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811B1 -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811B1
KR101537811B1 KR1020140169189A KR20140169189A KR101537811B1 KR 101537811 B1 KR101537811 B1 KR 101537811B1 KR 1020140169189 A KR1020140169189 A KR 1020140169189A KR 20140169189 A KR20140169189 A KR 20140169189A KR 101537811 B1 KR101537811 B1 KR 10153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window
forming
molding apparatu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욱
차성운
정문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6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11B1/ko
Priority to CN201580001711.3A priority patent/CN106414350B/zh
Priority to PCT/KR2015/012141 priority patent/WO20160851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성형장치에 의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독립적으로, 성형장치에 의해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윈도우 성형방법 및 이러한 성형방법에 적용되는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고,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각각 서로 영향을 주고 받지 않게 되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Method of forming window having formed part and apparatus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window)는 휴대폰, 태블릿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워치(smartwatch),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는 물론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평판TV 등과 같은 비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창을 말한다. 이러한 윈도우는 글라스(glass)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투과성을 갖는 한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가 장착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는 최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touchpen)과 같은 수단에 의해 윈도우의 표면을 접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들을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점차 일반적으로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들은 윈도우가 장착된 비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도 시작되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을 사용하여 윈도우의 표면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접촉함으로써 윈도우가 장착된 기기들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작동시킬 필요가 점차 대두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을 사용하여 윈도우의 표면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접촉함으로써 윈도우가 장착된 기기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체를 곡면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또한, 윈도우가 장착된 모바일용 또는 비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설치위치나 용도 등에 따라 화면을 곡면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상에 나타낼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그동안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성형하는 여러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어 오고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10504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59488호 공개특허공보
종래에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10504호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은 윈도우를 성형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하여금 각각 윈도우의 평탄면을 성형하는 평탄부와 윈도우의 만곡면을 성형하는 만곡부로 이루어진 성형면을 갖게 함으로써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윈도우용 소재를 넣고 가압하여 평탄면과 만곡면을 갖는 윈도우를 성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윈도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있어서는, 상부금형의 평탄부와 만곡부가 모두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서 각기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윈도우의 평탄면과 만곡면을 각기 개별적으로 성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윈도우의 복수의 성형부를 고품질의 성형면으로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59488호 공개특허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은, 상부금형을 상부금형판과 그 저면부 끝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평판유리의 끝단 상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을 갖는 성형부로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하부금형도 하부금형판과 그 상면부 끝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평판유리의 끝단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을 갖는 받침부로 구성하며, 이러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성형부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성형용 금형에 의해서는 상부금형판으로부터 성형부를 분리할 수 있고, 하부금형판으로부터 받침부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커버글라스의 형상변경시 필요부위만을 교체하여 커버글라스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도, 하나의 상부금형판에 복수의 성형부가 결합되어 있어서 복수의 성형부의 움직임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없게 되므로 커버글라스의 복수의 성형부를 개별적으로 성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커버글라스의 복수의 성형부를 고품질의 성형면으로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윈도우의 성형부를 개별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하는 방법과 이를 성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성형장치에 의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독립적으로, 성형장치에 의해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윈도우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고,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각각 서로 영향을 주고 받지 않게 되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압력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과 제2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를 각각 성형할 수 있어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시간 동안 이루어지므로,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과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를 각각 성형할 수 있어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과 제2 성형면을 가지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성형장치; 제1 성형장치 상에 배열되어 윈도우용 소재를 제1 성형장치 상에 지지하며, 제1 성형장치의 제1 성형면에 상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제1 성형장치의 제2 성형면에 상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갖는 제2 성형장치;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제2 성형장치의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3 성형장치; 및 제3 성형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제2 성형장치의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4 성형장치를 구비하고, 제4 성형장치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은 제3 성형장치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과 다른 윈도우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고,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과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를 각각 성형할 수 있어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제4 성형장치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은 제3 성형장치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과 별개로 이루어지므로,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가 각각 서로 영향을 주고 받지 않게 되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제4 성형장치가 제2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은 제3 성형장치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과 다르므로, 제1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과 제2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를 각각 성형할 수 있어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가 제2 성형장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3 성형장치 또는 제4 성형장치를 제2 성형장치를 관통하여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3 성형장치 또는 제4 성형장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윈도우의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를 더욱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가 제2 성형장치의 단부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제3 성형장치 또는 제4 성형장치를 제2 성형장치의 단부의 오목부에 의해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2 성형장치에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를 형성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삭제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과 제2 성형면을 가지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성형장치;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2 성형장치; 제2 성형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3 성형장치; 제2 성형장치에 연결되어 제2 성형장치를 성형위치까지 안내하는 제1 구동장치; 및 제1 구동장치와 독립하여 작동하며 제3 성형장치에 연결되어 제3 성형장치를 성형위치까지 안내하는 제2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단순한 구조의 제1 성형장치와 제2 및 제3 성형장치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성형장치의 성형위치로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윈도우의 복수의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과 그 성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2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제3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제4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성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성형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례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례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 1)
본 실시례는 윈도우를 성형하는 방법이다. 윈도우(window)는 휴대폰, 태블릿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워치(smartwatch),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는 물론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평판TV 등과 같은 비모바일용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창을 말한다. 여기서 윈도우의 의미는 본 실시례에 관련된 윈도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 관련된 모든 윈도우에 적용된다.
본 실시례는, 도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10)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방법(100)이다. 윈도우용 소재는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는 글라스(glas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윈도우용 소재는 글라스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투과성을 갖는 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용 소재는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사전에 예비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는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윈도우용 소재의 형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곡면부와 같은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다만, 윈도우용 소재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윈도우용 소재의 의미는 본 실시례에 관련된 윈도우용 소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 관련된 모든 윈도우용 소재에 적용된다.
준비된 윈도우용 소재는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한다(S120). 성형장치는 윈도우용 소재를 윈도우로 성형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대, 성형장치는 곡면부와 같은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글라스 소재에 대하여 곡면부를 성형하는 몰드(mold)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장치는,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에 윈도우의 제1 및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1 성형장치, 제1 성형장치에 윈도우용 소재를 지지하는 제2 성형장치,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에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3 성형장치 및 제3 성형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에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4 성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성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한 후에는 그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성형장치에 의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한다(S130). 여기서 제1 성형부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1 성형부의 성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성형장치의 제1 성형장치와 제3 성형장치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제1 성형부를 형성하는 성형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 성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성형부의 성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는 제2 성형부를 또한 성형한다. 여기서, 제2 성형부는 윈도우가 갖는 성형부로서 제1 성형부와 다른 성형부를 의미한다. 제2 성형부는 제1 성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성형부의 성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성형장치의 제1 성형장치와 제4 성형장치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제2 성형부를 형성하는 성형면을 형성함으로써 제2 성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2 성형부의 성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성형부의 성형은 제1 성형부의 성형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대하여 각각 적합한 성형과정을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성형부의 성형단계(S140)가 제1 성형부의 성형단계(S130) 이후에 이루어질 경우에는, 제1 성형부의 성형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제2 성형부의 성형단계가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제2 성형부의 성형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제1 성형부의 성형단계가 이미 완료된 후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각 성형부의 성형단계는 다른 성형부의 성형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그 형상에 맞게 성형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어서 더욱 고품질의 성형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성형부의 성형은 제1 성형부의 성형과는 다른 압력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과 제2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거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과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를 각각 성형할 수 있어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더욱 고품질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2)
본 실시례는 윈도우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례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210)와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S220)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방법(200)이다. 이러한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210)와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S220)는 실시례 1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례에 있어서는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하여 성형장치에 의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S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230). 여기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S230)는 제1 성형부의 성형과 제2 성형부의 성형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동일한 단계에서 성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대하여 각각 적합한 성형과정을 독립적으로 적용하면서도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동일한 단계에서 성형할 수 있어서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단축된 공정으로 신속히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성형하면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동일한 단계에서 성형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동일한 단계에서 성형하면서, 제2 성형부를 제1 성형부와 다른 압력을 가하면서 성형하거나 또는 제2 성형부를 제1 성형부와 다른 시간 동안 성형함으로써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압력, 시간 등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대해 서로 다른 온도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례 3)
본 실시례는 윈도우를 성형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례는, 도 3 및 도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성형장치(310), 제2 성형장치(320), 제3 성형장치(330) 및 제4 성형장치(340)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장치(300)이다.
제1 성형장치(310)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313)과 제2 성형면(314)을 가지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제1 성형장치(310)는 지지부(311)와 성형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성형부(31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성형부(312)는 지지부(311) 상에 배열되어 윈도우용 소재(미도시)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부분이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성형부(312)는 지지부(311)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부(312) 상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된다. 성형부(312)에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313)과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2 성형면(314) 그리고 윈도우의 성형되지 아니한 부분, 예컨대, 평평한 부분에 상응하는 평탄부(315)가 형성되어 있다. 성형부(312)의 제1 성형면(313) 외측에는 제1 단부(318)가 위치하며, 성형부(312)의 제2 성형면(313) 외측에는 제2 단부(317)가 위치한다.
제1 성형면(313)은 윈도우의 제1 성형부의 제1 측면에 상응하는 면이다. 여기서, 제1 성형면(313)은 윈도우의 제1 성형부의 제1 측면에 상응하도록 오목하게 절곡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성형면(313)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성형면(313)은 성형부(312)의 일 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성형면(313)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의 대응되는 부분에 제1 성형부의 제1 측면이 형성된다.
제2 성형면(314)은 윈도우의 제2 성형부의 제1 측면에 상응하는 면이다. 여기서, 제2 성형면(314)은 윈도우의 제2 성형부의 제1 측면에 상응하도록 오목하게 휘어진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제2 성형면(314)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성형면(314)은 제1 성형면(313)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성형면(313)은 오목하게 절곡된 면의 형상을 갖는 반면에, 제2 성형면(314)은 오목하게 휘어진 면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성형면(314)은 성형부(312)의 제1 성형면(313)이 형성된 일 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 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성형면(314)에 의해 윈도우 소재의 제1 측면의 대응되는 부분에 제2 성형부의 제1 측면이 형성된다.
제2 성형장치(320)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성형장치(310) 상에 배열되어 윈도우용 소재를 제1 성형장치(310) 상에 지지하는 것이다. 제2 성형장치(320)는 윈도우용 소재를 제1 성형장치(310) 상에 지지하는 본체(321)를 구비한다. 본체(321)는 제1 성형장치(310)의 성형부(312)를 커버하는 크기를 가지며 성형부(312) 상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접촉하는 내측면(321a)을 갖는다. 이러한 본체(321)는 성형부(312) 상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하는 동안 윈도우용 소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321)의 양 가장자리에는 각각 본체(321)로부터 제1 성형장치(310) 쪽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324) 및 제2 지지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324) 및 제2 지지부(325)는 본체(321)를 제1 성형장치(310)의 지지부(311)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부(324) 및 제2 지지부(325)는 본체(321)가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부(312) 상에 지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연장된 길이가 너무 길지 않도록 한다. 본체(321)의 제1 성형장치(310)의 제1 성형면(313)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본체(321)의 내측면(321a)과 외측면(321b)을 서로 소통하게 하도록 관통하는 제1 가이드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321)의 제1 성형장치(310)의 제2 성형면(314)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본체(321)의 내측면(321a)과 외측면(321b)을 서로 소통하게 하도록 관통하는 제2 가이드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부(322)는 제3 성형장치(330)를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까지 안내하고 그에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제2 가이드부(323)는 제4 성형장치(340)를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까지 안내하고 그에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다만, 제2 성형장치(3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3 성형장치(330)는,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성형장치(320)의 제1 가이드부(322)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윈도우의 제1 성형부의 제2 측면을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3 성형장치(330)는, 제1 가이드부(322)에 의해 안내되는 본체(331)와, 본체(331)에 결합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332)를 구비한다. 본체(331)는 제1 가이드부(322)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부(322)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외측면을 갖게 된다. 가압부(332)는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성형부의 제2 측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332a)을 갖는다. 이러한 성형면(332a)은, 예컨대,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하게 절곡된 면의 형상을 갖는다. 가압부(332)의 성형면(332a)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측면(332b)은 제1 성형장치(310)의 성형부(312)의 제1 단부(318)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형성한다. 그밖에 제3 성형장치(330)는 본체(331)에 결합되는 걸림부(3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333)는, 본체(331)가 제1 가이드부(322)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으로 이동할 때에, 본체(331)가 성형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부(333)는 제2 성형장치(320)의 본체(321)의 외측면(321b) 상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3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걸림부(333)는 반드시 도 7에 나타나 있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러한 걸림부(333)는 제3 성형장치(330)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3 성형장치(33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존재할 경우에는 구비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제3 성형장치(330)가 윈도우의 제1 성형부의 제2 측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제2 성형장치(320)의 제1 가이드부(322)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방법은 성형하고자 하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의 형상이나 재질 등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예컨대, 윈도우의 제1 성형부가 제2 성형부에 비하여 변형이 더 크게 이루어진 오목하게 절곡된 면일 경우에는, 제3 성형장치(330)는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보다 더 크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 적절하거나 또는 동일한 압력을 더 장시간 가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압력을 더 높은 온도로 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방법은 제3 성형장치(330)에 가압수단(미도시)을 연결함으로써 제3 성형장치(330)가 가할 수 있는 압력의 크기 및 시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제3 성형장치(330)에 히터와 같은 가열수단(미도시)을 부가함으로써 가압시의 온도를 조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4 성형장치(340)는, 도 8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 성형장치(330)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제2 성형장치(320)의 제2 가이드부(323)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윈도우의 제2 성형부의 제2 측면을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4 성형장치(340)는, 제2 가이드부(323)에 의해 안내되는 본체(341)와, 본체(341)에 결합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342)를 구비한다. 본체(341)는 제2 가이드부(323)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부(323)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외측면을 갖게 된다. 가압부(342)는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2 성형부의 제2 측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342a)을 갖는다. 이러한 성형면(342a)은, 예컨대, 도 8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하게 휘어진 면의 형상을 갖는다. 가압부(342)의 성형면(342a)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측면(342b)은 제1 성형장치(310)의 성형부(312)의 제2 단부(317)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형성한다. 그밖에 제4 성형장치(340)는 본체(341)에 결합되는 걸림부(34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343)는, 본체(341)가 제2 가이드부(323)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으로 이동할 때에, 본체(341)가 성형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부(343)는 제2 성형장치(320)의 본체(321)의 외측면(321b) 상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34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걸림부(343)는 반드시 도 8에 나타나 있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러한 걸림부(343)는 제4 성형장치(340)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4 성형장치(34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존재할 경우에는 구비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제4 성형장치(340)가 윈도우의 제2 성형부의 제2 측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제2 성형장치(320)의 제2 가이드부(323)에 의해 안내되어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방법은 성형하고자 하는 윈도우의 제2 성형부의 형상이나 재질 등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예컨대, 윈도우의 제2 성형부가 제1 성형부에 비하여 변형이 더 작게 이루어진 오목하게 휘어진 면일 경우에는, 제4 성형장치(340)는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보다 더 작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 적절하거나 또는 동일한 압력을 더 단시간 가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압력을 더 낮은 온도로 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방법은 제4 성형장치(340)에 가압수단(미도시)을 연결함으로써 제4 성형장치(340)가 가할 수 있는 압력의 크기 및 시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제4 성형장치(340)에 히터와 같은 가열수단(미도시)을 부가함으로써 가압시의 온도를 조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4 성형장치(340)의 작동은 제3 성형장치(330)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4 성형장치(340)가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은 제3 성형장치(330)가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과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4 성형장치(340)가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을 제3 성형장치(330)가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제4 성형장치(340)가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을 제3 성형장치(330)가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과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성형장치(340)에 의해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은 제3 성형장치(330)에 의해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이루어짐으로써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그 형상 등의 특성에 적합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4 성형장치(340)의 독립적인 작동에 의해 더 좋은 품질의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4)
본 실시례는 윈도우를 성형하는 다른 장치이다. 본 실시례는, 도 9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성형장치(410), 제2 성형장치(420), 제3 성형장치(430) 및 제4 성형장치(440)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장치(400)이다.
본 실시례에 있어서는, 실시례 3과 대비할 때에,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제2 성형장치(420)의 양 단부에서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다른 점이다. 제3 성형장치(430) 및 제4 성형장치(440)는 각각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제1 성형장치(410)와 제2 성형장치(420)에 의해 지지되는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성형장치(420)에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를 형성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제2 성형장치(420)의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모두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제2 성형장치(420)의 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실시례 5)
본 실시례는 윈도우를 성형하는 또 다른 장치이다. 본 실시례는,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성형장치(510), 제2 성형장치(530) 및 제3 성형장치(540)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장치(500)이다.
제1 성형장치(510)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과 제2 성형면을 포함하는 성형면(511)을 구비하여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함과 동시에, 제1 성형면에 상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512)와 제2 성형면에 상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513)를 구비하여 제2 성형장치(530) 및 제3 성형장치(540)를 성형면(511) 상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까지 안내한다. 제1 가이드부(512)는 제1 성형면의 주위에서 성형면(51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성형장치(530)의 적어도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512)는,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성형장치(530)가 제1 성형면에 근접할 때에, 외측을 향하는 제2 성형장치(530)의 세 개의 외측면에 접하는 세 개의 내측면을 갖도록 성형면(5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513)는, 제3 성형장치(540)가 제2 성형면에 근접할 때에, 외측을 향하는 제3 성형장치(540)의 세 개의 외측면에 접하는 세 개의 내측면을 갖도록 성형면(5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가이드부(512)와 제2 가이드부(513)는,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결합하면서 동시에 제2 성형장치(530) 및 제3 성형장치(540)가 각각 제1 성형면 및 제2 성형면에 근접할 때에, 외측을 향하는 제2 및 제3 성형장치(530)(540)의 각각의 세 개의 외측면에 접하는 세 개의 내측면을 갖도록 성형면(5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성형면(5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성형장치(530)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제1 성형장치(510)의 제1 가이드부(512)에 의해 안내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한다.
제3 성형장치(540)는 제2 성형장치(530)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제1 성형장치(510)의 제2 가이드부(513)에 의해 안내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한다.
본 실시례는 제1 성형장치(510)와 제2 성형장치(530) 그리고 제3 성형장치(540)로 이루어진 단순한 성형장치에 의해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6)
본 실시례는 윈도우를 성형하는 또 다른 장치이다. 본 실시례는, 도 11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성형장치(610), 제2 성형장치(630) 및 제3 성형장치(640)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장치(600)이다.
제1 성형장치(610)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613)과 제2 성형면(614)을 구비하여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한다. 제1 성형장치(610)는 지지부(611)와 그 상면에 형성된 성형부(612)를 구비한다. 성형부(612)는 제1 성형면(613)과 제2 성형면(614) 그리고 이들 사이에 평평한 평탄부(615)를 포함한다.
제2 성형장치(630)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한다. 여기서 제2 성형장치(630)는 제2 성형장치(630)에 연결되어 제2 성형장치(630)를 성형위치까지 안내하는 제1 구동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제3 성형장치(640)는 제2 성형장치(630)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한다. 여기서 제3 성형장치(640)는 제1 구동장치와 독립하여 작동하며 제3 성형장치(640)에 연결되어 제3 성형장치(640)를 성형위치까지 안내하는 제2 구동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례는 단순한 구조의 제1 성형장치(610)와 제2 및 제3 성형장치(640)(650)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성형장치(640)(650)의 성형위치로의 움직임을 안내하여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하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7)
본 실시례는 또 다른 윈도우를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성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례는, 도 1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윈도우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a),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b) 및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c)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방법이다.
윈도우용 소재를 윈도우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a)는 실시례 3의 윈도우 성형장치와 같은 윈도우 성형장치에 윈도우용 소재(701)를 배열하는 단계이다. 윈도우용 소재(701)는 윈도우 성형장치의 제1 성형장치(710) 상에 배열되고 제2 성형장치(720)에 의해 커버되어 지지된다.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b)는 윈도우 성형장치에 배열되어 지지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3 성형장치(730)를 가압하여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4 성형장치(74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c)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가 성형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4 성형장치(740)를 가압하여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에 윈도우 성형장치에서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가 성형된 윈도우를 분리하면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완성하게 된다.
(실시례 8)
본 실시례는 또 다른 윈도우를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성형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례는, 도 13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례 7과 대비할 때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3 성형장치와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4 성형장치가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적이면서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정도로 오목하게 절곡된 성형면을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례는, 윈도우용 소재를 윈도우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a),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b) 및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c)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방법이다.
윈도우용 소재를 윈도우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a)는 실시례 3의 윈도우 성형장치와 유사한 윈도우 성형장치에 윈도우용 소재(801)를 배열하는 단계이다. 윈도우용 소재(801)는 윈도우 성형장치의 제1 성형장치(810) 상에 배열되고 제2 성형장치(820)에 의해 커버되어 지지된다.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b)는 윈도우 성형장치에 배열되어 지지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3 성형장치(830)를 가압하여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4 성형장치(84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c)는 윈도우의 제1 성형부가 성형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4 성형장치(840)를 가압하여 윈도우용 소재에 윈도우의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4 성형장치(840)의 성형면은 제3 성형장치(830)의 성형면과 실질적으로 대칭이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오목하게 절곡된 면의 형상을 갖는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에 윈도우 성형장치에서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가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이면서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정도로 오목하게 절곡된 면으로 성형된 윈도우를 분리하면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례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례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은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00, 200: 윈도우 성형방법
300, 400, 500, 600: 윈도우 성형장치
310, 410, 510, 610, 710, 810: 제1 성형장치
311: 지지부
312: 성형부
313: 제1 성형면
314: 제2 성형면
315: 평탄부
320, 420, 530, 630, 720, 820: 제2 성형장치
322: 제1 가이드부
323: 제2 가이드부
330, 430, 540, 640, 730, 830: 제3 성형장치
340, 440, 740, 840: 제4 성형장치

Claims (12)

  1.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장치에 배열하는 단계;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성형장치에 의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독립적으로, 성형장치에 의해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는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윈도우 성형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는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압력으로 이루어지는 윈도우 성형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는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다른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윈도우 성형방법.
  5.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과 제2 성형면을 가지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성형장치;
    제1 성형장치 상에 배열되어 윈도우용 소재를 제1 성형장치 상에 지지하며, 제1 성형장치의 제1 성형면에 상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제1 성형장치의 제2 성형면에 상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갖는 제2 성형장치;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제2 성형장치의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3 성형장치; 및
    제3 성형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제2 성형장치의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4 성형장치를 구비하고,
    제4 성형장치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은 제3 성형장치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시간과 다르게 되는 윈도우 성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4 성형장치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은 제3 성형장치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과 별개로 이루어지는 윈도우 성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제4 성형장치가 제2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은 제3 성형장치가 제1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가하는 압력과 다르게 되는 윈도우 성형장치.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는 제2 성형장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3 성형장치 또는 제4 성형장치를 제2 성형장치를 관통하여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윈도우 성형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는 제2 성형장치의 단부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제3 성형장치 또는 제4 성형장치를 제2 성형장치의 단부의 오목부에 의해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윈도우 성형장치.
  11. 삭제
  12. 윈도우의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제1 성형면과 제2 성형면을 가지며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성형장치;
    윈도우의 제1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1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2 성형장치;
    제2 성형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윈도우의 제2 성형부에 상응하는 성형면을 갖고,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제2 성형부를 성형하는 제3 성형장치;
    제2 성형장치에 연결되어 제2 성형장치를 성형위치까지 안내하는 제1 구동장치; 및
    제1 구동장치와 독립하여 작동하며 제3 성형장치에 연결되어 제3 성형장치를 성형위치까지 안내하는 제2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윈도우 성형장치.
KR1020140169189A 2014-11-28 2014-11-28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153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189A KR101537811B1 (ko) 2014-11-28 2014-11-28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CN201580001711.3A CN106414350B (zh) 2014-11-28 2015-11-12 形成具有成型部的窗口的方法以及用于形成其的设备
PCT/KR2015/012141 WO2016085166A1 (ko) 2014-11-28 2015-11-12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189A KR101537811B1 (ko) 2014-11-28 2014-11-28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811B1 true KR101537811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189A KR101537811B1 (ko) 2014-11-28 2014-11-28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7811B1 (ko)
CN (1) CN106414350B (ko)
WO (1) WO20160851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0501A1 (en) * 2015-10-29 2017-05-0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62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리프레싱 공정에 의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금형 및 이 제조금형을 이용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
KR20130094570A (ko) * 2012-02-16 2013-08-26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KR101449365B1 (ko) * 2014-02-18 2014-10-10 (주)육일씨엔에쓰 스마트폰의 터치 윈도우 글래스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9483B1 (fr) * 1993-08-31 1995-10-20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JPH10139449A (ja) * 1996-11-13 1998-05-26 Canon Inc ガラス光学素子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IT1391969B1 (it) * 2008-11-19 2012-02-0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 R L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particolare termoformato, comprendente un'operazione di risvoltatura eseguita a stampo chiuso, e stampo per mettere in atto un tale procedimento
KR101030886B1 (ko) * 2010-07-28 2011-04-22 김한곤 박판유리의 곡강화용 성형몰드
KR20140010504A (ko) * 2012-07-12 2014-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성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윈도우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62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리프레싱 공정에 의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금형 및 이 제조금형을 이용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
KR20130094570A (ko) * 2012-02-16 2013-08-26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KR101449365B1 (ko) * 2014-02-18 2014-10-10 (주)육일씨엔에쓰 스마트폰의 터치 윈도우 글래스 성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0501A1 (en) * 2015-10-29 2017-05-0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170051597A (ko) * 2015-10-29 2017-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06992134A (zh) * 2015-10-29 2017-07-28 三星显示有限公司 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10493687B2 (en) * 2015-10-29 2019-12-03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106992134B (zh) * 2015-10-29 2022-03-04 三星显示有限公司 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102541450B1 (ko) * 2015-10-29 2023-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166A1 (ko) 2016-06-02
CN106414350A (zh) 2017-02-15
CN106414350B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72B1 (ko)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
KR102117337B1 (ko) 글래스 성형 장치
KR20150001964A (ko) 글래스 성형 장치
KR102251131B1 (ko)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MX2020012583A (es) Metodo para fabricar componente prensado.
CN105834292A (zh) 一种铝制品折弯成型工艺
KR20150004270U (ko) 파이프 홈을 성형하는 파이프 홈 성형방법
KR101537811B1 (ko)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JP2015066584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金型
KR102432352B1 (ko)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64794B1 (ko) 윈도우 글라스 곡면 성형용 회동식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TWI531547B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KR20130008868A (ko) 도어 힌지편 밴딩장치
US9745219B2 (en) Apparatus for forming front glass for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CN106810059B (zh) 电子产品显示器前表面玻璃的成型装置
KR101043180B1 (ko) 곡면 성형 방법
KR20180111191A (ko) 다단식 벤딩장치
TWM452174U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WO2019001190A1 (zh) 玻璃热弯模具
JP2019038025A (ja) プレス成形方法
US10632519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B interface metal casing
JP6315804B2 (ja) 角型容器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TWM504812U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CN102794356B (zh) 折弯机构
CN205629128U (zh) 一种手机接口整形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