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638A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7638A KR20180077638A KR1020160182209A KR20160182209A KR20180077638A KR 20180077638 A KR20180077638 A KR 20180077638A KR 1020160182209 A KR1020160182209 A KR 1020160182209A KR 20160182209 A KR20160182209 A KR 20160182209A KR 20180077638 A KR20180077638 A KR 201800776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sator
- connecting shaft
- shaft
- blade
- ring ge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4 emulsify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 상기 이너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축;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궤도를 회피하여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상부 및 상기 펄세이터를 연결하고,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회전력을 상기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세탁조의 상부로 펌핑함으로 순환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조의 위로 세탁물을 넣고 빼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말한다. 탑 로딩 세탁물 처리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물 처리장치다.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 세탁수를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세탁수류와 이에 의한 마찰 및 세제의 유화작용 등으로 세탁물을 세탁한다.
펄세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정·역회전을 통해 세탁조 내부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세탁조의 외부에 순환수를 펌핑하기 위한 순환펌프를 상기 구동모터와 별개로 구비하고, 세탁조 하부의 세탁수를 펌핑하여 세탁조의 상부에서 포 위로 뿌려줌에 따라, 적은 물의 사용량으로도 세탁수가 세탁조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포'라고도 함)을 용이하게 적셔줄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터와 별개로 펌프를 구비하는 경우 추가로 펌프 구입 비용이 발생하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펌프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해야하므로 제어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1(한국특허공개번호 2003-0049818)에는 세탁조와 외조 사이의 공간에 머무는 세탁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세탁조 내부에 상하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세탁판과, 상기 세탁조 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와,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세탁판 및 상기 임펠러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는 안내유로를 통해 상승하며 펌핑수류 토출공을 통해 세탁조 내부로 다시 공급된다.
종래 기술2(한국특허공개번호 2013-0049094)에는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터브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과 펄세이터의 회전력을 형성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직류로 분출되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수류형성수단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분출압을 형성하는 원심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와 상기 펄세이터는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물 처리장치에서는 세탁수가 급수된 상태에서 펄세이터만 회전하면서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이루어지므로, 세제 용해도가 낮아 세탁 성능이 저하되고,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이루어지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물 처리장치에서는,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위까지 세탁수가 내조의 내부로 급수됨으로써, 물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적은 량의 물 사용량으로도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1에서, 임펠러와 세탁물 사이의 접촉이 제한되어 마찰에 의한 세탁력이 약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 2에서,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한 분출압을 높이기 위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면,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어 오히려 원활한 세탁에 방해가 되고 세탁물의 마모도가 커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세탁물에 의한 부하가 지나치게 커진다. 반면, 상기 종래 기술 2에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소정 치 이상이 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한시키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한 분출압의 정도까지 같이 제한받게 된다. 즉, 종래 기술 2에서는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와 상기 펄세이터가 일체로 회전하므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높이거나 낮추는 어느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만약 구동모터를 2개 사용하여 서로 별도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부품비용이 추가되고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계 구조를 모두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고, 모터 제어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만약 동력전달부에 물이 침투하게 되면, 동력전달부의 성능 감소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 1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세이터 외에도 수류를 형성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rpm은 높이고 펄세이터의 rpm은 낮추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펠러와 세탁물 사이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도, 상측으로 세탁수를 펌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서로 별도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서로 별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와 블레이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우터 터브의 외부에 복수의 기어를 배치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와,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와, 상기 이너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과,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축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대한 간섭없이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회전력을 상기 펄세이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궤도를 회피하여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상부 및 상기 펄세이터를 연결하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회전력을 상기 펄세이터에 전달한다.
상기 제 1 내지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이너터브의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상부 및 상기 펄세이터를 연결하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을 통해서, 상측에서 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시킬 수 있고, 세제용해 및 포적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세제 용해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은량의 물로도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수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고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로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펌핑압력 및 펌핑수두를 증가시킴과 더불어 원활한 세탁을 수행시키고 세탁물의 마모도 및 회전부하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통해서, 단일 축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기능을 달성하면서도, 별도의 구동모터가 불요하고 축계의 변경이 불요하며, 제어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어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구동모터의 토크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높은 효율 영역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펌핑된 세탁수가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기어를 아우터 터브의 외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동력전달부의 내부로 침투하기 어렵게 되므로, 동력전달부의 방수성이 현저히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중앙을 수직으로 자른 종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너터브(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122) 및 순환덕트(126) 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라인 A-A'를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로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펄세이터(122)가 베이스(121)의 연결면에 장착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 및 펄세이터 부분을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 및 펄세이터 부분을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a의 동력전달부를 라인 B-B'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a의 동력전달부를 라인 C-C'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6a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탈수축(132b)에 대해 세탁축(132a)이 상대 회전할 때 선기어(242), 유성기어(243) 및 링기어(245)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6b의 다른 실시예에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탈수축(132b)에 대해 세탁축(132a)이 상대 회전할 때 선기어(242), 유성기어(243') 및 링기어(245')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a 또는 6b의 기어모듈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탈수축(132b) 및 세탁축(132a)이 일체로 회전할 때 선기어(242), 캐리어(244, 244') 및 링기어(245, 245')가 일체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로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의 도면 참조부호의 뒤에는 콤마(')를 표시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도 1의 이너터브(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122) 및 순환덕트(126) 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라인 A-A'를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로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펄세이터(122)가 베이스(121)의 연결면에 장착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 및 펄세이터 부분을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 및 펄세이터 부분을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a의 동력전달부를 라인 B-B'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a의 동력전달부를 라인 C-C'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6a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탈수축(132b)에 대해 세탁축(132a)이 상대 회전할 때 선기어(242), 유성기어(243) 및 링기어(245)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6b의 다른 실시예에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탈수축(132b)에 대해 세탁축(132a)이 상대 회전할 때 선기어(242), 유성기어(243') 및 링기어(245')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a 또는 6b의 기어모듈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탈수축(132b) 및 세탁축(132a)이 일체로 회전할 때 선기어(242), 캐리어(244, 244') 및 링기어(245, 245')가 일체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로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의 도면 참조부호의 뒤에는 콤마(')를 표시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측' 및 '하측'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의 탑로딩 세탁기를 기준으로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중심축'은 이너터브(120)의 회전축이 배치되는 직선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원심 방향'은 상기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 반대 방향'은 상기 중심축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어느 구성요소의 '외주부'란 해당 구성요소의 '원심 방향 부분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 1방향'으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 2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고정'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직접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의 제 2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위치가 유지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고정'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와 제 2구성요소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동일 회전속도와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같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별개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거어 등에 맞물려 제 1구성요소의 회전 속도와 제 2구성요소의 회전 속도의 비율이 일정하게 기설정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아우터 터브(110)(Outer Tub)를 포함한다. 아우터 터브(110)는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터브(120)를 포함한다. 이너터브(120)는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한다. 이너터브(120)는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이너터브(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122)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펄세이터(122)와 이너터브(120)의 바닥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수를 이너터브(120)의 상단부로 펌핑하는 블레이드(123)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직육면체의 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하측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비닛과, 전후좌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케비닛과, 세탁물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을 가진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커버 케비닛을 포함한다.
캐비닛(100)의 상부(상기 탑커버 케비닛)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01)가 구비된다. 도어(101)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한다.
아우터 터브(11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서스펜션 바(111)에 의해 현수되어 지지된다. 아우터 터브(110)는 공급받은 세탁수를 내부에 저장한다. 아우터 터브(110)는 공급받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 및 혼합시키도록 구비된다. 아우터 터브(110)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구비된다
이너터브(120)는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너터브(120)는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너터브(120)는 클러치(137)의 단속에 의해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너터브(120)는 세탁 및 헹굼 시에는 고정되고 탈수 시에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너터브(120)는 이너터브(120)의 원심방향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20a)를 포함한다. 측벽부(120a)는 다수의 탈수공을 가진다. 상기 다수의 탈수공을 통해 아우터 터브(110) 내의 세탁수가 측벽부(120a) 내로 유입된다.
이너터브(120)는 측벽부(120a)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란서(125)를 포함한다. 발란서(125)는 측벽부(120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터브(120)는 측벽부(120a)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는 이너터브(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너터브(120)의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이너터브의 저면을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상부는 측벽부(120a)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베이스(121)는 하부에 단차부(121b,121c)(step portion)를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하부에 제 1단차부(121b)를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하부에 제 2단차부(121c)를 형성한다.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모두 가려지게 배치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펄세이터(122)는 블레이드(123)를 모두 덮도록 배치된다. 블레이드(123)의 상측은 가려져, 이너터브(120) 내의 세탁물에 접촉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23)는 회전시 세탁물과의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지않고 세탁수 펌핑에 의한 부하를 받는다. 펄세이터(122)는 세탁물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이스(121)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21)의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에 블레이드(123)가 배치된다. 베이스(121)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베이스(121)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 블레이드(123)가 배치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중앙 부분(중앙에 가까운 부분)이 가장 낮은 상측면을 형성한다. 베이스(121)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 2단차부(121c) 및 제 1단차부(121b)가 배치된다.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베이스(121)의 상측면을 따라갈 때, 제 2단차부(121c)에 의해 베이스(121)의 상측면이 높아진다. 베이스(121)의 제 2단차부(121c)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베이스(121)의 상측면을 따라갈 때, 제 1단차부(121b)에 의해 베이스(121)의 상측면이 높아진다. 제 1단차부(121b)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단차부(121c)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21)는 제 1단차부(121b)의 상단과 제 2단차부(121c)의 하단을 연결해주는 연결면(121d)를 구비한다. 연결면(121b)은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한다. 연결면(121d)은 펄세이터(122)의 하측면을 바라본다. 연결면(121d)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21)는 상부에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121a)를 구비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라운드부(121a)는 베이스(12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라운드부(121a)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라운드부(121a)는 베이스(121)의 가장자리에서 회전축(132) 방향으로 점점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다. 라운드부(121a)의 가장자리는 측벽부(120a)의 하단과 연결된다.
라운드부(121a)에는 반원형의 돌기부(121a1)가 서로 마주보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반원형의 돌기부(121a1)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이격 배치된다.
제 1단차부(121b)는 펄세이터(122)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제 1단차부(121b)의 둘레의 내측에 블레이드(123)가 배치된다. 제 1단차부(121b)는 펄세이터(122)의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한다. 제 1단차부(121b)는 라운드부(121a)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 1단차부(121b)의 상단은 라운드부(121a)의 내주부(회전축에 가까운 방향의 말단부)에 연결된다. 제 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의 외주부 사이에 일정한 갭이 형성되어, 펄세이터(122)의 회전 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제 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 사이의 갭은 세탁물로부터 빠진 동전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1mm 정도이면 족하다.
제 2단차부(121c)는 블레이드(123)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제 1단차부(121b)의 둘레의 내측에 제 2단차부(121c)의 둘레가 배치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펄세이터(122)의 둘레의 내측에 제 2단차부(121c)의 둘레가 배치된다. 제 2단차부(121c)는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한다. 제 2단차부(121c)의 하단은 베이스(121)의 저면과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은 최저면을 형성한다. 제 2단차부(121c)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의 외주부와 연결된다.
베이스(121)의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베이스(121)는 중앙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121)의 외측 하부에서 베이스(121)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너터브(120)는 베이스(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브(124)를 포함한다. 허브(124)는 이너터브(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허브(124)는 이너터브(120)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허브(124)는 측벽부(120a) 및 베이스(121)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형 부재로 형성된다. 허브(124)는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베이스(121) 및 측벽부(120a)에 전달해준다. 허브(124)는 후술할 이너터브 연결축(249c)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허브(124)는 복수의 세탁수유입공(124a)을 가진다. 복수의 세탁수 유입공(124a)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아우터 터브(110)에 저장되는 세탁수는 허브의 세탁수유입공(124a)을 통해 이너터브(120) 내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허브(124)는 베이스(121)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허브(124)는 베이스(121)의 상기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세탁수유입공(124a)은 부채꼴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허브(124)의 중앙부에는 동심축 어셈블리(249)와 결합하는 중앙결합부(124b)가 구비된다. 중앙결합부(124b)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다. 중앙결합부(124b)에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부가 고정된다. 중앙결합부(124b)의 홀을 통해 블레이드 연결축(249b)이 관통한다. 중앙결합부(124b)의 홀을 통해 펄세이터 연결축(249a)이 관통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아우터 터브(110) 외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13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30)는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30)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터 케이싱(131)이 구비된다. 모터 케이싱(131)의 내부에 상기 회전자 및 고정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축(132a)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축(132a)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탈수축(132b)를 포함한다. 세탁축(132a)은 탈수축(132b)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상기 고정자는 모터 케이싱(131)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된다. 세탁축(132a)은, 상기 회전자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탈수축(132b) 및 세탁축(132a)의 일체 회전 여부를 전환해주는 클러치(137)를 포함한다. 탈수축(132b)에 대해 세탁축(132a)이 상대 회전하는 때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는 이너터브(12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구비된다. 탈수축(132b) 및 세탁축(132a)이 일체로 회전하는 때 펄세이터(122), 블레이드(123) 및 이너터브(120)는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클러치(137)는, 탈수축(132b)이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하게 탈수축(132b)을 세탁축에 밀착되게 전환시킬 수 있다. 클러치(137)는, 탈수축(132b)에 대해 세탁축이 상대 회전하게 탈수축(132b)을 세탁축에 이격되게 전환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아우터 터브(1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구동모터(130)를 지지하는 구동모터 지지부재(135, 136)를 포함한다.
구동모터 지지부재(135, 136)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33)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33)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3)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면에 결합한다. 고정브라켓(133)은 구동모터(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동심축 어셈블리(249)는 고정브라켓(133)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구동모터 지지부재(135, 136)는 고정브라켓(133)의 하측에 고정되는 연결브라켓(134)을 포함한다. 연결브라켓(134)은 구동모터(130)를 지지해준다. 연결브라켓(134)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면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브라켓(134)은 전체적으로 중앙 부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브라켓(134)은 구동모터(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연결브라켓(134)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클러치(137)는 연결브라켓(134)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 지지부재(135, 136)는 내부에 기어모듈 배치 공간(240a)을 형성한다. 구동모터 지지부재(135, 136)는 내부에 후술할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수용할 수 있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기어모듈 배치 공간(240a)에 배치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과 동심축 어셈블리(249) 사이에 배치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탈수축(132b)과 동심축 어셈블리(249) 사이에 배치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연결브라켓(13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고정브라켓(133)의 하측에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중심축 상에 위치한다. 세탁축(132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세탁축(132a)은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된다. 세탁축(132a)은 구동모터(13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이너터브(120) 내의 하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122)를 포함한다. 펄세이터(122)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122)는 이너터브(1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122)는 구동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펄세이터(122)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상부에 고정된다. 펄세이터(122)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된다. 펄세이터(122)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펄세이터(122)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122)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비벼서 빠는 효과를 얻는다.
펄세이터(122)는 원형의 판을 형성하는 회전판(122a)과, 회전판(122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2c)를 포함한다. 펄세이터(122)는 회전판(122a)의 중심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돌기부(122b)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중심돌기부(122b)에서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22c)의 일단부는 중심돌기부(122b)에 연결되고, 돌출부(122c)의 타단부는 회전판(122a)의 외주부를 향해 연장된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돌출부(122c)는 상측면은 굴곡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펄세이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중심돌기부(122b)의 상부에 상부캡이 설치될 수 있다. 중심돌기부(122b)는 복수의 돌출부(122c)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복수의 관통공(122a1)을 형성한다. 복수의 관통공(122a1)은 회전판(122a)에 형성된다. 관통공(122a1)은 상하 방향으로 세탁수가 펄세이터(122)를 관통하게 해준다. 세탁수가 관통공(122a1)을 통해 이너터브(120)의 하부로 흘러갈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하측면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요입홈(122b1)이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하측면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상단은 펄세이터(122)의 상기 리브의 원심 반대 방향 측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에 의해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회전력이 펄세이터(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펄세이터(122)의 하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12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123)는 이너터브(1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123)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23)는 세탁수를 상기 이너터브의 상단부로 상승시키도록 펌핑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123)는 펄세이터(12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모두 가려지게 배치된다.
블레이드(123)는 원형의 회전판(123a)을 포함한다. 회전판(123a)은 구동모터(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회전판(123c)의 중앙부에는 축결합부(123c)가 구비된다. 축결합부(123c)에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상부가 고정된다. 블레이드(123)는 블레이드 연결축(249b)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축결합부(123c)의 상부는 펄세이터(122)의 축지지홈(122b2)에 삽입될 수 있다. 블레이드(123)의 상측 중심부는 펄세이터(122)의 하측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블레이드(123)의 축결합부(123c)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펄세이터(122)의 하측 중심부에는 상기 축결합부(123c)의 돌기와 맞물리게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23c)의 돌기가 블레이드(123)의 홈에 삽입되어 접촉한 상태로 펄세이터(122)에 대해 블레이드(123)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123)는 회전판(123a)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펌핑날개부(123b)를 포함한다. 펌핑날개부(123b)는 회전판(123a)의 하부에 채워져 있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펌핑하는 부분이다. 펌핑날개부(123b)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복수의 펌핑날개부(123b)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펌핑날개부(123b)는 방사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펌핑날개부(123b)는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펌핑날개부(123b)는 회전판(123a)의 외주부를 향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펄세이터(122)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249b)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블레이드(123)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축(249c)을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블레이드(123)의 하측에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단은 블레이드(123)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블레이드(123)를 관통하지 않는다. 펄세이터(122)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23)에 간섭없이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에 전달하기 위하여,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이 구비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부 및 펄세이터(122)를 연결하여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에 전달하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을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블레이드()와 이너터브()의 사이로 연장되어, 펄세이터 연결축()의 상부 및 펄세이터()를 연결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블레이드(123)의 회전궤도를 회피하여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부 및 펄세이터(122)를 연결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펄세이터 연결축(249b)과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앙부에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부가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에 펄세이터(122)의 가장자리 부분이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가장자리 부분에 펄세이터(122)가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블레이드(123)와 이너터브(120) 사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123) 하측면 및 가장자리는 이너터브(12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틈을 형성하고, 상기 틈에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이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블레이드(123)의 하측에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이너터브(120)의 저면의 상측에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허브(124)의 상측에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앙부는 블레이드(123)의 하측에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가장자리 부분 중 일부는 블레이드(123) 상측에 배치되어, 펄세이터(122)와 연결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블레이드(123)의 회전 궤도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회전 궤도와 블레이드(123)의 회전 궤도가 서로 이격되어, 서로의 회전 운동에 간섭되지 않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이너터브(120)의 회전 궤도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회전 궤도와 이너터브(120)의 회전 궤도가 서로 이격되어, 서로의 회전 운동에 간섭되지 않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전체적으로 블레이드(123)의 하측면 및 가장자리를 덮어주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전체적으로 수평면 상에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회전축에서 원심 방향으로 연장된 원심 연장부(248a)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원심 연장부(248a)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방 연장부(248b)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상방 연장부(248b)의 상부에 배치되어 펄세이터(122)와 결합하는 펄세이터 결합부(248c)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중심부에 배치되어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부와 결합하는 중심축 결합부(248d)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수류 관통홀(248e)을 형성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복수 개의 원심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248f)를 포함한다.
원심 연장부(248a)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심부에서 원심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심 연장부(248a)는, 블레이드(123)의 하면 및 이너터브(120)의 내부 하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원심 연장부(248a)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심 연장부(248a)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심 연장부(248a)의 일단부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원심 연장부(248a)의 타단부는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부(248f)에 연결될 수 있다. 원심 연장부(248a)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심부에서부터 블레이드(123)의 가장자리보다 원심방향으로 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원심 연장부(248a)는 이너터브(120)의 내측면에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원심 연장부(248a)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심부에서 보강부(248f)까지 연장되는 제 1원심 연장부(248a1)를 포함한다. 제 1원심 연장부(248a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원심 연장부(248a1)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원심 연장부(248a1)의 일단부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 1원심 연장부(248a1)의 타단부는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부(248f)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6개의 제 1원심 연장부(248a1)가 원주 방향으로 6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원심 연장부(248a)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블레이드(123)의 가장자리보다 원심 방향으로 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 제 2원심 연장부(248a2)를 포함한다. 제 2원심 연장부(248a2)는 보강부(248f)에서부터 이너터브(120)의 내측면에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2원심 연장부(248a2)는 제 1원심 연장부(248a1)의 원심 방향 말단부에서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원심 연장부(248a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원심 연장부(248a2)의 개수는 복수의 제 1원심 연장부(248a1)의 개수보다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원심 연장부(248a2)는 상방 연장부(248b)의 지지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제 2원심 연장부(248a2)가 원주방향으로 12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원심 연장부(248a)와 펄세이터(122)를 연결시키는 상방 연장부(248b)를 포함한다. 상방 연장부(248b)는 원심 연장부(248a)의 원심 방향 말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방 연장부(248b)는 블레이드(123)의 가장자리보다 원심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방 연장부(248b)는 블레이드(123)의 가장자리와 이너터브(120)의 내측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배치된다. 상방 연장부(248b)의 상단부는 펄세이터(122)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상방 연장부(248b)의 상단부에는 펄세이터 결합부(248c)가 구비된다. 상방 연장부(248b)의 하단부는 제 2상방 연장부(248a2)까지 연장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상방 연장부(248b)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펄세이터 결합부(248c)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결합부(248c)는 펄세이터(122)와 결합한다. 펄세이터 결합부(248c)는 펄세이터(122)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펄세이터 결합부(248c)는 펄세이터(122)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펄세이터(122)를 펄세이터 결합부(248c)에 체결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축 결합부(248d)를 포함한다. 중심축 결합부(248d)는 펄세이터 연결축(249b)과 결합한다. 중심축 결합부(248d)는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부와 결합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c)은 중심축 결합부(248d)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류 관통홀(248e)이 형성된다. 수류 관통홀(248e)을 통해, 블레이드(123)의 하측의 세탁수가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에는 복수의 수류 관통홀(248e)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류 관통홀(248e)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은, 복수 개의 원심 연장부(248a) 사이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248f)를 포함한다. 보강부(248f)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보강부(248f)와 복수의 원심 연장부(248a) 사이에 수류 관통홀(248e)이 형성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블레이드(123)에 의하여 유동되는 세탁수를 이너터브(120)의 상측으로 안내하여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2개가 구비된다. 2개의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상호 마주보도록 이너터브(1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베이스(121)에 결합되어 블레이드(123)에 의하여 유동되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토출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측벽부(120a)의 내면에 구비되어 세탁수 토출부(127)로 유입된 세탁수를 측벽부(120a)의 상단으로 안내하는 순환덕트(126)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 모듈은, 측벽부(120a)의 상단에 배치되어 순환덕트(126)를 통하여 안내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필터부(128)를 포함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터브(120)와 연결되어, 이너터브(120) 하부의 세탁수를 이너터브(120)의 상부로 상승시키며 이너터브(120)의 내부로 재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126a)를 제공한다. 순환덕트(126)는 이너터브(120)의 내주면에 커버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순환덕트(126)는 원심 방향의 측면이 개방되고 원심 반대 방향 측면 및 원주 방향 양측면은 폐쇄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원주 방향 양측면의 원심방향 측단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 순환덕트(126)가 이너터브(120)의 내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순환덕트(126)의 내부에 세탁수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인 순환유로(126a)가 형성된다.
순환덕트(126)의 하부에 세탁수 토출부(127)가 연결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블레이드(123)에 의해 토출되는 세탁수를 받아 순환덕트(126)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베이스(121)의 외측 하부에 배치된다. 세탁수 토출부(127)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세탁수가 블레이드(123)로부터 순환덕트(126)로 부드럽게 휘어지며 이동하게 해주는 토출바디(127a)를 포함한다. 토출바디(127a)는, 세탁수를 원심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며 이동하게 해준다. 토출바디(127a)의 하부에는 원심 반대 방향으로 세탁수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세탁수 토출구는 베이스(121)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세탁수 토출구를 통해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베이스(121)에서 원심 방향으로 토출된다.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토출구를 통해 토출바디(127a)의 내부로 유입된다. 토출바디(127a)는 상부에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덕트연통구를 형성한다. 토출바디(127a)의 상측은 상기 덕트연통구를 통해 순환덕트(126)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덕트연통구를 통해 토출바디(127a) 내부의 세탁수가 순환유로(126a)로 유입된다. 토출바디(127a)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순환덕트(126) 내부로 상승한다.
순환덕트(126)의 상단부에 필터부(128)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필터하우징(128a)과, 필터하우징(128a)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그물(net)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128a)의 하측은 순환덕트(126)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필터하우징(128a)의 일 측면은 측벽부(120a)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픈된 분출구(128a1)를 형성한다. 분출구(128a1)는 세로방향 폭은 좁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는 세탁수 토출부(127)의 내부, 순환덕트(126)의 내부 및 필터하우징(128a)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후, 분출구(128a1)을 통해 측벽부(121a)의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한 개의 모터 회전력으로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탈수축(132b) 및 세탁축(132a)이 일체로 회전할 때, 구동모터(130)는 한 개의 모터 회전력으로 펄세이터(122), 블레이드(123) 및 이너터브(120)를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은 세탁축(132a) 및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거쳐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에 전달된다.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은 탈수축(132b) 및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거쳐 이너터브(12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6a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2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0)를 포함한다. 클러치(137)에 의해 탈수축(132b)이 회전하지 않고 세탁축(132a)만 회전하는 때, 동력전달부(2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에 전달한다. 클러치(137)에 의해 탈수축(132b)이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하는 때, 동력전달부(240)는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이너터브(120)에도 전달한다.
동력전달부(240)는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동심축 어셈블리(249)에 전달하는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40)는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에 각각 전달하는 동심축 어셈블리(249)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40)는 서로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247a, 247b, 247c, 247d, 247e)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40)는 동심축 어셈블리(249)를 구성하는 복수의 동심축 사이의 갭으로 이너터브(120) 내의 세탁수의 침투를 방지해주는 실러(241a, 241b)를 포함한다.
세탁축(132a)은 구동모터(130)의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모터(130)의 상기 회전자의 회전력을 벨트나 기어 등을 통해 세탁축(132a)이 전달 받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축(132a)의 하부가 상기 회전자에 고정된다.
세탁축(132a)은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세탁축(132a)의 상부는 선기어(242)에 고정된다. 세탁축(132a)의 상부는 선기어(242)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세탁축(132a)은, 탈수축(132b)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며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캐리어(244)의 하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캐리어(244)의 연결축 하판부(244c)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도 6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세탁축(132a)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하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하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세탁축(132a)은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도 6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링기어 하우징(245a')은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세탁축(132a)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개구된 하부로 삽입된다.
클러치(137)에 의해 탈수축(132b)이 세탁축(132a)에 밀착하게 되면, 탈수축(132b)은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 6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탈수축(132b)은 링기어 하우징(245a)과 일체로 회전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링기어 하우징(245a)의 하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에 고정된다.
도 6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탈수축(132b)은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캐리어(244')에 고정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캐리어(244')의 하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연결축 하판부(244c')에 고정된다.
동심축 어셈블리(249)는 펄세이터(122)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249a)을 포함한다. 동심축 어셈블리(249)는 블레이드(123)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축(249b)을 포함한다. 동심축 어셈블리(249)는 이너터브(120)를 회전시키는 이너터브 연결축(249c)을 포함한다.
동심축 어셈블리(249)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면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동심 회전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동심 회전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동심 회전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 블레이드 연결축(249b), 이너터브 연결축(249c), 선기어(242), 캐리어(244) 및 링기어(245)는 하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동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펄세이터(122)를 블레이드(123)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시킨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는 블레이드(123)를 펄세이터(122)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시킨다.
동심축 어셈블리(24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중심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블레이드(123)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상부는 블레이드(123)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상부는 블레이드(123)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하부는 선기어(242)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하부는 선기어(242)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캐리어(244)의 상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캐리어(244)의 연결축 상판부(244b)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도 6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도 6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또한,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캐리어 하우징(244e')의 상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캐리어 상측 하우징(244e2')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상부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상부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캐리어(244) 및 링기어(245')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경우, 캐리어(244') 및 링기어(245) 중 다른 하나는, 이너터브 연결축(249c)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리어(244') 및 링기어(245) 중 상기 다른 하나는, 탈수축(132b)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펄세이터 연결축(249a)이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하부가 캐리어(244)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클러치(137)에 의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 할 때,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세탁축(132a)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 및 세탁축(132a)의 회전 방향과 같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는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되어 탈수축(132b) 및 링기어(245)와 함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언급한 '회전' 및 '정지'는, 이너터브(120)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도 6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펄세이터 연결축(249a)이 링기어(245')와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하부가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캐리어 하우징(244e')의 상부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캐리어 상측 하우징(244e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클러치(137)에 의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 할 때,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세탁축(132a)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 및 세탁축(132a)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는 캐리어(244')에 고정되어 탈수축(132b)과 함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언급한 '회전' 및 '정지'는, 이너터브(120)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이너터브(120)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부가 이너터브(120)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부가 이너터브(120)의 하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부가 허브(124)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부가 허브(124)의 중앙결합부(124b)에 고정된다.
도 6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링기어(245)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링기어 하우징(245a)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에 고정된다.
도 6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캐리어 하우징(244e')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캐리어 하우징(244e')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캐리어 하우징(244e')의 상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캐리어 상측 하우징(244a2')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베어링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베어링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동력전달부(240)는, 세탁축(132a), 탈수축(132b), 펄세이터 연결축(249a),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을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베어링(247a, 247b, 247c, 247d, 247e)을 포함한다.
탈수축(132b)과 구동모터 지지부재(133, 134) 사이에 제 1베어링(247a)이 설치되어, 탈수축(132b)이 구동모터 지지부재(133, 134)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과 구동모터 지지부재(133, 134) 사이에 제 2베어링(247b)이 설치되어, 이너터브 연결축(249c)이 구동모터 지지부재(133, 134)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세탁축(132a)과 탈수축(132b) 사이에 제 3베어링(247c)이 설치되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블레이드 연결축(249b) 사이에 제 4베어링(247d)이 설치되어, 블레이드 연결축(249b)이 펄세이터 연결축(249a)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제 4베어링(247d)이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이너터브 연결축(249c) 사이에 제 5베어링(247e)이 설치되어, 펄세이터 연결축(249a)이 이너터브 연결축(249c)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제 5베어링(247e)이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40)는, 동심축 어셈블리(249)의 각 구성간의 틈으로 세탁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러(241a, 241b)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블레이드 연결축(249b) 사이에 제 1실러(241a)가 설치되어,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블레이드 연결축(249b) 사이의 틈으로 세탁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실러(241a)는,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제 1실러(241a)는 제 4베어링(247d)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블레이드(123)의 하측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여 공기가 채워진 홈이 형성되고, 블레이드(123)의 상기 홈 내에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상단이 배치되어, 세탁수가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실러(241a)는 블레이드(123)의 상기 홈에 의해 공기가 채워진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이너터브 연결축(249c) 사이에 제 2실러(241b)가 설치되어, 펄세이터 연결축(249a)과 이너터브 연결축(249c) 사이의 틈으로 세탁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실러(241b)는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제 2실러(241b)는 제 5베어링(247e)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하측 중앙부는 상측으로 오목하여 공기가 채워진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상단은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하측 중앙부의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실러(241b)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의 하측 중앙부의 상기 공기가 채워진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아우터 터브(110) 외부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너터브(120)의 내부의 동심축 어셈블리(249) 상에는 다른 기어가 배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하단부가 기어모듈(242, 243, 244, 245)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에 연결되어,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의 회전력을 직접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248)에 전달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하단부가 기어모듈(242, 243, 244, 245)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블레이드(123)에 연결되어,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의 회전력을 직접 블레이드(123)에 전달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하단부가 기어모듈(242, 243, 244, 245)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이너터브(120)에 연결되어,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의 회전력을 직접 이너터브(120)에 전달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에 각각 전달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탈수축(132b)의 회전력을 이너터브 연결축(249c)에 전달한다.
클러치(137)에 의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때,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로 전달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선기어(242)와 링기어(245)의 기어비에 의해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펄세이터 연결축(249a)에 전달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펄세이터 연결축(249a)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세탁축(132a)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펄세이터(122)로 전달함에 따라 펄세이터(122)의 토크(Torque)가 증가된다.
클러치(137)에 의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때,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여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과 동일 회전 방향 및 동일 회전 속도로 블레이드 연결축(249b)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도 6a 및 9a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클러치(137)에 의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때,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도 6b 및 9b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클러치(137)에 의해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때,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세탁축(132a)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로 전달한다. 이 경우, 펄세이터(122) 및 블레이드(123)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가 증가되고, 보다 복합적인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 연결축(249c)은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하부가 캐리어(244)에 고정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는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되고,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링기어(245) 및 링기어 하우징(245a)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탈수축(132b)의 상부는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되고, 탈수축(132b)은 링기어(245) 및 링기어 하우징(245a)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242)를 포함한다. 선기어(242)는 블레이드 연결축(249c)과 일체로 회전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선기어(242)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243)를 포함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중심부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이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캐리어(244)를 포함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복수의 유성기어(243)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링기어(245)를 포함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링기어(245)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링기어 하우징(245a)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기어(242)의 하측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선기어(242)의 상측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홈을 형성할 수 있다.
선기어(242)에 세탁축(132a)의 상부가 고정된다. 세탁축(132a)의 동력전달을 위해, 세탁축(132a)의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레이션 등과 같은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선기어(242)의 상기 하측홈의 내주면에도 세레이션 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세탁축(132a)의 상단은 선기어(242)의 중심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선기어(24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 선기어(242)와 세탁축(132a)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기어(242)에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하부가 고정된다. 선기어(242)의 동력전달을 위해,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레이션 등과 같은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선기어(242)의 상기 상측홈의 내주면에도 세레이션 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하단은 선기어(242)의 중심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선기어(242)는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중앙에 배치된다. 선기어(242)는 캐리어(244) 내부에 배치된다. 선기어(242)는 캐리어(244)의 연결축 상판부(244b) 및 연결축 하판부(244c) 사이에 배치된다. 선기어(242)는 링기어 하우징(245a) 내부에 배치된다. 선기어(242)는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 및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유성기어(243)는 선기어(242)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회전한다. 각 유성기어(243)는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이를 가진다. 복수의 유성기어(24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유성기어(243)는 유성기어 회전축(244a)을 통해 캐리어(244)와 연결될 수 있다. 유성기어 회전축(244a)은 유성기어(243)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한다. 유성기어(243)는 선기어(242)와 링기어(245) 사이에 기어이끼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유성기어(243)는 자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유성기어(243)는 선기어(242)의 주위로 공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리어(244)가 회전할 때, 복수의 유성기어(243)는 캐리어(244)와 함께 선기어(242) 주위를 공전한다.
유성기어(243)는 캐리어(244)의 내부에 배치된다. 유성기어(243)는 연결축 상판부(244b)와 연결축 하판부(244c) 사이에 배치된다. 유성기어(243)는 링기어 하우징(245a)의 내부에 배치된다. 유성기어(243)는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 및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의 사이에 배치된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243)를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을 포함한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중심부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이 서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캐리어(244)는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한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상단에 고정되는 연결축 상판부(244b)를 포함한다. 연결축 상판부(244b)에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상단이 고정된다. 연결축 상판부(244b)의 하측에 선기어(242) 및 복수의 유성기어(243)가 배치된다. 연결축 상판부(244b)는 전체적으로 수평면상에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 상판부(244b)는 중앙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축 상판부(244b)의 상기 홀을 블레이드 연결축(249b)이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연결축(249c)은 캐리어(244)의 상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하부가 캐리어(244)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하부가 연결축 상판부(244b)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기 홀은 연결축 상판부(244b)의 상기 홀과 연결된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하단에 고정되는 연결축 하판부(244c)를 포함한다. 연결축 하판부(244c)에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하단이 고정된다. 연결축 하판부(244c)의 상측에 선기어(242) 및 복수의 유성기어(243)가 배치된다. 연결축 하판부(244c)는 전체적으로 수평면상에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 하판부(244c)는 중앙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축 하판부(244c)의 상기 홀을 세탁축(132a)이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243)가 서로 이격된 틈에 배치되는 보강부(244f)를 포함한다. 보강부(244f)는, 연결축 상판부(244b)와 연결축 하판부(244c)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링기어(245)는 복수의 유성기어(243)를 동시에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된다. 링기어(245)는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외주면의 기어이와 맞물리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링기어(245)는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외주면의 기어이에 동시에 맞물리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링기어 하우징(245a)에 링기어(245)가 고정된다. 링기어(245)는 링기어 하우징(245a)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에 탈수축(132b)의 상부가 고정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에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고정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의 내부에 캐리어(244)가 수용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은, 외주면을 형성하는 링기어 측방 하우징(245a1)을 포함한다. 링기어 측방 하우징(245a1)의 원심 반대 방향 측면에 링기어(245)가 배치된다. 링기어(245)가 링기어 측방 하우징(245a1)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을 포함한다. 링기어 측방 하우징(345a1)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345a2)에 고정된다.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는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a)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돌출부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돌출부는 파이프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홀에 이너터브 연결축(249c)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홀을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펄세이터 연결축(249a)이 관통하며 배치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은, 하측면을 형성하는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을 포함한다. 탈수축(132b)의 상부는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에 고정된다. 탈수축(132b)과 링기어 하측 하우징(245a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세탁축(132a)은 링기어 하우징의 하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도 6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 연결축(249c)은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하부가 링기어 하우징(245a')에 고정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링기어(245') 및 링기어 하우징(245a')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는 캐리어(244')에 고정되고,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탈수축(132b)의 상부는 캐리어(244’)에 고정되고, 탈수축(132b)은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242)를 포함한다. 선기어(242)는 블레이드 연결축(249c)과 일체로 회전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선기어(242)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243)를 포함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복수의 유성기어(243)의 중심부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이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캐리어(244')를 포함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복수의 유성기어(243)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링기어(245')를 포함한다. 기어모듈(242, 243, 244', 245')은, 링기어(245)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링기어 하우징(245a')을 포함한다. 캐리어(244')는 내부에 링기어 하우징(245a')을 수용하는 캐리어 하우징(244e')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b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도 6a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요소인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유성기어(243)는 자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너터브(120)를 기준으로 할 때, 유성기어(243)는 선기어(242)의 주위를 공전하지 않고 자전만 하도록 구비된다. 이너터브(120)를 기준으로 할 때, 캐리어(244')는 정지하여 링기어(245')가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상단에 고정되는 연결축 상판부(244b')를 포함한다. 연결축 상판부(244b')는 링기어 하우징(245a')의 내부에 배치된다.
캐리어(244')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244a')의 하단에 고정되는 연결축 하판부(244c')를 포함한다. 캐리어(244’)에 탈수축(132b)의 상부가 고정된다. 연결축 하판부(244c')에 탈수축(132b)의 상부가 고정된다.
캐리어(244')는 내부에 링기어 하우징(245a')을 수용하는 캐리어 하우징(244e')을 포함한다. 캐리어 하우징(244e')은 연결축 하판부(244c')에 고정된다. 캐리어 하우징(244e’)은, 연결축 하판부(244c')의 원심 방향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측방 하우징(244e1')을 포함한다. 캐리어 하우징(244e’)은 캐리어 측방 하우징(244e1')의 상단부에서 원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상측 하우징(244e2')을 포함한다. 연결축 하판부(244c')는 캐리어 측방 하우징(244e1')에 고정된다. 캐리어 측방 하우징(244e1')은 캐리어 상측 하우징(244e2')에 고정된다. 캐리어(244’)에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고정된다. 캐리어 하우징(244e')에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고정된다. 캐리어 상측 하우징(244e2')에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하부가 고정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에 링기어(245')가 고정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은, 외주면을 형성하는 링기어 측방 하우징(245a1')을 포함한다. 링기어 측방 하우징(245a1')의 원심 반대 방향 측면에 링기어(245')가 배치된다.
링기어 하우징(245a')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을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하부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하우징(245a')의 상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블레이드 연결축(249b)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돌출부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돌출부는 파이프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홀에 펄세이터 연결축(249b)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홀을 블레이드 연결축(249b')이 관통하며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249b)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b)의 상기 홀은 링기어 상측 하우징(245a2')의 상기 홀과 연결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물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탁수는 세탁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세탁수 공급호스를 통해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세제는 세제공급부로부터 세탁수와 함께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이너터브(120)와 아우터 터브(110) 사이로 흘러들어와 아우터 터브(110) 내의 하부에 저장된다.
아우터 터브(110)의 하부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허브(124)의 세탁수유입공(124a)을 통해 베이스(121) 내부로 유입된다. 베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되어, 세탁수 토출부(127)와 순환덕트(126)를 거쳐 필터하우징(128a)의 분출구(128a1)를 통해 이너터브(120) 내부로 분출된다.
이에 의해, 이너터브(120)의 상부로 분출된 세탁수는 넓게 퍼지면서 세탁물을 적셔주기가 용이하다. 또한, 이너터브의 세탁수 중에 잠기지 않고 떠 있는 세탁물에도 세탁수가 골고루 뿌려짐으로 세탁물의 세제 침투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세탁 성능이 향상된다.
세탁물을 적셔준 세탁수는, 펄세이터(122)의 관통공(122a1)을 통해 이너터브(120)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베이스(121)의 제 1단차부(121b)와 펄세이터(122)의 외주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아래로 스며들어가 이너터브(120)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너터브(120)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한 세탁수는, 다시 블레이드(123)에 의해 펌핑된다.
도 9a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클러치(137)에 의해서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30)의 회전력 전달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이너터브(120)에 대한 이너터브 연결축(249c), 링기어 하우징(245a), 링기어(245) 및 탈수축(132b)의 상대적 회전 운동이 없게된다. 또한, 이 경우, 이너터브(120)에 대한 펄세이터(122), 블레이드(123), 펄세이터 연결축(249a), 블레이드 연결축(249b), 캐리어(244), 유성기어(243), 선기어(242) 및 세탁축(132a)이 상대적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모터(130)에서 생성하는 회전력은 세탁축(132a)에서 선기어(242)로 전달된다. 선기어(242)의 회전력은 블레이드 연결축(249b)으로 전달되고,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선기어(242) 및 링기어(245)의 기어비에 의해, 선기어(242)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캐리어(244)가 회전한다. 캐리어(244)의 회전력은 펄세이터 연결축(249a)으로 전달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회전력은 펄세이터(122)로 전달된다.
선기어(242)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243)는 제 2방향으로 자전하고 캐리어(244)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한다. 선기어(242)가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243)는 제 1회전 속도(w1)보다 높은 제 2회전 속도(w2)로 자전할 수 있다. 선기어(242)가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할 때, 캐리어(244)는 제 1회전 속도(w1)보다 낮은 제 3회전 속도(w3)로 회전한다.
선기어(242)에 결합된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에 결합된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캐리어(244)에 결합된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펄세이터 연결축(249a)에 결합된 펄세이터(122)는, 캐리어(244)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는 캐리어(244)와 동일한 회전 속도(w3)로 회전한다.
도 9b를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클러치(137)에 의해서 세탁축(132a)이 탈수축(1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30)의 회전력 전달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이너터브(120)에 대한 이너터브 연결축(249c), 캐리어(244'), 유성기어(243') 및 탈수축(132b)의 상대적 회전 운동이 없게된다. 또한, 이 경우, 이너터브(120)에 대한 펄세이터(122), 블레이드(123), 펄세이터 연결축(249a), 블레이드 연결축(249b), 링기어 하우징(245a'), 링기어(245'), 선기어(242) 및 세탁축(132a)이 상대적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모터(130)에서 생성하는 회전력은 세탁축(132a)에서 선기어(242)로 전달된다. 선기어(242)의 회전력은 블레이드 연결축(249b)으로 전달되고,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선기어(242) 및 링기어(245')의 기어비에 의해, 선기어(242)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링기어(245')가 회전한다. 링기어(245')의 회전력은 펄세이터 연결축(249a)으로 전달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회전력은 펄세이터(122)로 전달된다.
선기어(242)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243')는 제 2방향으로 자전하고 링기어(245')는 제 2방향으로 회전한다. 선기어(242)가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243)는 제 1회전 속도(w1)보다 높은 제 2회전 속도(w2)로 자전할 수 있다. 선기어(242)가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할 때, 캐리어(244)는 제 1회전 속도(w1)보다 낮은 제 3회전 속도(w3)로 회전한다.
선기어(242)에 결합된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에 결합된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링기어 하우징(245a')에 결합된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펄세이터 연결축(249a)에 결합된 펄세이터(122)는, 링기어(245')와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는 링기어(245')와 동일한 회전 속도(w3)로 회전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클러치(137)에 의해서 탈수축(132b)이 세탁축(132a)과 일체로 회전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30)의 회전력 전달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이너터브(120)에 대한 펄세이터(122), 블레이드(123), 펄세이터 연결축(249a), 블레이드 연결축(249b), 이너터브 연결축(249c), 링기어 하우징(245a, 245a'), 링기어(245, 245'), 캐리어(244, 244'), 유성기어(243), 선기어(242), 세탁축(132a), 및 탈수축(132b)의 상대적 회전 운동이 없게 된다.
구동모터(130)에서 생성하는 회전력은 세탁축(132a)에서 탈수축(132b)으로 전달된다. 세탁축(132a)의 회전력은 선기어(242)로 전달된다. 선기어(242)의 회전력은 블레이드 연결축(249b)으로 전달되고, 블레이드 연결축(249b)의 회전력은 블레이드(123)로 전달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탈수축(132b)의 회전력은 링기어 하우징(245a)으로 전달된다. 선기어(242)와 링기어(245)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하므로, 유성기어(243)는 자전하지 않고 캐리어(244)는 선기어(242)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캐리어(244)의 회전력은 펄세이터 연결축(249a)으로 전달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회전력은 펄세이터(122)로 전달된다. 링기어(245) 및 링기어 하우징(245a)의 회전력은 이너터브 연결축(249c)으로 전달되고,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회전력은 이너터브(120)에 전달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탈수축(132b)의 회전력은 캐리어(244')로 전달된다. 선기어(242)와 캐리어(244')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하므로, 유성기어(243')는 자전하지 않고 링기어(245')는 선기어(242)와 동일한 회전속도(w1)로 회전한다. 링기어(245')는 선기어(242)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캐리어(244')의 회전력은 이너터브 연결축(249c)으로 전달되고, 이너터브 연결축(249c)의 회전력은 이너터브(120)에 전달된다. 링기어(245') 및 링기어 하우징(245a')의 회전력은 펄세이터 연결축(249a)으로 전달되고, 펄세이터 연결축(249a)의 회전력은 펄세이터(122)로 전달된다.
상기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선기어(242)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243, 243')는 자전하지 않고 캐리어(244, 244')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한다. 선기어(242)가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할 때, 캐리어(244, 244')는 선기어(242)와 같은 회전 속도인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선기어(242)가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할 때, 링기어(245, 245')는 선기어(242)와 같은 회전 속도인 제 1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선기어(242)에 결합된 블레이드 연결축(249b) 및 블레이드 연결축(249b)에 결합된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일체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23)는 선기어(242)와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캐리어(244, 244') 및 링기어 하우징(245a, 245a')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결합된 펄세이터 연결축(249a) 및 이너터브 연결축(249c)은, 캐리어(244, 244') 및 링기어 하우징(245a, 245a')과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펄세이터(122) 및 이너터브(120)는 캐리어(244, 244') 및 링기어 하우징(245a, 245a')과 동일한 회전 속도(w1)로 회전한다.
100 : 캐비닛
101 : 도어
110 : 아우터 터브 111 : 서스펜션 바
120 : 이너터브 120a : 측벽부
121 : 베이스 121a : 라운드부
121a1 : 돌기부 121a2 : 덕트연통구
121b : 제 1단차부 121c : 제 2단차부
121c1 : 연통홀 121d : 연결면
122 : 펄세이터 122a : 회전판
122a1 : 관통공 122b : 중심돌기부
122c : 돌출부 122b1 : 요입홈
122b2 : 축지지홈 123 : 블레이드
123a : 회전판 123b : 펌핑날개부
123c : 축결합부 124 : 허브
124a : 세탁수유입공 124b : 중앙결합부
125 : 발란서 126 : 순환덕트
126a : 순환유로 127 : 세탁수 토출부
127a : 토출바디 128 : 필터부
128a : 필터하우징 128a1 : 분출구
130 : 구동모터 131 : 모터케이싱
132a : 세탁축 132b : 탈수축
133 : 고정브라켓 134 : 연결브라켓
137 : 클러치
240 : 동력전달부 240a : 기어모듈 배치 공간
241a, 241b : 실러
242 : 선기어
243 : 유성기어
244, 244' : 캐리어
244a, 244a' : 유성기어 회전축
244b, 244b' : 연결축 상판부 244c, 244c' : 연결축 하판부
244e' : 캐리어 하우징
244e1' : 캐리어 측방 하우징 244e2' : 캐리어 상측 하우징
244f : 보강부
245, 245' : 링기어
245a, 245a' : 링기어 하우징
245a1, 245a1' : 링기어 측방 하우징
245a2, 245a2' : 링기어 상측 하우징
245a3 : 링기어 하측 하우징
247a : 제 1베어링 247b : 제 2베어링
247c : 제 3베어링 247d : 제 4베어링
247e : 제 5베어링
248 :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
248a : 원심 연장부
248a1 : 제 1원심 연장부 248a2 : 제 2원심 연장부
248b : 상방 연장부 248c : 펄세이터 결합부
248d : 중심축 결합부 248e : 수류 관통홀
248f : 보강부
249 : 동심축 어셈블리
249a : 펄세이터 연결축 249b : 블레이드 연결축
249c : 이너터브 연결축
110 : 아우터 터브 111 : 서스펜션 바
120 : 이너터브 120a : 측벽부
121 : 베이스 121a : 라운드부
121a1 : 돌기부 121a2 : 덕트연통구
121b : 제 1단차부 121c : 제 2단차부
121c1 : 연통홀 121d : 연결면
122 : 펄세이터 122a : 회전판
122a1 : 관통공 122b : 중심돌기부
122c : 돌출부 122b1 : 요입홈
122b2 : 축지지홈 123 : 블레이드
123a : 회전판 123b : 펌핑날개부
123c : 축결합부 124 : 허브
124a : 세탁수유입공 124b : 중앙결합부
125 : 발란서 126 : 순환덕트
126a : 순환유로 127 : 세탁수 토출부
127a : 토출바디 128 : 필터부
128a : 필터하우징 128a1 : 분출구
130 : 구동모터 131 : 모터케이싱
132a : 세탁축 132b : 탈수축
133 : 고정브라켓 134 : 연결브라켓
137 : 클러치
240 : 동력전달부 240a : 기어모듈 배치 공간
241a, 241b : 실러
242 : 선기어
243 : 유성기어
244, 244' : 캐리어
244a, 244a' : 유성기어 회전축
244b, 244b' : 연결축 상판부 244c, 244c' : 연결축 하판부
244e' : 캐리어 하우징
244e1' : 캐리어 측방 하우징 244e2' : 캐리어 상측 하우징
244f : 보강부
245, 245' : 링기어
245a, 245a' : 링기어 하우징
245a1, 245a1' : 링기어 측방 하우징
245a2, 245a2' : 링기어 상측 하우징
245a3 : 링기어 하측 하우징
247a : 제 1베어링 247b : 제 2베어링
247c : 제 3베어링 247d : 제 4베어링
247e : 제 5베어링
248 :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
248a : 원심 연장부
248a1 : 제 1원심 연장부 248a2 : 제 2원심 연장부
248b : 상방 연장부 248c : 펄세이터 결합부
248d : 중심축 결합부 248e : 수류 관통홀
248f : 보강부
249 : 동심축 어셈블리
249a : 펄세이터 연결축 249b : 블레이드 연결축
249c : 이너터브 연결축
Claims (16)
-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
상기 이너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축;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궤도를 회피하여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상부 및 상기 펄세이터를 연결하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은 상기 아우터 터브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연결축은 상기 아우터 터브의 하면 및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중심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터브 외부에 배치되고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아우터 터브 외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축의 회전력을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 및 상기 블레이드 연결축에 각각 전달하는 기어모듈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세탁축 및 상기 블레이드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의 중심부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회전축이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캐리어; 및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게 결합되는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은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기어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터브에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터브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이너터브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기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터브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세탁물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축이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기어 중 상기 다른 하나와 일체로 회전하는 탈수축; 및
상기 탈수축 및 상기 세탁축의 일체 회전 여부를 전환해주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링기어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링기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연결축은 상기 링기어 하우징의 상측면 및 상기 캐리어의 상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터브에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터브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이너터브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링기어가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터브 연결축의 하부가 고정되는 링기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하부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터브에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터브의 하면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이너터브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모듈은, 상기 링기어가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하부가 고정되는 링기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터브 연결축의 하부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회전력을 상기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펄세이터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의 회전축에서 원심 방향으로 연장된 원심 연장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의 가장자리보다 원심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심 연장부와 상기 펄세이터를 연결시키는 상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연장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원심 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의 세탁수가 상기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류 관통홀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이너터브;
상기 이너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 연결축;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이너터브의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의 상부 및 상기 펄세이터를 연결하는 펄세이터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2209A KR20180077638A (ko) | 2016-12-29 | 2016-12-29 | 세탁물 처리장치 |
US16/474,682 US11242631B2 (en) | 2016-12-29 | 2017-12-29 |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
CN201780087703.4A CN110366619B (zh) | 2016-12-29 | 2017-12-29 | 衣物处理装置 |
AU2017389358A AU2017389358B2 (en) | 2016-12-29 | 2017-12-29 | Laundry processing device |
EP17886496.3A EP3564426B1 (en) | 2016-12-29 | 2017-12-29 | Laundry processing device |
PCT/KR2017/015731 WO2018124813A1 (ko) | 2016-12-29 | 2017-12-29 | 세탁물 처리장치 |
US17/568,369 US12110626B2 (en) | 2016-12-29 | 2022-01-04 | Laundry wash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2209A KR20180077638A (ko) | 2016-12-29 | 2016-12-29 | 세탁물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7638A true KR20180077638A (ko) | 2018-07-09 |
Family
ID=6291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2209A KR20180077638A (ko) | 2016-12-29 | 2016-12-29 | 세탁물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7763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01654A (zh) * | 2019-07-26 | 2021-02-02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 |
-
2016
- 2016-12-29 KR KR1020160182209A patent/KR201800776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01654A (zh) * | 2019-07-26 | 2021-02-02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 |
CN112301654B (zh) * | 2019-07-26 | 2024-05-24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10626B2 (en) | Laundry washing apparatus | |
KR100436144B1 (ko) | 드럼세탁기 | |
US9441321B2 (en) |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US10954622B2 (en) | Washing machine | |
AU2014305336B2 (en) | Washing machine | |
KR100432221B1 (ko) | 드럼세탁기 | |
US5771719A (en) | Washing machine having a centrifugal pump | |
CN100545340C (zh) | 洗衣机的运行方法 | |
CN107700158B (zh) | 衣物处理装置 | |
JP2003117286A (ja) | ドラム洗濯機 | |
KR20180077638A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102584428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2591537B1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20180077637A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100364469B1 (ko) | 전자동세탁기의세탁효율향상장치 | |
KR20170105331A (ko) | 세탁기 | |
US20230272573A1 (en) | Washing machine | |
JP2021145964A (ja) | 洗濯機 | |
KR20220099876A (ko) | 세탁기 | |
KR20140019542A (ko) | 드럼세탁기 | |
JPH11333183A (ja) | 洗濯機 | |
JP2006000548A (ja) | 洗濯機 | |
JP2000116976A (ja) | 洗濯機 | |
KR19980085153A (ko) | 세탁기의 교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