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002B1 -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002B1
KR101914002B1 KR1020180016525A KR20180016525A KR101914002B1 KR 101914002 B1 KR101914002 B1 KR 101914002B1 KR 1020180016525 A KR1020180016525 A KR 1020180016525A KR 20180016525 A KR20180016525 A KR 20180016525A KR 101914002 B1 KR101914002 B1 KR 10191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steel pipe
pipe pile
main gird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채영
Original Assignee
조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채영 filed Critical 조채영
Priority to KR1020180016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002B1/ko
Priority to PCT/KR2018/002000 priority patent/WO20191562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거더를 접합부에서 클램프의 장력 도입에 따른 선단의 처짐을 제어하여 항타된 강관 말뚝과 거더의 사이에 신속히 플로우 빔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가설교량의 시작단 또는 종단측에 제1 강관 말뚝을 복열로 관입한 후 제1 강관 말뚝의 상단에 제1 플로우 빔을 횡방향으로 조립 설치하고, 제1 플로우 빔 상에 복수개 이상의 제1 거더를 교축방향으로 지정된 라인상에 배치 고정하고, 제1 거더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크레인을 데크플레이트에 탑재시켜 추가 설치되는 메인 거더의 인양준비를 하는 단계와; (b) 메인 거더를 크레인으로 인양한 후 교축방향으로 자세를 잡아 선 시공된 제1 거더들의 전단부에 위치시킨 후, 거더 접합부에 클램프 블럭을 고장력 볼트로 체결하여 메인 거더의 선단부에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발생되고 동시에 거더접합부에 벌림각이 이루어지도록 메인 거더에 장력을 도입하는 단계와; (c)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에 웨브 연결판을 볼트로 체결 연결하여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d) 제2 강관 말뚝의 항타 위치 전까지 구간의 메인 거더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e) 메인 거더의 측량된 위치에 항타용 가이드가 조립되어 있는 강관 말뚝 작업대를 설치한 후, 제2 강관 말뚝을 인양하여 항타용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가며 지반으로 관입시키는 단계와; (f) 제2 강관 말뚝의 두부를 정리한 후 나머지 구간의 메인 거더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g) 제2 플로우 빔에 말뚝 캡을 설치하고, 제2 플로우 빔을 인양하여 메인 거더의 하부에 제2 플로우 빔을 설치한 후, 웨브 연결판의 체결을 풀고 클램프 블럭을 해체하여 벌림각과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없어지도록 하여 메인 거더에 도입된 장력을 제거하는 단계와; (h) 웨브 연결판을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에 웨브 체결볼트로 다시 체결하고, 하부연결판과 상부연결판으로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를 연결시켜 놓는 단계와; (i) 가설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h) 단계까지를 수회 반복하여 가교가 시공되며, 상기 (b) 단계에서, 강재로 제작되어 양단에 거더 하부플랜지에 접하는 발판부, 발판부의 사이로 길게 개방된 홈부를 갖는 브릿지로 이루어진 클램프 블럭이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배치되어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의 하면에 배치된 하부연결판과 고장력 볼트로 체결되되,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에는 고장력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장력 볼트가 삽입되는 확장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having girder droop control by tension of high strength bolt}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더를 접합부에서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에 따른 선단의 처짐을 제어하여 항타된 강관 말뚝과 거더의 사이에 신속히 플로우 빔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교량은 교량의 신설을 위한 한시적인 우회도로로 활용되거나, 장비의 이동통로, 시공시의 임시 동바리로 활용되는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가설교량 공법으로는 단순 H형강 또는 외부 긴장된 H형강을 이용한 가설교량 공법,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조립식 가설교량 공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상에 시공되는 가설교량에서는 해상에 말뚝이 선 시공된 상태에서 후에 메인 거더가 시공된다. 이 경우 말뚝의 설치 위치가 해상이 되므로 말뚝이 시공될 시 말뚝의 항타 작업을 바지선을 띄워놓고 해야 하므로 말뚝의 위치 잡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설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말뚝의 항타 후에 두부 절단 및 거더와의 연결작업을 위한 별도의 작업대를 말뚝 주변에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설교량의 시공에 있어 말뚝의 시공을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39484호로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짠 강철재 지주로 이루어진 가설벤트를 다수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간의 상면에 상, 하부플랜지 및 복부로 이루어지는 주형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형의 복부에 수직으로 용접 배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주형의 상, 하부플랜지 내측에 용접 설치되는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재를 상기 주형의 양단부 상, 하부플랜지 및 복부에 걸쳐 용접 설치하는 단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 하부플랜지 및 복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H빔이 배치됨과 동시에 H빔의 하부플랜지가 일정한 간격마다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된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의 절개부 하면에 직각방향으로 용접 설치됨과 동시에 고장력볼트가 관통 체결되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가로보 조립체를 상기 주형의 상부플랜지에 주형의 직각방향으로 고장력볼트에 의해서 보강판이 결합됨과 동시에 보강재에 가로보의 복부가 접합되도록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 조립체의 가로보 상면 간에 데크플레이트를 직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기술은 주형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연속화된 가로보 조립체를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주형에 하중을 분산하여 직접적인 하중 전달을 최소화하고, 데크플레이트의 파손을 줄여 차량 통행에 대한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가설벤트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주형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가설벤트가 해상에 시공되는 경우 지주의 정확한 위치를 잡기가 어렵고, 가설벤트의 설치에 따른 가설교량의 공기를 단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14253호로서, '가설교량의 캔틸레버식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가설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이루는 거더를 외팔보 형태로 연결해가면서 항타용 가이드 빔을 통해 강관 말뚝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거더에 가설된 작업 발판 및 난간으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시공 과정 중 거더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말뚝의 시공, 거더 처짐제한용 빔의 설치, 체인블럭의 설치에 따른 공수가 증가되어 공기를 단축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39484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14253호
본 발명은 거더를 접합부에서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에 따른 선단의 처짐을 제어하여 항타된 강관 말뚝과 거더의 사이에 신속히 플로우 빔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가설교량의 시작단 또는 종단측에 제1 강관 말뚝을 복열로 관입한 후 제1 강관 말뚝의 상단에 제1 플로우 빔을 횡방향으로 조립 설치하고, 제1 플로우 빔 상에 복수개 이상의 제1 거더를 교축방향으로 지정된 라인상에 배치 고정하고, 제1 거더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크레인을 데크플레이트에 탑재시켜 추가 설치되는 메인 거더의 인양준비를 하는 단계와; (b) 메인 거더를 크레인으로 인양한 후 교축방향으로 자세를 잡아 선 시공된 제1 거더들의 전단부에 위치시킨 후, 거더 접합부에 클램프 블럭을 고장력 볼트로 체결하여 메인 거더의 선단부에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발생되고 동시에 거더접합부에 벌림각이 이루어지도록 메인 거더에 장력을 도입하는 단계와; (c)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에 웨브 연결판을 볼트로 체결 연결하여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d) 제2 강관 말뚝의 항타 위치 전까지 구간의 메인 거더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e) 메인 거더의 측량된 위치에 항타용 가이드가 조립되어 있는 강관 말뚝 작업대를 설치한 후, 제2 강관 말뚝을 인양하여 항타용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가며 지반으로 관입시키는 단계와; (f) 제2 강관 말뚝의 두부를 정리한 후 나머지 구간의 메인 거더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g) 제2 플로우 빔에 말뚝 캡을 설치하고, 제2 플로우 빔을 인양하여 메인 거더의 하부에 제2 플로우 빔을 설치한 후, 웨브 연결판의 체결을 풀고 클램프 블럭을 해체하여 벌림각과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없어지도록 하여 메인 거더에 도입된 장력을 제거하는 단계와; (h) 웨브 연결판을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에 웨브 체결볼트로 다시 체결하고, 하부연결판과 상부연결판으로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를 연결시켜 놓는 단계와; (i) 가설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h) 단계까지를 수회 반복하여 가교가 시공되며, 상기 (b) 단계에서, 강재로 제작되어 양단에 거더 하부플랜지에 접하는 발판부, 발판부의 사이로 길게 개방된 홈부를 갖는 브릿지로 이루어진 클램프 블럭이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배치되어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의 하면에 배치된 하부연결판과 고장력 볼트로 체결되되,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에는 고장력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장력 볼트가 삽입되는 확장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메인 거더는 작업장에서 나란한 한 쌍의 H 빔과, 한 쌍의 H 빔의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직각 방향으로 연결된 크로스 빔이 일체로 조립 제작된 상태에서 인양되어 2개의 거더 라인을 한 번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홀수개의 거더 라인을 갖을 경우 남아있는 마지막 1개의 거더 라인에는 단일의 H 빔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후 이웃한 메인 거더와 크로스 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에 따르면, 메인 거더가 접합부에서 고장력 볼트로 체결된 클램프 블럭에 의해 장력이 도입되어 선단에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이 형성되어 제2 플로우 빔을 항타된 강관 말뚝에 신속히 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보조말뚝의 시공, 거더 처짐제한용 빔의 설치, 체인블럭의 설치 조작이 필요없이 메인 거더 선단의 처짐을 제어하여 항타된 강관 말뚝과 메인 거더의 사이에 신속히 제2 플로우 빔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물론, 메인 거더를 외팔보 형태로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되므로, 강관 말뚝의 두부 절단 정리 작업 및 제2 플로우 빔의 연결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어 시공 안전성이 향상되고, 해상에서 바지선을 이용하여 말뚝을 항타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항타용 가이드를 이용하므로 강관 말뚝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의 시공순서에 따른 시공상태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크레인의 거더 인양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크레인에 의한 메인 거더의 인양 및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A'부 확대도로서 거더 접합부측 클램프 블록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고장력 볼트측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부분을 사시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공법에 적용되는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e는 메인 거더의 처짐 억제 후 거더의 웨브에 웨브 연결판을 체결한 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메인 거더의 처짐 억제 후 데크플레이트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강관 말뚝 작업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강관 말뚝을 진동 해머로 항타하는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강관 말뚝을 유압 해머로 항타하는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강관 말뚝의 두부를 정리하는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클램프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제 2플로우 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상,하부연결판 및 웨브 연결판을 통해 거더 접합부에 볼트 체결한 후 상부 용접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중앙 거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중앙 거더와 메인 거더의 사이에 크로스 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가설 교량의 길이 방향을 '교축방향'이라 하고, 교축방향에 직각이 되는 방향을 '교축 직각방향'이라 칭한다.
<크레인의 메인 거더 인양 준비>
먼저, 도 1a 및 도 1b와 같이 가설교량의 시작단 또는 종단측에 제1 강관 말뚝(11)을 복열로 관입한 후 제1 플로우 빔(21)을 제1 강관 말뚝(11)의 상단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조립 설치한다.
이후, 복수개 이상의 제1 거더(31)를 제1 플로우 빔(21) 상에 교축방향으로 지정된 라인상에 배치 고정하고, 데크플레이트(30)를 제1 거더(31)의 상면에 설치한 후 크레인(100)을 데크플레이트(30)에 탑재시켜 후 시공될 메인 거더(32)의 인양을 준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강관 말뚝(11)은 2행 2열로 시공되어 있으나 가설 교량의 폭에 따라 교축 직각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제1 플로우 빔(21)은 그의 하면이 제1 강관 말뚝(11)의 상단측에 설치된 말뚝 캡(11a)에 조립된다. 또한, 제1 플로우 빔(21)은 그의 상면이 제1 거더(31)의 하부 플랜지에 접한 상태에서 각기 볼트 및 너트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설 교량은 제1 거더(31)가 제1 내지 제 5라인에 시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라인 개수에 한정되어 시공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크레인(100)은 제1 거더(31)에 배치된 데크플레이트(30)의 전 영역을 벗어나 작업장으로부터 후술한 메인 거더(32)를 인양할 수 있는 충분한 작업 반경을 갖는다.
<메인 거더의 인양 및 처짐제어를 위한 장력 도입>
그 다음, 도 2a 내지 도 3b와 같이 메인 거더(32)를 크레인(100)으로 인양한 후 교축방향으로 자세를 잡아 선 시공된 제1 거더(31)들의 전단부에 위치시킨 후, 거더접합부에 벌림각(δ)이 메인 거더(32)의 선단부에 일정한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발생되도록 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장력 도입은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의 하면에 하부연결판(41)을 배치하고,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의 상면에 클램프 블럭(42)을 배치하고, 하부연결판(41)과 클램프 블럭(42)을 고장력 볼트(45)와 잠금너트(46)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에는 도 3b와 같이 고장력 볼트(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장력 볼트(45)가 삽입되는 확장구멍(311a,321a)을 갖고, 도 3d와 같이 클램프 블럭(42)은 강재로 제작되어 양단에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에 접하는 발판부(421,421), 발판부(421과 421)의 사이로 긴 홈부(422a)를 갖는 브릿지(4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클램프 블럭(42)에 형성된 홈부(422a)는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에 따른 브릿지(422)의 휨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메인 거더(32)는 작업장에서 나란한 한 쌍의 H 빔(32a,32a)과, 한 쌍의 H 빔(32a,32a)의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직각 방향으로 연결된 크로스 빔(32b)이 일체로 조립 제작된 상태에서 인양되어 2개의 거더 라인이 한 번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총 5라인에 거더가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좌,우로 각기 메인 거더(32)가 설치되어 도 4와 같이 1,2라인과 4,5라인이 각기 한 번에 설치된다. 따라서 중앙의 제 3라인에는 아직 거더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 웨브 연결판 볼트 체결>
그 다음, 도 3e와 같이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312,322)에 웨브 연결판(47)을 다수의 웨브 체결볼트(49)로 체결 연결하여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거더 접합부에 벌림각(δ)이 함께 유지된다.
< 데크플레이트 설치>
그 다음,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메인 거더(32)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30)를 설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1,2라인과 4,5라인에 데크플레이트(30)가 설치된다. 이때 데크플레이트(30)는 강관 말뚝의 항타 위치 전까지 부분 구간만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할 강관 말뚝 작업대(5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 항타용 가이드 설치 및 항타 >
그 다음,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메인 거더(32)의 측량된 위치에 항타용 가이드(52)가 조립되어 있는 강관 말뚝 작업대(50)를 설치한다. 이때 항타용 가이드(52)가 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측량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후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제2 강관 말뚝(12)을 크레인(100)으로 인양하여 항타용 가이드(52)의 안내를 받아가며 지반으로 관입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입 작업은 진동 해머(200)를 통해 1차적으로 제2 강관 말뚝(12)을 항타 한 후, 2차적으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강관 말뚝 작업대(50)를 제거한 후 유압 해머(210)를 사용하여 허용 리바운드가 측정될 때까지 항타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 강관 말뚝 두부 정리 및 데크플레트 설치 >
그 다음,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제2 강관 말뚝(12)의 두부를 절단 정리한 후, 메인 거더(32)의 상면에 나머지 구간에 데크플레이트(30)를 설치한다.
< 플로우 빔 설치 및 메인거더의 처짐 제거>
그 다음,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제2 플로우 빔(22)에 말뚝 캡(23)을 설치하고, 제2 플로우 빔(22)을 크레인(100)으로 인양하여 메인 거더(32)의 하부에 제2 플로우 빔(22)을 설치한다. 제2 플로우 빔(22)은 메인 거더(32)의 하부에 볼트 체결수단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후,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웨브 연결판(47)의 체결을 풀고 벌림각(δ)과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없어지도록 장력을 제거하는 단계를 갖는다. 장력 제거는 클램프 블럭(42)을 제거해 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클램프 블럭(42)이 설치된 고장력 볼트(45)와 잠금너트(46)를 해체하고, 양쪽 웨브(312,322)에 체결된 웨브 연결판(47)을 풀어서 가능해진다.
따라서 메인 거더(32)는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제거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 웨브 연결판 볼트 체결 및 데크플레이트 설치>
그 다음,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웨브 연결판(47)을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312,322)에 다시 체결하고, 하부연결판(41)과 상부연결판(43)으로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를 볼트 및 너트로 체결시켜 놓는다. 이후, 메인 거더(32)와 제1 거더(31)의 접합면 상부를 용접시킨다.
그 다음,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홀수개의 거더 라인이 남아 있으므로, 남아있는 마지막 1개의 거더 라인에는 단일의 H 빔(32a)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후 이웃한 메인 거더(32와 32)와 크로스 빔(32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메인 거더(32)의 상면에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데크플레이트(30)를 설치한다.
<반복 시공>
그 다음, 가설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상술한 메인 거더(32)의 설치부터 데크플레이트 설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회 반복함으로써 가교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가교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메인 거더(32)가 접합부에서 고장력 볼트(45)로 체결된 클램프 블럭(42)에 의해 장력이 도입되어 선단에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형성되어 제2 플로우 빔(22)을 항타된 제2 강관 말뚝(12)에 신속히 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보조말뚝의 시공, 거더 처짐제한용 빔의 설치, 체인블럭의 설치 조작이 필요없이 메인 거더(32) 선단의 처짐을 제어하여 항타된 제2 강관 말뚝(12)과 메인 거더(32)의 사이에 신속히 제2 플로우 빔(22)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물론, 메인 거더를 외팔보 형태로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되므로, 제2 강관 말뚝(12)의 두부 절단 정리 작업 및 제2 플로우 빔(22)의 연결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어 시공 안전성이 향상되고, 해상에서 바지선을 이용하여 말뚝을 항타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항타용 가이드(52)를 이용하므로 강관 말뚝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제1 강관 말뚝
21: 제1 플로우 빔
22: 제2 플로우 빔
30: 데크플레이트
31: 제1 거더
32: 메인 거더
42: 클램프 블럭
45: 고장력 볼트
50: 강관 말뚝 작업대
52: 항타용 가이드

Claims (5)

  1. (a) 가설교량의 시작단 또는 종단측에 제1 강관 말뚝(11)을 복열로 관입한 후 제1 강관 말뚝(11)의 상단에 제1 플로우 빔(21)을 횡방향으로 조립 설치하고, 제1 플로우 빔(21) 상에 복수개 이상의 제1 거더(31)를 교축방향으로 지정된 라인상에 배치 고정하고, 제1 거더(31)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30)를 설치한 후 크레인(100)을 데크플레이트(30)에 탑재시켜 추가 설치되는 메인 거더(32)의 인양준비를 하는 단계와;
    (b) 메인 거더(32)를 크레인(100)으로 인양한 후 교축방향으로 자세를 잡아 선 시공된 제1 거더(31)들의 전단부에 위치시킨 후, 거더 접합부에 클램프 블럭(42)을 고장력 볼트(45)로 체결하여 메인 거더(32)의 선단부에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발생되고 동시에 거더접합부에 벌림각(δ)이 이루어지도록 메인 거더에 장력을 도입하는 단계와;
    (c)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312,322)에 웨브 연결판(47)을 볼트(49)로 체결 연결하여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d) 제2 강관 말뚝(12)의 항타 위치 전까지 구간의 메인 거더(32)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와;
    (e) 메인 거더(32)의 측량된 위치에 항타용 가이드(52)가 조립되어 있는 강관 말뚝 작업대(50)를 설치한 후, 제2 강관 말뚝(12)을 인양하여 항타용 가이드(52)의 안내를 받아가며 지반으로 관입시키는 단계와;
    (f) 제2 강관 말뚝(12)의 두부를 정리한 후 나머지 구간의 메인 거더(32)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와;
    (g) 제2 플로우 빔(22)에 말뚝 캡(23)을 설치하고, 제2 플로우 빔(22)을 인양하여 메인 거더(32)의 하부에 제2 플로우 빔(22)을 설치한 후, 웨브 연결판(47)의 체결을 풀고 클램프 블럭(42)을 해체하여 벌림각(δ)과 거더처짐방지용 들림각(θ)이 없어지도록 하여 메인 거더(32)에 도입된 장력을 제거하는 단계와;
    (h) 웨브 연결판(47)을 거더 접합부측 양쪽 웨브(312,322)에 웨브 체결볼트(49)로 다시 체결하고, 하부연결판(41)과 상부연결판(43)으로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를 연결시켜 놓는 단계와;
    (i) 가설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h) 단계까지를 수회 반복하여 가교가 시공되며,
    상기 (b) 단계에서, 강재로 제작되어 양단에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에 접하는 발판부(421,421), 발판부(421과 421)의 사이로 길게 개방된 홈부(422a)를 갖는 브릿지(422)로 이루어진 클램프 블럭(42)이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의 상면에 배치되어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의 하면에 배치된 하부연결판(41)과 고장력 볼트(45)로 체결되되, 거더 접합부측 거더 하부플랜지(311,321)에는 고장력 볼트(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장력 볼트(45)가 삽입되는 확장구멍(311a,3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메인 거더(32)는 작업장에서 나란한 한 쌍의 H 빔(32a,32a)과, 한 쌍의 H 빔(32a,32a)의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직각 방향으로 연결된 크로스 빔(32b)이 일체로 조립 제작된 상태에서 인양되어 2개의 거더 라인을 한 번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홀수개의 거더 라인을 갖을 경우 남아있는 마지막 1개의 거더 라인에는 단일의 H 빔(32a)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후 이웃한 메인 거더(32와 32)와 크로스 빔(32b)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KR1020180016525A 2018-02-09 2018-02-09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KR10191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25A KR101914002B1 (ko) 2018-02-09 2018-02-09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PCT/KR2018/002000 WO2019156274A1 (ko) 2018-02-09 2018-02-19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25A KR101914002B1 (ko) 2018-02-09 2018-02-09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002B1 true KR101914002B1 (ko) 2018-10-31

Family

ID=6409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25A KR101914002B1 (ko) 2018-02-09 2018-02-09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4002B1 (ko)
WO (1) WO201915627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14A (ko) 2019-02-12 2020-08-20 박상현 Sw거더를 구비한 가설구조물 및 그 가설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2144413A (zh) * 2020-09-28 2020-12-29 贵州大通路桥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山区钢混组合梁整跨原位拼装架设方法
CN114214955A (zh) * 2021-12-28 2022-03-22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跨桥钢板梁的架设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439B (zh) * 2020-09-07 2022-07-1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峡谷隧道间运输平台施工方法及其结构
CN112411380B (zh) * 2020-09-27 2023-11-14 中铁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箱梁多机联吊跨河架设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437B1 (ko) * 2016-02-23 2017-06-07 이종란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9442B2 (ja) * 1990-10-29 1997-07-09 株式会社大林組 梁部材の接続構造
JPH0853883A (ja) * 1994-08-10 1996-02-27 Sekisui Chem Co Ltd 傾斜構面を備えた建物ユニットにおける梁接合構造
JPH10273935A (ja) * 1997-01-31 1998-10-13 Nippon Light Metal Co Ltd 構造材の連結構造
JPH10317509A (ja) * 1997-05-20 1998-12-02 Nippon Steel Corp 鋼構造物におけるボルト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437B1 (ko) * 2016-02-23 2017-06-07 이종란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14A (ko) 2019-02-12 2020-08-20 박상현 Sw거더를 구비한 가설구조물 및 그 가설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2144413A (zh) * 2020-09-28 2020-12-29 贵州大通路桥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山区钢混组合梁整跨原位拼装架设方法
CN114214955A (zh) * 2021-12-28 2022-03-22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跨桥钢板梁的架设方法
CN114214955B (zh) * 2021-12-28 2024-03-22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跨桥钢板梁的架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6274A1 (ko)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002B1 (ko)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KR101614253B1 (ko) 가설교량의 캔틸레버식 시공방법
US5730245A (en) Safety cable deck anchor
EP0501730B1 (en)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110847169A (zh) 钢管桩钢栈桥的施工方法
KR101744437B1 (ko)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KR101665482B1 (ko)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US5553439A (en)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US20080250579A1 (en) Modular Support Catch System
KR102085928B1 (ko)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06265976A (ja) 波形鋼板ウェブuコンポ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7093714B2 (ja) ピット構造及びそれの構築方法
JP5513229B2 (ja) 海洋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429236Y1 (ko)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가설자재
CN218479556U (zh) 一种可周转布料机操作平台装置
AU2009200928A1 (en) Bracket,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KR100245801B1 (ko) 빔 클램프(A Clamp for beam)
JP3726153B2 (ja) 角形鋼管を主桁に用いた橋梁構造
KR100449520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 및 그 구조물
JP7011613B2 (ja) 簡易仮橋の架設方法
JP3103294B2 (ja) 柱用鉄骨、その連結に用いる治具および鉄骨の連結方法
KR102633906B1 (ko) 가설교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16758B1 (ko)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및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US4156996A (en) Scaffolding for working on contoured surfaces
JPH0953223A (ja) 水上架設構造物構築用ジャケットの支持杭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