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694A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9694A KR20190019694A KR1020170104936A KR20170104936A KR20190019694A KR 20190019694 A KR20190019694 A KR 20190019694A KR 1020170104936 A KR1020170104936 A KR 1020170104936A KR 20170104936 A KR20170104936 A KR 20170104936A KR 20190019694 A KR20190019694 A KR 201900196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sator
- connector
- pin
- upper connector
- receiv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8—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 gyratory or orbital mo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both rotary, e.g. oscillating rotary, motion and axial mo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with rubbing or beating means not secured to, or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수류 및 상하 방향 수류를 생성할 수 있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는 상면에 오목한 펄세이터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며,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기 제1펄세이터에 대해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 수류와 상하 유동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세탁기용 펄세이터 장치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크게 드럼 세탁기와 전자동 세탁기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회전조의 내부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 회전조와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과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펄세이터가 정역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펄세이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수류로 세탁물을 세탁하기 때문에 세탁물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세탁물이 꼬이게 되면, 세탁물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세탁 완료시에 사용자가 엉킨 세탁물들을 분리하여 꼬임을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세탁물의 꼬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상면에 복수의 회전 롤러가 설치된 펄세이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펄세이터는, 펄세이터가 회전하면, 복수의 회전 롤러가 세탁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펄세이터는 기본적으로 펄세이터의 정역 회전에 의한 회전 수류를 이용할 뿐이며, 복수의 회전 롤러가 상하로 유동하는 수류를 만들지 못하여 세탁물의 꼬임 현상을 완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그대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회전 수류 및 상하 유동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회전 운동 및 상하 유동이 가능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 수가 적고, 조립이 단순하며, 회전 운동 및 상하 유동이 가능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는, 상면에 오목한 펄세이터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며,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기 제1펄세이터에 대해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고정되며 상면이 경사진 하부 커넥터;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면이 경사진 상부 커넥터; 상기 상부 커넥터의 하면에 수직하게 상기 상부 커넥터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 커넥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에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커넥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넥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를 경사진 상태와 수평인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세전환부는,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 마련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경사용 핀과 수평용 핀; 및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용 핀과 상기 수평용 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작동 핀;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핀이 상기 경사용 핀에 걸리면 상기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작동 핀이 상기 수평용 핀에 걸리면 상기 제2펄세이터가 수평인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펄세이터의 하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오목한 펄세이터 수용홈이 마련된 제1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며,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기 제1펄세이터에 대해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면, 상기 제2펄세이터는 수평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1펄세이터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가 수평인 상태인 경우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의 종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를 선 Ⅰ-Ⅰ를 따라 본 도면;
도 10은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일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종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를 선 Ⅱ-Ⅱ을 따라 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부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4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일 경우의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1펄세이터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가 수평인 상태인 경우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의 종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를 선 Ⅰ-Ⅰ를 따라 본 도면;
도 10은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일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종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를 선 Ⅱ-Ⅱ을 따라 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부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4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일 경우의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본체(3), 터브(10), 회전조(20), 펄세이터장치(50), 및 구동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3)의 상단에는 회전조(10)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7)가 마련된다. 본체(3)의 상면에는 세탁물 투입구(7)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5)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10)는 본체(3)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일정량의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바닥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터브(10)는 현가장치(11)에 의해 본체(3)에 대해 지지되어 세탁시 터브(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감쇄되도록 한다.
터브(10)의 위에는 터브(1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41)이 마련된다. 급수관(41)의 일단은 세제공급장치(42)에 연결된다. 세제공급장치(42)에는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미도시)이 마련된다. 따라서, 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4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급수관(41)을 통해 터브(1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10)의 아래에는 터브(10)에 담겨진 세탁수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45)가 마련된다. 배수장치(45)는 터브(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46)과 배수관(46)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4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46)에는 터브(10)로부터 세탁수를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조(20)는 대략 바닥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조(20)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21)이 마련되어 있어, 터브(10)에 담긴 세탁수가 회전조(20)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다. 회전조(20)의 상단에는 회전조(20)가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2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23)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조(20)의 내부 일측에는 회전조(20)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세탁수 상승 덕트(25)가 마련된다. 세탁수 상승 덕트(25)는 회전조(20)의 상부와 하부에 걸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세탁수 상승 덕트(25)의 상부에는 세탁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27)가 형성된다.
펄세이터장치(50)는 회전조(20) 내부의 바닥에 회전조(20)와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조(20)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킨다. 펄세이터장치(5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장치(30)는 터브(10)의 아래에 설치되며, 펄세이터장치(50)와 회전조(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동장치(30)는 다이렉트 모터(31), 클러치(33), 및 구동축(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35)은 펄세이터장치(50)에 연결되어 펄세이터장치(50)를 회전시키는 세탁축(37)과 회전조(20)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회전조(20)를 회전시키는 탈수축(36)을 포함한다.
다이렉트 모터(31)의 회전력은 직접 세탁축(37)으로 전달된다. 다이렉트 모터(31)는 고정자(31-1)와 회전자(31-2)를 포함하며, 고정자(31-1)는 터브(10)의 하면에 고정된다. 회전자(31-2)는 세탁축(37)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자(21-2)가 회전하면 세탁축(37)이 회전하게 된다.
클러치(33)는 탈수축(36)으로 전달되는 모터(31)의 회전력을 단속하여 회전조(20)가 펄세이터장치(50)가 함께 회전하거나 회전조(20)가 정지한 상태에서 펄세이터장치(50)가 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클러치(33)가 모터(31)의 회전력을 탈수축(36)으로 전달하면 회전조(20)가 회전하고, 클러치(33)가 모터(31)의 회전력이 탈수축(36)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 회전조(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30)는 모터(31)의 회전력을 직접 구동축(35)으로 전달하는 직접 구동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구동장치(3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장치(30)는 동력전달장치를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간접 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동력전달장치는 풀리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종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1펄세이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펄세이터장치(50)는 제1펄세이터(60), 제2펄세이터(70), 및 연결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펄세이터(60)는 회전조(20)의 내측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펄세이터(6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오목한 펄세이터 수용홈(61)이 마련된다.
펄세이터 수용홈(61)은 제2펄세이터(70)의 하부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펄세이터(7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펄세이터(70)의 높이의 약 1/4 정도까지의 제2펄세이터(70)의 부분이 펄세이터 수용홈(61)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펄세이터(70)가 상하로 유동할 때, 제2펄세이터(70)의 가장자리가 제1펄세이터(60)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펄세이터 수용홈(61)의 깊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내측면(63)은 상하로 유동하는 제2펄세이터(70)의 가장자리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바닥면(62)의 중심에는 연결 보스(64)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 보스(64)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보스(64)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스플라인 홈(65)이 마련된다. 복수의 스플라인 홈(65)에는 세탁축(37)의 선단에 마련된 복수의 스플라인 리브(37a)가 결합된다. 따라서, 세탁축(37)이 회전하면, 제1펄세이터(60)는 펄세이터 수용홈(61)의 중심, 즉 연결 보스(64)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L)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바닥면(62)에는 연결 보스(64)의 둘레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 홈(66)이 마련된다. 복수의 결합 홈(66)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 홈(66)에는 연결 부재(80)가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 홈 (66) 각각은 대략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바닥면(6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62a)이 마련된다. 펄세이터 수용홈(61)의 세탁수는 복수의 관통 구멍(62a)을 통해 제1펄세이터(60)의 아래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펄세이터(60)의 상면에는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둘레로 복수의 수류형성날개(67)가 마련된다. 복수의 수류형성날개(67)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펄세이터 수용홈(67)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각 수류형성날개(67)는 대략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펄세이터(60)가 회전하면, 복수의 수류형성날개(67)는 중심선(CL)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수류를 발생시킨다.
제1펄세이터(60)의 배면에는 연결 보스(64)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68)이 설치된다. 복수의 베인(68) 각각은 대략 'ㄴ'자 형상의 얇은 평판으로 형성된다. 각 베인(68)은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배면(62)과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제1펄세이터(60)의 배면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68)은 임펠러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1펄세이터(60)가 회전하면 복수의 베인(68)에 의해 제1펄세이터(60)의 아래에 위치하는 세탁수가 회전조(20)의 세탁수 상승 덕트(25)로 공급된다.
제2펄세이터(70)는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에 설치된다. 제2펄세이터(70)는 제1펄세이터(60)와 함께 좌우로 회전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유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2펄세이터(70)는 좌우 회전 운동과 상하 유동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펄세이터(70)는 대략 속이 빈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에는 연결부재(80)와 결합되는 축결합 보스(71)가 마련된다. 축결합 보스(71)의 내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 리브(72)가 마련된다.
제2펄세이터(70)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경사 날개(73)가 마련된다. 복수의 경사 날개(73)는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2펄세이터(7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펄세이터(70)의 외주면에는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공(74)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2펄세이터(70) 상측의 세탁수는 복수의 통공(74)을 통해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펄세이터(70)의 축결합 보스(71)의 상부에는 캡 수용부(75)가 마련되고, 캡 수용부(75)에는 제2펄세이터(70)의 상단을 막는 캡(76)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80)는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에 설치되어 제1펄세이터(60)와 제2펄세이터(70)를 연결하며, 제1펄세이터(6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펄세이터(70)가 제1펄세이터(6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인 상태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제2펄세이터가 수평인 상태인 경우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의 종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를 선 Ⅰ-Ⅰ를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0은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일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종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를 선 Ⅱ-Ⅱ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부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80)는 하부 커넥터(90), 상부 커넥터(100), 회전 샤프트(110), 및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80)의 하부 커낵터(90)는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내측 바닥면(62)에 고정되며, 하면에 대해 상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다. 하부 커넥터(9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경사면(9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결합 원판(92)이 마련된다. 결합 원판(92)은 하부 커넥터(90)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 원판(92)의 중심에는 제1펄세이터(60)의 연결 보스(64)가 수용되는 보스 수용홈(95)이 마련된다.
결합 원판(92)은 하부 커넥터(9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하면에는 보스 수용홈(95)을 중심으로 복수의 결합 돌기(96)가 방사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결합 돌기(96)는 상술한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바닥면(62)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 홈(6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펄세이터 수용홈(61)의 결합 홈(66)이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면, 하부 커넥터(90)의 결합 돌기(96)도 제1펄세이터(60)의 결합 홈(66)에 대응하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결합 원판(92)의 복수의 결합 돌기(96)는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복수의 결합 홈(66)에서 빠지지 않도록 중간 끼워 맞춤 또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연결부재(80)가 제1펄세이터(60)의 하면(62)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하부 커넥터(90)의 결합 원판(92)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 돌기(96)는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복수의 결합 홈(66)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제1펄세이터(60)의 회전력은 복수의 결합 돌기(96)와 복수의 결합 홈(66) 사이의 접촉면에 의해 하부 커넥터(9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펄세이터(60)가 회전하면, 복수의 결합 돌기(96)에 의해 하부 커넥터(90)가 제1펄세이터(6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중심에는 회전 샤프트(110)가 삽입되는 샤프트 구멍(93)이 마련된다. 따라서, 하부 커넥터(90)를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에 고정하면, 샤프트 구멍(93)의 중심은 제1펄세이터(60)의 회전중심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 구멍(93)은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110)를 하부 커넥터(90)의 샤프트 구멍(93)에 고정하면, 회전 샤프트(110)는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에 대해 수직한 상태가 된다.
하부 커넥터(90)의 하면에 대한 상단 경사면(91)의 경사 각도(θ)는 대략 3도 내지 10도로 할 수 있다.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경사각(θ)에 따라 제2펄세이터(70)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결정된다. 제2펄세이터(70)의 경사진 각도는 제2펄세이터(70)의 상하 방향 운동의 범위를 결정한다.
따라서,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경사각(θ)이 클수록 제2펄세이터(70)가 상하 방향으로 강한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경사각(θ)이 너무 크게 되면 세탁과정에서 세탁물이 회전조(20)의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경사각(θ)은 10도 이하로 할 수 있다. 한편, 경사각(θ)이 너무 작으면 제2펄세이터(70)의 상하방향 운동이 미미하여 효과적인 상하 방향의 수류를 발생시킬 수 없으므로 경사각(θ)은 3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은 상부 커넥터(100)와의 마찰 면적을 줄이기 위해 마찰 홈(91a)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마찰 홈(91a)은 샤프트 구멍(93)을 감싸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커넥터(90)의 경사면(9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커넥터(90)의 외주면 상부에는 샤프트 구멍(93)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구멍(94)이 마련된다. 고정 구멍(94)에는 회전 샤프트(110)를 하부 커넥터(90)에 고정하는 고정 핀(99)이 결합된다. 다른 예로, 회전 샤프트(110)는 고정 핀(99) 대신에 고정 볼트로 하부 커넥터(9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의 고정 구멍(94)은 고정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넥터(100)는 하부 커넥터(90)의 상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커넥터(100)의 하부에는 상부 커넥터(100)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의 접촉부(101)가 마련된다.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즉 접촉부(101)의 하면에는 상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102)이 마련된다. 즉,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은 상부 커넥터(100)의 중심선에 대해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 커넥터(100)의 하면은 상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102)으로 형성된다.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은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에 대응하는 각도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경사각(θ)이 4도인 경우,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의 경사각도 4도로 형성된다.
상부 커넥터(100)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110)가 삽입되는 경사 관통공(105)이 형성된다. 경사 관통공(105)은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경사 관통공(105)은 회전 샤프트(110)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110)가 경사 관통공(105)에 삽입된 경우, 회전 샤프트(110)는 경사 관통공(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은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과의 마찰 면적을 줄이기 위해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과 유사하게 마찰 홈(102c)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넥터(100)의 마찰 홈(102c)은 경사 관통공(105)을 감싸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10)는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에 수직하게 상부 커넥터(100)를 관통하며, 상부 커넥터(10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110)는 상부 커넥터(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110)를 상부 커넥터(100)에 삽입하면, 회전 샤프트(110)의 양단이 상부 커넥터(100)의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된다.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으로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의 하부에는 고정 핀(99)이 삽입되는 결합공(111)이 마련되며, 상부 커넥터(100)의 상단으로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작동 핀(112)이 마련된다.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으로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의 하부는 하부 커넥터(90)의 샤프트 구멍(93)에 삽입되며, 결합공(111)을 관통하는 고정 핀(99)에 의해 하부 커넥터(90)의 샤프트 구멍(93)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 커넥터(90)의 샤프트 구멍(93)은 펄세이터 수용홈(61)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므로, 샤프트 구멍(93)에 고정된 회전 샤프트(110)의 하단도 펄세이터 수용홈(61)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서 하부 커넥터(90)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하부 커넥터(90)가 설치된 제1펄세이터(60)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110)는 하부 커넥터(90)와 일체로 회전한다.
하우징(120)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커넥터(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상부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커넥터 구멍(121)이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다. 하우징(120)이 상부 커넥터(10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 구멍(121)은 상부 커넥터(10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커넥터 구멍(121)의 하단에는 상부 커넥터(100)의 접촉부(10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단(122)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구멍(121)에 상부 커넥터(100)를 삽입하면, 상부 커넥터(100)의 접촉부(101)의 상면이 하우징(120)의 지지단(122)에 접촉하게 된다.
상부 커넥터(100)와 하우징(120) 사이에는 하우징(120)이 상부 커넥터(100)에 대해 원활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130)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130)은 하우징(120)의 내면, 즉 커넥터 구멍(12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130)은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어링(130)은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베어링(131)과 하우징(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베어(132)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130)을 두 개로 분리하여 형성하면, 베어링(13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베어링(131)은 하우징(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131a)를 구비한다. 하부 베어링(132)은 하우징(120)의 지지단(122)과 상부 커넥터(100)의 접촉부 (101)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132a)를 구비한다. 하부 베이링(132)의 하부 플랜지(132a)는 하우징(120)이 상부 커넥터(100)의 접촉부(101)의 상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는 베어링(130)을 고정하는 베어링 홀더(13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 설치된 베어링 홀더(135)가 상부 베어링(131)이 하우징(1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베어링 홀더(135)는 후술하는 경사용 핀(141)과 수평용 핀(142)이 통과하는 2개의 핀 구멍(135b)과, 회전 샤프트(110)가 통과하는 개구(135a)와, 고정 볼트(136)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135c)이 마련된다. 베어링 홀더(135)의 상면은 하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는 베어링 홀더(135)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볼트(136)가 체결되는 나사 구멍(106)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외주면의 상부에는 제2펄세이터(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리브 홈(125)이 마련된다. 복수의 리브 홈(125)은 제2펄세이터(70)의 축결합 보스(71)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리브(7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펄세이터(70)의 복수의 결합 리브(72)를 하우징(120)의 복수의 리브 홈(125)에 삽입하면, 제2펄세이터(70)와 하우징(120)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이 회전하거나 상하로 유동하면, 제2펄세이터(70)도 일체로 회전하거나 상하로 유동한다.
한편,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는 회전 샤프트(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펄세이터(70)를 경사진 상태와 수평인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140)가 마련된다.
자세전환부(140)는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서 돌출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2개의 핀(141,142)과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서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의 상단에 마련된 작동 핀(112)을 포함한다.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에 마련된 2개의 핀(141,142)은 제2펄세이터(70)를 제1펄세이터(60)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하는 경사용 핀(141)과 제2펄세이터(70)를 수평 상태로 하는 수평용 핀(142)을 포함한다. 경사용 핀(141)과 수평용 핀(142)은 대략 180도로 이격되어 있다.
작동 핀(112)은 상부 커넥터(100)의 상단에서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의 상단에 횡 방향으로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작동 핀(112)은 경사용 핀(141) 또는 수평용 핀(142)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제2펄세이터(70)와 연결된 상부 커넥터(100)를 회전시킨다.
회전 샤프트(110)가 일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핀(112)이 도 12와 같이 경사용 핀(141)에 걸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10)가 결합된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고점부(91a)가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의 고점부(102a)에 위치하고,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저점부(91b)는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의 저점부(102b)에 위치한다. 그러면, 회전 샤프트(110)는 대략 수직한 상태가 되고,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과 하우징(120)의 상면이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결합된 제2펄세이터(70)가 제1펄세이터(60)에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탁축(37)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커넥터(90)에 의해 회전 샤프트(110)와 상부 커넥터(100)가 회전하게 되면, 제2펄세이터(70)가 회전 샤프트(110)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제자리에서 일정 진폭으로 상하로 유동한다.
제2펄세이터(70)가 제1펄세이터(60)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 샤프트(110)가 반대 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핀(112)이 도 9와 같이 수평용 핀(142)에 걸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10)가 결합된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고점부(91a)가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의 저점부(102b)에 위치하고,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저점부(91b)는 상부 커넥터(100)의 하단 경사면(102)의 고점부(102a)에 위치한다. 그러면,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과 하우징(120)의 상면이 수평 상태가 된다. 즉,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과 하우징(120)의 상면이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부(61)의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결합된 제2펄세이터(70)가 제1펄세이터(60)에 수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탁축(37)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커넥터(90)가 계속 회전하면, 하부 커넥터(90)에 연결된 회전 샤프트(110)가 회전하고, 회전 샤프트(110)와 함께 상부 커넥터(10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결합된 제2펄세이터(70)는 상하 유동 없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1펄세이터(6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펄세이터(60)의 펄세이터 수용홈(61)의 복수의 결합 홈(66)에 하부 커넥터(90)의 복수의 결합 돌기(96)를 삽입한다.
이어서, 하부 커넥터(90)의 샤프트 구멍(93)에 회전 샤프트(110)를 결합한다. 즉, 하부 커넥터(90)의 샤프트 구멍(93)에 회전 샤프트(110)의 일단을 삽입하고, 하부 커넥터(90)의 측면의 고정 구멍(94)에 고정 핀(99)을 삽입하여 회전 샤프트(110)의 결합 공(111)을 관통시키면 회전 샤프트(110)가 하부 커넥터(90)의 상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커넥터(90)를 제1펄세이터(60)에 결합한 후, 회전 샤프트(110)를 하부 커넥터(90)에 결합하였으나, 회전 샤프트(110)의 결합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회전 샤프트(110)를 하부 커넥터(90)에 먼저 결합한 후, 회전 샤프트(110)가 결합된 하부 커넥터(90)를 제1펄세이터(60)에 결합할 수도 있다.
하부 커넥터(90)에 결합된 회전 샤프트(110)에 상부 커넥터(100)를 결합한다. 이때, 상부 커넥터(100)의 경사 관통공(105)에 회전 샤프트(110)를 삽입하면, 상부 커넥터(100)가 하부 커넥터(90)에 결합된다. 그러면, 회전 샤프트(110)의 상단이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 위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 위로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에 작동 핀(112)을 설치한다. 회전 샤프트(110)의 상단에는 작동 핀(112)이 삽입되는 핀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이 핀 구멍에 작동 핀(112)을 삽입하면, 작동 핀(112)이 회전 샤프트(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어서, 상부 커넥터(100)의 외주면에 하우징(120)을 결합한다. 이때, 하우징(120)의 내주면, 즉 커넥터 구멍(121)의 내주면에 먼저 베어링(130)을 설치한다. 상부 베어링(131)은 하우징(120)의 상단에서 커넥터 구멍(121)에 삽입하고, 하부 베어링(132)은 하우징(120)의 커넥터 구멍(121)의 하단, 즉 지지부(122)에서 커넥터 구멍(121)에 삽입한다.
상부 베어링(131)과 하부 베어링(132)이 조립된 하우징(120)의 커넥터 구멍(121)에 지지부(122) 쪽에서 상부 커넥터(100)를 삽입하여, 지지부(122)가 상부 하우징(100)의 접촉부(101)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면, 하우징(120)과 상부 커넥터(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리브 홈(125)에 제2펄세이터(7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2펄세이터(70)의 결합 보스(71)의 내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 리브(72)를 하우징(120)의 상부에 마련된 복수의 리브 홈(125)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2펄세이터(70)가 하우징(12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제2펄세이터(70)의 캡 수용부(75)에 캡(76)을 결합하면, 펄세이터장치(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펄세이터장치(50)를 회전조(20)의 내부 바닥에 결합한다. 이때, 회전조(20)의 내부 바닥으로 돌출된 세탁축(37)에 제1펄세이터(60)의 바닥에 마련된 연결 보스(64)의 복수의 스플라인 홈(65)에 세탁축(37)의 복수의 스플라인 리브(37a)를 삽입하면 펄세이터장치(50)가 세탁축(37)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펄세이터장치(50)는 외부에서 조립한 후, 회전조(20)의 내부에 돌출된 세탁축(37)에 끼우면 되므로, 회전조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펄세이터에 비해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50)가 설치된 세탁기(1)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전조(20)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기(1)를 작동시키면, 터브(10)에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구동장치(30)에 의해 회전조(20)와 펄세이터장치(50)가 작동한다.
즉, 터브(10)에 물이 공급될 때 세탁물을 공급되는 물에 적시기 위해 세탁축(37)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펄세이터(60)에 결합된 하부 커넥터(90)에 의해 회전 샤프트(110)도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10)의 작동 핀(112)이 수평용 핀(142)에 걸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고점부(91a)가 상부 커넥터(100)의 하부 경사면(102)의 저점부(102b)에 위치하고,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저점부(91b)가 상부 커넥터(100)의 하부 경사면(102)의 고점부(102a)에 위치하여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과 하우징(120)의 상면이 수평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결합된 제2펄세이터(60)도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펄세이터(70)가 수평인 상태에서 회전 샤프트(110)가 일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은 수평을 유지한 채 회전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펄세이터(70)는 상하 유동 없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며 제1펄세이터(60)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회전조(20)는 탈수축(36)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므로 제1펄세이터(60)와 제2펄세이터(70) 위에 놓인 세탁물이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골고루 적셔지게 된다.
다음으로,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탈수축(36)은 정지한 상태로, 세탁축(37)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하부 커넥터(90)와 회전 샤프트(110)가 일체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 샤프트(110)의 상단에 설치된 작동 핀(112)이 도 9의 위치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대략 180도 회전하여 도 12와 같이 경사용 핀(141)에 걸리게 된다.
자세전환부(140)가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고점부(91a)가 상부 커넥터(100)의 하부 경사면(102)의 고점부(102a)에 위치하고, 하부 커넥터(90)의 상단 경사면(91)의 저점부(91b)가 상부 커넥터(100)의 하부 경사면(102)의 저점부(102b)에 위치하여 상부 커넥터(100)의 상면(103)과 하우징(120)의 상면이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결합된 제2펄세이터(70)가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커넥터(90)와 함께 회전 샤프트(110)가 더 회전하게 되면 작동 핀(112)이 경사용 핀(141)에 걸려서 상부 커넥터(100)가 회전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하우징(120)과 제2펄세이터(70)는 회전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펄세이터(7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 제2펄세이터(70)가 세탁물에 상하 방향으로 충격을 주면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수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펄세이터(6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에 좌우 방향의 충격을 주면서 좌우 방향으로 수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2펄세이터(70)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충격과 수류 및 제1펄세이터(60)에 의해 발생되는 좌우 방향의 충격과 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펄세이터(60)가 회전하면, 제1펄세이터(60)의 하면에 마련된 복수의 베인(68)이 회전하게 된다. 복수의 베인(68)이 회전하면, 세탁수가 회전조(20)의 세탁수 상승 덕트(25)를 통해 상승하여 배출구(27)를 통해 회전조(20)의 하부를 향해 낙하한다. 이러한 낙하 수류에 의해 세탁물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세탁력이 향상될 수 있다.
세탁 과정이 완료되면, 배수 호스(46)를 통해 세탁수를 배수하고, 세탁물에서 세제를 빼내는 헹굼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서 탈수축(36)의 회전에 의해 회전조(20)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 과정이 수행된다.
탈수 과정에서는 다시 자세전환부(140)의 작동 핀(112)을 도 12의 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와 같은 위치로 전환시키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펄세이터(70)가 수평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제2펄세이터(70)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제1펄세이터(60) 및 회전조(20)와 함께 회전하여 제1펄세이터(60)와 제2펄세이터(70) 위에 있는 세탁물을 탈수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 과정에서 제1펄세이터(6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펄세이터(70)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므로 회전조(20)의 내부에는 회전 수류와 상하 유동 수류가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펄세이터장치(50)로 세탁을 하면, 세탁물은 제2펄세이터(70)에 의한 상하 유동과 함께 제1펄세이터(60)에 의한 회전 운동에 의해 세탁이 되므로 세탁물의 꼬임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펄세이터장치(50)의 제2펄세이터(70)를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연결부재(80)는 종래기술에 의한 상하 유동 기구에 비해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가 감소하므로 부품비용 및 조립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펄세이터장치는 제조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3; 본체
5; 도어 7; 세탁물 투입구
10; 터브 20; 회전조
25; 세탁수 상승 덕트 30; 구동장치
31; 모터 33; 클러치
35; 구동축 36; 탈수축
37; 세탁축 41; 급수관
45; 배수장치 50; 펄세이터장치
60; 제1펄세이터 61; 펄세이터 수용홈
64; 연결 보스 65; 스플라인 홈
67; 수류형성날개 68; 베인
70; 제2펄세이터 71; 축결합 보스
72; 결합 리브 73; 경사 날개
76; 캡 80; 연결부재
90; 하부 커넥터 91; 상단 경사면
92; 결합 원판 93; 샤프트 구멍
100; 상부 커넥터 101; 접촉부
102; 하단 경사면 105; 경사 관통공
110; 회전 샤프트 111; 결합공
112; 작동 핀 120; 하우징
121; 커넥터 구멍 125; 리브 홈
131; 상부 베어링 132; 하부 베어링
135; 베어링 홀더 140; 자세전환부
141; 경사용 핀 142; 수평용 핀
5; 도어 7; 세탁물 투입구
10; 터브 20; 회전조
25; 세탁수 상승 덕트 30; 구동장치
31; 모터 33; 클러치
35; 구동축 36; 탈수축
37; 세탁축 41; 급수관
45; 배수장치 50; 펄세이터장치
60; 제1펄세이터 61; 펄세이터 수용홈
64; 연결 보스 65; 스플라인 홈
67; 수류형성날개 68; 베인
70; 제2펄세이터 71; 축결합 보스
72; 결합 리브 73; 경사 날개
76; 캡 80; 연결부재
90; 하부 커넥터 91; 상단 경사면
92; 결합 원판 93; 샤프트 구멍
100; 상부 커넥터 101; 접촉부
102; 하단 경사면 105; 경사 관통공
110; 회전 샤프트 111; 결합공
112; 작동 핀 120; 하우징
121; 커넥터 구멍 125; 리브 홈
131; 상부 베어링 132; 하부 베어링
135; 베어링 홀더 140; 자세전환부
141; 경사용 핀 142; 수평용 핀
Claims (20)
- 상면에 오목한 펄세이터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며,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기 제1펄세이터에 대해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고정되며 상면이 경사진 하부 커넥터;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면이 경사진 상부 커넥터;
상기 상부 커넥터의 하면에 수직하게 상기 상부 커넥터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 커넥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에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커넥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넥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은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가 회전하면 상기 하부 커넥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은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하부 커넥터에 고정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를 경사진 상태와 수평인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가 마련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전환부는,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 마련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경사용 핀과 수평용 핀; 및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용 핀과 상기 수평용 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작동 핀;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핀이 상기 경사용 핀에 걸리면 상기 제2펄세이터가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작동 핀이 상기 수평용 핀에 걸리면 상기 제2펄세이터가 수평인 상태가 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의 하부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마련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펄세이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 홈이 마련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는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는 베어링 홀더가 설치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에는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의 둘레로 복수의 수류형성날개가 마련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하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이 설치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은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하로 유동할 때, 상기 제2펄세이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의 내측면은 상하로 유동하는 상기 제2펄세이터의 가장자리의 궤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오목한 펄세이터 수용홈이 마련된 제1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며,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기 제1펄세이터에 대해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면, 상기 제2펄세이터는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는, 세탁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하면에는 세탁축이 결합되는 복수의 스플라인 홈이 마련된, 세탁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플라인 홈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이 설치되는, 세탁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펄세이터 수용홈에 고정되며 상단 경사면을 구비한 하부 커넥터;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단 경사면을 구비한 상부 커넥터;
상기 상부 커넥터의 하단 경사면에 수직하게 상기 상부 커넥터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 커넥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커넥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넥터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펄세이터가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단은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단 경사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펄세이터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 사프트는 상기 하부 커넥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세탁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를 경사진 상태와 수평인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가 마련되는, 세탁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전환부는,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 마련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경사용 핀과 수평용 핀; 및
상기 상부 커넥터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경사용 핀과 상기 수평용 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작동 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1펄세이터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핀이 상기 경사용 핀에 걸려 상기 제2펄세이터가 상하로 유동하며, 상기 회전조가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핀이 상기 수평용 핀에 걸려 상기 제2펄세이터가 수평인 상태로 회전하는, 세탁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936A KR102434445B1 (ko) | 2017-08-18 | 2017-08-18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PCT/KR2018/009477 WO2019035693A1 (ko) | 2017-08-18 | 2018-08-17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US16/639,783 US20200190719A1 (en) | 2017-08-18 | 2018-08-17 | Pulsator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936A KR102434445B1 (ko) | 2017-08-18 | 2017-08-18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694A true KR20190019694A (ko) | 2019-02-27 |
KR102434445B1 KR102434445B1 (ko) | 2022-08-22 |
Family
ID=6536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4936A KR102434445B1 (ko) | 2017-08-18 | 2017-08-18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90719A1 (ko) |
KR (1) | KR102434445B1 (ko) |
WO (1) | WO2019035693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424A (ko) * | 2002-02-15 | 2003-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20100120543A (ko) * | 2009-05-06 | 2010-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용 펄세이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3307B1 (ko) * | 2002-12-27 | 2005-06-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101555899B1 (ko) * | 2009-01-15 | 2015-09-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용 펄세이터유닛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KR101462171B1 (ko) * | 2009-10-22 | 2014-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
2017
- 2017-08-18 KR KR1020170104936A patent/KR1024344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8-17 US US16/639,783 patent/US2020019071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8-17 WO PCT/KR2018/009477 patent/WO201903569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424A (ko) * | 2002-02-15 | 2003-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20100120543A (ko) * | 2009-05-06 | 2010-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용 펄세이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90719A1 (en) | 2020-06-18 |
WO2019035693A1 (ko) | 2019-02-21 |
KR102434445B1 (ko) | 202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6822B1 (ko) | 세탁기용 펄세이터 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
US9587336B2 (en) | Washing machine | |
RU2471024C2 (ru) | Устройство пульсатора, используемое со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его | |
JPH0884886A (ja) | 洗濯機 | |
US20150040620A1 (en) | Washing machine | |
KR101417778B1 (ko) | 세탁기, 세탁기의 이너터브 및 그 조립방법 | |
KR20130016932A (ko) | 세탁기 | |
US20180313016A1 (en) | Washing machine | |
KR101934655B1 (ko) | 드럼 세탁기 | |
JPH08117485A (ja) | 洗濯機 | |
KR101959872B1 (ko) | 드럼 세탁기 | |
KR20190019694A (ko)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
JP6712245B2 (ja) | 洗濯機 | |
JP6521894B2 (ja) | 洗濯機 | |
JP4012114B2 (ja) | 洗濯機の攪拌翼 | |
KR102560061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5943885A (en) | Spin tub for a washing machine | |
KR100213616B1 (ko) | 세탁기 | |
KR100213624B1 (ko) | 세탁기 | |
WO2008016071A1 (fr) | Machine à laver | |
KR100229471B1 (ko) | 세탁기 | |
KR20180077638A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20000013794U (ko) | 드럼세탁기의 드럼 | |
KR102541695B1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20000007694U (ko) | 드럼세탁기의 드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