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75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754B1
KR102635754B1 KR1020227017552A KR20227017552A KR102635754B1 KR 102635754 B1 KR102635754 B1 KR 102635754B1 KR 1020227017552 A KR1020227017552 A KR 1020227017552A KR 20227017552 A KR20227017552 A KR 20227017552A KR 102635754 B1 KR102635754 B1 KR 10263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pixel
pixels
driving uni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477A (ko
Inventor
비아오 첸
스린 위안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866090.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51618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049482.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599944A/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4Sub-multiplexed active matrix panel, i.e. wherein one active driving circuit is used at pixel level for multiple image produc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전자 설비(10)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2424)를 포함하고, 제2 픽셀 세트(2424)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인접하고; 각 제1 픽셀 세트(2422)는 제1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각 제2 픽셀 세트(2424)는 제2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제2 수량은 제1 수량보다 작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삭제
본 출원은 2019년 10월 31일 출원된 출원 번호 201911049482.9의 중국 특허 출원, 및 2019년 10월 31일 출원된 출원 번호 201921866090.7의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인용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설비가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전자 설비를 사용하는 동안 전자 설비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은 디스플레이 효과와 사용자 체험감을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있지만 전자 설비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일정 크기를 초과하면 잡기가 어렵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장치 아래에 설치되고,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과한 환경광을 획득하여 촬상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제1 픽셀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픽셀 세트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각 상기 제1 픽셀 세트는 제1 수량의 제2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량의 제2 픽셀은 공통의 제1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픽셀 세트는 제2 수량의 제2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량의 제2 픽셀은 공통의 제2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량은 상기 제1 수량보다 작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설비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전자 설비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과하는 외광 신호를 획득하여 촬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하는 도면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설비의 제1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Z1 부분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의 제1 픽셀 세트 및 하나의 제1 구동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Z2 부분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 및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X 부분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Z3 부분의 방식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5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1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2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3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4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5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6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2 픽셀이 병렬로 연결된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적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6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1 부분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2 부분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1 부분의 다른 확대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카메라의 제1 구조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카메라의 제2 구조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설비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전자 설비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의 렌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즉,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과하는 외광 신호를 획득하여 촬상을 수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율은 낮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과하는 카메라의 촬상 효과가 좋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다른 영역으로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의 투광율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위치의 투광율보다 높게 설정하고, 카메라의 촬상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설비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 설비일 수 있으며, 게임 설비,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AR) 설비,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설비, 차량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이터 저장 장치, 오디오 방송 장치, 비디오 방송 장치, 웨어러블 설비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설비일 수 있으며, 여기서 웨어러블 설비는 스마트 팔찌, 스마트 안경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설비의 제1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은 전자 설비가 휴대폰인 경우를 예시하고,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투광율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투광율보다 크다. 전자 설비(10)에는 카메라(60)가 설치되고, 카메라(60)의 렌즈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향하여 설치되고, 카메라(6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통과하는 외광 신호를 획득하여 촬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 아래에 설치되고,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통과하는 외광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외광 신호에 따라 촬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완정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 점유율을 증가시킨다. 카메라(60)는 전자 설비의 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고,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통해 사용자의 셀카와 같은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모두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예설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예설 이미지의 나머지 부분을 표시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예설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작업 디스플레이줄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모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완정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 점유율이 높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둘러쌀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둘레는 모두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인접할 수 있고, 즉,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모서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상단 중앙에 위치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부분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Z1 부분을 나타낸 확대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의 제1 픽셀 세트 및 하나의 제1 구동 회로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제1 픽셀(226)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복수의 제6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제6 구동 유닛은 하나의 제1 픽셀(226)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M개의 제1 픽셀(226) 및 M개의 제6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를 포함하고, 각 제1 픽셀 세트(2422)는 복수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제1 픽셀 세트(2422)의 모든 제2 픽셀(246)은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을 공유한다. 제1 픽셀 세트(2422)의 복수의 제2 픽셀은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구동 유닛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픽셀 세트(2422)의 복수의 제2 픽셀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구동 유닛을 공유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병렬 연결은 제1 구동 유닛의 구동 전압을 변경하지 않으며, 병렬 연결에 의해 형성된 제1 픽셀 세트의 제2 픽셀의 수량은 직렬 연결에 의해 형성된 제1 픽셀 세트의 수량보다 많을 수 있다. 제2 픽셀 세트는 제1 픽셀 세트와 동일한 연결 방식을 가진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를 포함하고, 각 제1 픽셀 세트(2422)는 복수의 병렬로 연결된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제1 픽셀 세트(2422)의 모든 제2 픽셀(246)은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을 공유한다.
각 제1 구동 유닛(248)은 제1 픽셀 세트(24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제1 구동 유닛(248)은 제1 구동 유닛(2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의 모든 제2 픽셀(246)을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은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을 공유하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248)의 수량은 제1 픽셀(226)의 수량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N개의 제1 픽셀 세트(2422)를 포함하고, 각 제1 픽셀 세트(2422)는 4개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는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에 대응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4N개의 제2 픽셀(246) 및 N개의 제1구동 유닛(248)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설치된 제1 구동 유닛(248)과 제2 픽셀(246)의 비율이 더 작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1 구동 유닛(248)의 분포 밀도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6 구동 유닛(228)의 분포 밀도보다 작고,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6 구동 유닛은 모두 불투명 소자(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포함된 불투명 소자의 수량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보다 적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투광율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투광율보다 훨씬 클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형상 및 크기는 카메라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사이의 가장자리 영역은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카메라의 요구를 만족해야 하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원형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크기는 카메라의 렌즈보다 약간 크고, 카메라의 렌즈를 완전히 덮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렌즈의 정투영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위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원형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이 인접한 위치는 호형 구조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복수의 제2 픽셀이 제1 픽셀 세트로 분할되는 데 불리하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타원, 반원, 원각 직사각형 등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일 수도 있으며, 그 가장자리는 호형 구조를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도 정육각형 등의 정다각형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고, 그 가장자리는 절골 구조와 같은 호형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가장자리가 호형 구조를 포함하는 불규칙한 형상일 수도 있다.
각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는 복수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제1 픽셀 세트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은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 세트의 제2 픽셀(246)은 2행으로 배열되고, 각 행에는 2개의 제2 픽셀(246)이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은 모두 다른 픽셀 세트로 분할될 수 있지만,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크기와 형상은 카메라에 따라 설치되어야 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는 호형 구조를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의 일부는 전체 어레이로 배열된 제1 픽셀 세트에 없을 수 있고, 이 부분의 제2 픽셀(246)이 표시되지 않으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사이에 표시되지 않는 검은 점(픽셀)이 존재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사이의 과도는 불균일한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사이의 과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이 부분의 제2 픽셀(246)도 구동 및 표시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2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픽셀 세트(2422)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은 2행 2열, 3행 3열, 2행 3열, 3행 2열, 4행 4열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으로 배열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2424)에 포함된 제2 픽셀(246)의 수량은 제1 픽셀 세트(2422)보다 적고,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은 먼저 복수의 제1 픽셀 세트(2422)로 분할되고, 나머지는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로 분할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나머지 제2 픽셀(246)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머지 제2 픽셀(246)은 여전히 원래의 분할 규칙에 따라 분할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넘어선 부분을 포기하고, 나머지 부분만 병렬로 연결되어 제2 픽셀 세트(2424)를 형성한다. 제2 픽셀 세트(2424)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가 제1 픽셀 세트(2422)에 없는 제2 픽셀(246)의 세트이다. 예를 들어, 제1 픽셀 세트(2422)는 2행 2열로 배열되고, 제k 행 및 제k+1행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는 제k 행의 제i 열에 제2 픽셀(246)이 있고, 제k+1 행의 제i 열과 제i+1 열에 각각 제2 픽셀(246)이 있고, 이 3개의 제2 픽셀(246)은 병렬로 연결되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2424)를 형성하고, 각 행의 제2 픽셀(246)의 수량은 상이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2 픽셀 세트(2424)의 제2 픽셀(246)의 수량 및 배열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에 따라 결정되며, 다른 제2 픽셀 세트(2424)에 포함된 제2 픽셀(246)의 수량 및 배열은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픽셀 세트(2424)는 단 하나의 픽셀(246)을 포함할 수 있거나, 복수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수량은 9 또는 6과 같은 고정된 숫자일 수 있고, 제2 수량은 제1 수량보다 작은 고정되지 않은 숫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는 불규칙한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픽셀 세트의 불규칙한 가장자리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호형 구조와 공형이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는 불규칙한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호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의 물리적 구조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의 물리적 구조와 동일한 경우, 불규칙한 제2 픽셀 세트(2424)에 의해 평활한 과도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가 호형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직선 과도의 돌변감과 톱니 모양의 디스플레이의 파괴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평활화 알고리즘은 제2 픽셀 세트(2424)에 대해 설치될 수 있고, 제2 픽셀 세트(2424)의 픽셀(246)에 대해 디스플레이 평활화 과도 처리를 수행하고, 평활한 과도를 달성한다. 또한, 제2 픽셀(246)에 인접한 부분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도 설정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인접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평활화 과도 처리를 수행하고, 평활한 과도를 달성한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과 동일한 물리적 구조를 갖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의 크기, 분포 밀도 및 배열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구동해야 하는 픽셀의 부피가 클수록 필요한 구동 능력이 커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픽셀의 두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픽셀의 면적이 클수록 요구되는 구동 능력도 커진다.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에 포함된 제2 픽셀(246)의 수량은 고정되어 있고, 각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하는 구동 능력도 고정되어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2424)에 포함된 제2 픽셀(246)의 수량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제2 픽셀 세트(2424)에 포함된 제2 픽셀의 수량은 1, 2, 3, 4 등일 수 있고, 포함된 제2 픽셀(246)의 수량이 다르고, 대응하는 구동 능력도 다르다. 모든 제2 픽셀 세트(2424)의 제2 구동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는 동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든 제2 픽셀 세트(2424)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유닛은 7T1C, 5T1C 또는 2T1C 등의 하나일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의 구동 회로는 동일하나 구동 능력이 상이하며, 이는 제2 구동 유닛의 단일 소자(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클수록 구동 능력도 커진다. 즉, 제2 픽셀 세트(24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구동 유닛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제2 픽셀 세트(2424)의 제2 픽셀(246)의 수량과 정상관이 있다. 또한, 제2 픽셀 세트(2424)의 제2 픽셀(246)의 수량이 많을수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구동 유닛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도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픽셀 세트(2422)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248)은 제2 픽셀 세트(2424)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유닛과 동일한 구동 회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픽셀 세트(2422)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248)은 제2 픽셀 세트(2424)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유닛과 상이한 구동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 세트(2422)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은 5T1C이고, 제2 픽셀 세트(2424)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유닛은 2T1C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부분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인접하고,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인접한 부분 영역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완전히 둘러싸거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고,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양측에 설치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Z2 부분을 나타낸 확대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 및 구동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을 구동하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뿐만 아니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을 통해 외광 신호를 획득할 필요가 없으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이 설치되고,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설치되지 않고, 불투명한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설치되지 않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투광율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보다 훨씬 클 수 있고, 동시에, 제1 구동 유닛(248)과 제2 구동 유닛에 의해 야기되는 다른 문제를 감소시키고,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설치된 제1 구동 유닛(248)에 의한 카메라 촬상의 회절 문제,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의 반사 및 굴절로 인한 카메라 촬상의 잡광 문제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246)의 분포 밀도가 클수록 단위 면적당 픽셀(246)이 많아지고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나은 디스플레이 효과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조 공정을 고려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226)는 제1 픽셀(226)을 구동하는 제6 구동 유닛(228)의 크기에 대응한다. 복수의 제6 구동 유닛(228)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동 칩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 라인을 더 필요하고, 구동 칩은 복수의 신호 라인을 통해 각 제6 구동 유닛(228)을 제어하고, 복수의 신호 라인은 복수의 제6 구동 유닛(228)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픽셀(226) 사이에는 간격 공간이 있고, 간격 공간은 신호 라인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신호 라인은 일정한 선폭을 가지며, 임피던스 요구와 제품 프로세스를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의 밀도는 400ppi 이상에 도달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226) 및 제6 구동 유닛(228)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고, 제6 구동 유닛(228)은 대응하게 제1 픽셀(226) 아래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6 구동 유닛(228) 사이에 복수의 신호 라인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픽셀(226) 사이의 간격 공간 아래에 설치된다. 제6 구동 유닛(228) 및 이에 연결된 신호 라인은 기본적으로 전체 공간을 커버하며, 다른 소자를 수용하기 어렵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복수의 제1 픽셀(226)은 복수의 제1 픽셀(226)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3 픽셀 세트(2426)를 형성하고, 각 제3 픽셀 세트(2426)는 복수의 병렬로 연결된 픽셀(246)을 포함하고, 각 제3 픽셀 세트(2426)의 모든 픽셀(246)은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제3 픽셀 세트(2426)의 모든 픽셀(246)을 구동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6 구동 유닛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픽셀을 구동한다.
제3 구동 유닛(268)과 제6 구동 유닛(228)이 동일한 구동 회로인 경우, 제3 구동 유닛(268)의 크기는 제6 구동 유닛(228)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크며, 제3 구동 유닛(268)을 연결하는 신호 라인과 제6 구동 유닛(228)을 연결하는 선폭은 대략 동일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복수의 제1 픽셀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3 픽셀 세트를 형성하고, 그리고 하나의 제3 픽셀 세트(2426)는 구동하기 위해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만을 필요하고,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의 크기는 하나의 제1 픽셀(226)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하나의 제3 픽셀 세트(2426)의 복수의 픽셀(246)은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에 대응하고, 따라서, 제3 구동 유닛(268)이 설치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층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구동하는 제2 픽셀(246)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픽셀(226) 및 제3 구동 유닛(268)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 설치될 때, 제3 구동 유닛(268)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픽셀 세트(2426)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예를 들어, 제3 구동 유닛(268)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픽셀 세트(2426) 아래에 설치되고, 제3 픽셀 세트(2426)의 하나의 제1 픽셀(226)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제1 구동 유닛(248) 및/또는 제2 구동 유닛을 설치할 때, 제3 픽셀 세트(2426)의 하나의 픽셀(246)은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제3 픽셀 세트(2426)의 다른 픽셀(246)은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또는 제2 구동 유닛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하나의 제3 픽셀 세트(2426) 아래에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 또는 제2 구동 유닛이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248) 또는 제2 구동 유닛의 수량은 제3 픽셀 세트(2426)의 제1 픽셀(226)의 수량과 정상관이 있도록 설치된다. 예시적으로, 제3 픽셀 세트(2426)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3개의 제1 픽셀을 포함하고, 제3 픽셀 세트(2426) 아래에 하나의 제3 구동 유닛(268) 및 2개의 제1 구동 유닛(248)이 설치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이 비교적 단순한 구동 회로(예를 들어, 2T1C)인 경우,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의 크기가 작고, 하나의 제1 픽셀은 2개의 또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 또는 제2 구동 유닛에 대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도 복수의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 중 일부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되고, 일부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제1 구동 유닛, 제2 구동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제2 픽셀 사이의 연결을 단순화하기 위해,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의 일부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둘레에 설치되고,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의 일부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된 제1 구동 유닛, 제2 구동 유닛 및 제3 구동 유닛은 다른 설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부분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X 부분을 나타낸 확대 개략도이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1 픽셀(226)을 구동하는 복수의 제3 구동 유닛(268)은 집중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복수의 제3 구동 유닛(268)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집중하게 설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을 구동하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가까운 위치에 집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 설치된 복수의 제3 구동 유닛(268)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248)과 복수의 제6 구동 유닛(228) 사이에 집중하게 설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3 픽셀 아래에는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이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으로부터 멀어지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3 픽셀 아래에는 제3 구동 유닛(268)이 있다. 예를 들어, 제3 픽셀 세트는 4개의 병렬로 연결된 픽셀이고, 4개의 제1 구동 유닛(248)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3 픽셀 세트 아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4개의 제3 구동 유닛(268)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으로부터 멀어지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하나의 제3 픽셀 세트 아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는 호형 구조를 포함하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원활하게 과도하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가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도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원활하게 과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한 제4 픽셀 세트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도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Z3 부분의 확대 방식의 개략도이다. 제4 픽셀 세트(2428)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인접하고; 각 제4 픽셀 세트(2428)의 모든 제1 픽셀(226)은 하나의 제4 구동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픽셀 세트(2426)는 제3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픽셀(226)을 포함하고, 제3 픽셀 세트는 규칙적인 픽셀 세트이다. 불규칙한 제4 픽셀 세트(2428)는 제4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픽셀(226)을 포함하고, 제4 수량은 제3 수량보다 작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3 수량은 9 또는 6과 같은 고정된 숫자일 수 있고, 제4 수량은 제3 수량보다 작은 고정되지 않은 숫자일 수 있다.
규칙적인 제3 픽셀 세트(2426)의 제3 수량의 제1 픽셀(226)은 2행 2열, 3행 3열, 2행 3열, 3행 2열, 4행 4열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으로 배열된다. 제4 픽셀 세트(2428)에 포함된 제1 픽셀(226)의 수량은 제3 픽셀 세트(2426)보다 적고, 또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복수의 제1 픽셀(226)은 먼저 복수의 제3 픽셀 세트(2426)로 분할되고, 나머지 제1 픽셀은 분할되어 완전한 제3 픽셀 세트를 형성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나머지 제1 픽셀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4 픽셀 세트(2428)를 형성하고, 나머지 제1 픽셀(226)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머지 제1 픽셀(226)은 여전히 원래의 분할 규칙에 따라 분할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을 넘어선 부분을 포기하고, 나머지 부분만 병렬로 연결되어 제4 픽셀 세트(2428)를 형성한다. 제4 픽셀 세트(2428)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가장자리가 제3 픽셀 세트(2426)에 없는 제1 픽셀(226)의 세트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4 픽셀 세트(2428)의 제1 픽셀(226)의 수량 및 배열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에 따라 결정되며, 다른 제4 픽셀 세트(2428)에 포함된 제1 픽셀(226)의 수량 및 배열은 상이할 수도 있다. 제4 픽셀 세트(2428)는 단 하나의 제1 픽셀(226)을 포함할 수 있거나, 복수의 제1 픽셀(22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1 픽셀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의 물리적 구조는 완전히 일치할 수 있으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 세트(2426)와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4 픽셀 세트(2428)에 의해 평활한 과도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가장자리가 호형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직선 과도의 돌변감과 톱니 모양의 디스플레이의 파괴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평활화 알고리즘은 제2 픽셀 세트(2424) 및 제4 픽셀 세트(2428)에 대해 설치될 수 있고, 제2 픽셀 세트(2424) 및 제4 픽셀 세트(2428)의 픽셀(246)에 대해 디스플레이 평활화 과도 처리를 수행하고, 평활한 과도를 달성한다.
여기서, 제3 픽셀 세트(2426)의 제1 픽셀의 제3 수량은 제1 픽셀 세트(2422)의 제2 픽셀의 제1 수량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픽셀 세트(2422) 및 제3 픽셀 세트(2426)의 픽셀 수량은 동일하고, 제1 픽셀 세트(2422) 및 제3 픽셀 세트(2426)는 동일한 병렬 연결 방식을 사용하여 병렬 연결 방식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3 픽셀 세트(2426)의 제1 픽셀의 제3 수량은 제1 픽셀 세트(2422)의 제2 픽셀의 제1 수량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카메라를 통해 외광 신호를 획득할 필요가 없으며, 제3 픽셀 세트(2426)의 픽셀(246)의 수량은 제1 픽셀 세트(2422)의 픽셀 수량보다 적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디스플레이 효과보다 나을 수 있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가장 좋으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으로의 과도는 디스플레이 효과의 돌변감을 감소시킨다.
제3 픽셀 세트(2426)의 제1 픽셀(226)의 제3 수량은 제1 픽셀 세트(2422)의 제2 픽셀의 제1 수량보다 클 수도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카메라를 통해 외광 신호를 획득할 필요가 없으며, 제3 픽셀 세트(2426)의 제1 픽셀(226)의 수량은 제1 픽셀 세트(2422)의 제2 픽셀의 수량보다 많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상대적으로 작게 설치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줄인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 픽셀 세트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즉,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각 제1 픽셀은 하나의 제3 구동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제3 구동 유닛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제1 픽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셀은 제1 구동 유닛 또는 제2 구동 유닛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3 구동 유닛은 5T1C, 2T1C 및 기타 구동 회로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동 회로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제3 구동 유닛이 설치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층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은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을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해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은 5T1C, 2T1C 및 기타 구동 회로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동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픽셀은 7T1C와 같은 제3 구동 회로보다 더 복잡하고 더 나은 효과를 갖는 구동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을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수용하기 위해,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픽셀의 크기를 확대할 수도 있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픽셀의 크기는 대응하는 구동 회로보다 크고, 따라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1 픽셀은 하나의 제1 구동 유닛을 공동으로 수용한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제1 픽셀은 하나의 제2 구동 유닛에 대응하고, 동시에, 4개의 제1 픽셀 사이에는 하나의 제1 구동 유닛 또는 제2 구동 유닛이 수용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구동 유닛은 제3 구동 유닛보다 더 간단한 구동 회로를 사용할 수 있고, 즉, 하나의 제1 구동 유닛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수량은 하나의 제3 구동 유닛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수량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유닛은 2T1C이고, 제3 구동 유닛은 5T1C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더 나은 투광율을 위해, 동시에,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구동 유닛을 더 잘 설치하기 위해, 제1 구동 유닛은 가장 간단한 구동 회로를 사용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구동 유닛을 더 잘 수용하고, 동시에,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제3 구동 회로는 제1 구동 유닛보다 효과가 좋고, 제6 구동 회로보다 간단한 구동 회로를 사용한다. 구동 유닛의 설치을 단순화하기 위해,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은 동일한 구동 회로를 가질 수 있고, 제3 구동 유닛과 제4 구동 유닛은 동일한 구동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능동식(AMOLED)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능동식(AMOLED)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수동식(PMOLED)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면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보다 훨씬 작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PMOLED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AMOLED보다 낮지만,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표시된 내용도 매우 적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고, 표시된 내용은 덜 중요하고,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PMOLED를 사용할 수 있다. 수동으로 구동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구동을 위해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만 필요하고, 불투명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수량이 매우 적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투광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가깝도록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능동식(AMOLED) 구동일 수도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필요에 따라 능동식(AMOLED) 구동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수동식(PMOLED) 구동 디스플레이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되는 것 외에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5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비디스플레이 영역(28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픽셀(246)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비디스플레이 영역(28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풀스크린일 수 있고, 즉,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면은 모두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전자 설비의 전면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면은 기본적으로 전자 설비의 디스플레이면과 동일한다. 그러나, 풀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20)이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가장자리에는 여전히 비디스플레이 영역이 존재하며,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블랙 경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블랙 경계의 너비는 매우 좁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블랙 경계의 너비는 1mm 또는 0.5mm보다 작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의 수량도 적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도 적으며,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블랙 경계 위치에 설치되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투광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또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에 대응하는 제2 픽셀(246)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을 설치해야 하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모두 블랙 경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모든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을 블랙 경계 위치에 더 잘 수용하기 위해, 간단한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2T1C, 5T1C 및 기타 구동 회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하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이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2 픽셀(246)의 분포 밀도를 낮게 설치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의 총 수량을 줄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248) 및 제2 구동 유닛은, 일부는 비디스플레이 영역(280)에 설치되고 일부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 또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PMOLED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구동 유닛은 비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될 수 있는 단 하나의 TFT를 갖는다.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 있고, 비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면, 제1 구동 유닛은 비디스플레이 영역에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2 픽셀은 픽셀 유닛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1 구조의 개략도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2 픽셀(246)은 복수의 픽셀 유닛(244)으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픽셀 유닛(244)을 포함하고, 각 픽셀 유닛(244)은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색상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픽셀 유닛(244)은 혼합 색상을 표시할 수 있고, 하나의 픽셀 유닛(244)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셀 유닛(244)은 R, G, B의 3가지 색상을 갖는 제2 픽셀(246)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분홍색, 청록색 등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244)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은 병렬로 연결되어 픽셀 세트(242)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4개의 픽셀 유닛(244)은 3개의 제1 픽셀 세트(242)를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4개의 적색 픽셀(246)은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를 형성하고, 4개의 녹색 픽셀(246)은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를 형성하고, 4개의 청색 픽셀(246)은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를 형성하고, 상기 4개의 픽셀 유닛(244)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형성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하나의 픽셀 유닛은 R, G, B, W 또는 R, G, B, Y 및 기타 색상의 픽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픽셀(246)의 병렬 연결은 제2 픽셀(246)의 직접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픽셀(246)은 그 재료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거나, 다른 재료의 연결 라인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픽셀(246)의 병렬 연결은 다른 방식으로 병렬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금속 양극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제2 픽셀(246)은 하나의 금속 양극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픽셀의 병렬 연결은 금속 양극의 병렬 연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에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픽셀(246)은 복수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픽셀 세트(2422)의 제2 픽셀(246)은 모두 적색 픽셀 또는 녹색 픽셀 또는 청색 픽셀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게이트 라인(미도시)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고,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제1 구동 유닛은 협력하여 각 제2 픽셀(246)을 구동한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어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은 행으로 배열되고 데이터 라인은 열로 배열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246)의 배열 방식은 표준 RGB 배열, Pentile 배열 또는 Delta 배열 중 하나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데이터 라인과 제2 픽셀(246)은 동일한 층에 있지 않는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은 데이터 라인과 평행하고 열로 배열된 경우, 2열의 제2 픽셀(246) 사이에는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이 설치되고,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은 데이터 라인과 평행하고,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과 직교하는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을 통해 제2 픽셀(24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픽셀의 배열 방식에는 다른 병렬 방식이 있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동일한 색상의 픽셀이 어레이로 배열될 때, 픽셀은 다른 병렬 방식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3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4 구조의 개략도이다. 병렬로 연결된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이 어레이로 배열될 때,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을 통해 데이터 라인의 방향과 평행한 인접한 2개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이 병렬로 연결되고,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은 데이터 라인과 평행하고,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을 통해 데이터 라인의 방향과 수직한 인접한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이 병렬로 연결되고, 여기서, 서로 다른 색상의 제2 픽셀(246)과 연결되는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7 및 18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 17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246)의 표준 RGB 배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246)의 Delta 배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복수의 제2 픽셀(246)이 어레이로 배열되고, 동일한 색상의 R, G, B 제2 픽셀(246)이 어레이로 배열되고, 열에 인접한 2개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 옆에 하나의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이 설치되고, 이에 수직인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열에 인접한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 옆에 하나의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이 있고, 이에 수직인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다. 행에 인접한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에서, B제2 픽셀은 일단에서 2개의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을 병렬로 직접 연결되고, R제2 픽셀은 타단에서 2개의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을 병렬로 직접 연결되고, G제2 픽셀은 제3 구동 신호 라인(2466)을 통해 병렬로 연결되고, 제3 구동 신호 라인(2466)은 2열의 G제2 픽셀 사이에 설치된 B제2 픽셀, R제2 픽셀을 우회하고, R제2 픽셀의 구동 신호 라인에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은 Pentiles로 배열되며 유사한 병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이 데이터 라인에 수직인 경우, 제2 픽셀은 서로 다른 병렬 방식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제5 구조의 개략도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246)의 배열 방식은 표준 RGB 배열 또는 Pentile 배열이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은 데이터 라인과 수직하고,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은 데이터 라인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은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과 수직한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을 통해 제2 픽셀(24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서로 다른 색상의 제2 픽셀(246)에 연결된 제2 구동 신호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도 19를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고,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은 복수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24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간에 하나의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이 설치되고, 복수의 G제2 픽셀(246)은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과 수직한 복수의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을 통해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G제2 픽셀의 병렬 연결을 실현하고, 복수의 B제2 픽셀(246)은 G제2 픽셀(246)과 유사한 연결 방식으로 병렬 연결을 실현하고, R제2 픽셀(24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구동 신호 라인(2462)은 단부에 설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R제2 픽셀(246)을 병렬로 연결하는 제3 구동 신호 라인(2466)을 더 포함하고, 제3 구동 신호 라인(2466)은 G제2 픽셀(246) 및 B픽셀(2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신호를 피하여 복수의 R제2 픽셀(246)을 병렬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3 구동 신호 라인(2466)은 G제2 픽셀(246)에 연결된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의 반대측을 따라 G제2 픽셀(246)을 우회하고, 또한 B제2 픽셀(246)에 연결된 제2 구동 신호 라인(2464)의 반대측을 따라 B제2 픽셀(246)을 우회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은 Pentile로 배열되며 유사한 병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서로 다른 픽셀 유닛의 동일한 색상의 제2 픽셀을 병렬로 연결하여 픽셀 세트가 형성되는 것 외에, 하나의 픽셀 유닛의 제2 픽셀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픽셀 유닛의 제2 픽셀을 병렬로 연결하여 픽셀 세트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셀 유닛의 R제2 픽셀과 다른 픽셀 유닛의 G제2 픽셀, B제2 픽셀은 병렬로 연결되어 픽셀 세트가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면, 하나의 픽셀 유닛의 R제2 픽셀과 다른 픽셀 유닛의 G제2 픽셀 및 제3 픽셀 유닛의 B제2 픽셀은 병렬로 연결되어 픽셀 세트가 형성된다. 혼합 색상 디스플레이는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특정 아이콘 디스플레이이고, 특정 아이콘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픽셀 유닛에서 적어도 2개의 다른 색상의 제2 픽셀을 병렬로 연결하여 픽셀 세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세트(244)의 R 제2 픽셀, B 제2 픽셀, 및 G 제2 픽셀은 병렬로 연결되어 제1 픽셀 세트(2422)가 형성된다. 혼합 색상 디스플레이는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특정 아이콘 디스플레이이고, 특정 아이콘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신호 아이콘(4G, 5G, WIFI 등), 알람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흰색 또는 검은색 알람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만 하면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여기서, 두 색상의 제2 픽셀만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색상의 제2 픽셀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 제1 구동 회로는 2T1C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2 픽셀이 병렬로 연결된 회로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VDDADA는 데이터 라인이고, SEL은 게이트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VDD는 전원 공급 라인이고, OLED는 픽셀이다. 도면은 3개의 제2 픽셀이 병렬로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필요에 따라 2, 4, 9, 16 등과 같은 다른 수량의 픽셀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1 픽셀의 병렬 연결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의 제2 픽셀의 병렬 연결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더 전면적인 이해를 위해,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기판(291), 구동 회로층(292), 양극층(293), 발광층(294), 공통 전극층(295), 평탄화층(296) 및 터치층(297)을 포함한다.
기판(29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 플랫폼으로 사용될 수 있고, 기판(291)은 유리,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기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91)의 재료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일 수 있다.
구동 회로층(292)은 기판(291) 상에 설치되고, 구동 회로층(292)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246)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248)을 포함하고, 각 제1 구동 유닛(248)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게이트은 소스와 발광층 사이에 위치한다.
양극층(293)은 구동 회로층(292) 상에 설치되고, 양극층(293)은 제1 양극층(2932), 제1 절연층(2934) 및 제2 양극층(2936)을 포함하고, 제1 절연층(2934)은 제1 양극층(2932)과 제2 양극층(2936)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양극층(2932)과 제2 양극층(2936)을 분리 및 절연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양극층(2932)은 제1 방향의 제1 신호 라인(게이트 라인)을 포함하고, 제2 양극층(2936)은 제2 방향의 제2 신호 라인(데이터 라인)을 포함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은 각각 제1 구동 유닛(24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칩은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을 통해 제1 구동 유닛(248)을 제어한다. 제1 신호 라인과 제2 신호 라인은 투광율이 높은 ITO를 사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과율을 보장하고, 동시에,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에 의해 야기되는 회절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은 제1 구동 유닛의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신호 라인은 제1 비아홀(2935)에 위치하는 도전부를 통해 제1 구동 유닛(248)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극층(293)은 금속 양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금속 양극층은 발광층(294)에 인접하고, 금속 양극층의 금속 양극(2938)과 발광층(294)의 제1 픽셀(226)은 직접 인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금속 양극층과 제1 구동 유닛(248)의 소스 사이에는 제2 절연층(2939)이 있고, 금속 양극(2938)은 픽셀의 비아홀에 위치하는 도전부를 통해 제1 구동 유닛(248)의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금속 양극(2938)은 투광율이 높은 ITO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금속 양극층의 금속 양극은 제2 양극층의 제2 신호 라인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고, 즉, 금속 양극층 및 제2 양극층은 동일한 층이고,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은 동일한 층일 수 있고; 금속 양극층의 금속 양극은 제2 양극층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금속 양극층과 제2 양극층은 제2 절연층에 의해 분리 및 절연된다.
발광층(294)은 양극층(293) 상에 설치되고, 발광층(294)은 픽셀 정의층(2942)을 포함하고, 픽셀 정의층(2942)은 복수의 픽셀홀을 가지고, 각 픽셀홀에는 제1 픽셀(226)이 설치되고, 제1 픽셀(226)은 유기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공통 전극층(295)은 발광층(294) 상에 설치되고, 양극층(293)과 공통 전극층(295)은 제1 픽셀(226)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 픽셀(226)을 공동으로 구동한다. 공통 전극층(295)은 투광율이 높은 ITO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공통 전극층(295) 상에 평탄화층(296)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제1 픽셀(226)이 픽셀홀 상에 설치된 후, 제1 픽셀(226)이 픽셀홀을 채우지 않고, 공통 전극층(295)이 제1 픽셀(226) 상에 설치된 후, 홈이 나타나고 평탄화층(296)이 홈을 채울 수 있고, 전체 발광층(294)을 덮고, 발광층(294)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평탄화층(296) 상에 터치층(297)이 더 설치될 수 있고, 터치층(297)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터치층(297) 상에 편광판(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고, 편광판을 사용하여 내부 광선이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구동 유닛과 같은 내부 소자를 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터치층(297)과 편광판은 함께 접착되어 평탄화층(296)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구조는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치층(297) 및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는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평탄화층(296)과 터치층(297) 사이에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고, 보호층은 기판(291)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 회로층(292)을 제외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모든 층은 투광성 재료를 사용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판(291), 픽셀 정의층(2942), 공통 전극층(295), 평탄화층(296) 및 터치층(297)은 모두 투광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양극층(293)의 신호 라인은 ITO나 은나노와 같은 투광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구동 회로층(292)의 TFT는 투광성 재료를 사용할 수 없고, TFT 이외의 구동 회로층(292)의 다른 부분은 투광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재료의 투광율을 개선하고 배선 배열을 변경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개선하는 방안은 모두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유사한 적층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판, 픽셀 정의층, 공통 전극층, 평탄화층, 터치층등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동일한 투광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기판은 유리 또는 수지와 같은 투광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공통 전극층은 ITO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판, 픽셀 정의층, 공통 전극층, 평탄화층, 터치층등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이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양극층의 신호 라인은 몰리브덴, 몰리브덴 알루미늄 몰리브덴 및 Ag와 같은 금속 또는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금속 양극은 Mg, Ag, Al과 같은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공통 전극층은 Mg, Ag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공통 전극층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공통 전극층의 가장자리가 연결되어 완전한 공통 전극층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편광판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편광부를 가질 수 있고, 제1 편광부는 관통홀 또는 투광성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여 먼저 관통홀을 설치한 후, 관통홀에 투명 재료를 채워 제1 편광부가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여 먼저 관통홀을 설치한 후, 관통홀에 투광율이 높고 편광성이 낮은 재료를 채워 제1 편광부가 형성되고, 제1편광부는 높은 투광율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선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내부 구조를 볼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층 구조는 다른 구조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층 구조와 상술한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구동 회로층과 양극층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구동 유닛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소스는 게이트와 발광층 사이에 위치한다.
양극층(293)의 일부는 구동 회로층(292) 상에 설치되고, 양극층(293)은 제1 양극층(2932), 제1 절연층(2934) 및 제2 양극층(2936)을 포함하고, 제1 절연층(2934)은 제1 양극층(2932)과 제2 양극층(2936)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양극층(2932)과 제2 양극층(2936)을 분리 및 절연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양극층(2932)은 제1 방향의 제1 신호 라인(게이트 라인)을 포함하고, 제2 양극층(2936)은 제2 방향의 제2 신호 라인(데이터 라인)을 포함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은 각각 제1 구동 유닛(24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칩은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을 통해 제1 구동 유닛(248)을 제어한다. 제1 신호 라인은 제1 구동 유닛(248)의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신호 라인은 제1 구동 유닛(248)의 드레인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양극층(293)은 금속 양극층(293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금속 양극층(2938)은 발광층(294)에 인접하고, 금속 양극층(2938)의 금속 양극과 발광층(294)의 제1 픽셀(226)이 직접 인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금속 양극층(2938)과 제1 구동 유닛(248)의 소스 사이에는 제2 절연층(2939)이 있고, 금속 양극(2938)은 픽셀 비아홀(2937)을 통해 제1 구동 유닛(248)의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광 블록(280)은 금속 양극층(2938)과 제2 양극층(2936) 사이의 제2 절연층(2939)에 위치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적층 구조는 제1 구동 유닛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유닛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되지 않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구동 회로층에 설치되고, 제3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층 구조는 도면의 적층 구조와 유사하고, 제3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층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의 적층 구조와 유사하고, 제2 구동 유닛의 적층 구조는 제1 구동 유닛의 적층 구조와 동일하고, 제4 구동 유닛의 적층 구조는 제3 구동 유닛의 적층 구조와 동일하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고,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술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차이점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이다. 구체적으로,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도 2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6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1 부분의 확대 개략도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실시예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술한 실시예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복수의 제1 픽셀(226)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은 복수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제2 픽셀(246)과 제1 픽셀(226)의 물리적 구조는 동일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복수의 제3 픽셀(266)을 포함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의 제3 픽셀(266)과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제1 픽셀(226)의 물리적 구조는 상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이 연결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주요 차이점은 제1 픽셀(226)과 제2 픽셀(246)의 물리적 구조는 동일하지만, 제3 픽셀(266)의 물리적 구조와 다르고, 제3 픽셀(266)의 분포 밀도는 제1 픽셀(226) 및 제2 픽셀(246)의 분포 밀도보다 작다. 여기서, 제3 픽셀(266)의 크기는 제1 픽셀(226)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픽셀 사이의 간격 거리는 크기와 정상관이 있고, 즉, 픽셀 크기가 클수록 픽셀 사이의 간격 거리가 커지고, 분포 밀도가 작을수록, 즉, 제3 픽셀(266)의 분포 밀도는 제1 픽셀(226)의 분포 밀도보다 작다. 제3 픽셀(266)의 크기는 제1 픽셀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지만, 제3 픽셀(266) 사이의 간격 거리는 제1 픽셀 사이의 간격 거리보다 크므로 제3 픽셀(266)의 분포 밀도가 제1 픽셀(226)의 분포 밀도보다 작은 것이 실현된다. 여기서, 동일한 물리적 구조를 갖는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를 포함하고, 제2 픽셀 세트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제1 픽셀 세트의 모든 제2 픽셀은 하나의 제1 구동 유닛을 공유하고, 제2 픽셀 세트의 모든 제2 픽셀은 하나의 제2 구동 유닛을 공유하고; 제1 픽셀 세트는 제1 수량의 제2 픽셀을 포함하고, 제2 픽셀 세트는 제2 수량의 제2 픽셀을 포함하고, 제2 수량은 제1 수량보다 작다. 제1 픽셀 세트 및 제2 픽셀 세트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제1 픽셀 세트의 복수의 제2 픽셀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구동 유닛을 공유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병렬 연결은 제1 구동 유닛의 구동 전압을 변경하지 않으며, 병렬 연결에 의해 형성된 제1 픽셀 세트의 제2 픽셀의 수량은 직렬 연결에 의해 형성된 제1 픽셀 세트의 수량보다 많을 수 있다. 제2 픽셀 세트는 제1 픽셀 세트와 동일한 연결 방식을 가진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제3 픽셀 세트를 포함하고, 각 제3 픽셀 세트는 복수의 병렬로 연결된 제3 픽셀을 포함하고, 각 제3 픽셀 세트의 모든 제3 픽셀은 하나의 제3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된다. 제3 픽셀 세트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규칙적인 제3 픽셀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한 제4 픽셀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4 픽셀 세트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제3 픽셀 세트의 모든 픽셀은 공통의 제3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제4 픽셀 세트의 모든 제3 픽셀은 공통의 제4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제3 픽셀 세트는 규칙적인 픽셀 세트이고, 제3 픽셀 세트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3 수량의 제3 픽셀을 포함하고, 제4 픽셀 세트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4 수량의 제3 픽셀을 포함하고, 제4 수량은 제3 수량보다 작다. 여기서, 제3 수량은 제1 수량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3 픽셀 세트 및 제4 픽셀 세트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2 부분을 나타낸 확대 개략도이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한 제5 픽셀 세트(2666) 및 제5 픽셀 세트의 수량에 대응하는 제5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5 픽셀 세트(2666)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인접하고, 각 제5 픽셀 세트(2666)는 제5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3 픽셀(266)을 포함하고, 각 제5 픽셀 세트(2666)의 모든 제3 픽셀(266)은 공통의 제5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제5 픽셀 세트(2666)의 제3 픽셀(266)의 제5 수량은 제3 픽셀 세트(2662)의 제3 픽셀(266)의 제3 수량보다 적다. 제5 픽셀 세트의 구체적인 구조는 제4 픽셀 세트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필요에 따라 제4 픽셀 세트 및 제5 픽셀 세트(2666)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가장자리가 호형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은 제5 픽셀 세트(2666)를 포함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가 호형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4 픽셀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4 픽셀 세트 또는 제5 픽셀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4 픽셀 세트 및 제5 픽셀 세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픽셀 세트, 제2 픽셀 세트, 제3 픽셀 세트, 제4 픽셀 세트, 및 제5 픽셀 세트의 픽셀의 병렬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1 픽셀 세트의 병렬 구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1 부분을 나타낸 다른 확대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물리적 구조이다. 여기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3 픽셀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물리적 구조는 동일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픽셀의 물리적 구조와 상이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의 병렬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의 병렬 구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전자 설비의 카메라의 렌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을 향하고, 카메라는 촬상을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과하는 외광 신호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카메라가 점용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카메라의 렌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에 근접하거나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층 구조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며 자체는 특별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는다. 카메라가 점용하는 공간을 더욱 줄이기 위해, 카메라의 일부를 기판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도 28을 참조하면,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카메라의 제1 구조 개략도이다. 카메라(60)에 대향한 기판의 위치에 하나의 제1 설치홀(2912)이 설치되고, 카메라(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설치홀(2912)에 설치된다. 제1 설치홀(2912)은 블라인드 홀일 수 있고, 즉, 카메라(60)에 대향한 기판(291)의 일부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고, 기판(291)은 여전히 완정한 기판(291)이고,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다른 층 구조를 운반하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카메라(60)를 수용하기 위해 공간의 일부를 비울 수도 있다. 제1 설치홀(2912)과 카메라(60)의 설치 방식은 제1 설치홀(2912)의 크기와 카메라(60)의 크기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설치홀(2912)의 공간이 카메라(60) 전체를 설치하기에 부족한 경우, 카메라(60)의 렌즈(62)의 일부는 제1 설치홀(2912)에 설치된다. 카메라(60)가 충분히 작으면 카메라(60) 전체가 제1 설치홀(2912)에 설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구동 회로층에는 제1 구동 유닛이 설치되지 않고 구동 회로층도 특별한 기능이 없기 때문에 구동 회로층에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9를 참조하면,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카메라의 제2 구조 개략도이다. 제1 설치홀(2912)은 관통홀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구동 유닛층에 카메라(60)와 대향하는 제2 설치홀(2922)이 있고, 제1 설치홀(2912)은 제2 설치홀(2922)과 연통되며, 카메라(6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설치홀(292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60)의 렌즈(62)는 제1 설치홀(2912) 및 제2 설치홀(2922)에 위치한다. 제2 설치홀(2922)은 관통홀 또는 블라인드 홀일 수 있다. 제1 설치홀(2912) 및 제2 설치홀(2922)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적층 구조의 일부가 형성된 후에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91)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동 회로층, 양극층, 발광층 및 공통 전극층을 모두 설치한 후, 카메라(60)의 렌즈(62)의 위치에 대응하여 레이저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설치홀(2912) 및 제2 설치홀(2922)이 제조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대향하는 카메라(60)는 전자 설비의 전면 카메라(60)로 사용될 수 있고, 전면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렌즈가 움직일 수 없는 카메라이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291) 및 구동 회로층(292)에 제1 설치홀(2912) 및 제2 설치홀(292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과 대향하는 카메라(60)는 렌즈(62)가 이동 가능한 카메라(60)일 수 있고, 카메라(60)의 렌즈(62)는 자동 초점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픽셀의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원형과 유사한 형상의 제2 픽셀은 원형, 타원형, 원각 직사각형 등일 수 있다. 원형과 유사한 형상의 제2 픽셀의 가장자리는 호형 과도이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회절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직사각형, 원각 직사각형, 원형 등의 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일부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불규칙한 형상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카메라가 서로 배합하는 카메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동일한 카메라, 하나의 일반 카메라와 하나의 블러 카메라 또는 흑백 카메라 등,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카메라 외에 근접 센서, 광선 센서, 거리 감지 센서,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다른 기능 장치도 설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자 설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이하, 전자 설비의 구조를 추가 설명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전자 설비(10)는 케이스(40) 및 카메라(60)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40)는 백커버(미도시)와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420)은 백커버의 둘레를 둘러싸고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프레임(4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백커버는 전자 설비(10)의 대향하는 양면일 수 있다. 카메라(60)는 케이스(40)의 백커버와 디스플레이 장치(20) 사이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20)(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풀스크린일 수 있고, 즉,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모두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 상에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를 덮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긁히거나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는 투명 유리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 플레이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가 표시되는 정보를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플레이트는 사파이어 재료의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전자 설비는 회로 기판, 배터리 및 미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20)은 미드 플레이트를 둘러싸고 설치되고, 여기서, 프레임(420)과 미드 플레이트는 전자 설비(10)의 미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미드 플레이트와 프레임(420)은 미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수용강을 형성하며, 하나의 수용강은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다른 수용강은 회로 기판, 배터리, 및 전자 설비(10)의 다른 전자 소자 또는 기능 부품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미드 플레이트는 얇은 판형 또는 플레이크형 구조일 수 있고 중공 프레임 구조일 수도 있다. 미드 프레임은 전자 설비(10)의 전자 소자 또는 기능 부품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며, 전자 설비(10)의 전자 소자, 기능 부품은 함께 설치된다. 전자 설비(10)의 카메라(60), 수화기 및 배터리와 같은 기능 부품은 고정을 위해 미드 프레임 또는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미드 프레임의 재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미드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전자 설비(10)의 메인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폰, 스피커, 수화기, 이어폰 인터페이스,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능 부품이 회로 기판에 집적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기판 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와 카메라(60)는 모두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촬영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끄도록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통해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카메라(60)를 제어하고; 프로세서는 촬영 명령을 수신하지 않고 이미지 디스플레이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공동으로 표시한다.
배터리는 미드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동시에, 배터리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가 전자 설비(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관리 회로는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관리 회로는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전자 설비(10)의 각 전자 소자에 분배하는 데 사용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복수'에 대한 언급은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이상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설비 및 장식 렌즈의 제어 방법에 대한 상세한 소개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된 예를 사용하여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이다. 동시에,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방식 및 적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고, 총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제1 픽셀(226)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규칙적인 형상의 제1 픽셀 세트(24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공형인 제2 픽셀 세트(24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픽셀 세트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각 상기 제1 픽셀 세트는 제1 수량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량의 제2 픽셀은 공통의 제1 구동 유닛(248)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픽셀 세트는 제2 수량의 제2 픽셀(246)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량의 제2 픽셀은 공통의 제2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량은 상기 제1 수량보다 작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0)의 투광율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보다 크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제3 픽셀 세트(2426)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3 픽셀 세트는 복수의 상기 제1 픽셀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3 픽셀 세트의 모든 상기 제1 픽셀은 공통의 제3 구동 유닛(268)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픽셀 세트의 제1 수량의 제2 픽셀은 병렬로 연결되고, 각 상기 제2 픽셀 세트의 제2 수량의 제2 픽셀은 병렬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픽셀 세트는 규칙적인 픽셀 세트이고, 각 상기 제3 픽셀 세트는 제3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1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한 제4 픽셀 세트(2428) 및 상기 제4 픽셀 세트의 수량에 대응하는 제4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픽셀 세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4 픽셀 세트는 제4 수량의 서로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1 픽셀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4 픽셀 세트의 모든 상기 제1 픽셀은 상기 제4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수량은 상기 제3 수량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2 픽셀은 동일한 물리적 구조를 갖고, 상기 제3 수량은 상기 제1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유닛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수량은 상기 제3 구동 유닛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수량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동일한 구동 회로를 갖고, 상기 제3 구동 유닛과 상기 제4 구동 유닛은 동일한 구동 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픽셀 세트에서, 하나의 상기 제1 픽셀은 상기 제3 구동 유닛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다른 상기 제1 픽셀은 상기 제1 구동 유닛 또는 상기 제2 구동 유닛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제3 구동 유닛(268)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상기 제1 픽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픽셀의 분포 밀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2 픽셀의 분포 밀도보다 작고, 각 상기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상기 제1 픽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픽셀은 상기 제1 구동 유닛 또는 상기 제2 구동 유닛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픽셀 세트는 불규칙한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는 호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호형 구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픽셀 세트의 불규칙한 가장자리는 공형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복수의 금속 양극을 더 포함하고, 각 상기 제2 픽셀은 하나의 상기 금속 양극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픽셀 세트 또는 상기 제2 픽셀 세트의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픽셀은 상기 금속 양극을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세트 또는 상기 제2 픽셀 세트에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제2 픽셀은 동일한 색상의 픽셀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기 제2 픽셀 세트의 상기 제2 픽셀의 수량과 정상관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은 수동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픽셀은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전자 설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설비는 제1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과하는 외광 신호를 획득하여 촬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설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27017552A 2019-10-31 2020-10-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KR102635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866090.7U CN210516182U (zh) 2019-10-31 2019-10-31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01911049482.9 2019-10-31
CN201911049482.9A CN110599944A (zh) 2019-10-31 2019-10-31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01921866090.7 2019-10-31
PCT/CN2020/122515 WO2021083007A1 (zh) 2019-10-31 2020-10-21 显示装置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477A KR20220088477A (ko) 2022-06-27
KR102635754B1 true KR102635754B1 (ko) 2024-02-14

Family

ID=7571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552A KR102635754B1 (ko) 2019-10-31 2020-10-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90086B2 (ko)
EP (1) EP4044162A4 (ko)
JP (1) JP7329688B2 (ko)
KR (1) KR102635754B1 (ko)
WO (1) WO2021083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4525A (zh) * 2020-05-27 2020-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20220036403A (ko) * 2020-09-14 2022-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2909024B (zh) * 2021-02-03 2022-08-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0635A (zh) * 2017-10-27 2018-01-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电子设备
CN109584794A (zh) * 2019-01-25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935B1 (ko) * 2014-07-01 202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CN106157877A (zh) 2015-03-31 2016-11-2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像素结构和显示装置
KR102478513B1 (ko) * 2017-10-11 2022-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8983872B (zh) 2018-06-04 2021-07-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0707281B2 (en) * 2018-08-10 2020-07-07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CN209070895U (zh) * 2018-11-07 2019-07-0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终端
CN208607570U (zh) * 2018-12-25 2019-03-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屏幕及终端
CN109599052B (zh) 2019-01-08 2022-02-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9265332U (zh) 2019-01-31 2019-08-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和电子设备
CN110112176A (zh) 2019-03-18 2019-08-0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180483B (zh) * 2019-04-04 2021-02-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Oled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061014B (zh) * 2019-04-30 2021-06-0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87883B (zh) * 2019-04-30 2023-09-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0288945B (zh) 2019-06-28 2023-09-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189639B (zh) 2019-06-28 2020-12-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391254A (zh) 2019-07-16 2019-10-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599944A (zh) * 2019-10-31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10516182U (zh) * 2019-10-31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0635A (zh) * 2017-10-27 2018-01-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电子设备
CN109584794A (zh) * 2019-01-25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29688B2 (ja) 2023-08-18
EP4044162A4 (en) 2023-01-18
KR20220088477A (ko) 2022-06-27
WO2021083007A1 (zh) 2021-05-06
EP4044162A1 (en) 2022-08-17
US11990086B2 (en) 2024-05-21
JP2023500863A (ja) 2023-01-11
US20220238071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3079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21083003A1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0648622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26357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설비
CN110599944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7764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0767729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21082983A1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0752240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20220190099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0648623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2022019008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0728921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10378415U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10516182U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1584609A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程方法及电子设备
CN110752239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21249016A1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程方法及电子设备
CN210575027U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864452B1 (en) Black masking layer in displays having transparent openings
US2023017198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with Planarization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