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876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876A
KR20220099876A KR1020210035227A KR20210035227A KR20220099876A KR 20220099876 A KR20220099876 A KR 20220099876A KR 1020210035227 A KR1020210035227 A KR 1020210035227A KR 20210035227 A KR20210035227 A KR 20210035227A KR 20220099876 A KR20220099876 A KR 2022009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tergent
detergent container
wash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202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49796A1/ko
Publication of KR2022009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876A/ko
Priority to US18/144,374 priority patent/US202302725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C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드럼을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드럼을 대략 수평으로 배치해서 드럼이 대략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을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드럼이 대략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펄세이터 세탁기가 있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 또는 펄세이터 세탁기의 상부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제를 용해시키고, 이와 혼합된 세탁수를 터브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는 가는 입자 형태로 된 분말 상태의 세제 및/또는 액체 상태로 된 세제를 세탁수와 혼합하여 터브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제공급장치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성이 개선된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제 용해 성능이 향상된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교반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반장치와 함께 세탁수를 상기 세제 용기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관은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제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사이펀 관을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제공되는 세탁수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급수하도록 배치되는 노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장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세탁수 유입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세탁수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노즐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후측벽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세제공급장치로부터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며 후방 일 측에 위치하는 케이스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케이스 배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케이스 배출구 및 상기 케이스 배출구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제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세제를 수용하거나 상기 세제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세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세제 수용 공간 및 상기 세제 수용 공간과 분리되는 유연제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세제 수용 공간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급수하도록 배치되는 노즐 장치,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용기, 및 상기 세제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케이스 배출구 및 상기 케이스 배출구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교반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반장치와 함께 세탁수를 상기 세제 용기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장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세탁수 유입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세탁수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노즐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급수 노즐이 케이스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급수하도록 마련되므로, 세제공급장치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제 용기가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에 교반부재가 마련되므로, 세제 용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로부터 세제 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로부터 세제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세제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1)을 포함한다.
또한, 캐비닛(1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30)와, 세제를 수용하며 급수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제와 혼합하여 터브(20)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세제공급장치(10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12)가 형성되고, 이 개구(12)에는 개폐 가능한 상부 커버(13)가 설치된다. 캐비닛(10)의 상측 전방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 버튼과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된 조작패널(14)이 설치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세탁수의 수용을 위한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드럼(11)이 설치되며, 드럼(11)의 내측 하부에는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6)가 설치된다.
캐비닛(10) 내부의 터브(20) 하부에는 드럼(11)과 펄세이터(1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와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장치(15)가 마련된다.
세탁기(1)는 터브(20) 내에 세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채워지고, 드럼(11)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된 후에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펄세이터(16)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 회전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세탁 동작 후에는 반복적으로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상술한 세탁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통해 세탁물의 헹굼을 수행하고, 헹굼 동작 후에는 배수장치(15)를 통해 배수를 수행한다. 또한 배수 동작 후에는 드럼(11)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탈수를 수행한다.
급수장치(30)는 캐비닛(10)의 상측 후방에 설치된다. 급수장치(30)는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급수관(31, 32)과 제1 급수관(31, 32)에 연결되어 제1급수관(3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급수 밸브(미도시)와, 급수 밸브(미도시)와 세제공급장치(10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급수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관(31, 32)은 외부의 온수 공급원과 연결된 온수 공급관(31)과, 외부의 냉수 공급원과 연결된 냉수 공급관(32)을 포함한다. 급수 밸브(미도시)는 온수 공급관(31)과 연결되는 온수용 급수 밸브와, 냉수 공급관(32)과 연결되는 냉수용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의 유로전환동작에 의해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케이스(11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로부터 세제 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에 결합되는 하우징(10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측에 케이스 수용 공간(102)이 마련되어 케이스(110)를 수용할 수 있다.
급수 호스(103)는 하우징(101)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급수 호스(103)는 급수관(50)과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1)의 후방에는 급수 호스(103)외에 케이스(110)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호스(10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2개의 급수 호스(103)와 1개의 배출 호스(104)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급수 호스(103)와 배출 호스(10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케이스(1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덮개(108)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덮개(108)는 하우징(101)의 내측에 고정되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덮개(108)는 하우징(101)의 상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10)가 인출될 때, 케이스(110)와 함께 인출되지 않는다.
세제공급장치(100)는 하우징(101)에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0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01)에 인입되거나 하우징(10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소비자는 필요한 경우, 케이스(110)를 인출하여 케이스(110)에 세제를 채울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케이스(1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파지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 공간(112)과,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 공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후면에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112a)이 마련될 수 있다. 급수홀(112a)은 노즐 장치(13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홀(112a)은 노즐 장치(130)를 통해 급수 호스(103)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케이스 배출구(114)가 마련될 수 이다. 케이스 배출구(114)는 케이스(110)의 바닥면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바닥면은 케이스 배출구(114)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 세제 수용공간(112)에 존재하는 세제는 케이스 배출구(114)를 통해 연결관(5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관(54)으로 배출되는 세제는 터브(20)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세제 수용 공간(112)에는 세제가 채워질 수도 있으며, 세제 용기(120)가 안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 수용 공간(112)에 세제 용기(12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세제 용기(120)는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세제 용기(120)는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기 수용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용기(120)는 케이스(110)의 세제 수용 공간(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제 용기(120)는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3)는 세제 용기(120)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일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3)는 세제 용기(120)가 케이스(110)에 장착된 때, 케이스(110)의 세제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내측벽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세제 용기(120)는 케이스(110)에 장착된 때, 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제 용기(120)는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4)는 제1 가이드 돌기(124a) 및 제1 가이드 돌기(124a)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돌기(124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4)는 세제 용기(120)가 케이스(110)에 결합된 때, 케이스(110)의 세제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4)는 세제 용기(120)가 케이스(110)에 정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돌기(124a) 및 제2 가이드 돌기(124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4)에 의해 세제 용기(120)는 케이스(110)의 케이스 바닥면(110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이펀 관(122)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세제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 수용 공간(112)에 존재하는 세제 및/또는 세탁수는 세제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의 케이스 바닥면(110a)의 후방에 형성되는 케이스 배출구(114)를 통해 세제공급장치(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 바닥면(110a)은 케이스 배출구(114)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케이스(110)의 세제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대응되도록, 세제 용기(120)의 바닥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돌기(124a)는 세제 용기(120)의 바닥면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돌기(124b)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세제 용기(120)는 케이스(110)에 정 위치에 장착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급수장치(100)는 세제의 종류 및/또는 세제의 투입 시기에 따라 세제 용기(120)를 용이하게 케이스(1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 용기(120)가 케이스(110)의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는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제 용기(120)에는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교반장치(126)가 마련될 수 있다. 교반장치(126)는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교반장치(126)는 세제 용기(120)의 용기 수용공간(121)에 결합될 수 있다. 교반장치(126)는 세제 용기(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용기 수용공간(121)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사이펀 관(122)이 마련될 수 있다. 교반장치(126)는 사이펀 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펀 관(122)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교반장치(126)는 사이펀 관(122)에 결합되는 결합부(126a)와, 결합부(126a)로부터 연장되어 용기 수용공간(121)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펀 관(122)은 세제 용기(120)의 용기 수용공간(121)을 형성하는 4개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수용공간(121) 내의 액체는 용기 수용공간(121)의 측벽의 높이를 넘어 오버플로우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이펀 관(122)을 통하여 먼저 배출될 수 있다. 사이펀 관(122)은 교반장치(126)와 함께 세탁수를 세제 용기(120)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유로(127)를 형성할 수 있다.
세제 용기(120)는 사이펀 관(122)을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부분을 갖는 바닥면(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후면에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급수하도록 마련되는 노즐 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 장치(130)는 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급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 장치(130)는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131)과, 노즐(131)이 장착되는 노즐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로부터 세제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세제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노즐(131)은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급수 호스(103)와 연통되는 세탁수 유입홀(131a)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31)은 급수 호스(103)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 브라켓(132)은 급수홀(112a)에 연결되도록 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 브라켓(132)은 노즐(131)이 결합되는 노즐 결합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브라켓(132)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홀(132b)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홀(132b)은 대략 수직 방향을 따라 노즐(13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공기 유입홀(132b)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 유입홀(132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세탁수 유입홀(131a)을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와 만나 혼합될 수 있다. 세탁수 유입홀(131a)과 공기 유입홀(132b)을 통해 혼합된 세탁수와 공기는 노즐 배출구(132c)를 통해 급수홀(112a)을 지나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 유입홀(131a)은 공기 유입홀(132b)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장치(130)는 공기 유입홀(132b)에 인접한 부분에서 세탁수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공기 유입홀(132b)을 통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 장치(130)는 케이스(110)의 후측벽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노즐 장치(130)는 교반 장치(1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즐 장치(130)는 급수되는 세탁수가 케이스(110)의 내측벽을 순환한 후에 케이스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 배출구(114)가 위치하는 케이스(110)의 후방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 장치(130)를 통하여 세탁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케이스(110)의 내부로 제공되기 때문에,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 용해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110)가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 호스(103)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세탁수는 노즐 장치(130)를 지나 세제 수용 공간(1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세탁수는 세제 수용 공간(112) 내에서 회전 와류를 형성하며 세제 수용 공간(112) 내부의 세제를 용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 수용 공간(112)의 후면에 결합된 노즐 장치(130)에 의하여 세탁수는 직접적으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세탁수는 세제 수용 공간(112)의 측면을 따라 회전 순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세제공급장치(100)는 케이스(110)에 세제 용기(12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세제 용기(120)가 장착된 케이스(110)가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 호스(103)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세탁수는 노즐 장치(130)를 지나 용기 수용공간(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세탁수는 용기 수용공간(121) 내에서 회전 와류를 형성하며 용기 수용공간(121) 내부의 세제를 용해한다. 특히, 노즐 장치(130)에 의해 세탁수는 공기와 혼합되어 제공되므로, 세제의 용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수용공간(121)의 후면에 결합된 노즐 장치(130)에 의하여 세탁수는 직접적으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세탁수는 용기 수용공간(121)의 측면을 따라 회전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반장치(126)의 날개(126b)가 회전하기 때문에 고체 세제의 용해가 가능하다.
세탁수가 용기 수용공간(121)의 내측으로 급수됨에 따라, 노즐 장치(130)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수압과 회전 와류로 인하여 교반장치(126)의 날개(126b)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수용공간(121) 내에 수류가 형성되어 세제를 더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특히, 용기 수용공간(121)에 고체 상태의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용기 수용공간(121) 내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 잔류해 있는 고체 세제 덩어리를 분쇄하여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세탁기(1)가 작동된 후 일정 시간 이후에 세제를 터브(20)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세제 용기(120)를 케이스(1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제 용기(120)에 수용된 세제는 세제공급장치(100)로 세탁수가 공급됨에 따라, 교반장치(126)에 의해 용해될 수 있다.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는 사이펀 관(122)을 통해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가 노즐 장치(130)를 통하여 유입되어 세제가 용해되면, 교반장치(126)가 결합된 사이펀 관(122) 내측의 유로를 통해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다. 교반장치(126)와 사이펀 관(122)은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세탁수가 교반장치(126)와 사이펀 관(12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액체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세탁수에 용해하여 터브(2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를 설명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는 캐비닛(10)에 결합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에 인입되거나 하우징(101)에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세제 용기(220)와, 케이스(2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덮개(10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노즐 장치(130)와 연결되는 급수홀(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터브(2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배출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세제 수용 공간(212)과, 유연제 수용 공간(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와 비교하였을 때,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제 수용 공간(212)과 유연제 수용 공간(213)의 위치가 반대로 배치되며,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제 수용 공간(212)에는 세제 용기(2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세제 용기(220)는 용기 수용공간(221)과 사이펀 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용기(220)는 케이스(210)에 장착된 때, 측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2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제 수용 공간(213)에는 유연제 가이드(213a)가 장착될 수 있다. 유연제 가이드(213a)는 유연제 수용 공간(213)에 채워지는 유연제를 터브(20)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탁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동 세탁기(1)뿐만 아니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드럼 세탁기(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2)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60)과, 캐비닛(6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70)와, 터브(7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74)과, 드럼(7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80)를 구비한다.
캐비닛(60)의 전면부에는 드럼(74)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61)가 형성된다. 투입구(61)는 캐비닛(6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6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70)의 상부에는 터브(7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90)이 설치된다. 급수관(90)의 일측은 급수밸브(92)와 연결되고, 급수관(90)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00)와 연결된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연결관(91)을 통해 터브(70)와 연결된다. 급수관(9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7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70)는 댐퍼(89)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89)는 캐비닛(60)의 내측 저면과 터브(70)의 외면을 연결한다.
드럼(74)는 원통부(75)와, 원통부(75)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76)과, 원통부(75)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76)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후면판(77)에는 구동모터(8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82)가 연결된다.
드럼(74)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78)이 형성되고, 드럼(74)의 내주면에는 드럼(74)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79)가 설치된다.
드럼(74)과 구동모터(80)는 샤트프(82)를 통해 연결되는데 샤프트(82)와 구동모터(80)의 연결 형태에 따라, 샤프트(82)가 구동모터(80)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74)을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타입과 구동모터(80)와 샤프트(82) 사이에 풀리(83)를 연결하여 드럼(74)을 구동시키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세탁기(2)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구동 타입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 가능하다.
샤프트(82)의 일단은 드럼(74)의 후면판(77)에 연결되고, 샤프트(82)의 타단은 터브(70)의 후측부(7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82)의 타단은 구동모터(80)로부터 구동력을 얻기 위해 풀리(8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80)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8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풀리(81)와 샤프트 풀리(83) 사이에는 구동벨트(84)가 마련되어 구동벨트(84)에 의해 샤프트(82)가 구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80)는 터브(70)의 하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벨트(84)가 터브(70)의 상하 방향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82)를 구동시킬 수 있다.
터브(70)의 후측부(71)에는 샤프트(8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5)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5)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7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70)의 후측부(71)에 인서트될 수 있다
터브(70)의 하부에는 터브(70) 내부의 물을 캐비닛(6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94)와, 터브(7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9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70)와 배수펌프(9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93)와, 배수펌프(9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6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95)가 마련된다.
한편, 캐비닛(6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세탁기(2)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4)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64)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60)의 전면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2; 세탁기
100, 200; 세제공급장치
101; 하우징
110, 210; 케이스
112, 212; 세제 수용 공간
114, 214; 케이스 배출구
120, 220; 세제 용기
122, 222; 사이펀 관
123, 223; 가이드 리브
124, 224; 가이드 돌기
126; 교반장치
130; 노즐 장치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용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교반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반장치와 함께 세탁수를 상기 세제 용기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관은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사이펀 관을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부분을 갖는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제공되는 세탁수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급수하도록 배치되는 노즐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세탁수 유입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세탁수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노즐 배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후측벽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세제공급장치로부터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며 후방 일 측에 위치하는 케이스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케이스 배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케이스 배출구 및 상기 케이스 배출구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제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세제를 수용하거나 상기 세제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세제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세제 수용 공간 및 상기 세제 수용 공간과 분리되는 유연제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세제 수용 공간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급수하도록 배치되는 노즐 장치;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용기; 및
    상기 세제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케이스 배출구 및 상기 케이스 배출구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는 상기 교반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반장치와 함께 세탁수를 상기 세제 용기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세탁수 유입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홀; 및
    상기 세탁수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노즐 배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210035227A 2021-01-07 2021-03-18 세탁기 KR20220099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20270 WO2022149796A1 (ko) 2021-01-07 2021-12-30 세탁기
US18/144,374 US20230272573A1 (en) 2021-01-07 2023-05-08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2127 2021-01-07
KR1020210002127 2021-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876A true KR20220099876A (ko) 2022-07-14

Family

ID=824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227A KR20220099876A (ko) 2021-01-07 2021-03-1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8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8380B2 (en) Washing machine
RU2597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20125055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080521B1 (ko) 세탁기
EP1634987A1 (en) Washing machine
KR20050118895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EP2295625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feeding device thereof
KR20070102054A (ko) 드럼세탁기
KR20130016932A (ko) 세탁기
KR20110043906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EP2248937B1 (en) Washing machine
CN107761320B (zh) 洗衣机
US11174580B2 (en) Washing machine
US20230228026A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KR2010006211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터브 커버
KR20220099876A (ko) 세탁기
US20230272573A1 (en) Washing machine
KR20140120549A (ko) 세탁기
CN111279027B (zh) 具有洗涤剂供应装置的洗衣机
KR20180077638A (ko) 세탁물 처리장치
EP4353896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11926953B2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22242567A1 (zh) 洗衣机
KR0128874Y1 (ko) 세탁기 세제용해장치
WO2020093839A1 (zh) 立式洗衣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