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058B1 -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058B1
KR102547058B1 KR1020200186198A KR20200186198A KR102547058B1 KR 102547058 B1 KR102547058 B1 KR 102547058B1 KR 1020200186198 A KR1020200186198 A KR 1020200186198A KR 20200186198 A KR20200186198 A KR 20200186198A KR 102547058 B1 KR102547058 B1 KR 10254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cid
modified
film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708A (ko
Inventor
임춘삼
전미경
임종제
Original Assignee
(주)경성화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화인켐 filed Critical (주)경성화인켐
Priority to KR102020018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3/00Adhesives based on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금속층;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된 제2기재층; 및 상기 금속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65 내지 75℃의 용융 온도(Tm)를 갖는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을 통해, 고온(120°C이상) 안정성을 갖고, 높은 강도와 접착 지속성(Al/열접착층), 가스 베리어(Gas barrier)성, 실링(sealing)성, 내핀홀성, 내화학응력성 및 베리어성(High barrier)을 갖는 전지 포장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FILM FOR PACKAGING POLYMER CELL}
본 발명은 폴리머 전지용 포장재료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전지는 리튬2차전지로도 불려지며, 고분자 폴리머 전해질을 갖고, 리튬이온의 이동으로 전류를 발생하는 전지이다.
폴리머전지의 구성은 정극집전재료 /정극활성물질층/ 전해질층/ 부극활성물질층 /부극집전재료 및 이들을 포장하는 외장체로 이루어진다. 외장체를 형성하는 포장 재료로서 종래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원통 형상 또는 직방체 형상 등으로 용기화한 금속제관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금속제관은 용기 외벽이 단단하여 전지 자체의 형상이 한정되기 때문에 형상의 자유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포장 재료로서 다층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다층 필름의 경우에는 적어도 기재층, 알루미늄층, 및 열접착성 수지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층 필름은 프레스 가공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층 필름의 경우 내구성 면에서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경우, 축/방전시 발열로 인한 온도상승에 따른 내구성 저하와 탄산 프로필렌, 탄산 에틸렌, 탄산 디메틸, 탄산 디에틸, 또는 탄산 에틸 메틸 등의 비 프로톤성 용매와 같은 강 침투성 용매를 포함하는 고활성 전해질의 외부 유출에 따른 내구성 문제가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4,559,547호에서는 가스 베리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층과 열접착수지층과의 접착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산변성 폴리올레핀수지를 적용하고 있으나, 금속층과의 접착강도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접착강도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산변성폴리올레핀의 경우 용융 온도가 90°C 내지 110°C이다. 따라서 전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고온(120°C이상)에 견디지 못하고 박리가 일어나 전해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내구성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금속층과의 접착강도가 안정적이고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4,559,54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온(120°C이상) 안정성, 강도, 접착 지속성(Al/열접착층), 가스 베리어(Gas barrier)성, 실링(sealing)성, 내핀홀성, 내화학응력성, 및 베리어성(High barrier)이 우수한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된 제2기재층; 및 상기 금속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수적 산변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수적 산변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통해 고온(120°C이상) 안정성을 갖고, 높은 강도와 접착 지속성(Al/열접착층), 우수한 가스 베리어(Gas barrier)성, 실링(sealing)성, 내핀홀성, 내화학응력성, 및 베리어성(High barrier)을 갖는 전지 포장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된 제2기재층; 및 상기 금속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수적 산변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착층은 상술한 산변성 수지를 티-다이(T-Dies)압출 방식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션(Dry lamination)방식으로 가공하여 내열성이 우수하고 내핀홀성이 양호하며 알루미늄과의 접착강도가 우수한 전지 포장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지 포장용 필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기재층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프로락탐(나이론6), 폴리헥사 메틸렌 아디페이트(나이론6.6), 나이론6와 나이론6.6의 공중합체, 폴리라우릴락탐(나이론12), 폴리헥사메틸렌 세바카미드(나이론6.10), 또는 폴리(메타-자이렌 아디프아미드)(MXD6) 등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재층은 요구되는 물성, 예를 들어 내핀홀성 및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기재층을 적층화 할 경우, 제1기재층이 2층 이상의 수지층을 적어도 1개 포함하고, 각 층의 두께가 5㎛ 이상, 예를 들어 6 내지 50㎛, 10 내지 2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외부의 표면마찰성, 내열성, 유연성, 내구성, 절곡성, 베리어(Barrier)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물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 예에서, 제1기재층은 상기 기재층 재료들을 이축연신시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층은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격 및 접합 등의 가공성을 고려할 때,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베리어성, 내 핀홀(pin hole)성 및 가공성 면에서 우수한 금속이면 특별히 제안을 두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연질 알루미늄이나 철성분 함유량이 10wt%이하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철성분 함유량이 10wt%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층 경우 전해질과 수분에 의해 생성되는 불화수소로 인한 알루미늄 부식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층에 인산염 처리, 크롬산염 처리 지르코늄처리, 또는 티타늄처기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알루미늄에 처리할 경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알루미늄층과 열접착층의 접착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유기티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계, 아민계, 또는 폴리부타디엔계의 앵커코팅(Anchor coating)제를 사용하여 앵커코팅(Anchor coating)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20㎛의 두께가 바람직하며 금속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핀홀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120㎛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재료비 원가 부담이 클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층은 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수적 산변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
Figure 112020142726154-pat00001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는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또한 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는 예를 들어, 산변성 아크로니트릴-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에틸렌 고무, 산변성 Styrene- ethylene-butylene-styrene 고무, Styrene-isoprene-styrene 고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변성 수지의 극성 산성분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1wt% 내지 15wt%, 또는 4wt% 내지 10wt%이다. 이러한 극성 산성분 함유량이 0.01wt% 미만일 경우 금속층과 제2기재층과의 접착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15wt%를 초과할 경우 후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변성은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시트라콘산, 무수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또는 무수이타콘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을 통하여 도입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폴레올레핀 수지는 용제 내에서 그라프트 변성하여 산변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반응기 내에서 용제, 수지. 상기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 및 촉매를 혼합하고 적절한 압력과 온도하에서 산변기를 수지에 균일하게 그라프트하여 제조된 액상형태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제 내에서 산변기를 그라프트시킬 경우, 기존 방식인 고상 폴리머를 단순히 열을 이용하여 폴리머를 용융 혼합(Melting Compounding)하면서 산변기를 그라프트시킨 것에 대비하여 산변기가 균일하게 그라프트 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 금속층과의 접착강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반응기에서 사용되는 용제로는 에탄올, 메탄올, 시클로헥산, 노말핵산, 톨루엔, 밴젠, 순수, 디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에탄, 메탄올, 사염화탄소, 아세톤,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초산메틸, 크실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균일한 액상을 만드는 측면에서 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용제 내에서 산변성을 한 폴리올레핀은 65 내지 75℃의 용융 온도(Tm)를 갖는 점에서 용융 혼합하여 산변성을 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으로 산성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구별된다.
구체 예에서 산변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 다른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변성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프로필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같은 α-올레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프로필렌-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같은 α-올레핀-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부틸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BA)와 같은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부틸 고무(EBR),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 또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와 같은 일라스토머; 또는 아연 이오노머 또는 나트륨 이오노머와 같은 이오노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기재층은 상술한 제1기재층과 동일한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재와 유사하게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필름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기재층/금속층/접착층/제2기재층의 다층 구조 중 접착층/제2기재층 구조를 예를 들면 하기 1) 내지 15)와 같다.
1) 산변성 나이론층 / 폴리에틸렌층
2) 산변성 나이론층 / 폴리프로필렌층
3) 산변성 나이론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4) 산변성 PBT층 / 폴리에틸렌층
5) 산변성 PBT층 / 폴리프로필렌층
6) 산변성 PBT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7) 산변성 PET층 / 폴리에틸렌층
8) 산변성 PET층 / 폴리프로필렌층
9) 산변성 PET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0)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층 / 폴리프로필렌층
11)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층 / 폴리에틸렌층
12)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3)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에틸렌층 / 폴리프로필렌층
14)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에틸렌층 / 폴리에틸렌층
15)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에틸렌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제2기재 사이에 접착강화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전해질 용액의 베리어성을 높이고 내핀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접착강화층은 예를 들어 산변성 폴리 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 예에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층/접착강화층/제2기제층의 다층 구조를 예를 들면 하기 16) 내지 27)에 나타낸 바와 같다.
1) 산변성 나이론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2) 산변성 나이론층/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3) 산변성 나이론층/ 산변성 PP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4) 산변성 PB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5) 산변성 PBT층/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6) 산변성 PB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7) 산변성 PE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8) 산변성 PET층/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9) 산변성 PE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0)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PP /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11)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PP /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12)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PP/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3) 산변성 Butadiene 고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4) 산변성 Styrene-Butadiene 고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5) 산변성 Butadiene 고무/ 산변성 PP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31)산변성 Styrene-Butadiene 고무 / 산변성 PP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전지 포장용 필름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알루미늄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되고, 산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산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산변성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전지 포장용 필름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알루미늄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되고,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에틸렌 및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금속층과 접착층의 적층은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방법은 히팅(heating)된 롤(roll)을 이용하여 금속층과 접착층에 압력을 주어 열융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는 티-다이(T-Dies)압출기로 접착층 수지를 압출하면서 금속층과 열융착시키는 방법이다. 그 외 금속층과 접착층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을 통해서도 적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기재층을 금속층과 접합하는 방식은 일액형 또는 이액형으로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법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경화형태의 폴리우레탄계, 폴리실콘계, 용제 내에서 산변성 그라프트시킨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용제 내에서 산변성 그라프트시킨 산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 아크릴계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와 비교예 1 내지 3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층의 성분을 3-레이어(layer) 공압출 방식 또는 티-다이 다층공압출 방식으로 접착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기재층은 이축연신 나이론으로 나이론6.6을 두께 15㎛로 사용하였고, 금속층은 철성분 함유량 1%인 알루미늄 40㎛, 접착층은 20㎛의 두께로, 제2기재층은 티-다이 캐스트로 가공한 폴리프로필렌을 40㎛ 두께로 적층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제2기재 사이에 접착강화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전해질 용액의 베리어성을 높이고 내핀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접착강화층은 예를 들어 산변성 폴리 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 예에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층/접착강화층/제2기제층의 다층 구조를 예를 들면 하기 16) 내지 27)에 나타낸 바와 같다.
1) 산변성 나이론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2) 산변성 나이론층/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3) 산변성 나이론층/ 산변성 PP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4) 산변성 PB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5) 산변성 PBT층/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6) 산변성 PB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7) 산변성 PE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8) 산변성 PET층/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9) 산변성 PET층/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0)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PP /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층
11)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PP / 산변성 PP층 / 폴리프로필렌층
12)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PP/ 산변성 PP층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3) 산변성 Butadiene 고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4) 산변성 Styrene-Butadiene 고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15) 산변성 Butadiene 고무/ 산변성 PP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31)산변성 Styrene-Butadiene 고무 / 산변성 PP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혼합층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전지 포장용 필름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알루미늄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되고, 산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산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산변성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전지 포장용 필름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알루미늄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되고,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에틸렌 및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금속층과 접착층의 적층은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방법은 히팅(heating)된 롤(roll)을 이용하여 금속층과 접착층에 압력을 주어 열융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는 티-다이(T-Dies)압출기로 접착층 수지를 압출하면서 금속층과 열융착시키는 방법이다. 그 외 금속층과 접착층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을 통해서도 적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기재층을 금속층과 접합하는 방식은 일액형 또는 이액형으로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법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경화형태의 폴리우레탄계, 폴리실콘계, 용제 내에서 산변성 그라프트시킨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용제 내에서 산변성 그라프트시킨 산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 아크릴계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와 비교예 1 내지 3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층의 성분을 3-레이어(layer) 공압출 방식 또는 티-다이 다층공압출 방식으로 접착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기재층은 이축연신 나이론으로 나이론6.6을 두께 15㎛로 사용하였고, 금속층은 철성분 함유량 1%인 알루미늄 40㎛, 접착층은 20㎛의 두께로, 제2기재층은 티-다이 캐스트로 가공한 폴리프로필렌을 40㎛ 두께로 적층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기재층 금속층 접착층 접착강화층 제2기재층 접착방식
실시예 1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나이론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실시예 2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PBT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실시예 3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PET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실시예 12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 Butadiene 고무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실시예 13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Styrene-Butadiene 고무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실시예 14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Styrene-Butadiene 고무 : 70%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 30%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비교예 1 이축연신 나이론 AL 폴리에틸렌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비교예 2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비교예 3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T-Dies 다층공압출기
이축연신 나이론 나이론 66 수지 (상품명: 코오롱프라스틱 KP3355 )
AL 철성분 함유량 1%인 알루미늄
산변성 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코오롱 프라스틱 KP513)에 무수말레인산 5%를 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SK케미칼 BB8055)에 무수말레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나이론 나이론66제품(상품명: 코오롱프라스틱 KP3355 )에 무수말레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접착강화제 폴리프로필렌(상품명: 롯데케미칼 SFC-550)에 무수말레인산 2%를 그라프트한 제품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필렌(상품명:롯데케미칼 UF315)제품
산변성 폴리 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필렌(상품명:롯데케미칼 UF315)제품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폴리 프로필렌: 호모폴리프로필렌(상품명: 롯데케미칼 SFC-550) 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Butadiene 고무 무늬점도 43의 제품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Styrene-Butadiene 고무
스타일렌 함량 23.5%의 제품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5% 폴리프로필렌 분자량 50000-100000되는 폴리프로필렌(PP) and α-olefine, random copolymer을 시클로헥산 용제 내에서 용액반응법으로 무수말레인산을 폴리머 대비 5중량부 되도록 반응하여 그라프트시킴.
- 내 핀홀성 -
상온(23℃)에서 100회 스트레스(접었다 폈다를 반복)를 가한 후, 내핀홀성(코팅된 면적 1m2당 핀홀의 수)을 측정하고 표 2에 나타내었다.
- 박리온도 -
노화 오븐(Aging Oven)기를 통해 온도를 5℃ 간격으로 승온하면서, 금속층과 제2기재층간의 박리온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내핀홀성 박리온도
실시예1 0 195℃
실시예2 0 185℃
실시예3 0 200℃
실시예12 0 210℃
실시예13 0 210℃
실시예14 0 200℃
비교예 1 100 120℃
비교예 2 10 120℃
비교예 3 15 14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변성 나이론과 산변성 PBT수지 및 산변성 PET,산변성 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로 알루미늄과 열접착한 실시예 1 내지 3, 12,13,14에서는 핀홀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산변성 에틸렌, 산변성 폴리에틸렌,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각각 100개, 10개, 15개의 핀홀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내핀홀성이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박리온도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 12, 13, 14의 박리온도가 180℃이상을 유지하는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150℃이상이 되면 모두 박리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유기용제의 베리어(barrier)성 측정(투습도)-
금속층이 포함이 안된 제2기재층을 ASTM E96 CaCl2법에 의하여 유기용제의 베리어성(투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두께 (㎛) 초산에틸 메틸에틸케톤
(MEK)
n-핵산 4염화탄소
실시예 1 70 2.5 1.0 0.2 0.1
실시예 2 75 1.5 2.0 0.3 0.2
실시예 3 75 1.0 1.5 0.2 0.15
실시예12 75 35 30 45 47
실시예13 75 30 25 40 42
실시예14 75 40 35 80 100
비교예 1 85 350 230 2370 4150
비교예 2 85 357 235 2385 4165
비교예 3 80 76.6 55.4 785 203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유기용제 베리어성이 비교예 1 내지 3, 12, 13,14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유기용제 베리어성(투수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금속층/접착층의 접착강도 -
알루미늄층을 축에 고정시키고, 열접착층 필름을 분당 50mm 속도로 잡아 당겨 접착강도(N/15mm)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성형성(Deep drawing)-
시편 : 가로 * 세로 = 140mm * 170mm를 채취후
Pressure/Time = 0.382MPA/5sec로 가압하여 늘어난 깊이를 측정하였다.
구분 알루미늄/열접착층 접착강도
(N/15mm)
성형성
(deep drawing)
실시예1 35 6.7이상
실시예2 31 6.7이상
실시예3 33 6.7이상
실시예12 30 7.0이상
실시예13 31 7.0이상
실시예14 29 7.0이상
비교예1 0.5 5.0
비교예2 25 6.0
비교예3 20 6.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 12, 13,14이 비교예 1 내지 3 대비 최소 50% 이상의 접착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금속층과의 접착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성형성 또한 실시예 1 내지 3, 12, 13, 14이 비교예 1 내지 3 대비 10%이상의 성형성(deep drawing)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음.또한 실시예 1내지3보다는 실시예 12,13,14가 성형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와 비교예 1 내지 3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각 층의 성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 또는 티-다이 다층공압출 방식으로 접착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기재층은 이축연신 나이론으로 나이론66을 두께 15㎛로 사용하였고, 금속층은 철성분 함유량 1%인 알루미늄 40㎛, 접착층은 20㎛의 두께로, 제2기재층은 티-다이 캐스트로 가공한 폴리프로필렌을 40㎛ 두께로 적층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7 , 15, 16, 17 및 비교예 4]
실시예 4 내지 7, 15, 16, 17과 비교예 4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각 층의 성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 또는 티-다이 다층 공압출 방식으로 접착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기재층에 사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두께는 12㎛, 이축연신 나이론의 두께는 15㎛이고, 금속은 40㎛의 두께로 드라이 라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제1기재층과 금속층을 접착한 후, 금속층과 제2기재층에 대해서는, 티-다이 열접착 하였다. 이때 사용된 실시예 4와 5의 접착층과 제2기재층의 제품두께는 합하여 70㎛의 두께로 가공하였다.
제1기재층 금속층 접착층 접착 강화층 제2기재층 압출방식
(AL층/열접착층/
접착층/최내수지층)
실시예 4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산변성 5% 나이론 접착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T-Dies
압출가공
실시예 5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산변성 5% PBT 접착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T-Dies
압출가공
실시예 6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5%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Dry lamination
실시예 7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5% 폴리프로필렌 접착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T-Dies압출가공
실시예 15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 Butadiene 고무 접착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T-Dies압출가공
실시예 16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Styrene-Butadiene 고무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Dry lamination
실시예 17 이축연신 나이론 AL 산변성Styrene-Butadiene 고무 : 70%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 30%
-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Dry lamination
비교예 4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산변성 5% 폴리프로필렌 접착층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T-Dies압출가공
산변성 5% 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코오롱 프라스틱 KP513)에 무수말레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5%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SK케미칼 BB8055)에 무수말레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 나이론 나이론66제품(상품명: 코오롱프라스틱 KP3355 )에 무수말레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프로필렌(상품명: 롯데케미칼 SFC-550) 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접착층 용융지수 8인 호모PP((상품명: 롯데케미칼 SFC-750)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를 이용하여 무수말레인산 5%를 그라프트한 폴리프로필렌제품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5% 폴리프로필렌 분자량 50000-100000되는 폴리프로필렌(PP) and α-olefine, random copolymer을 시클로헥산 용제 내에서 용액반응법으로 무수말레인산을 폴리머 대비 5중량부 되도록 반응하여 그라프트시킴.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필렌(상품명:롯데케미칼 UF315)제품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프로필렌(상품명: 롯데케미칼 SFC-550)
산변성 Butadiene 고무 무늬점도 43의 제품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산변성Styrene-Butadiene 고무 스타일렌 함량 23.5%의 제품에 무수말렉인산 5%를 트윈 컴파운드(Twin Compound)기기로 그라프트한 제품
- 내환경응력성-
내환경응력성인 ESCR((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Resistance)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차전지 전해질로 사용 되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를 온도 40°C 가 되도록 항온 베스(Bath)를 만들고, 상기 항온 베스에 알루미늄과 열융착한 상기 실시예 4 내지 7, 15,16,17 비교예 1 및 비교예 4를 함침시킨 후, 50% 가 박리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내화학응력성
(ESCR성)
비교예 1 24hr
비교예 4 540hr
실시예 4 920hr이상
실시예 5 920hr이상
실시예 6 920hr이상
실시예 7 920hr이상
실시예 15 920hr이상
실시예 16 920hr이상
실시예 17 900hr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층으로 산변성 나이론, 산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5% 폴리프로필렌을 각각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7,15,16,17이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비교예 1과 비교예 4에 비하여, 최대 38배 이상의 내환경응력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용제 내에서 산변성을 실시한 용융 온도(Tm)가 65 내지 75℃인 산변성 5%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실시예 6과 실시예 7이 일반적인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비교예 4 대비 약 1.7배의 내환경응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H) 가 5wt% 그라프트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수지 80중량부에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XXON사의 상품명:ESCOR 5100)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기(twin extruder)로 박막을 만들고, 이를 준비된 40㎛ 알루미늄(AL)층에 티-다이(T-Dies)압출기를 이용하여 열융착한 후, 박리하여 80㎛의 두께의 열접착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H) 가 5wt% 그라프트된 나이론 (polyamide)수지 80중량부에 EMMA(메타크릴산 메틸-에틸렌 공중합체)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H) 가 1.5wt% 그라프트된 산변성 폴리에틸렌수지(LLDPE)를 압출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H)가 5wt% 그라프트된 산변성 폴리에틸렌 수지(HDPE)를 압출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 가스베리어성(가스투과도)-
실시예 8과 실시예 9 및 비교예 5, 비교예 6에서 제조한 필름에 대하여, 시바타가가쿠고오교(Shibata Kagaku Kogyou Co., Ltd.)제 가스 투과도 측정 장치(S-69형 160ml)를 (ASTM D 3985에 따른 산소투과도 측정방법) 이용하여, 23℃의 온도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실시예 두께 가스 투과도(cc/m2/atm/24hr)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MEK(메틸에틸케톤)
비교예 5 80㎛ 4500 800 17000 4500
비교예 6 80㎛ 2100 420 8300 2100
실시예 8 80㎛ 35 15 200 35
실시예 9 80㎛ 40 20 250 40
접착층만 필름으로 가공하여 가스베리어성(가스투과도)를 측정한 수치임
표 7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이나 나이론(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실시예 8과 실시예 9는 접착층으로 산변성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LLDPE)인 비교예 5에 비하여 가스 베리어성과 유기용제(MEK) 베리어성 모두 약 40배 이상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접착층으로 산변성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HDPE)인 비교예 6에 비하여도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층과 접착층 또는 제2기재층이 접합된 필름을 폴리머전지용 포장재료로 사용할 경우 장기적인 사용시의 내구성을 구비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0 내지 11]
실시예 10와 11은 접착층으로 하기 표 8에 나타낸 5 중량부의 산변성 함유량을 갖는 산변성 나이론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재를 제조하였고, 실시예 10에서는 금속층에 앵커코팅제로 엑폭시 실란(상표명 GLYMO)을 앵커코팅(Anchor coating)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제1기재층 금속층 접착층 접착강화층 제2기재층 압출방식
실시예 10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산변성 5% 나이론 폴리올레핀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실시예 11 PET/이축연신 나이론 AL층+ 앵커코팅 처리 산변성 5% 나이론 폴리올레핀과 폴리프로필렌 각 50%혼합층
산변성 나이론 나이론6.6 제품(상품명:코오롱프라스틱 KP3355)에 무수말레인산 5%를 그라프트한 제품
구분 내핀홀성
(100회)
알루미늄/내층 접착강도
(N/15mm)
실시예10 0 34
실시예11 0 38
상기 표 8는 실시예 10와 실시예 11에 대한 내핀홀성, 알루미늄/내층 사이의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값으로 내핀홀성과 접착강도의 측정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에 앵커코팅(Anchor coating) 처리시 접착강도가 10% 더 개선됨을 알 수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내전해액성 평가 test -
내전해액성 측정을 위해 파우치 시험편 폭 15mm, 길이 150mm로 채취하여 표준전해액에 함침한 후 65℃ 조건에서 일주일간 알루미늄과 접착층간 접착강도 측정
UTM을 이용하여 속도 300mm/min 조건으로 T형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평가방법은 ASTM D1876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10에 나타내었다.
구분 알루미늄/접착층 내전해액성 강도(N/15mm)
1Days 7Days
실시예 1 10.9 10.8
실시예2 11.2 10.9
실시예3 9.5 9.0
실시예12 14.5 14.8
실시예13 15.0 15.1
실시예14 14.0 14.0
비교예1 0.2 0.0
비교예2 5.0 4.0
비교예3 9.8 9.5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 12, 13,14이 비교예 1 내지 3 ,12,13,14 대비 최소 60% 에서 최대 2배 이상의 내전해액성 접착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1,2,3보다는 실시예 12,13,14에서 내전해액성강도가 40%정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욱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내전해액성강도가 떨어지기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 내측에 배치된 제2기재층; 및
    상기 금속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용제 내에서 산성분이 그라프트 변형된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기재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 전지 포장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알루미늄층인 전지 포장용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층은 부식방지 처리 또는 앵커코팅 처리된 전지 포장용 필름.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의 산성분 함유량은 0.01wt% 내지 15wt%인 전지 포장용 필름.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2기재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2기재층 및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강화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강화층은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
  14.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이론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필름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된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내측에 배치된 알루미늄층;
    상기 알루미늄층 내측에 배치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및 제2기재층 사이에 배치되고, 용제 내에서 산성분이 그라프트 변형된 산변성 스타일렌(Styrene)-부타다이엔(Butadiene) 고무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지 포장용 필름.
KR1020200186198A 2020-12-29 2020-12-29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KR102547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198A KR102547058B1 (ko) 2020-12-29 2020-12-29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198A KR102547058B1 (ko) 2020-12-29 2020-12-29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708A KR20220094708A (ko) 2022-07-06
KR102547058B1 true KR102547058B1 (ko) 2023-06-23

Family

ID=8240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198A KR102547058B1 (ko) 2020-12-29 2020-12-29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28B1 (ko) * 2022-12-29 2023-11-16 율촌화학 주식회사 필름 스트레스 지수가 조절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322A (ja) 2003-10-07 2005-04-28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用包装材料及び非水電解質電池
JP2010092631A (ja) 2008-10-06 2010-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JP2011060501A (ja) * 2009-09-08 2011-03-24 Toppan Printing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包装材
KR101406982B1 (ko) * 2013-06-17 2014-06-13 (주)경성화인켐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547B2 (ja) 1998-02-05 2010-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ケース用シート
TWI511351B (zh) * 2010-10-14 2015-12-01 Toppan Printing Co Ltd 鋰離子電池用外裝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322A (ja) 2003-10-07 2005-04-28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用包装材料及び非水電解質電池
JP2010092631A (ja) 2008-10-06 2010-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JP2011060501A (ja) * 2009-09-08 2011-03-24 Toppan Printing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包装材
KR101406982B1 (ko) * 2013-06-17 2014-06-13 (주)경성화인켐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708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010B1 (ko) 성형용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8701778B (zh) 电池用包装材料、其制造方法和电池
WO2015033958A1 (ja) 電池用包装材料のシーラント層用の樹脂組成物
JP5704202B2 (ja) 電池用包装材料
WO2020153458A1 (ja) 全固体電池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
JP6690393B2 (ja)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9203A (ja) 電池用包装材料及び電池
KR101987893B1 (ko) 내화학성 및 밴딩성이 개선된 셀 파우치
KR101406982B1 (ko)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CN114902471A (zh) 蓄电装置用封装材料以及使用了该封装材料的蓄电装置、蓄电装置用封装材料的制造方法、以及在蓄电装置用封装材料中用作密封剂层的密封剂膜的选定方法
WO2021006350A1 (ja)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WO2020153460A1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JP6756421B1 (ja) 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7276B1 (ja) 全固体電池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
JP2020119755A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KR102547058B1 (ko)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WO2017179737A1 (ja) 積層体及び電池用外装材
KR100574819B1 (ko) 리튬 2차 전지 및 휴대용 축전지 셀 포장용 봉지재
WO2021006351A1 (ja)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11390055B2 (en) Housing material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WO2021090950A1 (ja)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22100328A (ja) 電池用包装材料
JP2020043016A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WO2022014706A1 (ja)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230086155A (ko) 폴리머 전지 포장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