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052B1 -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052B1
KR102549052B1 KR1020197036805A KR20197036805A KR102549052B1 KR 102549052 B1 KR102549052 B1 KR 102549052B1 KR 1020197036805 A KR1020197036805 A KR 1020197036805A KR 20197036805 A KR20197036805 A KR 20197036805A KR 102549052 B1 KR102549052 B1 KR 10254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etermined
phase
phase currents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785A (ko
Inventor
마르코 뢰처
울리히 폴머
미하엘 벤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1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02P6/183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using an injected high frequency sign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22Synchronous motors
    • H02P25/024Synchronous motors controlled by supply frequency
    • H02P25/026Synchronous motors controlled by supply frequency thereby detecting the rotor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ia, ib, ic)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정해진 PWM 주기에 인가되는 주입 전압이 결정된다. 또한, 위상 전류 벡터에 대한 평가 방향이 결정되고, 개별 위상 전류들(ia, ib, ic)에 대한 전류 측정의 분할이 평가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 후, 위상 전류들(ia, ib, ic)은 이전에 결정된 전류 측정의 분할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본 발명은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P. Landsmann 등의 학술 논문 ["Silent injection for slaiency based sensorless controll by means of current oversampling", 산업 기술(ICIT), 2013년 IEEE 국제 회의, 398-403 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가 결정됨으로써 위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기계의 로터 위치를 결정하려고 하는 센서리스 제어부가 제시된다. 이 경우, 저속에서는, 기계의 자기 이방성을 통해 로터 위치를 결정하는 소위 이방성 기반 방법이 사용된다.
고가속(high dynamic) 구동에서는, 일반적으로 펄스 폭 변조(PWM) 방식 인버터가 전기 기계의 조절 가능한 위상 전압의 생성을 위해 사용된다. 인버터의 제어 신호는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인가될 전압 페이저를 PWM 듀티 사이클로 환산하는 공간 페이저 변조에 의해 계산된다. 예를 들어, S. Kim의 학술 논문 ["PWM Switching Frequency Signal Injection Sensorless Method", IPMSM, 2012년,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이방성 기반 방법에서, 적절한 시점에 전류 측정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 의존적 전류 변화는 전압 페이저의 의도된 변화에 의해 발생된다. 이 경우, 변수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전압은 예를 들어 고주파 전압과 중첩된다.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전류 변화는 상응하는 로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된 전류 센서 및 사용된 PWM 제어부에 따라, PWM 주기 당 위상 전류는 인버터 PWM 동기의 하나 또는 2개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에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의 로우 사이드 경로에서 션트 측정의 경우, 2개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 중 하나에서만 위상 전류가 측정될 수 있다면, 가능한 많은 전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를 시간상 최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2개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에서 위상 전류가 측정될 수 있다면, 2개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들이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야 한다.
개별 위상 전류를 오버 샘플링함으로써, 간섭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위상 전류의 신호 대 잡음비가 예를 들어 P. Landsmann의 학술 논문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버 샘플링은 인버터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 내에서 위상 전류가 연속적으로 여러 번 측정되고 그 후 측정된 전류 값이 평균화되어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한 최종 값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결정된 위상 전류는 예를 들어 스테이터 고정(stator fix), 로터 플럭스 중심(rotor flux oriented) 또는 주입 전압 중심(injection voltage oriented) 좌표계로 형성될 수 있는 2 차원 대체 시스템으로 변환될 수 있다. 고주파 전류 성분을 기본파 전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복조 방법이 그 후 실시될 수 있다. 그 후 고주파 전류 성분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로터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전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및 전기 기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기계는 예를 들어 영구 자석 동기 기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제어기 샘플링 주기 동안 한 시점에서 주입 전압들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입 전압들이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에서 상기 시점 후에 전기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상기 결정 단계,
b. 단계 a에서 결정된 주입 전압들 및/또는 전기 기계의 동작점 및/또는 위상 전류 벡터의 온도 의존성에 기초하여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 벡터의 평가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결정된 평가 방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 내에서 인버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하는 전기 기계의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한 각각의 전류 측정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결정된 각각의 전류 측정 횟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에서 전기 기계에 흐르는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위상 전류들이 일반적으로 상이한 정보 내용을 갖는다. 이 정보 내용은 2차원 좌표계에서 방향에 의존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정보 내용은 주입 전압에 의해 야기되는 고주파 전류 변화 내에 있고 상기 고주파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전기 기계의 로터 위치가 추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상 전류 벡터는 예를 들어 로터 위치 에러와 관련이 있다.
평가 방향이 전류 측정의 분할의 결정시 함께 포함되도록 개별 위상 전류들에 대한 전류 측정 횟수가 결정됨으로써, 최대 정보 내용을 가진 위상 전류가 가장 빈번하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상 전류에 대해 신호 대 잡음비가 다시 개선될 수 있고, 이로써 이 위상 전류에 있는 정보는 더 작은 에러로 결정될 수있다.
평가 방향은 최대 정보 내용을 가진 위상 전류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고주파 전류 변화가 가장 큰 방향을 갖는 위상 전류이다.
또한, 전기 기계의 포화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자석 온도를 결정하는 방법에서, 위상 전류 벡터가 가능한 큰 온도 의존성을 갖는 평가 방향이 선택됨으로써 신호 대 잡음비가 개선될 수 있다.
제어기 샘플링 주기는 전기 기계에 인가될 주입 전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2개의 제어기 샘플링 단계들 사이의 지속 시간을 의미한다. 주입 전압은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다. 주입 전압은 상응하는 기본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기계의 제어를 위해 제어기에 의해 사전에 주어진 전압 및 추가의 고주파 전압으로 이루어진다. 기본파 전류는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속도 또는 사전에 주어진 토크로 기계의 소정 작동을 보장한다. 또한 고주파 전압에 의해, 예를 들어 위치 의존적 전류 변화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 전류 변화로부터 예를 들어 전기 기계의 로터 위치에 대한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본파 전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전류 제어부는 로터 위치 추정 또는 온도 추정보다 잡음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위상 전류 당 전류 측정 횟수의 조정은 상기 전류 제어부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조금 저하시킨다. 개선된 신호 대 잡음비는 이러한 이방성 기반 방법에서 또한 잡음 발생을 줄인다.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한 전류 측정 횟수의 결정은 이전에 결정된 평가 방향에 기초하고 예를 들어 일반적 클라크(Clarke) 변환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이로써 최대 정보 내용을 가진 위상 전류에 대해 최대 전류 측정 횟수가 결정된다.
여기서, 전류 측정은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한 전류 값을 얻을 수 있도록, 각각 하나의 위상 전류가 적어도 하나의 전류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전류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변환기)에 의해 샘플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AD 변환기가 각각의 전류 센서를 샘플링할 수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인버터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는 인버터의 모든 하이 사이드 트랜지스터 또는 인버터의 모든 로우 사이드 트랜지스터가 전도성인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단계 c에서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해 결정된 전류 측정 횟수는, 모든 위상 전류들의 합에 있어서 인버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 내에서 가능한 최대 전류 측정 횟수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전류 측정을 위한 기간이 상응하는 위상 전류의 신호 대 잡음비를 더 최적화하기 위해 최대화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 내에서 가능한 최대 전류 측정 횟수는 특히 수동적 스위칭 상태 자체의 지속 시간뿐만 아니라 AD 변환기의 샘플링 레이트의 지속 시간 및 그 데드 타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d에서, 위상 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수의 AD 변환기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단 하나의 AD 변환기로 실시한 것보다 전체적으로 더 많은 전류 측정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위상 전류의 신호 대 잡음비가 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위상 전류의 결정은 다수의 AD 변환기가 적어도 하나의 위상 전류를 시간상 서로 오프셋되게 샘플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측정시 기존의 간섭이 중복되게 검출되지 않는다.
시간상 오프셋은 다수의 AD 변환기들에 의한 각각의 위상 전류의 검출을 위한 시점들이 동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AD 변환기의 변환 시간의 일부 만큼 샘플링 시점의 오프셋은 이미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d에서, 전류 측정이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의 중간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의 중간은 전류 측정의 측정 시점이 수동적 스위칭 상태의 시간상 중간에서 실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측정 시점이 수동적 스위칭 상태의 중간에, 그에 따라 PWM 시작에 또는 중심에 센터링된 PWM 제어의 경우 PWM 중간에 놓이면, 측정된 위상 전류에 대한 PWM 제어의 영향이 무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단계 d에서, 각각의 위상 전류들의 전류 측정들이 서로 거울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위상 전류들이 수동적 스위칭 상태에서 거의 선형으로 강하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평균 측정 시점에 흐르는 모든 위상에 대한 위상 전류들은 각각의 위상 전류의 거울 대칭 샘플링 및 그 후 샘플링된 전류 값들의 평균화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거울 대칭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위상 전류가 측정되어야 하면, 먼저 제 1 위상 전류가 한 번 측정되고, 그 후 제 2 위상 전류가 한 번 측정되고, 그 후 다시 제 1 위상 전류가 한 번 측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c에서 방향과 관련해서 평가 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상 전류에 대한 전류 측정의 횟수가 O으로 결정되고, 이 위상 전류는 단계 d에서 나머지 위상 전류들에 기초하여 키르히호프의 제 1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방향과 관련해서 평가 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상 전류는 가장 적은 정보 내용을 갖는다. 이 위상 전류는 전혀 측정되지 않고 다른 위상 전류들로부터 계산된다. 이로써, 정보가 더 풍부한 나머지 위상 전류들에 대해 더 많은 전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상 전류들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가 더 개선될 수 있다. 방향과 관련해서 평가 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상 전류는 이 위상 전류에서 평가 방향을 가리키는 단위 벡터와 위상 전류 방향을 가리키는 단위 벡터의 스칼라 곱의 값이 가장 작기 때문에 규정된다. 이로써 위상 전류의 방향이 "축"으로서 간주될 수 있어서 항상 위상 전류의 반대 방향, 즉 방향 관련해서 위상 전류의 음의 값도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명료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d 후에, 단계 e 및 단계 f가 실행되고, 단계 e에서 클라크 변환은 단계 c에서 결정된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한 전류 측정 횟수에 기초하여 및/또는 단계 b에서 결정된 평가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단계 f에서 평가 방향의 위상 전류 벡터는 클라크 변환 및 단계 d에서 결정된, 전류 측정의 횟수가 0보다 큰 위상 전류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측정의 횟수가 0인 위상 전류가 계산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평가 방향의 전류 성분들이 특히 효율적으로 계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기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전기 기계는 회전식이며 다상으로 형성되고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된다. 전기 기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된다.
도 1은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위상 전류-시간 다이어그램 및 AD 변환기에 의해 실시되는 각각의 위상 전류의 전류 측정의 시점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다상 전기 기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방법에 의해,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3상 회전식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ia, ib, ic)이 결정된다. 결정된 위상 전류들(ia, ib, ic)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전기 기계의 로터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 처음에, 단계 a에서 제어기 샘플링 주기 동안 한 시점에서 주입 전압이 결정되고, 상기 주입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에 상기 시점 이후에 전기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인가된다. 주입 전압은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다. 주입 전압은 상응하는 기본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에 의해 사전에 주어진 전압, 및 추가로 고주파 전압으로 이루어진다. 기본파 전류는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속도 또는 사전에 주어진 토크로 기계의 소정 작동을 보장한다. 고주파 전압에 의해 예를 들어 위치 의존적 전류 변화가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류 변화로부터 예를 들어 전기 기계의 로터 위치에 대한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단계 b에서, 평가 방향은 단계 a에서 결정된 주입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평가 방향은 예를 들어, 변수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전압에 추가로 공급되는 고주파 전압 주입의 방향에 맞추어 조정된다. 이는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전류 변화가 상응하는 로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이고, 전류 변화의 방향은 고주파 전압 주입의 방향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로터 위치 정보가 위상 전류(ia)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위상 전류(ia)의 방향은 위상 전류 벡터에 대한 평가 방향으로서 결정된다.
단계 b 이후, 단계 c에서 3개의 위상 전류(ia, ib, ic) 각각에 대해 얼마나 많은 전류 측정이 인버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 내에서 실시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이는 단계 b에서 결정된 평가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단계 b에서, 평가 방향이 예를 들어 위상 전류(ia)의 방향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위상 전류(ia)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를 최적화하기 위해 위상 전류(ia)에 대한 전류 측정의 횟수가 최대화된다. 또한, 위상 전류(ib)에는 전류 측정의 횟수로서 1 만이 할당될 수 있고, 위상 전류(ic)에는 전류 측정의 횟수로서 0이 할당될 수 있다. 최대 전류 측정 횟수는 예를 들어 AD 변환기의 샘플링 시간과 그 데드 타임에 의존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수동적 스위칭 상태마다, 개별 위상 전류들(ia, ib, ic)로 상응하게 분배될 수 있는 제한된 횟수의 전류 측정만이 실시될 수 있다.
그 후, 단계 d에서 위상 전류들(ia, ib, ic)이 결정되며, 이 결정은 단계 c에서 결정된 각각의 전류 측정의 횟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상 전류(ib)의 일회 전류 측정은 위상 전류 벡터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하다. 전술했듯이, 위상 전류(ic)에 대해서는 이 경우 전류 측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위상 전류(ic)는 예를 들어 키르히호프의 제 1 법칙에 의해 위상 전류(ia) 및 위상 전류(ib)로부터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ic = -ia - ib
선택적으로, 단계 d 후에, 단계 e 및 단계 f가 실행될 수 있다. 단계 e에서, 클라크 변환이 단계 c에서 결정된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한 전류 측정 횟수에 기초하여 또는 단계 b에서 결정된 평가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 후 단계 f에서, 평가 방향의 위상 전류 벡터는 단계 f에서 결정된 클라크 변환 및 단계 d에서 결정된 전류 측정의 횟수가 0보다 큰 위상 전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평가에 사용된 클라크 변환은 위상 전류 ia 및 ib에만 의존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위상 전류-시간 다이어그램 및 AD 변환기에 의해 실시된 각각의 위상 전류들의 전류 측정의 시점들이 도시된다.
시간(t)에 대한 위상 전류들(ia 및 ib)의 프로파일이 도시된다. 또한, PWM 주기(10)의 지속 시간이 도시되고, PWM 주기(10)는 PWM 시작(11) 및 PWM 중간(12)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AD 변환기(AD1) 및 제 2 AD 변환기(AD2)의 샘플링 거동이 도시되고, 제 1 및 제 2 AD 변환기(AD1 및 AD2)는 필요한 경우 전류 센서를 통해 모든 위상 전류들(ia, ib, ic) 각각을 샘플링할 수 있다. 전류 측정은 이 경우 PWM 시작(11) 및 PWM 중간(12)에서 실시된다.
도 1에 기술되듯이, 위상 전류(ia)는 최대 정보 내용을 갖기 때문에 최대로 자주 측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AD 변환기(AD1)에 의해 PWM 시작(11) 주위에서 위상 전류(ia)는 2회 샘플링되고 위상 전류(ib)는 1회만 샘플링되며, 이로써 전류 값들(ia(0), ib(0) 및 ia(1))이 얻어진다. 이와 달리, 제 2 AD 변환기(AD2)에 의해서는 위상 전류(ia)만이 PWM 시작(11) 주위에서 측정되므로 전류 값들(ia(2), ia(3) 및 ia(4))이 얻어진다.
위상 전류들(ia 및 ib)은 제 1 AD 변환기(AD1)에 의해 서로 거울 대칭으로 샘플링된다. 따라서, 위상 전류(ia)의 두 측정들은 위상 전류(ib)의 측정을 프레임 화한다. 또한 AD 변환기들(AD1 및 AD2)은 서로 약간 오프셋되게 샘플링한다.
AD 변환기들(AD1, AD2)에 의한 전류 측정의 실시 및 분할은 후속하는 PWM 주기의 PWM 중간(12) 주위 및 PWM 시작 주위에서 상응하게 반복된다.
최종적으로 위상 전류들(ia, ib, ic)을 결정하기 위해, 위상 전류(ia)에 대해 검출된 전류 값들(ia(0), ia(1), ia(2), ia(3) 및 ia(4))이 평균화된다. 또한, 위상 전류(ib)에 대해 검출된 전류 값(ib(0))이 사용되고, 위상 전류(ic)는 키르히호프의 제 1 법칙에 의해 평균화된 위상 전류(ia) 및 위상 전류(ib)로부터 계산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다상 전기 기계(10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전기 기계(100)는 스테이터-로터 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로터 유닛(110)는 예를 들어 B6 브리지로서 형성될 수 있는 인버터(120)에 의해 공급된다. 인버터(120)는 PWM 생성 유닛(13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PWM 생성 유닛(130)은 전류 제어기(140)로부터 수신된 설정 값을 상응하는 PWM 듀티 사이클로 변환한다. 전류 제어기(140)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스테이터-로터 유닛(110)의 위상 전류들(ia, ib, ic)을 샘플링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전기 기계(100)는 위상 전류들(ia, ib, ic)이 예를 들어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결정되도록 전류 조절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처리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ia, ib, ic 위상 전류
10 PWM 주기
100 전기 기계
120 인버터

Claims (9)

  1.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어기 샘플링 주기 동안 한 시점에서 주입 전압들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입 전압들은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10)에서 상기 시점 이후에 상기 전기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상기 주입 전압들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결정된 상기 주입 전압들, 상기 전기 기계의 동작점, 및 위상 전류 벡터의 온도 의존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 벡터의 평가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결정된 상기 평가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10) 내에서 상기 인버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하는 각각의 상기 위상 전류들에 대한 각각의 전류 측정의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결정된 상기 각각의 전류 측정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WM 주기(10)에서 상기 전기 기계에 흐르는 상기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각각의 위상 전류에 대해 결정된 상기 전류 측정의 횟수는, 모든 위상 전류들에 대한 합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 내에서 전류 측정의 최대 횟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위상 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상 전류가 다수의 AD 변환기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상 전류의 결정은 상기 다수의 AD 변환기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상 전류를 시간상 서로 오프셋되게 샘플링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전류 측정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동적 스위칭 상태의 중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각각의 위상 전류들의 전류 측정들이 서로 거울 대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평가 방향과 관련해서 상기 평가 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상 전류에 대해 전류 측정의 횟수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평가 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상 전류는 상기 단계 d에서 나머지 위상 전류에 기초하여 키르히호프의 제 1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후에, 단계 e 및 단계 f가 진행되고, 상기 단계 e에서, 클라크 변환이 상기 단계 c에서 결정된 각각의 상기 위상 전류들에 대한 전류 측정의 횟수 및 상기 단계 b에서 결정된 상기 평가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단계 f에서, 평가 방향의 위상 전류 벡터가 상기 클라크 변환 및 상기 단계 d에서 결정된, 그 전류 측정의 횟수가 0보다 큰 위상 전류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9. 전기 기계(100)로서, 회전식으로 그리고 다상으로 형성되고 PWM 제어 인버터(12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기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계(100)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
KR1020197036805A 2017-06-14 2018-04-18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KR102549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0071.0 2017-06-14
DE102017210071.0A DE102017210071A1 (de) 2017-06-14 2017-06-14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Phasenströmen einer mittels eines PWM-gesteuerten Wechselrichters gespeisten, rotierenden, mehrphasigen, elektrischen Maschine
PCT/EP2018/059865 WO2018228741A1 (de) 2017-06-14 2018-04-18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phasenströmen einer mittels eines pwm-gesteuerten wechselrichters gespeisten, rotierenden, mehrphasigen, elektrischen 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785A KR20200014785A (ko) 2020-02-11
KR102549052B1 true KR102549052B1 (ko) 2023-06-30

Family

ID=6200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805A KR102549052B1 (ko) 2017-06-14 2018-04-18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83378B2 (ko)
EP (1) EP3639362B1 (ko)
JP (1) JP2020524971A (ko)
KR (1) KR102549052B1 (ko)
CN (1) CN110720174B (ko)
DE (1) DE102017210071A1 (ko)
WO (1) WO2018228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8497A1 (de) * 2019-06-12 2020-12-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Rotorlage einer elektrischen, rotierenden Maschine sowie eine elektrische, rotierende Maschine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US11332029B2 (en) 2020-01-31 2022-05-17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 active short circuit condition in an electric motor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US11462920B2 (en) 2020-01-31 2022-10-04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 active short circuit condition in an electric motor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US11167644B2 (en) 2020-01-31 2021-11-09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otification of an active short circuit condition in an electric motor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341A1 (en) 2002-03-28 2005-09-22 Yin Ho Eddy Y Motor current reconstruction via DC bus current measurement
US20070200531A1 (en) 2003-05-30 2007-08-30 Valeo Equpements Electriques Moteur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circuit for a multimode electrical machine, and a multimode electrical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control circuit
JP2012095485A (ja) 2010-10-28 2012-05-17 Toyota Central R&D Labs Inc 回転電機制御システム
JP2012105440A (ja) 2010-11-09 2012-05-31 Corona Corp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6189648A (ja)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499B2 (ja) * 1989-05-19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JP3531701B2 (ja) * 1996-04-11 2004-05-3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
KR100322256B1 (ko) * 1998-09-18 2002-07-03 이종훈 공간전압벡터방식을이용한정지형여자시스템
CN1639957A (zh) * 2002-03-28 2005-07-13 国际整流器公司 经过直流总线电流测量的电动机电流重建
US7525269B2 (en) 2005-12-14 2009-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orless position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drive system
JP4722002B2 (ja) * 2006-09-26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Pwmインバータ制御装置及びpwmインバータ制御方法並びに冷凍空調装置
KR100839074B1 (ko) * 2006-12-26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전류센서를 사용한 3상 피더블유엠 인버터 시스템
JP4895121B2 (ja) * 2007-05-28 2012-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EP2405570B1 (en) * 2010-07-07 2018-03-21 Technische Universität Wi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inherent saliencies of ac machines
WO2012019669A2 (de) * 2010-08-10 2012-02-16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JP5968805B2 (ja) * 2013-02-28 2016-08-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モータ装置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
GB2512078A (en) * 2013-03-19 2014-09-24 Control Tech Ltd Control system for multi-phase rotary machines
JP6124723B2 (ja) * 2013-07-23 2017-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三相インバータの電流検出装置
CN104767433B (zh) * 2015-04-16 2016-04-27 曾菊阳 用于识别无感无刷电机初始位置的时变信号采样方法
JP6590457B2 (ja) * 2015-07-27 2019-10-16 株式会社Soken 車両駆動制御装置及び車両駆動制御方法
JP6341165B2 (ja) * 2015-09-01 2018-06-13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力変換装置、相電流検出装置および相電流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341A1 (en) 2002-03-28 2005-09-22 Yin Ho Eddy Y Motor current reconstruction via DC bus current measurement
US20070200531A1 (en) 2003-05-30 2007-08-30 Valeo Equpements Electriques Moteur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circuit for a multimode electrical machine, and a multimode electrical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control circuit
JP2012095485A (ja) 2010-10-28 2012-05-17 Toyota Central R&D Labs Inc 回転電機制御システム
JP2012105440A (ja) 2010-11-09 2012-05-31 Corona Corp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6189648A (ja)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WM Switching Frequency Signal Injection Sensorless Method in IPMSM (Sungmin Kim, Student Member, IEEE, Jung-Ik Ha, Member, IEEE, and Seung-Ki Sul, Fellow, IEEE) (2012)
Silent Injection for Saliency based Sensorless Control by means of Current Oversampling (P. Landsmann, D. Paulus, A. Dötlinger and R. Kennel Senior IEEE)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20174B (zh) 2023-03-07
KR20200014785A (ko) 2020-02-11
US11283378B2 (en) 2022-03-22
EP3639362A1 (de) 2020-04-22
EP3639362B1 (de) 2021-12-15
CN110720174A (zh) 2020-01-21
DE102017210071A1 (de) 2018-12-20
US20210408948A1 (en) 2021-12-30
JP2020524971A (ja) 2020-08-20
WO2018228741A1 (de)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052B1 (ko) Pwm 제어 인버터에 의해 공급되는 회전식 다상 전기 기계의 위상 전류들을 결정하는 방법
JP2007259675A (ja) 電力変換器システム
KR102070983B1 (ko) 집적 회로
Antonello et al. Benefits of direct phase voltage measurement in the rotor initial position detection for permanent-magnet motor drives
TWI462434B (zh) 旋轉機器之控制裝置及旋轉機器之電感測定方法
JP2018148778A (ja) 電動機の回転子の初期位置推定装置
JP6685452B1 (ja)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2004129410A (ja) 電動機の磁極位置推定装置および制御装置
Rosic et al. Analysis of torque ripple reduction in induction motor DTC drive with multiple voltage vectors
JP2014110755A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モータ駆動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
JP2019033582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Hassan et al. Sensorless sliding mode torque control of an IPMSM drive based on active flux concept
CN117280597A (zh) 电动机控制器从开环控制到闭环控制的自动转变
US9716462B2 (en) Method for actuating a brushless motor
Lee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hall effect sensorless control options in permanent magnet brushless DC motor drives
US11705841B2 (en) Estimation device and AC motor drive device
JP7147296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3111490A (ja) インバー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508021B2 (ja) モータ温度推定装置
Sagar et al. A Novel Position-Sensorless Control Scheme for Permanent Magnet Brushless DC Motor Using Virtual Rotor Position Once in a Cycle
JP2007082380A (ja) 同期モータ制御装置
CN110785923A (zh) 电机控制装置和电机控制方法
Lin et al. Model-free predictive current controller for four-switch three-phase inverter-fed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drive systems
US9935575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device
JP2017060341A (ja) オープン巻線システム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