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143B1 - 가설교량 - Google Patents

가설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143B1
KR102556143B1 KR1020220017870A KR20220017870A KR102556143B1 KR 102556143 B1 KR102556143 B1 KR 102556143B1 KR 1020220017870 A KR1020220017870 A KR 1020220017870A KR 20220017870 A KR20220017870 A KR 20220017870A KR 102556143 B1 KR102556143 B1 KR 10255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late
bolt holes
coping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종
안정생
Original Assignee
안정생
(주)효명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생, (주)효명이씨에스 filed Critical 안정생
Priority to KR102022001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부재의 현장 조립에 용접이음을 최소화하고 볼트이음을 최대화하여 가설교량의 설치 및 해체 작업공기를 단축시키면서 부재의 재활용성도 높이고, 가설벤트 파일의 시공오차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부와 상기 바닥틀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더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교량의 횡방향으로 분배하는 코핑빔;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상부에 용접되며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제1용접 플레이트; 상기 코핑빔 중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되는 볼트공; 및,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코핑빔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상기 볼트와 너트의 체결위치나 상기 파일상단부재와 제1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파일의 교량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시공오차와 관계 없이 상기 바닥틀이 설계대로 급속시공될 수 있는 가설교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설교량{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부재의 현장 조립에 용접이음을 최소화하고 볼트이음을 최대화하여 가설교량의 설치 및 해체 작업공기를 단축하면서 부재의 재활용성도 높이고, 가설벤트 파일의 시공 오차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공사용 또는 우회용 가설교량은 단기간 동안만 사용하는 임시교량으로서 부재의 재활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량 구조와 사용 부재가 대부분 표준화 되어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의 전형적인 가설교량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가설교량도 일반적인 거더교와 같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구분할 수 있는데, 통상 하부구조를 가설벤트라고 명명한다. 전통적으로 가설벤트에는 H-형강 파일(H-파일)을 주로 사용하는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주거더당 하나의 H-파일을 배치한다. 또한, H-파일의 취약한 좌굴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1b에서 볼 수 있듯이 종방향으로 2열의 H-파일을 설치하고 파일 상부를 횡방향 및 종방향 브레이싱으로 보강하여 좌굴장을 줄임으로써 좌굴 저항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부구조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주거더 위에 설치되는 복공판으로 구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다. 복공판은 재활용을 위하여 750(W)×1990(L)×200(H)인 표준 규격품을 주로 사용한다. 추가로 폭(W) 750mm 대신에 500mm와 1000mm 제품도 있어서 교량길이를 250mm의 배수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990mm의 복공판 길이(L)는 2000mm의 주거더 횡방향 중심간격에 맞춰 제작된 것으로서 주거더의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10mm 만큼 작게 제작된다. 복공판 높이(H)는 복공판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실상 200mm로 고정되어있다.
도 1c는 도 1b의 원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주거더의 현장 이음상세를 보여주고 있다. 주거더의 복부와 하부플랜지는 볼트이음으로 연결하지만 상부플랜지는 용접이음으로 연결하는데 이는 상부플랜지 위에 복공판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설교량의 설치 및 해체 작업성과 재사용성을 고려한다면 볼트이음이 유리하지만 복공판 설치를 위해 이러한 연결방법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도 2는 가설벤트에 H-파일 대신에 원형강관 파일을 사용한 사례이다. 강관 파일은 H-파일에 비해 지지력이 크므로 파일 개수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주거더 위치마다 강관파일을 배치하면 과대설계가 되므로 파일 상부에 횡빔을 설치하고 횡빔 위에 주거더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교량의 교각이 기둥과 코핑으로 구성되는 것과 유사한데 횡빔이 교각의 코핑 역할을 하고 있다. 2열을 사용하는 H-파일 가설벤트와는 달리 원형강관 파일 가설벤트는 종종 1열의 파일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3은 등록특허 10-1879791(가변형 조립식 복공판)에 따른 복공판의 단면도로서 H-형강들을 나사식 연결봉으로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구성하는 H-형강 수를 조절하여 복공판의 폭(W)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통상 복공판에 사용되는 무늬 H-형강의 플랜지 폭이 200mm이기 때문에 200mm 배수의 폭을 갖는 가변폭 복공판으로 구성된다. 도 3의 예시에서는 5개의 무늬 H-형강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복공판 폭(W)은 1,000mm가 된다.
가설교량의 시공 과정에서 마주치는 가장 큰 어려움은 파일의 시공오차이다. 파일을 지반에 근입시킬 때 보통 정밀시공을 위해 가이드를 설치하고 파일을 항타하지만 완벽한 수직도로 정밀하게 시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가설교량의 시공 시에 어느 정도의 파일 시공오차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또한 파일들의 시공오차가 각각 임의의 방향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가설교량은 부재의 재활용을 전제로 건설비용이 산정되기 때문에 가설교량의 경제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부재의 재활용성이다. 가설교량 구성부재 중 재활용성이 가장 우수한 부재는 복공판이며, 그 다음이 바닥틀이다. 파일은 재활용성이 가장 떨어지는데, 그 첫 번째 이유는 파일의 지반 근입 깊이를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어서 넉넉한 길이의 파일로 시공하고 두부를 절단하여 높이를 맞추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처럼 파일의 최종 길이가 시공 시에 확정되므로 브레이싱 등에 필요한 부착물들을 두부 절단 후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부착물들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과정에서도 부재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가설교량의 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에는 볼트이음과 용접이음이 있다. 볼트이음은 부재의 조립과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부재 손상이 없기 때문에 재활용성이 우수한 연결방법이다. 그러나 볼트구멍 가공을 공장에서 미리 하기 때문에 시공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처가 어렵다. 용접이음은 조립작업을 하면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시공오차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지만 조립과 해체 작업속도가 느리고, 해체 시에 용접부위가 손상되므로 부재 재활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부재의 재활용성과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의 가설교량은 볼트이음으로 부재를 조립하도록 설계하고 있지만,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시공오차 때문에 현장에서 새로운 볼트구멍을 가공하거나 용접이음으로 변경하여 시공하기 일쑤이다. 이러한 경우에 현장에서 시공오차 처리방법을 강구하느라 공기가 지연되고, 계획에 없었던 볼트구멍 추가 가공이나 용접 작업으로 인해 부재의 재활용성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처럼 종래의 가설교량은 가설벤트 파일의 시공오차에 대한 처리방안이 사전에 수립되어 있지 않고 현장에서 상황에 따라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복공판 설치를 위해 주거더를 조립할 때 상부플랜지는 용접이음하기 때문에 주거더 해체시에 용접부위의 손상으로 인해 재활용성이 떨어진다. 특히 최근에는 가설교량의 경간장이 점차 길어져 주거더 부재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어서 용접부 해체시에 발생하는 주거더의 손상은 상당한 경제적 손실로 귀결된다.
따라서 가설벤트의 시공오차 처리방안이 사전에 마련되어 있어서 공장에서 가공한 볼트구멍만을 사용하여 신속한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며, 용접이음에 의한 주요부재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가설교량의 연결구조나 가설교량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설벤트 파일의 시공오차를 사전에 준비된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계획한 대로 신속한 바닥틀 설치가 가능하며, 바닥틀 주거더의 상부플랜지도 볼트이음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주거더의 조립 및 해체 작업성과 부재 재활용성을 개선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부와 상기 바닥틀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더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교량의 횡방향으로 분배하는 코핑빔;
상기 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파일상단부재;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상부에 용접되며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제1용접 플레이트;
상기 코핑빔 중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되는 볼트공; 및,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코핑빔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상기 볼트와 너트의 체결위치나 상기 파일상단부재와 제1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파일의 교량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시공오차와 관계없이 상기 바닥틀이 설계대로 급속시공될 수 있는 가설교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부와 상기 바닥틀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더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교량의 횡방향으로 분배하는 코핑빔;
상기 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파일상단부재;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2용접 플레이트;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의 상부에 용접되며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제1용접 플레이트;
상기 코핑빔 중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볼트공; 및,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코핑빔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파일상단부재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상기 볼트와 너트의 체결위치나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제2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파일의 교량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시공오차와 관계없이 상기 바닥틀이 설계대로 급속시공될 수 있는 가설교량을 제공한다.
상기 파일이 H-파일이고 파일상단부재는 판상의 두부부재이거나,
상기 파일이 강관파일이고 파일상단부재는 판상의 두부부재 또는 파일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는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는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는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코핑빔에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주거더 중 상기 코핑빔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코핑빔의 볼트공과 상기 주거더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핑빔에 형성되는 볼트공;
상기 주거더 중 상기 코핑빔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볼트공;
상기 주거더와 상기 코핑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거더의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판과 상기 코핑빔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인 종방향 볼트공이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인 횡방향 볼트공이 각각 마련되는 받침부재;
상기 코핑빔에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주거더에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상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코핑빔과 상기 주거더는 각각 H-형강이고,
상기 볼트공은 각각 상기 코핑빔의 상부플랜지와 주거더의 하부플랜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주거더는 H-형강이고,
상기 주거더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공;
상기 주거더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이음판;
상기 이음판과 상기 주거더를 서로 이음하는 볼트 및 너트;
상기 주거더의 이음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플랜지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나 이음판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하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이음부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을 제공한다.
상기 이음부 복공판의 한쪽에 설치되고,
나란히 배치되는 여러 개의 H-형강과 상기 H-형강 사이에 배치되는 강재의 판재와 상기 H-형강과 판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H-형강이나 판재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그 폭을 조절하여 복공판의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보정용 복공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설벤트 파일의 시공오차를 사전에 준비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계획한 대로 신속한 바닥틀 설치가 가능하며, 바닥틀 주거더의 상부플랜지도 볼트이음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한 복공판을 사용함으로써 주거더의 조립 및 해체 작업성과 재활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가설교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의 H-파일을 사용하는 가설교량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
도 1c는 도 1b의 원 내부 영역의 확대도로서 종래의 주거더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원형강관 파일을 사용하는 가설교량의 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가변형 조립식 복공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코핑빔과 파일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표시된 V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일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코핑빔과 주거더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도 7에 표시된 Ⅷa 부분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8b는 도 7에 표시된 Ⅷb 부분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9a와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받침부재의 사시도와 투시도.
도 10은 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와 볼트의 체결위치를 변경하여 파일의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2열 파일 가설벤트에 적용 가능한 코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음부 복공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이음부 복공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보정용 복공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코핑빔과 파일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의 (a)는 도 4에 표시된 V 부분의 확대도, 도 5의 (b) 는 도 5의 (a)에서 용접 플레이트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일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코핑빔과 주거더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도 7에 표시된 Ⅷa 부분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8b는 도 7에 표시된 Ⅷb 부분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9a와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받침부재의 사시도와 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2열 파일 가설벤트에 적용 가능한 코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교량과 가설교량은 같은 의미의 단어로 혼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P)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1)와 가로보(2)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설벤트는 코핑빔(10), 파일상단부재, 용접 플레이트(31, 32), 볼트공(41), 볼트(42), 너트(43), 받침부재(50)를 포함하며, 현장에서 상기 볼트(42)와 너트(43)의 체결위치나 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변경하여 파일의 교량 종방향(길이방향) 또는 횡방향(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시공오차와 관계없이 상기 바닥틀이 설계대로 급속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핑빔(10)은 H-형강이고, 하부플랜지에는 볼트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일은 H-파일(P1; 도 4의 왼쪽에 도시된 파일)이거나 강관파일(P2; 도 4의 오른쪽에 도시된 파일) 중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핑빔(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P)의 상부와 상기 바닥틀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더(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교량의 횡방향으로 분배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핑빔(10)은 H-형강이다. H-형강은 보통 표준규격의 열간 압연재가 일반적이지만, 용접으로 제작되는 비표준규격의 빌트인(built-in)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코핑빔(10)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는 각각 볼트공(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41)은 받침부재(50) 또는 주거더(1)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이고,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은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이다.
도 4에는 도시 상의 편의를 위하여 볼트공만 도시하고 볼트나 너트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브레이싱 등은 본 실시예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도시에서 생략하였다. 볼트나 너트는 확대도인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파일상단부재는 파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파일이 H-파일(P1)인 경우는 보통 판상의 두부부재(20a)가 사용되고, 파일이 강관파일(P2)인 경우 파일캡(20b)이나 두부부재(20a)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일(P2)에는 파일캡(20b)이 사용되었는데, 파일캡(20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21b)와 강관부재(22b)가 결합한 형태이다.
상기 두부부재(20a)는 파일의 상단부에 용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파일캡(20b)은 강관파일(P2)의 상단부에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때에 따라서는 강관부재(22b)를 길게 하여 용접이나 볼트 고정 없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파일캡(20b)은 보통 원형강관의 두부 손상을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데, 고가이므로 재활용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상기 용접 플레이트는 도 4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접 플레이트(3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4의 오른쪽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제2용접 플레이트(3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접 플레이트(31)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용접 플레이트(31)가 파일상단부재(20a, 20b)에 용접된다. 이때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31)는 코핑빔(10)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제1용접 플레이트(31)를 용접 결합할 때 횡방향 자유도를 높이기 위함인데 횡방향 자유도를 높인다는 의미는 횡방향으로 용접 위치를 더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횡방향 용접 위치의 자유도가 올라가면 교량이 횡방향의 파일 시공오차를 더욱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제2용접 플레이트(3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용접 플레이트(32)는 파일상단부재(20a, 20b)에 볼트결합하고,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제2용접 플레이트(32)는 용접에 의해 결합하며, 제1용접 플레이트(31)는 코핑빔(10)과 볼트결합한다. 용접 플레이트만 분리하여 도시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31)는 상기 코핑빔(10)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2용접플레이트(32)는 상기 주거더(1)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다. 이 역시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제2용접 플레이트(32)를 용접(W) 결합할 때 횡방향 및 종방향 자유도를 높이기 위함인데 횡방향 및 종방향 자유도를 높인다는 의미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용접(W) 위치를 더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용접(W) 위치의 자유도가 올라가면 교량이 횡방향이나 종방향의 파일 시공오차를 더욱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31)의 경우에는 볼트구멍(41)이 코핑빔(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32)의 경우에는 볼트구멍(41)이 주거더(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용접(W) 위치의 자유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용접 플레이트(31, 32)는 가설교량을 시공할 때 코핑빔(10)이나 주거더(1)와 같이 주요 구성부재를 용접 연결하여 시공하고, 가설교량의 사용 연한 이후에 용접 부위를 해체하는데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희생부재이다. 파일상단부재(20b)나 코핑빔(10)은 용접플레이트(31, 32)와 볼트로 결합하기 때문에 용접 해체 없이 볼트 해체만으로 주요 구성부재의 분해가 가능하며, 용접플레이트(31, 32) 사이의 용접은 공장으로 운반하여 정교하게 해체할 수 있어서 용접 플레이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31)만 사용되는 경우에도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코핑빔은 볼트결합하기 때문에 전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파일상단부재(20a)와의 용접 부위 해체는 공장으로 운반하여 실시함으로써 손상을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 두부부재(20a)는 파일의 상부에 용접 결합하므로 재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31)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부부재(20a)와 제1용접 플레이트(31)를 용접해도 부재의 재사용성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파일캡(2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가이므로 재사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파일캡(20b)은 제2용접 플레이트(32)와 볼트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핑빔(10) 중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접하는 부분에는 코핑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볼트공(4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3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일상단부재에 제2용접 플레이트(32)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41)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볼트(42)는 상기 볼트공(41) 중 선택된 위치의 볼트공(41)을 관통하여 너트(43)와 결합한다.
상기 받침부재(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핑빔(10)과 주거더(1)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51), 하부판(52) 및 측면판(53)으로 구성되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판(51)은 상기 주거더(1)의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이고, 상기 하부판(52)은 상기 코핑빔(1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이다.
상기 측면판(53)은 상기 상부판(51)과 하부판(52)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판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53)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판(51)에는 상기 주거더(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인 종방향 볼트공(54)이 설치되고, 하부판(52)에는 상기 코핑빔(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인 횡방향 볼트공(55)이 설치된다.
상기 보강판(56)은 상기 상부판(51)과 하부판(52) 사이에 설치되는 판으로서 상기 측면판(5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데 반드시 보강판(56)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상기 종방향 볼트공(54)과 횡방향 볼트공(55)의 방향은 수직이지만, 사각이 있는 가설교량도 있으므로 상기 종방향 볼트공(54)과 횡방향 볼트공(55)의 방향이 반드시 수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판(51)과 하부판(52)은 각각 주거더(1)의 하부플랜지와 코핑빔(10)의 상부플랜지와 평행해야 하기 때문에 종구배나 횡구배가 있는 가설교량에 적용되는 경우 상부판(51)과 하부판(52)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50)를 이용하면 종방향 볼트공(54)과 횡방향 볼트공(55)의 길이만큼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시공오차를 수용할 수 있다. 사전에 가공된 표준볼트 구멍만으로 주거더와 코핑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연결 볼트의 구멍 위치가 통상의 볼트구멍 공차인 1mm 정도 이내로 정밀하게 가공되고, 연결되는 모든 볼트 구멍들이 1mm 정도의 오차 이내에 오도록 코핑빔을 정밀하게 설치해야 한다. 물론 가조립을 통해 정밀하게 볼트구멍을 가공하면 현장에서 주거더(1)와 코핑빔(10)을 볼트 연결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지만, 두 방향의 장공을 사용하여 30mm 정도의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받침부재를 사용하면 조립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용이 많이 드는 가조립 대신에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는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을 적용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도 8a는 도 7에 표시된 Ⅷa 부분의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코핑빔(10), 받침부재(50) 및 주거더(1)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볼트(42)는 상기 코핑빔(10)에 형성된 볼트공(41)과 상기 받침부재(50)의 횡방향 볼트공(55)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43)와 체결된다.
또한, 볼트(42)는 상기 주거더(1)에 형성된 볼트공(41)과 상기 받침부재(50)의 종방향 볼트공(54)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43)와 체결된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핑빔(10)과 주거더(1)가 받침부재(50) 없이 직접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볼트(42)는 상기 주거더(1)에 형성된 볼트공(41)과 상기 코핑빔(10)에 형성된 볼트공(41)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43)와 체결된다.
상기 용접 플레이트(31, 32)가 용접되는 위치(제1용접 플레이트(31)/파일상단부재를 용접할 때의 용접위치와 제1용접 플레이트(31)/제2용접 플레이트(32)를 용접할 때의 용접위치 모두를 지칭하는 말이다)나 볼트(42)의 체결위치는 파일의 시공 오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와 볼트의 체결 위치를 변경하여 파일의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설계 시의 파일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된 원(강관 파일을 적용한 예이다)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시공 시의 파일 위치는 실선의 원으로 표현되어 있다. 코핑빔도 설계 시의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일의 시공오차에 의해 실제 코핑빔이 시공되어야 할 위치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i번째 파일의 설계위치와 시공위치의 차이를 2차원 벡터성분(Dxi, Dyi)으로 표시하였는데, 여기서 x와 y는 각각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축이다.
a와 b는 각각 종방향(주거더 하부플랜지) 및 횡방향(코핑빔 하부플랜지) 볼트공 간격이며, m과 n은 정수이다. Dxi와 Dyi는 각각 볼트이음 위치변경으로 처리되는 성분인 ma와 nb 및 용접이음으로 처리되는 성분인 dxi와 dyi의 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종방향과 횡방향의 볼트공(41) 간격이 모두 5cm이라고 가정할 때, 만약 x방향으로 7cm의 오차가, y방향으로 8cm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x방향과 y방향 모두 설계된 체결공(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체결공으로 지칭하기로 한다)과 인접한 볼트공(5cm 떨어져 있다)에 볼트(42)를 삽입시켜 오차의 일부를 수용하고 x방향으로는 용접위치를 2cm 이동시켜 용접하고, y방향으로는 용접위치를 3cm이동시켜 용접함으로써 파일의 위치 오차를 보정한다.
만약 볼트공(41) 사이의 간격이 5cm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x방향으로 12cm의 오차가, y방향으로 3cm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x방향의 10cm오차는 체결공의 변경으로 2cm의 오차는 용접 위치 변경으로 오차를 보정하고, y방향의 오차는 볼트공(41)의 위치 변경 없이 용접 위치 변경만으로 오차를 보정한다.
한편, 파일의 시공오차로 인해 부재 연결 위치가 변함에 따라 편심이 발생하여 파일에 작용하는 단면력이 변화될 수 있다.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코핑빔(10)을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파일의 횡방향 시공오차로 인한 파일의 횡방향 단면력 변화는 크지 않다. 반면에 파일의 종방향 시공오차는 큰 하중 편심을 유발하여 파일의 종방향 단면력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런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체결위치를 변경하여 코핑빔(10)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설교량의 경간장은 변화되지만 파일의 종방향 편심은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경간장의 변화는 경간장 변화 비율의 관점에서 보면 미미하기 때문에 전체 구조계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체결위치 변경으로 최대한 많은 시공오차를 수용할수록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편심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볼트연결에서 많은 시공오차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2열의 파일로 구성되는 가설벤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코핑 구조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2개의 코핑빔(10)과 이들을 결합하는 연결부재(4)로 구성된다. 파일열마다 코핑빔(1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4)에 의해 코핑빔(10)들이 결합되어 일체화되는데, 코핑빔(10)은 파일과 주거더에 연결되지만 연결부재(4)는 파일과 주거더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로 H-형강이 사용되었다.
도 1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코핑빔(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주거더와 코핑빔(10)의 하부에 결합하는 파일 등을 도시하지 않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핑빔(10)의 상부플랜지 위에 주거더(1)가 설치되며, 코핑빔(10)의 하부플랜지에 설치되는 제1용접 플레이트(31) 아래에 파일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의 특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현장 시공절차는 먼저 파일을 시공하고 계측을 하여 시공오차를 측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만약 파일의 시공오차가 본 발명 가설교량 공법이 수용할 수 있는 오차범위를 초과하면 파일을 재시공한다. 시공오차가 허용오차 내에 있으면 시공오차 처리방법을 결정한다. 종방향 및 횡방향 시공오차를 주거더(1)와 코핑빔(10)의 체결위치 및 코핑빔(10)과 제1용접 플레이트(31)의 체결위치 변경을 통하여 최대한 수용하고, 나머지 오차는 제1용접 플레이트(31)와 제2용접 플레이트(32) 또는 파일상단부재와의 용접이음에서 처리한다. 받침부재(50)를 사용해서 볼트이음과 용접이음 과정에서 처리하지 못한 미세한 시공오차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가설교량은 파일의 시공오차 처리방법이 사전에 준비되어 있지 않아서 시공 상황에 따라 땜질식으로 대처해야 한다. 일반 강교량의 경우에는 하부구조가 정밀하게 시공되기 때문에 주거더(1)와 가로보(2)로 이루어진 바닥틀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가조립 검사 후에 해체하여 현장에서 다시 조립하므로 큰 어려움 없이 계획대로 급속시공이 가능하다. 반면에 가설교량은 하부구조인 가설벤트가 정밀하게 시공되지 않기 때문에 공장에서 실시한 바닥틀 가조립 상태를 현장에서 재현할 수 없어서 가조립 검사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가설교량은 현장에서 가설벤트의 시공 상태에 맞춰 바닥틀을 조립해 나가는데 볼트구멍 등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볼트구멍을 다시 가공하거나 용접이음으로 변경하여 조립해 나간다. 현장에서 볼트구멍을 수정하거나 용접으로 변경하여 작업하는 시간도 문제이지만 시공오차를 처리하는 방안을 현장에서 수립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급속시공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설교량 시스템은 코핑, 여분의 볼트구멍, 용접용 희생부재 및 미세조정용 받침을 도입하여 파일의 시공오차를 수용할 수 있어서 바닥틀을 사전에 계획한대로 시공할 수 있다. 즉 바닥틀을 제작하고 가조립 검사를 한번 실시하면 바닥틀을 파일의 시공오차에 관계없이 가조립했었던 상태로 재조립하면 되므로 급속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파일의 시공오차를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용접이음을 희생부재에만 국한시킴으로써 바닥틀을 포함한 주요 구성부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부재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음부 복공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이음부 복공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보정용 복공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가설교량은 H-형강인 주거더(1)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과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3), 이음판(110), 볼트(111), 너트(112), 볼트공(미도시), 이음부 복공판(120), 보정용 복공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특유한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주거더 위에 복공판을 설치하기 위해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더 세그먼트를 연결할 때 상부플랜지는 용접이음하고 있다. 상부플랜지를 현장에서 용접이음하는 것은 품질저하를 고려하여 허용응력을 낮추어야 하는 문제도 있지만, 더 큰 문제는 가설교량 해체과정에서 용접해체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주거더의 손상문제이다. 상부플랜지가 조금이라도 손상되면 복부와 하부플랜지에 있는 볼트구멍 및 수직보강재(미도시) 등의 위치 변경 문제 때문에 주거더 세그먼트의 재활용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주거더 세그먼트의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거더의 상부플랜지도 볼트이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설교량은 주거더(1)의 이음부가 이음판(110)과 볼트(111), 너트(112)를 이용하여 이음되는데, 볼트공(미도시)이 종래와 달리 주거더(1)의 상부플랜지(1a), 하부플랜지(1b), 복부(1c)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으며, 이음판(110)에는 볼트공에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대응되는 볼트공이란 볼트(111)가 주거더(1)에 형성된 볼트공과 이음판(110)에 형성된 볼트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112)와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이음부 복공판(120)은 상기 주거더(1)의 이음부에 배치되며 상부플랜지(1a)를 서로 결합하는 볼트(111), 너트(112) 또는 이음판(11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21)를 포함하는 복공판이다. 도 13에는 이음부 복공판의 하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3의 (a)와 (b)는 각각 상부와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는 다른 형태의 이음부 복공판(120a)이 도시되어 있는데, 절취부(121a), 상판재(122a), 주빔(123a), 횡리브(124a), 종리브(125a), 단부 횡리브(126a)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주거더(1)의 상부플랜지(1a) 이음부 수용을 위해 필요한 공간의 폭은 보통 700mm 정도이기 때문에 폭이 750mm인 일반 복공판보다는 훨씬 큰 폭을 가져야 한다. 도 14에 도시된 볼트이음용 복공판의 폭은 1250mm이고 볼트이음부를 위한 단부의 절취부 공간 폭은 850mm인데, 일반 복공판보다 폭이 넓어서 지지해야 할 하중이 커지기 때문에 양 측면에 단부보다 중앙부 높이가 큰 변단면 보를 주빔(123a)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주빔 사이에 횡리브(124a)를 설치하고 횡리브(124a)에는 종리브(125a)를 설치하여 바닥틀을 구성한 다음 그 위에 상판재(122a)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단부 횡리브 하단이 절취되어 있어서 볼트이음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보정용 복공판(13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131), 판재(132),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결합공(133), 전산나사봉(134), 너트(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정용 복공판(130)은 현장에서 폭 조정용 판재(132)를 넣거나 빼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복공판의 폭을 미세 조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복공판이다. 도 15의 (a)는 상기 보정용 폭공판(130)의 구성부재들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며, (b)는 연결수단인 전산나사봉(134)과 너트(135)를 사용하여 조립한 모습이다.
도 15에 도시된 보정용 복공판(130)은 H-형강(131)을 포함하는데 H-형강 대신에 다른 형식의 형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복공판(130)은 복공판 설치 시의 시공오차를 현장에서 보정하기 위한 복공판으로서 앞서 설명한 이음부 복공판(120)과 함께 사용한다. 복공판은 바닥틀 시공이 끝나면 보통 교량 시점부터 설치해 나가기 때문에 주거더 볼트이음부에 도달했을 때 누적된 시공오차 때문에 이음부 복공판(120)의 설치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보정용 복공판(130)을 이용하여 복공판의 종방향 누적 설치 폭을 조정한다.
상기 주거더(1)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이음부 복공판(120)과 이음부 복공판(1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보정용 복공판(130) 이외에는 일반 복공판을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거더 세그먼트를 볼트이음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한 볼트이음용 복공판과 가변폭 복공판을 이용하여 주거더 상부플랜지의 용접이음을 배제함으로써 가설교량 해체 시의 용접 절단으로 인한 주거더 세그먼트의 손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조립 및 해체 작업의 속도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과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교량을 조합해서 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1 : 주거더 2 : 가로보
3 : 복공판 10 : 코핑빔
20a : 두부부재 20b : 파일캡
31 : 제1용접 플레이트 32 : 제2용접 플레이트
41 : 볼트공 50 : 받침부재
120 : 이음부 복공판 130 : 보정용 복공판

Claims (10)

  1.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부와 상기 바닥틀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더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교량의 횡방향으로 분배하는 코핑빔;
    상기 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파일상단부재;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상부에 용접되고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인 제1용접 플레이트;
    상기 코핑빔 중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되는 볼트공; 및,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코핑빔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상기 볼트와 너트의 체결위치나 상기 파일상단부재와 제1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파일의 교량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시공오차와 관계 없이 상기 바닥틀이 설계대로 급속시공될 수 있는 가설교량.
  2.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부와 상기 바닥틀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더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교량의 횡방향으로 분배하는 코핑빔;
    상기 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파일상단부재;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파일상단부재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2용접 플레이트;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의 상부에 용접되며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제1용접 플레이트;
    상기 코핑빔 중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볼트공; 및,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코핑빔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와 상기 파일상단부재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상기 볼트와 너트의 체결위치나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와 제2용접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파일의 교량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시공오차와 관계 없이 상기 바닥틀이 설계대로 급속시공될 수 있는 가설교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 H-파일이고 파일상단부재는 판상의 두부부재이거나,
    상기 파일이 강관파일이고 파일상단부재는 판상의 두부부재 또는 파일캡인 가설교량.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접 플레이트는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2용접 플레이트는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인 가설교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빔에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주거더 중 상기 코핑빔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코핑빔의 볼트공과 상기 주거더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가설교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빔에 형성되는 볼트공;
    상기 주거더 중 상기 코핑빔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볼트공;
    상기 주거더와 상기 코핑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거더의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판과 상기 코핑빔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주거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인 종방향 볼트공이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코핑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인 횡방향 볼트공이 각각 마련되는 받침부재;
    상기 코핑빔에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주거더에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상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가설교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빔과 상기 주거더는 각각 H-형강이고,
    상기 볼트공은 각각 상기 코핑빔의 상부플랜지와 주거더의 하부플랜지에 형성되는 가설교량.
  9. 지반에 근입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거더와 가로보로 구성되는 바닥틀 및 상기 바닥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주거더는 H-형강이고,
    상기 주거더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공;
    상기 주거더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이음판;
    상기 이음판과 상기 주거더를 서로 이음하는 볼트 및 너트;
    상기 주거더의 이음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플랜지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나 이음판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하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이음부 복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 복공판은,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단부보다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변단면보인 한 쌍의 주빔과, 상기 한 쌍의 주빔 사이에 형성되는 횡리브를 포함하는 바닥틀을 포함하며, 상기 횡리브 중 단부에 배치된 단부 횡리브의 하단부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절취부에 볼트 또는 너트나 이음판이 수용되는 가설교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 복공판의 한 쪽에 설치되고,
    나란히 배치되는 여러 개의 H-형강과 상기 H-형강 사이에 배치되는 강재의 판재와 상기 H-형강과 판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H-형강이나 판재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그 폭을 조절하여 복공판의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보정용 복공판을 더 포함하는 가설교량.
KR1020220017870A 2022-02-11 2022-02-11 가설교량 KR10255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870A KR102556143B1 (ko) 2022-02-11 2022-02-11 가설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870A KR102556143B1 (ko) 2022-02-11 2022-02-11 가설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143B1 true KR102556143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870A KR102556143B1 (ko) 2022-02-11 2022-02-11 가설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1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305A (ja) * 1996-02-28 1997-09-02 Sumitomo Metal Ind Ltd 覆工板締結金具
KR20080100975A (ko) * 2007-05-15 2008-1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12154060A (ja) * 2011-01-25 2012-08-16 Asahi Engineering Kk 主桁の連続化構造
KR101879791B1 (ko) * 2018-01-04 2018-07-18 주식회사 포유텍 가변형 조립식 복공판
KR102096004B1 (ko) * 2019-08-22 2020-04-01 코벡 주식회사 굴절형 편심 웨브를 갖는 조립식 철도교
KR102085928B1 (ko) * 2018-09-10 2020-04-23 (주)세한테크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305A (ja) * 1996-02-28 1997-09-02 Sumitomo Metal Ind Ltd 覆工板締結金具
KR20080100975A (ko) * 2007-05-15 2008-1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12154060A (ja) * 2011-01-25 2012-08-16 Asahi Engineering Kk 主桁の連続化構造
KR101879791B1 (ko) * 2018-01-04 2018-07-18 주식회사 포유텍 가변형 조립식 복공판
KR102085928B1 (ko) * 2018-09-10 2020-04-23 (주)세한테크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096004B1 (ko) * 2019-08-22 2020-04-01 코벡 주식회사 굴절형 편심 웨브를 갖는 조립식 철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1671B1 (en) A high safety, modular system for provisionally supporting working railway tracks during under-track works.
KR101099992B1 (ko) 온실의 지붕조로서 이용되는 구조체, 온실의 지붕조,온실의 축조, 온실 및 온실의 축조공법
CN110847169B (zh) 钢管桩钢栈桥的施工方法
CN103180528A (zh) 用于构建具有包含钢架的增强混凝土结构高层建筑物的结构
JP5755458B2 (ja) デッキプレート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KR101914002B1 (ko)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KR102161809B1 (ko) 가설교량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구조물 시공방법
KR102556143B1 (ko) 가설교량
KR20190084712A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JP6283839B2 (ja) 大梁と小梁の剛接合方法
CN113802471B (zh) 一种钢箱梁顶推施工方法
CN113186794B (zh) 一种波形钢腹板钢混组合预应力箱梁施工工法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CN213709883U (zh) 一种模块化钢结构建筑连接结构
JP7237668B2 (ja) デッキ用受け材及び該デッキ用受け材の取付方法
KR100895858B1 (ko) 높이와 폭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박스타입 가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벤트 시공방법
JP4814019B2 (ja) 杭と上部構造物の接合構造及び方法
KR102625763B1 (ko) 부재력 분포에 따라 거더수가 가변되는 가변 강합성거더교량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7009731B2 (ja) 床構造
CN220928277U (zh) 一种建筑钢结构的连接节点结构
KR102553582B1 (ko) Pc기둥과 pc거더의 접합부 구조
CN219908599U (zh) 一种整体式施工平台
KR102183913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N117127744B (zh) 一种用贝雷梁和型钢搭设的钢筋加工平台的施工方法
JP3810007B2 (ja) 住宅の鉄骨構造及び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