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11B1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811B1
KR102538811B1 KR1020210054271A KR20210054271A KR102538811B1 KR 102538811 B1 KR102538811 B1 KR 102538811B1 KR 1020210054271 A KR1020210054271 A KR 1020210054271A KR 20210054271 A KR20210054271 A KR 20210054271A KR 102538811 B1 KR102538811 B1 KR 10253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main plate
hea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305A (ko
Inventor
오선은
Original Assignee
오선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은 filed Critical 오선은
Priority to KR102021005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81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 하판의 2중구조륵 가지면서 상, 하판의 사이에 불연성의 방열부직포를 설치하여, 가열되는 하판의 열기가 곧바로 상판으로 전달되지 않고 방열부직포를 거쳐 전달되도록 하여, 상판에 올려지는 조리대상물이 타지 않도록 한 것이며, 상, 하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한 대류열을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더욱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기구{Cookware}
본 발명은 조리기구로써, 상, 하판의 2중 구조를 가지면서 그 사이에 방열부직포가 설치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조리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 즉 육류나 생선의 구이 또는 찌개류(전골)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는 가능한 단시간에 조리를 이루도록 음식물이 얇게 깔아지는 비교적 평면적이고 운두가 낮은 팬형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팬형의 조리기구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팬형의 조리기구는 대략 주철이나 알루미늄을 소재로 한 주조방식 또는 금속판재를 프레스의 드로잉공정을 통해 운두가 비교적 낮은 냄비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팬형의 조리기구는 연소열을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직접 가열시키면서 소기의 조리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연소열은 그 연소열이 접하는 부분만을 국부적으로 가열시키고 있어 열전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따라서, 부분적인 집중 가열로 조리 음식물이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음식물의 소손으로 음식물 고유의 맛을 우려내지 못하는 등 조리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화기에 의해 직접 전열되는 바닥부분 및 조리기구의 측면판 내부도 음식물은 지나치게 익혀져서 타게되고, 화기가 직접 전열되지 않는 부분의 음식물은 익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10323호(2006.08.01.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 하판이 이격되어 상, 하로 2중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 하판의 사이에 방열부직포를 설치하여, 하판에서 가열된 열이 곧바로 상판으로 전달되지 않고 방열부직포를 통해 상판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판에 위치되는 조리대상물이 타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함께 상, 하판의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대류열을 형성하여 음식물 조리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저면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3)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 각각이,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링 형태로 교번을 이루며 연속형성되어 있는 제 1메인판(11)과, 상기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는 제 1측면판(12)으로 구성되는 하판(10);
상기 제 1메인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메인판(11)의 상면에 일체로 접촉형성되어, 하판(10)이 가열시 하판(10)과 함께 열전달 역할을 하는 불연성의 방열부직포(20);
상기 방열부직포(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판(10)의 돌출부(14)측 방열부직포(20)와는 밀착되어 가열면(21)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10)의 함몰부(13)측 방열부직포(20)와의 사이는 이격되면서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며, 조리대상물(F)이 상면에 올려지는 제 2메인판(31)과, 상기 제 2메인판(3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제 1측면판(12)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측면판(1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40)을 형성하여, 이격공간(40) 내에서 대류열이 형성되는 제 2측면판(32)으로 구성되는 상판(3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이 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구가 2중구조를 가지면서, 2중구조를 가지는 상, 하판의 사이에 방열부직포를 설치하여, 하판의 뜨거운 열기가 상판으로 곧바로 전달되지 않고 방열부직포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상판에 위치되는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 하판의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한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공기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배출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수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첫번째 실시예로는,
저면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3)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 각각이,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링 형태로 교번을 이루며 연속형성되어 있는 제 1메인판(11)과, 상기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는 제 1측면판(12)으로 구성되는 하판(10);
상기 제 1메인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메인판(11)의 상면에 일체로 접촉형성되어, 하판(10)이 가열시 하판(10)과 함께 열전달 역할을 하는 불연성의 방열부직포(20);
상기 방열부직포(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판(10)의 돌출부(14)측 방열부직포(20)와는 밀착되어 가열면(21)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10)의 함몰부(13)측 방열부직포(20)와의 사이는 이격되면서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며, 조리대상물(F)이 상면에 올려지는 제 2메인판(31)과, 상기 제 2메인판(3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제 1측면판(12)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측면판(1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40)을 형성하여, 이격공간(40) 내에서 대류열이 형성되는 제 2측면판(32)으로 구성되는 상판(3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실시예로는,
저면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3)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 각각이,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링 형태로 교번을 이루며 연속형성되어 있는 제 1메인판(11)과, 상기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는 제 1측면판(12)으로 구성되는 하판(10);
상기 제 1메인판(11) 상면에 평판형으로 수평설치되어, 상기 제 1메인판(11)의 상면의 돌출부(14)와 접촉형성되어, 하판(10)이 가열시 하판(10)과 함께 열전달 역할을 하는 불연성의 방열부직포(20);
상기 방열부직포(20)의 상부에 저면 전체가 밀착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방열부직포(20)를 사이에 두고 밀착된 돌출부(14) 부분에서는 가열면(21)을 형성하고, 저면에 부착된 방열부직포(20)와 제 1메인판(11)의 함몰부(13)와 사이는 이격되면서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며, 조리대상물(F)이 상면에 올려지는 제 2메인판(31)과, 상기 제 2메인판(3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제 1측면판(12)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측면판(1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40)을 형성하여, 이격공간(40) 내에서 대류열이 형성되는 제 2측면판(32)으로 구성되는 상판(3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는 하판(10), 방열부직포(20), 상판(30), 돌기부(50), 압력배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1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제 1메인판(11)과, 상기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 벌어지며 연장되는 제 1측면판(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메인판(11)은 저면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3)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 각각이,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링 형태로 교번을 이루며 연속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함몰부(13)와 돌출부(14)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라면, 상기의 링 형태 외에 격자 형태로 홈과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 및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인데, 일실시예로
상기 제 1메인판(11)은 함몰부(13)가 상호간 이격되는 다수 링 형태로 형성되는 제 1형상 또는 다수의 직선이 중단이 교차되는('+', 'x'자 등) 형태의 제 2형상 또는 제 1, 2형상이 함께 조합되어 형성되는 제 3형상 중 어느 하나로 저면에 함몰형성되며, 열전달면적 증대 및 미끄럼 방지가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제 1측면판(12)은 전술된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연장형성되어, 냄비와 같은 형태를 갖출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손잡이가 외주연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부직포(20)는 불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0.3~3mm의 두께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하판(10)의 제 1메인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원형 판재이면서, 중앙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점차 커지는 링 형태의 홈 또는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저면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3)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가 교번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방열부직포(20)는 하판(10)의 제 1메인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메인판(11)의 상면에 올려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렇듯 방열부직포(20)는 상기 제 1메인판(11)의 상면에 일체로 접촉형성되어, 하판(10)이 가열시 하판(10)과 함께 열전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판(10)의 저면이 외부의 가열장치를 통해 곧바로 가열될 시, 이러한 열이 후술될 상판(30)으로 곧바로 전달되지 않고 방열부직포(20)를 통해 상판(30)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하판(10)에서 상판(30)으로 열기가 곧바로 전달되는 경우와 비교시 상판(30)에 올려지는 조리대상물(F)이 쉽게 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30)은 전술된 평판형의 무늬나 형상이 없는 제 2메인판(31)과, 상기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 벌어지며 연장되는 제 2측면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30)은 하판(10)과 함께 본 발명의 조리기구를 2중구조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메인판(31)은 방열부직포(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판(10)의 돌출부(14)측 방열부직포(20)와는 밀착되어 가열면(21)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10)의 함몰부(13)측 방열부직포(20)와의 사이는 이격되면서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며, 조리대상물(F)이 상면에 올려지는 것이며, 상기 제 2측면은 상기 제 2메인판(3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제 1측면판(12)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측면판(1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40)을 형성하여, 이격공간(40) 내에서 대류열이 형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전술된 제 1메인판(11)은 중심부가 상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메인판(31)은 제 1메인판(11)과 대응되도록, 중심부가 하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돌기부(50)는 전술된 하판(10)의 제 1측면판(1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주연 둘레에서, 반원형의 돌기형태로 제 2측면판(32)을 향해 다수 함몰되면서, 상기 이격공간(40) 내에서 제 2측면판(32)의 외주연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40) 내부가 제 1측면판(12)에 형성된 압력배출부(60)로 대류열이 이동되는 다수의 오픈부(51) 부분과, 대류열의 이동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다수의 밀폐부(52) 부분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하 돌기부(50)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주연 둘레에서, 'C'자 형태(링 형상에서 한곳만 개구한 형태)로 제 2측면판(32)을 향해 다수 함몰되면서, 상기 이격공간(40) 내에서 제 2측면판(32)의 외주연과 밀착됨으로써, 대류열의 이동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밀폐부(52) 부분을 'C'자 형태로 형성하면서, 상기 이격공간(40) 내부가 대류열이 제 1측면판(12)에 형성된 압력배출부(60)로 이동되는 오픈부(51) 부분이 한부분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압력배출이 되는 부분을 한곳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 및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력배출부(60)는 제 1측면판(1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2측면판(12, 32) 사이의 이격공간(40) 내 압력이 사전설정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압력배출부(60)는 제 1측면판(12)의 외주연에 천공되는 배출홀(61)과, 상기 배출홀(61)에 삽입되는 볼부재(62)와,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측에 'ㄷ'자로 형태로 설치되는 거치대(63)와,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측에서 일단은 볼부재(62)에 체결되고, 타단은 거치대(63)에 체결되어, 상기 이격공간(40) 내 공기가 배출될시, 볼부재(62)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64)로 구성되어진다.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방열부직포(20)의 경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2가지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첫번째 실시예(도 1)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하판(10)의 제 1메인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하판(10)의 상편에 전체가 일체로 밀착되어지는 형태이다.
이와는 다른 두번째 실시예(도 6)는, 함몰이나 돌출되는 부위없이 단순하게 일자형의 평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첫번째 실시예가 하판(10)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밀착되는 것이라면, 두번째 실시예는 저면이 평판형인 상판(30)의 저면과 일체형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하지만, 첫번째 실시예나 두번째 실시예 모두, 하판(10)의 돌출부(14) 형성 부위에서 방열부직포(20)는 상, 하판(30, 10)이 상, 하면에 동시에 접촉되는 구조임에는 변함이 없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첫번째 실시예는 방열부직포(20)가 하판(10) 상면의 함몰부(13) 부분에도 밀착되면서 방열부직포(20)가 상판(30) 사이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는 것임에 반해, 두번째 실시예는 방열부직포(20)가 하판(10) 상면의 함몰부(13) 부분에 밀착되지 않고, 상판(30)의 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면서, 방열부직포(20)와 하판(10) 사이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방열부직포(20)의 경우, 상기 제 1메인판(11) 크기로만 형성되어, 제 1메인판(11)의 상면에만 형성되는 제 1경우와, 상기 제 1메인판(1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제 1메인판(11) 및 제 1측면판(12)의 상면에까지 형성되는 제 2경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하판 11: 제 1메인판
12: 제 1측면판 13: 함몰부
14: 돌출부 20: 방열부직포
21: 가열면 22: 공기층
30: 상판 31: 제 2메인판
32: 제 2측면판 40: 이격공간
50: 돌기부 51: 오픈부
52: 밀폐부 60: 압력배출부
61: 배출홀 62: 볼부재
63: 거치대 64: 탄성부재
F: 조리대상물

Claims (7)

  1. 저면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3)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 각각이,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링 형태로 교번을 이루며 연속형성되어 있는 제 1메인판(11)과, 상기 제 1메인판(1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는 제 1측면판(12)으로 구성되는 하판(10);
    상기 제 1메인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메인판(11)의 상면에 일체로 접촉형성되어, 하판(10)이 가열시 하판(10)과 함께 열전달 역할을 하는 불연성의 방열부직포(20);
    상기 방열부직포(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판(10)의 돌출부(14)측 방열부직포(20)와는 밀착되어 가열면(21)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10)의 함몰부(13)측 방열부직포(20)와의 사이는 이격되면서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22)을 형성하며, 조리대상물(F)이 상면에 올려지는 제 2메인판(31)과, 상기 제 2메인판(3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제 1측면판(12)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측면판(1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40)을 형성하여, 이격공간(40) 내에서 대류열이 형성되는 제 2측면판(32)으로 구성되는 상판(3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열부직포(20)는 제 1메인판(11) 및 제 1측면판(12)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측면판(12)은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주연 둘레에서, 'C'자 형태로 제 2측면판(32)을 향해 다수 함몰되면서, 상기 이격공간(40) 내에서 제 2측면판(32)의 외주연과 밀착됨으로써, 대류열의 이동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밀폐부(52) 부분을 'C'자 형태로 형성하면서, 상기 이격공간(40) 내부가 대류열이 제 1측면판(12)에 형성된 압력배출부(60)로 이동되는 오픈부(51) 부분이 한부분 형성되도록 하는 돌기부(50); 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메인판(11)은 중심부가 상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메인판(31)은 제 1메인판(11)과 대응되도록, 중심부가 하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측면판(12)은
    상기 제 1, 2측면판(12, 32) 사이의 이격공간(40) 내 압력이 사전설정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배출부(60); 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압력배출부(60)는
    제 1측면판(12)의 외주연에 천공되는 배출홀(61);
    상기 배출홀(61)에 삽입되는 볼부재(62);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측에 'ㄷ'자로 형태로 설치되는 거치대(63);
    상기 제 1측면판(12)의 외측에서 일단은 볼부재(62)에 체결되고, 타단은 거치대(63)에 체결되어, 상기 이격공간(40) 내 공기가 배출될시, 볼부재(62)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6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54271A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 KR10253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71A KR102538811B1 (ko)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71A KR102538811B1 (ko)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05A KR20220147305A (ko) 2022-11-03
KR102538811B1 true KR102538811B1 (ko) 2023-06-01

Family

ID=8404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71A KR102538811B1 (ko)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8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79B1 (ko) * 2007-07-23 2008-05-22 김기태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2111405B1 (ko) * 2018-11-28 2020-05-15 오선은 2중 결합구조의 조리기구
KR102130150B1 (ko) * 2019-10-16 2020-07-03 조문식 보강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323B1 (ko) 2004-05-17 2006-08-09 오정근 조리구이판
KR20060061726A (ko) * 2004-12-06 2006-06-08 주식회사 제이온 조리용 용기
KR101181571B1 (ko) * 2011-01-26 2012-09-13 김단 이중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79B1 (ko) * 2007-07-23 2008-05-22 김기태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2111405B1 (ko) * 2018-11-28 2020-05-15 오선은 2중 결합구조의 조리기구
KR102130150B1 (ko) * 2019-10-16 2020-07-03 조문식 보강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05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KR20120121660A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2111405B1 (ko) 2중 결합구조의 조리기구
KR101986822B1 (ko) 불판구이용 다용도 구이판
KR102538811B1 (ko) 조리기구
KR100504011B1 (ko) 조리기구
KR100610055B1 (ko) 구이판
JPH07502436A (ja) 球状に湾曲した浅鍋(中華鍋)
KR20110011146U (ko) 직화 구이기
JP4340781B2 (ja) 間接加熱式調理板
KR200344213Y1 (ko) 육류 구이판
JPH09171890A (ja) 誘導加熱調理用の調理容器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JPS6214994Y2 (ko)
KR20060116687A (ko) 육류 구이판
JP3222454U (ja) 加熱調理器
KR200252248Y1 (ko) 과열 방지 구이판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KR200199932Y1 (ko) 세라믹 저면판이 설치된 음식물 조리용기
KR200481251Y1 (ko) 다기능 불판 세트
JPH11253322A (ja) 焼物用卓上こんろ
KR102081814B1 (ko) 직화 구이냄비
KR200339232Y1 (ko) 고기 구이판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