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83B1 -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83B1
KR102543083B1 KR1020210008017A KR20210008017A KR102543083B1 KR 102543083 B1 KR102543083 B1 KR 102543083B1 KR 1020210008017 A KR1020210008017 A KR 1020210008017A KR 20210008017 A KR20210008017 A KR 20210008017A KR 102543083 B1 KR102543083 B1 KR 10254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unit
lettering device
cover
unit
le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391A (ko
Inventor
김한빛
Original Assignee
한국내쇼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내쇼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내쇼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using electric, magnetic, sonic or ultras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형성되는 로고 형상의 홈에 결합되는 레터링장치로서, 상기 로고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면이 로고의 형상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기 위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는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HORN COVER INCLUDING LETTERING DEVICE AND LETTER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유닛에 형성되는 날개부를 통해 본체유닛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전주편에 다수의 덮개유닛을 형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는 에어백을 수납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혼 커버가 구비된다.
이 때, 혼 커버는 에어백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미관상 미려함 또는 제조사를 홍보 및 각인하기 위해 혼 커버에 제조사의 로고를 나타내는 레터링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레터링장치는 금속으로 구비되기도 하고, 플라스틱으로 구비되기도 하며, 단순히 홈을 형성하여 로고를 각인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로고를 각인할 수 있다.
다만, 금속을 이용하여 혼 커버에 로고를 각인하는 과정에서 금속부품과 금속부품의 뼈대가 되는 플라스틱 사이의 결합이 약해 금속부품이 탈락되어 미관상의 미려함을 헤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하나의 로고를 금속부품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작업하여 생산성이 감소되고, 다수의 금속부품을 모은 상태에서 금속부품을 집다가 금속부품에 손가락이 베이는 등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금속부품과 플라스틱 사이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하면서도, 다수의 금속부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활발히 고안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덮개유닛에 형성되는 날개부를 통해 본체유닛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전주편에 다수의 덮개유닛을 형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형성되는 로고 형상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레터링장치로서, 상기 로고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면이 로고의 형상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기 위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덮개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본체유닛과 맞닿는 면이 함몰되도록 함몰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유닛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날개부는, 상기 덮개유닛에서 연장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로 절곡되며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는, 다수의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본체유닛 하부로 절곡되면서 동일 위치에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유닛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상기 날개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유닛은, 둘레부에 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둘레부의 상부와 하부를 이어 형성되는 가상선이 상기 날개부의 길이방향과 15 내지 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유닛은, 둘레부가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함몰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유닛의 측면이 상기 덮개유닛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상술한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는 상기 레터링장치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레터링장치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상기 본체유닛을 구비하는 준비단계, 가공된 금형에서 전주편을 생산하는 생산단계, 상기 전주편을 도금하는 도금단계, 상기 전주편을 가공하여 덮개유닛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덮개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단계를 통해 결합된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덮개유닛을 열융착하는 융착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금단계는, 상기 덮개유닛의 표면의 모서리나 치수를 가공하는 제1 과정 및 상기 표면을 전기주조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덮개유닛에 형성되는 날개부를 통해 본체유닛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전주편에 다수의 덮개유닛을 형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본체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본체유닛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덮개유닛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덮개유닛의 둘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커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생산단계 및 도금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생산단계 및 도금단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본체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본체유닛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덮개유닛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덮개유닛의 둘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커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형성되는 로고 형상의 결합홈(220)에 결합되는 레터링장치(100) 및 상기 레터링장치(100)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레터링장치(100)와 대응되는 상기 결합홈(220)이 형성되는 커버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터링장치(100)는 상기 로고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되고, 상면이 로고의 형상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유닛(120) 및 상기 본체유닛(1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유닛(120)과 결합되기 위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142)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덮개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유닛(140)에 결합되기 위해 돌출되는 돌출부(122), 상기 돌출부(122)에서 둘레를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124),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서 상기 돌출부(122)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되는 결합부(126) 및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서 상기 날개부(142)와 결합되는 돌기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22) 및 상기 단차부(124)는 제조사의 로고의 형태를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로고를 따라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124)는 상기 돌출부(1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26)는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로고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로고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경우를 예로 들면,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에 각각 하나가 형성되고, 중앙에 하나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제조사의 로고를 따라 형성되는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는 상기 날개부(142)와 맞닿아 열융착되면서 상기 날개부(142)를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 고정시키는 돌기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28)는 상기 결합부(126)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서 상기 날개부(142)와 맞닿기 위해 상기 본체유닛(120)과 상기 덮개유닛(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유닛(14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2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덮개유닛(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날개부(14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2)가 삽입되도록 상부를 향해 함몰되는 함몰공간(14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함몰공간(144)의 둘레에는 상기 단차부(124)와 맞닿는 둘레부(1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42)에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128)가 삽입되는 홀(148)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먼저 상기 날개부(142)는 상기 덮개유닛(14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덮개유닛(140)과 연결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유닛(120)과 상기 덮개유닛(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덮개유닛(140)을 상기 본체유닛(120)에 효과적으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유닛(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되거나 미관상 미려함을 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상기 날개부(120)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날개부(142)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함몰공간(144)는 상기 돌출부(1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144)이 형성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유닛(140)의 상부는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둘레부(146)는 상기 본체유닛(120)과 상기 덮개유닛(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124)와 맞닿을 수 있으며, 상기 둘레부(146) 및 상기 단차부(124)가 맞닿은 상태에서 측면이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부(1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부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나, 필요에 따라 완만하게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둘레부(146)는 상기 날개부(142)의 길이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상선과 상기 둘레부(146)의 상부와 하부를 잇는 또 다른 가상선이 기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것이며, 이 때, 기 설정된 각도는 15 내지 2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둘레부(146)의 상부의 단부를 제1 점, 하부의 단부를 제2 점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1 점이 상기 제2 점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본체유닛(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제작자가 상기 덮개유닛(140)을 활용하기 위해 집으면서 상기 둘레부(146)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손가락이 베이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경사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홀(148)은 상기 날개부(142)의 일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42)가 상기 본체유닛(120)의 하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128)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기부(12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142)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유닛(120) 하부로 절곡되면서 상기 홀(148)에 상기 돌기부(128)가 삽입되고, 열융착과정을 통해 상기 날개부(142)를 상기 본체유닛(120)의 후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서 에어백이 수납되는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장치(200)는 상기 레터링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레터링장치(100)와 대응되는 상기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22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12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도 7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생산단계 및 도금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생산단계 및 도금단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장치 제조방법은 상기 본체유닛(120)을 제작 및 구비하는 준비단계(S01), 가공된 금형(M)에서 전주편(B)을 생산하는 생산단계(S02), 상기 전주편(M)을 도금하는 도금단계(S03), 상기 전주편(M)을 가공하여 상기 덮개유닛(140)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04), 상기 덮개유닛(140)과 상기 본체유닛(120)을 결합하는 결합단계(S05) 및 상기 결합단계(S05)를 통해 결합된 상기 본체유닛(120)과 상기 덮개유닛(140)을 열융착하는 융착단계(S0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준비단계(S01)의 경우는 상기 본체유닛(120)을 제작 및 구비하는 단계로, 상기 본체유닛(120)을 주조 및 제작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생산단계(S02)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된 상기 금형(M)의 상부에 상기 전주편(B)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단계(S02)에서는 상기 가공된 상기 금형(M) 상부에 상기 전주편(B)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 전주편(B)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덮개유닛(140)의 로고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의 굴곡이 형성되는 상기 금형(M)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코팅층이 굳게 되면 상기 전주편(B)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유닛(140)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수의 굴곡에 의해 상기 금형(M)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전주편(B)은 상기 덮개유닛(140)과 대응되는 다수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M)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이 상기 전주편(B)이 되며, 상기 전주편(B)은 상기 금형(M)에 형성되는 다수의 굴곡의 형상에 따라 상기 덮개유닛(140)과 대응되는 다수의 형상이 양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산단계(S02)에서는 하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으나, 강성과 부수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다수의 코팅층으로 상기 전주편(B)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산단계(S02)는 상기 금형(M) 상부에 다수의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의 코팅재료를 적층하는 적층과정과 상기 적층과정을 통해 적층된 코팅층이 굳어 형태를 형성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금단계(S03)는 상기 생산단계(S02)를 통해 형성되는 상기 전주편(B)의 상부에 양각으로 돌출되는 상기 덮개유닛(140)에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금단계(S03)는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덮개유닛(140)을 추출하기 이전에 상기 덮개유닛(140)의 크기, 표면의 모서리를 다듬거나 치수 등을 조절하는 제1 과정, 상기 덮개유닛(140)의 표면에 전기주조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과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과정을 통해 도금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전주편(B)의 상부에 양각으로 상기 덮개유닛(140)의 형상과 대응되게 돌출되는 부분에 도금층이 형성되면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되는 부분을 다듬는 상기 제1 과정이 선행되고, 상기 제1 과정을 통해 다듬어진 돌출되는 부분에 전기주조를 통해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생산단계(S02) 및 상기 도금단계(S03)를 수행하고 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주편(B)에서 상기 덮개유닛(140)을 추출하는 상기 추출단계(S04)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단계(S04)는 상기 전주편(B)에서 상기 덮개유닛(14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부분을 추출하면서도 상기 날개부(142)를 함께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주편(B) 상부에 상기 로고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출되었던 부분을 포함하여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기 날개부(142)를 함께 재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142)는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이 생략되며, 상기 덮개유닛(140)을 대량 생산함에 있어서 과정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생산단계(S02) 및 상기 도금단계(S03)에서는 상기 덮개유닛(140)의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추출단계(S04)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날개부(142)를 포함하는 상기 덮개유닛(140)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단계(S05)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2)를 상기 함몰공간(144)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날개부(142)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20)의 하부로 절곡시켜 고정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계(S05)에서 상기 둘레부(146)가 완만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자가 상기 둘레부(146)에 손가락이 베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124)와 상기 둘레부(146)가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동일 평면이 의미하는 것은 상기 둘레부(146)의 측부의 일단과 상기 본체유닛(120)의 둘레가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단계(S05)를 통해 상기 홀(148)에 상기 돌기부(128)가 삽입되면 상기 융착단계(S06)를 통해 상기 돌기부(128)와 상기 날개부(14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부(128)가 상기 홀(148)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융착을 통해 상기 돌기부(128)를 녹여 상기 홀(148) 내부와 상기 날개부(142)의 일부에 융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142)가 상기 본체유닛(1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에도 상기 본체유닛(120)과 상기 덮개유닛(140)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제1 열융착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융착과정을 통해 본체유닛(120)과 상기 덮개유닛(14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하고, 상기 돌출부(126)가 상기 삽입홀(222)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장치(200)의 후면으로 돌출되도록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6)에 앞선 상기 제1 열융착과정과 동일한 공정을 활용하여 상기 레터링장치(100)와 상기 커버장치(200)를 고정하도록 제2 열융착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B: 주조틀
M: 금형
S01: 준비단계
S02: 생산단계
S03: 도금단계
S04: 추출단계
S05: 결합단계
S06: 융착단계
100: 레터링장치
120: 본체유닛
122: 돌출부
124: 단차부
126: 결합부
128: 돌기부
140: 덮개유닛
142: 날개부
144: 함몰공간
146: 둘레부
148: 홀
200: 커버장치
220: 결합홈
222: 삽입홀

Claims (10)

  1.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형성되는 로고 형상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레터링장치로서,
    상기 로고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면이 로고의 형상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기 위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유닛과 맞닿는 면이 함몰되도록 함몰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유닛이 삽입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돌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후면에서 상기 날개부와 결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둘레부가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함몰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유닛의 측면이 상기 덮개유닛과 동일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덮개유닛에서 연장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도록 타단부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다수의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본체유닛 하부로 절곡되면서 동일 위치에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유닛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상기 날개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은,
    둘레부에 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둘레부의 상부와 하부를 이어 형성되는 가상선이 상기 날개부의 길이방향과 15 내지 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장치.
  7. 삭제
  8.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레터링장치; 및
    상기 레터링장치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레터링장치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 커버.
  9.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레터링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유닛을 구비하는 준비단계;
    가공된 금형에서 전주편을 생산하는 생산단계;
    상기 전주편을 도금하는 도금단계;
    상기 전주편을 가공하여 덮개유닛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덮개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단계를 통해 결합된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덮개유닛을 열융착하는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단계는,
    상기 덮개유닛의 표면의 모서리나 치수를 가공하는 제1 과정; 및
    상기 표면을 전기주조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KR1020210008017A 2021-01-20 2021-01-20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KR10254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17A KR102543083B1 (ko) 2021-01-20 2021-01-20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17A KR102543083B1 (ko) 2021-01-20 2021-01-20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91A KR20220105391A (ko) 2022-07-27
KR102543083B1 true KR102543083B1 (ko) 2023-06-13

Family

ID=8270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17A KR102543083B1 (ko) 2021-01-20 2021-01-20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0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112A (ja) * 2007-03-05 2010-06-10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エアバッグ・カバー用フィルム・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7628U1 (de) * 1995-05-08 1995-09-07 Trw Repa Gmbh, 73553 Alfdorf Plakette zur Befestigung eines Emblemschildes
KR20070063767A (ko) * 2005-12-15 2007-06-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엠블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112A (ja) * 2007-03-05 2010-06-10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エアバッグ・カバー用フィルム・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91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1368B (zh) 乘客运输工具的内部空间的覆层部件及其制造方法
US7875339B2 (en) Thermoplastic resin casing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1936265A (zh) 制造自行车零件、部件和链条的方法
JP6801966B2 (ja) 装飾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43083B1 (ko) 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혼 커버 및 레터링장치 제조방법
CN105415666A (zh) 振动焊接的装置、方法、模具以及振动焊接模制件
CN102171030A (zh) 层压板和层压坯料的末端处理方法
JP2019059145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得るための金型装置
JP597999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HU229676B1 (en) Method for producing form pieces
WO2021117196A1 (ja) 立体装飾片及びその製造方法
JP3144782U (ja) 型押用版
JP7492720B2 (ja) メッキ部品及びメッキ部品の製造方法
KR101768157B1 (ko) 곡면 제품 성형용 금형 코어 제조 방법
US7267792B2 (en) Injection co-molding with offset parting line
JP2018001987A (ja) 内装部品及び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S6037772B2 (ja) 複合成形金型
JP4247509B2 (ja) 車両装着部材の成形方法
KR101830705B1 (ko) 자동차용 복합소재 리어 캐리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리어 캐리어
KR100575028B1 (ko) 펀치 프레스용 금형
JP7499438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シート、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115864A (ja) 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体
JP6854185B2 (ja) 加飾ケ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加飾ケース
JPS63317315A (ja) 凹凸模様を呈する積層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153725B1 (ko)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