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418B1 - 매체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6418B1 KR102546418B1 KR1020210105607A KR20210105607A KR102546418B1 KR 102546418 B1 KR102546418 B1 KR 102546418B1 KR 1020210105607 A KR1020210105607 A KR 1020210105607A KR 20210105607 A KR20210105607 A KR 20210105607A KR 102546418 B1 KR102546418 B1 KR 102546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drum
- abnormal
- storage device
- sli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2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detecting or indicating tamper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에 복수의 매체가 이송되어 감기는 현상 또는 이상 매체가 감기는 현상을 감지하여 매체 수납 장치에 수납된 복수의 매체나 이상 매체를 방출시에 드럼이 저속으로 기동하여 기기의 장애를 방지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매체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에 복수의 매체가 이송되어 감기는 현상 또는 이상 매체가 감기는 현상을 감지하여 매체 수납 장치에 수납된 복수의 매체나 이상 매체를 방출시에 드럼이 저속으로 기동하여 기기의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는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지폐를 출금하거나, 또는 입금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나 지로, 카드 등을 입금받고, 출금하는 지폐 입금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를 포함한 유연 매체 이송장치의 경우에 매체의 이송 속도에 따라 유연 매체의 변형 및 좌굴 형태가 달라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저속으로 유연 매체를 이송시킬 경우에는 매체가 정상 상태이거나 비정상 상태이더라도 매체의 변형, 좌굴 정도가 적어 기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고속으로 유연 매체를 이송시킬 경우에 매체가 비정상 상태이면 매체의 변형, 좌굴 정도가 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기기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많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연 매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감지되더라도 매체를 이송시키는 드럼의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속적으로 매체를 고속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기기의 장애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의 가동률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에 복수의 매체가 이송되어 감기는 현상 또는 이상 매체가 감기는 현상을 감지하여 매체 수납 장치에 수납된 복수의 매체나 이상 매체를 방출시에 드럼이 저속으로 기동하여 기기의 장애를 방지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매체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는 본체에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으로부터 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매체 일부분이 사이에 게재되는 필름과; 본체에 고정된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매체와 접촉되어 상기 매체를 가압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매체 가압부를 포함한 매체 수납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드럼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매체 표면의 굴곡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드럼 구동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 구동제어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와 지지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름을 가압하는 필름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고정되어 상기 매체 표면의 굴곡에 따른 상기 연결바의 유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가변가이드와, 상기 가변가이드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가변가이드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유동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가변가이드의 유동 정도에 따라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가이드는 상기 연결바의 전방 중앙 영역에서 상기 지지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판면에 복수의 슬릿이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관통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상기 절곡부의 유동으로 인한 상기 슬릿의 개수를 검지하여 유동 정도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상기 매체가 투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 상기 절곡부의 상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 상기 매체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 상기 매체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30 % 내지 40 % 감속시켜 비정상 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매체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50 % 내지 60 % 감속시켜 상기 비정상 매체를 반송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가 비정상으로 판단될 경우에 상기 비정상 매체가 투입된 순번이 체크되도록 하여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를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속도를 감소시에 상기 비정상 매체를 기준으로 상기 비정상 매체의 전후에 투입된 매체가 반송될 때까지 상기 드럼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은,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상기 절곡부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를 검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상기 슬릿의 개수에 따라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정도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드럼을 감속 정도가 판단 완료된 속도로 회전시켜 비정상 매체를 반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 상기 매체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 상기 매체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30 % 내지 40 % 감속시켜 상기 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매체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의 구동 속도를 50 % 내지 60 % 감속시켜 상기 매체를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를 반송시에는 상기 비정상 매체를 기준으로 상기 비정상 매체의 전후에 투입된 매체가 반송될 때까지 상기 드럼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는 드럼에 복수의 매체가 이송되어 감기는 현상 또는 이상 매체가 감기는 현상을 감지하여 매체 수납 장치에 수납된 복수의 매체나 이상 매체를 방출시에 드럼이 저속으로 기동하여 기기의 장애를 방지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의 드럼과 매체 가압 융닛 및 드럼 구동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의 드럼 구동제어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가 구동하여 매체가 투입 및 반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의 드럼 구동제어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가 구동하여 매체가 투입 및 반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의 드럼과 매체 가압 융닛 및 드럼 구동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의 드럼 구동제어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가 구동하여 매체가 투입 및 반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는, 본체(100)에 설치된 회전축(200)과; 상기 회전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300)과; 상기 드럼(300)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300)으로부터 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매체(1) 일부분이 사이에 게재되는 필름(400)과; 본체(100)에 고정된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매체(1)와 접촉되어 상기 매체(1)를 가압하는 롤러(5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매체 가압부(500)을 포함한 매체 수납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드럼(300)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매체(1) 표면의 굴곡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드럼 구동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이며, 회전축(200)은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그 외면에 결합된 드럼(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드럼(300)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1드럼(310)과, 제1드럼(3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드럼(320) 으로 구성되는데, 제1드럼(310)은 필름(400)과 매체(1)가 권취된다.
제1드럼(310)은 회전 구동함으로써 필름(400) 및 매체(1)가 외면에 권취되도록 하거나, 권취된 매체(1)와 필름(400)이 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드럼(310)은 회전축(200)에 결합되어,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제1드럼(310)에는 쌍을 이루는 필름(400)의 사이에 매체(1)가 게재되어 권취된다. 제1드럼(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드럼(310)에는 각각 필름(400)이 대응되게 배치되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드럼(310)이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써 매체(1)의 길이 방향의 두 지점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권취가 가능해진다.
제1드럼(310)의 회전은 필름(400)을 회수 또는 배출하는 릴(미도시)의 회전 또는 매체(1)의 이송 속도에 동기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제2드럼(320)은 제1드럼(310)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회전축(200)에 결합된다. 제2드럼(320)은 제1드럼(3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드럼(3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2드럼(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드럼(310)에 인접한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제2드럼(320)은 제1드럼(310)에 권취된 매체(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드럼(320)은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매체(1)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여, 매체(1)의 접힘이나 꺾임이 발생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름(4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필름(400) 사이에 매체(1)가 게재된 상태에서 제1드럼(310)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필름(400)은 쌍을 이루는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이 각각 다른 릴(미도시)에 권취되거나, 릴로부터 권췰된다.
이러한 필름(400)은 제1드럼(310)의 수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드럼(310)이 마련되는 경우 제1필름(410)과 제2필름(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는 매체(1)를 수납할 때, 별도의 가압수단을 마련하지 않고서도 가압하여 수납에 필요한 공간을 기존 적층 구조(스택)에 비해 적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 외에도, 매체(1)의 구분이 용이하여 매체(1)의 정확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는 매체(1)의 중앙 부분은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매체(1)의 길이방향(매체의 가로 세로 중 길이가 긴 부분)의 양측 종단 즉, 제2드럼(320)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매체(1)가 오랜 사용으로 노후화된 경우 제2드럼(320) 상에 위치하는 매체(1)의 종단은 제1드럼(310)에 권취되는 매체(1)의 수가 증가할수록 제1드럼(310) 상에 권취된 매체(1) 및 필름(400)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로 부풀어 오를 수 있다. 따라서, 가압되지 않는 매체(1)의 종단을 가압하기 위한 수단인 매체 가압부(500)가 필요하다.
매체 가압부(500)는 매체 수납 장치에 권취되는 매체(1)의 비가압 부분 즉,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매체 가압부(500)는 샤프트(510)와 롤러유닛(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510)는 본체(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회전축(20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샤프트(510)에는 롤러유닛(52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유닛(5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샤프트(510)는 롤러(520)을 지지하기 위해 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반드시 일방향으로 긴 축 형태의 것을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510)는 하기의 롤러유닛(520)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면 되는 것으로 형태와 본체(100)과의 결합 위치는 본체(10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롤러유닛(520)은 샤프트(5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매체(1)의 비가압 부분을 가압한다. 이를 위해 롤러유닛(520)은 제2드럼(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롤러유닛(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400)과 이웃한 매체(1)의 종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롤러유닛(520)은 자중에 의해 비가압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드럼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와 하부는 중력을 고려한 것으로 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상부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유닛(520)은 제1드럼(310)이 제2드럼(320)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되거나, 제2드럼(320)이 구성되지 않고 생략되는 경우 제1드럼(310)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비가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필름(400)까지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롤러유닛(520)은 지지축(521)과 롤러(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축(521)은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지지축(521)은 샤프트(51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롤러(522)를 드럼(300)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드럼(300)에 매체(1)가 권취된 양이 많을 경우 롤러(522)는 드럼(300)과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매체(1)가 권취된 양이 적을 경우 드럼(300)과 가까워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축(5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522)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자중에 의해 매체(1)를 가압하도록 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으나, 샤프트(510)와 지지축(521)의 결합부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지지축(510)을 드럼(300)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522)는 매체(1)와 접촉하여 매체(1)를 가압한다. 롤러(522)는 권취 또는 권출되는 매체(1)와 접촉하며, 매체(1)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521)에 결합된다.
롤러(522)는 지지축(52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되는 롤러(522)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522) 중에서 지지축(521)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된 롤러(521)는 매체(1)의 비가압부를 가압하기 위해 비가압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유닛(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드럼(320)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2드럼(320)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으로 구성되는 롤러유닛(520)은 개별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롤러유닛(520)의 지지축(521)이 샤프트(510)에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롤러유닛(520)의 움직임이 다른 하나의 롤러유닛(520)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체 가압부(500)을 구비하는 매체 수납 장치는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부분의 매체(1)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비가압부의 접힘, 비가압부와 주변 장치와의 접촉에 의한 매체(1)의 손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비가압부는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부분을 비가압부로 정의하며, 롤러유닛(520)은 필름(400)이 매체(1)를 가압하는 부분인 가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필름(40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을 롤러유닛(520)에 의해 추가적으로 가압하여 매체(1)가 드럼(300)에 더욱 밀착하여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와 비가압부를 각각 가압하기 위한 롤러유닛(520)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롤러유닛(520)의 롤러(522)가 가압부와 비가압부 모두에 걸쳐지는 길이로 구성하여 가압부와 비가압부를 모두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드럼 구동제어부(600)는 드럼(300)이 회전 구동하는 속도를 제어하여 비정상 매체가 투입시에 이를 감지하여 비정상 매체를 반송시에 드럼(30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장애가 발생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드럼 구동제어부(6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51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0)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610)와, 상기 지지바(610)와 지지바(6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름(400)을 가압하는 필름가압롤러(6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620)와, 상기 연결바(620)에 고정되어 상기 매체(1) 표면의 굴곡에 따른 상기 연결바(620)의 유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가변가이드(630)와, 상기 가변가이드(630)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가변가이드(630)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유동감지센서(64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바(610)는 단부가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에 배치된 드럼(300)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연결바(6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바(620)는 지지바(610)와 지지바(610) 사이에 배치되며 필름가압롤러(6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름(4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가변가이드(630)는 연결바(62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매체(1) 표면의 굴곡에 의하여 연결바(620)가 유동함에 따라 연결바(620)와 함께 유동함으로써 매체(1)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변가이드(630)는 연결바(620)의 전방 중앙 영역에서 지지바(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631)와, 연장부(631)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판면에 복수의 슬릿(632a)이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관통 형성된 절곡부(632)로 이루어진다.
연장부(631)는 연결바(620)의 전방 중앙 영역에서 지지바(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지지바(610)와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절곡부(632)는 연장부(631)의 단부에서 연장부(6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연장부(631)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절곡부(632)의 판면에는 복수의 슬릿(632a)이 절곡부(6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형태로 판면이 절개되어 관통 형성됨으로써 유동감지센서(640)가 이러한 슬릿(632a)을 감지함으로써 연결바(620)가 유동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감지되는 슬릿(632a)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연결부(631)가 높이 방향으로 크게 유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감지되는 슬릿(632a)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연결부(631)의 유동이 작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유동감지센서(640)는 상기 절곡부(632)의 유동으로 인한 상기 슬릿(632a)의 개수를 검지하여 연결부(632)가 유동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유동감지센서(640)는 매체(1)가 투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 절곡부(632)의 상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본체(10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체(1)가 투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보다 연결부(632)가 하측 방향으로 유동할 수는 없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640)가 초기에 절곡부(632)의 상단부에 형성된 슬릿(632a)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경우에 매체(1)의 표면이 울퉁불퉁한 정도가 심할 경우에도 검지할 수 있는 슬릿(632a)의 개수가 충분하도록 함으로써 유동감지센서(640)를 통한 정확한 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 매체(1)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30 % 내지 40 % 감속시켜 비정상 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50 % 내지 60 % 감속시켜 상기 비정상 매체를 반송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와 같다.
NO | 구분 | 슬릿 검지 개수 | 속도제어 |
1 | 정상 매체 | 1 ~ 3개 | 정상속도 유지 |
2 | 비정상 매체 | 4 ~ 6개 | 정상속도의 30 % ~ 40 % 감소 |
3 | 비정상 매체 | 6개 초과 | 정상속도의 50 % ~ 60 % 감소 |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는 매체(1)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여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는 매체(1)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여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를 30 % ~ 40 % 감소시키고,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매체(1)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여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를 50 % ~ 60 % 감소시켜 비정산 매체(1)로 인하여 기기에 문제점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체(1)가 비정상으로 판단될 경우에 상기 비정상 매체가 투입된 순번이 체크되도록 하고, 비정상 매체의 투입 순번을 확인한 상태에서 드럼(300)의 속도를 감소시에 상기 비정상 매체를 기준으로 상기 비정상 매체의 직전과 직후에 투입된 매체가 반송될 때까지 드럼(30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감지한 결과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 매체(1)가 투입된 순번을 체크하게되는데, 만약 매체(1)가 투입된 순번이 N 번째라고 한다면 감지된 슬릿(632a)의 개수에 따라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를 감소시켜 비정상 상태의 매체(1)를 반송하게 되는데,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는 N-1 번째, N 번째, N+1 번째의 매체(1)가 반송될 때까지 감소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유동감지센서(640)에서 절곡부(632)의 유동에 따라 절곡부(632)에 형성된 슬릿(632a)의 개수를 검지하는 제1단계(S1)를 진행한 후에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에 따라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정도를 판단하는 제2단계(S2)를 진행한다.
그 후, 드럼(300)을 감속 정도가 판단 완료된 속도로 회전시켜 비정상이라고 판단된 비정상 매체를 반송하는 제3단계(S3)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 매체(1)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 상기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30 % 내지 40 % 감속시켜 상기 매체(1)를 반송한다.
그리고,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50 % 내지 60 % 감속시켜 매체(1)를 반송한다.
매체(1)를 반송시에는 비정상 매체를 기준으로 비정상 매체의 전후에 투입된 매체(1)가 반송될 때까지 드럼(30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비정상 매체로 인하여 기기에 문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매체 100 : 본체
200 : 회전축 300 : 드럼
310 : 제1드럼 320 : 제2드럼
400 : 필름 500 : 매체 가압부
510 : 샤프트 520 : 롤러유닛
521 : 지지축 522 : 롤러
600 : 드럼 구동제어부 610 : 지지바
620 : 연결바 621 : 필름가압롤러
630 : 가변가이드 631 : 연장부
632 : 절곡부 640 : 유동감지센서
200 : 회전축 300 : 드럼
310 : 제1드럼 320 : 제2드럼
400 : 필름 500 : 매체 가압부
510 : 샤프트 520 : 롤러유닛
521 : 지지축 522 : 롤러
600 : 드럼 구동제어부 610 : 지지바
620 : 연결바 621 : 필름가압롤러
630 : 가변가이드 631 : 연장부
632 : 절곡부 640 : 유동감지센서
Claims (10)
- 본체(100)에 설치된 회전축(200)과; 상기 회전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300)과; 상기 드럼(300)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300)으로부터 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매체(1) 일부분이 사이에 게재되는 필름(400)과; 본체(100)에 고정된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매체(1)와 접촉되어 상기 매체(1)를 가압하는 롤러(5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매체 가압부(500)를 포함한 매체 수납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드럼(300)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매체(1) 표면의 굴곡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드럼(300)의 회전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드럼 구동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구동제어부(6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51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0)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610)와, 상기 지지바(610)와 지지바(6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름(400)을 가압하는 필름가압롤러(6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620)와, 상기 연결바(620)에 고정되어 상기 매체(1) 표면의 굴곡에 따른 상기 연결바(620)의 유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가변가이드(630)와, 상기 가변가이드(630)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가변가이드(630)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유동감지센서(640)로 구성되어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감지된 상기 가변가이드(630)의 유동 정도에 따라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이드(630)는 상기 연결바(620)의 전방 중앙 영역에서 상기 지지바(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631)와, 상기 연장부(631)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판면에 복수의 슬릿(632a)이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관통 형성된 절곡부(6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감지센서(640)는 상기 절곡부(632)의 유동으로 인한 상기 슬릿(632a)의 개수를 검지하여 유동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640)는 상기 매체(1)가 투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 상기 절곡부(632)의 상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00)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 상기 매체(1)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 상기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30 % 내지 40 % 감속시켜 비정상 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50 % 내지 60 % 감속시켜 상기 비정상 매체를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1)가 비정상으로 판단될 경우에 상기 비정상 매체가 투입된 순번이 체크되도록 하여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1)를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속도를 감소시에 상기 비정상 매체를 기준으로 상기 비정상 매체의 전후에 투입된 매체가 반송될 때까지 상기 드럼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 -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상기 절곡부(632)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절곡부(632)에 형성된 슬릿(632a)의 개수를 검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상기 슬릿(632a)의 개수에 따라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정도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드럼(300)을 감속 정도가 판단 완료된 속도로 회전시켜 비정상이라고 판단된 비정상 매체를 반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1 내지 3인 경우에 상기 매체(1)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4 내지 6인 경우에 상기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30 % 내지 40 % 감속시켜 상기 매체(1)를 반송하고, 상기 유동감지센서(640)에서 검지된 슬릿(632a)의 개수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매체(1)는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럼(300)의 구동 속도를 50 % 내지 60 % 감속시켜 상기 매체(1)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1)를 반송시에는 상기 비정상 매체를 기준으로 상기 비정상 매체의 전후에 투입된 매체(1)가 반송될 때까지 상기 드럼(30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장치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5607A KR102546418B1 (ko) | 2021-08-10 | 2021-08-10 | 매체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5607A KR102546418B1 (ko) | 2021-08-10 | 2021-08-10 | 매체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3461A KR20230023461A (ko) | 2023-02-17 |
KR102546418B1 true KR102546418B1 (ko) | 2023-06-23 |
Family
ID=8532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5607A KR102546418B1 (ko) | 2021-08-10 | 2021-08-10 | 매체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641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93513A (ja) * | 2000-12-26 | 2002-07-10 | Tohoku Ricoh Co Ltd | 排紙装置及び印刷装置 |
JP2012098763A (ja) | 2010-10-29 | 2012-05-24 | Fujitsu Frontech Ltd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JP6431931B2 (ja) | 2015-01-09 | 2018-11-28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紙葉類収容装置及び紙葉類収容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607B1 (ko) | 2012-02-27 | 2014-02-13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매체 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
KR20160011763A (ko) * | 2014-07-22 | 2016-02-0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
-
2021
- 2021-08-10 KR KR1020210105607A patent/KR1025464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93513A (ja) * | 2000-12-26 | 2002-07-10 | Tohoku Ricoh Co Ltd | 排紙装置及び印刷装置 |
JP2012098763A (ja) | 2010-10-29 | 2012-05-24 | Fujitsu Frontech Ltd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JP6431931B2 (ja) | 2015-01-09 | 2018-11-28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紙葉類収容装置及び紙葉類収容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3461A (ko) | 2023-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0478B1 (ko) | 지엽류 처리 장치 | |
JP5774393B2 (ja) | 媒体収納装置 | |
RU2510531C1 (ru) |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 |
US7975909B2 (en) |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 |
US9145257B2 (en) | Belt supporting | |
KR102546418B1 (ko) | 매체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반송 제어방법 | |
JP6582544B2 (ja) |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JP2773497B2 (ja) | 紙葉類厚さ検出機構 | |
JP5563523B2 (ja) | 紙葉類収納カセット繰出負荷低減機構 | |
JP3472689B2 (ja) | 紙葉類堆積装置 | |
JP2641275B2 (ja) | 紙葉類堆積・繰り出し装置 | |
KR101212297B1 (ko) | 스택 롤러 | |
JP3943969B2 (ja) | 紙葉類分離排出装置 | |
JPH08106565A (ja) | 紙葉類繰出し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 |
US8662284B2 (en) | Item transportation | |
US7891553B2 (en) |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 |
JP2001240294A (ja) |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 |
JP2978965B2 (ja) | 紙葉束搬送装置 | |
KR20160011763A (ko) |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 |
JPS636110Y2 (ko) | ||
KR100288939B1 (ko) |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 |
WO2024018778A1 (ja) | 媒体処理装置 | |
KR100305963B1 (ko) | 현금지급기의거래명세표용지롤자동로딩장치 | |
JP4566813B2 (ja) | 紙幣結束機 | |
KR20100058990A (ko) | 매체분리장치 및 그의 분리롤러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출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