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22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6225B1 KR102036225B1 KR1020180073439A KR20180073439A KR102036225B1 KR 102036225 B1 KR102036225 B1 KR 102036225B1 KR 1020180073439 A KR1020180073439 A KR 1020180073439A KR 20180073439 A KR20180073439 A KR 20180073439A KR 102036225 B1 KR102036225 B1 KR 102036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shaft
- gear
- pinion gear
- ring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내조와 연결되고 중공이 형성된 탈수축과, 상기 중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와 연결된 세탁축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1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캐리어와,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가 내접되는 제 1 링기어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 보다 큰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2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캐리어와,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가 내접되는 제 2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축은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는 선회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캐리어에는, 상기 선회암이 선회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선회암과 간섭될 시 상기 제 2 캐리어에 대한 상기 제 1 캐리어의 상대 회전을 제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축과 탈수축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케이싱 내에 구비된 외조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가 수직한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내조 내에는 수류를 휘젓기 위한 펄세이터(pulsator)가 구비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내조와 펄세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는 세탁축과 탈수축을 갖는 2중 축 구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데, 상기 세탁축은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축으로, 상기 모터와 직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가 회전될 시 항시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되나, 상기 탈수축은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축으로써, 클러치에 의해 상기 세탁축과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클러치에 의해 상기 탈수축과 상기 세탁축이 연결되었을 시에는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내조가 함께 회전되고, 반대로, 상기 탈수축이 상기 세탁축과 분리되었을 시에는, 상기 내조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만이 회전하게 된다.
한국 공개번호 특2000-0063005는 세탁기에 적용되는 클러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는 여러 개의 기어와, 기어들을 동작시키는 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어와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축과 탈수축을 연결(축이음) 또는 분리하기 위한 클러치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상기 클러치 시스템이 별도의 구동원에 의하지 않고,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제어수단을 마련할 필요 없이,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 제어를 통해 상기 클러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부품수를 줄이고, 종래에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에 쓰이던 별도의 모터와 이와 연동하는 제반 구성들을 삭제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내조와 연결되고 중공이 형성된 탈수축과, 상기 중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와 연결된 세탁축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선기어가 제 1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있다.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는 제 1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링기어가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에 내접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 보다 큰 기어수를 갖는 제 2 링기어가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있다.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는 제 2 캐리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링기어가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가 상기 제 2 링기어에 내접된다.
상기 세탁축은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는 선회암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캐리어에는, 상기 선회암이 선회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선회암과 간섭될 시 상기 제 2 캐리어에 대한 상기 제 1 캐리어의 상대 회전을 제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제 2 캐리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축은 상기 제 1 캐리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회암은 소정의 원주 상에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주 상에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선회암에 의해 한정된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영역의 반대쪽에서 상기 한 쌍의 선회암에 의해 한정된 제 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제 1 링기어 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조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축은 상기 허브와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외축과, 상기 외축의 하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 1 링기어와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하로 고정되는 기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축과 탈수축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 시스템을 종래에 비해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이,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이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세탁축과 상기 탈수축 간의 연결과 분리가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클러치 시스템의 제어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3의 (a), (b) 및 (c)는 각각 도 2의 A-A,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선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스토퍼에 대한 선회암의 상대 위치를 (a), (b) (c) 순으로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3의 (a), (b) 및 (c)는 각각 도 2의 A-A,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선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스토퍼에 대한 선회암의 상대 위치를 (a), (b) (c) 순으로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3의 (a), (b) 및 (c)는 각각 도 2의 A-A,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선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스토퍼에 대한 선회암의 상대 위치를 (a), (b) (c) 순으로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외조(1)와, 외조(1)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2)와, 내조(2) 내에 배치된 펄세이터(3)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0)를 포함한다. 외조(1)와 내조(2)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내조(2)에는 다수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조(1) 또는 내조(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예를 들어, 급수 밸브)가 구비될 수 있고, 외조(1)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예를 들어, 배수 밸브, 배수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조(1)는,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미도시) 내에 배치된다. 외조(1)는 지지로드(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내조(2)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유발될 시, 외조(1)가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승강되며, 이러한 외조(1)의 승강 운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미도시) 또는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0)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펄세이터(3)와 내조(2)는 모터(10)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10)는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모터(10)는, 바람직하게는,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electric motor)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모터(10)는 중심부에 유도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stator, 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터를 중심으로 로터(11)가 회전되는 아우터 로터(outer rotor) 방식이다. 로터(11)는 바닥부(13)와, 바닥부(1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링형의 측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7)은 모터(10)에 의해 회전된다.
로터 부시(14)에 의해, 구동축(7)은 바닥부(13)에 고정된 로터 허브(15)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10)의 측면부(12)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자석(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장에 의해 로터(11)가 회전된다.
구동축(7)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기 설정된 속도비 또는 토크비의 출력으로 변환하여 세탁축(4)을 회전시키는 유성기어열(8)이 구비된다. 특히, 유성기어열(8)은, 펄세이터(3)와 연결된 세탁축(4)을 회전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세탁축(4)과 탈수축(5)을 선택적으로 축이음(또는, 클러칭)시키는 클러치로써 작용한다. 유성기어열(8)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세탁축(4)은 펄세이터(3)와 결합된다. 펄세이터(3)의 중심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상측으로부터 통과한 나사(23)가 세탁축(4)과 체결될 수 있다.
탈수축(5)은 내조(2)와 연결된다. 탈수축(5)은 세탁축(4)이 통과하는 제 1 중공이 형성되는 외축(5a)과, 외축(5a)의 하단에 연결되어 내측에 후술하는 유성기어열(8)을 수용하는 기어 하우징(5b)을 포함할 수 있다.
내조(2)의 하측에는, 내조(2)의 바닥과 결합되는 허브 베이스(18)가 구비될 수 있다. 내조(2)의 바닥에는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허브 베이스(18)는, 상기 개구부 둘레와 접하는 부분들에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통과함으로써, 내조(2)의 바닥과 체결된다.
허브 베이스(18)는 탈수축(5)이 회전될 시 함께 회전된다. 탈수축(5)과 허브 베이스(18)는 맞물려(또는, 치합되어) 있다. 탈수축(5)과 허브 베이스(18)는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탈수축(5)의 외측면에는 스플라인을 구성하는 치들(teeth)이 형성될 수 있다. 허브 베이스(18)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탈수축(5)이 통과하는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치들과 맞물리는 치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외축(5a)은 허브 베이스(18)의 상기 보스를 통과한 후,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은 너트(19)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내조(2) 내에 담긴 물이 외축(5a)의 상기 제 1 중공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밀봉하는 실러(24)가 구비될 수 있다.
외조(1)의 하측에는 베어링 하우징(16)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은 외조(1)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 내에는 탈수축(5)을 지지하는 베어링(26)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터(10)가 회전될 시 세탁축(4)은 항시 회전된다. 이에 반해, 내조(2)가 회전되기 위해서는, 모터(10)에 의해 제공된 토크가 세탁축(4)으로부터 탈수축(5)으로 전달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능이 유성기어열(8)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성기어열(8)은 구동축(7)을 통해 입력된 토크를 정해진 기어비에 따라 변환하여 세탁축(4)을 회전시킨다. 상기 기어비는, 후출하는, 선기어(81), 제 1 피니언기어(82), 제 1 링기어(84)의 치(tooth)의 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유성기어열(8)은 구동축(7)의 입력을 세탁축(4)과 탈수축(5)의 두 개의 출력으로 변환하는데, 이때, 세탁축(4)은 항시 회전되나, 탈수축(5)의 회전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유성기어열(8)은, 외축(5a)과 결합(또는, 축이음)된 기어 하우징(5b) 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기어 하우징(5b)은 외축(5a)과 축이음되어 있어, 외축(5a)이 회전될 시 함께 회전된다. 기어 하우징(5b)은 상부에 외축(5a)과 연결(축이음)되는 보스(512)가 형성된다.
기어 하우징(5b)은 상부 하우징(51)과 하부 하우징(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51)과 하부 하우징(52)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기어 하우징(5b)은 전체적으로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형태로써, 내측으로 구동축(7)이삽입된다.
하부 하우징(52)은 구동축(7)이 삽입되는 제 2 중공을 형성하는 중공 축(521)과, 중공 축(521)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하부 플랜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51)은 하부 하우징(5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51)은 하부 플랜지(522)의 상측으로 소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유성기어열(8)이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51)에는 외축(5a)과 결합되는 보스(512)가 형성된다.
유성기어열(8)은 선기어(81), 제 1 피니언 기어(82), 제 1 캐리어(83), 제 1 링기어(84), 제 2 피니언 기어(85), 제 2 캐리어(86) 및 제 2 링기어(87)를 포함한다.
선기어(81)는 구동축(7)과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선기어(81)는 구동축(7)과 별개로 형성되어, 구동축(7)과 결합(또는, 연결/축이음)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구동축(7)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피니언 기어(82)는 제 1 캐리어(8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선기어(81)와 맞물려 있다(또는, 치합된다).
제 1 링기어(84)는 탈수축(5)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링기어(84)는 상부 하우징(51)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제 1 링기어(84)는 내접기어로써, 제 1 피니언 기어(82)가 제 1 링기어(84)에 내접된다.
제 2 피니언 기어(85)는 제 2 캐리어(8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선기어(81)와 맞물려 있다(또는, 치합된다). 제 2 피니언 기어(85)는 제 1 피니언 기어(82) 보다 큰 기어수를 갖는다.
제 2 링기어(87)는 탈수축(5)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링기어(87)는 상부 하우징(51)의 내주면에서 제 1 링기어(84)의 하측에 고정된다. 제 2 링기어(87)는 내접기어로써, 제 2 피니언 기어(85)가 제 2 링기어(87)에 내접된다.
세탁축(4)은 제 1 캐리어(83) 및 제 2 캐리어(86)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실시예에서는 제 1 캐리어(83)가 제 2 캐리어(86)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세탁축(4)은 제 1 캐리어(83)와 연결(또는, 축이음)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캐리어(83)에는 선회암(836, 837)이 형성되고, 제 2 캐리어(86)에는 스토퍼(862, 863)가 형성된다. 스토퍼(862, 863)는 선회암(836, 837)이 선회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선회암(836, 837)과 간섭될 시 제 2 캐리어(86)에 대한 상기 제 1 캐리어(83)의 상대 회전을 제지한다.
제 1 피니언 기어(82)와 제 2 피니언 기어(85)는 공통의 선기어(81)와 맞물려 회전된다. 제 2 피니언 기어(85)는 제 1 피니언 기어(82) 보다 기어수가 크다. 그에 따라 제 2 피니언 기어(85)가 제 1 피니언 기어(82) 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 2 링기어(87)가 제 1 링기어(84)보다 더 내경이 클 수 있다.
선기어(81)가 회전되어 제 1 피니언 기어(82)와 제 2 피니언 기어(85)가 함께 회전되면, 제 2 피니언 기어(85) 보다 기어수가 작은 제 1 피니언 기어(82)의 회전각도(자전각도)가 더 크고, 따라서, 제 1 피니언 기어(82)가 제 2 피니언 기어(85) 보다 더 큰 회전각도(공전각도)만큼 제 1 링기어(84)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각 피니언 기어(82, 85)의 공전각도(선기어(81)를 중심으로 공전된 각도)는 해당 피니언 기어(82, 85)를 지지하는 캐리어(83, 86)의 회전각도와 같기 때문에, 선기어(81)의 회전시 제 1 캐리어(83)가 제 2 캐리어(86) 보다 더 큰 각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선회암(836, 837)과 스토퍼(862, 863)가 서로 분리된 상태(또는,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 1 캐리어(83)와 제 2 캐리어(86) 간의 각속도 차로 인해, 선회암(836, 837)과 제 2 스토퍼(862, 863)가 상대회전되나, 선회암(836, 837)이 선회하는 과정에서 스토퍼(862, 863)에 이르게되 서로 맞물리게 되면, 그 이후로는 제 1 캐리어(83)와 제 2 캐리어(86)가 함께 회전되어 세탁축(4)과 탈수축(5)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후, 구동축(7)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다시 선회암(836, 837)이 스토퍼(862, 863)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되어 서로 분리되고, 다시 선회암(836, 837)이 스토퍼(862, 863)와 간섭될때까지 제 1 캐리어(83)에 의해 펄세이터(3)만이 회전된다.
선회암(836, 837)은 소정의 원주 상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862, 863)는 상기 원주 상에 한 쌍이 구비되되, 한 쌍의 스토퍼(862, 863) 중 어느 하나(이하, 제 1 스토퍼(862)라고 함.)는 한 쌍의 선회암(836, 837)에 의해 한정된 제 1 영역(I)에 배치되고, 한 쌍의 스토퍼(862, 863) 중 다른 하나(이하, 제 2 스토퍼(863)라고 함.)는 제 1 영역(I)의 반대쪽에서 한 쌍의 선회암(836, 837)에 의해 한정된 제 2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캐리어(83)는 제 1 캐리어 상판부(83a)와 제 1 캐리어 하판부(8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 상판부(83a)는 중앙에 세탁축(4)이 통과하는 보스(831)가 형성되고, 보스(831)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제 1 지지암(832)과 제 2 지지암(833)이 연장될 수 있다.
제 1 캐리어 하판부(83b)는 제 1 캐리어 상판부(83a)의 하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선기어(81)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림(835)과, 제 1 림(835)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제 1 선회암(836)과 제 2 선회암(8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피니언 기어(82)의 회전축이 제 1 지지암(832)과 제 1 선회암(836)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제 1 피니언 기어(82)의 회전축이 제 2 지지암(833)과 제 2 선회암(8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캐리어(86)는 제 1 캐리어(83)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 2 캐리어 상판부(86a)와 제 2 캐리어 하판부(8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캐리어 상판부(86a)는 중앙에 선기어(81)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 2 림(861)과, 제 2 림(861)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제 1 스토퍼(862)와 제 2 스토퍼(8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림(861)은 제 1 림(835)보다 하측에 위치하나, 제 1 스토퍼(862)와 제 2 스토퍼(863)는 각각 제 2 림(861)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돌출된 부분이 제 1, 2 선회암(836, 836)의 선회 경로 상에 위치한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 1 선회암(836)과 제 2 선회암(837)이 제 1 림(835)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 부분이 제 1, 2 스토퍼(862, 863)의 선회 경로 상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캐리어 하판부(86b)는 제 2 캐리어 상판부(86a)의 하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구동축(7)이 통과하는 보스가 형성된 베이스(865)와, 베이스(865)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된 제 3 지지암(866)과 제 4 지지암(867)이 연장될 수 있다.
제 2 피니언 기어(85)의 회전축이 제 1 스토퍼(862)와 제 3 지지암(866)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제 2 피니언 기어(85)의 회전축이 제 2 스토퍼(863)와 제 4 지지암(86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암(836, 837)과 스토퍼(862, 863)가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축(7)이 정방향(위에서 내려달 볼 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캐리어(83)가 제 2 캐리어(86)보다 각속도가 크기 때문에 회전이 계속될수록 제 1 선회암(836)이 제 1 스토퍼(862)로부터 점점 멀어진다(도 4의 (b) 참조.).
구동축(7)의 정방향 회전이 계속되어, 제 1 선회암(836)이 제 1 스토퍼(862)로부터 정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이번에는 제 1 선회암(836)이 제 2 스토퍼(863)와 간섭된다. 이렇게 제 1 선회암(836)이 제 2 스토퍼(863)와 간섭된(또는, 맞물린) 이후에도 계속하여 구동축(7)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세탁축(4)과 탈수축(5)이 함께 회전되어, 결국 펄세이터(3)와 내조(2)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제 1 선회암(836)과 제 2 선회암(837)은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 1 스토퍼(862)와 제 2 스토퍼(863)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선회암(836)이 제 2 스토퍼(863)와 간섭될 시, 제 2 선회암(837)은 제 1 스토퍼(862)와 간섭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두 개의 선회암(836, 837)과 두 개의 스토퍼(862, 863)를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선회암(836)과 하나의 스토퍼(862)만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면, 선회암(836)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862)의 일측과 간섭된 후, 구동축(7)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회암(836)이 대략 360도 회전된 후 다시 스토퍼(862)의 타측과 간섭된다.
Claims (5)
- 물이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내조와 연결되고 중공이 형성된 탈수축;
상기 중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펄세이터와 연결된 세탁축;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1 피니언 기어;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캐리어;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가 내접되는 제 1 링기어;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 보다 큰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선기어와 맞물리는 제 2 피니언 기어;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캐리어; 및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가 내접되는 제 2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축은,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캐리어에는 선회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캐리어에는,
상기 선회암이 선회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선회암과 간섭될 시 상기 제 2 캐리어에 대한 상기 제 1 캐리어의 상대 회전을 제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제 2 캐리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축은,
상기 제 1 캐리어와 연결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암은 소정의 원주 상에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주 상에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선회암에 의해 한정된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영역의 반대쪽에서 상기 한 쌍의 선회암에 의해 한정된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제 1 링기어 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축은,
상기 허브와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외축; 및
상기 외축의 하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 1 링기어와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하로 고정되는 기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3439A KR102036225B1 (ko) | 2018-06-26 | 2018-06-26 | 세탁기 |
KR1020190129625A KR102300789B1 (ko) | 2018-06-26 | 2019-10-18 | 세탁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3439A KR102036225B1 (ko) | 2018-06-26 | 2018-06-26 | 세탁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9625A Division KR102300789B1 (ko) | 2018-06-26 | 2019-10-18 | 세탁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6225B1 true KR102036225B1 (ko) | 2019-10-24 |
Family
ID=6842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3439A KR102036225B1 (ko) | 2018-06-26 | 2018-06-26 | 세탁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622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9351A (ko) * | 2001-07-09 | 2001-08-22 | 민태식 |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구조 |
KR20170042222A (ko) * | 2015-10-08 | 2017-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
2018
- 2018-06-26 KR KR1020180073439A patent/KR1020362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9351A (ko) * | 2001-07-09 | 2001-08-22 | 민태식 |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구조 |
KR20170042222A (ko) * | 2015-10-08 | 2017-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76243B2 (en) | Washing machine motor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same | |
KR101951423B1 (ko) | 듀얼드럼 세탁기의 서브드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서브드럼 결합방법 | |
US20190017211A1 (en) | Clutch assembly of washing machine | |
KR20150010925A (ko) | 세탁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
WO2016037551A1 (zh) | 滚筒洗衣机 | |
CN204434985U (zh) |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 |
KR20160135056A (ko) | 세탁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
KR20200069641A (ko) | 세탁기 | |
CN106939485B (zh) | 顶部装载型洗衣机 | |
KR102036225B1 (ko) | 세탁기 | |
US20170191203A1 (en) |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 |
US11746459B2 (en) | Washing machine | |
KR20200001572A (ko) | 세탁기 | |
KR102521864B1 (ko) | 세탁기 | |
JP2008295272A (ja) | 可変界磁モータ | |
KR102155160B1 (ko) | 터빈 로터 회전을 위한 장치 | |
KR102045005B1 (ko) | 세탁기 | |
JP4007375B2 (ja) | 回転電機 | |
EP3486359B1 (en) | Washing machine | |
KR20190121279A (ko) | 세탁기 | |
WO2016136644A1 (ja) | 洗濯機用モータユニット | |
KR101628203B1 (ko) | 세탁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
KR20200001020A (ko) | 세탁기 | |
JP2021007673A (ja) | 洗濯機 | |
CN110230671A (zh) | 电动机用的变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