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02B1 - 전방 변위 기구 및 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인젝터 - Google Patents

전방 변위 기구 및 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02B1
KR102540602B1 KR1020230051896A KR20230051896A KR102540602B1 KR 102540602 B1 KR102540602 B1 KR 102540602B1 KR 1020230051896 A KR1020230051896 A KR 1020230051896A KR 20230051896 A KR20230051896 A KR 20230051896A KR 102540602 B1 KR102540602 B1 KR 10254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plunger
slider
haptic
op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켈프
마르코 횔젤
하디 모인
Original Assignee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filed Critical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8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separate cartridge or other lens setting part for storage of a lens, e.g. preloadable for s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pushable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Surrounding optic

Abstract

본 발명은, 광축(3a)을 갖는 옵틱부 몸체(3), 후방 햅틱부(5) 및 전방 햅틱부(4)를 구비하는 인공수정체(2)를 눈의 수정체낭에 삽입하기 위한 인젝터(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인젝터(1)는, 인공수정체가 보관 상태로 배치될 내부공간(7)을 형성하는 인젝터 몸체(6); 삽입 방향(18)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인공수정체를 인젝터의 외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플런저(19); 플런저(19)의 변위를 통해 옵틱부 몸체의 원위 쪽에 있는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5a)를 후방 궤적을 따라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 옵틱부 몸체의 원위 쪽에 있는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를 광축에 평행한 전방측 성분을 갖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변위 기구(21, 31); 및 인젝터의 외부 측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핸들(80, 90, 96)로서, 플런저에 결합되어 있으며 핸들의 종방향 변위를 통해 플런저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캐치(82, 92, 97) 및 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캐치를 구비하는 핸들(80, 90, 9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방 변위 기구 및 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인젝터{INJECTOR HAVING A HANDLE FOR CARRYING ALONG A FRONT AND A REAR DISPLACEMENT MECHANISM}
본 발명은 눈의 수정체낭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기 위한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눈의 백내장 치료 시, 보통은 눈의 각막을 작게 절개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며, 이로 생긴 절개부는 인젝터의 팁이 절개부를 통과해 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각막을 절개한 후, 수정체유화술을 통해 수정체를 예를 들어 분쇄한 다음 눈의 수정체낭에서 흡입하여 제거한다. 그런 후에는 인젝터를 사용하여 인공수정체를 눈에 삽입한다. 팁을 통과(fit through)하도록 인공수정체를 접어서 인젝터 내부에 넣는다. 팁을 절개부를 통해 수정체낭에 삽입하고, 인젝터를 사용하여 접힌 상태의 인공수정체를 팁을 통과시켜 수정체낭 안으로 밀어 넣으면, 수정체낭 안에서 인공수정체가 펼쳐지면서 원래의 수정체를 대체하게 된다. 인공수정체를 접는 과정에서 또는 접힌 상태의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 안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로 인해 예를 들어 인공수정체가 수정체낭 안에서 완전히 펼쳐지지 않게 되거나 심지어 인공수정체가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시 오류 발생률이 낮은 인젝터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눈의 수정체낭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는, 인공수정체가 보관 상태로 배치될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인젝터 몸체; 개구를 갖는 인젝터 팁; 및 개구를 향하는 삽입 방향에서 종방향을 따라 변위됨으로써, 인공수정체를 개구를 통해 인젝터의 외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구비한다. 인공수정체는, 광축을 갖는 옵틱부 몸체,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햅틱부, 및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햅틱부를 구비한다. 인젝터는, 플런저의 변위를 통해 옵틱부 몸체의 원위 쪽에 있는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후방 궤적을 따라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변위 기구; 및 옵틱부 몸체의 원위 쪽에 있는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광축에 평행한 전방측 성분을 갖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변위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인젝터는, 인젝터의 외부 측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핸들을 구비한다. 핸들은, 플런저에 결합되어 있으며 핸들이 종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플런저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캐치 및 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캐치를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핸들의 종방향 변위를 통해,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는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 가능하고,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 가능하며, 옵틱부 몸체는 플런저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핸들에 제1 캐치와 제2 캐치 둘 다 구비되어 있어,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시키는 것 및/또는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잊지 않게 된다. 핸들의 종방향 변위를 통해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 및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인공수정체가 플런저에 의해 인젝터 팁 내로 변위되고 그 결과 접혀질 때,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와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는 옵틱부 몸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전방 햅틱부와 후방 햅틱부가 손상될 가능성을 낮춘다. 따라서, 오류 발생이 낮고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인공수정체를 눈의 수정체낭 안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오류 발생이 낮고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 안에서 펼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방 변위 기구는 지지 벽과 제1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벽은, 보관 상태 시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안착되는 곳으로서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전방 궤적 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 측벽은 전방 햅틱부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맞닿게 되는 곳이다. 지지 벽의 변위를 통해,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시킬 수 있게 된다. 전방 햅틱부가 제1 측벽에 맞닿아 있으므로, 옵틱부 몸체가 변위되는 동안 전방 햅틱부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에 이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방 변위 기구는 지지 벽을 전방 궤적을 따라 어느 정도 변위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옵틱부 몸체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동안, 옵틱부 몸체는 지지 벽의 원위 쪽에 있는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에 이르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방 변위 기구는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전방 궤적을 따라 어느 정도 변위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옵틱부 몸체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동안,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된다.
바람직하게 전방 변위 기구는 전방 궤적이 대체로 원호 형태를 취하도록 인젝터 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샤프트를 갖는 피봇 장치를 구비한다. 전방 궤적이 대체로 원호 형태인 이유는 피봇 장치의 회전 시 종방향 단부가 피봇 장치를 상대로 약간 변위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결과로 전방 궤적이 원형 형태에서 약간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피봇 장치가 지지 벽과 제1 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전방 변위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궤적이 대체로 직선형이도록 인젝터 몸체 상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구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전방 궤적이 대체로 직선형인 이유는 기구 슬라이더의 변위 시 종방향 단부가 기구 슬라이더를 상대로 약간 변위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결과로 전방 궤적이 직선 형태에서 약간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기구 슬라이더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축에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전방 궤적이 광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바람직하게 후방 변위 기구는 슬라이딩 면을 포함한다.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는 플런저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슬라이딩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딩 면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궤적이 과정 중에 광축에 평행한 후방측 성분을 갖게 된다. 이때, 특히 바람직하게는 후방측 성분이 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그 결과,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와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의 동일한 측면으로 변위된다.
바람직하게 플런저는, 옵틱부 몸체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램; 및 후방 변위 기구의 일부이고,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의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 햅틱부를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제1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더를 제공함으로써,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후방 햅틱부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결과적으로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인젝터의 오류 발생률이 낮아진다.
바람직하게 인젝터 몸체는 측면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제1 슬라이더는 측면에 맞대어 예비 응력을 받으며, 플런저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제1 슬라이더는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측면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플런저가 삽입 방향으로 추가 변위되면 제1 슬라이더는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를 광축에 더 가깝게 변위시킨다. 이로 인해 달성되는 것은 플런저가 삽입 방향으로 추가 변위되는 경우 제1 슬라이더에 의해 후방 햅틱부의 곡률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램은 옵틱부 몸체를 향하는 그 단부에, 후방 햅틱부와 옵틱부 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램 요홈을 포함한다. 이는 인공수정체가 플런저를 지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플런저를 인공수정체를 인젝터의 외부 측으로 변위시킬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 램은 상승 플랭크면(rising flank)을 갖는 제1 치형부를 포함한다. 후방 햅틱부는 플런저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상승 플랭크면 상에서 상승 플랭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상승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햅틱부가 램 요홈의 영역 내에서 광축에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승 플랭크면은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되는 데 도움을 준다.
바람직하게 램은 제2 치형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램의 제2 치형부는 원위 쪽 상승 플랭크면에 램 요홈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플런저는 슬라이더 집합체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집합체는 제1 슬라이더, 슬라이더 집합체를 상대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램이 배치되는 램 수용부, 및 멈춤쇠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집합체가 제1 캐치에 결합되며 이로써 제1 캐치가 플런저에 결합된다. 램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 집합체를 상대로 변위되는 경우 램의 두꺼운 부분(ram thickening)이 상기 멈춤쇠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멈춤쇠 및 램의 두꺼운 부분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 집합체를 상대로 이루어지는 램의 종방향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집합체는 램을 이동시키도록, 결과적으로는, 핸들이 변위되는 경우, 램을 삽입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런 후에는, 램을 개구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램을 개구 방향으로 추가 변위시킬 수 있다. 램이 슬라이더 집합체를 상대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집합체는 과정 중에 고정 상태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슬라이더 집합체를 인젝터 팁 내부로 변위시키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더 집합체에는 캐치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어, 제1 캐치가 캐치 수용부에 맞물려 슬라이더 집합체에 결합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캐치가 플런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와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가 옵틱부 몸체 상으로 변위된 후에는, 제1 캐치가 캐치 수용부에서 분리되므로 플런저에서 제1 캐치를 특히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방 햅틱부 및/또는 후방 햅틱부는 C자형 또는 J자형이다.
보관 상태 시 인공수정체가 인젝터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제1 시점(時点)에서의 인젝터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일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제4 시점에서의, 도 3의 인젝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제1 시점에서의 인젝터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제2 시점에서의, 도 5의 인젝터를 나타낸다.
도 7은 제3 시점에서의, 도 5의 인젝터를 나타낸다.
도 8은 제4 시점에서의, 도 5의 인젝터를 나타낸다.
도 9는 제5 시점에서의, 도 5의 인젝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5에서의 B-B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8에서의 C-C 단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인젝터의 핸들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핸들의 제2 실시예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인젝터의 슬라이더 집합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인젝터의 램(ram)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인젝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인젝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인젝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상기 제6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인젝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인젝터의 제2 슬라이더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인젝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상기 제8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1, 및 도 16 내지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눈의 수정체낭에 인공수정체(2)를 삽입하기 위한 인젝터(1)는, 인공수정체(2)가 보관 상태로 배치될 내부공간(7)을 형성하는 인젝터 몸체(6); 개구(20)를 갖는 인젝터 팁(17); 및 개구(20)를 향하는 삽입 방향(18)으로 종방향을 따라 변위됨으로써, 인공수정체(2)를 개구(20)를 통해 인젝터(1)의 외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플런저(19)를 구비한다. 인공수정체(2)는, 광축(3a)을 갖는 옵틱부 몸체(3), 삽입 방향(18)을 기준으로 후방 햅틱부(5), 및 삽입 방향(18)을 기준으로 전방 햅틱부(4)를 구비한다. 또한, 인젝터(1)는, 플런저(19)의 변위를 통해, 옵틱부 몸체(3)의 원위 쪽에 있는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를 후방 궤적을 따라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도 16 내지 도 19 참조)를 구비한다. 추가로, 인젝터(1)는, 옵틱부 몸체(3)의 원위 쪽에 있는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를 광축(3a)에 평행한 전방측 성분을 갖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변위 기구(21, 31)(도 1 내지 도 11 참조)를 구비한다. 인젝터(1)는, 인젝터(1)의 외부 측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핸들(80, 90, 96)(도 12, 도 13, 도 22 및 도 23 참조)을 구비한다. 핸들(80, 90, 96)은, 플런저(19)에 결합되어 있으며 핸들(80, 90, 96)이 종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플런저(19)를 삽입 방향(18)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캐치(82, 92, 97) 및 전방 변위 기구(21, 3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캐치(83, 93)를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핸들(80, 90, 96)의 종방향 변위를 통해,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 가능하고,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 가능하며, 옵틱부 몸체(3)는 플런저(19)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인젝터(1)의 내부공간(7)에는 인공수정체(2)가 보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방 궤적과 후방 궤적은 예를 들어 인젝터 몸체(6)를 상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햅틱부(4)와 후방 햅틱부(5)는 C자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방 햅틱부(4)와 후방 햅틱부(5)는 J자형이다.
특히 도 1, 및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젝터(1)가,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에 고정되어 내부공간(7) 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53a, 53b); 및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에 고정되어 내부공간(7) 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3 및 제4 고정돌기(53c, 53d)를 포함한다. 보관 상태 시, 옵틱부 몸체(3)는 이들 고정돌기(53a, 53b, 53c, 53d)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인젝터(1)는 제1 고정돌기(53a)와 제2 고정돌기(53b)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51), 및 제3 고정돌기(53c)와 제4 고정돌기(53d)를 지지하는 제2 받침대(52)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젝터 몸체(6)는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과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을 가질 수 있고, 이들 측벽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7)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관 상태 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는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또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는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보다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고,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보다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젝터 몸체(6)는 인젝터 몸체 기저부(14)와 덮개(15)(도 1, 및 도 18 내지 도 20 참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기부와 덮개는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7)을 형성한다. 광축(3a)은 인젝터 몸체 기저부(14)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덮개(15)는 덮개 조인트(16)에 의해 배치됨에 따라, 나머지 인젝터 몸체(6)를 상대로 피봇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덮개(15)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되, 개방 상태에서는 내부공간(7)에 접근할 수 있고(도 1과 도 18 참조) 폐쇄 상태에서는 내부공간(7)에 접근할 수 없으며 덮개(15)로 닫혀 내부공간(7)이 형성된다(도 19와 도 20 참조).
도 1 내지 도 4,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변위 기구(21, 31)가 변위 기구 멈춤쇠(30, 9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캐치(83, 93)는 핸들(80, 90, 96)이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면 변위 기구 멈춤쇠(30, 95)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2 캐치(83, 93)는 핸들(80, 90, 96)이 추가 변위되는 경우 변위 기구 멈춤쇠(30, 95)를 변위시키고 그 결과 전방 변위 기구(21, 3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변위 기구(21, 31)는 지지 벽(22, 32)과 제1 측벽(26, 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벽은, 보관 상태 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안착되는 곳으로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를 전방 궤적 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 측벽은 전방 햅틱부(4)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었을 때 맞닿게 되는 곳이다. 또한, 전방 변위 기구(21, 31)는, 삽입 방향(18)에 수직이면서 광축(3a)을 등지는 쪽으로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변위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측벽(27, 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변위 기구(21)는 전방 궤적이 대체로 원호 형태를 취하도록 예를 들어 인젝터 몸체(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샤프트(23)를 갖는 피봇 장치(29)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젝터 몸체(6), 구체적으로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에는 예를 들어 샤프트(2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젝터 몸체 요홈(28)이 마련될 수 있다. 피봇 장치(29)는 지지 벽(22), 제1 측벽(26), 특히 제2 측벽(27)을 가질 수 있다. 피봇 장치(29)는, 샤프트(23)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 벽(22), 제1 측벽(26), 특히 제2 측벽(27)을 형성하는 제1 아암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피봇 장치(29)는, 샤프트(23)에 고정되어 있고 변위 기구 멈춤쇠(30)를 형성하는 제2 아암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암부(25)는 내부공간(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젝터 몸체(6)에는 슬롯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슬롯을 통해 제2 캐치(83)가 인젝터 몸체(6) 외부 측에서 내부공간(7) 내로 연장된다. 대안으로는, 제2 아암부(25)가 인젝터 몸체(6)의 외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변위 기구(31)는 전방 궤적이 대체로 직선형이도록 인젝터 몸체(6) 상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구 슬라이더(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 슬라이더(33)가 광축(3a)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그 결과 전방 궤적이 광축(3a)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기구 슬라이더(33)가 인젝터 몸체(6) 상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인젝터 몸체(6), 특히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에는 기구 슬라이더(33)가 배치되는 인젝터 몸체 요홈(38)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 슬라이더(33)는 인젝터 몸체(6)의 외부 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접촉면(9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변위 기구 멈춤쇠(95)에 의해 형성되며, 핸들(90)이 변위되었을 때 제2 캐치(93)가 접촉면에 맞닿는다. 도 1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3은 접촉면(94)이 삽입 방향(18)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5는 제1 시점에서의, 기구 슬라이더(33)를 구비한 인젝터(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제2 시점에서의 인젝터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은 제3 시점에서의 인젝터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제4 시점에서의 인젝터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9는 제5 시점에서의 인젝터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1 시점에서의, 도 5의 인젝터(1)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제4 시점에서의, 도 8의 인젝터(1)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0의 종단면도와 유사한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1의 종단면도와 유사한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각 경우는 피봇 장치(29)를 구비한 인젝터(1)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1 시점에서의 인공수정체(2)는 보관 상태에 있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상태 시, 전방 햅틱부(4)와 후방 햅틱부(5)는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대체로 직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방 햅틱부(4)와 후방 햅틱부(5)는 실질적으로 기계적 응력을 받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전방 햅틱부(4)와 후방 햅틱부(5)가 실질적으로 기계적 응력을 받지 않도록 배치되는 덕분에, 인공수정체(2)가 장기간 동안 보관 상태로 있게 되더라도 전방 햅틱부(4)와 후방 햅틱부(5)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시점을 기점으로(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10 참조), 핸들(80, 90. 96)이 변위되면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면 플런저(19)는 우선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를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시킨다. 이는 제2 시점에 해당하는 상태이며, 도 6에 나타내었다. 광축(3a) 방향에서 보았을 때,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옵틱부 몸체(3)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제2 시점에서, 옵틱부 몸체(3)는 여전히 제1 시점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한다.
핸들(80, 90, 96)이 추가 변위되면 그로 인한 플런저(19)의 변위로 인해, 옵틱부 몸체(3)는, 옵틱부 몸체(3) 상에 배치되어 있는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와 함께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된다. 이는 제3 시점에 해당하는 상태이며, 도 7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 영역이 제1 측벽(36)에 맞닿게 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방 햅틱부(4)의 변위가 제한되고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는 옵틱부 몸체(3)에 접근하게 된다.
핸들(80, 90, 96)이 추가 변위되면 제2 캐치(83)는 전방 변위 기구(21, 31)를 이동시키며, 그 결과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된다. 이에 따라,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 햅틱부(4)의 곡률이 제4 시점에서 증가한다. 도 4와 도 11을 참조한다. 전방 변위 기구(21, 31)는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를 전방 궤적을 따라 어느 정도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도 4와 도 11은 전방 궤적의 끝을 나타낸다), 옵틱부 몸체(3)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동안,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된다. 이를 위해, 전방 변위 기구(21, 31)는 지지 벽(22)을 전방 궤적을 따라 어느 정도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 옵틱부 몸체(3)가 삽입 방향(18)으로 후속 변위되는 동안, 옵틱부 몸체(3)는 지지 벽(22, 32)의 원위 쪽에 있는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에 이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4 시점과 제5 시점 사이에,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 및 옵틱부 몸체(3)가 지지 벽(22, 32)의 측면에 서로 등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시점이 있을 수 있다. 제5 시점에 해당되는 도 9는, 제4 시점으로부터 진행하여, 핸들(80, 90, 96)의 추가 변위 및 이에 따른 옵틱부 몸체(3)의 추가 변위로 인해, 옵틱부 몸체(3)가 삽입 방향(18)으로 제1 측벽(36)을 지나 더 나아가고, 그 결과, 광축(3a)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는 옵틱부 몸체(3)의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2 캐치(83)와 제1 캐치(8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변위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 및 도 11은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변위되기 시작하는 시점은 옵틱부 몸체(3)가 변위되기 시작하는 시점 이후이다. 그러나,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변위되기 시작하는 시점이 옵틱부 몸체(3)가 변위되기 시작하는 시점과 같거나 그 이전인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도 12, 도 13,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80, 90, 96)은 플런저(19) 및 전방 변위 기구(21, 31)를 이동시키기 위해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 도 13,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80, 90, 96)은 인젝터 몸체(6)의 외부 측에 배치되는 외부 슬리브(81, 91, 99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슬리브(81, 91, 99a)는 삽입 방향(18)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인젝터 몸체(6)를 완전히 감쌀 수 있다. 핸들(80, 90, 96)이 캠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한다. 캡을 사용함으로써, 보관 상태의 인젝터 팁(17)이 특히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캡은 캡 측벽(99b)(도 22와 도 2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캡 측벽은 외부 슬리브(81, 91, 99a)에 고정되어 있고, 외부 슬리브(81, 91, 99a)의 내부공간에 외부 슬리브(81, 91, 99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완전히 덮는다. 이 경우, 캡 측벽(99b)은 삽입 방향(18)으로 개구(20)에서 이격된 곳에 위치한다.
도 12, 도 13, 도 22 및 도 2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캐치(82, 92, 97)는 외부 슬리브(81, 91, 99a)에서 내부 쪽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 캐치(82, 92, 97)는 슬롯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캐치(83, 93) 또한 상기 슬롯을 통해 인젝터 몸체(6)의 외부 측에서 내부공간(7) 내로 연장된다. 대안으로는, 인젝터 몸체(6)에 추가 슬롯(98)(도 22 참조)이 있어 그를 통해 제1 캐치(82, 92, 97)가 인젝터 몸체(6)의 외부 측에서 내부공간(7) 내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 결합되도록, 플런저(19)에는 제1 캐치(82, 92, 97)와 맞물리는, 특히 요홈 형태의 캐치 수용부(64)(도 22 참조)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캐치(83, 93)는 외부 슬리브(81, 91, 99a)에서 내부 쪽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는 제1 플랭크면(84), 제2 플랭크면(85) 및 제3 플랭크면(86)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플랭크면은 언급한 순서로 서로 바로 붙어 있다. 제1 플랭크면(84)과 제3 플랭크면(86)은 삽입 방향(18)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플랭크면(85)은 삽입 방향(18)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식으로, 제2 캐치(83)를 형성할 수 있다.
핸들(80, 90, 96)은,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가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되었고,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되었고, 플런저(19)에 의해 옵틱부 몸체(3)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된 후에, 나머지 인젝터(1)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공수정체(2)를 개구(20) 쪽으로 움직여 개구(20)를 통과해 인젝터(1)의 외부 측으로 추가 변위시키는 작업은 플런저(19)의 추가 변위를 통해, 예를 들어, 플런저(19)를 삽입 방향(19)으로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런저(19)를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인젝터(1)의 외부 측으로 연장시키고 여기서 손으로 플런저(19)를 누르면 된다. 대안으로는, 인젝터(1)가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인젝터(1)의 외부 측으로 연장되는 추가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런저(19)와 추가 플런저는 분리(decoupled) 상태, 즉 플런저(19)와 추가 플런저가 서로를 상대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거나, 또는 결합(coupled) 상태, 즉 플런저(19)와 추가 플런저가 삽입 방향(18)으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핸들(80, 90, 96)을 사용하여 플런저(19)를 변위시키는 식으로, 플런저(19)와 추가 플런저를 결합 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이때 인젝터(1)는 추가 플런저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전체적으로 길이가 더 짧은 실시예를 구성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는 슬라이딩 면(117, 147, 177, 207)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슬라이딩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딩 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궤적은 과정 중에 광축(3a)에 평행한 후방측 성분을 갖게 된다. 이때 후방측 성분은 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가 슬라이딩 면(117, 17, 177, 207)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후방 햅틱부(5)의 곡률이 증가한다.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슬라이딩 면(117, 17, 177, 207)을 따라 변위된 후, 옵틱부 몸체(3) 상에 이르게 된다. 도 6을 참조한다.
도 1, 도 5 내지 도 9, 및 도 14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9)는, 옵틱부 몸체(3)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램(8); 및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의 일부이고,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의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 햅틱부를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삽입 방향(18)에 수직이면서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램(8)과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젝터 몸체(6)는 측면(118, 148, 178, 208)(도 16 내지 도 18, 및 도 20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 의해 내부공간(7)이 형성되고,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측면에 맞대어 예비 응력을 받으며,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측면이 삽입 방향(19)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추가 변위되면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를 광축(3a)에 더 가깝게 변위시킨다. 상술한 측면(118, 148, 178, 208)은 슬라이딩 면(117, 147, 177, 207)에 바로 붙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148, 178, 208)은 슬라이딩 면(147, 177, 207)의 바깥쪽에, 삽입 방향(18)에 수직이면서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측면(118)은 슬라이딩 면(117)의 바깥쪽에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16 참조). 플런저(19)는 조인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를 나머지 플런저(19)에 피봇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리빙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는 측면(118, 148, 178, 208)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내부 쪽으로 특히 쉽게 변위될 수 있다. 조인트의 회전축은 예를 들어 광축(3a)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특히,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옵틱부 몸체(3)를 향하는 램(8)의 단부에는 후방 햅틱부(5)와 옵틱부 몸체(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램 요홈(9)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램(8)은 상승 플랭크면(108, 138, 168)을 갖는 제1 치형부(105, 135, 165)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햅틱부(5)는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상승 플랭크면(108, 138, 168) 상에서 상승 플랭크면(108, 138, 168)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상승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햅틱부(5)가 램 요홈(9)의 영역 내에서 광축(3a)에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또한, 램(8)은 제2 치형부(106, 136, 16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램(8)의 제2 치형부(106, 136, 166)는 원위 쪽 상승 플랭크면(108, 138, 168)에 램 요홈(9)을 형성한다.
제1 슬라이더(101, 131)는 슬라이더 요홈(103,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한다. 도 16에 따르면, 제1 슬라이더(101)는 제1 치형부(109)와 제2 치형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치형부는 광축(3a)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원위 쪽인 측면들 상에 제1 슬라이더(101)의 슬라이더 요홈(103)을 형성한다. 제1 슬라이더(101)의 제1 치형부(109)는 측면(118)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한다. 또한, 제1 슬라이더(101)의 제1 치형부(109)는 상승 플랭크면(112)을 가질 수 있다. 후방 햅틱부(5)는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상승 플랭크면(112)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상승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햅틱부(5)가 제1 슬라이더(101)의 슬라이더 요홈(103)의 영역 내에서 광축(3a)에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도 17에 따르면, 제1 슬라이더(131)는, 삽입 방향(18)에 수직이면서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더 요홈(133)을 형성하는 제1 치형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9)는, 삽입 방향(18)에 수직이면서 광축(3a)과 수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램(8)과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102, 132, 16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02, 132, 162)는 제2 슬라이더(102, 162)의 제1 치형부(113, 143, 173)와 2 슬라이더(102, 162)의 제2 치형부(114, 1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치형부는 광축(3a)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원위 쪽인 측면들 상에 제1 슬라이더(102, 162)의 슬라이더 요홈(104, 134, 164)을 형성한다. 제2 슬라이더(102, 162)의 제1 치형부(113, 143, 173)는 상승 플랭크면(116, 146, 176)을 가질 수 있다. 후방 햅틱부(5)는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상승 플랭크면(116, 146, 176)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상승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햅틱부(5)가 제2 슬라이더(102, 162)의 슬라이더 요홈(104, 134, 164)의 영역 내에서 광축(3a)에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도 21은 제2 슬라이더(222)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 슬라이더(222)는 제2 슬라이더(222)의 상승 플랭크면(236), 옵틱부 몸체 접합 면(optic body abutment face)(241), 햅틱부 안착 면(243), 및 제2 슬라이더(222)의 단부 면(235)을 가지며, 이들 면은 언급한 순서로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후방 햅틱부(5)은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제2 슬라이더(222)의 상승 플랭크면(236)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상승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햅틱부(5)가 제2 슬라이더(222)의 영역 내에서 광축(3a)에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옵틱부 몸체 접합 면(241)의 법선은 삽입 방향(18)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되며, 옵틱부 몸체(3)의 변위 시 옵틱부 몸체(3)가 상기 법선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222)의 단부 면(235)의 법선은 삽입 방향(18)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되며, 옵틱부 몸체(3)의 변위 시 후방 햅틱부(5)가 상기 법선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햅틱부 안착 면(243)은 제2 슬라이더(222)의 단부 면(235)에 대체로 수직을 이루어 배치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8)은 삽입 방향(18)으로 램 요홈(9)을 형성하는 단부 면(107, 137, 167)을 가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01, 131, 161)는 삽입 방향(18)으로 제1 슬라이더(101, 131, 161)의 슬라이더 요홈(103, 133, 163)을 형성하는, 제1 슬라이더(101, 131, 161)의 단부 면(111, 141, 171)을 가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02, 132, 162)는 삽입 방향(18)으로 제2 슬라이더(102, 162)의 슬라이더 요홈(104, 134, 164)을 형성하는, 제2 슬라이더(102, 162)의 단부 면(115, 145, 175)을 가질 수 있다. 램(8)의 단부 면(107, 137, 167), 제1 슬라이더(101, 131, 161)의 단부 면(111, 141, 171) 및 선택적으로 제2 슬라이더(102, 162)의 단부 면(115, 145, 175)은 이 경우 삽입 방향(18)으로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 방향(18)에서의 위치들을 선택함으로써, 후방 햅틱부(5)의 어떤 영역들이 어떤 순서로 옵틱부 몸체(3)로 변위되는지 설정할 수 있다.
도 18과 도 19는 제1 슬라이더(161)의 일 실시예로서, 제1 슬라이더(161)가, 광축(3a)에 평행하면서 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 결과, 제1 슬라이더(161)는 폐쇄 상태의 덮개(15)에 대고 예비 응력을 받게 된다. 덮개(15)에는 덮개 돌기(181)가 있어,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제1 슬라이더(161)가 덮개 돌기(181)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덮개 돌기(181)는 제1 돌기 플랭크면(182)을 갖는다. 제1 슬라이더(161)는 제1 돌기 플랭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제1 돌기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제1 슬라이더(161)가 전방측 성분의 반대 방향이면서 광축(3a)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제1 슬라이더(161)는 후방 햅틱부(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 요홈(163)을 형성하는 치형부(169)를 포함한다. 덮개 돌기(181)는 또한 제3 돌기 플랭크면(184)을 갖는다. 제3 돌기 플랭크면(184)는 삽입 방향(18)에서 제1 돌기 플랭크면(182) 앞에 배치되며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제1 슬라이더(161)가 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이면서 광축(3a)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치형부(169)는 후방 햅틱부(5)를 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이면서 광축(3a)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 돌기(181)는 삽입 방향(18)으로 제1 돌기 플랭크면(182)과 제3 돌기 플랭크면(184)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돌기 플랭크면(183)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더(161)는 나머지 제1 슬라이더(161)에서 폐쇄 상태의 덮개(1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돌기(186)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5)에는 센터링 핀(179) 또는 센터링 요홈(180) 중 하나가 마련될 수 있고, 센터링 핀(179) 또는 센터링 요홈(180) 중 다른 하나는 제1 인젝터 몸체 측벽(12) 또는 제2 인젝터 몸체 측벽(13)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폐쇄 상태 시 센터링 핀이 센터링 요홈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덮개 돌기(181)가 제1 슬라이더(161)를 상대로 매우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15)는 덮개 가이드(209)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 가이드는 삽입 방향(18)에서 측면(208) 앞에 배치되며, 제1 슬라이더(101, 131, 161)가 덮개 가이드(209)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덮개 가이드(209)를 구비함으로써, 덮개 가이드(209)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보다,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를 광축(3a)에 더 가까이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9)는 슬라이더 집합체(60)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 집합체(60)는 제1 슬라이더(61), 및 슬라이더 집합체(60)를 상대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램(8)이 배치되는 램 수용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집합체(60)가 제1 캐치(82, 92, 97)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 결합된다. 슬라이더 집합체(60)는 또한 멈춤쇠(65)를 구비하며, 램(8)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 집합체(60)를 상대로 변위되는 경우 램의 두꺼운 부분(66)(도 15 참조)이 상기 멈춤쇠(65)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 집합체(60)에는 캐치 수용부(6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제1 캐치(82, 92, 97)가 캐치 수용부(64)에 맞물려 슬라이더 집합체(60)에 결합하게 되며, 그 결과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제1 캐치(82, 92, 97)가 캐치 수용부(64)에서 빠져 나오면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핸들(80, 90, 96)이 나머지 인젝터(1)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1 인젝터
2 인공수정체
3 옵틱부 몸체
3a 광축
4 전방 햅틱부
4a 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
5 후방 햅틱부
5a 후방 햅틱부의 종방향 단부
6 인젝터 몸체
7 내부공간
8 램
9 램 요홈
10 제1 슬라이더
12 제1 인젝터 몸체 측벽
13 제2 인젝터 몸체 측벽
14 인젝터 몸체 기저부
15 덮개
16 덮개 조인트
17 인젝터 팁
18 삽입 방향
19 플런저
20 개구
21 전방 변위 기구
22 지지 벽
23 샤프트
24 제1 아암부
25 제2 아암부
26 제1 측벽
27 제2 측벽
28 인젝터 몸체 요홈
29 피봇 장치
30 변위 기구 멈춤쇠
31 전방 변위 기구
32 지지 벽
33 기구 슬라이더
36 제1 측벽
37 제2 측벽
38 인젝터 몸체 요홈
51 제1 받침대
52 제2 받침대
53a 제1 고정돌기
53b 제2 고정돌기
53c 제3 고정 돌기
53d 제4 고정 돌기
60 슬라이더 집합체
61 제1 슬라이더
62 제2 슬라이더
63 램 수용부
64 캐치 수용부
65 멈춤쇠
66 램의 두꺼운 부분
80 핸들
81 외부 슬리브
82 제1 캐치
83 제2 캐치
84 제1 플랭크면
85 제2 플랭크면
86 제3 플랭크면
90 핸들
91 외부 슬리브
92 제1 캐치
93 제2 캐치
94 접촉면
95 변위 기구 멈춤쇠
96 핸들
97 제2 캐치
98 슬롯
100 후방 변위 기구
101 제1 슬라이더
102 제2 슬라이더
103 제1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요홈
104 제2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요홈
105 램의 제1 치형부
106 램의 제2 치형부
107 램의 단부 면
108 램의 상승 플랭크면
109 제1 슬라이더의 제1 치형부
110 제1 슬라이더의 제2 치형부
111 제1 슬라이더의 단부 면
112 제1 슬라이더의 상승 플랭크면
113 제2 슬라이더의 제1 치형부
114 제2 슬라이더의 제2 치형부
115 제2 슬라이더의 단부 면
116 제2 슬라이더의 상승 플랭크면
117 슬라이딩 면
118 측면
130 후방 변위 기구
131 제1 슬라이더
132 제2 슬라이더
133 제1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요홈
134 제2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요홈
135 램의 제1 치형부
136 램의 제2 치형부
137 램의 단부 면
138 램의 상승 플랭크면
139 제1 슬라이더의 제1 치형부
141 제1 슬라이더의 단부 면
143 제2 슬라이더의 제1 치형부
145 제2 슬라이더의 단부 면
146 제2 슬라이더의 상승 플랭크면
147 슬라이딩 면
148 측면
160 후방 변위 기구
161 제1 슬라이더
162 제2 슬라이더
163 제1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요홈
164 제2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요홈
165 램의 제1 치형부
166 램의 제2 치형부
167 램의 단부 면
168 램의 상승 플랭크면
169 제1 슬라이더의 치형부
171 제1 슬라이더의 단부 면
173 제2 슬라이더의 제1 치형부
174 제2 슬라이더의 제2 치형부
175 제2 슬라이더의 단부 면
176 제2 슬라이더의 상승 플랭크면
177 슬라이딩 면
178 측면
179 센터링 핀
180 센터링 요홈
181 덮개 돌기
182 제1 돌기 플랭크면
183 제2 돌기 플랭크면
184 제3 돌기 플랭크면
186 슬라이더 돌기
207 슬라이딩 면
208 측면
209 덮개 가이드
222 제2 슬라이더
235 제2 슬라이더의 단부 면
236 제2 슬라이더의 상승 플랭크면
241 옵틱부 몸체 접합 면
243 햅틱부 안착 면

Claims (10)

  1. 인공수정체(2)를 눈의 수정체낭에 삽입하기 위한 인젝터(1)로서,
    광축(3a)을 갖는 옵틱부 몸체(3), 삽입 방향(18)을 기준으로 후방 햅틱부(5) 및 삽입 방향(18)을 기준으로 전방 햅틱부(4)를 구비하는 인공수정체(2)가 보관 상태로 배치될 내부공간(7)을 형성하는 인젝터 몸체(6);
    개구(20)를 갖는 인젝터 팁(17);
    개구(20)를 향하는 삽입 방향(18)에서 종방향을 따라 변위됨으로써, 인공수정체(2)를 개구(20)를 통해 인젝터의 외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플런저(19);
    플런저(19)의 변위를 통해 옵틱부 몸체(3)의 원위 쪽에 있는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를 후방 궤적을 따라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
    옵틱부 몸체(3)의 원위 쪽에 있는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를 광축(3a)에 평행한 전방측 성분을 갖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변위 기구(21, 31); 및
    인젝터(1)의 외부 측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핸들(80, 90, 96)로서, 플런저(19)에 결합되어 있으며 핸들(80, 90, 96)이 종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플런저(19)를 삽입 방향(18)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캐치(82, 92, 97) 및 전방 변위 기구(21, 3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캐치(83, 93)를 구비하는 핸들(80, 90, 96)
    을 포함하며,
    핸들(80, 90, 96)의 종방향 변위를 통해,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 가능하고,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는 전방 궤적을 따라 변위 가능하며, 옵틱부 몸체(3)는 플런저(19)에 의해 삽입 방향(18)으로 변위 가능해지는 것인, 인젝터(1).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변위 기구(21, 31)는,
    보관 상태 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가 안착되는 곳으로서 전방 햅틱부(4)의 종방향 단부(4a)를 전방 궤적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 벽(bearing wall)(22, 32)과,
    전방 햅틱부(4)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었을 때 맞닿게 되는 곳인 제1 측벽(26, 36)
    을 포함하는 것인, 인젝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방 변위 기구(21)는 전방 궤적이 원호 형태를 취하도록 인젝터 몸체(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샤프트(23)를 갖는 피봇 장치를 구비하거나, 전방 변위 기구(31)는 전방 궤적이 직선형이도록 인젝터 몸체(6) 상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구 슬라이더(33)를 구비하되; 전방 궤적이 광축(3a)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인, 인젝터(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는 슬라이딩 면(117, 147, 177, 207)을 포함하고,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는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슬라이딩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딩 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궤적이 과정 중에 광축(3a)에 평행한 후방측 성분을 갖게 되되; 후방측 성분이 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인, 인젝터(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런저(19)는,
    옵틱부 몸체(3)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램(8); 및
    후방 변위 기구(100, 130, 160)의 일부이고,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의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 햅틱부(5)를 옵틱부 몸체(3) 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
    를 구비하는 것인, 인젝터(1).
  6. 제5항에 있어서,
    인젝터 몸체(6)는 측면(118, 148, 178, 208)을 갖되, 상기 측면에 의해 내부공간(7)이 형성되고,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측면에 맞대어 예비 응력을 받으며(prestressed),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측면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추가 변위되면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는 후방 햅틱부(5)의 종방향 단부(5a)를 광축(3a)에 더 가깝게 변위시키는 것인, 인젝터(1).
  7. 제5항에 있어서, 램(8)은,
    옵틱부 몸체(3)를 향하는 램 단부에 후방 햅틱부(5)와 옵틱부 몸체(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램 요홈(9)
    을 포함하는 것인, 인젝터(1).
  8. 제7항에 있어서,
    램(8)은 상승 플랭크면(rising flank)(108, 138, 168)을 갖는 제1 치형부(105, 135, 165)를 포함하고, 후방 햅틱부(5)는 플런저(19)가 삽입 방향(18)으로 변위되는 경우 상승 플랭크면 상에서 상승 플랭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상승 플랭크면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후방 햅틱부(5)가 램 요홈(9)의 영역 내에서 광축(3a)에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측 성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는 것인, 인젝터(1).
  9. 제5항에 있어서, 플런저(19)는,
    제1 슬라이더(10, 61, 101, 131, 161),
    슬라이더 집합체(60)를 상대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램(8)이 배치되는 램 수용부(63), 및
    멈춤쇠(65)
    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집합체(6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집합체(60)가 제1 캐치(82, 92, 97)에 결합되며 이로써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 결합되고, 램(8)이 삽입 방향(18)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 집합체(60)를 상대로 변위되는 경우 램(8)의 두꺼운 부분(ram thickening)(66)이 상기 멈춤쇠(65)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인, 인젝터(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캐치(82, 92, 97)가 플런저(19)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인젝터(1).
KR1020230051896A 2022-04-21 2023-04-20 전방 변위 기구 및 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인젝터 KR102540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09691.2 2022-04-21
DE102022109691.2A DE102022109691B3 (de) 2022-04-21 2022-04-21 Injektor mit griff zum mitnehmen eines vorderen und eines hinteren verlagerungsmechanism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602B1 true KR102540602B1 (ko) 2023-06-13

Family

ID=8579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896A KR102540602B1 (ko) 2022-04-21 2023-04-20 전방 변위 기구 및 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인젝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4912B2 (ko)
EP (1) EP4265222A1 (ko)
JP (1) JP7429814B2 (ko)
KR (1) KR102540602B1 (ko)
CN (1) CN116919656A (ko)
DE (1) DE102022109691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05064B3 (de) 2023-03-01 2024-05-08 Carl Zeiss Meditec Ag Verpackungsanordnung mit einem Injektor zum Einführen einer Intraokularlinse in den Kapselsack eines Aug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217A (ko) * 2012-09-04 2015-05-13 아아렌 싸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 사전 로드된 인공 수정체 시스템 및 방법
JP2016537166A (ja) * 2013-11-15 2016-12-01 メディセル・アーゲー 眼内レンズを受承するデバイス及び眼内レンズを折り畳む方法
JP2019520166A (ja) * 2016-07-07 2019-07-18 イオリュー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Iolution Gmbh 眼内レンズを移植するためのインジェクター用のカートリッジ
KR20190104319A (ko) * 2017-01-13 2019-09-09 노바르티스 아게 안내 렌즈 주입기
KR20210094586A (ko) * 2018-11-19 2021-07-29 메디셀 아게 안구내 렌즈 수용 장치 및 안구내 렌즈의 폴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2174B2 (ja) 2005-09-28 2012-04-25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US8273122B2 (en) * 2008-06-23 2012-09-25 Abbott Medical Optics Inc. Pre-loaded IOL insertion system
US20100106160A1 (en) * 2008-10-24 2010-04-29 George Tsai Intraocular lens injection systems and methods
EP2386272B1 (en) 2009-01-07 2024-03-20 Hoya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GB2472872B (en) 2009-08-18 2014-12-31 Carl Zeiss Meditec Sas Holding device for an intraocular lens, packaging and transport means for an intraocular lens and injector device for an intraocular lens.
US8632589B2 (en) * 2010-05-04 2014-01-21 Abbott Medical Optics Inc. IOL insertion system with semi-automatic trailing haptic configuration management
US10350059B2 (en) * 2012-12-05 2019-07-16 Hoya Corporation Ocular implant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US9700407B2 (en) * 2013-03-05 2017-07-11 Abbott Medical Optics Inc. Automated preloaded intraocular lens injector
EP2873391A1 (en) * 2013-11-15 2015-05-20 Atttinger Technik AG Intraocular lens injector, method for folding an intraocular lens and intraocular lens injector system
WO2015193046A1 (en) * 2014-06-17 2015-12-23 Attinger Technik Ag Intraocular lens injector, method for folding an intraocular lens and intraocular lens injector system
JP6454999B2 (ja) * 2014-07-14 2019-01-2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6458409B2 (ja) 2014-09-01 2019-01-3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10588780B2 (en) 2015-03-04 2020-03-17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KR20180056634A (ko) * 2015-09-16 2018-05-29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내 렌즈 삽입 기구
JP6646987B2 (ja) * 2015-09-16 2020-02-1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10849739B2 (en) 2018-08-02 2020-12-01 Carl Zeiss Meditec Ag Ophthalmosurgical injector system
AU2020307330A1 (en) * 2019-06-27 2021-12-09 Alcon Inc. IOL injector plunger having IOL compression arms
CN115052559A (zh) * 2020-02-28 2022-09-13 豪雅株式会社 眼内透镜插入器
JP7390930B2 (ja) * 2020-02-28 2023-12-0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
DE102021116615B3 (de) 2021-06-28 2022-07-14 Carl Zeiss Meditec Ag Injektor mit einem ersten Kolben und einem zweiten Kolb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217A (ko) * 2012-09-04 2015-05-13 아아렌 싸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 사전 로드된 인공 수정체 시스템 및 방법
JP2016537166A (ja) * 2013-11-15 2016-12-01 メディセル・アーゲー 眼内レンズを受承するデバイス及び眼内レンズを折り畳む方法
JP2019520166A (ja) * 2016-07-07 2019-07-18 イオリュー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Iolution Gmbh 眼内レンズを移植するためのインジェクター用のカートリッジ
KR20190104319A (ko) * 2017-01-13 2019-09-09 노바르티스 아게 안내 렌즈 주입기
KR20210094586A (ko) * 2018-11-19 2021-07-29 메디셀 아게 안구내 렌즈 수용 장치 및 안구내 렌즈의 폴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5222A1 (de) 2023-10-25
DE102022109691B3 (de) 2023-04-27
US11974912B2 (en) 2024-05-07
JP7429814B2 (ja) 2024-02-08
CN116919656A (zh) 2023-10-24
US20230338138A1 (en) 2023-10-26
JP2023160792A (ja)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1949B2 (ja)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CN103037806B (zh) 眼部植入体插入器具和方法
US8470030B2 (en) Device for loading an intraocular lens into an injection cartridge
AU719064B2 (en)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with transverse hinged lens cartridge
KR101630637B1 (ko) 안내 렌즈 삽입 기구
KR102540602B1 (ko) 전방 변위 기구 및 후방 변위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인젝터
EP1808150B1 (en) Intraocular lens injector and intraocular lens inj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10014808A1 (en) Insertion device for a deformable intraocular lens
EP3351212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RU2762348C2 (ru) Инжектор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KR102558462B1 (ko) 안내 렌즈 주입기
WO2013038687A1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6027536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US11833033B2 (en) Injector assembly for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and injector
WO2020183856A1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CN115867228A (zh) 眼内透镜插入器具及其设计方法
JP4557938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KR102517589B1 (ko)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기 위한 인젝터 어셈블리 및 인젝터
CN210204985U (zh) 预装式人工晶体植入装置
CN117580546A (zh) 眼内透镜插入器具
JP5096132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