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939B1 -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939B1
KR100288939B1 KR1019980003790A KR19980003790A KR100288939B1 KR 100288939 B1 KR100288939 B1 KR 100288939B1 KR 1019980003790 A KR1019980003790 A KR 1019980003790A KR 19980003790 A KR19980003790 A KR 19980003790A KR 100288939 B1 KR100288939 B1 KR 10028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journal
processing apparatus
shee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499A (ko
Inventor
한일용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93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07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centre or core drive type
    • B65H19/2215Turret-type with two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1Printing;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지급기에서의 명세표 및 저널용지를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금지급기의 처리장치는, 롤상태의 제1용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제1이송경로 형성수단, 롤상태의 제2용지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경로 형성수단, 상기 제2이송경로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를 권취하는 권취수단,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는 인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개의 이송경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용지의 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현금지급기의 명세표 및 저널용지 처리장치
본 발명은 현급지급기의 거래 명세표 및 저널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용지의 잼을 최소화하면서 소형화 가능하게 구성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의 담당자를 거치지 않고, 카드를 사용하여 예금의 인출, 송금 등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현금지급기의 내부에는 거래내역을 인쇄하기 위한 2종류의 용지가 내장되어 있다. 하나는 고객에게 자신이 사용한 거래내역을 인쇄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거래명세표이고, 다른 하나는 거래내역을 금융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저널용지이다. 상기 거래명세표 및 저널용지에 기록되는 거래내용은, 사용자가 선택한 거래내용에 의하여 동일한 내용이 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현금지급기의 구성에 대하여, 용지의 이송경로를 기초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지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12)의 내부에는 인쇄를 위한 용지(P)가 내장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지(P)는, 용기(12)의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접힌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용지(P)는 이중의 용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트프린터(14)에 의하여 상면의 종이가 인쇄될 때 하면의 종이도 압력에 의하여 같이 인쇄되는 감압용지를 포함하고, 상면의 용지는 저널용지로 사용되고, 하면의 용지는 거래명세표로 사용된다.
상기 용지(P)를 이송시키고자 하는 이송롤러(Ra)에 수동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이송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렇게 삽입된 용지(P)는, 이송롤러(Ra,Rb)에 의하여 두장의 용지가 같이 이송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하 두장의 용지가 같이 이송되는 경로 상에는, 거래내역을 인쇄하기 위한 도트프린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트프린터(14)에 의하여 인자가 수행되면, 상하의 용지에는 동일한 거래내역이 인쇄된다.
그리고 인자후 계속하여 이송되는 용지(P)는, 내부의 일부분에서 두장으로 분리되며, 상면의 용지(Pa)는 도면에서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롤러(Rc)에 의하여 제1경로를 거쳐서 저널와인더(20)에 권취된다. 즉 상면의 용지(Pa)는 저널용지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된 하면의 용지(Pb)는, 이송롤러(Rd,Re)에 의하여 이송되고, 이러한 이송경로 상에는 커터(16)가 설치되어 있다. 커터(16)는 하면의 용지(Pb)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거래명세표로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자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현금지급기에 있어서는 감압용지를 포함하는 이중용지를 사용하여 거래내역을 동시에 인쇄하고, 이러한 용지를 분리한 후 각각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현금지급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처음에 용기(12)에서 접힌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용지는 이중용지이고, 이러한 이중용지를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이송시키되, 그 중간에서 두장의 용지로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즉 두장의 용지를 같이 이송시키거나, 그 중간에서 각각 분리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용지의 이송경로에서 용지의 잼(Jam)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결국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2)에서 저널와인더(20) 또는 거래명세표의 배출 경로가 선형의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장치 전체가 크게 구성되어야 하는 단점이 제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각각의 경로로 분리하여야 하는 분리장치가 있어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는 단점도 제기된다. 그리고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용지(P)의 초기 로딩시 수동으로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지의 로딩이 불편한 단점도 제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서 처리되는 용지의 잼을 방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현금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소형화 가능한 현금지급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지의 로딩이 편리하며, 전체적으로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현금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현금지급기의 용지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현금지급기의 용지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균형유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 내부의 처리과정의 일예를 보인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명세표처리부 104 ..... 균형유지부재
106a ..... 상부가이드 106b ..... 하부가이드
108 ..... 제1센서 110 ..... 이송모터
116 ..... 열전사프린터 118 ..... 제2센서
120 ..... 커터 122 ..... 이송롤러
128 ..... 배출모터 200 ..... 저널용지처리부
206 ..... 구동모터 208 ..... 하부가이드
210 ..... 상부가이드 212 ..... 제4센서
214 ..... 열전사프린터 216 ..... 플레이튼롤러
220 ..... 제5센서 230 ...... 저널와인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금지급기는, 롤상태의 용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제1이송경로 형성수단; 롤상태의 저널용지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경로 형성수단; 상기 제2이송경로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를 권취하는 권취수단;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는 인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용지를 사용하여 명세표처리 및 저널용지의 처리를 수행하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용지의 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현금지급기의 명세표 및 저널용지 처리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금지급기의 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거래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명세표처리부(100)와, 거래내역을 금융기관의 내부에서 확인 및 보관하는 저널용지처리부(200)로 구성된다.
먼저 명세표 처리부(100)에 대하여 용지의 이송경로에 따른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명세표용 용지는, 도시한 바와 같이 롤상태로 제공되는 것이고, 이러한 용지롤(P1)은, 지지바아(102)에 의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용지롤(P1)에서 인출되는 용지(P)는 균형유지부재(104)를 거쳐서 이송경로 상으로 공급된다. 상기 균형유지부재(104)는, 이송되는 용지가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용지가 좌우로 경사진 상태로 이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균형유지부재(104)는, 공급되는 용지(P)의 양측단부에 밀착되는 지지플랜지(104a,104b)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랜지(104a,104b)는 용지(P)의 양측단부에 밀착되어 용지의 이송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균형유지부재(104)를 통하여 안내되는 용지(P)는, 상부가이드(106a)와 하부가이드(106b)의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106a,106b)는, 공급되는 용지(P)를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것이고, 이송경로 상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106a,106b) 상에는 용지(P)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센서(108)는, 최초 용지의 로딩시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센서(108) 및 후술하는 센서들은, 예를 들면 광센서 등과 같이 용지의 진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으로 구성해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108)에서 용지의 집입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모터(110)가 동작한다. 상기 이송모터(110)는 복수개의 기어(112a,112b,112c)로 구성되는 기어열을 통하여 플레이튼롤러(11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튼롤러(114)의 상부에는 인자를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116)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튼롤러(114) 및 프린터(116)는, 상술한 상부가이드(106a)와 하부가이드(106b)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용지를 끌어들이는 것과 동시에 소정의 인자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최초 로딩시, 용지(P)를 상기 상부가이드(106a)와 하부가이드(106b) 사이로 삽입하면, 제1센서(108)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이송모터(110)이 회전한다. 이송모터(110)의 회전은 기어열(112)를 통하여 플레이튼 롤러(114)에 전달되고, 플레이튼롤러(114)는 회전하면서 상기 용지(P)를 이송경로 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프린터(116)는 감열지에 소정의 인자를 수행할 수 있는 열전사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렇게 열전사프린터를 사용할 경우 전체적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린터(116)의 후단에는 커터(120)가 설치된다. 상기 커터(120)는, 예를 들면 팩시밀리 등에서 사용하는 길로틴(guilotine) 타입의 커터를 사용하여, 인자가 끝난 용지(P)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120)의 직전에는 제2센서(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센서(118)는, 용지(P)의 로딩시 열감지면이 정확하게 세팅되어 있는 것인가를 감지하는 기능과, 인자가 완료된 용지에서 일정한 이송길이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커터(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용지(P)의 이송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용지(P)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크를 하여 두고, 상기 제2센서(118)가 상기 마크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절단되는 길이, 즉 고객수취용 거래명세표의 정해진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118)에서 감지한 결과, 용지(P)의 인쇄면(열감지면)를 잘못하여 반대로 로딩시킨 경우에는 구동모터(110)의 구동을 정지하여 로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열감지면의 감지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감열지인 용지(P)에 표시된 소정의 마크를 기초로 하여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118)에 의하여 용지의 마크를 감지하는 것으로 절단길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거래명세표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이송모터(110)의 구동시간을 감지하거나, 플레이튼롤러 등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커터(120)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거래명세표는 상부 및 하부배출가이드(124,126)에 의하여 배출된다. 상부배출가이드(124)와 하부배출가이드(126)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며, 그 사이를 통하여 거래명세표가 안내되어 배출된다. 상기 상부배출가이드(124)와 하부배출가이드(126)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부분은 개구된 상태로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부분을 통하여 후술하는 배출롤러(122)가 거래명세표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롤러(122)는 입구와 출구 부분에 각각 설치된 입구배출롤러(122b)와 출구배출롤러(122a)로 구성되며, 이들은 벨트(V)에 의하여 연동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모터(128)에서의 동력은 다수개의 기어(127a,127b)로 구성된 기어열(127)을 통하여 입구배출롤러(122b)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배출롤러(122)에는, 그것과 접하는 아이들롤러(125a,125b)가 설치되어 있어서, 거래명세표를 이송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모터(128)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입구배출롤러(122b)와 출구배출롤러(122a)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부배출가이드(124) 및 하부배출가이드(126) 사이를 통하여 거래명세표를 이송시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이드(124,126)의 경로 후단부에는 제3센서(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3센서(130)는 배출가이드(124,126)를 통하여 거래명세표의 배출이 완료되는가의 여부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배출모터(128)를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거래명세표 처리부(100)의 전체적인 구동 동작을 도 4의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현금지급기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거래내역이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거래명세서 처리부(100)를 구동시키게 된다.
현금지급기의 대기상태에서, 용지(P)는 프린터(116) 까지는 세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116)가 인자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제302단계). 이어서 프린터(116)의 인자동작이 수행(제304단계)되는 것과 동시에 이송모터(110)이 구동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송모터(110)의 구동과 프린터(116)의 구동은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송모터(110)의 구동과 동시에 배출모터(128)도 같이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되는 용지(P)의 상태를 고려한 것으로, 인자준비 위치로 정확하게 용지(P)를 세팅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 이송모터(110)가 용지(P)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제2센서(118)는 한장의 거래명세표의 절단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즉 제308단계에서 제2센서에서의 감지신호가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제2센서(118)에서의 감지신호가 없으면, 이송모터(110)를 계속구동한다. 이러한 감지신호가 있으면 커터(120)를 동작시켜 용지(P)를 절단하여 소정 길이의 거래명세표가 완성된다.
이렇게 하여 절단된 거래명세표가 배출가이드(124,126) 사이로 공급되면, 제312단계에서, 이송모터의 구동은 정지되나, 이 때 배출모터(128)의 구동은 계속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모터(128)이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거래명세표가 배출가이드(124,126) 사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배출과정에서, 상기 배출가이드(124,126) 상에 설치된 제3센서(130)는 거래명세표의 배출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거래명세표의 배출이 완료되면, 즉 제3센서(130)에서의 배출이 완료되었다는 감지신호가 있으면, 배출모터의 구동을 정지한다(제316단계). 이와 같은 한 처리 루틴을 거쳐서, 한번의 거래에 대한 명세표의 처리가 완료되고, 다음의 거래를 위하여 대기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저널용지 처리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저널용지 처리부(200)는, 거래 내역을 저널용지에 인쇄하여 금융기관의 내부에 보관하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고, 상술한 명세표 처리부(100)과 동일한 거래내역을 동시에 인쇄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명세표처리부(100)와 저널용지처리부(200)를 별개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용지의 이송 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잼(Jam)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롤상태로 제공되는 저널용지롤(P2)은 지지바아(203)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널용지는 후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의 인자가 수행된 후,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저널와인더(230)에 권취된다. 즉 저널용지 처리부(200)에서 처리되는 용지는 롤상태의 저널용지에 인자가 수행되고 다시 롤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널용지롤(P2)과 저널와인더(230)를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저널용지롤(P2)에서의 용지는, 가이드포스트(204)를 거쳐 상부가이드(210)와 하부가이드(208)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204)는 이송되는 저널용지(P3)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명세표처리부(100)의 균형유지부재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가이드(208)는, 하방에서 공급되는 저널용지(P3)를 안내하는 것이 적절하도록 하방으로 벤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상부가이드(210)과는 소정의 간격을 가져서, 그 사이로 저널용지(P3)가 들어가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210) 및 하부가이드(208)의 경로 상에는, 처음에 제4센서(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4센서(212)도, 명세표처리부(100)의 제1센서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즉, 최초 로딩시 저널용지(P3)가 상부가이드(210)와 하부가이드(208) 사이로 투입되면 제4센서(212)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06)을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06)에서의 동력은 다수개의 기어(218a,218b,218c)로 구성되는 기어열을 통하여 플레이튼롤러(216)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튼롤러(216)의 상부에는 프린터(2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린터(214)는, 명세표처리부(100)의 것과 동일하게 열전사프린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206)의 구동으로 인하여 상부가이드(210)와 하부가이드(208) 사이에 투입된 용지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210)와 하부가이드(208)의 후단측에는 제5센서(220)가 설치된다. 상기 제5센서(220)는, 감열지의 리어엔드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저널와인더(230)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인자가 완료된 부분을, 이송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다음번의 인자동작을 위하여 저널용지(P3)를 준비상태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5센서(220)는, 명세표처리부(100)의 제2센서와 같이 감열용지의 인쇄면(감열면)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초 로딩시 상기 제5센서(220)에서 감지한 결과 인쇄면이 정확하게 세팅되지 않으면 구동모터(20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저널용지(P3)가 상기 프린터(214)를 통과하면서 거래내역이 인쇄되고, 이것은 명세표처리부(100)의 프린터(116)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현금지급기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동시에 제어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인자동작이 완료되면 저널용지(P3)는 계속하여 이송되고, 이 때 상기 제5센서(220)에 의하여 이송길이가 결정된다. 즉, 상기 제5센서(220)는, 예를 들면 저널용지(P3)의 이면에 표시된 소정의 마크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거래내역이 인자된 부분이 이송된 상태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5센서(22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206)의 구동은 정지되면서 다음번의 인자동작을 위한 대기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인자 및 소정구간의 이송이 완료된 저널용지는, 저널와인더(230)에 권취된다. 상기 저널와인더(230) 까지의 이송경로 상에는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아(232) 또는 가이드롤러(231) 등을 적정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 즉 명세표처리부(100)와 저널용지 처리부(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메인프레임(101)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저널와인더(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계통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구동모터(206)은 플레이튼롤러(216)를 통하여 용지를 이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저널와인더(23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송된 저널용지를 감아 두기 위하여 회전해야 하고, 이러한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모터(206)에서 전달받을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어열(218)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플레이튼롤러(216)과, 상기 저널와인더(230)가 벨트(Va)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단일의 구동모터(206)를 사용하고, 그 동력을 저널와인더(2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의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기어열(218)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어와 상기 저널와인더(230)를 벨트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기어열(218)과 같은 다른 하나의 기어열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명세표처리부(100)와 저널용지처리부(200)를 각각 별도의 이송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중감압용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용지의 잼을 대폭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각 한겹으로 구성되는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용지의 잼을 방지하여 더욱 신뢰성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명세표처리부와 저널용지처리부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는 잇점이 기대된다. 종래에는 하나의 이송 경로 상에, 여러가지 부품 예를 들면 두겹의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하나의 이송경로를 두개로 분할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등이 복합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였고 조립공정도 난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별개로 구성되는 명세표처리부와 저널용지처리부의 구성 자체가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 코스트의 저감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기대됨과 동시에 소형화에 더욱 유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저널용지처리부에서, 저널와인더와 저널용지롤을 인접하게 배치하는 구성 등에 의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잇점은, 실제로는 롤형상의 용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기초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의 로딩이 편리하다. 즉, 제1센서 및 제4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모터가 용지를 자동으로 로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로딩시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8)

  1. 롤상태의 제1용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제1이송경로 형성수단;
    롤상태의 제2용지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경로 형성수단;
    상기 제2이송경로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를 권취하는 권취수단;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는 인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경로 형성수단은,
    롤상태의 제1용지를 공급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의 제1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경로 형성수단은,
    롤상태의 제2용지를 공급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의 제2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 상에는 이송되는 용지의 좌우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유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용지와 접촉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용지를 로딩시키는 용지로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로딩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용지를 가이드부의 내부로 로딩시키는 롤러, 그리고
    상기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경로상에는 이송되는 용지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경로 상에는 이송되는 용지의 이송량을 감지하기 위한 이송량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단수단은 이송량감지수단의 신호에 기초하여 용지를 절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량감지수단은 용지의 이면에 표시된 소정 마크에 기초하여 이송되는 길이를 감지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절단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이드부의 후단에 설치된 용지의 배출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송롤러는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경로의 가이드부는,
    제1용지롤에서의 용지가 투입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설되고 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독립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 및 제2모터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유지부재는,
    용지의 좌우측단부에 밀착되는 지지플랜지를 구비하는 균형유지바아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는, 각각 그 사이로 용지를 이송시키는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벨트에 의하여 연동하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수단은 열전사프린터이고, 상기 이송롤러는 열전사프린터 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튼롤러로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은 제2이송경로를 통과한 제2용지를 감는 저널와인더로 구성되고, 상기 저널와인더는 롤상태의 제2용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명세표/저널용지 처리장치.
KR1019980003790A 1998-02-10 1998-02-10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KR10028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790A KR100288939B1 (ko) 1998-02-10 1998-02-10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790A KR100288939B1 (ko) 1998-02-10 1998-02-10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499A KR19990069499A (ko) 1999-09-06
KR100288939B1 true KR100288939B1 (ko) 2001-05-02

Family

ID=3751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790A KR100288939B1 (ko) 1998-02-10 1998-02-10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946B1 (ko) * 2003-11-14 2006-08-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수용 장치 및 용지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23A (ko) * 1993-07-05 1995-02-18 프레데릭 얀 스미트 종속 증폭기
KR970020454A (ko) * 1995-10-03 1997-05-28 이토 기요시 기록용지용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23A (ko) * 1993-07-05 1995-02-18 프레데릭 얀 스미트 종속 증폭기
KR970020454A (ko) * 1995-10-03 1997-05-28 이토 기요시 기록용지용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499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6963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US4618085A (en) Sheet separating apparatus
JP4291791B2 (ja) 印字装置
US8167109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JPS5810276A (ja) 伝票発行装置
KR100288939B1 (ko) 현금지급기의명세표및저널용지처리장치
JP2926111B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2000264489A (ja) 紙葉類分離装置
JPH1135208A (ja) 用紙排出装置
KR100305963B1 (ko) 현금지급기의거래명세표용지롤자동로딩장치
KR100341926B1 (ko) 사무 자동화 기기용 지로 용지 처리 방법 및 장치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KR100277997B1 (ko) 현금자동 지급기의 인자장치
KR100616303B1 (ko) 명세표 로딩장치
GB2196323A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20070037026A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49266B1 (ko) 명세표 로딩장치의 명세표 세팅방법
JP2003026363A (ja) 媒体処理装置
JP2002056434A (ja) 自動取引装置
JPH06336358A (ja) 紙葉類複数枚貯留排出機構
JPH0565415B2 (ko)
JPH0213565A (ja) 紙葉類搬送装置
JPH0250291A (ja) 通帳類印字装置
JP2002298166A (ja) 媒体搬送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
JPH033863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09

Effective date: 2006091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18

Effective date: 200709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30

Effective date: 20080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