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450B1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50B1
KR102541450B1 KR1020150151094A KR20150151094A KR102541450B1 KR 102541450 B1 KR102541450 B1 KR 102541450B1 KR 1020150151094 A KR1020150151094 A KR 1020150151094A KR 20150151094 A KR20150151094 A KR 20150151094A KR 102541450 B1 KR102541450 B1 KR 10254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leeve
cover window
sub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597A (ko
Inventor
전재승
정경환
조종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50B1/ko
Priority to US15/172,725 priority patent/US10493687B2/en
Priority to CN201610920672.3A priority patent/CN106992134B/zh
Priority to CN202210134094.6A priority patent/CN114496861A/zh
Publication of KR2017005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8Thermoforming apparatus
    • B29C51/20Thermo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1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커버윈도우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의 형상을 가변시키는 형상가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유닛은, 상기 커버윈도우가 안착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제2 금형과,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과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부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부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종개의 커버윈도우를 제작하는 경우 커버윈도우의 가압 시 압력이 균일하게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커버윈도우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윈도우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윈도우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의 형상을 가변시키는 형상가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유닛은, 상기 커버윈도우가 안착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제2 금형과,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과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제2 금형이 삽입되어 선형 운동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커버윈도우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제2 금형 및 상기 슬리브와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와 가까운 부분의 폭이 상기 제1 금형과 가까운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금형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절곡된 부분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제2 금형이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슬리브가 접촉하는 부분이 단차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유닛에서 이송된 상기 커버윈도우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금형에 커버윈도우를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윈도우를 예열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윈도우 상에 슬리브, 제2 금형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 상기 제2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제2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금형 및 상기 슬리브는 가압플레이트와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커버윈도우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및 제2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윈도우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윈도우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 상에 냉각부를 구비한 냉각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에 삽입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평평한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커버윈도우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절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금형은 상기 커버윈도우의 절곡된 부분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의 제조 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교환 커버윈도우의 제작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인라인 형태로 신속하게 커버윈도우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형상가변유닛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냉각유닛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형상가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형상가변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형상가변유닛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냉각유닛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로딩유닛(100), 이송유닛(200), 예열유닛(300), 형상가변유닛(400), 냉각유닛(500) 및 언로딩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유닛(100)은 이송된 외부의 커버윈도우(10)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송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딩유닛(100)은 외부와 내부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커버윈도우(10)는 로딩유닛(100)의 로봇암(미도시) 등을 통하여 이송유닛(2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유닛(200)은 로딩유닛(100), 예열유닛(300), 형상가변유닛(400), 냉각유닛(500) 및 언로딩유닛(6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송유닛(2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이송유닛(200)은 컨베이어벨트(210), 복수개의 롤러(220) 및 롤러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210)는 복수개의 롤러(220)와 접촉하여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할 수 있으며, 롤러구동부(230)는 복수개의 롤러(2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이송유닛(200)은 에어베어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이송유닛(200)은 복수개의 롤러(220)와 롤러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이송유닛(200)은 리니어모션가이드와, 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구동부는 리어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이송유닛(200)은 볼스큐와, 볼스크류 중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유닛(200)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제1 금형(410)이 안착되어 제1 금형(410)을 이송시키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열유닛(300)은 이송유닛(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예열히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열히터(3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열히터(310)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예열히터(310)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복사열 및 대류열을 공급하는 형태인 경우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예열히터(310)는 세라믹 히터 등과 같이 바(Bar)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열히터(310)가 세라믹 히터 등과 같이 바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형상가변유닛(400)은 제1 금형(410), 슬리브(420), 제2 금형(430), 가압플레이트(440) 및 구동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410)은 커버윈도우(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410)의 표면은 커버윈도우(10)를 완전히 성형한 후 커버윈도우(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윈도우(10)에 형성된 홈(411)은 일부가 곡률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의 홈(411)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윈도우(10)의 형상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의 양단이 곡률지게 형성되고, 중앙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의 양단은 서로 상이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의 양단은 서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커버윈도우(10)는 전면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는 하나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는 복수개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10)는 양단이 곡률지게 형성되고, 중앙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10)의 양단은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커버윈도우(10)는 성형 후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1 커버윈도우(미도시), 상기 제1 커버윈도우로부터 연장되는 제2 커버윈도우(미도시) 및 제3 커버윈도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3 커버윈도우는 커버윈도우(10)의 성형 후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곡률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커버윈도우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2 커버윈도우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형(41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커버윈도우, 상기 제2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3 커버윈도우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411)은 상기 제1 커버윈도우, 상기 제2 커버윈도우 및 상기 제3 커버윈도우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420)는 상기 제1 커버윈도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420)는 제1 금형(410)과 함께 상기 제1 커버윈도우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420)는 상기 제1 커버윈도우를 가압할 수 있다.
슬리브(420)에는 제2 금형(430)이 삽입되는 삽입홀(421, 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421, 422)은 제2 금형(430)이 선형 운동하도록 제2 금형(430)을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삽입홀(421, 422)은 제2 금형(430)이 도 2의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면서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제2 금형(43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금형(430)은 커버윈도우(10)의 일부를 곡률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제2 금형(430)은 성형 후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금형(430)의 개수도 성형 후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 후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이 2개인 경우 제2 금형(430)은 2개일 수 있으며, 성형 후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이 3개인 경우 제2 금형(430)은 3개일 수 있다. 특히 성형 후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이 복수개인 경우 제2 금형(430)도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성형 후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이 2개이고, 제2 금형(430)도 2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금형(430)은 커버윈도우(10)의 성형 후 곡률지게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버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서브금형(4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형(430)은 커버윈도우(10)의 성형 후 곡률지게 형성되는 상기 제3 커버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서브금형(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금형(431)과 제2 서브금형(43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리브(4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선형운동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420)의 삽입홀(421, 422)은 제1 서브금형(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삽입홀(421)과 제2 서브금형(4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삽입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삽입홀(421)과 제2 삽입홀(422)은 각각 제1 서브금형(431)의 일부와 제2 서브금형(432)의 일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삽입홀(421)과 제2 삽입홀(422)은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금형(431)은 제1 접촉부(431a)와 제1 누름부(4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420)의 길이 방향(X축방향)으로 측정되는 제1 접촉부(431a)의 폭과 제1 누름부(431b)의 폭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접촉부(431a)의 폭은 제1 누름부(431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접촉부(431a)와 제1 누름부(431b)는 'T'자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접촉부(431a)와 제1 누름부(431b)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촉부(431a)와 제1 누름부(431b)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브금형(432)은 제2 접촉부(432a), 제2 누름부(432b) 및 제2 돌출부(43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부(432a) 및 제2 누름부(432b)는 제1 접촉부(431a) 및 제2 누름부(432b)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돌출부(432c)는 일면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432c)의 곡률진 일면은 상기 제3 커버윈도우와 접촉하여 상기 제3 커버윈도우를 곡률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432c)의 일부는 제1 금형(410)의 홈(411)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홈(411)으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서브금형(431)과 제2 서브금형(432)은 슬리브(4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금형(431)과 제2 서브금형(432)이 슬리브(4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커버윈도우(10)에 형성될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금형(431)이 슬리브(4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와 제2 서브금형(432)이 슬리브(4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의 곡률반경에 비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성형 후 상기 제2 커버윈도우의 곡률반경이 성형 후 상기 제3 커버윈도우의 곡률반경보다 작으므로 제1 서브금형(431)이 슬리브(4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제2 서브금형(432)이 슬리브(4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가압플레이트(440)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제2 가압플레이트(4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선형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과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과 접촉하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플레이트(442)는 제1 금형(410)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과 접촉하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와,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히터부(4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부(441b)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히터부(441b)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 및 제1 히터부(441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선형 운동하면서 제2 금형(430)과 슬리브(420)와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제2 서브금형(432), 제1 서브금형(431) 및 슬리브(420)와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2 가압플레이트(442)는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 및 제2 히터부(4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 및 제2 히터부(442b)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 및 제2 히터부(442b)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 가압플레이트(442)는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2 히터부(442b)는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가압플레이트(442)는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 및 제2 히터부(442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450)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 및 제2 가압플레이트(44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제1 가압플레이트(441) 및 제2 가압플레이트(44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450)가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연결되어 제1 가압플레이트(441)를 선형 운동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4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450)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450)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연결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및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450)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연결되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450)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5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압플레이트(441)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450)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냉각유닛(500)은 제1 냉각플레이트(510), 제2 냉각플레이트(520) 및 냉각플레이트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플레이트(510)는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과 접촉하는 제1 냉각플레이트바디부(511) 및 제1 냉각플레이트바디부(511)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냉각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부(51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냉각부(512)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냉각부(512)는 냉각수 등과 같은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냉각부(512)는 냉각수 등과 같은 냉매가 유동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냉각플레이트(520)는 제1 금형(410)과 대향하도록 제2 냉각플레이트바디부(521) 및 제2 냉각플레이트바디부(521)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냉각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냉각플레이트바디부(521) 및 제2 냉각부(52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냉각플레이트바디부(511) 및 제1 냉각부(512)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냉각플레이트구동부(530)는 제1 냉각플레이트(510) 및 제2 냉각플레이트(5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제1 냉각플레이트(510) 및 제2 냉각플레이트(5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플레이트구동부(5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동부(45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각플레이트구동부(530)가 제1 냉각플레이트(510) 만 선형 운동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언로딩유닛(600)은 이송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제1 금형(410) 상의 커버윈도우(10)를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이때, 언로딩유닛(600)에는 로봇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예열유닛(200)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제작된 커버윈도우(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유닛(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상기 세척유닛에서 분사된 세척액을 열풍 등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유닛(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커버윈도우(1)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를 통하여 커버윈도우(10)를 제작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유리 재질로 형성된 모재(M)를 로딩유닛(10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모재(M)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로딩유닛(100)은 모재(M)를 제1 금형(41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410)은 이송유닛(200) 상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금형(410)은 컨베이어벨트(210)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금형(410)은 컨베이어벨트(210) 상에 설치된 별도의 셔틀(미도시)에 안착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컨베이어벨트(210) 및 상기 셔틀은 중앙 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금형(410)이 직접 컨베이어벨트(210)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은 모재(M)가 제1 금형(410) 상에 안착한 후 제1 금형(4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은 제1 금형(4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재(M)가 제1 금형(410)과 슬리브(420) 사이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은 제1 금형(410) 상에 모재(M)가 안착한 후 제1 금형(4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은 외부에 설치된 로봇암 등에 의해 제1 금형(4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은 작업자가 제1 금형(410) 상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로봇암 등에 의해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이 제1 금형(4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컨베이어벨트(210)의 이동에 따라 제1 금형(410)이 이동하면, 예열히터(310)가 작동하여 모재(M)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롤러구동부(230)는 일정시간 동작 및 작동중지를 반복할 수 있다.
모재(M)는 예열된 후 제1 금형(410)과 함께 형상가변유닛(4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410)이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의 하부에 배치되면, 롤러구동부(23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제1 금형(410)의 위치는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유닛(400)은 제1 금형(410),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의 위치를 파악하는 비젼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젼부(700)는 제1 금형(410),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비젼부(700)에서 촬영된 제1 금형(410),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의 위치에 따라 제1 금형(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금형(410), 슬리브(420) 및 제2 금형(430)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450)가 작동하여 제1 가압플레이트(441)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410)의 하부에는 제2 가압플레이트(442)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가압플레이트(441)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제1 히터부(441b) 및 제2 히터부(442b)가 작동함으로써 모재(M)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제2 서브금형(432), 제1 서브금형(431) 및 슬리브(420)와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420)는 모재(M)와 접촉하여 슬리브(420) 자체의 하중에 의해 모재(M)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금형(431)은 제1 가압플레이트(441)와 접촉하여 모재(M)의 일부를 가압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금형(431)은 모재(M)의 일부를 절곡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가압플레이트(441)가 제2 서브금형(432)과 접촉하면, 제2 서브금형(432)은 모재(M)의 일부와 접촉하여 모재(M)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가압플레이트(441)가 계속해서 슬리브(420)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일정시간 경과 후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와 전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플레이트(441)는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 전체를 가압하고,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는 모재(M)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가 모재(M)를 가압하는 경우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는 모재(M)의 전면에 대해서 균일한 압력으로 모재(M)를 가압할 수 있다. 특히 모재(M)를 절곡시키는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서브금형(431) 및 제2 서브금형(4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42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가압플레이트(441)를 통하여 가압할 때, 슬리브(420)에 가해지는 압력, 제1 서브금형(431)에 가해지는 압력 및 제2 서브금형(432)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압력차는 모재(M)를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절곡시키는 경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재(M)의 절곡 시 곡률반경에 따라서 압력차가 발생할 수 있고, 모재(M)의 절곡이 설계와 상이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1 서브금형(431) 및 제2 서브금형(4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슬리브(42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접촉하는 슬리브(420)와 제1 서브금형(431) 및 제2 서브금형(432)이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평탄도에 따라서 압력이 상이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의 경우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를 각각 별개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정도 유격을 보장하여 제1 서브금형(431), 제2 서브금형(432) 및 슬리브(420)를 제1 가압플레이트(441)로 균일한 압력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재(M)를 가압하여 커버윈도우(10)를 형성한 후 제1 가압플레이트(441) 및 제2 가압플레이트(442)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히터부(441b) 및 제2 히터부(442b)의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금형(410), 제2 금형(430) 및 슬리브(420)는 컨베이어벨트(210)를 통하여 냉각유닛(5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냉각유닛(500)에는 제1 냉각플레이트(510)와 제2 냉각플레이트(520)를 각각 제2 금형(430) 및 슬리브(420), 제1 금형(410)에 접촉시켜 커버윈도우(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는 급냉함으로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된 후 커버윈도우(10)는 제1 금형(410)에 안착된 상태로 언로딩유닛(6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 금형(430) 및 슬리브(420)는 커버윈도우(10)로부터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커버윈도우(10)의 제조 시 균일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의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는 커버윈도우(10)의 균일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성형 시 발생하는 커버윈도우(10)의 절곡된 부분의 물결 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2)는 커버윈도우(10), 접착부재(30) 및 패널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윈도우(10)는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는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는 아크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윈도우(10)는 상기의 재질 이외에도 투명한 재질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10)가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윈도우(10)는 평평하게 형성된 제1 커버윈도우(11), 제1 커버윈도우(1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커버윈도우(12) 및 제3 커버윈도우(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윈도우(12) 및 제3 커버윈도우(13)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윈도우(12)의 곡률반경과 제3 커버윈도우(13)의 곡률반경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3 커버윈도우(13)의 곡률반경은 제2 커버윈도우(12)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패널 부재(20)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부재(2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패널 부재(20)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패널 부재(20)는 커버윈도우(10)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커버윈도우(1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이물질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 부재(2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버윈도우(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 부재(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 부재(20) 및 커버윈도우(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30)는 패널 부재(20) 및 커버윈도우(10)가 서로 대향하는 패널 부재(20)의 면이나 커버윈도우(10)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30)는 접착력을 갖는 광학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착부재(30)는 광학 점착 필름(Optical clearance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기판(21) 상에서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이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발광부(D)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기판(21) 및 발광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는 발광부(D)의 상부에 형성되는 박막 봉지층(E)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 상에 발광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D)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이 구비되고, 이들을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유기 발광 소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21)은 유리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23)이 형성된 후, 활성층(23)이 게이트 절연층(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23)은 소스 영역(23-1)과 드레인 영역(23-2)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2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버퍼층(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2)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된다.
게이트 절연층(24)의 상면에는 활성층(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26)과 게이트 절연층(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26) 상에 소스 전극(27-1) 및 드레인 전극(27-2)을 각각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2)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27)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8, OLED)의 화소 전극(28-1)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28-1)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27-2)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27)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화소 전극(28-1)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28-1) 및 패시베이션막(27)을 덮도록 화소 정의막(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28-1)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28-1) 상에 중간층(28-2) 및 대향 전극(28-3)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28-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28-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은 상기 중간층(28-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28-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하거나,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상기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 제3 유기층, 제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제1 무기층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1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기층은 제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층도 제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는 커버윈도우(10)가 정밀하게 제작됨으로써 선명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형상가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형상가변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형상가변유닛(400-1)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가변유닛(400-1)은 제1 금형(410-1), 슬리부(420-1), 제2 금형(430-1), 가압플레이트(440-1) 및 구동부(4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410-1) 및 슬리부(420-1)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금형(430-1)은 슬리부(420-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슬리부(420-1)의 내부에는 제2 금형(430-1)이 삽입되도록 삽입홀(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형(430-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슬리부(420-1)에 삽입되는 제1 서브금형(431-1)과 제2 서브금형(4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금형(431-1)은 제1 접촉부(431a-1)와 제1 누름부(431b-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금형(432-1)은 제2 접촉부(432a-1), 제2 누름부(432b-1) 및 제2 돌출부(432c-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금형(431-1) 및 제2 서브금형(432-1)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압플레이트(440-1)는 제1 가압플레이트(441-1)와 제2 가압플레이트(4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 제1 가압플레이트(441-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히터부(441b-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와 별개로 형성되어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가압플레이트(441-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 및 제1 히터부(441b-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부(441b-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가압플레이트(441-1)는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 및 제1 히터부(441b-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는 표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는 제1 서브금형(431-1)과 제2 서브금형(432-1)이 배치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의 인입된 부분은 제1 서브금형(431-1)과 제2 서브금형(432-1)의 위치, 제1 서브금형(431-1)과 제2 서브금형(432-1)을 가하는 힘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의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의 중앙 부분은 슬리부(420-1)와 접촉하여 슬리부(420-1)를 가력할 수 있다.
제2 가압플레이트(442-1)는 일 실시예로써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 가압플레이트(442-1)는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1) 및 제2 히터부(442b-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1) 및 제2 히터부(442b-1)는 각각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 및 제1 히터부(441b-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가압플레이트(442-1)는 제2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2a-1) 및 제2 히터부(442b-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미도시)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형상가변유닛(400-1)에서 커버윈도우(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재(M)가 로딩유닛(미도시), 가열유닛(미도시)을 통과한 후 형상가변유닛(400-1)으로 이송되면, 구동부(450-1)가 작동하여 제1 가압플레이트(441-1)를 슬리부(420-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금형(431-1)의 상단과 제2 서브금형(432-1)의 상단은 슬리부(420-1)로부터 서로 상이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금형(432-1)의 상단이 제1 서브금형(431-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는 제2 서브금형(432-1)과 먼저 접촉하여 모재(M)의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슬리부(420-1)는 자중으로 모재(M)를 가압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450-1)의 작동에 따라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가 슬리부(420-1)에 가까워지면,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는 제1 서브금형(431-1) 및 슬리부(420-1)와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는 제1 서브금형(431-1), 제2 서브금형(432-1) 및 슬리부(420-1) 모두와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가 가압하는 경우 제1 가압플레이트바디부(441a-1)는 제1 서브금형(431-1), 제2 서브금형(432-1) 및 슬리부(420-1)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부(441b-1) 및 제2 히터부(442b-1)가 작동하여 모재(M)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모재(M)는 커버윈도우(10)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형상가변유닛(400-1)에서 제1 히터부(441b-1)와 제2 히터부(442b-1)의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키면서 커버윈도우(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후 커버윈도우(10)는 제1 금형(410-1), 제2 금형(430-1) 및 슬리부(420-1)와 함께 냉각유닛(미도시)으로 이동하여 급속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각이 완료되면 언로딩유닛(미도시)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커버윈도우(10)의 제조 시 균일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의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커버윈도우(10)의 균일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성형 시 발생하는 커버윈도우(10)의 절곡된 부분의 물결 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 표시 장치
10: 커버윈도우 11: 제1 커버윈도우
12: 제2 커버윈도우 13: 제3 커버윈도우
20: 패널 부재 30: 접착부재
100: 로딩유닛 200: 이송유닛
210: 컨베이어벨트 220: 롤러
230: 롤러구동부 300: 예열유닛
310: 예열히터 400,400-1: 형상가변유닛
410,410-1: 제1 금형 420,420-1: 슬리브
421: 제1 삽입홀 422: 제2 삽입홀
430,430-1: 제2 금형 431,431-1: 제1 서브금형
432,432-1: 제2 서브금형 440,440-1: 가압플레이트
441,441-1: 제1 가압플레이트 442,442-1: 제2 가압플레이트
450,450-1: 구동부 500: 냉각유닛
510: 제1 냉각플레이트 520: 제2 냉각플레이트
530: 냉각플레이트구동부 600: 언로딩유닛
700: 비젼부

Claims (20)

  1. 커버윈도우를 압착하여 상기 커버윈도우의 형상을 가변시키는 형상가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유닛은,
    상기 커버윈도우가 안착하는 제1 금형;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제2 금형; 및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과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1 서브금형; 및
    상기 제1 서브금형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2 서브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금형 상단과 상기 제2 서브금형의 상단은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선형 운동 시 상기 제2 서브금형, 상기 제1 서브금형 및 상기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가압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제2 금형이 삽입되어 선형 운동하는 삽입홀이 형성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커버윈도우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와 가까운 부분의 폭이 상기 제1 금형과 가까운 부분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제2 금형이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슬리브가 접촉하는 부분이 단차진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유닛에서 이송된 상기 커버윈도우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0. 제1 금형에 커버윈도우를 안착하는 단계;
    상기 커버윈도우를 예열하는 단계;
    상기 커버윈도우 상에 슬리브, 제2 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슬리브, 상기 제2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1 서브금형; 및
    상기 제1 서브금형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2 서브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금형 상단과 상기 제2 서브금형의 상단은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선형 운동 시 상기 제2 서브금형, 상기 제1 서브금형 및 상기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가압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상기 제2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금형 및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커버윈도우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및 제2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윈도우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윈도우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2 금형 상에 냉각부를 구비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냉각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평평한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커버윈도우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윈도우를 절곡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8. 삭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0. 삭제
KR1020150151094A 2015-10-29 2015-10-2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4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94A KR102541450B1 (ko) 2015-10-29 2015-10-2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5/172,725 US10493687B2 (en) 2015-10-29 2016-06-03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201610920672.3A CN106992134B (zh) 2015-10-29 2016-10-21 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CN202210134094.6A CN114496861A (zh) 2015-10-29 2016-10-21 用于制造显示装置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94A KR102541450B1 (ko) 2015-10-29 2015-10-2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97A KR20170051597A (ko) 2017-05-12
KR102541450B1 true KR102541450B1 (ko) 2023-06-09

Family

ID=5863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094A KR102541450B1 (ko) 2015-10-29 2015-10-2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93687B2 (ko)
KR (1) KR102541450B1 (ko)
CN (2) CN1144968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492B1 (ko) * 2015-07-2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성형 장치
KR102440363B1 (ko) * 2017-08-11 202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프레임, 디스플레이 기판 제조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기판 제조 방법
KR102461107B1 (ko) 2017-12-14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7591B1 (ko) * 2018-04-25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9178459A (zh) * 2018-10-29 2019-01-11 王荣涛 异型薄膜成型热封一体包装机
DE102021133071A1 (de) 2021-12-14 2023-06-15 Ulf Reinhardt Umform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formen eines Dünngla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7992A (ja) * 2009-07-24 2011-02-10 Panasonic Corp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37811B1 (ko) * 2014-11-28 2015-07-2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055A (en) * 1987-11-06 1990-01-02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forming glass product having smooth surface
US5938810A (en) * 1996-10-23 1999-08-17 Donnelly Corporation Apparatus for tempering and bending glass
JP2003170993A (ja) * 2001-09-27 2003-06-17 Nissho Iwai Plastic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US7037458B2 (en) * 2003-10-23 2006-05-02 Intel Corporation Progressive stamping apparatus and method
US8240853B2 (en) * 2009-05-01 2012-08-14 Bioptigen, Inc. Systems for imaging structures of a subject and related methods
KR101206328B1 (ko) 2010-02-22 2012-12-04 (주)대호테크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US8630009B2 (en) * 2011-08-03 2014-0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to a peripheral device
KR101898987B1 (ko) * 2011-09-27 2018-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404494B1 (ko) 2012-02-16 2014-06-10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EP2865656A4 (en) * 2012-06-14 2016-04-27 Nippon Electric Glass Co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HAVING CURVED PART AND GLASS PLATE HAVING CURVED PART
KR20140010504A (ko) * 2012-07-12 2014-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성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윈도우 성형 방법
KR101973778B1 (ko) * 2012-11-16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2117337B1 (ko) 2013-06-28 2020-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KR20150001964A (ko) 2013-06-28 2015-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KR20150048450A (ko) * 2013-10-28 2015-05-07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7992A (ja) * 2009-07-24 2011-02-10 Panasonic Corp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37811B1 (ko) * 2014-11-28 2015-07-2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97A (ko) 2017-05-12
US20170120501A1 (en) 2017-05-04
CN114496861A (zh) 2022-05-13
CN106992134A (zh) 2017-07-28
CN106992134B (zh) 2022-03-04
US10493687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450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44982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170256753A1 (en) Deposition apparatu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R102401484B1 (ko) 마스크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7541711A (zh) 基板的夹持装置、成膜装置、基板载置装置及其方法
US1016571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a rotating bending unit
KR20150108481A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KR102512728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210343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117613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TWI459260B (zh) 生產二或多個圖案化基板之設備及方法
JP5897208B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KR10198776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411539B1 (ko) 마스크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190249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KR102241849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32080B1 (ko) 증착챔버의 촬영창 오염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575483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CN112185832A (zh) 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和方法
KR102642197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2008229562A (ja) 基板位置調整装置
KR101605659B1 (ko) 비접촉식 프리얼라인 장치 및 방법
KR102264650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116498B1 (ko) 패널부재 고정장치
KR102536251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