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471B1 -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471B1
KR102545471B1 KR1020197033873A KR20197033873A KR102545471B1 KR 102545471 B1 KR102545471 B1 KR 102545471B1 KR 1020197033873 A KR1020197033873 A KR 1020197033873A KR 20197033873 A KR20197033873 A KR 20197033873A KR 102545471 B1 KR102545471 B1 KR 10254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support
wearable
sta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932A (ko
Inventor
바우더베인 마르틴 바이스
미카엘 마르티누스 횔셔
Original Assignee
래보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래보 비.브이. filed Critical 래보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4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24Trusses
    • A61F5/26Trusses with belt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 Manipulato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흉부 지지부, 기울어짐 또는 굽힘 또는 인체에 대응하여 지지 구조체를 피버팅하기 위한 피버팅 장치, 상기 흉부 지지부에 연결된 세장형 스테이, 상기 피버팅 장치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요추 영역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요추 지지부, 및 상기 피버팅 장치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허벅지 영역의 정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허벅지 지지부를 갖는다.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상기 피버팅 장치에 대한 상기 허벅지 지지부; 상기 흉부 지지부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피버팅 장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본 개시내용은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조체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 상기 인체의 흉부를 지탱하기 위한 흉부 지지부;
- 기울어짐 또는 굽힘 또는 인체와 대응하여 지지 구조체를 피버팅하기 위한 피버팅 장치(pivoting arrangements);
- 상기 흉부 지지부에 연결되는 세장형 스테이(elongated stay)로서, 상기 인체의 옆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피버팅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제1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제2 상태로 있을 때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상기 세장형 스테이,
- 상기 피버팅 장치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요추 영역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요추 지지부, 및
- 상기 피버팅 장치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허벅지 영역의 정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허벅지 지지부를 갖는다.
특허 출원 번호 제NL2014451호는 이러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단점 중 하나는 상이한 사용자를 위해 착용형 지지부를 조정하기가 비교적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16-148566호(2016. 09. 22. 공개, 발명의 명칭: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미국등록특허공보 8568344호(2013. 10. 29. 등록, 발명의 명칭: Torso assist orthotic device)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사용자를 위해 조정하기가 비교적 쉬운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 상기 피버팅 장치에 대한 상기 허벅지 지지부;
- 상기 흉부 지지부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 상기 피버팅 장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부가적인 이점은 운반하는데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다. 공지된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비교적 용적이 크고 그리고 이에 따라 운반하는데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든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포장 용적이 감소된다. 감소된 용적은 더 많은 착용형 지지 구조체가 유사한 용적에 포장되게 하고 이에 의해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위한 운반 비용을 낮춘다. 게다가,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지지 구조체의 비교적 쉬운 수리를 허용한다.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이 교체가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비교적 단시간에 그리고 특정한 공구 없이 이러한 부분을 비교적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디바이스가 제1 연결 소자 및 제2 연결 소자를 포함한다면 유리하고,
-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상기 피버팅 장치 및 상기 흉부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제1 부분에 대한 단단한 연결을 위해 배열되고,
- 상기 제2 연결 소자는 상기 허벅지 지지부 및 상기 스테이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제2 부분에 대한 단단한 연결을 위해 배열되고,
-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상기 제2 연결 소자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용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 소자를 상기 제1 연결 소자의 수용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2 연결 소자는 상기 제1 연결 소자에 연결 시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이 점에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가 차단부를 포함한다면 유리하고, 제1 상태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연결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소자의 분리를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차단부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상기 제2 연결 소자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차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소자와 제2 연결 소자 간의 상기 연결의 차단 분리를 위해 상기 부분적으로 통합된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제2 연결 소자의 차단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차단부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 소자와 상기 제2 연결 소자가 비교적 쉽게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를 위해 차단될 수 있어서 스테이 또는 허벅지 지지부와 같은 부분을 교환함으로써 제NL2014451호에 공지된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조정을 허용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연결 소자와 상기 제2 연결 소자는, 연결되는 동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연결 소자가, 상기 제2 연결 소자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연결 소자에 대해 대략 미리 결정된 각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한 회전 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연결 소자가, 상기 제2 연결 소자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축 방식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서. 이것은 공지된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착용할 때 움직임의 개선된 자유를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이 점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각이 60 내지 120도의 범위 이내,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도의 범위 이내라면 유리하다. 이 특정한 범위 내의 각은 상기 인체의, 상기 지지 구조체에 의한, 지지를 유지하는 동안 움직임의 개선된 자유를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실용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제1 연결 소자 및 상기 제2 연결 소자 중 하나에 제공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을 위해 상기 오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 연결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소자의 분리의 차단을 달성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식이다.
상기 연결 디바이스가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거리 수단을 포함한다면 유리하다. 이것은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부분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허용하는데 유용하고, 부분의 분리 및 연결 후, 상기 거리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기하학적 구조가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조정할 필요성을 방지하게 예측 가능하도록 미리 결정된다.
상기 거리 수단이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한다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상기 회전 및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서 비교적 적은 수량의 컴포넌트를 가진 연결 소자를 달성하도록 선호된다.
연결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거리 수단은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해 배열된다. 이것은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사용자의 신체의 길이에 대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비교적 쉬운 조정을 허용하는데 유용하다.
이 점에서, 상기 거리 수단에 추가의 오목부가 제공된다면 유리하고, 상기 추가의 오목부는 상기 제1 연결 소자 및 상기 제2 연결 소자 중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추가의 오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이것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상기 회전을 그리고 상기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상기 연결을 허용하면서 비교적 적은 수량의 컴포넌트를 가진 연결 소자를 달성하는데 유용하다.
연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추가의 오목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상기 회전을 허용하면서 비교적 적은 수량의 컴포넌트를 가진 연결 소자를 달성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연결 디바이스가 제1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가 상기 구동 소자의 구동 시 상기 제2 상태에 있다면 유리하다. 이것은 차단부를 실용적인 방식으로 작동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의 실용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벽에는 수용 벽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용 벽 개구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차단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소자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상태에 있고 그리고 상기 차단 소자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상태에 있다. 이 실시형태는 이것이 분리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차단 및 분리를 허용하면서 비교적 적은 수량의 컴포넌트를 가진 연결 소자를 달성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실용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 상기 인체의 팔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팔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팔 지지부;
- 상기 인체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무릎 관절을 포함하는, 다리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다리 지지부;
- 상기 인체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머리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머리 지지부;
- 툴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툴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툴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은,
- 상기 흉부 지지부에 연결되는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를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는 상기 인체의 맞은편 옆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피버팅 장치에 연결되고,
-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는,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로 구부려질 때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탄성 스테이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는 늘어난 상태에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서 구부려진 상태에 있다. 이것은 앞으로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하지만 또한 스쿼팅, 뻗치기, 크롤링 또는 사용자의 무릎의 운동 동안 지지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움직임의 더 많은 자유를 지지할 수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이 점에서, 상기 흉부 지지부가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피버팅 수단을 포함한다면 선호되고,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 각각은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피버팅 수단 중 상이한 하나를 통해 상기 흉부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버팅 수단의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상기 흉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서, 흉부 지지부에 연결된 스테이에 대하여 상기 흉부 지지부를 피버팅하도록 배열된다. 흉부 지지부를 흉부 지지부에 연결된 스테이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체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움직임의 큰 자유를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상부 신체, 즉, 인간의 몸통이 예를 들어, 측면 방향으로/옆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측방향 움직임이 흉부 지지부와 결합하여 피버팅 수단에 의해 지지되므로, 이들의 측방향 움직임의 더 많은 자유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이점은 이것이 인체의, 뒤틀림 및 굽힘 움직임, 또는 굽힘 그리고 이어서 뒤틀림 움직임을 더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또 다른 이점은 사용자가 좌측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흉부 지지부가 우측 어깨 또는 겨드랑이로부터 돌려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우측 팔이 흉부 지지부가 방해되는 일 없이 좌측으로 도달하도록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사용자가 우측으로 구부릴 때도 물론 동일하게 적용되고, 그 역도 가능하다. 흉부 지지부, 2개의 세장형 스테이 및 피버팅 장치의 조합은 실제로 평행 사변형의 부분과 유사하고, 스테이 및 흉부 지지부는 평행 사변형에 의해 규정된 면에서 그리고 피버팅 장치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2개의 세장형 스테이가 상기 피버팅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장형 스테이의 각각의 연결 단부가 세장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보통, 사용자는 단지 앞으로 구부리거나 또는 단지 옆으로 기울어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움직임은 방향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것은 종종 회전, 예를 들어, 몸통 회전과 굽힘 양상의 조합이다. 세장형 스테이의 각각의 연결 단부를 피버팅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몸통의 회전 움직임, 즉, 몸통 회전이 더 효율적으로 지지된다. 다르게 말하면, 연결 단부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는 인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체조 선수가 360도 회전을 수행할 때, 이들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설명된 양상이 또한 다음에 적용된다:
조항 1: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 상기 인체의 흉부를 지탱하기 위한 흉부 지지부;
- 상기 흉부 지지부에 연결되는 세장형 스테이로서, 상기 인체의 옆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제1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제2 상태로 있을 때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상기 세장형 스테이,
- 상기 인체의 요추 영역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요추 지지부, 및
- 상기 인체의 허벅지 영역의 정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허벅지 지지부를 갖되,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 상기 흉부 지지부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 상기 허벅지 지지부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2.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제1 연결 소자 및 제2 연결 소자를 포함하되,
-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적어도 상기 흉부 지지부 및 상기 스테이인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제1 부분에 대한 단단한 연결을 위해 배열되고,
- 상기 제2 연결 소자는 적어도 상기 허벅지 지지부 및 상기 스테이인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제2 부분에 대한 단단한 연결을 위해 배열되고,
-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상기 제2 연결 소자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용 벽을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3. 조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제1 상태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연결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소자의 분리를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차단부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상기 제2 연결 소자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4. 조항 2 또는 조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소자와 상기 제2 연결 소자는, 연결되는 동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연결 소자가, 상기 제2 연결 소자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연결 소자에 대해 대략 미리 결정된 각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한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5. 조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각은 60 내지 120도의 범위 이내,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도의 범위 이내인,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6. 조항 4 또는 조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제1 연결 소자 및 상기 제2 연결 소자 중 하나에 제공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을 위해 상기 오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7. 조항 1 내지 조항 6 중 어느 하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거리 수단을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8. 조항 6 및 조항 7에 있어서, 상기 거리 수단은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9. 조항 7 또는 조항 8에 있어서, 상기 거리 수단은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해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0. 조항 9에 있어서, 상기 거리 수단에는 추가의 오목부가 제공되되, 상기 추가의 오목부는 상기 제1 연결 소자 및 상기 제2 연결 소자 중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추가의 오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1. 조항 4 및 조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추가의 오목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2. 조항 1 내지 조항 1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제1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구동 소자의 구동 시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3. 조항 1 내지 조항 1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벽에는 수용 벽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용 벽 개구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차단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소자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상태에 있고 그리고 상기 차단 소자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4. 조항 1 내지 조항 13 중 어느 하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는,
- 상기 인체의 팔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팔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팔 지지부;
- 상기 인체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무릎 관절을 포함하는, 다리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다리 지지부;
- 상기 인체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머리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머리 지지부;
- 툴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툴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툴 지지부; 및
- 기울어짐 또는 굽힘 또는 인체와 대응하여 지지 구조체를 피버팅하기 위한 피버팅 장치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허벅지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피버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5. 조항 1 내지 조항 14 중 어느 하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 상기 흉부 지지부에 연결되는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를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는 상기 인체의 맞은편 옆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는,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로 구부려질 때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탄성 스테이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는 늘어난 상태에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서 구부려진 상태에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조항 16. 조항 15에 있어서, 상기 흉부 지지부는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피버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스테이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 각각은 상기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피버팅 수단 중 상이한 하나를 통해 상기 흉부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버팅 수단의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상기 흉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서, 흉부 지지부에 연결된 스테이에 대하여 상기 흉부 지지부를 피버팅하도록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 및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이제 설명될 것이고, 다음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부분도;
도 3은 도 1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부분도;
도 4는 도 1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지지 구조체(201)는 상기 인체의 흉부를 지탱하기 위한 흉부 지지부(202)를 가진 프레임을 포함한다. 피버팅 장치(207)는 기울어짐 또는 굽힘 또는 인체에 대응하여 지지 구조체(201)를 피버팅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레임은 흉부 지지부(202)에 연결된 2개의 세장형 스테이(203a, 203b)를 더 포함하고, 스테이(203a, 203b)는 인체의 맞은편 옆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사용 시, 지지 구조체(201)의 제1 스테이(203a)는 인체의 우측 옆에서 연장될 것이고, 반면에 제2 스테이(203b)는 인체의 좌측 옆에서 연장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테이의 이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지지 구조체에는 단 하나의 스테이 또는 2개 초과의 스테이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스테이 또는 더 많은 스테이를 도 7에 도시된 위치와는 상이한 다양한 위치에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스테이를 가진 지지 구조체는 사용 시, 스테이가 인체의 등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스테이(203a, 203b)는,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늘어난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구부려진 상태로 구부려질 때 상기 늘어난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탄성 스테이이다. 스테이(203a, 203b)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일 수도 있고, 3차원의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스트립은 예를 들어, 평평하고, 만곡되고, 삼각형 또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고, 이는 스테이의 길이에 걸쳐 일정할 수도 있거나 또는 스테이의 길이를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은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요추 영역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요추 지지부(204)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하부 스테이(215a, 215b)를 통해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고, 그리고 허벅지 영역의 정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허벅지 지지부(214)를 포함한다.
흉부 지지부(202)는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피버팅 수단(209a, 209b)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203a, 203b) 각각은 상기 피버팅 수단(209a, 209b) 중 상이한 하나를 통해 상기 흉부 지지부(202)에 연결되고, 상기 피버팅 수단(209a, 209b)의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상기 흉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서, 흉부 지지부에 연결된 스테이(203a, 203b)에 대하여 상기 흉부 지지부(202)를 피버팅하도록 배열된다.
어깨 밴드(205a, 205b)가 제공되고, 이 어깨 밴드(205a, 205b)는 상기 인체의 어깨 위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흉부 지지부(202)를 인체의 흉부에 놓기 위해 흉부 지지부(202)에 연결된다.
스테이(203a, 203b)는 스테이(203a, 203b)의 하나의 단부에서 연결 디바이스(101)의 제2 실시형태를 통해 상기 흉부 지지부(202)에 연결되고 그리고 연결 디바이스(1)의 제1 실시형태를 통해 피버팅 수단(207)에 연결된다. 허벅지 지지부(214)는 연결 디바이스(1)의 제1 실시형태를 통해 피버팅 장치(207)에 하부 스테이(215a, 215b)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디바이스(1, 101)의 이 실시형태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는 스테이(203a, 203b) 및 피버팅 장치(207)와 같은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2개의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연결 디바이스(1)는 제1 연결기(3) 및 제2 연결기(5)를 갖는다. 길이 방향(A)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형태를 가진 제1 연결기(3)는 피버팅 장치(207)에 단단히 연결된다. 제2 연결기(5)는 스테이(203a)의 단부에 단단히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연결기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중공형 관이다. 관의 벽은 비교적 두꺼워서 오목부(13, 19, 21)가 중공형 관의 벽을 뚫는 일 없이 벽에 존재하게 한다. 오목부(13, 19 및 21)는 길이 방향(A)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기의 벽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기(5)의 외벽 내 거터 같은 홈이다. 거터 같은 홈이 연결기(5)의 원주의 약 1/4을 따라 연장되어 사용 시, 제2 연결기(5)에 대하여 약 90도의 제1 연결기(3)의 회전을 허용한다. 제2 연결기(5)에는 볼 형상의 소자(33)에 의해 형성된 차단 소자를 포함하는 차단부가 제공된다. 원통 형상의 소자와 같은, 차단 소자의 대안적인 형태가 고려 가능하다. 제1 연결기(3)와 제2 연결기(5)의 연결된 상태에서, 볼(33)이 거터 같은 홈(13, 19, 21) 중 하나에 수용된다. 볼을 특정한 홈(13, 19, 21)에 배치함으로써, 스테이(203a)와 피버팅 장치(207)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긴 신체를 가진 사용자가 탑승하는 경우, 볼(33)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홈(21)에 수용된다. 이 상황에서, 제2 연결기(5)는 오직 작은 부분을 위한 수용 연결기(3)에 수용된다. 비교적 단신의 사용자가 제1 연결기(3)와 관련된 제2 연결기(5)를 배치하여 볼(33)이 오목부(19) 또는 더 단신의 사람들을 위해서 심지어 오목부(15)에 수용될 것이다.
볼(33)은 볼이 상기 홈(13, 19, 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A)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홈(13)의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게다가, 볼(33)은 또한 상기 제2 연결기(5)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용 벽(9) 내 수용 벽 개구(31)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볼(33)이 관 형상의 연결기(3)의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길이 방향(A) 및 방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연결기의 접선 방향으로 볼(33)의 변위를 위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록킹(lock)된다. 수용 벽 개구(31)는 볼(33)의 직경보다 수용 벽 개구에서 나가는 수용 벽(9) 개구의 단부에서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수용 벽 개구(31)의 이 더 작은 직경은 볼(33)이 수용 공간(11)으로 수용 벽 개구(31)를 완전히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볼(33)은 링 형상의 파지부에 의해 형성된 구동 소자(23)를 링(23)을 제1 위치에 놓는 스테이(20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푸시(push)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링(23)은 스프링(25)에 의해 형성된 가압 소자의 힘에 대항하여 이 제1 위치를 향하여 능동적으로 푸시되어야 한다. 링(23)의 제1 위치에서, 볼(33)이 홈(13)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제2 연결기(5)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용 벽(11) 내 개구(31)를 통해 부분적으로 푸시될 수 있어서 홈(13)이 더 이상 볼(33)과 정렬되지 않는다. 링(23)을 해제할 때, 링은 스테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즉, 도 4의 페이지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뒤로 이동한다. 파지부(23)에는 파지부가 스테이(203a)로부터 이격되어 푸시될 때 볼(3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35)가 제공된다. 파지부(23)의 이 구동 위치에서, 볼은 볼이 수용 오목부(35)의 벽과 충돌할 때까지 수용 오목부로 이동할 수 있다. 파지부(23)가 구동되지 않는다면, 볼(33)은 차단 벽(37)에 의해 수용 벽 개구(31)로 밀어 넣어진다. 차단 벽(37)이 수용 오목부의 상기 벽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서 상기 수용 벽 개구(31)에 대해 위치되어 파지부(23)가 스프링(25)에 의해 뒤로 가압될 때 볼(33)을 수용 벽 개구(31) 내로 더 능동적으로 푸시한다. 이 위치에서, 볼(33)은 볼(33)이 홈(13, 19, 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때 차단 벽(37)에 대하여 록킹되어 피버팅 장치(207)로부터 스테이(203a)의 분리를 차단한다. 파지부(23)에는 상기 스프링(25)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7)을 실질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도넛 형상의 플러그(29)에 의해 형성된 홀딩 소자가 제공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1)는 제1 연결기(103)가 제2 연결기(105)에 대한 회전을 위해 배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구동 소자(123)의 배열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디바이스(1)와 대부분 상이하다. 연결 디바이스(1)의 부분과 유사하거나 또는 적어도 기능적으로 유사한 연결 디바이스(101)의 부분의 참조 부호는 100이 증가된 참조 부호로 식별된다.
디바이스(101)의 구동 소자는 수용 공간(127)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푸시 버튼(123)으로서 제공된다. 버튼(123)이 스프링(125)의 힘에 대하여 푸시되어 제2 연결기(5)로부터 제1 연결기(3)의 분리를 허용할 수 있다. 버튼(123)에는 상기 수용 공간(127)에서 연장되는 스템(stem)(151) 및 풋(foot)(153)이 제공된다. 제2 연결기(105)의 외벽 내 구멍에서 나사 결합되는 나사(129)에 의해 형성되는 홀딩 소자가 나사 결합될 수 있어서 나사(129)의 하부 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27)으로 연장된다. 버튼(123)은, 풋(153)이 상기 수용 공간(127)에서 연장되는 나사(129)의 부분과 충돌한다는 점에서, 상기 스프링(125)에 의해 제2 연결기(105)로부터 푸시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7)

  1.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로서, 상기 구조체(201)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 상기 인체의 흉부를 지탱하기 위한 흉부 지지부(202);
    - 상기 기울어짐 또는 굽힘 또는 상기 인체와 대응하여 상기 지지 구조체를 피버팅하기 위한 피버팅 장치(pivoting arrangements)(207);
    - 상기 흉부 지지부(202)에 연결되는 세장형 스테이(elongated stay)(203a, 203b)로서, 상기 인체의 옆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제1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제2 상태로 있을 때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203b),
    -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요추 영역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요추 지지부(204), 및
    -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허벅지 영역의 정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허벅지 지지부(214)를 구비하되,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는,
    -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대한 상기 허벅지 지지부(214);
    - 상기 흉부 지지부(202)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203b); 및
    -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대한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203b)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1, 10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는 제1 연결 소자(3, 103) 및 제2 연결 소자(5, 105)를 포함하되,
    -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는 상기 피버팅 장치(207) 및 상기 흉부 지지부(202)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제1 부분에 대한 단단한 연결을 위해 배열되고,
    -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는 상기 허벅지 지지부(214) 및 상기 스테이(203a, 203b)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제2 부분에 대한 단단한 연결을 위해 배열되고,
    -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는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1, 1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용 벽(9, 109)을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는 차단부(7, 107)를 포함하되, 제1 상태의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의 분리를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차단부(7, 107)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는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와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는, 연결되는 동안, 길이 방향(A)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는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가,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길이 방향(A)으로 연장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한 회전 수단(13, 113)을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각은 60 내지 120도의 범위 이내인,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13, 113)은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 및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 중 하나에 제공된 오목부(13, 113)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7, 107)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차단을 위해 상기 오목부(13, 1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13, 113)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는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거리 수단(17, 117)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 수단(17, 117)은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오목부(13, 113)를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수단(17, 117)은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해 배열되고,
    상기 거리 수단(17, 117)에는 추가의 오목부(19, 21, 119, 121)가 제공되되, 상기 추가의 오목부(19, 21, 119, 121)는 상기 제1 연결 소자(3, 103) 및 상기 제2 연결 소자(5, 105) 중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부(7, 107)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의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더 먼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추가의 오목부(19, 21, 119, 1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각에 대하여 상기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추가의 오목부(19, 21, 119, 121)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는 제1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동 소자(23, 123)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구동 소자(23, 123)의 구동 시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벽(9, 109)에는 수용 벽 개구(31, 131)가 제공되되,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수용 벽 개구(31, 131)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차단 소자(33, 133)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소자(33, 133)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제1 상태에 있고 그리고 상기 차단 소자(33, 133)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차단부(7, 107)는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는,
    - 상기 인체의 팔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팔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팔 지지부;
    - 상기 인체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다리 지지부;
    - 상기 인체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머리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머리 지지부;
    - 툴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되는 툴 지지부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툴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5.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 상기 흉부 지지부(202)에 연결되는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203b)를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203b)는 상기 인체의 맞은편 옆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연결되고,
    -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203b)는, 상기 스테이가 로딩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의 곧은 자세와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인체의 기울어짐 또는 굽힘 자세와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로 구부려질 때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바이어싱되도록 배열되는 탄성 스테이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203b)는 늘어난 상태에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서 구부려진 상태에 있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지지부(202)는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피버팅 수단(209a, 209b)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및 상기 추가의 세장형 스테이(203b) 각각은 상기 연결 디바이스(1, 101)에 의해, 상기 피버팅 수단(209a, 209b) 중 상이한 하나를 통해 상기 흉부 지지부(20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버팅 수단(209a, 209b)의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상기 흉부와 평행한 면에서, 상기 흉부 지지부에 연결된 스테이(203a, 203b)에 대하여 상기 흉부 지지부(202)를 피버팅하도록 배열되는,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세장형 스테이(203a, 203b)가 상기 피버팅 장치(2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장형 스테이(203a, 203b)의 각각의 연결 단부가 세장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201).
KR1020197033873A 2017-04-18 2018-04-17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KR102545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8730A NL2018730B1 (en) 2017-04-18 2017-04-18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NL2018730 2017-04-18
PCT/NL2018/050238 WO2018194447A1 (en) 2017-04-18 2018-04-17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932A KR20200043932A (ko) 2020-04-28
KR102545471B1 true KR102545471B1 (ko) 2023-06-19

Family

ID=5903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873A KR102545471B1 (ko) 2017-04-18 2018-04-17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95754B2 (ko)
EP (1) EP3612141B1 (ko)
JP (1) JP7143321B6 (ko)
KR (1) KR102545471B1 (ko)
CN (1) CN111050708A (ko)
ES (1) ES2858464T3 (ko)
NL (1) NL2018730B1 (ko)
SG (1) SG11201909567SA (ko)
WO (1) WO2018194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0390A1 (de) * 2019-11-11 2021-05-12 Ottobock Se & Co. Kgaa Orthopädietechnische Ein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unteren Rückens eines Benutzers
NL2025157B1 (en) * 2020-03-18 2021-10-20 Laevo B V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FR3124415A1 (fr) 2021-06-24 2022-12-30 Ximo Exosquelet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619B2 (ja) 1995-06-15 1998-04-02 徳太郎 武田 腰の屈伸補助具
US20080228121A1 (en) 2007-03-14 2008-09-18 Hughes Phillip K Ba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69806A1 (en) 2008-09-12 2010-03-18 Carey Paul Jinright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WO2015041532A1 (en) 2013-09-20 2015-03-26 Becq B.V. Wear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torso
WO2016148566A1 (en) * 2015-03-13 2016-09-22 Laevo B.V.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91692C (en) * 1987-04-01 1991-11-05 Lumex, Inc. Axillary crutch
WO1995034779A1 (en) * 1994-06-15 1995-12-21 Fmc Corporation Step bearing race swivel joint assembly
FR2737755B3 (fr) * 1995-08-07 1997-10-10 Manufacturas Alco Sa Raccord perfectionne pour structures tubulaires
DE19652416A1 (de) * 1996-12-07 1998-06-10 Braune Hans Juergen Verfahren und orthopädisches Stützkorsett zur Stützung des menschlichen Oberkörpers in gebeugter Haltung
KR100353266B1 (ko) * 2000-03-03 2002-09-19 김영배 척추 보조기
RU2182228C2 (ru) * 2000-06-16 2002-05-10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скважин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ощных подземных формаций
US7278436B2 (en) 2004-04-26 2007-10-09 Cosco Management, Inc. Adjustable walker
JP2010520791A (ja) * 2007-03-14 2010-06-17 アイディン キーヴァンルー 長さ調節可能部材
US8246392B2 (en) * 2009-09-09 2012-08-21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Securable connector
US8568344B2 (en) * 2009-10-23 2013-10-29 Applied Neural Mechanics, Llc Torso assist orthotic device
EP2574799B1 (de) * 2011-09-27 2014-04-23 Martin Siepmann Teleskopierbare Verbindungsanordnung
WO2013123246A1 (en) * 2012-02-14 2013-08-22 Glazener Pamela Gail Cervical spine orthosis
JP5969142B2 (ja) * 2013-02-01 2016-08-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50135491A1 (en) * 2013-11-15 2015-05-21 Volex Plc Interchangeable and detachable flange for connector
EP2955433B1 (en) * 2014-06-13 2017-06-14 Roberto Gregorelli Joint for a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assembly comprising said joint
JP6383198B2 (ja) 2014-07-04 2018-08-29 ブライト・ソレイルズ株式会社 歩行補助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619B2 (ja) 1995-06-15 1998-04-02 徳太郎 武田 腰の屈伸補助具
US20080228121A1 (en) 2007-03-14 2008-09-18 Hughes Phillip K Ba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69806A1 (en) 2008-09-12 2010-03-18 Carey Paul Jinright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WO2015041532A1 (en) 2013-09-20 2015-03-26 Becq B.V. Wear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torso
WO2016148566A1 (en) * 2015-03-13 2016-09-22 Laevo B.V. Wearable support structure for at least partly relieving a human body during leaning or bending 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50708A (zh) 2020-04-21
KR20200043932A (ko) 2020-04-28
NL2018730B1 (en) 2018-10-29
JP7143321B2 (ja) 2022-09-28
US20200069453A1 (en) 2020-03-05
JP2020517326A (ja) 2020-06-18
JP7143321B6 (ja) 2022-10-18
ES2858464T3 (es) 2021-09-30
WO2018194447A1 (en) 2018-10-25
SG11201909567SA (en) 2019-11-28
US11395754B2 (en) 2022-07-26
EP3612141A1 (en) 2020-02-26
EP3612141B1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471B1 (ko) 기울어짐 또는 굽힘 동안 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착용형 지지 구조체
US2022017654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oskeleton attachment
US10292893B2 (en) Wrap around walking aid
JP5943470B2 (ja) 片脚式歩行支援機
JP6538283B2 (ja) 外骨格構造用のバックモジュール
US7347215B1 (en) Ergonomic crutches
JP6533877B2 (ja) 外骨格構造用のフットモジュール
CN110087605B (zh) 改进的符合生物力学和人体工程学的可调节拐杖
JP7043420B2 (ja) 伸展アシスト装置
BRPI0714309B1 (pt) dispositivo auxiliar de caminhada
KR20190094844A (ko) 강성 제어 클러치 원리를 이용한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JP7249756B2 (ja) 腰部補助装置及び腰部補助装置用付勢装置
US6899671B1 (en) Intravaginal stimulation apparatus
KR102017518B1 (ko) 관절 보조장치
KR102117876B1 (ko) 틸팅 제어가능한 다리 보조 장치
NL2018731B1 (en) Connecting device for a wearable support structure
KR102062598B1 (ko) 관절 보조장치
US20030000561A1 (en) Device for enabling persons with paresis of lower limps to walk
JP2020193069A (ja) 腰部補助装置及び腰部補助装置用付勢装置
JP2007330693A (ja)
US9655804B2 (en) Knee-supporting walking aid
JP2015171409A (ja) 歩行補助及び起立補助用杖
KR102127371B1 (ko) 이동 상태에 따른 다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유아 체중 지지 장치
JP2754198B2 (ja) 下肢装具の脚伸縮機構
KR20150077521A (ko) 부분별 견인 관절 견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