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35B1 -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35B1
KR102546135B1 KR1020227019299A KR20227019299A KR102546135B1 KR 102546135 B1 KR102546135 B1 KR 102546135B1 KR 1020227019299 A KR1020227019299 A KR 1020227019299A KR 20227019299 A KR20227019299 A KR 20227019299A KR 102546135 B1 KR102546135 B1 KR 10254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ixels
inactive
area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420A (ko
Inventor
미카엘 엠. 실반토
디네쉬 씨. 매튜
빅터 에이치. 인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riority to KR102023700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485A/ko
Publication of KR2022008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픽셀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픽셀들 또는 다른 픽셀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따라 비활성 영역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활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활성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비활성 영역은 임의의 픽셀들을 포함하지 않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비활성 영역에는 내부 컴포넌트들이 보이지 않도록 흑색 잉크 또는 다른 마스킹 재료의 층이 있을 수 있다. 활성 영역은 비활성 영역의 격리된 일부분을 포함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거나 비활성 영역의 일부분이 내부로 돌출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카메라, 발광 다이오드, 광 센서, 또는 다른 전기 디바이스와 같은 전기 컴포넌트는 활성 영역의 리세스 또는 개구부 내의 비활성 영역 내에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EXTENDED ACTIVE AREA}
본 출원은 2015년 9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2/233,92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들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종종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들, 태블릿 컴퓨터들, 및 랩톱 컴퓨터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은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픽셀들을 포함한다. 발광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들, 버튼들, 카메라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은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경계 구역에 위치된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의 경계의 크기는 원하는 것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버튼과 같은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위치되는 경우, 경계는 카메라 또는 버튼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시하는 데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픽셀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픽셀들 또는 다른 픽셀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비활성 영역으로 경계지어지는 활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활성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비활성 영역은 임의의 픽셀들을 포함하지 않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비활성 영역에는 내부 컴포넌트들이 보이지 않도록 흑색 잉크 또는 다른 마스킹 재료의 층이 있을 수 있다. 활성 영역은 격리된 비활성 영역 구역을 포함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비활성 영역의 일부분이 내부로 돌출되는 노치 또는 다른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카메라, 발광 다이오드, 광 센서, 근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자기 센서, 압력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또는 다른 센서, 버튼, 터치 감응형 컴포넌트,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오디오 컴포넌트와 같은 전기 컴포넌트, 또는 출력을 생성하고/하거나 입력을 수집하는 다른 전기 디바이스는 리세스 내부로 돌출되거나 활성 영역의 개구부 내에 위치된 비활성 영역의 일부분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은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직사각형 구역과 같은 메인 구역을 가질 수 있고, 메인 구역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 구역들을 가질 수 있다. 연장 구역들은 예를 들어, 메인 직사각형 구역과 비활성 경계 사이에 놓인 제1 및 제2 세장형의 직사각형 연장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 구역들은 비활성 구역의 돌출부 또는 아일랜드형(island-shaped) 부분 내의 카메라 또는 다른 전기 컴포넌트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아이콘들 또는 다른 정보가 연장 구역들의 흑색 배경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디스플레이에 연속적인 끊어지지 않는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추가의 특징들이 첨부 도면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랩톱 컴퓨터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시계, 또는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물들을 구비한 컴퓨터 디스플레이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의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이 활성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아일랜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의 에지 구역은 활성 영역의 노치 내부로 연장되는 비활성 영역 돌출부를 포함하고, 비활성 영역 돌출부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의 한 쌍의 연장된 활성 영역 구역들 - 여기에 아이콘들 및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 - 을 포함한다.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일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 패턴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들의 정면도들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들은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이 제공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들이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도 1은 전자 디바이스(10)가 상부 하우징(12A), 및 키보드(16) 및 터치패드(18)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갖는 하부 하우징(12B)을 구비한 랩톱 컴퓨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는 상부 하우징(12A)이 하부 하우징(12B)에 대해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들(22)로 회전하게 허용하는 힌지 구조물들(20)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상부 하우징(12A)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때때로 디스플레이 하우징 또는 덮개(lid)로 지칭될 수 있는 상부 하우징(12A)은 상부 하우징(12A)을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하우징(12B)을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닫힌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2는 전자 디바이스(10)가 셀룰러 전화기, 음악 재생기, 게이밍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다른 소형 디바이스와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일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에 대한 이러한 유형의 구성에서, 하우징(12)은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의 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원하는 경우, 버튼(26)과 같은 컴포넌트들을 위한 개구부들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들은 또한 스피커 포트(예컨대, 도 2의 스피커 포트(28)를 참조)를 수용하도록 디스플레이(1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전자 디바이스(10)가 태블릿 컴퓨터, 시계, 또는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3의 전자 디바이스(10)에서, 하우징(12)은 대향하는 평면형의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의 전방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버튼(26)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원한다면, 버튼(26)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전자 디바이스(10)가 임베디드 컴퓨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임베디드 컴퓨터를 갖지 않는 디스플레이, 또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장비와 같은 디스플레이일 수 방식을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배열에서, 디바이스(10)를 위한 하우징(12)은 스탠드(30)와 같은 지지 구조물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디바이스(10)를 벽 상에 장착하기 위해) 스탠드(30)는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의 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디바이스(10)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디스플레이(14)의 윤곽은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는 랩톱 컴퓨터, 임베디드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모니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태블릿 컴퓨터, 셀룰러 전화기, 미디어 재생기, 또는 다른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손목시계 디바이스, 펜던트 디바이스, 헤드폰 또는 이어피스 디바이스, 또는 다른 착용 가능한 또는 미니어처 디바이스와 같은 더 소형의 디바이스, 임베디드 컴퓨터를 포함하지 않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모니터, 게이밍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비가 키오스크(kiosk) 또는 차량 내에 장착된 시스템과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 이들 디바이스 중 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비, 또는 다른 전자 장비일 수 있다.
때때로 케이스로 지칭되는 디바이스(10)의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탄소-섬유 복합재 및 다른 섬유-기반 복합재, 금속(예컨대, 기계가공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또는 다른 금속들), 다른 재료들,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과 같은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하우징(12)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단일 구조 요소(예컨대, 기계가공된 금속 조각 또는 몰딩된 플라스틱 조각)로부터 형성되는 유니바디 구성(unibody construction)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하우징 구조물들(예컨대, 내부 프레임 요소들에 장착된 외부 하우징 구조물들 또는 다른 내부 하우징 구조물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터치에 대해 불감응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를 위한 터치 센서들은 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의 어레이, 저항성 터치 어레이, 음향 터치, 광학 터치 또는 힘-기반 터치 기술에 기초한 터치 센서 구조물들, 또는 다른 적합한 터치 센서 컴포넌트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를 위한 디스플레이(14)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결정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다이(die)들의 어레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픽셀들로 형성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 층이 디스플레이(14)의 표면을 덮을 수 있거나, 색상 필터 층과 같은 디스플레이 층 또는 디스플레이의 다른 부분이 디스플레이(14) 내의 최외곽(또는 거의 최외곽)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외곽 디스플레이 층은 투명 유리 시트, 투명 플라스틱 층, 또는 다른 투명 부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를 구성하는 재료의 층들은 하우징(12) 내에 장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형성하도록 플라스틱 섀시(chassis) 구조물 및/또는 금속 섀시 구조물과 같은 섀시 구조물들 내에 장착될 수 있고/있거나, 디스플레이(14)의 층들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층들을 하우징(12)의 리세스 부분 내에 적층함으로써) 하우징(12) 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즉, 디스플레이(14)는 직사각형 풋프린트(footprint) 및 직사각형 풋프린트 둘레로 이어지는(run) 직사각형 주변 에지를 가질 수 있음), 타원형 또는 원형 풋프린트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곡선형 및/또는 직선형 에지들을 갖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평면형일 수 있거나 또는 곡선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의 풋프린트의 크기를 과도하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14)의 에지들을 따라 전기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14)의 활성 영역의 에지들에는 노치들과 같은 국부적인 리세스 부분들이 구비될 수 있고/있거나, 디스플레이(14)에 전기 컴포넌트들이 장착될 수 있는 격리된 비활성 영역들이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평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디스플레이(200)는 네 개의 직선 에지들(202)을 갖는 직사각형 활성 영역(AA)을 갖는다. 직사각형 링 형상의 비활성 영역(IA)은 활성 영역(AA)을 둘러싸고 있다. 비활성 영역(IA)의 상부 스트립의 폭(W)은 카메라(202)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다. 그러나, 비활성 영역(IA)의 이 상부 스트립의 폭(W)은 카메라(202)를 포함하지 않는 비활성 영역의 상부 스트립의 구역들(206)과 같은 구역들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더 크다. 이로 인해 공간이 낭비된다.
그것의 활성 영역의 에지들 중 하나를 따라 리세스 부분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기판(36)과 같은 기판 상에 재료의 층들로 형성된 픽셀들(122)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기판(36)과 같은 기판들은 유리,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다른 기판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픽셀들(122)은 데이터 라인들(D)과 같은 신호 경로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평 제어 라인들(G)(때때로 게이트 라인들, 스캔 라인들, 방출 제어 라인들 등으로 지칭됨)과 같은 제어 신호 경로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에는 임의의 적합한 수의 픽셀들(122)의 행들 및 열들이 있을 수 있다(예컨대, 수십 개 이상, 수백 개 이상, 또는 수천 개 이상).
디스플레이(14)는 개별 발광 다이오드들의 어레이, 전기습윤 픽셀 구조물들, 전기영동 픽셀 구조물들, 또는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구조물들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에서, 픽셀들(122)은 각각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 및 발광 다이오드들로의 전류의 인가를 제어하는 픽셀 회로들을 포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들에서, 픽셀들(122)은 제어된 양의 전계를 액정 층의 픽셀 크기 부분들로 인가하는 데 사용되는 픽셀 전극들로의 신호들의 인가를 제어하는 픽셀 회로들을 포함한다. 픽셀들(122) 내의 픽셀 회로들은 게이트 라인들(G) 상의 게이트 라인 신호들과 같은 제어 신호들에 의해 제어되는 게이트들을 갖는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는 픽셀들(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는 집적 회로들,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들, 또는 다른 적합한 회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부는 폴리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들,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반도체-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반도체들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형성될 수 있다. 픽셀들(122)은 색상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능력을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색상들(예컨대, 적, 녹 및 청)의 색상 필터 요소들 또는 다른 색상들의 구조물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A) 및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와 같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A)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 및/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부(예컨대, 타이밍 제어기 집적 회로들)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로 형성될 수 있거나 박막 "게이트 온 어레이(gate-on-array)" 회로부일 수 있다. 도 6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A)는 디바이스(10)의 시스템 제어 회로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 회로부는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메모리, 및 다른 저장 및 처리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부는 경로(32)를 통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A)와 통신할 수 있다. 경로(32)는 가요성 인쇄 회로 상의 트레이스들 또는 다른 전도성 라인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동작 동안,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부는 디스플레이(14)의 활성 영역(AA)의 픽셀들(122) 상에 디스플레이 될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를 회로부(120A)에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픽셀들(122) 상에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A)는 데이터 라인들(D)에 이미지 데이터를 공급하면서 경로들(38)과 같은 경로들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와 같은 지원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에 제어 신호들을 발행할 수 있다. 경로(38)는 예를 들어 전력 신호들,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 클록 신호들 등과 같은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20A)는 이들 신호들을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에 공급할 수 있다. 회로부(120B)는 디스플레이(14)의 하나의 에지 상에, 또는 디스플레이(14)의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에지들 상에, 또는 디스플레이(14) 내의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때때로 수평 제어 라인 제어 회로부로 지칭됨)는 경로(38)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예컨대, 전원 신호들,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 클록 신호들 등)을 이용하여 수평 제어 라인들(게이트 라인들)(G)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의 게이트 라인들(G)은 (예컨대, 데이터 라인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들(D)로부터 픽셀들(122) 내의 픽셀 저장 커패시터들로 로딩할 때, 그 픽셀들 내의 트랜지스터들을 켜기 위해) 각각 각자의 행의 픽셀들(122)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 신호 또는 다른 신호 또는 신호들을 운반할 수 있다. 동작 동안,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들은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게이트 라인(G) 상에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어서트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 내의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부(예컨대, 레지스터들의 체인)는 게이트 라인 신호들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픽셀들(122)을 포함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활성 영역(AA)을 갖는다. 디스플레이(14)는 또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120) 및 이미지들을 생성하지 않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비활성 영역(IA)(때때로 경계 구역으로 지칭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디스플레이(14)를 위한 디스플레이 커버 층 또는 디스플레이(14)의 다른 층의 하부측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 및 다른 컴포넌트들을 디바이스(10)의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비활성 영역(IA) 내에 은닉하기 위해 불투명한 마스킹 재료(예컨대, 흑색 또는 백색 잉크 층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들이 또한 (예컨대, 이미지 센서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변 광 센서들, 근접 센서들 등을 수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4)의 비활성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디스플레이(14)에서, 활성 영역(AA)은 상부 및 하부 에지들, 및 좌측 및 우측 에지들을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비활성 영역(IA)은 네 개의 일반적으로 스트립형(strip-shaped)의 에지 구역들을 가질 수 있다(예컨대, 디스플레이(14)는 상부 및 하부 비활성 영역 스트립들 및 좌측 및 우측 비활성 영역 스트립들로 구성된 직사각형 링 형상의 비활성 경계를 가질 수 있음). 비활성 영역(IA)을 과도하게 확장시키지 않고 (그리고 이에 따라 활성 영역(AA)의 크기를 과도하게 줄이지 않고) 비활성 영역(IA) 내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기 위해, 활성 영역(AA)에는 비활성 영역(IA)의 일부가 내부로 연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들 또는 격리된 개구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영역(AA)에 노치가 형성될 수 있고, 비활성 영역(IA)의 일부분이 노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의 이 돌출부는 버튼, 지문 판독기, 발광 다이오드 상태 표시기, 주변 광 센서, 근접 센서, 터치 센서, 카메라(즉, 디지털 이미지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자기 센서, 압력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또는 다른 센서, 버튼, 터치 감응형 컴포넌트,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오디오 컴포넌트 또는 출력을 생성하고/하거나 입력을 수신하는 다른 전기 컴포넌트(들)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서, 디스플레이(14)의 활성 영역(AA)은 에지(132)와 같은 상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 부분(130)과 같은 리세스가 에지(132)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부분(130)은 비활성 영역(IA)의 연관적으로 확장된 내향 돌출 구역(134)을 생성한다. 구역(134)의 비활성 영역(IA)과 같은 연장된 비활성 영역들은 비활성 영역(IA)의 다른 부분들에 연속할(contiguous) 수 있거나 또는 활성 영역(AA)에 의해 둘러싸인 비활성 영역(IA)의 격리된 아일랜드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내향 돌출 영역(134)의 비활성 영역(IA)은 디스플레이(14)의 상부 경계 구역을 형성하는 비활성 영역(IA)의 수평 상부 스트립에 연속한다.
비활성 영역 돌출부(134)의 존재로 인해, 컴포넌트(136)와 같은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이 디스플레이(14) 내에 존재한다. 컴포넌트(136)는 센서, 광 검출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버튼, 지문 판독기, 이미지 센서,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서, 컴포넌트(136)는 카메라 윈도우 뒤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4)를 형성하는 재료의 층들에서 흑색 잉크 층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편광 층(들)의 비편광 구역들에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광 기반 컴포넌트들(예컨대, 광 센서들, 하나 이상의 개별 가시광 또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들과 같은 발광 디바이스들, 광 기반 근접 센서들 등)은 또한 비활성 영역(IA)의 구역(134)의 윈도우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구역(134)에서의 카메라의 사용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구역(134)은 활성 영역(AA) 내부로 내향하여 돌출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으면 구역(134)을 횡단할 것인 게이트 라인들(G)(또는 다른 수평 제어 라인들)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될(truncated)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라인들(D), 게이트 라인들(G)과 같은 제어 라인들 및/또는 데이터 라인들과 제어 라인들 둘 모두는 연장된 비활성 영역(134)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단축 게이트 라인들(G)은 활성 영역(AA)의 연장된 부분들이 비활성 구역(134)의 좌측 및 우측 측면들 상에 존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컴포넌트(136)를 수용하기 위해 활성 영역(AA)의 상부 에지를 따라 픽셀들(122)의 전체 행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활성 영역(AA)에 의해 사용되는 영역을 최대화한다.
도 6의 예에서, 게이트 라인들(G)은 디스플레이(14)의 좌측 및 우측 에지에서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로부터 디스플레이(14)의 중간까지 연장되는 규칙적인 길이의 라인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은 또한 단축 라인들을 포함한다. 단축 라인들은 규칙적인 길이의 라인들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14)의 좌측 및 우측 에지들에서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120B)로부터 디스플레이(14)의 중간을 향하여 연장되지만, 돌출부(134)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비활성 영역 돌출부(134)의 에지에서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라인들(D)은 디스플레이(14)의 전체 수직 범위만큼 연장되는 규칙적인 길이의 라인들 및 돌출부(134)의 에지에서 종단되는 데이터 라인(D')과 같은 단축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한다.
원한다면, 돌출부(134)와 같이 비활성 영역들 상에 침입하지 않고 픽셀들(122)로 신호들을 라우팅하기 위해 다른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 레이아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예시적인 배열은 수직 게이트 라인 확장부들(G')을 사용하여 게이트 라인 신호들이 수평 게이트 라인들(G)로 수직으로 라우팅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게이트 라인 확장부들(G')은 각각 (예로서) 디스플레이(14)의 하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의 좌측 및 우측 에지를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이러한 레이아웃은 디스플레이(14)를 위한 좌측 경계 구역(비활성 영역(IA))과 같은 경계들의 크기가 감소되게 한다. 도 8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데이터 라인들(D)은 데이터 라인들(D)이 아일랜드(134I)와 같은 비활성 영역(IA)의 아일랜드 또는 다른 격리된 비활성 영역의 존재로 인해 차단되었을 픽셀들(122) 내로 데이터를 로딩하도록 허용하는 접혀진 단부 부분들(DF)을 갖는다.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는 아일랜드(134I)와 같은 아일랜드 위와 아래 둘 모두에 블록들로 위치될 수 있다(이 경우, 데이터 라인들은 접힘없이 각자의 블록들로부터 픽셀들(122)로 직접 연장될 수 있음). 비활성 영역의 내향 돌출부들(즉, 활성 영역 노치들 또는 다른 리세스들) 및/또는 활성 영역으로 둘러싸인 비활성 영역(즉, 활성 영역의 격리된 개구부들 내에 형성된 비활성 영역)의 아일랜드들을 수용하기 위해 라우팅 제어 라인 신호들, 데이터 라인 신호들 및 전원 신호들을 위한 다른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디스플레이(14)의 연장된 비활성 영역 구역들은 디스플레이(14) 상에 이미지 콘텐츠의 완벽한 직사각형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14)에 존재하는 증진된 양의 활성 영역은 사용자에게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하나의 예시적인 접근법을 보면, 활성 영역(AA)의 일부분(즉, 메인 부분(AA-M)과 같은 활성 영역(AA)의 메인 직사각형 메인 부분)은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직사각형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의 직사각형 메인 부분(AA-M)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사진, 직사각형 비디오,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들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문서, 또는 다른 직사각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 돌출부(134)의 존재로 인해, 부분(AA-M)의 수평 상부 에지(140)는 그것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는다면 더 위로 연장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장된 활성 영역 구역들(AA-EL 및 AA-ER)은 구역(134)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용 가능하다. 구역들(AA-EL 및 AA-ER)은 세장형의 직사각형 구역들(즉, 수평으로 연장되는 스트립형 구역들)일 수 있다. 영역(AA-EL)은 활성 영역 구역(AA-M)의 에지(140)와 디스플레이(14)의 상부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비활성 영역(IA)의 일부분의 내부 에지(142) 사이에 놓인다. 구역(AA-ER)은 활성 영역 구역(AA-M)의 에지(140)와 내부 에지(142) 사이에 놓인다.
연장 구역들(AA-EL 및 AA-ER)과 같은 구역들은 텍스트, 그래픽들, 비디오, 사진들 등과 같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들(AA-EL 및 AA-ER)은 시간 및 데이터 정보(144) 및 아이콘들(146)과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디바이스(10)의 일반적인 상태와 관련될 수 있고/있거나 영역(AA-M)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들(AA-EL 및 AA-ER) 내의 정보는 배터리 충전 레벨,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신호 강도 정보, 네트워크 연결 정보, 시간 정보, 날짜 정보, 메시지 상태 정보, 디스플레이 밝기 정보, 미디어 재생 상태 정보 등과 같은 상태 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구역들(AA-EL 및 AA-ER) 내의 정보는 구역(AA-M)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문서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수 정보, 단어 수 정보, 문서 확대 상태, 줄 간격 설정 및 문서에 관한 다른 상태 정보가 제시될 수 있다. 구역(AA-M)이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황들에서, 구역들(AA-EL 및 AA-ER)은 실행 시간 정보, 잔여 시간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미디어 타이틀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정보(144 및 146)는 배경(148)과 같은 배경 상에 제시될 수 있다. 배경(148)은 임의의 적합한 색상 및/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원한다면, 비활성 영역(IA)은 내부 컴포넌트들이 보이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4)의 최외곽 층(들) 아래에 은닉하기 위해 흑색 잉크 또는 다른 불투명한 마스킹 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열에서, 배경(148)은 비활성 영역 마스킹 재료의 흑색 색상과 일치하도록 흑색일 수 있다. 구역(134)은 또한 흑색일 수 있거나(예컨대, 구역(134)의 디스플레이 층(들)의 하부측은 흑색 잉크로 코팅될 수 있음) 또는 구역(134)은 대조적인(contrasting) 외관을 가질 수 있다(예컨대, 구역(134)은 반짝일 수 있거나, 백색일 수 있거나, 적색 또는 다른 적합한 색상을 가질 수 있는 등이다). 구역 배경(148)이 구역(134)의 흑색 색상과 일치하기 위해 흑색인 구성들에서, 구역들(AA-EL 및 AA-ER)은 활성 영역의 일체형 스트립의 일부가 되는(따라서 활성 영역(AA-M)의 일체형 연장부들이 되는) 외관을 가질 것이다. 구역(134)의 흑색은 배경(148)의 흑색과 혼합될 것이기 때문에 돌출부(134)로 인한 시각적 중단은 시각적으로 거슬리지 않을 것이다.
원한다면, 디스플레이(14)의 활성 영역(AA)은 비활성 영역(IA)의 아일랜드들(즉, 비활성 영역(IA)이 활성 영역(AA)에 의해 둘러싸인 격리된 구역의 형상을 갖는 개구부들) 및/또는 직사각형 노치들 또는 다른 리세스들을 갖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것이다. 도 10의 예에서, 디스플레이(14)의 활성 영역(AA)은 비교적 얕은 직사각형 리세스(130)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11은 활성 영역(AA)에 다수의 리세스들(예컨대, 직사각형 리세스들(130-1 및 130-2)과 같은 리세스들)이 있을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2의 구성에서, 활성 영역(AA)의 네 개의 모서리들 각각에 리세스들이 있다(즉, 리세스들(130-1, 130-2, 130-3 및 130-4)). 도 13에서, 활성 영역(AA)은 매끄러운 마우스홀 형상(mousehole-shaped)의 리세스(130)가 내부로 형성되는 원형 윤곽을 갖는다. 도 14의 직사각형 활성 영역(AA)과 같은 직사각형 활성 영역들에는 곡선형 리세스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4의 리세스(130)는 일례로서 버튼(26)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적인 개구부(130I)와 같은 활성 영역(AA)의 개구부들은 스피커들 및/또는 다른 전기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들(134)과 같은 비활성 영역 부분들은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의 개구부들 및 다른 리세스들의 각각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IA)에 대한 다른 형상들 및 레이아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들을 포함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활성 영역, 및 픽셀들이 없고 활성 영역의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며, 비활성 영역의 돌출 부분은 에지의 일부분을 따라 활성 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직사각형 부분 및 비활성 영역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의 두 개의 직사각형 연장 구역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 내의 픽셀들은 직사각형 연장 구역들 내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돌출 부분 내에 카메라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비활성 영역의 돌출 부분 내에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컴포넌트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부분은 비활성 영역의 직사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 영역의 돌출 부분은 흑색 마스킹 층을 가지며, 활성 영역은 돌출 부분에 인접하고 흑색 배경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돌출 부분은 비활성 영역의 직사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원형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돌출 부분은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내부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들을 포함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활성 영역, 및 픽셀들이 없고, 활성 영역 내의 개구부 내에 형성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격리된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격리된 비활성 영역 내에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컴포넌트는 스피커, 카메라, 광 센서, 개별 발광 다이오드, 근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힘 센서, 온도 센서, 지문 센서, 버튼, 및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픽셀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픽셀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며, 데이터 라인들의 적어도 일부는 격리된 비활성 영역에 인접한 폴딩된 단부들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돌출된 비활성 영역이 내부로 연장되는 리세스 부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및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는 덮개(lid)를 갖는 하우징, 덮개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는 픽셀들을 포함하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활성 영역을 가지고, 활성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따라 이어지는 비활성 영역을 가지며, 활성 영역은 리세스를 가지고, 비활성 영역은 리세스 내부로 연장되는 돌출 부분를 가짐 -, 및 비활성 영역의 돌출 부분 내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랩톱 컴퓨터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은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직사각형 구역을 가지고, 메인 직사각형 구역과 비활성 경계 사이의 제1 및 제2 직사각형 연장 구역들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직사각형 연장 구역들은 카메라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직사각형 연장 구역들은 흑색 배경 상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메인 직사각형 구역은 직사각형 사진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로서,
    활성 영역을 형성하는 픽셀들의 어레이 - 상기 픽셀들의 어레이는 픽셀들의 제1 및 제2 그룹을 포함함 -;
    상기 픽셀들의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에 비활성 영역을 형성하는 불투명 마스킹 재료; 및
    상기 픽셀들의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의 상기 비활성 영역에 위치하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가시광(visible light)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킹 재료는 상기 픽셀들의 어레이 둘레에 경계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의 상기 비활성 영역 내에 광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적외선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킹 재료는, 상기 픽셀들의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와 정렬되는 개구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내의 픽셀들의 행들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신호 라인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신호 라인들은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신호 라인보다 짧은, 전자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들은 게이트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픽셀들의 제1 그룹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제2 그룹은 배터리 충전 레벨과 신호 강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1, 제2 및 제3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픽셀들의 어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개재된 제1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개재된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입력-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컴포넌트들은 스피커, 카메라, 광 센서, 개별 발광 다이오드, 근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힘 센서, 온도 센서, 지문 센서, 버튼, 및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불투명 마스킹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은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전자 디바이스로서,
    픽셀들의 제1, 제2 및 제3 그룹을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픽셀들의 제1 그룹을 상기 픽셀들의 제2 그룹으로부터 분리하는 제1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픽셀들의 제3 그룹으로부터 상기 픽셀들의 제2 그룹을 분리하는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1 및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불투명 마스킹 재료; 및
    상기 제1 및 제2 비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킹 재료는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들 중 하나와 정렬되는 개구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제2 그룹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제1, 제2 및 제3 그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픽셀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은 스피커, 카메라, 광 센서, 개별 발광 다이오드, 근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힘 센서, 온도 센서, 지문 센서, 버튼, 및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27019299A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KR10254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0559A KR20230011485A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3923P 2015-09-28 2015-09-28
US62/233,923 2015-09-28
KR1020207012652A KR102408239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PCT/US2016/048754 WO2017058416A1 (en) 2015-09-28 2016-08-25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extended active are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52A Division KR102408239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559A Division KR20230011485A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420A KR20220084420A (ko) 2022-06-21
KR102546135B1 true KR102546135B1 (ko) 2023-06-20

Family

ID=5699095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299A KR102546135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KR1020207012652A KR102408239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KR1020187007850A KR102206428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KR1020237000559A KR20230011485A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52A KR102408239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KR1020187007850A KR102206428B1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KR1020237000559A KR20230011485A (ko) 2015-09-28 2016-08-25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10607573B2 (ko)
EP (3) EP4130934A1 (ko)
JP (4) JP6929274B2 (ko)
KR (4) KR102546135B1 (ko)
CN (3) CN115793783A (ko)
AU (2) AU2016331767B2 (ko)
WO (1) WO2017058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3480B2 (en) 2013-12-31 2019-07-30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Gaming machine with a curved display
US11045726B2 (en) * 2013-12-31 2021-06-29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Gaming machine having a curved display
KR20180085423A (ko) * 2017-01-18 2018-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36387B2 (en) * 2017-05-16 2021-06-1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CN107393458B (zh) * 2017-07-28 2019-1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装置
CN107247379B (zh) * 2017-07-31 2023-08-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电子设备
WO2019033385A1 (zh) * 2017-08-18 2019-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
US10607549B2 (en) 2017-09-01 2020-03-31 Apple Inc. Data signal adjustment for displays
JP6938312B2 (ja) * 2017-09-28 2021-09-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9070761A (ja) * 2017-10-10 2019-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88783B1 (ko) * 2017-11-22 202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11525B1 (ko) * 2017-12-19 2023-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153503B (zh) * 2017-12-20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KR102413113B1 (ko) 2018-01-08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494908B (zh) * 2018-03-09 2021-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和制造方法
KR102531042B1 (ko) 2018-04-05 2023-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된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64235B1 (en) * 2018-06-25 2021-03-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narrow border displays
KR102513324B1 (ko) * 2018-07-10 2023-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4362B1 (ko) * 2018-09-28 2023-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패키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0969982B (zh) * 2018-09-28 2022-09-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结构、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188760A (zh) * 2018-09-30 2019-01-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602670B1 (ko) 2018-10-05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9185B1 (ko) 2018-11-07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2641B1 (ko) 2018-11-30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228149A (zh) * 2019-03-04 2021-08-06 谷歌有限责任公司 移动计算设备的显示配置
KR20200108140A (ko) 2019-03-06 2020-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194525A1 (ja) * 2019-03-26 2020-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21400A (ko) 2019-04-15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JP7203676B2 (ja) * 2019-04-16 2023-0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10005446A (ko) 2019-07-05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207830A (zh) 2019-08-08 2022-03-1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637153B2 (en) * 2019-09-26 2023-04-25 Apple Inc. Displays with optical edge sensors
KR20210052623A (ko) 2019-10-29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17228A1 (ja) * 2019-12-13 2021-06-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210080686A (ko) 2019-12-20 2021-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52682A1 (ja) * 2020-01-28 2021-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1167991A1 (en) * 2020-02-18 2021-08-26 Google Llc Reducing hole bezel region in displays
US11778874B2 (en) 2020-03-30 2023-10-03 Apple Inc. Reducing border width around a hole in display active area
KR20220010978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220016384A (ko) 2020-07-31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366A (ja) 2000-06-30 2002-01-18 Minolta Co Ltd 表示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装着型電子機器
JP2003163759A (ja) 2001-09-14 2003-06-06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20069241A1 (en) 2010-09-17 2012-03-22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US20120243091A1 (en) 2011-03-24 2012-09-2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sensors and other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s
JP2014134766A (ja) 2013-01-11 2014-07-24 Au Optronics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WO2014142183A1 (ja) 2013-03-15 2014-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US20160111040A1 (en) 2014-10-16 2016-04-21 Lg Display Co., Ltd. Panel array for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8426B2 (ja) * 1992-05-19 2002-06-0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5815197A (en) * 1995-02-16 1998-09-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Two-way interactive system, terminal equip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matching lines of sight between interlocutors through transmission means
EP0766168A3 (en) * 1995-09-28 1997-11-19 Hewlett-Packard Company Icons for dual orientation display devices
JPH10333158A (ja) 1997-06-03 1998-12-18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US6496361B2 (en) * 1998-11-16 2002-12-17 Acer Incorporated Embedded CMOS camera in a laptop computer
JP4052498B2 (ja) * 1999-10-29 2008-02-27 株式会社リコー 座標入力装置および方法
US7196728B2 (en) * 2002-03-27 2007-03-27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taking images
US20040212555A1 (en) *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US7714831B2 (en) * 2003-07-16 2010-05-11 Honeywood Technologies, Llc Background plateau manipulation for display device power conservation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7310534B2 (en) * 2003-12-16 2007-1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cation status indicator for mobile phones
US20050264689A1 (en) * 2004-05-26 2005-12-01 Yang Shou A Display panel having a video camera
KR101131002B1 (ko) * 2004-06-18 2012-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US7310079B2 (en) * 2004-07-01 2007-12-18 Himax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e sharing in LCD
TWI279630B (en) 2004-12-17 2007-04-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JP4768311B2 (ja) 2005-04-28 2011-09-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US20060279652A1 (en) * 2005-06-13 2006-12-14 Shou-An Yang Display panel with camera function
JP2007316243A (ja) 2006-05-24 2007-12-0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80080850A1 (en) * 2006-09-29 2008-04-03 Motorola, Inc. Flash shutter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08245231A (ja) * 2007-03-28 2008-10-09 M Soft:Kk モバイル可視光通信装置
JP2009047902A (ja) * 2007-08-20 2009-03-05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EP2198359A1 (en) * 2007-08-31 2010-06-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near-infrared touch input display
KR101716401B1 (ko) * 2008-01-30 2017-03-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이벤트의 통지
KR20090083677A (ko) * 2008-01-30 2009-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0015015A (ja) * 2008-07-04 2010-01-21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149279B2 (en) * 2008-08-18 2012-04-03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digital cameras
JP2010066461A (ja) * 2008-09-10 2010-03-2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5704624B2 (ja) 2008-12-04 2015-04-2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456586B2 (en) 2009-06-11 2013-06-04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674964B2 (en) * 2009-07-02 2014-03-18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uch display
US20110018849A1 (en) * 2009-07-27 2011-01-27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bedding a display in a bezel
US8558977B2 (en) * 2009-09-11 2013-10-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structures with alignment features
US8837855B2 (en) * 2009-11-16 2014-09-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mage compositing via multi-spectral detection
US20110182443A1 (en) * 2010-01-26 2011-07-28 Gant Anthony W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tact microphone
US8674959B2 (en) * 2010-06-28 2014-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US8642119B2 (en) * 2010-09-22 2014-02-04 Stmicroelectronics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shielding semiconductor devices from light
US9143668B2 (en) *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8467177B2 (en)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760849B1 (ko) 2011-03-04 2017-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8934228B2 (en)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5862034B2 (ja) * 2011-03-31 2016-02-16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装置
KR101813459B1 (ko) 2011-06-24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0669B1 (ko) 2011-09-07 2017-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244215B2 (en) * 2011-09-09 2016-01-26 Apple Inc. Chassis for display backlight
US8947627B2 (en) * 2011-10-14 2015-02-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openings
JP2013117890A (ja) * 2011-12-05 2013-06-13 Sony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操作方法
WO2013100611A1 (en) * 2011-12-30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8684613B2 (en) 2012-01-10 2014-04-01 Apple Inc. Integrated camera window
US9395589B2 (en) * 2012-03-20 2016-07-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verte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3225033A (ja) 2012-04-23 2013-10-31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31654B1 (ko) * 2012-05-2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구조물, 그 제조 방법,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카메라가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894781B2 (en) *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US9075199B2 (en) 2012-10-30 2015-07-07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JP5610407B2 (ja) * 2012-12-25 2014-10-2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40189602A1 (en) * 2012-12-28 2014-07-03 Mediatek Inc. Method and associated system for displaying graphic content on extension screen
JP5909198B2 (ja) * 2013-01-21 2016-04-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6105953B2 (ja) 2013-01-25 2017-03-2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視線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視線入力方法
EP2762992B1 (en) * 2013-02-01 2018-06-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9806219B2 (en) 2013-02-14 2017-10-31 Apple Inc. Displays with camera window openings
US20160011633A1 (en) * 2013-03-15 2016-01-14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CN205175908U (zh) 2013-03-25 2016-04-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空隙配置构造体
US9465276B2 (en) * 2013-07-06 2016-10-11 Karl S Jonsson Webcam privacy shield
US20160161664A1 (en) * 2013-08-12 2016-06-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US9851605B2 (en) * 2013-08-29 2017-12-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JP6260322B2 (ja) 2014-02-12 2018-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カバーガラス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
JP5775622B2 (ja) * 2014-05-12 2015-09-0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液晶シャッタを備える電子機器および方法
KR101588975B1 (ko) * 2014-06-24 2016-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의 패널 어레이
US9543370B2 (en) * 2014-09-24 2017-01-10 Apple Inc. Silicon and semiconducting oxide thin-film transistor displays
US20170084231A1 (en) * 2015-09-23 2017-03-23 Intel Corporation Imaging system management for camera mounted behind transparent display
US10108222B2 (en) * 2015-12-04 2018-10-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s with holes to accommodate components
CN106843389B (zh) * 2017-01-09 2022-08-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7643638B (zh) * 2017-10-18 2020-05-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面板
CN109410771B (zh) * 2018-10-31 2021-06-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838468B2 (en) * 2019-01-28 2020-11-17 EMC IP Holding Company LLC Mounting a camera behind a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LED) display
CN110473988B (zh) * 2019-08-02 2020-11-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制程用掩模版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366A (ja) 2000-06-30 2002-01-18 Minolta Co Ltd 表示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装着型電子機器
JP2003163759A (ja) 2001-09-14 2003-06-06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20069241A1 (en) 2010-09-17 2012-03-22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US20120243091A1 (en) 2011-03-24 2012-09-2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sensors and other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s
JP2014134766A (ja) 2013-01-11 2014-07-24 Au Optronics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WO2014142183A1 (ja) 2013-03-15 2014-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US20160111040A1 (en) 2014-10-16 2016-04-21 Lg Display Co., Ltd. Panel array for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934A1 (en) 2023-02-08
US11521577B2 (en) 2022-12-06
US20230041381A1 (en) 2023-02-09
US20240038200A1 (en) 2024-02-01
JP2023025130A (ja) 2023-02-21
KR20200049911A (ko) 2020-05-08
US11823645B2 (en) 2023-11-21
KR20230011485A (ko) 2023-01-20
KR20180042351A (ko) 2018-04-25
KR102408239B1 (ko) 2022-06-14
US10607573B2 (en) 2020-03-31
KR102206428B1 (ko) 2021-01-21
JP6929274B2 (ja) 2021-09-01
AU2020202585B2 (en) 2021-08-12
US11521579B2 (en) 2022-12-06
KR20220084420A (ko) 2022-06-21
CN115793783A (zh) 2023-03-14
WO2017058416A1 (en) 2017-04-06
JP2023040010A (ja) 2023-03-22
JP2020181195A (ja) 2020-11-05
AU2020202585A1 (en) 2020-05-07
US20220223122A1 (en) 2022-07-14
CN108139772A (zh) 2018-06-08
EP4191377A1 (en) 2023-06-07
JP2018536183A (ja) 2018-12-06
EP3356906A1 (en) 2018-08-08
US20190043452A1 (en) 2019-02-07
US20200227008A1 (en) 2020-07-16
AU2016331767B2 (en) 2020-01-16
CN115793784A (zh) 2023-03-14
AU2016331767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135B1 (ko)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US20230284507A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Openings
US9110320B2 (en)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US957538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with split driver ledges
KR1026357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US10019090B2 (en) Display with touch sensor circuitry
CN110767167A (zh) 显示屏及显示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