치되고, 동력전달부(140)의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저면을 관통하여 선기어(142)와 결합된다. 세탁축(132a)은, 선기어(142)와 연결되는 유성기어(143), 유성기어(143)와 연결되는 링기어(145) 및 캐리어(144), 캐리어(144)와 연결되는 기어박스하우징(141) 등을 모두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상부연결축(144c)은 세탁축(132a)의 상부에 동일 직선상으로 배치되되, 세탁축(132a)과 별개로 동작한다. 상부연결축(144c)은 캐리어(144)의 상부에 캐리어(144)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상부연결축(144c)은 동력전달캡(144c)을 통해 펄세이터(122)의 요입홈(122b1) 내부에 삽입된다.
펄세이터(122)의 요입홈(122b1) 내부에 축지지홈(122b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연결축(144c)의 상부에 씌어진 동력전달캡(144c)이 상기 축지지홈(122b2)에 삽입된다. 축지지홈(122b2)의 내부에 동력전달캡(144c)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세레이션 돌기가 형성되어, 축지지홈(122b2)과 동력전달캡(144c)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부연결축(144c)으로부터 회전력이 펄세이터(122)로 전달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상부연결축(144c)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구동모터(130)에서 생성하는 회전력은 세탁축(132a)에서 블레이드(123)로 전달되어,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수로 블레이드(123)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123)의 회전수가 예를 들어 300rpm으로 회전되어 세탁수가 베이스(121)에서 이너 터브(120a)의 상단부까지 펌핑되며 순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되는 세탁수에 세제가 용이하게 혼합되고,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는 적은 물량으로도 세탁대상물에 균일하게 적셔줌으로 세탁 성능이 향상되고 소비전력이 절감된다.
또한, 구동모터(130)에서 생성하는 회전력은 세탁축(132a)에서 동력전달부(140)의 선기어(142)로 전달되고, 선기어(142), 유성기어(143) 및 링기어(145)의 기어비에 의해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가 감속되며 증가된 토크가 캐리어(144)를 통해 펄세이터(122)로 전달되어, 펄세이터(122)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동일한 구동모터(13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회전수로 블레이드(123)와 펄세이터(122)를 각각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펄세이터(122)의 감속 및 증가된 토크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30)의 회전부하를 경감시키며 세탁수 및 세탁대상물을 용이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30)의 효율적인 동력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제 1 내지 10실시예를 각 실시예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16을 참고하여,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40,240,340,440)는 유성기어 모듈(140,240,340,440)을 포함한다. 유성기어 모듈(140,240,340,440)은 동일한 구동모터(130)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로 전달할 때 각각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유성기어 모듈(140,240,340,440)은 선기어(142,242,342,442),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 링기어(145,245,345,445) 및 캐리어(144,244,344,444)를 포함한다. 유성기어 모듈(140,240,340,440)은 기어박스하우징(141,241,341,441)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141,241,341,441)은 선기어(142,242,342,442),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 링기어(145,245,345,445) 및 캐리어(144,244,344,444)를 내부에 수용한다.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선기어(142,242,342,442)는 세탁축(132a,232a,332a,442a)과 연결되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선기어(142,242,342,442)는 세탁축(132a,232a,332a,442a)과 결합된다. 세탁축(132a,232a,332a,442a)이 선기어(142,242,342,44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세탁축(132a,232a,332a,442a)의 회전력이 선기어(142,242,342,442)로 전달된다. 선기어(142,242,342,442)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와 동일하게 회전한다. 세탁축(132a,232a,332a,442a)의 외주면과 선기어(142,242,342,442)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홈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선기어(142,242,342,442)는 세탁축(132a,232a,332a,442a)과 함께 자전한다. 선기어(142,242,342,442)의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143,243,343,443)는 선기어(142,242,342,442)와 기어이(gear teeth)끼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유성기어(143,243,343,443)는 선기어(142,242,342,4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한다. 유성기어(143,243,343,443)는 유성기어(143,243,343,443)의 중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유성기어(143,243,343,443)는 선기어(142,242,342,44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전한다.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는 선기어(142,242,342,4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링기어(145,245,345,445)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링기어(145,245,345,445)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링기어(145,245,345,445)는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와 내접한다. 링기어(145,245,345,445)는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를 감싸며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링기어(145,245,345,445)의 외측은 기어박스하우징(741,841,941,1041)에 고정된다.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44,244,344,444)는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두도록 구비된다. 캐리어(144,244,344,444)는 유성기어(143,243,343,44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을 포함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은 유성기어(143,243,343,443)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은 유성기어(143,243,343,443)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은 캐리어(144,244,344,444)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구비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의 상단부는 캐리어(144,244,344,444)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의 하단부는 캐리어(144,244,344,444)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복수의 유성기어 연결축(144a,244a,344a,444a)은 복수의 유성기어(143,243,343,443)가 선기어(142,242,342,442)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 및 13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 보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동력전달부(1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1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펄세이터(122)는 100rpm 내지 120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280rpm 내지 320rpm 범위의 속도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구동모터(130)의 회전수는 300rpm일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감속된 회전속도를 통해, 구동모터(130)의 회전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즉, 캐리어(144)의 회전속도 감소로인해 펄세이터(122)로 전달되는 토크는 증가한다. 펄세이터(122)는 증가된 토크로 인해 블레이드(123)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물량 및 적셔진 세탁대상물을 회전시켜도 구동모터(130)에 부담을 적게 줄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보다 큰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를 통해, 세탁수를 펌핑하여 순환덕트(126)를 따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상단부로 상승시키기 위한 펌핑압력 및 세탁수의 펌핑속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동일하다. 즉, 세탁축(132a)의 회전방향, 선기어(142)의 회전방향,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 유성기어(143)의 공전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은 내측면에 링기어(145)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한다. 링기어(145)는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외측 둘레부와 베이스(12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지그(146)는 링 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지그(146)는 중앙부에서 베이스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부가 형성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상기 결합부가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다. 지그(146)의 중앙부와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외측 둘레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지그(146)의 상기 연장부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21)와 체결될 수 있다.
링기어(145)는 기어박스하우징(141)에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과 링기어(145)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145a)이 형성된다. 도 13을 참고하여, 링기어(145)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145a)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기어박스하우징(14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145a)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링기어(14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145a)이 기어박스하우징(14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145)는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링기어(145)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유성기어(143)는 링기어(145)와 치합되어 링기어(145)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유성기어(143)의 공전방향은, 선기어(14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유성기어(143)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는 링기어(145)와 선기어(142)의 기어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캐리어(144)의 회전수는 복수의 유성기어(143)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와 동일하다. 캐리어(144)의 회전수는, 링기어(145)와 선기어(142) 사이의 기어비 및 선기어(142)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캐리어(144)는 상부연결축(144b)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144b)는 캐리어(144)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144b)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144b)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캐리어(144)는 상부연결축(144b)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144c)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144c)는 상부연결축(144b)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144c)은 상부연결축(144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144c)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블레이드(123)는 구동모터(130)와 직결되어,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중앙부에 축결합부(123c)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30)와 직결되는 세탁축(132a)이 상기 축결합부(123c)에 결합된다.
펄세이터(122)는 캐리어(144)의 상부연결축(144b)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부연결축(144b)은 세탁축(1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144b)과 세탁축(1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는 유성기어 모듈(140)의 상기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유성기어 모듈(140)은, 세탁축(132a), 캐리어(144) 및 기어박스하우징(141)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147a,147b,147c)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의 상부면과 상부연결축(144b) 사이에 제1베어링(147a)이 설치되어, 상부연결축(144b)이 기어박스하우징(1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144) 내부면과 세탁축(132a) 사이에 제2베어링(147b)이 설치되어, 세탁축(132a)이 캐리어(144)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베어링(1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징(1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기어박스하우징(141)의 내부면과 캐리어(144)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147c)이 설치되어, 캐리어(144)가 기어박스하우징(1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고하여, 후술할 제 2실시예와 상기 제 1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ⅱ 펄세이터(122)는 세탁축(232a)과 일체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한다. ⅲ 캐리어(244)는 상부연결축 및 동력전달캡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2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동력전달부(2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2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123)는 100rpm 내지 120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하고, 펄세이터(122)는 280rpm 내지 320rpm 범위의 속도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구동모터(130)의 회전수는 300rpm일 수 있다. 유성기어 모듈은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증가되는 토크를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제 2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동일하다. 즉, 세탁축(232a)의 회전방향, 선기어(242)의 회전방향,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유성기어(243)의 공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기어박스하우징(241)은 내측면에 링기어(245)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한다. 링기어(245)는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241)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241)의 외측 둘레부와 베이스(12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지그(146)는 링 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지그(146)는 중앙부에서 베이스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241)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부가 형성된다. 기어박스하우징(241)의 상기 결합부가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다.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와 기어박스하우징(241)의 상기 외측 둘레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지그(146)의 상기 연장부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21)와 체결될 수 있다.
링기어(245)는 기어박스하우징(241)에 고정된다. 링기어(245)의 회전력을 기어박스하우징(241)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어박스하우징(241)과 링기어(245)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245a)이 형성된다. 도 13을 참고하여, 링기어(245)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245a)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기어박스하우징(24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245a)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링기어(24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245a)이 기어박스하우징(24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245)는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링기어(245)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유성기어(243)는 링기어(245)와 치합되어 링기어(245)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유성기어(243)는 선기어(242)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유성기어(243)의 공전방향은, 선기어(24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유성기어(243)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는 링기어(245)와 선기어(242)의 기어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캐리어(244)의 회전수는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와 동일하다. 캐리어(244)의 회전수는, 링기어(245)와 선기어(242) 사이의 기어비 및 선기어(242)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블레이드(123)는 캐리어(24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링기어(245) 사이의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캐리어(244)는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캐리어(244)의 하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한다. 캐리어(244)와 블레이드(123) 사이의 경계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캐리어(244)가 받은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돌기 및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는 캐리어(244)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에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와 직결되어,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세탁축(232a)이 펄세이터(122)와 직결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232a)을 통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세탁축(232a)은 기어박스하우징(241)을 관통한다. 세탁축(232a)은 펄세이터(122)의 축지지홈(122b2) 까지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세탁축(232a)의 상부는 펄세이터(122)와 결합된다.
유성기어 모듈 240)은, 세탁축(232a), 캐리어(244) 및 기어박스하우징(241)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247a,247b,247c,247d)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241)의 상부면과 세탁축(232a) 사이에 제1베어링(247a)이 설치된다. 세탁축(232a)이 기어박스하우징(2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244) 내부면과 세탁축(232a) 사이에 제2베어링(247b)이 설치되어, 세탁축(232a)이 캐리어(244))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어박스하우징(241)의 내부면과 캐리어(244)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247c)이 설치되어, 캐리어(244)가 기어박스하우징(24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23)의 내측면과 세탁축(232a) 사이에 제4베어링(247d)이 설치되어, 블레이드(123)가 세탁축(232a)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14 및 15을 참고하여, 후술할 제 3실시예와 상기 제 1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ⅱ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ⅲ 펄세이터(122)는 세탁축(332a)과 일체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링기어(345)와 일체로 회전한다. ⅳ 캐리어(244)는 상부연결축 및 동력전달캡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ⅴ 지그(146)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ⅵ 캐리어(344)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40)를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동력전달부(3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3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123)는 100rpm 내지 120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하고, 펄세이터(122)는 280rpm 내지 320rpm 범위의 속도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구동모터(130)의 회전수는 300rpm일 수 있다. 유성기어 모듈은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증가되는 토크를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제 3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서로 반대이다. 동력전달부(340)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반대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세탁축(332a)의 회전방향, 선기어(342)의 회전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링기어(345)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세탁축(332a), 선기어(342)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링기어(345)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이다.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의 교반에 의해 허브(124)의 세탁수유입공을 통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의 하부로 유입되는 세탁수 및 세제가 용이하게 혼합되므로,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펄세이터(122) 위에서 세탁대상물이 이너 터브(120a)의 한쪽으로 몰리게 될 경우에 펄세이터(122)만의 회전에 의해서 세탁 시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진동이 발생하지만, 블레이드(123)가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펄세이터(122)에 의해 발생하는 가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Gyro effect의 원리를 이용한 진동저감효과와 동일하다. 자이로 효과(gyro effect)란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가 그 회전축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을 말한다.
기어박스하우징(341)은 내측면에 링기어(345)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한다. 링기어(345)는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341)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기어박스하우징(341)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캐리어(344)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캐리어(344)가 허브(124)에 고정된다. 캐리어(344)는 허브(324)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캐리어(344)와 허브(124) 사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캐리어(344)가 허브(124)에 의해 고정된다.
링기어(345)는 기어박스하우징(341)에 고정된다. 링기어(345)의 회전력을 기어박스하우징(341)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어박스하우징(341)과 링기어(345)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345a)이 형성된다. 도 16을 참고하여, 링기어(345)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345a)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기어박스하우징(34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345a)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링기어(34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345a)이 기어박스하우징(34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박스하우징(341) 및 링기어(345)는 회전한다. 기어박스하우징(341) 및 링기어(345)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링기어(345)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146)가 불필요하다. 캐리어(344)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링기어(345)는 유성기어(343)와 치합되어 복수의 유성기어(343)의 주위를 따라 회전한다. 링기어(345)는 선기어(342)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링기어(345)의 자전방향은, 선기어(342)의 회전방향과 반대이고, 유성기어(343)의 자전방향과 동일하다. 링기어(345)의 회전수는, 링기어(345)와 선기어(342) 사이의 기어비 및 선기어(342)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블레이드(123)는 기어박스하우징(34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선기어(342)와 링기어(345) 사이의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기어박스하우징(341)은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기어박스하우징(341)의 하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기어박스하우징(341)과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링기어(345)와 일체로 회전한다. 기어박스하우징(341)과 블레이드(123) 사이의 경계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기어박스하우징(341)이 받은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돌기 및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는 기어박스하우징(341)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에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와 직결되어,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세탁축(232a)이 펄세이터(122)와 직결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232a)을 통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세탁축(232a)은 기어박스하우징(241)을 관통한다. 세탁축(232a)은 펄세이터(122)의 축지지홈(122b2) 까지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세탁축(232a)의 상부는 펄세이터(122)와 결합된다.
유성기어 모듈(340)은, 세탁축(332a), 캐리어(344) 및 기어박스하우징(341)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347a,347b,347c)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341)의 상부면과 세탁축(332a) 사이에 제1베어링(347a)이 삽입 설치되어, 세탁축(332a)과 기어박스하우징(341)은 서로 다른 회전수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344)와 세탁축(332a) 사이에 제2베어링(347b)이 삽입 설치되어, 세탁축(332a)이 캐리어(344)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다. 기어박스하우징(341)과 캐리어(344) 사이에 제3베어링(347c)이 삽입 설치되어, 기어박스하우징(341)이 캐리어(344)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다.
도 15 및 16을 참고하여, 후술할 제 4실시예와 상기 제 1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ⅱ 펄세이터(122)는 링기어(345)와 일체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세탁축(442a)과 일체로 회전한다. ⅲ 기어박스하우징(441)은 링기어(445)가 아닌 캐리어(444)를 고정시킨다. ⅵ 링기어(445)를 고정시키고 기어박스하우징(441)에대해 상대 회전하는 링기어 지지부재(448)가 별도로 구비된다. ⅴ 상부연결축(448b) 및 동력전달캡(448c)은 캐리어(444)가 아닌 링기어 지지부재(448)에 형성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4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 보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동력전달부(4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4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펄세이터(122)는 100rpm 내지 120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280rpm 내지 320rpm 범위의 속도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구동모터(130)의 회전수는 300rpm일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다.
제 4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서로 반대이다. 동력전달부(440)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반대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세탁축(432a)의 회전방향, 선기어(44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링기어(445)의 회전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세탁축(432a), 선기어(442)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링기어(445)의 회전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이다. 이에 따른 효과는 상기 제 3실시예와 같다.
유성기어 모듈(440)은 링기어 지지부재(448)을 포함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는 기어박스하우징(441)의 내부에 배치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는 기어박스하우징(441)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별도의 부재이다. 링기어 지지부재(448)는 기어박스하우징(441)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는 내측면에 링기어(445)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한다. 링기어(445)는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441)은 캐리어(444)를 고정시킨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441)을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시킨다. 캐리어(444)는 기어박스하우징(441) 및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441)은 지그(146)에 의해 고정된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441)의 외측 둘레부와 베이스(12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지그(146)는 링 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지그(146)는 중앙부에서 베이스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441)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부가 형성된다. 기어박스하우징(441)의 상기 결합부가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다. 지그(146)의 중앙부와 기어박스하우징(441)의 외측 둘레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지그(146)의 상기 연장부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21)와 체결될 수 있다.
링기어(445)는 링기어 지지부재(448)에 고정된다. 링기어(445)의 회전력을 링기어 지지부재(448)으로 전달하기 위해, 링기어 지지부재(448)와 링기어(445)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445a)이 형성된다. 도 16을 참고하여, 링기어(445)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445a)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링기어 지지부재(448)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445a)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링기어(44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445a)이 링기어 지지부재(448)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 지지부재(448) 및 링기어(445)는 회전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 및 링기어(445)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배치되는 지그(146)는 링기어(445)를 고정시키지 않는다. 캐리어(444)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링기어(445)는 유성기어(443)와 치합되어 복수의 유성기어(443)의 주위를 따라 회전한다. 링기어(445)는 선기어(442)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링기어(445)의 자전방향은, 선기어(442)의 회전방향과 반대이고, 유성기어(443)의 자전방향과 동일하다. 링기어(445)의 회전수는, 링기어(445)와 선기어(442) 사이의 기어비 및 선기어(442)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는 상부연결축(448b)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448b)는 링기어 지지부재(448)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448b)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448b)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는 상부연결축(448b)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448c)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448c)는 상부연결축(448b)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448c)은 상부연결축(448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448c)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블레이드(123)는 구동모터(130)와 직결되어,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중앙부에 축결합부(123c)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30)와 직결되는 세탁축(432a)이 상기 축결합부(123c)에 결합된다.
펄세이터(122)는 링기어 지지부재(448)의 상부연결축(448b)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부연결축(448b)은 세탁축(4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448b)과 세탁축(4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는 유성기어 모듈(440)의 상기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유성기어 모듈(440)은, 세탁축(432a), 캐리어(444) 및 링기어 지지부재(448)가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고, 세탁축(432a), 기어박스하우징(441) 및 링기어 지지부재(448)가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 복수의 베어링(447a,447b,447c)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441)의 상부와 링기어 지지부재(448)의 상부연결축(448b) 사이에 제1베어링(447a)이 설치된다. 상부연결축(448b)이 기어박스하우징(4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444) 내부면과 세탁축(432a) 사이에 제2베어링(447b)이 설치되어, 세탁축(432a)이 캐리어(444)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베어링(4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징(4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링기어 지지부재(448)의 내측면과 캐리어(444)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447c)이 설치되어, 링기어 지지부재(448)가 캐리어(444)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17a, 17b, 18a, 18b 및 19를 참고하여, 제 5 및 6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540,640)은 기어박스하우징(541,641) 및 복수의 베벨기어를 포함한다. 제 5 및 6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베벨기어는 기어박스하우징(541,64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베벨기어는 회전축이 수직방향인 제1베벨기어(5421,6421) 및 제3베벨기어(54236,42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베벨기어는 회전축(5422a,6422a)이 수평방향인 복수의 제2베벨기어(5422,6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세탁수의 수면과 평행한 방향이고, 수직방향은 중력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방향이다.
도 17a, 17b, 18a, 18b 및 19를 참고하여, 제 5 및 6실시예에 따른 제1베벨기어(5421,6421)는 세탁축(532a,632a)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1베벨기어(5421,6421)는 원추형의 기어이다. 제1베벨기어(5421,6421)는 하부면,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상부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한다. 제1베벨기어(5421,6421)의 상기 측면에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제1베벨기어(5421,6421)의 기어이의 경사각도는 일 예로 45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탁축(532a,632a)은 제1베벨기어(5421,6421)의 회전축이된다. 세탁축(532a,632a)은 제1베벨기어(5421)의 하부면과 상부면을 관통한다. 세탁축(532a,632a)은 제1베벨기어(5421)의 중심부와 결합된다. 제1베벨기어(5421)는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세탁축(532a,632a)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1베벨기어(5421,6421)와 세탁축(532a,632a)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복수의 돌기에 각각 맞물리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이 세탁축(532a,632a)으로부터 제1베벨기어(5421,6421)로 전달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세탁축(532a,632a)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수용홈은 제1베벨기어(5421,6421)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반대로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1베벨기어(5421,6421) 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한다.
도 17a, 17b, 18a, 18b 및 19를 참고하여, 제 5 및 6실시예에 따른 제2베벨기어(5422,6422)는 원추형의 기어이다. 제2베벨기어(5422,6422)의 회전축(5422a,6422a)은 세탁축(532a,632a)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베벨기어(5422,642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벨기어(5422,6422)는 제1베벨기어(5421,6421)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복수의 제2베벨기어(5422,6422)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복수의 제2베벨기어(5422,642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제2베벨기어(54226422)에는 각각 회전축(5422a,6422a)이 구비된다. 제2베벨기어(5422,6422)는 회전축(5422a,6422a)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2베벨기어(5422,6422)의 회전축(5422a,6422a)은 지지부재(543,64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부재(543,643)는, 세탁축(532a,632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몸체(543a,643a)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43,643)는 지지몸체(543a,643a)에서 상기 회전축(5422a,6422a)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543b,643b)를 포함한다. 지지부(543b,643b)는 지지몸체(543a,643a)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부(543b,643b)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543b,643b)는 각각 축수용홀을 구비한다. 복수의 지지부(543b,643b)의 상기 축수용홀의 내부에 각각 베어링이 장착되어, 각각의 베어링에 의해 복수의 회전축(5422a,6422a)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7a, 17b, 18a, 18b 및 19를 참고하여, 제 5 및 6실시예에 따른 제3베벨기어(5423,6423)는 원추형 기어이다. 제3베벨기어(5423,6423)는 제1베벨기어(5421,6421)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3베벨기어(5423,6423)는 기어박스하우징(541,64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3베벨기어(5423,6423)는 측면에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하여 제2베벨기어(5422,6422)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한다. 제3베벨기어(5423,6423)는 제2베벨기어(5422,64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 5 및 6실시예에서,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동력전달부(540,6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540,6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블레이드(123) 및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제1베벨기어(5421,6421)와 제3베벨기어(5423,6423)는 서로 동일한 기어잇수를 가진다. 제1베벨기어(5421,6421)와 제3베벨기어(5423,6423)의 기어비는 1:1이다. 제3베벨기어(5423)는 제1베벨기어(5421)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제 5 및 6실시예에서,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동력전달부(540,640)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반대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제 용해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세탁대상물이 펄세이터(122) 위에서 한쪽으로 몰려 있을 때 펄세이터(12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7a, 17b 및 19를 참고하여, 제 5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5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어박스하우징(541)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기어박스하우징(541)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기어박스하우징(541)은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배치된다. 기어박스하우징(541)은 펄세이터(122)의 요입홈(122b1)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지지부재(543)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지지부재(543)는 허브(124)에 고정된다. 허브(124)는 내부에 구동모터(130)의 회전축(5422a)을 결합시키는 중앙결합부(124b)를 구비한다. 지지부재(543)는 허브(124)의 중앙결합부(124b)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지지몸체(543a)의 하측은 허브(124)의 중앙결합부(124b)에 고정된다. 중앙결합부(124b)의 상부면에 지지몸체(543a)의 하측이 결합된다. 허브(124)의 중앙결합부(124b)는 내주면을 따라 기어이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돌기홈을 구비한다. 지지몸체(543a)는, 제1베벨기어(5421)를 감싸며 수용한다. 지지몸체(543a)는 제1베벨기어(5421)와 이격 배치된다. 지지몸체(543a)의 상측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543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2베벨기어(5422)는 지지부(543b)에 의해 지지되어, 세탁축(532a)을 중심으로 공전하지 않고 회전축(5422b)에 대해 자전만 수행한다.
제3베벨기어(5423)는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5423)는 기어박스하우징(541)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5423)는 세탁축(532b)과 상대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5423) 및 기어박스하우징(541)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돌기(5423b)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복수의 돌기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5423a)이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5423b)는 제3베벨기어(5423)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5423a)은 기어박스하우징(541)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5423b)가 돌기수용홈(5423a)에 삽입 결합된다. 제3베벨기어(5423)의 회전력이 기어박스하우징(541)으로 전달된다. 복수의 돌기(5423b)는 제3베벨기어(5423)의 회전력을 기어박스하우징(541)으로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수용홈(5423a)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돌기(5423b)와 돌기수용홈(5423a)은 상기한 위치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123)는 제3베벨기어(5423)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제3베벨기어(5423) 및 기어박스하우징(541)을 통해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에 기어박스하우징(541)의 외측 둘레부가 결합된다. 기어박스하우징(541)를 통해 제3베벨기어(5423)의 회전력이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블레이드(123)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회전하고,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세탁축(532a)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펄세이터(122)는 제1베벨기어(5421)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532a)과 일체로 회전한다. 세탁축(532a)은 기어박스하우징(541)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세탁축(532a)은 펄세이터(122)의 축지지홈(122b2)에 결합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532a)과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532a)을 통해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세탁축(532a)은 제1베벨기어(5421)와 함께 제3베벨기어(5423)를 관통한다. 세탁축(532a)은 제1베벨기어(5421)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세탁축(532a)은 제3베벨기어(5423)와 분리되어 있다.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세탁축(532a)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동력전달부(540)는, 세탁축(532a), 기어박스하우징(541) 및 중앙결합부(124b)가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고, 세탁축(532a), 기어박스하우징(541) 및 지지부재(543)가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547a,547b,547c)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541)의 상부와 세탁축(532a) 사이에 제1베어링(547a)이 설치될 수 있다. 제1베어링(547a)은 제3베벨기어(5423)의 중심부와 세탁축(532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세탁축(532a)은 제1베어링(547a)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제1베어링(547a)은 제3베벨기어(5423)가 세탁축(532a)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해준다. 세탁축(532a)과 제3베벨기어(5423)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기어박스하우징(541)의 내주면과 지지몸체(543a)의 외주면 사이에 제2베어링(547b)이 설치되고, 기어박스하우징(141)은 지지몸체(543a)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다. 또한, 허브(124)의 중앙결합부(124b)의와 세탁축(532a) 사이에 제3베어링(547c)이 설치된다. 세탁축(532a)은 제3베어링(547c)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세탁축(532a)은 허브(124)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다.
도 18a, 18b 및 19를 참고하여, 후술할 제 6실시예 상기 제 5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블레이드(123)는 세탁축(442a) 및 제1베벨기어(6421)와 일체로 회전하고, 펄세이터(122)는 제3베벨기어(6423) 및 상부연결축(649b)과 일체로 회전한다. ⅱ 기어박스하우징(441)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고, 지지부재(643)을 고정시킨다. ⅲ 제3베벨기어(6423)와 결합하고 기어박스하우징(441)에대해 상대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가 별도로 구비된다. ⅵ 상부연결축(448b) 및 동력전달캡(448c)이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에 형성된다.
제 6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6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은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배치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은 펄세이터(122)의 요입홈(122b1)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은 지그(146)에 의해 고정된다. 지그(146)는 기어박스하우징(641)의 외측 둘레부와 베이스(12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지그(146)는 링 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지그(146)는 중앙부에서 베이스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부가 형성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의 상기 결합부가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다. 지그(146)의 중앙부와 기어박스하우징(641)의 외측 둘레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지그(146)의 상기 연장부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21)와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643)는 기어박스하우징(641)에 고정된다. 지지부재(643)는 기어박스하우징(641) 및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지지몸체(643a)는, 제1베벨기어(6421)를 감싸며 수용한다. 지지몸체(643a)는 제1베벨기어(6421)와 이격 배치된다. 지지몸체(643a)의 상측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643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2베벨기어(6422)는 지지부(643b)에 의해 지지되어, 세탁축(632a)을 중심으로 공전하지 않고 회전축(6422b)에 대해 자전만 수행한다.
제3베벨기어(6423)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한다. 동력전달부(640)는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를 포함한다.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는 기어박스하우징(641)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는 기어박스하우징(641)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별도의 부재이다.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는 기어박스하우징(641)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는 제3베벨기어(6423)와 고정적으로 결합한다. 제3베벨기어(6423)는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6423)는 세탁축(632b)과 상대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6423) 및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돌기(6423b)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복수의 돌기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6423a)이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6423b)는 제3베벨기어(6423)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6423a)은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6423b)가 돌기수용홈(6423a)에 삽입 결합된다. 제3베벨기어(6423)의 회전력이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로 전달된다. 복수의 돌기(6423b)는 제3베벨기어(6423)의 회전력을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로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수용홈(6423a)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돌기(6423b)와 돌기수용홈(6423a)은 상기한 위치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는 상부연결축(649b)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649b)은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649b)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649b)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649)는 상부연결축(649b)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649c)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649c)는 상부연결축(649b)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649c)은 상부연결축(649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649c)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블레이드(123)는 제1베벨기어(6421)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세탁축(632a) 및 제1베벨기어(6421)를 통해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세탁축(632a)은 기어박스하우징(641)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세탁축(632a)은 제1베벨기어(6421)를 관통한다. 세탁축(632a)은 제1베벨기어(6421)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세탁축(632a)은 제3베벨기어(6423)와 분리되어 있다. 블레이드(123)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세탁축(632a)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펄세이터(122)는 제3베벨기어(6423)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는 상부연결축(649b)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부연결축(649b)은 세탁축(6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649b)과 세탁축(6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와 동일하게 회전하고,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세탁축(632a)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동력전달부(640)는, 블레이드(123), 기어박스하우징(641) 및 상부연결축(649b)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647a,647b,647c)을 포함한다. 기어박스하우징(641)의 상부와 상부연결축(649b) 사이에 제1베어링(647a)이 설치된다. 상부연결축(649b)은 제1베어링(647a)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제1베어링(647a)은 상부연결축(649b)이 기어박스하우징(64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해준다. 상부연결축(649b)은 기어박스하우징(641)과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기어박스하우징(641)과 블레이드(123) 사이에 제2베어링(647b)이 설치되고, 블레이드(123)는 기어박스하우징(141)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다.
도 20a 내지 23을 참고하여,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740,840,940,1040)는 서로 별개의 유성기어 세트를 구비하는 듀얼 유성기어모듈(740,840,940,1040)을 포함한다. 듀얼 유성기어모듈(740,840,940,1040)은 듀얼 기어박스(dual gear boxes)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유성기어모듈(740,840,940,1040)은, 동일한 구동모터(130)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로 전달할 때 각각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듀얼 유성기어모듈(740,840,940,1040)은,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예, 450rpm)를 서로 다른 2개의 회전속도(예,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는 300rpm이고,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는 100rpm임)로 감속하여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740,840,940,10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740,840,940,10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듀얼 유성기어모듈(740,840,940,1040)을 통해,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의 감속 정도를 각각 기설정할 수 있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듀얼 유성기어모듈(740,840,940,1040)은, 펄세이터(122)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유성기어모듈(740a,840a,940a,1040a)와, 블레이드(123)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유성기어모듈(740b,840b,940b,1040b)를 포함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1유성기어모듈(740a,840a,940a,1040a)은,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를 포함한다. 제1유성기어모듈(740a,840a,940a,1040a)은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841a,941a,1041a)를 포함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841a,941a,1041a)은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를 내부에 수용한다.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 및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는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841a,941a,1041a)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2유성기어모듈(740b,840b,940b,1040b)은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를 포함한다. 제2유성기어모듈(740b,840b,940b,1040b)은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841b,941b,1041b)을 포함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841b,941b,1041b)은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를 내부에 수용한다.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841b,941b,1041b)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서, 제1유성기어모듈(740a,840a,940a,1040a)는 제2유성기어모듈(740b,840b,940b,1040b)의 상부에 적층하여 배치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841a,941a,1041a)은 펄세이터(122)의 요입홈(122b1)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서,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및 세탁축(732a,832a,932a,1032a)은 일체로 회전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과 연결되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과 결합된다. 세탁축(732a,832a,932a,1032a)은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세탁축(732a,832a,932a,1032a)의 회전력이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로 전달된다.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와 동일하게 회전한다. 세탁축(732a,832a,932a,1032a)의 외주면과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홈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과 함께 자전한다.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과 연결되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과 결합된다. 세탁축(732a,832a,932a,1032a)은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세탁축(732a,832a,932a,1032a)의 회전력이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로 전달된다.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와 동일하게 회전한다. 세탁축(732a,832a,932a,1032a)의 외주면과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홈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과 함께 자전한다.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는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와 기어이까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는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한다.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는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의 중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는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전한다.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는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와 내접한다.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를 감싸며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의 외측은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841a,941a,1041a)에 고정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두도록 구비된다.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는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을 포함한다.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은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은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은 캐리어(144,244,344,444)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구비된다.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의 상단부는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의 하단부는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복수의 제1유성기어 연결축(744a1,844a1,944a1,1044a1)은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843a,943a,1043a)가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는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와 기어이까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는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한다.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는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의 중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는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전한다.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는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와 내접한다.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를 감싸며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의 외측은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841b,941b,1041b)에 고정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 따른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두도록 구비된다.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는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을 포함한다.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은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은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은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구비된다.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의 상단부는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의 하단부는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복수의 제2유성기어 연결축(744b1,844b1,944b1,1044b1)은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843b,943b,1043b)가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서,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 중 어느 하나는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어느 하나와 서로 고정된다.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 중 어느 하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어느 하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서, 펄세이터(122)는 제1캐리어(744a,844a,944a,1044a) 및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수는,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와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사이의 기어비 및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 7 내지 10실시예에서,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744b,844b,944b,1044b) 및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의 회전수는,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와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사이의 기어비 및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의 회전수 및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의 회전수는 세탁축(732a,832a,932a,1032a)의 회전수와 동일하므로, 제1링기어(745a,845a,945a,1045a)와 제1선기어(742a,842a,942a,1042a) 사이의 제 1기어비를 제2링기어(745b,845b,945b,1045b)와 제2선기어(742b,842b,942b,1042b) 사이의 제 2기어비와 다르게 하여,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의 회전속도 감속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20a, 20b 및 20c를 참고하여, 제 7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74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7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서로 반대이다. 동력전달부(740)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반대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세탁축(732a)의 회전방향, 제1선기어(742a)의 회전방향, 제2선기어(742b)의 회전방향, 제1유성기어(743a)의 공전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 및 제2링기어(745b)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같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이에 따른 효과의 설명은 상기 제3실시예에 대한 효과의 설명과 같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1링기어(745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2링기어(745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링기어(745a) 및 제2캐리어(744b)는 서로 고정된다. 제2캐리어(7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744b)의 하부는 허브(124)에 고정된다. 제1링기어(745a)는 제2캐리어(744b)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즉, 제1링기어(745a), 제2캐리어(744b) 및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서로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제1링기어(745a)는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에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과 제1링기어(745a)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1링기어(745a)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제1링기어(745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이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제1링기어(745a)의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에 대한 상대 회전을 막는다. 제1링기어(745a)는 제2캐리어(744b)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은, 제1링기어(745a)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하기 위해, 제2캐리어(744b)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링기어(745a)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1유성기어(743a)는 제1링기어(745a)와 치합되어 제1링기어(745a)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제1유성기어(743a)는 제1선기어(742a)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제1유성기어(743a)의 공전방향은, 제1선기어(742a)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제1유성기어(743a)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는 제1링기어(745a)와 제1선기어(742a)의 기어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캐리어(744a)의 회전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743a)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와 동일하다. 제1캐리어(744a)의 회전수는, 제1링기어(745a)와 제1선기어(742a) 사이의 기어비 및 제1선기어(742a)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1캐리어(744a)는 상부연결축(744a2)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744a2)는 제1캐리어(744a)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744a2)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744a2)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캐리어(744a)는 상부연결축(744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744c)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744c)는 상부연결축(744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744c)은 상부연결축(144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744c)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제2캐리어(7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744b)가 허브(124)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744b)는 허브(324)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제2캐리어(744b)와 허브(124) 사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제2캐리어(744b)가 허브(124)에 의해 고정된다.
제2링기어(7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에 고정된다. 제2링기어(745b)의 회전력을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과 제2링기어(745b)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2링기어(745b)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링기어(34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345a)이 기어박스하우징(34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 및 제2링기어(745b)는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 및 제2링기어(745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제2링기어(745b)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146)가 불필요하다. 제2캐리어(744b)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2링기어(745b)는 제2유성기어(743b)와 치합되어 복수의 제2유성기어(743b)의 주위를 따라 회전한다. 제2링기어(745b)는 제2선기어(342b)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2링기어(745b)의 자전방향은, 제2선기어(342b)의 회전방향과 반대이고, 제2유성기어(743b)의 자전방향과 동일하다. 제2링기어(745b)의 회전수는, 제2링기어(745b)와 제2선기어(342b) 사이의 기어비 및 제2선기어(342b)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블레이드(123)는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은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과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링기어(745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과 블레이드(123) 사이의 경계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이 받은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돌기 및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는 기어박스하우징(341)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펄세이터(122)는 제1캐리어(744a)의 상부연결축(744a2)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부연결축(744a2)은 세탁축(7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744a2)과 세탁축(7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동력전달부(740)은, 세탁축(732a), 상부연결축(744a2), 제1캐리어(744a) 및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 등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747a,747b,747c,747d,747e,747f)을 포함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과 상부연결축(744a2) 사이에 제1베어링(747a)이 삽입 설치되어, 상부연결축(744a2)이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1캐리어(744a)의 내부면과 세탁축(732a) 사이에 제2베어링(747b)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744a)와 세탁축(732a)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베어링(7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링(7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의 내주면과 제1캐리어(744a)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747c)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744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캐리어(744b)와 세탁축(732a) 사이에 제4베어링(747d)이 설치되어, 세탁축(732a)이 제2캐리어(744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과 제2캐리어(744b) 사이에 제5베어링(747e)이 삽입 설치되어,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이 제2캐리어(744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과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 사이에 제6베어링(747f)이 설치되어, 제2기어박스하우징(741b)이 제1기어박스하우징(7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도 21을 참고하여, 후술할 제 8실시예와 상기 제 7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이 반대이고,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ⅱ 펄세이터(122)는 제1링기어(845a)와 일체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제2링기어(845b)와 일체로 회전한다. ⅲ 제1캐리어(844a) 및 제2캐리어(844b)가 서로 고정되고, 제2캐리어(8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즉, 제1캐리어(844a) 및 제2캐리어(844b)가 공전하지 않는다. ⅳ 제1캐리어(844a)는 상부연결축 및 동력전달캡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은 상부연결축(841a2) 및 동력전달캡(841a3)을 형성한다.
제 8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8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8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세탁축(832a)의 회전방향, 제1선기어(842a)의 회전방향 및 제2선기어(842b)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제1링기어(845a)의 회전방향, 제2링기어(845b)의 회전방향,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세탁축(832a), 제1선기어(842a) 및 제2선기어(842b)의 회전방향은, 제1링기어(845a), 제2링기어(845b),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1링기어(845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2링기어(845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캐리어(844a) 및 제2캐리어(844b)는 서로 고정된다. 제2캐리어(8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844b)의 하부는 허브(124)에 고정된다. 제1캐리어(844a)는 제2캐리어(844b)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즉, 제1캐리어(844a), 제2캐리어(844b) 및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서로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제1링기어(845a)는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에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과 제1링기어(845a)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1링기어(845a)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제1링기어(845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이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제1링기어(845a)의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에 대한 상대 회전을 막는다. 제1링기어(845a)의 회전력이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으로 전달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 및 제1링기어(845a)는 회전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 및 제1링기어(845a)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제1캐리어(844a)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1링기어(845a)는 제1유성기어(843a)와 치합되어 복수의 제1유성기어(843a)의 주위를 따라 회전한다. 제1링기어(845a)는 제1선기어(842a)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1링기어(845a)의 자전방향은, 제1선기어(842a)의 회전방향과 반대이고, 제1유성기어(843a)의 자전방향과 동일하다. 제1링기어(845a)의 회전수는, 제1링기어(845a)와 제1선기어(842a) 사이의 기어비 및 제1선기어(842a)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는 상부연결축(841a2)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841a2)는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과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841a2)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841a2)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는 상부연결축(841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841a3)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841a3)은 상부연결축(841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841a3)은 상부연결축(144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841a3)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은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과 분리되어 있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은 각각 별도로 회전가능하다.
제2캐리어(8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844b)가 허브(124)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844b)는 허브(324)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제2캐리어(844b)와 허브(124) 사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제2캐리어(844b)가 허브(124)에 의해 고정된다.
제2링기어(8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에 고정된다. 제2링기어(845b)의 회전력을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과 제2링기어(845b)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2링기어(845b)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링기어(34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345a)이 기어박스하우징(34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 및 제2링기어(845b)는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 및 제2링기어(845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와 블레이드(123) 사이에 제2링기어(845b)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146)가 불필요하다. 제2캐리어(844b)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2링기어(845b)는 제2유성기어(843b)와 치합되어 복수의 제2유성기어(843b)의 주위를 따라 회전한다. 제2링기어(845b)는 제2선기어(342b)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2링기어(845b)의 자전방향은, 제2선기어(342b)의 회전방향과 반대이고, 제2유성기어(843b)의 자전방향과 동일하다. 제2링기어(845b)의 회전수는, 제2링기어(845b)와 제2선기어(342b) 사이의 기어비 및 제2선기어(342b)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블레이드(123)는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은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과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링기어(845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과 블레이드(123) 사이의 경계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이 받은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돌기 및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는 기어박스하우징(341)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펄세이터(122)는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의 상부연결축(841a2)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부연결축(841a2)은 세탁축(8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841a2)과 세탁축(8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동력전달부(840)은, 세탁축(832a), 상부연결축(841a2), 제 1 및 2캐리어(844a,844b),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847b,847c,847d,847e,847f)을 포함한다. 제1캐리어(844a)의 내부면과 세탁축(832a) 사이에 제2베어링(847b)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844a)와 세탁축(832a)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베어링(8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링(8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의 내주면과 제1캐리어(844a) 또는 제2캐리어(844b)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847c)이 설치되어, 제 1 및 2캐리어(844a,844b)가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캐리어(844b)와 세탁축(832a) 사이에 제4베어링(847d)이 설치되어, 세탁축(832a)이 제2캐리어(844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과 제2캐리어(844b) 사이에 제5베어링(847e)이 삽입 설치되어,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이 제2캐리어(844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과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 사이에 제6베어링(847f)이 설치되어, 제2기어박스하우징(841b)과 제1기어박스하우징(841a)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다.
도 22를 참고하여, 후술할 제 9실시예와 상기 제 7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과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고,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ⅱ 펄세이터(122)는 제1캐리어(944a)와 일체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944b)와 일체로 회전한다. ⅲ 제1링기어(945a) 및 제2링기어(944b)가 서로 고정되고, 제1링기어(945a) 및 제2링기어(944b)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ⅳ 동력전달부(940)는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을 고정시키는 지그(146)를 포함한다.
제 9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9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9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세탁축(932a)의 회전방향, 제1선기어(942a)의 회전방향, 제2선기어(942b)의 회전방향, 제1유성기어(943a)의 공전방향, 제2유성기어(943b)의 공전방향,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1링기어(945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2링기어(945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링기어(945a) 및 제2링기어(945b)는 서로 고정된다. 제1링기어(945a) 및 제2링기어(945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1링기어(945a)은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에 고정되고, 제2링기어(9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에 고정되고,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은 서로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1링기어(945a), 제2링기어(945b) 및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서로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은 지그(146)에 의해 고정된다. 지그(146)는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또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외측 둘레부와 베이스(12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지그(146)는 링 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지그(146)는 중앙부에서 베이스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또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부가 형성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또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상기 결합부가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다.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와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 또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상기 외측 둘레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지그(146)의 상기 연장부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21)와 체결될 수 있다.
제1링기어(945a)는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에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과 제1링기어(945a)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1링기어(945a)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제1링기어(945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이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제1링기어(945a)의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에 대한 상대 회전을 막는다. 제1링기어(945a)는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은, 제1링기어(945a)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하기 위해, 지그(146)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2링기어(9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에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과 제2링기어(945b)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2링기어(945b)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제2링기어(945b)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이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제2링기어(945b)의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에 대한 상대 회전을 막는다. 제2링기어(9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은, 제2링기어(945b)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하기 위해, 지그(146)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링기어(945a)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1유성기어(943a)는 제1링기어(945a)와 치합되어 제1링기어(945a)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제1유성기어(943a)는 제1선기어(942a)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제1유성기어(943a)의 공전방향은, 제1선기어(942a)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제1유성기어(943a)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는 제1링기어(945a)와 제1선기어(942a)의 기어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캐리어(944a)의 회전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943a)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와 동일하다. 제1캐리어(944a)의 회전수는, 제1링기어(945a)와 제1선기어(942a) 사이의 기어비 및 제1선기어(942a)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2링기어(945b)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2유성기어(943b)는 제2링기어(945b)와 치합되어 제2링기어(945b)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제2유성기어(943b)는 제2선기어(942b)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제2유성기어(943b)의 공전방향은, 제2선기어(942b)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제2유성기어(943b)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는 제2링기어(945b)와 제2선기어(942b)의 기어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2캐리어(944b)의 회전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943b)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와 동일하다. 제2캐리어(944b)의 회전수는, 제2링기어(945b)와 제2선기어(942b) 사이의 기어비 및 제2선기어(942b)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1캐리어(844a)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2캐리어(8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1캐리어(844a)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상대 회전한다. 제2캐리어(8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2캐리어(8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상대 회전한다. 제1캐리어(844a)은 제2캐리어(844b)와 분리되어 있다. 제1캐리어(844a) 및 제2캐리어(844b)는 각각 별도로 회전가능하다.
제1캐리어(944a)는 상부연결축(944a2)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944a2)는 제1캐리어(944a)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944a2)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944a2)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캐리어(944a)는 상부연결축(944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944c)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944c)는 상부연결축(944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944c)은 상부연결축(144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944c)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944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선기어(942b)와 제2링기어(945b) 사이의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제2캐리어(944b)는 블레이드(123)에 고정된다. 제2캐리어(944b)는 중앙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944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2캐리어(944b)과 블레이드(123) 사이의 경계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캐리어(944b)의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돌기 및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는 제2캐리어(944b)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에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제1캐리어(944a)의 상부연결축(944a2)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부연결축(944a2)은 세탁축(9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944a2)과 세탁축(9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동력전달부(940)은, 세탁축(932a), 상부연결축(944a2), 제2캐리어(944b) 및 제1및2기어박스하우징(941a,941b) 등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947a,947b,947c,947d,947e,947f)을 포함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과 상부연결축(944a2) 사이에 제1베어링(947a)이 삽입 설치되어, 상부연결축(944a2)이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1캐리어(944a)의 내부면과 세탁축(932a) 사이에 제2베어링(947b)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944a)와 세탁축(932a)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베어링(9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링(9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의 내주면과 제1캐리어(944a)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947c)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944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9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캐리어(944b)와 세탁축(932a) 사이에 제4베어링(947d)이 설치되어, 세탁축(932a) 및 제2캐리어(944b)가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다.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과 블레이드(123) 사이에 제5베어링(947e)이 삽입 설치되어, 블레이드(123)가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의 내주면과 제2캐리어(944b)의 외측면 사이에 제6베어링(947f)이 설치되어, 제2캐리어(944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94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도 23을 참고하여 후술할 제 10실시예와 상기 제 7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ⅰ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이 반대이고,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과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ⅱ 펄세이터(122)는 제1링기어(1045a)와 일체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1045b)와 일체로 회전한다. ⅲ 제1캐리어(1044a) 및 제2링기어(1045b)가 서로 고정되고, 제2링기어(1045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ⅳ 제1캐리어(1044a)는 상부연결축 및 동력전달캡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은 상부연결축(1041a2) 및 동력전달캡(1041a3)을 형성한다. ⅴ 동력전달부(1040)는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 및 제1캐리어(1044a)를 고정시키는 지그(146)를 포함한다.
제 10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0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0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동력전달부(1040)는,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반대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세탁축(1032a)의 회전방향, 제1선기어(1042a)의 회전방향, 제2선기어(1042b)의 회전방향, 제2유성기어(1043b)의 공전방향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 및 제1링기어(1045a)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블레이드(123)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이에 따른 효과의 설명은 상기 제3실시예에 대한 효과의 설명과 같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1링기어(1045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내부에 링기어수용홈이 구비된다. 제2링기어(1045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캐리어(1044a) 및 제2링기어(1045b)는 서로 고정된다. 제2링기어(1045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링기어(10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에 고정되고,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은 지그(146)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1캐리어(1044a), 제2링기어(1045b) 및 이너터브 어셈블리(120)는 서로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은 지그(146)에 의해 고정된다. 지그(146)는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외측 둘레부와 베이스(12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지그(146)는 링 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한다. 지그(146)는 중앙부에서 베이스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부가 형성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상기 결합부가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다. 지그(146)의 상기 중앙부와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상기 외측 둘레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지그(146)의 상기 연장부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21)와 체결될 수 있다.
제1링기어(1045a)는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에 고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과 제1링기어(1045a)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1링기어(1045a)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제1링기어(1045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이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제1링기어(1045a)의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에 대한 상대 회전을 막는다. 제1링기어(1045a)의 회전력이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으로 전달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 및 제1링기어(1045a)는 회전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 및 제1링기어(1045a)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제1캐리어(1044a)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됨에 따라, 제1링기어(1045a)는 제1유성기어(1043a)와 치합되어 복수의 제1유성기어(1043a)의 주위를 따라 회전한다. 제1링기어(1045a)는 제1선기어(1042a)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제1링기어(1045a)의 자전방향은, 제1선기어(1042a)의 회전방향과 반대이고, 제1유성기어(1043a)의 자전방향과 동일하다. 제1링기어(1045a)의 회전수는, 제1링기어(1045a)와 제1선기어(1042a) 사이의 기어비 및 제1선기어(1042a)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는 상부연결축(1041a2)을 형성한다. 상부연결축(1041a2)는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과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지지홈(122b2)에 상기 상부연결축(1041a2)이 삽입 결합된다. 상부연결축(1041a2)은 펄세이터(1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는 상부연결축(1041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1041a3)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캡(1041a3)은 상부연결축(1041a2)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1041a3)은 상부연결축(144b)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1041a3)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제2링기어(10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에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과 제2링기어(1045b)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제2링기어(1045b)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 결합된다. 반대로, 복수의 돌기가 제2링기어(1045b)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이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제2링기어(1045b)의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에 대한 상대 회전을 막는다. 제2링기어(1045b)는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에 의해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은, 제2링기어(1045b)를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하기 위해, 지그(146)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링기어(1045a)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1링기어(1045a)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상대 회전한다.
제2캐리어(1044b)은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2캐리어(1044b)는 이너터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1044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제2선기어(1042b)와 제2링기어(1045b) 사이의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동력전달부(940)는 블레이드(123) 및 제2캐리어(1044b) 사이를 연결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캐리어(1044b)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를 고정시키고,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는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와 결합할 수 있다. 블레이드(123)는 제2캐리어(1044b)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과 블레이드(123) 사이의 경계면에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의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돌기 및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3)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는 제2캐리어(1044b)와 일체의 구조일 수도 있다.
펄세이터(122)는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의 상부연결축(1041a2)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부연결축(1041a2)은 세탁축(103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연결축(1041a2)과 세탁축(1032a)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은 구동모터(1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다.
동력전달부(1040)은, 세탁축(1032a), 제 1 및 2캐리어(1044a,1044b),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 및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1047a,1047b,1047c,1047d,1047e,1047f)을 포함한다.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의 내주면과 제1캐리어(1044a)의 외측면 사이에 제1베어링(1047a)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1044a)가 제1기어박스하우징(104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1캐리어(1044a)의 내부면과 세탁축(1032a) 사이에 제2베어링(1047b)이 설치되어, 제1캐리어(1044a)와 세탁축(1032a)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베어링(10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링(10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2캐리어(1044b)의 외측면과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의 내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1047c)이 설치되어, 제2캐리어(1044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캐리어(1044b)와 세탁축(1032a) 사이에 제4베어링(1047d)이 설치되어, 세탁축(1032a) 및 제2캐리어(1044b)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다.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과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 사이에 제5베어링(1047e)이 삽입 설치되어, 블레이드 지지부재(1049b)가 제2기어박스하우징(104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세탁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캐비닛
101 : 도어
110 : 아우터 터브
111 : 서스펜션 바
120 : 이너터브 어셈블리
120a : 이너 터브
121 : 베이스
121a : 라운드부
121a1 : 돌기부
121a2 : 덕트연통구
121b : 제1단차부
121c : 제2단차부
121c1 : 연통홀
121d : 안착면
122 : 펄세이터
122a : 회전판
122a1 : 관통공
122b : 중심돌기부
122c : 돌출부
122b1 : 요입홈
122b2 : 축지지홈
123 : 블레이드
123a : 회전판
123b : 펌핑날개부
123c : 축결합부
124 : 허브
124a : 세탁수유입공
124b : 중앙결합부
125 : 발란서
126 : 순환덕트
126a : 순환유로
127 : 세탁수 토출부
127a : 토출바디
127b : 결합부재
127b1 : 너트부
127b2 : 보강리브
127b3 : 체결부재
128 : 필터부
128a : 필터하우징
128a1 : 분출구
130 : 구동모터
131 : 모터케이싱
132 : 회전축
132a,232a,332a,432a,532a,632a,732a,832a,932a,1032a : 세탁축
133 : 고정브라켓
140,240,340,440,540,640,740,840,940,1040 : 동력전달부
141,241,341,441 : 기어박스하우징
141a : 상부 하우징
141b : 하부 하우징
141c: 결합부
141a1 : 제1체결부
141b1 : 제2체결부
142,242,342,442 : 선기어
143,243,343,443 : 유성기어
144,244,344,444 : 캐리어
144a,244a,344a,444a : 유성기어 연결축
144b,448b,649b : 상부연결축
144b1 : 체결부재
144c,448c,649c,744c,841a3,944c,1041a3 : 동력전달캡
145,245,345,445 : 링기어
145a,245a,345a,445a : 링기어수용홈
145b : 링기어회전방지돌기
145c : 링기어회전방지홈
146 : 지그
146a : 중앙결합부
146a1 : 결합홀
146a2 : 체결부재
146b : 연장부
146b1 : 체결부재
146c : 연결부
146d : 돌기부
146d1 : 에어갭
147a,247a,347a,447a,547a,647a,,747a,947a,1047a : 제1베어링
147b,247b,347b,447b,547b,647b,747b,847b,947b,1047b : 제2베어링
147c,247c,347c,447c,547c,647c,747c,847c,947c,1047c : 제3베어링
147d,247d,447d,747d,847d,947d,1047d : 제4베어링
747e,847e,947e,1047e : 제5베어링
747f,847f,947f : 제6베어링
448 : 링기어 지지부재
542,642 : 복수의 베벨기어
5421,6421 : 제1베벨기어
5422,6422 : 제2베벨기어
5422a,6422a : 회전축
5423,6423 : 제3베벨기어
5423a,6423a : 돌기수용홈
5423b,6423b : 돌기
543,643 : 지지부재
543a,643a : 지지몸체
543b,643b : 지지부
649 : 제3베벨기어 지지부재
740a,840a,940a,1040a : 제1유성기어모듈
741a,841a,941a,1041a : 제1기어박스하우징
742a,842a,942a,1042a : 제1선기어
743a,843a,943a,1043a : 제1유성기어
744a,844a,944a,1044a : 제1캐리어
744a1,844a1,944a1,1044a1 : 제1유성기어 연결축
744a2,841a2,944a2,1041a2 : 상부연결축
745a,845a,945a,1045a : 제1링기어
740b,840b,940b,1040b : 제2유성기어모듈
741b,841b,941b,1041b : 제2기어박스하우징
742b,842b,942b,1042b : 제2선기어
743b,843b,943b,1043b : 제2유성기어
744b,844b,944b,1044b : 제2캐리어
744b1,844b1,944b1,1044b1 : 제2유성기어 연결축
745b,845b,945b,1045b : 제2링기어

Claims (20)

  1. 세탁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 어셈블리;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상기 펄세이터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단부로 상승시키도록 펌핑하는 블레이드;
    상기 펄세이터 및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세탁축;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 및 블레이드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 내의 저면에 체결되는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캐리어;
    내측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링기어; 및
    내부에 상기 선기어, 유성기어, 링기어 및 캐리어를 수용하는 기어박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상기 지그에 고정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외주부에서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펄세이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모두 가려지게 배치되는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세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와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베이스는,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상기 제1단차부의 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를 형성하는 세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착면에 체결되는 세탁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기어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기어수용홈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링기어회전방지돌기를 구비하는 세탁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입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세탁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유동되는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측으로 안내하여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펌핑된 세탁수를 토출시키는 세탁수 토출부;
    필터를 내장하고,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분출구를 통해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내부로 분출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세탁수 토출부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여, 상기 세탁수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펌핑된 세탁수를 토출시키는 세탁수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의 단부는 상기 이너터브 어셈블리의 저면과 세탁수 토출부의 결합부재와 함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3중 체결되는 세탁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앙결합부;
    상기 중앙결합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중앙결합부의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삭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유성기어모듈 및 상기 제1유성기어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제2유성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성기어모듈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선기어;
    상기 제1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1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제1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제1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성기어모듈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선기어;
    상기 제2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자전하는 제2유성기어;
    상기 제2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2유성기어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제2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제2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제1캐리어 및 제1링기어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캐리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2링기어는 상기 지그에 고정되는 세탁기.
KR1020160119240A 2015-10-08 2016-09-19 세탁기 KR10256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336584A AU2016336584B2 (en) 2015-10-08 2016-10-08 Washing machine
PCT/KR2016/011283 WO2017061836A1 (en) 2015-10-08 2016-10-08 Washing machine
US15/766,678 US11028518B2 (en) 2015-10-08 2016-10-08 Washing machine having blade for circulating wash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1715 2015-10-08
KR1020150141715 2015-10-08
KR20150141716 2015-10-08
KR1020150141716 2015-10-08
KR1020160027847 2016-03-08
KR20160027847 2016-03-08
KR1020160028420 2016-03-09
KR20160028420 2016-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223A KR20170042223A (ko) 2017-04-18
KR102560455B1 true KR102560455B1 (ko) 2023-07-27

Family

ID=587037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40A KR102560455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KR1020160119239A KR102560456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KR1020160119237A KR102557653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KR1020160119238A KR102560457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39A KR102560456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KR1020160119237A KR102557653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KR1020160119238A KR102560457B1 (ko) 2015-10-08 2016-09-19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954622B2 (ko)
KR (4) KR102560455B1 (ko)
CN (1) CN108291355B (ko)
AU (4) AU201633658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609B1 (ko) * 2017-06-21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16359B1 (ko) * 2017-06-21 2021-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N107354668A (zh) * 2017-08-14 2017-11-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及其搅拌装置
JP6937465B2 (ja) * 2018-01-31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10158273B (zh) * 2018-02-14 2023-02-28 菲舍尔和佩克尔应用有限公司 用于洗涤机的集成电机和齿轮箱驱动系统
KR102036225B1 (ko) * 2018-06-26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10938963B (zh) * 2018-09-25 2021-08-24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波轮组件及包括该组件的衣物处理设备
CN109944014B (zh) * 2019-04-24 2020-12-08 王琳 一种提升洗衣效果的洗衣机
JP2022090569A (ja) * 2020-12-07 2022-06-1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413B1 (ko) * 1997-08-16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JP2014083383A (ja) * 2012-10-26 2014-05-12 Haier Asia International Co Ltd 洗濯機
CN203807798U (zh) * 2014-01-11 2014-09-03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其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00077A (en) 1952-09-09 1953-11-25 Solar Corp Washing machine
US4317343A (en) * 1979-10-24 1982-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Drive arrangement for a washing machine
US5509283A (en) * 1993-12-14 1996-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washer having water recirculation system
KR0182528B1 (ko) * 1994-03-08 1999-05-15 김광호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960023438A (ko) 1994-12-27 1996-07-20 배순훈 순환수류방식의 2조식세탁기
KR0145907B1 (ko) * 1995-04-20 1998-10-01 배순훈 감속기어조립체
JPH10127972A (ja) 1996-10-31 1998-05-19 Sharp Corp 電気洗濯機
KR19980076976A (ko)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세탁기의 와류발생장치
TW393543B (en) 1997-11-29 2000-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ulsator assembly for use in a washing with guide grooves for forming a spouting washing water
JP3600098B2 (ja) 1999-12-14 2004-12-08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100437791B1 (ko) 2001-12-17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BRMU8400820Y1 (pt) * 2004-04-29 2009-05-05 disposição introduzida em caixa de redução aplicada em eixo vertical de máquinas de lavar roupa.
CN101153436B (zh) * 2006-09-30 2010-09-22 海尔集团公司 双波轮多动力全自动洗衣机
CN201027257Y (zh) * 2007-02-12 2008-02-27 肇庆市自动化仪表二厂有限公司 一种双波轮式洗衣机减速离合器
JP2009028509A (ja) * 2007-07-03 2009-02-12 Panasonic Corp 洗濯機
CN201087286Y (zh) * 2007-09-07 2008-07-16 宁波市奇精机械有限公司 一种三动力洗衣机离合器
KR101462171B1 (ko) * 2009-10-22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716822B1 (ko) * 2010-06-07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 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918984B1 (ko) 2011-11-03 2018-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954197B1 (ko) * 2012-10-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5637138B (zh) * 2013-08-06 2017-09-22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US9994986B2 (en) * 2014-07-11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413B1 (ko) * 1997-08-16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JP2014083383A (ja) * 2012-10-26 2014-05-12 Haier Asia International Co Ltd 洗濯機
CN203807798U (zh) * 2014-01-11 2014-09-03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其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28518B2 (en) 2021-06-08
KR102557653B1 (ko) 2023-07-21
US20180298546A1 (en) 2018-10-18
KR20170042222A (ko) 2017-04-18
AU2016336583B2 (en) 2019-12-05
AU2016336584A1 (en) 2018-05-24
CN108291355A (zh) 2018-07-17
KR102560457B1 (ko) 2023-07-27
KR20170042220A (ko) 2017-04-18
US10760197B2 (en) 2020-09-01
US10954622B2 (en) 2021-03-23
AU2016336583B9 (en) 2020-01-02
KR20170042223A (ko) 2017-04-18
AU2016335438A1 (en) 2018-05-24
KR102560456B1 (ko) 2023-07-27
CN108291355B (zh) 2020-09-18
AU2016336584B2 (en) 2019-12-12
AU2016335438B2 (en) 2019-12-05
AU2016336583A1 (en) 2018-05-24
AU2016335437B2 (en) 2019-12-05
KR20170042221A (ko) 2017-04-18
US11149375B2 (en) 2021-10-19
US20180298540A1 (en) 2018-10-18
US20180298539A1 (en) 2018-10-18
US20180313016A1 (en) 2018-11-01
AU2016335437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455B1 (ko) 세탁기
JP4811504B2 (ja) 洗濯機
AU2014305336B2 (en) Washing machine
KR101462171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2014083383A (ja) 洗濯機
CN110366619B (zh) 衣物处理装置
KR10259153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58442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41695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80077638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70105331A (ko) 세탁기
AU722438B2 (en) Lint filter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KR200146677Y1 (ko) 세탁기
KR0149803B1 (ko) 보조펄세이터가 취부된 세탁기
US20200190719A1 (en) Pulsator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same
KR19980085153A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19980078454A (ko) 세탁기
KR19990048375A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