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45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454A
KR19980078454A KR1019970015988A KR19970015988A KR19980078454A KR 19980078454 A KR19980078454 A KR 19980078454A KR 1019970015988 A KR1019970015988 A KR 1019970015988A KR 19970015988 A KR19970015988 A KR 19970015988A KR 19980078454 A KR19980078454 A KR 1998007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pulsator
fan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3616B1 (ko
Inventor
정병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616B1/ko
Priority to JP10108301A priority patent/JP2919830B2/ja
Priority to IDP980583A priority patent/ID20181A/id
Priority to US09/061,895 priority patent/US5921114A/en
Priority to CN98108797A priority patent/CN1201089A/zh
Publication of KR1998007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조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펄세이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류팬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회전하며, 축선방향의 적어도 일측단부에 축방향베어링면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과; 상기 세탁조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피니언의 상기 축방향베어링면과 마찰접촉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에 마련된 피니언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펄세이터 내에 설치되는 분류팬의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의 회전지지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분류팬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류팬의 회전지지구조를 단순화시킨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5은 종래의 세탁기용 펄세이터를 장착한 탈수겸용 세탁기의 개략적 단면도와 세탁모드에서 수류형성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세탁기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싱(101)과, 아웃케이싱(10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외조(102), 및 외조(102)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세탁조(103)를 가지고 있다. 세탁조(103)의 저부에는 세탁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펄세이터(110)가 세탁조(103)에 대해 독립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외조(102)의 하부에는 세탁조(103) 및 펄세이터(110)의 회전구동을 위한 구동모터(105) 및 샤프트조립체(10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05)의 회전구동력은 전동벨트(106)를 통해 샤프트조립체(107)에 전달되고, 샤프트조립체(107)는 세탁조(103)와 펄세이터(110)를 함께 혹은 별도로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세탁행정시에는 세탁조(103)를 고정시키고 펄세이터(110)만이 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시켜 세탁조(103)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세탁하고, 탈수행정시에는 세탁조(103)와 펄세이터(110)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의 펄세이터는 거의 원반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표면에 수류형성을 위한 복수개의 세탁날개(121)들이 방사상으로 융기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105)에 의해 펄세이터(110)는 정역회전하게 되고 세탁날개(121)가 세탁수를 유동시켜 회전수류를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세탁기에서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수류가 형성될 때,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세탁수을 방사상으로 퍼져나가게 되고, 그런 다음 세탁조(103)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중심부에서 펄세이터(110)를 향해 하향하는 순환수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들은 순환수류를 따라 뒤틀리며 상하로 이동하여 서로 꼬이게 되며, 꼬힌 상태로 세탁되게 되므로 세탁효율이 저하되고 세탁물이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탈수후에도 세탁물이 엉킨 상태로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정리가 불편하다. 또한, 상하로 순환하는 순환수류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므로 세탁물의 세척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중앙분출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분류팬을 설치함으로써 적절히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분류팬이 펄세이터 내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펄세이터가 원판형이라는 형상적 제한과, 회전구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분류팬의 지지구조를 가능한 간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상승수류를 형성하기 위해 펄세이터 내에 설치되는 분류팬의 지지구조 중, 분류팬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의 회전지지구조를 간단화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펄세이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분류팬에 장착된 피니언의 사시도,
도 5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세탁조 10 : 펄세이터
20 : 펄세이터 본체 25 : 드러스트지지부재
41 : 래디얼지지부재 50 : 분류팬
61 : 구동기어 62 : 피니언
63,64 : 베어링면 73,74 : 피니언지지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탁조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펄세이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류팬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회전하며, 축선방향의 적어도 일측단부에 축방향베어링면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과; 상기 세탁조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피니언의 상기 축방향베어링면과 마찰접촉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에 마련된 피니언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베어링면과 접촉하는 피니언지지부를 갖는 드러스트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러스트지지부재는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의 축선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피니언의 하단면을 마찰지지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의 일부영역을 둘러싸고 반경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래디얼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디얼지지부재의 축선방향 일측단부면은 상기 드러스트지지부재의 피니언지지부와 접촉하는 축방향베어링면의 대항측에 형성된 상기 축방향베어링면과 마찰접촉하는 피니언지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피니언의 상단면을 마찰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싱(1)과, 세탁수를 담을 수 있는 외조(2), 및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세탁조(3)를 가지고 있다. 외조(2)는 아웃케이싱(1) 내에 설치되어, 하부는 아웃케이싱(3)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서스펜션(4)에 의해 지지되며 저면에는 세탁조(3) 및 펄세이터(10)의 회전구동을 위한 구동모터(5) 및 샤프트조립체(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조(3)는 외조(2) 내에 설치되어 탈수조라고도 불리며, 저부 상측에는 세탁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펄세이터(10)가 세탁조(3)에 대해 독립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5)의 회전구동력은 전동벨트(6)를 통해 샤프트조립체(7)에 전달되고, 샤프트조립체(7)는 세탁조(3)와 펄세이터(10)를 함께 혹은 별도로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세탁행정시에는 세탁조(3)를 고정시키고 펄세이터(10)만이 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시켜 세탁조(3)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세탁하고, 탈수행정시에는 세탁조(3)와 펄세이터(10)가 함께 회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펄세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10)는 거의 원반체로 형성된 펄세이터본체(20)와, 펄세이터본체(2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펄세이터본체(20)에는 수개의 세탁날개(21)가 상부표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융기형성되어 있다. 세탁날개(21)는 커버부재(30)의 연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펄세이터본체(20)의 연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있고, 펄세이터(10)의 회전시 세탁조(3) 내의 세탁수와 세탁물을 회전유동시키는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커버부재(30)는 중앙영역에 축선방향으로 상향개구된 중앙분출구(31)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중앙분출구(31)를 통한 중앙상승수류을 발생시키기 위한 한쌍의 분류팬(50)을 수용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52)선에 대해 상호 대항한 한쌍의 팬챔버(45)과, 각 팬챔버(45)로부터의 유동수류가 중앙분출구(31)로 안내되도록 하는 덕트부재(49)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부재(49)는 절곡된 평판상으로 커버부재(30)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분류팬(50)에 의해 형성된 유동수류를 팬챔버(45)의 한측방으로부터 중앙분출구(31)로 안내하는 수류통로인 유로덕트(48)를 형성한다.
팬챔버(45)의 하부에는 세척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40)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재(30)의 상측연부에는 팬챔버(45)과 연통하는 다수의 비산수류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분출구(31)는 펄세이터(10)의 중심부에서 두 분류팬(50)으로부터 유로덕트(48)를 통해 제공되는 분출수류를 상향분출하여, 상승물기둥을 형성하며, 비산수류공(32)은 분류팬(3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가해지는 세탁수류를 반경방향상측으로 토출하여 비산수류를 형성한다.
펄세이터(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분류팬(50)은 펄세이터(10)의 회전축(8)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2)과, 이 회전축(52)에 방사상으로 축선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된 다수의 팬날개(51)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축(52)은 하단부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피봇단부(55)를 가지고, 피봇단부(55)는 펄세이터본체(20)에 고정설치된 드러스트지지부재(25)의 축지지홈(26) 내에 수용된다. 회전축(52)은 상단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부분구형상으로 함몰형성된 돌기수용홈(56)을 가지고, 이 돌기수용홈(56)은 커버부재(30)에 돌출형성된 상단지지돌기(35)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52)의 상하단부는 피봇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류팬(50)의 회전축(52)의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래디얼지지부재(41)가 마련되어 있다. 래디얼지지부재(41)는 분류팬(50) 회전축(52)의 저어널부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52)의 저어널부를 미끄럼지지하고 있고, 일측에서 부채꼴형상의 지지편(42)에 의해 펄세이터본체에 고정지지되고 있다.
회전축(52)의 하단부영역 즉 래디얼지지부재(41)와 드러스트지지부재(25) 사이에는 피니언(62)이 회전축(52)과 일체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피니언(62)과 대응하여 세탁조(3)의 저면에는 구동기어(61)가 고정설치되어 피니언(62)과 치형물림한다. 이에 의해 분류팬(50)이 펄세이터(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펄세이터(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구동기어(61)와 분류팬(50)의 피니언(62)의 맞물림에 의해 분류팬(50)은 회전하게 된다.
도 4는 피니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류팬에 장착된 피니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니언(62)은 중심부에 분류팬(50)의 회전축(52)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축공(65)을 가지고 있며, 상하단면는 마찰접촉시 축방향베어링으로 작용되도록 면가공되어 있다. 피니언(62)의 회전축공(65)은 비원형단면으로 형성되며 분류팬(50)의 회전축(52)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헐거운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62)의 상단부에는 레디얼지지부재(41)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피니언지지부(73)와 마찰접촉시 회전가능하도록 상단축방향베어링면(63)이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62)의 하단부에도 드러스트지지부재(25)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지지부(74)와 마찰접촉시 회전가능하도록 하단축방향베어링면(6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피니언(62)은 회전시 상하방향의 요동이 방지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탁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5)가 작동하면 샤프트조립체(7)를 통해 펄세이터(10)가 회전하게 된다. 펄세이터(10)가 회전하며, 펄세이터(10)내에 설치된 분류팬(50)은 펄세이터(10)의 회전축(8)선에 대해 공전하게 되며, 이때 분류팬(50)의 피니언(62)과 세탁조(3)에 고정된 구동기어(61)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류팬(50)은 자전한다. 분류팬(50)의 자전에 의해 팬날개(51)가 회전하면, 커버부재(30)의 팬챔버(45) 내에서는 세탁수가 원심방향으로 유동하며, 이렇게 형성되는 유동수류는 커버부재(30)의 유로덕트(48)를 따라 중앙분출구(31)로 안내되고, 이 중앙분출구(31)에서 중앙상승수류로서 상향분출된다. 그리고, 유동수류의 일부는 팬챔버(45)에서 직접 비산수류공(32)을 통해 토출되어 반경방향상측으로 비산되는 비산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중앙분출구(31)에서 형성된 중앙상승수류는 펄세이터(10)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3)내에서 형성되는 종방향의 순환수류 중 중앙에서 하향하는 수류를 억제하며, 비산수류공(32)에서 형성된 비산수류는 세탁물을 국부적으로 자극하는 동시에 세탁조(3) 내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세탁조(3)의 전체적인 압력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세탁물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는 동시에 세척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피니언(62)의 상하단부를 드러스트베어링면(63,64)으로 가공하여 래디얼지지부재(41)와 드러스트지지부재(25)에 접촉지지시킴으로써, 피니언(62)과 분류팬(50)의 회전축(62)의 결합을 위해 키와 같은 추가적인 부재의 소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피니언(62)이 분류팬(50) 회전축(52)에 헐거운끼워맞춤되도록 함으로써, 펄세이터(10)의 제작시 조립공정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한측만 지지편(42)에 의해 지지되는 보형상의 래디얼지지부재(4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단순 피봇지지되어 있는 분류팬(50)의 지지구조를 단순화시키고 회전축(52)의 축방향지지면이 확대되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회전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래디얼지지부재(41)와 피니언(62)의 반경을 거의 일치시킴으로서, 유입구(46)의 전체적인 형상이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유입구(46)에서 세탁수의 유동마찰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전축(52)과 지지부재(25,41)들 사이, 특히 드러스트지지부재(25)의 축지지홈(26)에 이물질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분류팬(50)의 회전축(52)과 피니언(62)의 회전축공(65)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비원형단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맞춤, 각축맞춤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중앙상승수류를 발생시키는 분류팬(50)을 구동시키는 피니언(62)에 적용된 예로, 피니언과 일체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를 갖는 기계장치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펄세이터 내에 설치되는 분류팬의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의 회전지지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분류팬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세탁조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펄세이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류팬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회전하며, 축선방향의 적어도 일측단부에 축방향베어링면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과; 상기 세탁조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피니언의 상기 축방향베어링면과 마찰접촉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에 마련된 피니언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베어링면과 접촉하는 피니언지지부를 갖는 드러스트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러스트지지부재는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의 축선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분류팬의 회전축의 일부영역을 둘러싸고 반경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래디얼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디얼지지부재의 축선방향 일측단부면은 상기 드러스트지지부재의 피니언지지부와 접촉하는 축방향베어링면의 대항측에 형성된 상기 축방향베어링면과 마찰접촉하는 피니언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70015988A 1997-04-17 1997-04-28 세탁기 KR10021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88A KR100213616B1 (ko) 1997-04-28 1997-04-28 세탁기
JP10108301A JP2919830B2 (ja) 1997-04-17 1998-04-17 洗濯機用パルセータ
IDP980583A ID20181A (id) 1997-04-17 1998-04-17 Pemompa mesin cuci
US09/061,895 US5921114A (en) 1997-04-17 1998-04-17 Pulsator for washing machine
CN98108797A CN1201089A (zh) 1997-04-17 1998-04-17 洗衣机的波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88A KR100213616B1 (ko) 1997-04-28 1997-04-28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454A true KR19980078454A (ko) 1998-11-16
KR100213616B1 KR100213616B1 (ko) 1999-08-02

Family

ID=1950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988A KR100213616B1 (ko) 1997-04-17 1997-04-2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6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3616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072A (en) Water current form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0315625B1 (ko) 상향분출수류를형성하는세탁기용펄세이터조립체
KR100213616B1 (ko) 세탁기
JPH10295974A (ja) 洗濯機
KR100213610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JP2919830B2 (ja) 洗濯機用パルセータ
KR100213624B1 (ko) 세탁기
KR100229471B1 (ko) 세탁기
KR100213608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0213620B1 (ko) 세탁기
KR100213611B1 (ko) 세탁기
KR100213612B1 (ko) 세탁기
KR100213617B1 (ko) 세탁기
KR100213609B1 (ko) 세탁기
KR100213613B1 (ko) 세탁기
KR100229485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0459139B1 (ko) 세탁기
KR100218924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9990004448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200152500Y1 (ko) 세탁기의 세탁수류 발생장치
KR0136203Y1 (ko) 세탁기의 수류제어장치
KR20190019694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0139163Y1 (ko) 펄세이터 내에 분출팬을 갖는 세탁기
KR19990004449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9980067859U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