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906A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906A
KR20110043906A KR1020090100644A KR20090100644A KR20110043906A KR 20110043906 A KR20110043906 A KR 20110043906A KR 1020090100644 A KR1020090100644 A KR 1020090100644A KR 20090100644 A KR20090100644 A KR 20090100644A KR 20110043906 A KR20110043906 A KR 2011004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shaft
disposed
washing machin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171B1 (ko
Inventor
서동필
박재룡
표상연
김현숙
조황묵
이지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71B1/ko
Priority to US12/923,075 priority patent/US9464374B2/en
Priority to EP10176726.7A priority patent/EP2314747B1/en
Priority to ES10176726T priority patent/ES2752748T3/es
Priority to CN201010501319.4A priority patent/CN102041651B/zh
Priority to RU2010140034/12A priority patent/RU2471024C2/ru
Publication of KR2011004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8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 gyratory or orbital mo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both rotary, e.g. oscillating rotary, motion and axial mo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합적인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장치를 개시한다. 펄세이터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펄세이터와,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고,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된 샤프트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펄세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PULSATOR DEVICE USABLE WITH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적인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펄세이터 장치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세이터를 채용한 세탁기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세탁기의 세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펄세이터가 강한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지만, 펄세이터가 수류를 강하게 발생시킬수록 세탁물이 손상될 가능성이 커진다.
세탁기의 성능은 기본적으로 세탁력에 의해 결정되지만, 세탁 과정에서 세탁물이 손상되면 세탁력이 우수해도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
한편, 세탁에 소비되는 물의 양 또한 세탁기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있어 주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세탁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 급수와 배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세탁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합적인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는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제2펄세이터의 바깥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하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단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펄세이터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3˚~ 10˚일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의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형성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조;와 구동축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펄세이터는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은 상기 제2펄세이터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 주위의 측벽을 포 함하고,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 시에 상기 샤프트가 상기 구동축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상기 샤프트는 상기 구동축에 대해 편심될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측벽의 상단과 상기 제2펄세이터의 상면은 거의 동일평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조;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반경방향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된 리세스를 가지는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조;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상면을 갖는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 기 제1펄세이터의 경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펄세이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펄세이터의 경사면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제1펄세이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펄세이터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펄세이터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상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상면에는 회전수류를 발생하기 위한 수류형성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는 적어도 한개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펄세이터는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외측상면은 수평방항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펄세이터의 경사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펄세이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펄세이터의 상면에는 세탁수를 순환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류형성날개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류형성날개는 나머지 수류형성날개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적인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장치를 이용하여 적은 양의 물로도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으며, 강한 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시에 세탁물이 펄세이터장치에 끼여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펄세이터의 회전운동과 제2펄세이터의 선회운동 및 상하운동에 의해 회전조내의 세탁물이 상하로 반전되는 역할이 수행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는 터브(20)의 외면 하측과 캐비닛(10)의 내측 상부를 연결하는 현가장치(40)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2)이 설치된다. 급수관(52)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2)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54)와 연결된다. 급수관(5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54)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에 저장된 세탁수를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60)가 설치된다. 배수장치(60)는 터브(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관(62)과, 배수관(62)에 설치되는 배수밸브(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수관(62)에는 터브(20)로부터 세탁수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조(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32)이 형성된다. 회전조(3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34)가 장착될 수 있다. 회전조(30)의 내면에는 회전조(30)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펌핑덕트(36)가 설치된다. 펌핑덕트(36)에는 세탁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37)가 형성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구동장치(70)가 설치된다. 구동장치(70)는 모터(72), 동력전달장치(74), 클러치(76)와 구동축(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축(78)은 펄세이터장치(100)와 결합하여 모터(72)의 동력을 펄세이터장치(100)로 전달한다.
모터(72)의 동력은 동력전달장치(74)를 통해 클러치(76)로 전달된다. 동력전달장치(74)는 풀리(74a)들과, 이 풀리(74a)들을 연결하는 벨트(74b)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76)는 모터(72)의 동력을 단속하여 회전조(30)와 펄세이터장치(100)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거나 회전조(30)가 정지한 상태에서 펄세이터장치(100)가 회전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장치(100)는 제1펄세이터(110), 제2펄세이터(130)와, 샤프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펄세이터(110)는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조(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펄세이터(110)는 회전조(3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펄세이터(110)는 그 중심부에 형성된 축결합부(112)를 가지고, 이 축결합부(112)에는 구동축(78)이 결합된다.
구동축(78)은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축으로 기능한다. 모터(72)의 동력이 클러치(76)를 통해 구동축(78)으로 전달되면, 제1펄세이터(110)는 구동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펄세이터(110)의 상부에는 리세스(recess, 114)가 형성되고, 리세스(114)의 주위에는 측벽(115)이 형성된다. 리세스(114)는 제1펄세이터(110)의 반경방향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150)는 제1펄세이터(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1펄세이터(110)에 연결된다. 샤프트(150)는 커넥터(170)를 통해 제1펄세이터(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150)와 제1펄세이터(110)를 연결하는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150)를 제1펄세이터(110)에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펄세이터(110)의 리세스(114)에는 커넥터(170)와 결합하는 커넥터결합부(116)가 마련된다. 커넥터결합부(116)는 리세스(114)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리브(117)를 가진다. 가이드리브(117)는 커넥터(17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커넥터(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70)의 내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리브(117)의 내측에는 축결합부(112)가 배치되고, 축결합부(112)와 가이드리브(117)는 보강리브(118)들에 의해 연결된다.
커넥터결합부(116)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보스(119)가 마련되고, 각각의 체결보스(119)에는 체결공(119a)이 형성된다. 한편, 축결합부(112)의 상면에는 커넥터(170)와 구동축(78)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70)는 제1펄세이터(110)와 제2펄세이터(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펄세이터(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1펄세이터(110)에 결합된다. 커넥터(170)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제1펄세이터(1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170)는 커넥터결합부(116)의 체결공(119a)들과 축결합부(112)의 관통공(112a)에 대응하는 결합공(172)(174)들을 가진다.
커넥터(170)에 형성된 결합공(174)과 축결합부(112)에 형성된 관통공(112a) 을 통해 커넥터(170), 제1펄세이터(110)와 구동축(78)을 하나의 체결부재로서 체결하면, 체결 지점의 수를 줄이면서도 각 부품(170)(110)(78)들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에서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에서 제2펄세이터와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에서 제1펄세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0)는 구동축(78)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150)는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 시에 구동축(78)의 축선(X) 주위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150)는 구동축(78)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샤프트(150)에 결합되는 제2펄세이터(130)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 시에 제2펄세이터(130)의 임의의 지점이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샤프트(150)는 제1펄세이터(11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150)가 제1펄세이터(110)의 반경방향 내측, 즉 구동축(78)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샤프트(150)에 결합되는 제2펄세이터(130)의 중심(O)과 구동축(78)의 축선(X)까지의 거리, 즉 제2펄세이터(130)의 선회 반경(r, 도 6 참조)를 크게 한다는 측면에서는 샤프트(150)가 제1펄세이터(110)의 반경방향 외측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샤프트(150)는 커넥터(170)에 일체화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와 같이, 커넥터(170)는 구동축(78)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76)을 가진다. 경사면(176)은 구동축(7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θ)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70)는 구동축(78)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하되 샤프트(150)를 수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펄세이터(13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펄세이터(130)와 결합되는 커넥터(170)의 경사면의 각도를 0도로 조절함으로써 제2펄세이터(130)를 수평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샤프트(150)는 커넥터(170)의 경사면(17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샤프트(150)는 경사면(176)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150)는 구동축(78)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구동축(7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편, 샤프트(150)는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펄세이터(130)는 샤프트(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펄세이터(130)와 샤프트(150)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제2펄세이터(130)는 샤프트(150)에 구속되지 않는다.
제2펄세이터(130)의 중앙부에는 샤프트(150)가 삽입되는 축결합공(133)을 가지는 결합보스(132)가 배치된다. 결합보스(132)는 커넥터(170)의 경사면(176)에 지지된다.
제2펄세이터(130)가 샤프트(150)에 대해 원활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결합공(133)의 내면과 샤프트(150) 사이에는 베어링(134)이 배치될 수 있다. 축결합공(133)의 내부에는 베어링하우징(138)이 고정되고, 베어링(134)은 베어링하우징(138)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134)은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134)은 베어링하우징(138)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베어링(135)과 베어링하우징(138)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베어링(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134)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설치하면, 베어링(134)의 조립성 및 조립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베어링(136)은 결합보스(132)의 하면과 커넥터(170)의 경사면(176)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부(137)를 가진다. 플랜지부(137)는 제2펄세이터(130)의 결합보스(132)가 커넥터(170)의 경사면(176)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펄세이터(130)의 결합보스(132)의 상부에는 캡수용부(132a)가 마련되고, 이 캡수용부(132a)에는 캡(14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펄세이터(130)는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제1펄세이터(110)에 형성된 리세스(114)에 배치된다. 도 6에는 제2펄세이터(130)가 수평방향(H)에 대해 각도 θ만큼 경사진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펄세이터(130)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제2펄세이터(130) 상면의 임의의 지점은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 시에 상하방향으로 운동한다. 이러한 제2펄세이터(130)의 움직임은 회전조(30) 내에서 상하방향의 수류를 발생시킨다.
제2펄세이터(130)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θ)는 제2펄세이터(130)의 상하방향 운동의 범위를 결정한다. 각도(θ)가 클수록 제2펄세이터(130)가 상하방향의 수류를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각도(θ)가 크게 형성되면, 세탁 과정에서 세탁물이 회전조(30)의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각도(θ)는 10˚도 이하일 수 있다. 반면에 각도(θ)가 너무 작으면, 제2펄세이터(130)의 상하방향 운동이 미미하여 상하방향의 수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각도(θ)는 3˚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펄세이터와 제2펄세이터를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하고 제1펄세이터의 경사각과 제2펄세이터의 경사각을 동일한 각도로 함으로써 제1펄세이터와 제2펄세이터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2펄세이터는 제1펄세이터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관계없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펄세이터는 제2펄세이터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관계없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펄세이터(110)의 측벽(115)의 상단(115a)은 제2펄세이터(130)가 경사진 것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펄세이터(130)의 상면(131)에서 측벽(115)의 상단(115a)에 인접한 부분(131a)은 측벽(115)의 상단(115a)과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펄세이터(120)의 부분(131a)이 측벽(115)의 상단(115a)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큰 단차 없이 측벽(115)의 상단(115a)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펄세이터(130)의 부분(131a)은 측벽(115)의 상단(115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펄세이터(110)의 상면과 대응 되는 제2펄세이터(130)의 상면은 제1펄세이터(110)의 상면보다 약 2mm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펄세이터(110)의 측벽(115)과 제2펄세이터(130) 사이에 세탁물이나 이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펄세이터(110)의 측벽(115)은 제1펄세이터(110)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단형성부(115b)를 가지고, 제2펄세이터(130)는 그 바깥 테두리에서 단형성부(115b)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43)(144)를 가진다. 단형성부(115b)와 리브(143)(144)는 제1펄세이터(110)의 측벽(115)과 제2펄세이터(130) 사이에 세탁물이나 이물을 끼이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고, 혹 이물이 끼더라도 제2펄세이터(130)의 하부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펄세이터(110)의 측벽(115)에 인접하는 제1리브(143)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리브(14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리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물 유입 방지 기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제1펄세이터(110)의 측벽(115)에는 돌출부(115c)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5c)는 제2펄세이터(130)의 제1리브(143) 또는 제2리브(144) 인접하여 제2펄세이터(130)를 향해 돌출된다. 돌출부(115c)는 제2펄세이터(130)의 제1리브(143)와 제2리브(144)의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펄세이터(130)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통공(146)들을 가진다. 제2펄세이터(130)의 근처의 세탁수는 통공(146)들을 통해 제2펄세이터(13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 제2펄세이터(130)는 그 상면에서 돌출되는 날개(148)들을 가진다. 날개(148)들은 제2펄세이터(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날개(148)들은 세탁물이 제2펄세이터(130)의 회전(샤프트(15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해하도록 세탁물과 마찰한다.
제1펄세이터(11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류형성날개(120)들이 배치된다. 각각의 수류형성날개(120)는 제1펄세이터(110)의 상면(110a)으로부터 돌출되고, 리세스(114)의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수류형성날개(120)는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 시에 회전 수류를 발생시킨다.
제1펄세이터(110)의 리세스(114)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구멍(122)들이 배치되고, 제1펄세이터(110)의 배면에는 복수의 펌핑블레이드(124)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세탁물의 세탁 시에 제1펄세이터(110) 근처의 세탁수는 제1펄세이터(110)의 구멍(122)들을 통해 제1펄세이터(110)의 배면 쪽으로 유입되고, 펌핑블레이드(124)에 의해 제1펄세이터(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된다. 펌핑블레이드(124)에 의해 가압된 세탁수는 회전조(30)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통해 펌핑덕트(36, 도 1 참조)로 안내되고, 펌핑덕트(36)의 배출구(37)를 통해 회전조(3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펄세이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회전조(30)의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제공급장치(54)에 세제 를 투입한 후 세탁기(1)를 동작시키면, 급수관(52)을 통해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급수 동작이 완료되면, 모터(72)가 동작하여 펄세이터장치(100)를 구동한다.
모터(72)의 동력은 구동축(78)을 통해 제1펄세이터(110)를 회전시킨다. 제1펄세이터(110)가 회전하면, 제1펄세이터(110)의 상면에 배치된 수류형성날개(120)에 의해 회전 수류가 발생된다.
제2펄세이터(130)는 제1펄세이터(110)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펄세이터(130) 상면의 임의의 지점은 제1펄세이터(110)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조(30) 내에 상하방향의 수류가 발생된다.
즉, 제1펄세이터(110)가 회전하면 커넥터(170)를 통해 제1펄세이터(110)에 연결된 샤프트(150)가 구동축(78)의 축선(X)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조(30) 내의 세탁물의 무게가 제2펄세이터(130)가 작용하여 제2펄세이터(130)의 회전이 제한되면, 샤프트(150)는 제2펄세이터(130)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제2펄세이터(130) 상면의 임의의 지점은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며 수류를 발생시킨다.
제2펄세이터(130)에 세탁물의 하중이 작용할 때 샤프트(150)는 제2펄세이터(130)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2펄세이터(130)에 작용하는 하중은 모터(72) 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터(72)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펄세이터(130)의 중심(O)은 구동축(78)에 대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제2펄세이터(130)는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 시에 제2펄세이터(130)의 중심(O)과 구동축(78)의 축선(X) 간의 거리를 반경(r)으로 하여 구동축(78)의 주위를 선회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100)는 제1펄세이터(110)의 회전 운동, 제2펄세이터(130)의 상하방향 운동 및 제2펄세이터(130)의 선회 운동을 통해 복합적인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도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으며, 강한 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에서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에서 제2펄세이터와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장치에서 제1펄세이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펄세이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세탁기 20 : 터브
30 : 회전조 78 : 구동축
100 : 펄세이터장치 110 : 제1펄세이터
114 : 리세스 115 : 측벽
130 : 제2펄세이터 150 : 샤프트
170 : 커넥터 176 : 경사면

Claims (30)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펄세이터;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제2펄세이터의 바깥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하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단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세이터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3˚~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의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형성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13.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조;
    구동축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펄세이터;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펄세이터는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은 상기 제2펄세이터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는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 주위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 시에 상기 샤프트가 상기 구동축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상기 샤프트는 상기 구동축에 대해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측벽의 상단과 상기 제2펄세이터의 상면은 거의 동일평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세이터와 상기 제2펄세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반경방향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된 리세스를 가지는 제1펄세이터;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배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상면을 갖는 제1펄세이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경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펄세이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펄세이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펄세이터의 경사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펄세이터;
    상기 제1펄세이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펄세이터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샤프트;
    상기 제1펄세이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제2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펄세이터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펄세이터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상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상면에는 회전수류를 발생하기 위한 수류형성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세이터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는 적어도 한개의 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세이터는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의 외측상면은 수평방항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펄세이터의 경사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펄세이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세이터의 상면에는 세탁수를 순환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형성날개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류형성날개는 나머지 수류형성날개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90100644A 2009-10-22 2009-10-22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46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44A KR101462171B1 (ko) 2009-10-22 2009-10-22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US12/923,075 US9464374B2 (en) 2009-10-22 2010-08-31 Pulsator device usable with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10176726.7A EP2314747B1 (en) 2009-10-22 2010-09-15 Pulsator device usable with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S10176726T ES2752748T3 (es) 2009-10-22 2010-09-15 Dispositivo pulsador utilizable con lavadora y lavadora que lo contiene
CN201010501319.4A CN102041651B (zh) 2009-10-22 2010-09-28 可用于洗衣机的波轮装置及具有该波轮装置的洗衣机
RU2010140034/12A RU2471024C2 (ru) 2009-10-22 2010-09-29 Устройство пульсатора, используемое со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ег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44A KR101462171B1 (ko) 2009-10-22 2009-10-22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906A true KR20110043906A (ko) 2011-04-28
KR101462171B1 KR101462171B1 (ko) 2014-11-21

Family

ID=4341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644A KR101462171B1 (ko) 2009-10-22 2009-10-22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4374B2 (ko)
EP (1) EP2314747B1 (ko)
KR (1) KR101462171B1 (ko)
CN (1) CN102041651B (ko)
ES (1) ES2752748T3 (ko)
RU (1) RU2471024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22A1 (ko) * 2016-01-21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7126826A1 (ko) * 2016-01-21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7126824A1 (ko) * 2016-01-21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22B1 (ko) 2010-06-07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 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US20150059415A1 (en) * 2013-08-30 2015-03-05 Jared Greiman Washing machine with agitator
JP2016002184A (ja) * 2014-06-16 2016-01-12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洗濯機
KR102244839B1 (ko) * 2014-08-01 2021-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60456B1 (ko) * 2015-10-08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434445B1 (ko) * 2017-08-18 202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114232271B (zh) * 2021-12-22 2023-12-19 宁波金帅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洗衣机波轮轴安装用的安装装置
CN114934369A (zh) * 2022-06-30 2022-08-23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1622A (en) * 1931-05-08 1937-02-23 C E Butler Washing machine
US2105218A (en) * 1932-10-29 1938-01-11 Apex Electrical Mfg Co Laundry machine
US2192758A (en) * 1936-10-24 1940-03-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2186786A (en) * 1937-02-17 1940-01-09 Electric Household Utilities Washing machine
US3952557A (en) 1974-06-20 1976-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Wobble washing machine
US4068503A (en) 1975-07-14 1978-01-17 Whirlpool Corporation Combined oscillating and unidirectional agitator for automatic washer
JPS5778893A (en) * 1980-10-31 1982-05-17 Tokyo Shibaura Electric Co Washing machine doubling as hydroextracting
US4329859A (en) 1980-11-03 1982-05-18 General Electric Company Basket mounting arrangement for a washing machine
US4440004A (en) 1981-07-31 1984-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Wobble washer
US4423526A (en) * 1982-04-21 1984-01-03 Plastic Oddities, Inc. Resilient gasket between toilet bowl and drainpipe
JPS6290196A (ja) * 1985-10-17 1987-04-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遠心脱水洗濯機
CN2140909Y (zh) 1992-12-08 1993-08-25 舒勇 洗衣机波轮装置
US5460018A (en) 1994-02-22 1995-10-24 Whirlpool Corporation Vertical axis washer
US5596891A (en) * 1994-09-15 1997-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untwisting clothes in an automatic washer
KR200156821Y1 (ko) * 1995-05-16 1999-09-01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날개
KR100192610B1 (ko) * 1995-06-26 1999-06-15 전주범 세탁기
KR200149201Y1 (ko) * 1996-04-29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의 회전익
US5791167A (en) * 1996-05-23 1998-08-11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washer and a wash plate clothes deflector therefor
GB2315782B (en) * 1996-07-31 1999-12-29 Daewoo Electronics Co Ltd Clothes washer having a pulsator apparatus
KR100207362B1 (ko) 1996-10-31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교반장치
JPH10127972A (ja) * 1996-10-31 1998-05-19 Sharp Corp 電気洗濯機
CN1201089A (zh) * 1997-04-17 1998-12-09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的波轮
KR19980085150A (ko) 1997-05-28 1998-12-05 배순훈 세탁기의 교반장치
TW405001B (en) * 1998-01-31 2000-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g having a water guide for forming vertical and horizontal currents of wash water
KR100545967B1 (ko) 1998-07-29 2006-01-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세탁기의 교반 장치
JP2000157775A (ja) * 1998-11-30 2000-06-13 Toshiba Corp 洗濯機
US6115863A (en) * 1999-03-08 2000-09-12 Whirlpool Corporation Drive system for a vertical axis washer
EP1432863A4 (en) 2001-09-28 2006-08-16 Delphi Tech Inc OSCILLATING JOINT
KR100792718B1 (ko) * 2001-11-15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날개
CN1268801C (zh) * 2001-12-24 2006-08-09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KR100444956B1 (ko) 2002-02-15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451858B1 (ko) 2002-05-17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480715B1 (ko) * 2002-08-13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459139B1 (ko) 2002-10-2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493308B1 (ko) 2002-12-27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493307B1 (ko) 2002-12-27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6865912B2 (en) * 2002-12-27 2005-03-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0461872B1 (ko) 2003-02-06 200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997145B1 (ko) * 2003-07-19 201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가능한 펄세이터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KR101275128B1 (ko) * 2006-06-30 2013-06-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세탁기
CN201258400Y (zh) * 2008-08-26 2009-06-17 松下电化住宅设备机器(杭州)有限公司 双重动力波轮
CN201254654Y (zh) * 2008-09-02 2009-06-10 王建华 一种双波轮双驱动洗衣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22A1 (ko) * 2016-01-21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7126826A1 (ko) * 2016-01-21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7126824A1 (ko) * 2016-01-21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008690B2 (en) 2016-01-21 2021-05-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US11208752B2 (en) 2016-01-21 2021-12-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1651B (zh) 2015-11-25
KR101462171B1 (ko) 2014-11-21
US20110094271A1 (en) 2011-04-28
RU2010140034A (ru) 2012-04-10
RU2471024C2 (ru) 2012-12-27
CN102041651A (zh) 2011-05-04
ES2752748T3 (es) 2020-04-06
EP2314747A1 (en) 2011-04-27
EP2314747B1 (en) 2019-08-21
US9464374B2 (en)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3906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716822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US20070028654A1 (en) Drum washing machine
KR101386470B1 (ko) 세탁기
US20130276483A1 (en) Washing machine
US8984918B2 (en) Washing machine, inner tub of washing machine and balancer connection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918984B1 (ko) 세탁기
JP2006192249A (ja) ドラム洗濯機
KR20130062182A (ko) 세탁기
EP3342917B1 (en) Laundry machine
CN108350639B (zh) 洗衣机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JP6521894B2 (ja) 洗濯機
US11242638B2 (en) Washing machine
JP6712245B2 (ja) 洗濯機
US202200494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00190719A1 (en) Pulsator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same
KR101224395B1 (ko) 드럼세탁기
WO2022116543A1 (zh) 洗衣机
KR20000013794U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JP2023035692A (ja) 洗濯機
KR20220099876A (ko) 세탁기
JP2005218610A (ja) 洗濯乾燥機
JP2012065866A (ja) 洗濯機
JP201205540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