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81B1 -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 Google Patents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481B1
KR102551481B1 KR1020160144684A KR20160144684A KR102551481B1 KR 102551481 B1 KR102551481 B1 KR 102551481B1 KR 1020160144684 A KR1020160144684 A KR 1020160144684A KR 20160144684 A KR20160144684 A KR 20160144684A KR 102551481 B1 KR102551481 B1 KR 10255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ompression
chamber
motor pump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876A (ko
Inventor
조길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4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0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details, e.g. antifreeze for suspension fluid, pumps, retarding mean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16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 B60G17/043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by varying the number of accumulators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생모드에서 양방향 체크밸브를 이용해 저주파, 고주파 노면입력시 단 방향 유로 구성으로 회생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엑티브모드에서 제어밸브를 이용해 저주파 노면입력시 댐핑 성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여러 영역의 노면 입력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댐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 운행 중 회생 동작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급가속과 급감속 또는 선회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ENERGY ACTIVE REGENERATION DEVICE FOR SUSPENSION}
본 발명은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생모드에서 체크밸브를 이용해 저주파, 고주파 노면입력시 단 방향 유로 구성으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엑티브모드에서는 제어밸브를 이용해 저주파 노면입력시에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영역의 노면 입력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차량 운행 중 회생 동작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스펜션(suspension, 현가장치 라고도 함) 시스템은 차체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및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은, 바퀴가 결합되는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부를 차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어퍼 암과, 상기 캐리어의 하부를 차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로워 암과 어시스트 암 및 트레일링 암과, 캐리어의 상부와 차체를 연결시키는 완충기와, 로워 암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과, 차체에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워 암을 연결시키는 연결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의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에는,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축전지에 충전시키기 위한 회생 시스템과, 모터 펌프를 이용하여 감쇠력을 능동 제어하기 위해서 어큐뮬레이터가 항상 저압 챔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밸브를 이용해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중, 종래의 회생 시스템은 차량의 서스펜션 링크 암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축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리바운드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감쇠력을 능동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모터 펌프의 펌핑 압력을 이용해 능동 제어가 가능하며, 체크 밸브 등을 이용해 어큐뮬레이터를 저압 챔버로 연결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회생 시스템은 제어 밸브를 체크 밸브류를 이용한 개폐방식을 가지므로 응답성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고주파 입력시 댐핑 성능이 원활히 유지되지 않을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64846호(2012년 06월 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에너지 회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생모드에서 체크밸브를 이용해 고주파, 고주파 노면입력시 단 방향 유로 구성으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엑티브모드에서 제어밸브를 이용해 저주파 노면입력시에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영역의 노면 입력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댐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 운행 중 회생 동작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급가속과 급감속 또는 선회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조정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는, 피스톤 밸브에 의해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분할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압축챔버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인장챔버에 연결되는 메인 연결라인과,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설치되며, 일반모드 또는 회생모드로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반면, 엑티브모드로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로 유체를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모터 펌프와,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인장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로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인장챔버와의 체적 차이를 보상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회생모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시와 엑티브모드로 인장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체크밸브와 인장측 체크밸브 및,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각각 연결되며, 액티브모드로 압축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제어밸브와 인장측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는 입측 포트에 연결된 제1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고, 출측 포트에 연결된 제2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는 입측 포트에 연결된 제3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모터 펌프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고, 출측 포트에 연결된 제4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에는 피스톤 체크밸브가 더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체크밸브는 압축 행정시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고, 인장 행정시 차단되어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가 개방된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 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는 상기 메인 연결라인을 압축챔버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펌프는, 엑티브 모드로 동작시 상기 압축챔버 또는 상기 인장챔버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 펌프에는 회생모드로 동작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생모드에서 체크밸브를 이용해 자주파, 고주파 노면입력시 단 방향 유로 구성으로 회생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엑티브모드에서 제어밸브를 이용해 저주파 노면입력시 댐핑 성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여러 영역의 노면 입력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댐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회생 동작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급가속과 급감속 또는 선회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행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회생모드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회생모드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엑티브모드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엑티브모드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회생모드(Generating 영역)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회생모드(Generating 영역)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엑티브모드(Semi-Active 영역)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서 엑티브모드(Semi-Active 영역)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는 실린더(100)와, 메인 연결라인(200)과, 모터 모터 펌프(300)와, 어큐뮬레이터(400)와, 압축측 체크밸브(500)와, 인장측 체크밸브(600)와, 압축측 제어밸브(700) 및, 인장측 제어밸브(8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실린더(100)는 내부에 챔버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100)의 챔버 내에는 작동 유체(오일 등, O)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0)는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에 결합된 피스톤 밸브(10)에 의해 상측의 압축챔버(110)와 하측의 인장챔버(120)로 분할된다.
상기 피스톤 밸브(10)는,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이 실린더(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축 등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10)에는 피스톤 체크밸브(11)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피스톤 체크밸브(11)는 압축 행정시 개방되어 압축챔버(110)의 유체(O)가 인장챔버(120)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체크밸브(11)는 인장 행정시 차단되어 인장챔버(120)의 유체(O)가 후술 될 압축측 체크밸브(500)의 입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메인 연결라인(200)은, 일단의 제1연결단(210)이 압축챔버(110)의 내부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제2연결단(220)이 인장챔버(120)의 내부로 연결되어 작동 유체(O)를 양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모터 펌프(300)는, 메인 연결라인(200)에 설치되는데, 상기 모터 펌프(30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모터 펌프(300)는, 도 2와 3에서처럼 피스톤 밸브(10)가 일반모드 또는 회생모드(Generating 영역)로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반면, 상기 모터 펌프(300)는 엑티브모드(Semi-Active 영역)로 행정시, 도 4와 5에서처럼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로 유체(O)를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피스톤 밸브(10)가 엑티브모드(Semi-Active 영역)로 압축 행정을 하는 경우, 상기 모터 펌프(300)가 인장챔버(120) 방향으로 일정 압력을 작용시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펌프(300)에는 동작 제어를 위해 제어기(9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900)에 의해 모터 펌프(300)의 회전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900)에는 실린더(100)의 압축챔버(110) 또는 인장챔버(120)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 펌프(300)는 차량이 일반 노면을 주행하는 회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도 2와 3에서처럼 유체(O)가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를 통해 유출입되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모터 펌프(300)는 차량의 급가속, 급감속 또는 선회 등의 상황에서 엑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도 4와 5에서처럼 압축챔버(110) 또는 인장챔버(120)로 유체(O)를 펌핑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 펌프(300)가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로 순간적인 압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자세를 하드(hard)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펌프(300)에는 회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기(9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인버터에는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펌프(300)는 회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감쇠력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회생 동작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인버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전기에너지를 변환시킨 후 축전지로 전달하며, 상기 축전기에는 차량 운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에너지가 일정 용량으로 충전된다.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400)는, 내부 공간에 일정 압력을 축적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압축챔버(11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어큐뮬레이터(400)는 압축챔버(11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메인 연결라인(2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어큐뮬레이터(400)는, 인장 행정시 압축챔버(110)로 압력을 전달하여 인장챔버(120)와의 체적 차이를 보상한다.
압축측 체크밸브(500)와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500)는 모터 펌프(30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압축챔버(110)로 연결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제1연결단(210) 방향에 설치된다.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모터 펌프(30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인장챔버(120)로 연결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제2연결단(220) 방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고주파 노면입력에 의해 일반모드 또는 회생모드(Generating 영역)로 행정시 개방되는 것으로, 도 2와 3에서처럼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압축챔버(110) 방향으로만 개방된다.
상기한 압축측 체크밸브(500)와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도 2와 3에서처럼 압축측 체크밸브(500)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압축챔버(110) 방향으로만 개방된다.
즉,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500)와 인장측 체크밸브(600)는, 회생모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시와 엑티브모드로 인장 행정시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500)는 고주파 영역까지 댐핑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측 제어밸브(700)는,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메인 연결라인(200)에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700)는 모터 펌프(30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압축챔버(110)로 연결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제1연결단(210) 방향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700)는 입측 포트에 연결된 제1포트라인(710)에 의해 압축챔버(110)와 압축측 체크밸브(500)의 사이 구간에 연결된다.
반면,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700)는 출측 포트에 연결된 제2포트라인(720)에 의해 압축측 체크밸브(50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700)에는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기(9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700)는, 도 3에서처럼 저주파 노면입력에 의해 엑티브모드(Semi-Active 영역)로 전환시 압축 행정 과정에서 개방된다.
인장측 제어밸브(800)는, 압축챔버(110) 및 인장챔버(12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메인 연결라인(200)에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800)는 입측 포트에 연결된 제3포트라인(810)에 의해 인장챔버(120)와 인장측 체크밸브(600)의 사이 구간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800)는 모터 펌프(30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인장챔버(120)로 연결된 메인 연결라인(200)의 제2연결단(220) 방향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800)는 출측 포트에 연결된 제4포트라인(820)에 의해 인장측 체크밸브(600)와 모터 펌프(300)의 사이 구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800)는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기(9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800)는, 도 3에서처럼 저주파 노면입력에 의해 엑티브모드(Semi-Active 영역)로 전환시 압축 행정 과정에서 전술한 압축측 제어밸브(700)와 함께 개방된다.
즉,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800)를 통과한 유체(O)는 인장챔버(12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저주파 노면입력시에도 댐핑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회생모드에서 압축측 체크밸브(500) 및 인장측 체크밸브(600)를 이용해 고주파 노면입력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엑티브모드에서 압축측 제어밸브(700) 및 인장측 제어밸브(800)를 이용해 저주파 노면입력시에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영역의 노면 입력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댐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회생 동작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급가속과 급감속 또는 선회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피스톤 밸브 11: 피스톤 체크 밸브
20: 피스톤 로드 100: 실린더
110: 압축챔버 120: 인장챔버
200: 메인 연결라인 210: 제1연결단
220: 제2연결단 300: 모터 펌프
400: 어큐뮬레이터 500: 압축측 체크밸브
600: 인장측 체크밸브 700: 압축측 제어밸브
710: 제1포트라인 720: 제2포트라인
800: 인장측 제어밸브 810: 제3포트라인
820: 제4포트라인 900: 제어기
O: 유체

Claims (6)

  1. 피스톤 밸브에 의해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분할되는 실린더;
    일단이 상기 압축챔버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인장챔버에 연결되는 메인 연결라인;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설치되며, 일반모드 또는 회생모드로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반면, 엑티브모드로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로 유체를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모터 펌프;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인장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로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인장챔버와의 체적 차이를 보상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회생모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시와 엑티브모드로 인장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체크밸브와 인장측 체크밸브; 및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각각 연결되며, 액티브모드로 압축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제어밸브와 인장측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측 제어밸브는,
    입측 포트에 연결된 제1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고, 출측 포트에 연결된 제2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인장측 제어밸브는,
    입측 포트에 연결된 제3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모터 펌프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고, 출측 포트에 연결된 제4포트라인에 의해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2. 삭제
  3. 피스톤 밸브에 의해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분할되는 실린더;
    일단이 상기 압축챔버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인장챔버에 연결되는 메인 연결라인;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설치되며, 일반모드 또는 회생모드로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반면, 엑티브모드로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로 유체를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모터 펌프;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인장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로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인장챔버와의 체적 차이를 보상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회생모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시와 엑티브모드로 인장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체크밸브와 인장측 체크밸브; 및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각각 연결되며, 액티브모드로 압축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제어밸브와 인장측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에는,
    피스톤 체크밸브가 더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체크밸브는,
    압축 행정시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고, 인장 행정시 차단되어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가 개방된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4. 피스톤 밸브에 의해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분할되는 실린더;
    일단이 상기 압축챔버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인장챔버에 연결되는 메인 연결라인;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설치되며, 일반모드 또는 회생모드로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반면, 엑티브모드로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로 유체를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모터 펌프;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인장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로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인장챔버와의 체적 차이를 보상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회생모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시와 엑티브모드로 인장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체크밸브와 인장측 체크밸브; 및
    상기 압축챔버 및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모터 펌프의 사이 구간에 위치된 상기 메인 연결라인에 각각 연결되며, 액티브모드로 압축 행정시 개방되는 압축측 제어밸브와 인장측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측 체크밸브와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 방향으로만 개방되며,
    상기 인장측 체크밸브는,
    상기 메인 연결라인을 상기 압축챔버 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펌프는,
    엑티브 모드로 동작시 상기 압축챔버 또는 상기 인장챔버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펌프에는,
    회생모드로 동작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KR1020160144684A 2016-11-01 2016-11-01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KR10255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84A KR102551481B1 (ko) 2016-11-01 2016-11-01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84A KR102551481B1 (ko) 2016-11-01 2016-11-01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76A KR20180047876A (ko) 2018-05-10
KR102551481B1 true KR102551481B1 (ko) 2023-07-05

Family

ID=6218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84A KR102551481B1 (ko) 2016-11-01 2016-11-01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4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033A (ja) 1999-03-19 2000-09-26 Kayaba Ind Co Ltd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2009255785A (ja) * 2008-04-18 2009-11-05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電動アクティブダンパ
JP2012247055A (ja) 2011-05-31 2012-12-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9136A (ja) * 1974-09-30 1976-04-01 Tokyo Optical Reezagoshoshoshayogakukei
US9481221B2 (en) * 2013-01-08 2016-11-0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assive and active suspension with optimization of energy us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033A (ja) 1999-03-19 2000-09-26 Kayaba Ind Co Ltd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2009255785A (ja) * 2008-04-18 2009-11-05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電動アクティブダンパ
JP2012247055A (ja) 2011-05-31 2012-12-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76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6620B2 (ja) エネルギー利用の最適化を伴う受動的及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JP6169584B2 (ja) エネルギーを獲得する、受動的及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US8776961B2 (en) Shock absorber and suspension apparatus
CN108626294B (zh) 车辆减震器及其控制方法
US8820064B2 (en) Recuperating passive and active suspension
JP4894545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3875681B2 (ja) 左右分離型アンチロール装置
JP2007153173A (ja) ハイドロニューマチックサスペンション
CA2496949C (en) Center seeking suspension system
CN110573416A (zh) 悬挂装置及悬挂控制装置
KR102551481B1 (ko)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KR102532575B1 (ko)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KR102416935B1 (ko) 차량용 능동형 현가장치
JP2021099123A (ja) 緩衝器
KR101982267B1 (ko)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KR20180026248A (ko) 완충기의 능동 회생장치
JP6675923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6143098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916591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3176839A (ja) 減衰力可変シヨツクアブソ−バ装置
KR20180038277A (ko) 능동 회생 완충기의 요구 토크 산출방법
JP201719692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60069792A (ko) 차량용 에어 스프링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