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479B1 -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2479B1 KR102542479B1 KR1020230043948A KR20230043948A KR102542479B1 KR 102542479 B1 KR102542479 B1 KR 102542479B1 KR 1020230043948 A KR1020230043948 A KR 1020230043948A KR 20230043948 A KR20230043948 A KR 20230043948A KR 102542479 B1 KR102542479 B1 KR 102542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target roll
- turn
- detachable
- targ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장치 쪽을 향하는 제1턴방향과 상기 제1턴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턴유닛; 상기 턴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이재부; 상기 제1이재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이재부; 및 대상롤과 상기 대상롤을 지지하는 탈착샤프트로 이루어진 대상롤집합체 및 상기 대상롤을 지지하기 위한 비어있는 탈착샤프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에 대해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를 탈착시키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차전지, 인쇄회로기판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대상롤에 대한 이송, 보관 등을 수행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차전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및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등은 수요처가 원하는 폭으로 슬리팅(Slitting)된 후에 롤 타입(Roll Type)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롤 타입의 대상롤(이하, '대상롤'이라 함)은 물류시스템에 의해 취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물류시스템은 운반장치로부터 상기 대상롤을 공급받는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운반장치로부터 입고된 상기 대상롤을 쉘프(Shelf) 쪽으로 이송하여 상기 쉘프에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장치는 제조장비에 의해 제조된 대상롤을 상기 물류시스템으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물류시스템은 운반장치에 상기 대상롤을 공급하는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쉘프에 보관된 대상롤을 상기 운반장치 쪽으로 이송하여 상기 운반장치로 출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장치는 상기 대상롤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장비로 상기 대상롤을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을 위해 운반되는 대상롤이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시스템(100)은 대상롤(10)에 대한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하는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대상롤(10)이 갖는 중공에 삽입되는 지지부재(111), 및 상기 지지부재(111)가 결합된 지지본체(1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11)의 일측은 상기 지지본체(112)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111)의 타측은 상기 지지본체(1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11)는 일측을 통해서만 상기 지지본체(112)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대상롤(10)을 외팔보 형태로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시스템(100)은 상당한 무게를 갖는 대상롤(10)을 상기 지지부(110)가 외팔보 형태로 지지하므로, 상기 지지부재(111)에 처짐 등이 발생될 위험이 높고 이로 인해 상기 대상롤(10)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지지부재(111)에 복수개의 대상롤(10)이 지지되는 경우에 더욱 심화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대상롤에 대한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처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은 운반장치 쪽을 향하는 제1턴방향과 상기 제1턴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턴유닛; 상기 턴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이재부; 상기 제1이재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이재부; 및 대상롤과 상기 대상롤을 지지하는 탈착샤프트로 이루어진 대상롤집합체 및 상기 대상롤을 지지하기 위한 비어있는 탈착샤프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유닛은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턴본체, 상기 턴본체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턴본체에 결합된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고정샤프트에 형성된 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상기 탈착홈을 통해 상기 탈착샤프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에 대해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를 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의 양측을 지지하여 고정샤프트에 대해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탈착샤프트에 처짐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롤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이 수행된 대상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롤을 이용하여 제조된 2차전지, 인쇄회로기판 등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을 위해 운반되는 대상롤이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개념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턴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턴유닛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하여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이송유닛이 탈착샤프트를 이송하는 과정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은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탈착샤프트가 대상롤을 지지하도록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이송유닛이 탈착샤프트의 위치를 정렬하는 모습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을 기준으로 하여 제1그립퍼가 탈착샤프트의 일측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을 기준으로 하여 제2그립퍼가 탈착샤프트의 타측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제1이재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제2이재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턴유닛이 대상롤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를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턴유닛이 대상롤을 출고시키는 모습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이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이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개념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턴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턴유닛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하여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이송유닛이 탈착샤프트를 이송하는 과정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은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탈착샤프트가 대상롤을 지지하도록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이송유닛이 탈착샤프트의 위치를 정렬하는 모습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을 기준으로 하여 제1그립퍼가 탈착샤프트의 일측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을 기준으로 하여 제2그립퍼가 탈착샤프트의 타측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제1이재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제2이재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턴유닛이 대상롤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를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턴유닛이 대상롤을 출고시키는 모습을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이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이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두 줄의 평행한 일점 쇄선은 생략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대상롤(10)에 대한 취급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대상롤(10)은 2차전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롤(10)은 전극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은 수요처가 원하는 폭으로 슬리팅(Slitting)된 후에 롤 타입(Roll Type)으로 제조된 것이다. 상기 대상롤(10)에 대한 취급은 입고작업과 출고작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운반장치(200)로부터 상기 대상롤(10)을 공급받은 후에, 쉘프(Shelf)(300)로 이송하여 상기 쉘프(300)에 보관시키는 입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쉘프(300)에 보관된 대상롤(10)을 상기 운반장치(200) 쪽으로 이송하여 상기 운반장치(200)로 출고시키는 출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입고작업과 상기 출고작업 모두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장치(200)는 상기 대상롤(10)을 운반하는 것으로, 예컨대 AGV(Automated Guided Vehicl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에 대해 상기 입고작업과 상기 출고작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턴유닛(2), 이송유닛(3), 제1이재부(4), 및 제2이재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운반장치(200) 쪽을 향하는 제1턴방향과 상기 제1턴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부터 상기 대상롤(10)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턴유닛(2)은 회전되어서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10)을 상기 턴유닛(2)에서 상기 제1이재부(4)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3)으로부터 상기 대상롤(10)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턴유닛(2)은 회전되어서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턴유닛(2)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 출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턴유닛(2)은 턴본체(21), 고정샤프트(22), 및 탈착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는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는 턴기구(21a, 도 4에 도시됨)에 의해 회전축(21b, 도 4에 도시됨)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는 본체(1a)에 상기 회전축(21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이 설치되는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a)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중층(Deck)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중측이 상기 본체(1a)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턴기구(21a)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을 포함하여 상기 턴본체(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턴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턴본체(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턴본체(21)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가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제1턴위치(2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턴위치(2a)에서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턴본체(21)로부터 상기 운반장치(200)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턴유닛(2)과 상기 운반장치(200) 간에 상기 대상롤(10)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제2턴위치(2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턴위치(2b)에서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턴본체(21)로부터 상기 이송유닛(3)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턴유닛(2)과 상기 제1이재부(4) 간에 상기 대상롤(10)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턴위치(2b)와 상기 제1턴위치(2a)는 끼인각(Included Angle)이 90°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끼인각은 상기 운반장치(200), 상기 이송유닛(3), 상기 제1이재부(4), 및 상기 제2이재부(5) 간의 배치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일측(22a)이 상기 턴본체(21)에 결합되고, 타측(22b)이 상기 턴본체(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턴본체(21)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외팔보 형태로 상기 턴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가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타측(22b)이 상기 운반장치(200)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턴본체(21)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타측(22b)이 상기 이송유닛(3)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에는 상기 대상롤(1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대상롤(10)이 갖는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롤(10)이 갖는 중공내면(101)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중공내면(101)은 상기 대상롤(10)이 갖는 중공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일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이 코어(Core)(10a, 도 6에 도시됨)에 감긴 것인 경우, 상기 중공내면(101)은 상기 코어(10a)가 갖는 중공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중공내면(101)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면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공내면(101)과 상기 고정샤프트(22) 각각이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중공내면(101)의 직경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직경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지지돌기(220,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0)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중공내면(101)이 상기 지지돌기(220)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돌기(220)를 통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내면(101)은 상기 지지돌기(2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0)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체결된 볼트(Bolt), 볼캐스터(Ballcaster)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면에는 상기 지지돌기(220)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중공내면(101)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탈착홈(2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홈(23)을 통해, 상기 고정샤프트(22)에는 탈착샤프트(2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대상롤(10)과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하는 탈착샤프트(20)는 대상롤집합체(30, 도 8과 도 9에 도시됨)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탈착홈(23)을 통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상기 대상롤(10)이 삽입되면,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대상롤집합체(30)로 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대상롤집합체(30)는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기 고정샤프트(2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턴유닛(2)에서 상기 제1이재부(4)로 이송되고, 상기 제1이재부(4)에서 상기 쉘프(300)로 이송되어서 상기 쉘프(300)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쉘프(300)에 보관된 대상롤집합체(30)는 상기 제1이재부(4)로 반출된 후에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기 제1이재부(4)에서 상기 턴유닛(2)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탈착홈(23)을 통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롤(10)에 대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지지가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롤(10)만 상기 턴유닛(2)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고작업과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턴본체(21)와 상기 고정샤프트(22)와는 별개로 마련된 탈착샤프트(20)를 이용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샤프트(22)가 외팔보 형태로 상기 턴본체(21)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을 통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22)에 대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를 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하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탈착샤프트(20)에 처짐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롤(10)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입고작업과 상기 출고작업이 수행된 대상롤(1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롤(10)을 이용하여 제조된 2차전지, 인쇄회로기판 등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탈착홈(23)은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상면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상측에서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탈착홈(2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상면에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된 대상롤(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되면,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을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고정샤프트(22)와 상기 운반장치(200) 간에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내측저면(22c)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저면(22c)은 상기 탈착홈(23)을 향하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내면 중에서 상기 탈착홈(23)에 하측에 배치된 면(面)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대상롤(10)과 상기 내측저면(22c)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탈착홈(23)의 깊이(23a, 도 6에 도시됨)는 상기 탈착샤프트(20)의 두께(20a, 도 6에 도시됨)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탈착홈(23)의 깊이(23a)보다 더 얇은 두께(20a)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되면,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탈착홈(23)의 깊이(23a)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두께(20a)는 대략 일치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지지돌기(2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탈착홈(2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타측(22b)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착홈(2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상면과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타측(22b)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22)의 개방된 타측(22b)을 통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제1이재부(4)와 상기 턴유닛(2) 간에 이송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턴유닛(2)과 상기 제1이재부(4) 간에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과 상기 제1이재부(4)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은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를 상기 턴유닛(2)과 상기 제2이재부(5) 간에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과 상기 제1이재부(4)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를 상기 제2이재부(5)에서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으로 이송할 수 있고,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에서 상기 제1이재부(4)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제1이재부(4)에서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으로 이송하고,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를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에서 상기 제2이재부(5)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고작업과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10)의 무게로 인해 상기 탈착샤프트(20)에 처짐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대상롤(10)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대상롤집합체(30)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대상롤(1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도록 하여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대상롤(10)과 상기 탈착샤프트(20)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상기 고정샤프트(22)가 상기 제2턴위치(2b)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운반장치(200)로부터 입고되는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중공내면(101)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대상롤집합체(30)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은 상기 고정샤프트(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고정샤프트(22)의 개방된 타측(22b)을 통해 상기 탈착홈(23)의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이 상기 제1이재부(4)에서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턴유닛(2) 쪽으로 이송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는 상기 중공내면(101)이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지지되어서 상기 고정샤프트(2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내측저면(22c)에 지지되도록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내면(101)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탈착샤프트(2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상기 대상롤(10)과 상기 탈착샤프트(20)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에 방해됨에 없이 상기 운반장치(200)로 출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중공내면(101)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중공내면(101)에 접촉되는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모서리(203, 20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중공내면(101)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롤(10)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롤(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모서리(203, 203')를 통해 상기 대상롤(10)의 무게를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10)의 무게로 인해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된 대상롤(10)에 대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를 정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과 상기 고정샤프트(22)의 내측저면(22c)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대상롤(10)과 상기 고정샤프트(22) 각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이 상기 대상롤(10)의 양측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D, D')로 돌출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동시켜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중간지점과 상기 대상롤(10)의 중간지점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동시켜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를 정렬할 수도 있다.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중간지점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제2턴위치(2b)에 위치된 고정샤프트(22)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의 중간지점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대상롤(10)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상기 대상롤(10)이 복수개 삽입된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이 상기 대상롤(10)들의 양측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D, D')로 돌출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동시켜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3)은 센서(미도시)로부터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된 대상롤(10)의 수량, 위치정보 등이 포함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턴유닛(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턴유닛(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가 정렬된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추가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롤집합체(30)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의 양측에 작용하는 무게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롤집합체(30)에 대한 이송작업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유닛(3)은 제1그립퍼(31), 및 제2그립퍼(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퍼(31)는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그립퍼(31)가 삽입되기 위한 제1그립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그립퍼(31)는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그립홈(20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립퍼(32)는 상기 탈착샤프트(20)의 타측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탈착샤프트(20)의 타측에는 상기 제2그립퍼(32)가 삽입되기 위한 제2그립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그립퍼(32)는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그립홈(20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립홈(202)과 상기 제1그립홈(201)은 상기 탈착샤프트(20)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통공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대상롤(1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홈(204)과 제한면(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04)은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이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홈(204)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04)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04)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둘레를 따라 연통되게 연결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04)은 복수개의 대상롤(10)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205)은 상기 지지홈(204)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홈(204)에 삽입된 상기 대상롤(10)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205)은 상기 탈착샤프트(20)에 상기 지지홈(204)이 형성됨에 따라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04)에 삽입된 대상롤(10)은 상기 제한면(205)에 접촉되면 상기 제한면(205)에 지지되어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면(205)은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탈착샤프트(2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제2그립홈(202)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1그립퍼(31)가 상기 제1그립홈(20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이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유닛(3)과 상기 탈착샤프트(2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제1그립홈(201) 쪽으로 돌출된 제1그립돌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그립퍼(31)에는 제1돌기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돌기(206)는 상기 제1돌기홈(3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3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그립돌기(206)는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일측을 지지한 제1그립퍼(31)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그립홈(201)은 상기 제1그립퍼(31)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그립홈(201)의 길이(201a)는 상기 제1그립퍼(31)의 길이(31a)보다 더 길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그립퍼(31)가 상기 제1그립홈(201)에 삽입될 때 상기 제1그립돌기(206)가 간섭되지 않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퍼(31)가 상기 제1그립홈(201)에 삽입된 후에 상승되면, 상기 제1그립돌기(206)는 상기 제1돌기홈(3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31)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그립퍼(31)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제2그립홈(202) 쪽으로 돌출된 제2그립돌기(2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그립퍼(32)에는 제2돌기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립돌기(207)는 상기 제2돌기홈(3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그립퍼(3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그립돌기(207)는 상기 탈착샤프트(20)의 타측을 지지한 제2그립퍼(32)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그립홈(202)은 상기 제2그립퍼(32)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그립홈(202)의 길이(202a)는 상기 제2그립퍼(32)의 길이(32a)보다 더 길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제2그립홈(202)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그립돌기(207)가 간섭되지 않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제2그립홈(202)에 삽입된 후에 상승되면, 상기 제2그립돌기(207)는 상기 제2돌기홈(3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그립퍼(32)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그립퍼(3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은 간격조절기구(33), 승하강기구(34), 및 이송기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기구(33)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기구(33)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가 서로 이격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34)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34)는 상기 간격조절기구(33)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간격조절기구(33)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기구(33)가 상기 승하강기구(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5)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5)는 상기 승하강기구(34)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하강기구(34)는 상기 이송기구(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갠트리, 및 상기 승하강기구(34)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34)는 상기 갠트리에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5), 상기 승하강기구(34), 및 상기 간격조절기구(33)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벨트방식, 모터와 볼스크류와 볼너트를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이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지지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상기 간격조절기구(33)가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가 서로 이격된 간격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기구(34)가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에 배치되면, 상기 간격조절기구(33)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가 서로 이격된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그립퍼(31)가 상기 제1그립홈(201)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제2그립홈(202)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승하강기구(34)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이송기구(35)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이 상기 탈착샤프트(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상기 간격조절기구(33)는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가 서로 이격된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그립퍼(31)가 상기 제1그립홈(201)으로부터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제2그립퍼(32)가 상기 제2그립홈(20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승하강기구(34)가 상기 제1그립퍼(31)와 상기 제2그립퍼(32)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이재부(4)는 상기 턴유닛(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이재부(4)는 상기 턴유닛(2)과 상기 제2이재부(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재부(4)는 상기 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재부(4)는 상기 이송유닛(3)과 상기 쉘프(300)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이송되도록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이재부(4)는 제1지지기구(41), 및 제1이동기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1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1지지기구(41)에 처짐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대상롤(10)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기구(42)는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제1이재위치(4a)와 제1쉘프위치(4b)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위치되면, 상기 제1지지기구(41)는 상기 이송유닛(3)의 이송경로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41)에 대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로딩하는 작업과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언로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과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41)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위치되면, 상기 제1지지기구(41)는 스토커(미도시)의 이송경로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커는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41)와 상기 쉘프(300)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커는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41)에 대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로딩하는 작업과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언로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커는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41)와 상기 쉘프(300)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쉘프(300)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보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쉘프(300)에서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보관하는 동안에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에 처짐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대상롤(10)에 변형 등이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쉘프위치(4b)와 상기 제1이재위치(4a)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위치되면, 상기 제1지지기구(41)는 상기 이송유닛(3)의 이송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이송유닛(3)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재부(4)는 검사기구(43), 및 회전기구(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는 상기 제1지지기구(41)에 지지된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는 상기 제1지지기구(41)에 지지된 대상롤집합체(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는 상기 제1지지기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는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a)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검사기구(45)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을 직접 검사하여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5)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에 부착된 정보부재(미도시)를 독출하여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부재는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 등과 같은 정보가 저장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정보부재는 태그(Tag)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부재는 바코드(Bar Code), 큐알코드(QR Code)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서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상기 제1지지기구(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기구(45)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주변을 회전하여 상기 대상롤(10)의 끝단에 부착된 정보부재 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정보부재를 독출하여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는 카메라, 센서,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가 상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검사기구(43)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이미지과 기저장된 기준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구(43)가 센서, 스캐너 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검사기구(43)는 상기 정보부재를 독출하여 상기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44)는 상기 검사기구(43)가 검사한 감김방향이 기설정된 기준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감김방향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김방향과 상기 기준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회전기구(44)는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상기 감김방향과 상기 기준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기구(44)는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180°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감김방향과 상기 기준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들이 모두 동일한 감김방향으로 상기 쉘프(300)에 입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들이 모두 동일한 감김방향으로 상기 운반장치(200)로 출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이재부(5)는 상기 제1이재부(4)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재부(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이재부(5)는 상기 턴유닛(2)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이재부(5)는 상기 제1이재부(4)와 상기 턴유닛(2)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이재부(5)는 상기 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재부(5)는 상기 이송유닛(3)과 상기 쉘프(300)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이송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이재부(5)는 제2지지기구(51), 및 제2이동기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51)는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51)는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기구(52)는 상기 제2지지기구(51)를 제2이재위치(5a)와 제2쉘프위치(5b)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51)가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위치되면, 상기 제2지지기구(51)는 상기 이송유닛(3)의 이송경로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위치된 제2지지기구(51)에 대해 상기 탈착샤프트(20)를 로딩하는 작업과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언로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과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위치된 제2지지기구(51)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51)가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위치되면, 상기 제2지지기구(51)는 상기 스토커(미도시)의 이송경로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커는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위치된 제2지지기구(51)에 대해 상기 탈착샤프트(20)를 로딩하는 작업과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언로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커는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위치된 제2지지기구(51)와 상기 쉘프(300)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2쉘프위치(5b)와 상기 제2이재위치(5a)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기구(51)가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위치되면, 상기 제2지지기구(51)는 상기 이송유닛(3)의 이송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이송유닛(3)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기구(5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쉘프위치(5b)와 상기 제1쉘프위치(4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이재위치(5a)와 상기 제1이재위치(4a)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제1이재부(4)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하고 상기 제2이재부(5)가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이재부(4)는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재부(5)는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이송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고정샤프트(2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턴유닛(2)은 제한기구(24), 및 이동기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에 대해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타측(22b)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타측(22b)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상기 대상롤(10)이 삽입될 때와 상기 고정샤프트(22)로부터 상기 대상롤(10)이 분리될 때,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내측으로 매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기 탈착샤프트(20)와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로 구현될 때와 상기 이송유닛(3)에 의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상기 탈착샤프트(20)와 상기 대상롤(10)로 해제될 때,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동안에만,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대상롤(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25)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상기 제한기구(24)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기구(25)와 상기 제한기구(24)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롤(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롤(1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25)는 상기 턴본체(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동안에만, 상기 이동기구(25)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구(25)는 상기 턴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기구(25)는 상기 턴본체(21)의 내측으로 매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턴유닛(2)은 출고기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상기 운반장치(20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출고시킬 수 있다.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턴본체(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대상롤(10)을 출고시키는 동안에만,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턴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턴본체(21)의 내측으로 매립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출고기구(26)와 상기 이동기구(25)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출고기구(26)와 상기 이동기구(25)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출고기구(26)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고기구(26)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상기 운반장치(200) 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및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상기 제한기구(24) 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이동기구(25)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동기구(25)는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상기 제한기구(24) 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및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된 대상롤(10)을 상기 운반장치(200) 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이 상기 입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운반장치(200)에서 상기 쉘프(300)로 상기 대상롤(10)을 입고시키는 입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샤프트(22)에는 상기 탈착홈(23)에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제1턴위치(2a)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운반장치(200)는 상기 대상롤(10)을 상기 턴유닛(2)으로 이송할 수 있다(S11). 이에 따라, 상기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에 상기 고정샤프트(2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대상롤(10)은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S12). 이 경우, 상기 턴유닛(2)이 회전될 때,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된 대상롤(10)은 상기 제한기구(24)와 상기 이동기구(2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제2턴위치(2b)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중공내면(101)을 지지하여 상기 탈착샤프트(20)와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중공내면(101)과 상기 내측저면(22c)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위치를 정렬한 후에,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추가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중공내면(101)을 지지하여 상기 탈착샤프트(20)와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개방된 타측(22b)을 통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에서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로 이송할 수 있다(S13). 그 후,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하강시켜서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이동기구(42)는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상기 제1이재위치(4a)에서 상기 제1쉘프위치(4b)로 이동시킬 수 있다(S14). 이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기구(43)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하고, 상기 감김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44)가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기구(43)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하고, 상기 감김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44)가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로부터 상기 쉘프(300)로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이송될 수 있다(S15). 이 경우, 상기 대상롤집합체(30)의 이송은 상기 스토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운반장치(200)에서 상기 쉘프(300)로 상기 대상롤(10)이 입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쉘프(300)로 입고된 후에, 다음 대상롤(10)을 입고시키기 위해 상기 턴유닛(2)으로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쉘프(300)로부터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로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가 이송될 수 있다(S21). 이 경우,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이송은 상기 스토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에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지지되면, 상기 제2이동기구(52)는 상기 제2지지기구(51)를 상기 제2쉘프위치(5b)에서 상기 제2이재위치(5a)로 이동시킬 수 있다(S22).
다음,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에서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으로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 있다(S23). 이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대상롤(10) 없이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을 통해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2턴방향에서 상기 제1턴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S24). 이에 따라,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탈착홈(23)에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턴위치(2a)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운반장치(200)로부터 상기 대상롤(10)을 입고받을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상기 턴유닛(2)에서 상기 쉘프(300)로 이송되는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를 미리 이송하여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상기 턴유닛(2)으로부터 반출된 이후에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가 상기 턴유닛(2)에 반입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제1턴위치(2a)에 위치된 고정샤프트(22)에 하나의 대상롤(10)이 지지된 후에 입고되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부터 상기 제1턴위치(2a)에 위치된 고정샤프트(22)에 복수개의 대상롤(10)이 지지된 후에 입고되는 과정을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이 상기 출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쉘프(300)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 상기 대상롤(10)을 출고시키는 출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쉘프(300)로부터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로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이송될 수 있다(S31). 이 경우, 상기 대상롤집합체(30)의 이송은 상기 스토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이동기구(42)는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상기 제1쉘프위치(4b)에서 상기 제1이재위치(4a)로 이동시킬 수 있다(S32). 이 경우,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기구(43)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하고, 상기 감김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44)가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기구(41)가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기구(43)가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감김방향을 검사하고, 상기 감김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44)가 상기 제1지지기구(4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고정샤프트(22)의 개방된 타측(22b)을 통해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제1이재위치(4a)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에서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으로 이송할 수 있다(S33). 그 후,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하강시켜서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탈착샤프트(20)를 상기 고정샤프트(22)의 탈착홈(23)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대상롤집합체(30)가 갖는 대상롤(10)의 중공내면(101)이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대상롤집합체(30)는 상기 대상롤(10)과 상기 탈착샤프트(20)로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탈착샤프트(20)는 상기 중공내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내측저면(22c)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S34). 이 경우, 상기 턴유닛(2)이 회전될 때, 상기 고정샤프트(22)에 지지된 대상롤(10)은 상기 제한기구(24)와 상기 이동기구(2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턴유닛(2)이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제1턴위치(2a)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 상기 대상롤(10)을 출고시킬 수 있다(S35). 상기 대상롤(10)의 출고는 상기 출고기구(26)가 상기 대상롤(10)을 상기 고정샤프트(22)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쉘프(300)에서 상기 운반장치(200)로 상기 대상롤(10)이 출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10)이 상기 운반장치(200)로 출고된 후에, 비게 되는 탈착샤프트(20)를 상기 쉘프(3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턴유닛(2)은 상기 제1턴방향에서 상기 제2턴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S36). 이에 따라,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탈착홈(23)에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턴위치(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22)는 상기 대상롤(10) 없이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에서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로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이송할 수 있다(S37).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홈(23)에 삽입된 탈착샤프트(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승시킨 후에, 상기 고정샤프트(22)의 개방된 타측(22b)을 통해 상기 탈착샤프트(20)를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에서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로 이송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이송유닛(3)은 상기 탈착샤프트(20)를 하강시켜서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이동기구(52)는 상기 제2지지기구(51)를 상기 제2이재위치(5a)에서 상기 제2쉘프위치(5b)로 이동시킬 수 있다(S38).
다음, 상기 제2쉘프위치(5b)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로부터 상기 쉘프(300)로 상기 탈착샤프트(20)가 이송될 수 있다(S39). 이 경우, 상기 탈착샤프트(20)의 이송은 상기 스토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쉘프(300)로 이송되는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미리 이송하여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비어있는 탈착샤프트(20)가 상기 제2이재위치(5a)에 배치된 제2지지기구(51)에서 상기 쉘프(300)로 이송되는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상기 대상롤집합체(30)를 상기 제1쉘프위치(4b)에 배치된 제1지지기구(41)에서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2)으로 이송하는 작업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상롤용 물류시스템(1)은 대기시간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출고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제1턴위치(2a)에 위치된 고정샤프트(22)에 하나의 대상롤(10)이 지지되어서 출고되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부터 상기 제1턴위치(2a)에 위치된 고정샤프트(22)에 복수개의 대상롤(10)이 지지되어서 출고되는 과정을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2 : 턴유닛 3 : 이송유닛
4 : 제1이재부 5 : 제2이재부
10 : 대상롤 20 : 탈착샤프트
30 : 대상롤집합체 200 : 운반장치
300 : 쉘프
2 : 턴유닛 3 : 이송유닛
4 : 제1이재부 5 : 제2이재부
10 : 대상롤 20 : 탈착샤프트
30 : 대상롤집합체 200 : 운반장치
300 : 쉘프
Claims (18)
- 운반장치 쪽을 향하는 제1턴방향과 상기 제1턴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턴유닛;
상기 턴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이재부;
상기 제1이재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이재부; 및
대상롤과 상기 대상롤을 지지하는 탈착샤프트로 이루어진 대상롤집합체 및 상기 대상롤을 지지하기 위한 비어있는 탈착샤프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턴유닛은 상기 제1턴방향과 상기 제2턴방향 간에 회전되는 턴본체, 상기 턴본체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턴본체에 결합된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고정샤프트에 형성된 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상기 탈착홈을 통해 상기 탈착샤프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에 대해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를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홈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의 상면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샤프트는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을 상기 탈착홈에 삽입된 탈착샤프트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운반장치로부터 입고되는 상기 대상롤이 상기 고정샤프트에 삽입된 경우, 상기 탈착홈에 삽입된 탈착샤프트가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롤집합체로 되도록 상기 탈착홈에 삽입된 탈착샤프트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는 일측이 상기 턴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탈착홈은 상기 고정샤프트의 타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탈착샤프트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상기 대상롤집합체를 상기 제1이재부와 상기 턴유닛 간에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고정샤프트에 상기 대상롤이 복수개 삽입된 경우, 상기 탈착홈에 삽입된 탈착샤프트가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과 상기 탈착홈을 향하는 상기 고정샤프트의 내측저면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시킨 후에 상기 탈착샤프트의 양측이 상기 대상롤들의 양측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탈착샤프트의 위치를 정렬하고, 상기 탈착샤프트의 위치가 정렬된 후에 상기 탈착샤프트가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롤집합체로 되도록 상기 탈착샤프트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샤프트는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에 대해 접촉되는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샤프트는
상기 대상롤의 중공내면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상기 대상롤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탈착샤프트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그립퍼, 및 상기 탈착샤프트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그립퍼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샤프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그립퍼가 삽입되기 위한 제1그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탈착샤프트의 타측에는 상기 제2그립퍼가 삽입되기 위한 제2그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샤프트는 상기 제1그립홈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1그립홈에 삽입된 상기 제1그립퍼를 지지하는 제1그립돌기, 및 상기 제2그립홈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그립홈에 삽입된 상기 제2그립퍼를 지지하는 제2그립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그립퍼에는 상기 제1그립돌기가 삽입되는 제1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그립퍼에는 상기 제2그립돌기가 삽입되는 제2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홈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그립퍼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그립퍼를 상승시켜서 상기 제1돌기홈에 상기 제1그립돌기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는 일측이 상기 턴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턴유닛은 상기 고정샤프트에 삽입된 대상롤에 대해 상기 고정샤프트의 타측 쪽에 배치된 제한기구, 및 상기 고정샤프트에 삽입된 대상롤을 상기 제한기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는 일측이 상기 턴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턴유닛은 상기 제1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샤프트에 삽입된 대상롤을 상기 운반장치 쪽으로 이동시키는 출고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과 상기 제1이재부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를 이송하고,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과 상기 제2이재부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탈착샤프트의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제1그립퍼;
상기 탈착샤프트의 타측에 삽입되기 위한 제2그립퍼;
상기 제1그립퍼와 상기 제2그립퍼가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그립퍼와 상기 제2그립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기구;
상기 제1그립퍼와 상기 제2그립퍼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기구; 및
상기 제1그립퍼와 상기 제2그립퍼를 제1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재부는 상기 대상롤집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제1지지기구를 제1이재위치와 제1쉘프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제1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이재위치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 및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를 이송하며,
상기 제1이동기구는 상기 제1쉘프위치에 위치된 제1지지기구 및 쉘프(Shelf)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가 이송되도록 상기 제1지지기구를 상기 제1쉘프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재부는
상기 제1지지기구에 지지된 대상롤집합체가 갖는 대상롤의 감김방향을 검사하는 검사기구; 및
상기 검사기구가 검사한 감김방향이 기설정된 기준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감김방향에 따라 상기 제1지지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재부는 상기 탈착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기구, 및 상기 제2지지기구를 제2이재위치와 제2쉘프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제2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이재위치에 위치된 제2지지기구 및 상기 제2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턴유닛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를 이송하며,
상기 제2이동기구는 상기 제2쉘프위치에 위치된 제2지지기구 및 쉘프(Shelf) 간에 상기 탈착샤프트가 이송되도록 상기 제2지지기구를 상기 제2쉘프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롤집합체와 상기 탈착샤프트를 보관하기 위한 쉘프(Shelf); 및
상기 제1이재부와 상기 쉘프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 또는 상기 탈착샤프트를 이송하기 위한 스토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롤집합체와 상기 탈착샤프트를 보관하기 위한 쉘프(Shelf); 및
상기 제2이재부와 상기 쉘프 간에 상기 대상롤집합체 또는 상기 탈착샤프트를 이송하기 위한 스토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3948A KR102542479B1 (ko) | 2023-04-04 | 2023-04-04 |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3948A KR102542479B1 (ko) | 2023-04-04 | 2023-04-04 |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2479B1 true KR102542479B1 (ko) | 2023-06-14 |
Family
ID=8674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3948A KR102542479B1 (ko) | 2023-04-04 | 2023-04-04 |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247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0942A (ja) * | 1998-04-10 | 1999-10-26 | Kawasaki Steel Corp | コイル搬送方法及び装置 |
JPH11290943A (ja) * | 1998-04-10 | 1999-10-26 | Kawasaki Steel Corp | コイル移載方法及び装置 |
JP2000343121A (ja) * | 1999-06-07 | 2000-12-12 | Kawasaki Steel Corp | コイル移載装置 |
KR100600321B1 (ko) * | 2005-08-08 | 2006-07-19 | 주식회사 포스코 | 코일이송지지대 |
-
2023
- 2023-04-04 KR KR1020230043948A patent/KR1025424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0942A (ja) * | 1998-04-10 | 1999-10-26 | Kawasaki Steel Corp | コイル搬送方法及び装置 |
JPH11290943A (ja) * | 1998-04-10 | 1999-10-26 | Kawasaki Steel Corp | コイル移載方法及び装置 |
JP2000343121A (ja) * | 1999-06-07 | 2000-12-12 | Kawasaki Steel Corp | コイル移載装置 |
KR100600321B1 (ko) * | 2005-08-08 | 2006-07-19 | 주식회사 포스코 | 코일이송지지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73935A (en) | Method for supplying parts to an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 |
CN111017453B (zh) | 用于货物的装载和卸载的装置 | |
JP4173309B2 (ja) | センタリング装置及び枚葉式検査装置 | |
KR20180046549A (ko) |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 |
WO2010150531A1 (ja) | 保管庫 | |
KR20140137396A (ko) | 반송 시스템 | |
CS121191A2 (en) | Bobbin transport device | |
KR20180116102A (ko) | 공작물 자동 공급 장치 | |
KR102542479B1 (ko) | 대상롤용 물류시스템 | |
JP4296498B2 (ja) | パレット搬送装置 | |
JPH08117851A (ja) | センタリング機構を備えたコイルリフティング装置 | |
KR20050027988A (ko) | 제조라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쓰여지는 자동창고 | |
KR100196365B1 (ko) | 볼 그리드 어레이의 솔더볼 실장장치 | |
WO2019065205A1 (ja) | トレイ配置部および搬送システム | |
JP2022183851A (ja) | 搬送システムおよび処理システム | |
KR102335410B1 (ko) | 롤 운송용 무인운반차 | |
KR102702481B1 (ko) | 릴 교체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1094157A (zh) | 搬运系统 | |
TWI792809B (zh) | 用以更換捲盤的系統及其方法 | |
KR102724454B1 (ko) | 릴 교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517348B1 (ko) | 전자식 픽킹부를 구비한 픽업로봇 | |
KR100275212B1 (ko) | 로터리 트랜스용 코어 측정장치 | |
FI98293C (fi) | Nosturivaraston lastaus- ja purkumenetelmä ja -laitteisto | |
CN215266225U (zh) | 一种洁净室专用晶圆自动上下料设备 | |
CN117410219A (zh) | 载体移送设备、物品保管系统及其载体安放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