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04B1 -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 Google Patents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04B1
KR102536804B1 KR1020217018737A KR20217018737A KR102536804B1 KR 102536804 B1 KR102536804 B1 KR 102536804B1 KR 1020217018737 A KR1020217018737 A KR 1020217018737A KR 20217018737 A KR20217018737 A KR 20217018737A KR 102536804 B1 KR102536804 B1 KR 10253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elmet
inner gear
outer gear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798A (ko
Inventor
하오티안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장먼 펑청 헬멧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먼 펑청 헬멧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장먼 펑청 헬멧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42B3/205Chin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6Caps with flaps; Motor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6Helmets with movable or separable chin or jaw guard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 관한 것이며, 상기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은, 헬멧 쉘 주체(1), 턱보호부(2) 및 턱보호부(2)의 프롱(2a)을 포함하고, 버텀 지지부(3), 프롱(2a),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전동부재(7)는 관련 기구를 구성하고,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모두 고정축 회전하며 치합 구속 쌍을 이루고, 인너 기어(4)와 프롱(2a)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며, 전동부재(7)는 아웃터 기어(5)의 운동을 프롱(2a)으로 전달하여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신축변위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2)가 선회 운동을 하는 동시에 왕복 동작을 하도록 하여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위치 사이에서의 변환을 구현한다.

Description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HELMET WITH GEAR-CONSTRAINT TRANSFORMABLE CHIN GUARD STRUCTURE}
본 발명은 인체 안전보호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하며 인체의 머리부위를 보호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턱보호형 보호 구조가 달린 헬멧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턱보호부 위치와 자세가 필요에 따라 풀-페이스 헬멧 구조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사이에서 변환가능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각종 자동차, 레이싱 카, 레이싱 보트, 스쿠터, 비행장치를 포함한 자전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운송수단을 사용하는 과정에 반드시 헬멧을 착용하여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 한편, 많은 특수한 작업환경, 예를 들어 스프레이 도장, 구조, 반테러, 채광, 석탄 채굴, 굴진 등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뜻밖의 상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헬멧을 착용하여 머리를 보호해야 한다. 현재, 헬멧의 구조 형식으로 주로 풀-페이스 구조형 헬멧 및 하프-페이스 구조형 헬멧이 있으며, 그 중 풀-페이스 구조형 헬멧에는 사용자 턱을 감싸는 턱보호부가 있으나 하프-페이스 구조형 헬멧에는 이러한 턱보호부가 없다. 풀-페이스 구조형 헬멧에 있어서, 턱보호부 구조가 있어 착용자의 머리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프-페이스 구조형 헬멧에 있어서, 착용자의 입,코 등 기관이 턱보호부의 속박을 받지 않아 인체에 사용하기 더욱 적합하다.
전통적인 풀-페이스 헬멧의 턱보호부는 헬멧 쉘 주체와 일체형 구조로 제조되어 있다. 그러므로 턱보호부는 헬멧 쉘 주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은 구조로 구서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전통적인 풀-페이스 헬멧은 견고하고 든든하여 착용자를 충분히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으로 고려할 때, 일체형 구조의 풀-페이스 헬멧은 다음 결함이 존재한다. 우선,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착용자가 물을 마시거나, 통화하거나, 휴식 등 활동을 해야 할 경우, 반드시 헬멧을 벗어야만 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일체형 구조를 갖는 풀-페이스 헬멧은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다음으로, 생산자 입장에서 볼 때, 일체형 구조의 풀-페이스 헬멧은 챔버가 크고 구멍이 작은 구조적 특징이 있어 몰드가 매우 복잡하므로 생산효율이 낮은 편이다. 이것이 또한 일체형 구조를 갖는 풀-페이스 헬멧의 제조 원가가 비싼 원인이다.
전통적인 일체형 풀-페이스 구조형 헬멧은 안전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원가가 낮은 등 여러 가지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풀-페이스 헬멧 구조의 안전성과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의 편리성이 결합된 헬멧을 개발하는 것이 현재 헬멧 연구자 및 생산 제조자가 추구하는 목표이다. 이러한 기술배경하에, 본 출원인은 중국특허출원 CN105901820A에서 "기어 구속에 의한 가변 턱보호 구조형 헬멧”을 제안하였으며, 이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헬멧 쉘의 양측면에 원기둥 기어형 고정 인너 기어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턱보호부의 두 프롱에 두개의 원기둥 기어형 회전 아웃터 기어가 각각 체결되어 있으며, 헬멧 쉘과 체결 연결된 버텀 지지부에 상응한 호형 구속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속 홈에 의해 회전 아웃터 기어와 고정 인너 기어를 제한하여 이들이 치합되어 운동 쌍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소정 진행상황에 따라 턱보호부의 위치와 자세에 대해 구속하여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사이에서 약속된 궤도에 따라 운행하되 역방향으로 변환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필요에 따라 풀-페이스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턱보호부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역으로도 가능하다. 게다가, 턱보호부와 헬멧 쉘 주체가 더 이상 일체형 구조가 아니므로 헬멧을 제작하는 몰드가 간간해져 제조원가를 낮추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발명에서 제안한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의 기술방안은, 안전성, 편리성 및 낮은 원가 등 여러 가지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어 헬멧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중국특허출원 CN105901820A의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은 비록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관통된 길이가 긴 호형 구속 홈을 사용하여 그 회전 아웃터 기어와 고정 인너 기어의 치합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회전 아웃터 기어가 턱보호부를 따라 함께 큰 각도로 스윙 운동하므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결함이 존재한다. 1)길이가 길고 호형 모양의 구속 홈으로 인해 헬멧의 안전성이 취약하다. 이는 턱보호부가 위치와 자세를 변환하는 과정에, 특히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사이의 어느 중간 위치에서 소위 말하는 오픈 페이스 헬멧을 이루는 경우(이때 헬멧은 "준 하프-페이스 구조 헬멧”의 형식에 속하며, 이 상태는 착용자가 물을 마시거나 대화하거나 잠시 통풍하는 활동, 특히 터널 작업시에 유리하다), 상기 턱보호부가 구속 홈을 완전히 덮을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턱보호부의 본체가 상기 관통 모양의 장호형 구속 홈을 효과적으로 덮을 수 없어 외부의 이물질이 회전 아웃터 기어와 고정 인너 기어로 이루어진 치합 운동 쌍에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기어 구속 쌍이 쉽게 고장나므로 헬멧 착용시 신뢰성면에 일정한 우려가 존재한다. 2)길이가 길고 호형인 구속 홈이 설치되어 있어 헬멧 내의 소음이 비교적 크다. 마찬가지로, 턱보호부가 위치와 자세를 변환하는 과정에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의 중간 위치에서 소위 말하는 오픈 페이스 헬멧인 경우, 상기 턱보호부가 구속 홈을 완전히 덮지 못해 외부의 공기가 헬멧 외표면을 지나면서 생기는 날카로운 바람소리가 관통 모양의 구속 홈으로부터 헬멧의 내부로 전달된다. 마침 이러한 구속 홈이 착용자의 양 귀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 헬멧의 방음 효과가 좋지 않아 착용시 쾌적감이 저하된다. 3)행성처럼 회전하는 아웃터 기어의 배치 및 운행 방식이 헬멧의 안전성을 어느 정도 감퇴시킨다. 이는 턱보호부가 위치를 변환할 때, 아웃터 기어가 턱보호부와 함께 운동하면서 행성이 운행하는 것과 같이 움직이므로 스쳐지나가는 공간 영역이 큰 편이다. 아웃터 기어가 회전하면서 지나가는 공간 영역에는 당연히 체결 나사 또는 기타 체결 구조를 배치할 수 없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때 장호형 구속 홈이 형성된 버텀 지지부는 부득불 부피가 큰 쉘 형상의 부재로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부재는 고유 강도가 낮은 편이다. 다시 말해, 헬멧 쉘의 강도가 낮아 헬멧의 안전성도 낮은 편이다.
종합하면, 상기 기어 구속의 가변 턱보호 구조형 헬멧은 비록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위치 사이의 변환을 구현할 수 있으나, 신뢰성, 쾌적성 및 안전성이 낮은 결함도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가변 턱보호 구조형 헬멧은 여전히 개선하고 향상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형 헬멧에 존재하는 제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 기술에 비해, 기어 구속 기구의 구조 배치 및 구동 방식을 개선하여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사이에서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변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멧의 신뢰성, 쾌적성 및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에 의해 달성된다. 하나의 헬멧 쉘 주체, 하나의 턱보호부 및 두개의 버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두개의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에 체결되거나 헬멧 쉘 주체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턱보호부가 두개의 프롱(prong)을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프롱이 상기 헬멧 쉘 주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에 있어서, 각각의 버텀 지지부와 대응하여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및 상기 헬멧 쉘 주체에 의해 구속되는 하나의 인너 기어 및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및 상기 헬멧 쉘 주체에 의해 구속되는 하나의 아웃터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너 기어는 그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아웃터 기어는 그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고; 인너 기어의 본체 또는 인너 기어의 부착 어샘블리 상에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하나의 전동부재가 추가 설치되고; 헬멧 쉘 주체의 동일 측에 위치한 버텀 지지부, 프롱,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및 전동부재는 공동으로 하나의 관련 기구를 이루며;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서 상기 프롱은 인너 기어 위의 슬롯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기어와 인너 기어는 서로 치합되어 하나의 운동 구속 쌍을 이루고, 상기 인너 기어와 프롱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나의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며; 상기 전동부재는 그 일단에서 아웃터 기어와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며, 상기 구속 관계를 통해 전동부재가 아웃터 기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아웃터 기어가 전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전동부재는 그 타단에서 프롱과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며, 상기 구속 관계를 통해 프롱이 전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전동부재가 프롱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턱보호부, 동일한 관련 기구에 속한 상기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및 전동부재가 수행하는 구동과 운행 로직은,
a)먼저, 턱보호부가 초기 선회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턱보호부가 그 프롱을 통해 인너 기어가 회전 운동하도록 한 후, 인너 기어가 아웃터 기어와의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웃터 기어가 다시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이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이 인너 기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Slidable displacement)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b)먼저, 인너 기어가 초기 회전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인너 기어가 그와 프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을 통해 턱보호부가 상응한 선회운동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인너 기어가 아웃터 기어와의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웃터 기어가 다시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이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서 프롱이 인너 기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c)먼저, 아웃터 기어가 초기 회전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아웃터 기어가 그와 인너 기어의 치합관계를 통해 인너 기어를 회전시킨 후, 한편으로, 인너 기어가 그와 프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을 통해 턱보호부가 상응한 선회운동을 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아웃터 기어가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이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이 인너 기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동일한 관련 기구에서, 상기 인너 기어와 아웃터 기어로 이루어진 운동 구속 쌍은 평면기어 전동기구이다.
상기 동일한 관련 기구에서, 상기 인너 기어 및 아웃터 기어는 모두 원기둥 기어 타입이며, 양자가 서로 치합될 때, 인너 기어의 피치 원 반경R(pitch circle radius)과 아웃터 기어의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를 만족한다.
상기 동일한 관련 기구에서, 상기 전동부재는 하나의 회전면(surface of revolution)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면 구조는 하나의 회전축선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선은 항상 아웃터 기어와 함께 아웃터 기어 축선을 따라 고정축 회전을 하며, 상기 회전축선은 아웃터 기어 축선과 평행 설치되며 아웃터 기어의 피치 원과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동부재의 회전면 구조는 원기둥면 구조 또는 원추면 구조이다.
상기 상기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의 결합 구속 관계는,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가 체결 연결되거나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며, 전동부재와 프롱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회전 결합되거나; 또는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회전 결합이고, 전동부재와 프롱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체결 연결되거나 전동부재와 프롱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거나; 또는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회전 결합이며, 상기 전동부재와 프롱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도 회전 결합이다.
상기 버텀 지지부, 헬멧 쉘 주체 또는/및 아웃터 기어 상에서 인너 기어의 축방향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인너 기어, 버텀 지지부 또는/및 헬멧 쉘 주체 상에서 아웃터 기어의 축방향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인너 기어 상에서 턱보호부의 프롱이 축 방향에서 느슨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이탈 방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기어의 각 기어치(gear teeth)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치는 치 두께가 상기 아웃터 기어 상의 전체 유효 기어치의 평균 두께보다 큰 이형 기어치로 설계되고 상기 전동부재는 오직 이형 기어치와 결합 구속을 이룬다.
상기 인너 기어 상의 슬롯은, 편평한 직선 홈모양의 관통 슬롯이며, 상기 직선 홈모양의 관통 슬롯은 인너 기어 축선을 가리키거나 지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너 기어와 프롱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은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이며, 상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은 인너 기어 축선을 가리키거나 지나가도록 배치되며, 상기 직선 홈모양 슬롯과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은 서로 겹치거나 평행으로 배치된다.
상기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의 전동부재의 회전면 구조의 회전축선은 인너 기어 축선과 겹치는 위치에 있고, 상기 관련 기구 중 슬라이딩 구속 쌍에 포함된 직선 구속 요소는 인너 기어 축선과 아웃터 기어 축선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수직이다.
상기 인너 기어의 전체 유효 기어가 커버한 중심각α은 180도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및 헬멧 쉘 주체 상에 제1 걸림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인너 기어의 본체 또는 그 연신체 위에 하나 이상의 제2 걸림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및 헬멧 쉘 주체 상에 제1 걸림 구조가 제2 걸림 구조에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는 서로 암수 조합인 걸림 멈춤 구조를 이루며,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가 서로 걸림 결합될 때 스턱(stuck)을 발생시켜 턱보호부가 해당 위치와 자세에 머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구조는 돌출치 형태이고; 상기 제2 걸림 구조는 오목홈 형태이며; 제2 걸림 구조는,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 하나의 제2 걸림 구조가 상기 제1 걸림 구조와 걸림 결합되고;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 다른 하나의 제2 걸림 구조가 상기 제1 걸림 구조와 걸림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헬멧에서, 상기 턱보호부가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일 때, 또 다른 하나의 제2 걸림 구조가 제1 걸림 구조와 걸림 결합된다.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및 헬멧 쉘 주체 상에 상승 보조 스프링이 설치되고,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압축되어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이며;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헬멧 쉘 주체의 돔 부분으로 선회하여 지나가는 도중에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턱보호부가 올려지도록 탄력을 방출하는 상태에 있으며;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사이의 상태일 때,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턱보호부에 대한 작용력을 중단한다.
상기 헬멧의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의 인너 기어에 포함된 치합 소자의 인너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와 아웃터 기어에 포함된 치합 소자의 아웃터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의 비례 값은 관계식 ZR/Zr=2을 만족한다.
상기 헬멧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 기구 내의 아웃터 기어에 물갈퀴 모양의 복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헬멧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 기구 내에서, 인너 기어에 형성된 슬롯은 인너 기어와 프롱의 슬라이딩 구속 행위에 참여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속 행위는 인너 기어와 프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한다.
상기 헬멧에 하나의 쉴드가 배치되며, 상기 쉴드는 두개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다리는 헬멧 쉘 주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이들은 헬멧 쉘 주체에 대해 고정축 스윙 운동을 하며; 그 중, 하나 이상의 다리에는 힘받침 레일 엣지가 설치되어 있고, 힘받침 레일 엣지가 설치된 다리는 버텀 지지부와 헬멧 쉘 주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를 향하는 내부 받침판 상에 하나의 관통모양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아웃터 기어 상에 상기 구멍으로부터 뻗어 상기 다리 힘받침 레일 엣지에 접촉가능한 트리거 핀이 설치되고; 상기 쉴드가 완전히 내려져 닫힌 상태일 때, 상기 트리거 핀과 힘받침 레일 엣지의 배치는, 턱보호부가 완전히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부터 펼쳐지는 동작을 하면, 상기 트리거 핀이 쉴드 다리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를 터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쉴드가 선회펼쳐지도록 하고; 턱보호부가 완전히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부터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면, 턱보호부가 전체 복귀코스의 앞부분 3분의 2 동안 상기 트리거 핀이 쉴드 다리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에 반드시 터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쉴드가 선회하여 펼쳐지도록 구현된다.
상기 헬멧 쉴드의 다리에 치형 제1 위치 잠금치가 설치되어 있고, 버텀 지지부 또는/및 헬멧 쉘 주체에 상기 제1 위치 잠금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잠금치가 설치되고; 버텀 지지부 또는/및 헬멧 쉘 주체에 위치 잠금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 잠금치는 쉴드와 함께 운동하고, 상기 제2 위치 잠금치는 헬멧 쉘 주체에 대해 이동 또는 스윙할 수 있고; 쉴드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제2 위치 잠금치는 위치 잠금 스프링의 작용 하에 제1 위치 잠금치에 밀착하여 쉴드가 약한 잠금 효과를 얻도록 하고; 쉴드가 외력에 의해 펼쳐질 때, 상기 제1 위치 잠금치는 제2 위치 잠금치를 강제로 구동함으로써 위치 잠금 스프링을 압박하여 변위를 일으키게 하여 제1 위치 잠금치에 대해 언록킹 동작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은 턱보호부,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및 전동부재로 이루어진 관련 기구의 배치구성을 통해 인너 기어와 아웃터 기어가 모두 고정축 회전하도록 하고 이들은 서로 치합되어 운동 구속 쌍을 이루며, 인너 기어에 턱보호부의 프롱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속 쌍이 설치되어 있고, 프롱,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는 상호 구동하여 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아웃터 기어 및 턱보호부의 프롱과 모두 결합 구속 관계가 있는 하나의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으로 하여금 인너 기어에 대한 왕복형식의 변위 동작을 하도록 하므로 턱보호부의 위치와 자세가 턱보호부를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따라 정확하게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full-face helmet structure position)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half-face helmet structure position)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어 턱보호부의 기하학적 운행궤도의 유일성과 가역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관련 기구의 배치 형식 및 운행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은 턱보호부가 위치와 자세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턱보호부의 프롱의 몸체가 인너 기어와 함께 회전 운동하므로 인너 기어 상의 슬롯을 기본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구속 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헬멧의 사용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이 헬멧 내부로 들어오는 경로를 차단시켜 헬멧 착용시의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축 회전하는 아웃터 기어가 차지하는 운행 공간도 작아 버텀 지지부의 체결 구조가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버텀 지지부의 지지 강도를 높여 전체 헬멧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이 풀-페이스 헬멧 구조 상태인 경우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이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상태인 경우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버텀 지지부의 내부 받침판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내부 받침판에 대해 인너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내부의 헬멧 쉘 주체에서 헬멧 외부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내부 받침판에 대해 인너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외부에서 헬멧의 헬멧 쉘 주체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버텀 지지부의 외부 받침판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외부 받침판에 대해 인너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내부의 헬멧 쉘 주체에서 헬멧 외부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외부 받침판에 대해 인너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외부에서 헬멧의 쉘 주체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인너 기어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인너 기어 실시예의 다른 일 방향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인너 기어에 대해 인너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외부에서 헬멧의 쉘 주체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인너 기어에 대해 인너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내부의 헬멧 쉘 주체에서 헬멧 외부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아웃터 기어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아웃터 기어 실시예의 다른 일 방향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아웃터 기어에 대해 아웃터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외부에서 헬멧의 쉘 주체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아웃터 기어에 대해 아웃터 기어 축선을 따라 헬멧 내부의 헬멧 쉘 주체에서 헬멧 외부 방향으로 관찰시 얻은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턱보호부 및 그 프롱의 구조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의 턱보호부 및 그 프롱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커버가 장착된 턱보호부 및 그 프롱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턱보호부 프롱의 커버의 일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커버에 대해 헬멧 내부의 헬멧 쉘 주체에서 헬멧 외부 방향으로 관찰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턱보호부의 프롱 및 그 커버를 조립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의 인너 기어 및 아웃터 기어에서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의 비례 값을 2:1로 설계하는 경우의 치합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인너 기어 및 아웃터 기어에서 그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의 비례 값을 R/r=2:1로 설계하되, 인너 기어의 슬롯이 직선 바모양이며, 상기 슬롯이 인너 기어 축선과 아웃터 기어 축선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수직인 시작 위치에서 어느 한 위치로 회전하는 경우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하학적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인너 기어의 치합 소자가 환산해낸 인너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와 아웃터 기어에 포함된 치합 소자가 환산해낸 아웃터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의 비례 값이 관계식 ZR/Zr=2을 만족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그 인너 기어와 아웃터 기어의 파라미터가,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의 비례 값이 R/r=2:1인 관계를 만족하거나 인너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와 아웃터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의 비례 값이 ZR/Zr=2를 만족할 경우 턱보호부의 선회운동에 따른 직선 바형 슬롯 및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구속 슬라이딩 레일과 전동부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의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턱보호부가 각각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상태,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상태 및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상태인 경우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가 대응되게 걸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진행하여 최초 위치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있는 쉴드를 들어올리는 과정에 인너 기어, 트리거 핀, 쉴드의 다리 및 그 힘받침 레일 엣지가 서로 연동 작용하는 측면 개략도 및 등각 투영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여 최초 위치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있는 쉴드를 오픈하는 과정에 인너 기어, 트리거 핀, 쉴드의 다리 및 그 힘받침 레일 엣지가 서로 연동 작용하는 측면 개략도 및 등각 투영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진행하여 최초 위치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있는 쉴드에 대해 언록킹하는 과정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에서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여 최초 위치가 완전 닫힌 위치에 있는 쉴드에 대해 언록킹하는 과정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은 하나의 헬멧 쉘 주체(1), 하나의 턱보호부(2) 및 두개의 버텀 지지부(3)를 포함하고, 상기 두 버텀 지지부(3)는 헬멧 쉘 주체(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두 버텀 지지부(3)는 헬멧 쉘 주체(1)에 체결되거나(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또는 상기 두 버텀 지지부(3)와 헬멧 쉘 주체(1)는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다(미도시).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두 버텀 지지부(3)와 헬멧 쉘 주체(1) 사이의 연결은 다음 4가지 경우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상기 두 버텀 지지부(3)는 각각 독립적인 부재이며 모두 헬멧 쉘 주체(1)에 체결되고(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상기 두 버텀 지지부(3)는 모두 헬멧 쉘 주체(1)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며(미도시); 3)상기 두 버텀 지지부(3) 각각의 일부가 헬멧 쉘 주체(1)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되, 나머지 부분은 독립적인 구성으로 제작되고(미도시); 4)상기 두 버텀 지지부(3) 중 하나의 버텀 지지부(3)가 헬멧 쉘 주체(1)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버텀 지지부(3)가 헬멧 쉘 주체(1)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다(미도시).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두 버텀 지지부(3)가 헬멧 쉘 주체(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는 것은 두개의 버텀 지지부(3)가 헬멧 쉘 주체(1)에서 대칭면(P)의 양측면에 각각 분리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대칭면(P)은 착용자가 헬멧을 정상으로 착용할 때 착용자의 입, 코 및 정수리를 지나 착용자의 두 눈, 두 귀 등을 양쪽으로 나뉘는 평면으로, 상기 대칭면(P)은 헬멧 쉘 주체(1)를 중간에서 나뉘는 가상의 평면(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대칭면(P)은 헬멧 쉘 주체(1)의 좌우 대칭면으로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대칭면(P)은 헬멧 쉘 주체(1)를 관통할 때 헬멧 쉘 주체(1)의 외곽 외표면과 교선(S)을 형성한다(도 1 및 도 4를 참조). 본 발명의 버텀 지지부(3)는 헬멧 착용자의 귀 부근 또는 귀 옆의 헬멧 쉘 주체(1)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턱보호부(2)는 두개의 프롱(2a)을 구비하며(도 4 및 도 21을 참조), 상기 두개의 프롱(2a)은 헬멧 쉘 주체(1)의 양측에 배치(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되되, 헬멧 쉘 주체(1)의 대칭면(P)의 양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프롱(2a) 본체의 일부분이 헬멧 착용자의 귀 부근 또는 귀 옆의 헬멧 쉘 주체(1)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프롱(2a)은 턱보호부(2)의 본체 또는 본체의 연장 부재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프롱(2a)은 턱보호부(2)의 본체(상기 본체의 연장체 또는 연신체를 포함함)에 체결되거나 접속되는 상대적으로 독립된 부품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롱(2a)의 몸체는 턱보호부(2) 본체의 일부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턱보호부(2) 본체에 체결된 다른 부품도 포함한다. 도 4 및 도 23에 도시된 프롱(2a)이 턱보호부(2)의 본체 연장체 및 상기 연장체 상의 커버(2b)로 구성되므로 프롱(2a)에 커버(2b)가 포함된 경우, 도면에서 상기 프롱(2a)을 2a(2b)로 도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텀 지지부(3)는 복수의 부품으로 조립되거나 결합된 부재일 수 있으며(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부품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미도시). 여기서,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버텀 지지부(3)가 가장 바람직한 형식인데, 이 경우 자유롭게 제작, 장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4가 바로 버텀 지지부(3)가 복수의 부품으로 결합된 부재를 사용한 경우이다. 도 4에서 상기 버텀 지지부(3)는 내부 받침판(3a) 및 외부 받침판(3b)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부 도면, 예를 들어 도 32의 내부 받침판(3a)은 버텀 지지부(33a)로 도시할 수도, 외부 받침판(3b)은 버텀 지지부(33b)로 도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헬멧 쉘 주체(1)는 하나의 총칭에 해당되며, 단지 헬멧 쉘 주체(1) 자체를 가리킬 수도 있고 헬멧 쉘 주체(1)의 본체 이외의 상기 본체에 체결 및 접촉되어 있는 기타 다양한 부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부품은 통풍구, 커버, 걸이, 실링부재, 체결부재 및 에너지 흡수부재 등 다양한 기능부재 또는 장식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음 특징을 가진다. 즉, 각각의 버텀 지지부(3)에 상기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에 의해 구속되는 인너 기어(4); 및 상기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에 의해 구속되는 아웃터 기어(5)가 대응 설치되어 있고(도 4,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 상기 인너 기어(4)는 자체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하고, 상기 아웃터 기어(5)는 자체 아웃터 기어 축선(02)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을 하는데(도 28 및 도 29를 참조), 여기서 본 발명의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치합관계가 이루하며, 상기 인너 기어(4)가 내치형 기어이고, 상기 아웃터 기어(5)가 외치형 기어이므로 본 발명에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치합은 내치합 특성의 기어 동력 전달 범주에 속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에서 상기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원기둥 기어(도 4, 도 14, 도 16 내지 도 19,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일 수도 있고 원기둥 기어가 아닐 수도 있다(미도시). 그러나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모두 원기둥 기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이 모두 원기둥 기어인 경우, 인너 기어 축선(01)은 인너 기어(4) 기준 원의 원심을 지나는 축선이며, 여기서 아웃터 기어 축선(02)은 아웃터 기어(5) 기준 원의 원심을 지나는 축선이고, 인너 기어(4) 기준 원의 원심은 상기 인너 기어(4) 피치 원의 원심과 겹치며, 아웃터 기어(5) 기준 원의 원심은 원심은 상기 아웃터 기어(5) 피치 원의 원심과 겹친다. 특히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배치 구조는, 인너 기어 축선(01)과 아웃터 기어 축선(02)이 서로 평행 설치되고 헬멧 쉘 주체(1)의 대칭면(P)에 모두 수직되는 구조이다. 유의할 것은, 본 발명에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고정축 회전하는 행위는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의 구속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의 구속에 다른 구속 형태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경우가 바로 이에 해당된다. 아웃터 기어(5)는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의 구속을 받는 동시에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상호 치합에 의한 구속을 받아 고정축 회전한다. 여기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버텀 지지부(3)의 주변 엣지(3c, surrounding edge))에 의해 둘러싸여 구속될 뿐만 아니라 두 기어 사이의 상호 치합 작용에 의해 구속된다(도 4 및 도 32을 참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복수개의 부재의 구속을 받으면서 고정축 회전한다. 사실상,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텀 지지부(3)가 인너 기어(4)를 둘러싸면서 구속하는 주변 엣지(3c)이든 아웃터 기어(5)를 둘러싸면서 구속하는 주변 엣지(3c)이든 이들 주변 엣지(3c)는 모두 구속 대상을 180도 넘게 둘러싸면서 구속하는 상태를 만든다. 다시 말해, 상기 주변 엣지(3c)의 구속만으로도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를 구속할 수 있고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주변 엣지(3c)의 구속에 두 기어의 치합을 결부하면 상기 기어들을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축 회전시킬 수 있다. 만약 주변 엣지(3c)가 구속 대상인 인너 기어(4) 또는 아웃터 기어(5)를 둘러싸는 자세가 180도가 넘지 않으면(미도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치합 구속 또는 다른 부재의 구속을 결부해야만 구속 대상의 고정축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여기서, 주변 엣지(3c)는 버텀 지지부(3) 본체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주변 엣지(3c)은 바로 버텀 지지부(3)의 내부 받침판(3a) 상의 본체 구성 부분임), 주변 엣지(3c)는 또한 버텀 지지부(3)에 체결된 독립적인 구성일 수 있다(미도시). 한편, 임의의 기어를 구속하는 주변 엣지(3c)의 개수는 하나가 될 수도 복수개가 될 수도 있으며, 주변 엣지(3c)의 형상은 구체적인 구조 배치 요구에 따라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 도 7 및 도 9에서 인너 기어(4)를 구속하는 주변 엣지(3c)는 폐루프 형식의 링모양 제방으로 나타내며(상기 링모양의 주변 엣지(3c)에 일부 너치가 존재할 수 있음), 아웃터 기어(5)에 대해 구속하는 주변 엣지(3c)는 반포위 오픈 링모양의 원호형 제방으로 나타내며(상기 원호모양 주변 엣지(3c)에 일부 너치가 존재할 수 있음), 사실상 본 발명의 상기 주변 엣지(3c)는 환호모양의 구조일 뿐만 아니라 그외 다른 보스 모양, 돌출 키 모양, 포스트 모양, 러그 모양 등 구조 일 수 있다. 그 배치 형식은 연속 구조일 수 있도, 불연속 구조일 수 도 있는 바, 예를 들어 3개의 예각삼각형으로 분포된 접촉점(즉, 이 3개 점을 꼭지점으로 할 경우 이들로 이루어진 삼각형은 예각삼각형을 이룬다)을 구속 부재로 사용하면, 이들에 의해 구속되는 고정축 행위의 효과는 180도 이상의 링 엣지이 구속에 의한 고정축 행위 효과와 대등하다. 여기서 지적해야 할것은, 상기 주변 엣지(3c)의 구조와 구성을 이용하여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를 구속하는 것 외에, 본 발명은 축/구멍 구조 또는 축/슬리버 구조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회전 행위를 구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축/구멍 구조 또는 축/슬리버 구조에 의해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를 구속하여 고정축 회전시킬 수 있다. 예들 들어, 버텀 지지부(3)에 구멍 또는 슬리버 구조(이들 구멍, 슬리버는 완전한 구조일 수도 너치가 존재하는 비완전한 구조일 수도 있다)가 형성되고 인너 기어(4) 또는/및 아웃터 기어(5)에 이들 구멍 또는 슬리버와 함께 회전 결합하는 축 구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인너 기어(4) 또는 아웃터 기어(5)에 대해 고정축 구속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이런한 구속에 의해서도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고정축 회전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너 기어(4)에 설치된 축의 축선은 반드시 인너 기어 축선(01)과 일치해야 하며 버텀 지지부(3)에 형성되고 이와 매칭되는 구멍 또는 슬리버와 동일 축에 있어야 하며, 상기 아웃터 기어(5)에 설치된 축의 축선은 아웃터 기어 축선(02)과 일치해야 하며 버텀 지지부(3)에 형성되고 이와 매칭되는 구멍 또는 슬리버와 동일 축에 있어야 한다. 도일한 원리로, 버텀 지지부(3)에 축유형 구조를 설치하고 인너 기어(4) 또는/및 아웃터 기어(5)에 구멍 또는 슬리버 구조를 형성하여 매칭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미도시). 원리가 비슷하므로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겠다. 본 발명에 기재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서로 치합 결합된다는 것은 치형 구조 또는 구성으로 서로 맞물리어 치합에 의해 운동 및 동력의 전달과 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유효한 기어치는 사이클 한 바퀴에 모두 분포, 즉 360도 전체에 유효 기어치가 모두 분포될 수도 있으나(예를 들어, 도 4, 도 17, 도 19,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아웃터 기어(5)가 바로 이 경우이다), 한 바퀴에 모두 분포되지 않아도 된다. 이들 유효한 기어치가 분포된 기준 원의 호 길이는 360도가 되지 않으며 한 바퀴 전체에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도 4, 도 14, 도 16,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인너 기어(4)가 바로 이 경우에 속한다). 여기서, 소위 말하는 유효한 기어치는 치합 구속에 참여하는 기어치(치 및 치홈을 포함하며, 이하 동일함)를 가리킨다. 한편, 모듈러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유효한 기어치를 가늠하거나 평가할 수 있으나 모듈러스를 이용하지 않고 그 기어치의 크기를 가늠 및 평가할 수도 있다. 모듈러스를 이용하여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의 유효한 기어치를 가늠하거나 기어치 크기를 평가할 때(예를 들어, 치합되는 두 기어는 모두 인벌류트 기어인 경우), 양자는 일일히 쌍을 지어 치합되는 기어치(치 및 치홈을 포함함)로서, 모듈러스가 동일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형 또는 수정한 기어치 또는 치홈이 서로 치합되는 경우에 모듈러스가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게다가 동일한 기어일 지라도 반드시 모든 유효 기어치의 모듈러스가 반드시 일치할 필요가 없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인너 기어(4)의 모든 유효 기어치에 개별 또는 일부 이형 기어치 또는 이형 치홈(도 14, 도 16, 도 27 및 도 28의 이형 치홈(8b) 및 수정한 기어치(8c)를 참조)이 있을 수 있으며, 아웃터 기어(5)의 모든 유효 기어치에 개별 또는 일부 이형 기어치 또는 이형 치홈(도 17 내지 도 18, 도 27 및 도 28의 이형 기어치(8a)를 참조)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준 원에서 관찰하거나 가늠할 경우,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에 기어치 두께가 상이하거나 치홈 폭이 상이한 기어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이 바로 인너 기어(4)에 이형 치홈(8b)이 존재하고 아웃터 기어(5)에 이형 기어치(8a)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인너 기어(4)의 이형 치홈(8b)은 치홈 형식으로 존재하고 아웃터 기어(5)의 이형 기어치(8a)는 치 형식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아웃터 기어(5)의 이형 기어치(8a)와 인너 기어(4)의 이형 치홈(8b)은 서로 치합되는 구속 대상에 속하며, 도 27 및 도 28은 인너 기어(4)에 치 형태의 수정 기어치(8c)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이형 기어치(8a)와 수정 기어치(8c)는 양자의 치형 크기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정상적인 유효 기어치의 치형과도 상이함을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만약 이형 기어치(8a)와 수정 기어치(8c)가 모듈러스를 이용하여 그 치형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면 양자의 모듈러스 또한 상이할 것이며 이들의 모듈러스도 다른 정상적인 유효 기어치의 모듈러스와도 같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또한 다음 경우를 더 포함함을 밝혀둔다. 즉,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치합 운동하는 과정에 개별 또는 복수의 비기어식 치합 행위가 발생할수 있는 바,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정상적으로 치합되는 일부 간격, 구간 또는 과정에 과도성 비기어 부재의 치합 형식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홈 형식의 치합, 키/홈 형식의 치합, 캠/오옥부재 형식의 치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기어식 치합 부재 크기는 모듈러스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고 모듈러스와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 평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비기어식 치합에 있어서, 그 치합구조의 크기 또한 모듈러스가 아닌 다른 형식으로 가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형 기어치(8a), 이형 치홈(8b) 및 수정 기어치(8c)는 모듈러스를 이용하여 그 치형 또는 치홈 크기를 가늠하는 전통적인 기어 형태일 수 있으며, 치형 또는 치홈 크기를 모듈러스로 가늠하지 않은 비기어식 치합 부재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비록 본 발명에 비기어식 부재의 치합 형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비기어식 부재의 치합은 단지 보조 역할을 하는 과도형식의 치합으로 사용된다. 턱보호부(2)가 신축 변위 및 스윙 각도의 변화를 하도록 인도하고 구속하는 위치 및 자세 변환기구는, 주로 기어식 치합 구속에 의해 구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의 특성 및 행위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 특히 유의할 것은, 본 발명에서 서로 치합되는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유효 기어치의 치형은 종래의 다양한 기어 치형, 예를 들어 contour evolution method, generating method, forming method 등 generative method를 통해 얻은 치형, 및 다양한 모듈 제조, 화이 커팅 제조, electrical sparkle 제조 및 3차원 성형 제조 등 각종 제조 방법을 통해 얻은 치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어치의 치형은 involute 치형, 스윙 치형 및 hyperbolic 치형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볼루트(involute) 기어의 제작 원가가 상대적으로 낮고 장착 및 디버깅이 상대적으로 쉽다. 여기서 인볼루트(involute) 기어치가 스퍼 기어(spur gear) 형식으로도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치형 중에서 인볼루트(involute) 치형이 가장 바람직하다(도 4, 도 14, 도 16, 도 17 내지 도 18,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기어가 바로 involute 기어치의 경우이다). 본 발명은 인너 기어(4)의 본체 또는 그 부착 어샘블리 상에 하나의 슬롯(6)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슬롯(6)은 인너 기어(4)의 본체(도 4,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됨)에 형성될 수도, 인너 기어(4)에 고정된 부착 어샘블리(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 어샘블리는 인너 기어(4)에 체결된 다른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롯(6)은 관통 특성이 있어, 인너 기어 축선(01)의 축 방향에서 관찰할 때 상기 슬롯(6)은 눈으로 확인가능한 관통 형태임을 밝혀둔다(도 4, 도 13 내지 도 16, 도 27, 도 28 및 도 30을 참조). 여기서, 슬롯(6)의 형상(인너 기어 축선(01)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관찰하여 얻은 형상을 가리킴)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바 형태, 특히 직선 바 형태인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도 4, 도 13 내지 도 16, 도 27, 도 28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는 직선 바 형태의 슬롯(6)의 구조가 가장 간단하고 차지하는 공간도 작으므로 이를 은폐하고, 감추고, 차폐하고 가리기 쉽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슬롯(6)을 통과하는 하나의 전동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31을 참조). 상기 전동부재(7)는 아웃터 기어(5)와 프롱(2a) 사이에 배치되고, 인너 기어(4)의 본체 또는 그 부착 어샘블리를 관통하여 아웃터 기어(5) 및 프롱(2a)에 각각 연계된다. 본 발명에서 헬멧 쉘 주체(1)의 동일측에 위치한 버텀 지지부(3), 프롱(2a),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전동부재(7)는 함께 하나의 관련 기구를 구성하는데, 상기 하나의 관련 기구에 포함된 부품들 사이에 조립관계 또는 궤도 구속 관계 또는 위치 잠금 관계 또는 운동 결합 관계 또는 힘에너지 전달 관계 등이 존재한다. 한편, 유의할 것은 본 발명의 전동부재(7)는 적어도 두개의 엔드부를 포함하는데, 다시 말해 상기 전동부재(7)는 외부 부품과 결합하는 적어도 두개의 엔드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동부재(7)는 하나의 단일 부품일 수도,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결합 부재일 수도 있다. 전동부재(7)가 결합 부재일 때, 이들 결합 부재 사이는 서로 견고히 결합된 것일 수도, 활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동부재(7)는 다음 두가지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상기 전동부재(7)가 아웃터 기어(5)에 체결되고(상기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도 4, 도 17 내지 도 19가 바로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 경우이다); 2)상기 전동부재(7)가 프롱(2a)에 채결된다(상기 전동부재(7)와 프롱(2a)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을 포함, 미도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롱(2a)은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단일 구조의 몸체 구조일 수 있으며, 복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부재로서, 결합된 구조의 몸체 구조일 수도 있다(도 4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23에서 상기 프롱(2a)은 사실상 턱보호부(2)의 본체(본체의 연장체를 포함)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된 커버(2b) 등 부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동부재(7)가 프롱(2a)에 체결되는 경우는 상기 전동부재(7)가 프롱(2a)의 본체에 바로 체결되는 경우(턱보호부(2)의 본체 또는 그 연장체 상에 체결됨, 미도시)와 상기 전동부재(7)가 프롱(2a)의 부품에 체결(미도시)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서, 상기 프롱(2a)은 인너 기어(4) 상의 슬롯(6)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아웃터 기어(5)와 인너 기어(4)는 서로 치합되어 하나의 운동 구속 쌍을 이루고, 상기 인너 기어(4)와 프롱(2a)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하나의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룬다. 상기 전동부재(7)의 일단은 아웃터 기어(5)와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는데, 상기 구속 관계에 의해 전동부재(7)가 아웃터 기어(5)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아웃터 기어(5)가 전동부재(7)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동부재(7)의 타단은 프롱(2a)과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는데, 상기 구속 관계에 의해 프롱(2a)이 전동부재(7)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전동부재(7)가 프롱(2a)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아웃터 기어(5)와 인너 기어(4)로 이루어진 운동 구속 쌍은 기어 구속 쌍에 속하며, 인너 기어(4)와 프롱(2a)으로 이루진 운동 쌍은 슬라이딩 구속 쌍에 속한다(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은 홈 레일 타입, 가이드 레일 타입 또는 다른 타입의 슬라이딩 쌍일 수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본 발명은 인너 기어(4) 상에서 슬라이딩 구속 쌍을 구성하는 요소를 제1 슬라이딩 레일(A)(도 4, 도 1 3 내지 도 16, 도 31을 참조)이라고 통칭하고, 프롱(2a) 상에서 슬라이딩 구속 쌍을 구성하는 요소를 제2 슬라이딩 레일(B)(도 4, 도 21, 도 22 및 도 31을 참조)이라고 통칭한다. 이들 제1 슬라이딩 레일(A)과 제2 슬라이딩 레일(B)은 상응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룬다(도 26을 참조). 이에 의해 인너 기어(4)와 프롱(2a)을 구속하여 이들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구현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구속 쌍은 사실상 종래의 각종 홈 레일 타입의 슬라이딩 구속 쌍 및 각종 가이드 레일 타입의 슬라이딩 구속 쌍을 포함하고, 홈 레일 타입 슬라이딩 구속 쌍이든 가이드 레일 슬라이딩 구속 쌍이든 이들의 홈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A)과 제2 슬라이딩 레일(B)은 일일히 대응하여 슬라이딩 구속 쌍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즉, 각 제1 슬라이딩 레일(A)에 단지 하나의 제2 슬라이딩 레일(B)이 슬라이딩 결합되고, 또한 각 제2 슬라이딩 레일(B)에 단지 하나의 제1 슬라이딩 레일(A)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일일히 대응하지 않고 슬라이딩 구속 쌍을 구성할 수도 있다(즉, 각 제1 슬라이딩 레일(A)이 복수의 제2 슬라이딩 레일(B)과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반대로 각 제2 슬라이딩 레일(B)이 복수의 제1 슬라이딩 레일(A)과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강조할 것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A)과 제2 슬라이딩 레일(B)의 역할은 서로 전환될 수 있는 바, 구조 특징 및 성능 특징으로부터 볼때,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A)과 제2 슬라이딩 레일(B)은 역할을 서로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역할 교체를 진행한 전과 후, 턱보호부(2)에 대한 운동 구속 및 트랙 구속에 의해 달성한 효과는 대등하거나 동등한 효과를 가진다. 구조 특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만약 기존의 제1 슬라이딩 레일(A)이 오목 홈 구조이고 기존의 제2 슬라이딩 레일(B)이 볼록 레일 구조이되, 서로 매칭되면, 양자는 다음과 같이 역할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제1 슬라이딩 레일(A)의 오목 홈 구조를 볼록 레일 구조로 바꾸는 동시에 이와 매칭되는 기존의 볼록 레일 구조의 제2 슬라이딩 레일(B)을 오목 홈 구조로 바꾼다. 이렇게 교체한 전과 후의 슬라이딩 구속 쌍은 동등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상기 프롱(2a)이 인너 기어(4)의 슬롯(6)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또는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을 때를 관찰한다고 가정하면, 이때 인너 기어 축선(01)을 따라 헬멧 외부에서 헬멧 내부(또는 헬멧 쉘 주체(1)를 향하여)로 진행하면, 먼저 프롱(2a)의 몸체를 만나고 다음으로 인너 기어(4)의 슬롯(6)에 도달한 후 마지막으로 헬멧 쉘 주체(1)에 도착한다. 다시 말해, 헬멧 쉘 주체(1)와의 위치 거리에 따라 상기 프롱(2a)은 슬롯(6)보다 더욱 먼 외측단에 있고, 본 발명은 프롱(2a)을 슬롯(6)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을 통해 프롱(2a)이 슬롯(6)을 덮는 유리한 조건을 만련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턱보호부(2) 및 상기 동일한 관련 기구에 속한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및 전동부재(7)(즉, 동일한 관련 기구에 속한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및 전동부재(7)에 하나의 턱보호부(2)를 더하면 총 4개 부품이다)가 수행하는 구동과 운행 로직은 적어도 다음 a), b) 및 c)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즉, a)먼저, 턱보호부(2)가 초기 선회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턱보호부(2)가 그 프롱(2a)을 통해 인너 기어(4)가 자체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회전 운동하도록 한 후 인너 기어(4)가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5)가 자체 아웃터 기어 축선(02)을 에워싸면서 회전 운동하도록 한 후, 아웃터 기어(5)가 전동부재(7)를 통해 프롱(2a)이 동작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2a)이 인너 기어(4)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가 발생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턱보호부(2)가 그 선회 과정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도록 한다; b)먼저, 인너 기어(4)가 초기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회전 동작을 하도록 한 다음 상기 인너 기어(4)가 그와 프롱(2a)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을 통해 턱보호부(2)가 상응한 선회운동(여기서, 인너 기어(4)의 회전 작용력은 토크 형식으로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에 작용하며 상기 토크를 통해 프롱(2a)이 회전운동하도록 하고 턱보호부(2)가 상응한 선회운동을 하도록 한다)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인너 기어(4)가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5)가 자체 웃터 기어 축선(02)을 에워싸면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아웃터 기어(5)가 다시 전동부재(7)를 통해 프롱(2a)이 동작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서 상기 프롱(2a)이 인너 기어(4)에 대해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턱보호부(2)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도록 한다; c) 먼저, 아웃터 기어(5)가 초기 아웃터 기어 축선(02)을 에워싸면서 회전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아웃터 기어(5)가 치합관계를 통해 인너 기어(4)가 자체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회전하도록 하고, 한편으로 인너 기어(4)가 그와 프롱(2a)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을 통해 턱보호부(2)가 상응한 선회운동 (여기서, 인너 기어(4)는 회전에 의해 토크 작용을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에 인가하고 이를 통해 프롱(2a)을 회전 운동시켜 턱보호부(2)가 상응한 선회운동을 하도록 한다)을 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아웃터 기어(5)가 다시 전동부재(7)를 통해 프롱(2a)이 동작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2a)이 인너 기어(4)에 대해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턱보호부(2)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 및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기재된 "선회 동작”은 턱보호부(2)가 운동할 때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각도 회전이 있으며, 특히, 상기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진행하는 운동 과정 및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는 운동 과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소위말하는 "초기”는 턱보호부(2), 인너 기어(4) 또는 아웃터 기어(5) 중 가장 먼저 구동되는 부품(또는 외력에 의해 가장 먼저 구동되는 부품)이 행한 역학 행위 또는 운동 행위를 의미한 바, 이하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턱보호부(2) 및 상기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 있는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및 전동부재(7)가 수행한 구동 및 운행 로직은 상기 a), b) 및 c) 중 어느 한가지 경우일 수 있으며, 상기 a), b) 및 c) 중 임의의 두 경우의 조합일 수도 있으며, 상기 a), b) 및 c) 3가지 경우를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a), b) 및 c) 중 어느 한가지 경우 또는 임의의 2가지 경우 또는 3가지 경우에 다른 형식의 구동 및 운행 로직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경우의 구동과 운행 로직 중에서 a)경우의 구동과 운행 로직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a)경우의 구동과 운행 로직이 동력을 가장 간결하게 전달하기 때문이다(이때, 헬멧 착용자가 단지 손으로 턱보호부(2)를 젖히기만 하면 턱보호부(2)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a)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서 수동으로 구동 및 운행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헬멧 착용자가 손으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또는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또는 어느 중간 상태 구조 위치인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의 턱보호부(2)를 언록하고→ 다음으로 헬멧 착용자가 손으로 턱보호부(2)를 올리거나 내려 상기 턱보호부(2)가 초기 선회 동작을 하도록 하며→다음으로 상기 턱보호부(2)가 다시 프롱(2a)을 통해 인너 기어(4)가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회전 운동하도록 하며 →이어서 인너 기어(4)가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5)가 아웃터 기어 축선(02)을 에워싸면서 회전하도록 하고→또 아웃터 기어(5)가 전동부재(7)를 통해 프롱(2a)이 동작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하에 프롱(2a)이 인너 기어(4)에 대해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하므로→ 프롱(2a)이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신축운동을 파생시키며→마지막으로 턱보호부(2)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턱보호부(2)의 선회 과정을 볼때, 본 발명은 단지 턱보호부(2)에 대한 간단한 선회 동작만으로 턱보호부(2)를 올리는 동시에 턱보호부(2)의 신축운동을 구현할 수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기어 치합 원리를 이용하는 동시에 전동부재(7)를 통해 왕복운동을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가변 턱보호 구조형 헬멧에서 턱보호부(2)에 대해 선회, 당김 및 누름을 동시에 진행해야만 하는 복잡한 조작동작을 크게 간소화시킬 수 있다(중국 특허 ZL201010538198.0 및 스페인 출원특허 ES2329494T3을 참조). 본 발명의 프롱(2a)이 인너 기어(4)에 대한 슬라이딩 변위는 여전히 왕복 신축하는 이동 특성이 있음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의 턱보호부(2) 및 프롱(2a)은 선회 운동을 하는 동시에 인너 기어(4)에 대한 왕복 운동도 함께 한다(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왕복 운동하는 것에 해당).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턱보호부(2)는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 위치와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너 기어(4)와 프롱(2a)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은 홈 레일 타입, 가이드 레일 타입 또는 다른 결합 방식의 슬라이딩 쌍(sliding pair)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너 기어(4)와 프롱(2a)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은 종래의 다양한 슬라이딩 쌍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딩 홈/슬라이딩 블록 타입, 가이드 로드/가이드 슬리브 타입, 슬라이딩 홈/가이드 네일 타입, 슬라이딩 홈/슬라이딩 레일 타입 등 슬라이딩 쌍 형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턱보호부(2)의 프롱(2a)의 가장 바람직한 배치 방식은 인너 기어(4)에 접합되거나 밀착되거나 상감되어 이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턱보호부(2)가 초기 선회 동작을 하도록 하거나, 인너 기어(4)가 초기 회전 동작을 하도록 하거나, 아웃터 기어(5)가 초기 회전 동작을 하도록 하는 구동 동력은, 모터의 구동, 스프링의 구동 또는 사람 손에 의한 구동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동력은 단일 구동 형식일 수도, 복수의 연합 구동 형식일 수도 있으나, 사람의 손으로 젖히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사람의 손으로 하는 구동 형식이 가장 간단하면서 믿음직하기 때문이다. 이때, 헬멧 착용자는 손으로 턱보호부(2)를 직접 젖혀서 턱보호부(2)가 선회 동작하도록 하거나 또는 손으로 인너 기어(4)를 직접 젖혀서 상기 인너 기어(4)가 회전 동작하도록 하거나 손으로 아웃터 기어(5)를 젖혀서 상기 아웃터 기어(5)가 회전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손으로 관련 구성 부재를 젖히는 방식 외에 헬멧 착용자는 끈, 당김 부재, 가이드 로드 등 각종 연결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턱보호부(2), 인너 기어(4) 또는 아웃터 기어(5)가 해당 운동 행위를 하도록 할 수 있다(미도시). 특히, 본 발명에 언급된 "인너 기어(4)가 인너 기어 축선(01)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하고, 아웃터 기어(5)가 아웃터 기어 축선(02)을 에워싸하면서 고정축 회전한다”는 내용에서, 인너 기어 축선(01)과 아웃터 기어 축선(02)은 반드시 절대적인 고정축 상태 및 절대적인 직축(直軸) 상태가 아니어도 가능하며 이들 축선에 일정한 요잉 오차 및 변형 오차가 존재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 제조 오차, 장착 오차, 수력(受力) 변형, 온도 변화 오차, 진동 변형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 하에 상기 인너 기어 축선(01) 및 아웃터 기어 축선(02)은 일정 오차 범위 내의 편이, 표류, 흔들림, 스윙 및 곧지 않음 등 스윙 상황 및 왜곡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일정한 오차 범위는 마지막 총체적인 효과로서, 턱보호부(2)의 정상적인 선회에 영향주지 않은 정도의 오차 범위를 의미한다. 의심할 바 없이, 본 발명은 각종 스타일링 수요, 장애물을 통과하는 수요, 위치 잠금에 대한 수요 등 요소로 인해 일부 영역 내에 인너 기어 축선(01)과 아웃터 기어 축선(02)이 평행되지 않고 곧지 않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스타일링 수요"는 턱보호부(2)가 헬멧의 전체 디자인에 어울리기 위한 것이며, "장애물을 통과하는 수요"는 턱보호부(2)가 헬멧의 어느 극한 지점, 예를 들어 최고 지점,최후 지점 및 가장 넓은 지점 등을 지나면서 나타난 것이며, "위치 잠금에 대한 수요"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및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그리고 이러한 특정 위치 부근에서 일부 걸림부재를 뛰어넘기 위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상기 원인으로 인너 기어 축선(01)과 아웃터 기어 축선(02)에 축선 불평행 및 곧지 않은 현상(헬멧 쉘 주체(1)의 대칭면(P)에 수직이 아닌 현상을 더 포함함)이 생기더라도 턱보호부(2)의 정상적인 선회 동작에 영향주지 않기만 하면, 허용된 오차범위 내에 있다고 간주한다. 유의할 것은, 본 발명에 기재된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는 턱보호부(2)의 위치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중간 상태의 헬멧 형식에 속하며 오픈 페이스 구조 헬멧(오픈 페이스 헬멧이라고 약칭함)이라고도 부른다. 오픈 페이스 헬멧은 "준 하프-페이스 구조형 헬멧”에 속하며,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에 있는 턱보호부(2)는 약간 올린 정도, 중간 올린 정도 및 많이 올린 정도 등 상이한 위치 상태(여기서, 올린 정도는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의한 것으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의 턱보호부(2)를 영(0) 올린 정도로 정의함, 즉, 전혀 오픈되지 않은 상태임)를 나타낼 수 있다. 소위말하는 약간 올린 정도는 턱보호부(2)가 약하게 오픈된 상태를 의미하며, 약간 올린 턱보호부(2)는 통풍과 헬멧 내의 호흡 입김을 배출하는데 유리하며, 소위말하는 중간 올린 정도는 턱보호부(2)가 착용자의 이마 부근까지 올린 상태를 의미하며, 이 상태는 착용자가 대화하고 잠시 휴식 등 활동을 하는데 유리하다. 소위말하는 많이 올린 정도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 또는 그 부근에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 상태는 특히 착용자가 물을 마시거나 사물을 관찰하거나 다른 활동을 진행하는데 적합하다. 여기서 언급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턱보호부(2) 및 그 프롱(2a)은 인너 기어(4)와 회전 방향이 같고 회전속도가 같은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회전하는 각속도를 가진다. 다만, 이때 턱보호부(2) 및 그 프롱(2a)은 인너 기어(4)와 동기 회전하는 동시에 인너 기어(4)에 대한 신축운동을 동반한다. 슬롯(6)은 인너 기어(4)의 본체 또는 그 부착 어샘블리에 형성되므로 인너 기어(4)를 따라 동기화 및 동일한 회전운동을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턱보호부(2) 및 그 프롱(2a)은 사실상 상기 슬롯(4)과 함께 동기 회전하는 동작을 한다. 한편, 반드시 유의할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일한 관련 기구 내의 프롱(2a)은 인너 기어(4)의 슬롯(6)의 외측에 배치되고, 본 발명의 슬롯(6)의 외측에는 함께 동기 회전하는 프롱(2a)이 항상 존재한다. 이는 턱보호부(2)를 올리거나 내리는 모든 선회 과정에 본 발명의 프롱(2a)의 몸체가 슬롯(6)을 덮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여기서, 본 발명의 턱보호부(2), 그 프롱(2a)의 몸체는 슬롯(6)과 함께 동기 회전운동을 하는데, 프롱(2a)과 슬롯(6)은 모두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동일한 각속도를 가짐을 특별히 밝혀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롱(2a)이 인너 기어(4)에 대한 신축 이동은 슬롯(6)의 개구 방향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프롱(2a)은 슬롯(6)의 외측에 배치되며, 설사 상대적으로 너비가 좁은 프롱(2a) 몸체 구조일지라도, 본 발명은 여전히 슬롯(6)을 항상 그리고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본 발명이, CN105901820A, CN101331994A, WO2009095420A1와 같은 종래의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 기술과 현저하게 다른 점이다. 본 발명의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5에 그 전체 변화 과정를 도시하였다. 도 5(a)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에 있는 풀-페이스 헬멧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 →도 5(b)는 턱보호부(2)가 올려지는 과정 중에 있는 상승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 →도 5(c)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을 지나가는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이 상태도 오픈 페이스 헬멧 상태에 속함) →도 5(d)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후두부로 접히는 반락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 →도 5(e)는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로 반락되는 하프-페이스 헬멧 위치 상태에 해당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 및 회복하는 과정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6은 전반적인 변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6(a)은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에 있는 하프-페이스 헬멧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6(b)는 턱보호부(2)가 복귀하는 과정에 헬멧 쉘 주체(1)의 후두부(뒷통수)까지 올라간 상태에 해당되며→도 6(c)은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을 통과하는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6(d)은 턱보호부(2)가 복귀하는 마지막 과정의 반락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6(e)은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로 복귀하는 풀-페이스 헬멧 위치 상태에 해당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턱보호부(2)의 다양한 구조 위치 및 턱보호부(2)의 각종 선회 과정에서 상기 슬롯(6)이 턱보호부(2)의 프롱(2a)의 좁은 몸체에 의해 완전히 덮혀짐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이 항상 슬롯(6)을 완전히 덮어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은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를 모두 고정축 회전시키고 치합을 통해 운동 구속 쌍을 구성하도록 하는 동시에 인너 기어(4)와 프롱(2a)을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도록 하되, 전동부재(7)를 통해 아웃터 기어(5)의 회전 운동을 프롱(2a)에 전달하여 인너 기어(4)에 대한 신축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턱보호부(2)의 위치와 자세가 턱보호부(2)의 펼쳐짐 또는 접힘 동작에 따라 정확하게 변화하도록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변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기어 치합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특성을 감안하면,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자세 변환시의 기하학적 운행 궤도의 유일성 및 가역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턱보호부(2)의 어느 한 구체적인 위치는 반드시 구체적인 유일한 자세와 대응되기 마련이다. 상기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정방향 회전 운동을 하든 역방향 회전 운동을 하든 턱보호부(2)가 어느 한 특정 코너에서의 자세는 유일하며 또한 역으로도 회전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턱보호부(2)의 프롱(2a)은 인너 기어(4)의 슬롯(6)을 기본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부 이물질이 구속 쌍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멧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외부 소음이 헬멧 내부로 들어오는 경로를 차단하여 헬멧 착용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아웃터 기어(5)의 운동이 고정축 회전에 속하므로 상기 아웃터 기어(5)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 강도와 세기가 약한 버텀 지지부(3)에 체결 구조를 배치하는데 유연한 대안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아웃터 기어(5)의 외주 및 인너 기어(4)의 내주 및 외주 등 위치에 보강재 및 체결 못과 같은 구성, 구조 또는 부재를 배치할 수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는 종래의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 기술에 없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버텀 지지부(3)의 지지 강도를 높임으로써 헬멧의 전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N105901820A, CN101331994A, WO2009095420A1과 같은 종래의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 기술은 모두 턱보호부(2)와 함께 스윙 회전하는 기어 또는 래크의 구조와 운행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이들 기어 또는 래크가 스쳐지나가는 공간이 매우 크므로 헬멧의 강도 및 세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과 종래 기술과의 현저한 차이점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로 이루어진 운동 구속 쌍은 평면 기어 전동 기구의 범주에 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평면 기어 전동 기구의 한 가지 특징은 서로 치합되는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축선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5)의 아웃터 기어 축선(O2)은 서로 평행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인너 기어(4)가 고정축 회전하면서 에워싸는 인너 기어 축선(O1)은 고정 축선이고, 아웃터 기어(5)가 고정축 회전하면서 에워싸는 아웃터 기어 축선(O2)도 고정 축선이다. 이에 따라서 인너 기어 특성을 갖는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 특성을 갖는 아웃터 기어(5)는 치합운동할 때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갖는다(도 28 및 도 29을 참조). 여기서,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은 모두 헬멧 쉘 주체(1)의 대칭면(P)에 수직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서, 본 발명의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모두 스퍼 기어(spur gear)(도 14,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아 같이) 및 헬리컬 기어(helical gear)(미도시)를 포함하는 원기둥 기어 형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배치 구조의 장점은 이들로 구성된 기어 치합 쌍이 공간 이용에 있어서 헬멧 외관 구조의 디자인에 잘 어울리고 순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기어 구조는 상대적으로 납작하므로, 헬멧 쉘 주체(1)의 두께, 특히 헬멧 쉘 주체(1)의 대칭면(P)에 수직인 방향의 두께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더욱 쉽게 만족할 수 있다. 원기둥 기어 형식의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는 대칭면(P)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크기가 작으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서로 치합될 때 형성되는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R/r=2를 만족하도록 한다(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 여기서,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은 인너 기어(4) 상에 형성되고,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은 아웃터 기어(5) 상에 형성되며,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서로 치합될 때만 상기 피치 원이 생성된다. 분명한 것은,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를 만족할 때, 상기 인너 기어(4)가 인너 기어 축선(O1)을 에워싸면서 회전하는 속도는 아웃터 기어(5)가 아웃터 기어 축선(O2)을 에워싸면서 회전하는 속도의 절반이다. 다시 말해 아웃터 기어(5)의 회전 속도는 인너 기어(4)의 회전속도보다 1배 더 빠르거나 두 기어가 치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행한 후 인너 기어(4)의 회전 각도(즉, 인너 기어 축선(O1)에 대한 회전 중심각)는 아웃터 기어(5)의 회전 각도의 절반밖에 안된다(즉, 아웃터 기어 축선(O2)에 대한 회전 중심각). 상기 치합 구속 관계에 따라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를 배치 및 설계하여 제작된 헬멧은, 동작이 독특할 뿐만 아니라 장점이 뚜렷한 턱보호부(2)의 자세를 제어하는 규칙을 얻게 된다(후술 설명 및 증명 부분을 참조). 유의할 것은,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모두 표준 기어로 설계될 때 상기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 및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은 각자의 기준 반경(reference radius)과 같게 된다. 여기서,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는 설계, 제조 및 검증 용도로 사용되는 기준 반경을 항상 갖고 있으나 상기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 및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은 이들이 -치합될 때에만 나타난다. 추가 설명해야 할 것은,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에 이형 치홈(8b)과 이형 기어치(8a)가 쌍을 이루어 치합되는 경우, 치합결합되는 이형 기어치(8a)와 이형 치홈(8b)의 피치 원 반경도 상기 규칙에 따라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7 및 도 28의 실시예에서 아웃터 기어(5)에 치아 형태로 나타난 이형 기어치(8a)의 피치 원의 반경 크기는 인너 기어(4) 상의 치홈 형태로 나타난 이형 치홈(8b)의 피치 원의 반경 크기의 절반밖에 안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 바람직한 설계를 더 포함한다. 즉, 인너 기어(4) 상에 이형 기어치 및 이형 치홈을 포함한 모든 유효 기어치는 같은 값의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를 가지며, 아웃터 기어(5) 상에 이형 기어치 및 이형 치홈을 포함한 모든 유효 기어치는 같은 값의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를 갖는다(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이들이 상기 파라미터에 따라 설계 및 배치할 경우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치합 결합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의 비례 값이 관계식 R/r=2을 만족하는 원칙에 따라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유효 기어치를 배치할 때,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다음과 같다(도 28 및 도 29를 참조). 즉,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모두 고정축 회전하면서 치합운동할 경우, 상기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은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축선(O1)을 반드시 지나게 되며(이는 분명한 것이다),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 상에 인너 기어 축선(O1)과 겹치는 일 점이, 아웃터 기어(5)와 함께 회전운동할 때 반드시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하는 인너 기어(4)의 일 반경에 항상 위치한다. 다시 말해, 이때 전동부재(7)를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 상에 배치할 경우 상기 전동부재(7)는 인너 기어(4) 상에 동기 회전하는 하나의 반경과 항상 교집합이 존재한다. 이 경우 슬롯(6)을 직선 형상의 노치로 설계하여 인너 기어 축선(O1)을 지나거나 인너 기어 축선(O1)에 정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동부재(7)가 상기 슬롯(6) 내에서 기본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활하게 왕복운동하게 된다(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슬롯(6)을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튜닝할 때도 아주 편리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경우 턱보호부(2)의 프롱(2a) 몸체가 슬롯(6)을 더욱 간편하게 덮을 수 있어 외부에 적게 노출시키거나 전혀 노출시키지 않는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사실상,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서로 치합될 때 형성된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을 만족하게 될 경우 반드시 상기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도 28 및 도 29를 참조). 1) 먼저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5)의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을 만족할 경우,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은 반드시 인너 기어 축선(O1)을 지나고, 인너 기어(4)의 피치 원과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은 반드시 접하게 되므로 이들의 접점(K)은 반드시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이루어진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증명하지 않아도 자명한 것이다(즉, 인너 기어 축선(O1)의 초점, 아웃터 기어 축선(O2)의 초점, 접점(K)은 반드시 동일 직선상에 있다). 2) 다음으로 증명해야 할 것은,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치합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 상의 한 점(M)(상기 점(M)은 상기 아웃터 기어(5) 상에 항상 고정되어 아웃터 기어(5)와 함께 동기 회전한다)은 항상 인너 기어(4) 상의 하나의 반경(O1N) 상에 위치한다(상기 반경(O1N)은 상기 인너 기어(4) 상에 항상 고정되고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하는 바, 즉, 반경(O1N)의 엔드 점(N)은 인너 기어(4)의 피치 원 상에 항상 고정되어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한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도 29(a)는 도 28(a)에 대응되고, 도 29(b)는 도 28(b)에 대응되며, 도 28(a) 및 도 29(a)는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가 운동시작한 초기 위치 상태(상기 초기 위치 상태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는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에 대응되며, 도 28(b) 및 도 29(b)는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가 치합운동을 시작하여 일정한 각도 치합회전한 후의 위치 상태(상기 위치 상태는 턱보호부(2)가 선회과정의 임의의 중간 위치인 상태에 대응된다)에 대응된다. 일반성을 잃지 않도록 도 28(a) 및 도 29(a)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점(M)이 인너 기어 축선(O1)과 겹치는 M1위치에 위치하고(상기 위치는 인너 기어 축선(O1)의 축 방향 초점이기도 한다), 상기 반경(O1N)는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수직인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이때 반경(O1N)의 엔드 점(N)은 O1K과 수직되는 N1에 위치하고 상기 엔드 점(N)의 실시간 위치도 도면에서 N(N1)로 표시할 수 있으며, 선분(O1N1)은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의 접선이 되고, 그 접점은 (M1, O1)이며, 전동부재(7)의 회전축선(O3)도 이때 마침 인너 기어 축선(O1)과 겹치므로, 상기 접점은 (M, M1, O1, O3)로 표시할 수도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치합회전한 후, 상기 아웃터 기어(5) 상의 M점은 M2 위치에 옮겨지며, 이와 상응되게 인너 기어(4)의 N점은 N2 위치에 옮겨진다. 상응하게, 이때 M점의 실시간 위치는 도면에서 M(M2)로, N점의 실시간 위치는 도면에서 N(N2)로 표시할 수 있다. 인너 기어의 피치 원 반경R와 아웃터 기어의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를 만족하므로, 이때 상기 N점이 회전하는 인너 기어(4)의 중심각이 ∠N1O1N2= β이며 상기 M점이 회전하는 아웃터 기어(5)의 중심각이 ∠M1O2M2=2∠N1O1N2=2 β이다. 도 29(b)에서, Q점이 인너 기어(4)의 반경(O1N2)과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의 교점이라고 가정하면, 선분(O1Q)은 아웃터 기어(5) 상의 하나의 현(弦)이다. 따라서 ∠N1O1Q는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 상의 현접각이고, 기하학적 법칙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현접각∠N1O1Q의 크기는 그가 포함하는 아웃터 기어(5)의 원호의 원주각(angle of circumference)과 같으며, 상기 원주각은 상기 현접각∠N1O1Q이 포함하는 아웃터 기어(5)의 원호의 중심각∠M1O2Q의 절반이다. 반대로, ∠M1O2Q=2∠N1O1Q=2∠N1O1N2=2β가 존재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인너 기어의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의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를 만족할 경우, ∠N1O2N2=2β가 성립되므로 Q점이 M2과 겹친다. 다시 말해, N2, M2, M1은 반드시 동일 선 상에 있다. 설정된 각도β의 자의성으로,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치합운동에 따라 상기 M점은 반드시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하는 반경(O1N) 상에 항상 위치하게 되며, 각도β의 자의성으로 인해, 아웃터 기어(5) 상의 임의의 한 점이 사실상 M2 위치와 같은 효과가 있으며 아웃터 기어(5)의 회전에 따라 동적 회전하는 반경(O1N) 상에 반드시 위치한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에서 슬롯(6)을 직선모양으로 설계하고 반경(O1N)과 평행 또는 겹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전동부재(7)를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 상(M점에 대응됨)에 배치하면, 전동부재(7)가 상기 슬롯(6) 내에서 기본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활하게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도 31에서는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와 아웃터 기어(5)의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의 비례 값이 관계식 R/r=2을 만족할 때의 직선 형상의 슬롯(6)과 전동부재(7)의 연동 상태의 관계 변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도 31은 커버(2b)를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도 31(a)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에 있는 풀-페이스 헬멧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31(b)는 턱보호부(2)가 펼쳐지는 과정 중에 있는 상승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31(c)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을 지나가는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31(d)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후두부로 접히는 반락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도 31(e)는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로 반락되는 하프-페이스 헬멧 위치 상태에 해당되며, 상기 변화 상태를 통해, 슬롯(6)은 항상 턱보호부(2)와 함께 인너 기어 축선(O1)를 에워싸면서 동기 회전하고, 회전과정에서 전동부재(7)(이때, 도 29 중의 아웃터 기어(5) 상의 M점에 해당)는 항상 슬롯(6)(이때, 도 29 중의 인너 기어(4) 상의 반경(O1N)에 해당)내에 위치하게 됨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이때 만약 커버(2b)를 장착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효과에 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해, 프롱(2a)의 몸체는 턱보호부(2)가 선회하는 모든 과정에 상기 슬롯(6)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기어 구속 기구가 가역성 특성이 있으므로,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다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할 때 도 6에 도시된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로 부터, 본 발명은 인너 기어(4) 상의 슬롯(6)을 편평한 직선 홈모양의 관통 슬롯으로 설계하되, 상기 직선 홈모양의 슬롯(6)을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축선(O1)(도 4, 도 13 내지 도 16, 도 27,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음)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이때 전동부재(7)는 항상 상기 슬롯(6) 내에 위치하여 원활하게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는 계시를 얻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가 모두 유효 기어치를 360도 전체 사이클 내에 배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또한 이때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 서로 치합하여 형성된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피치 원 반경R과 아웃터 기어(5)의 아웃터 기어 피치 원 반경r도 관계식 R/r=2를 만족한다. 이 경우 이형 기어치(8a) 및 수정 기어치(8c)를 포함한 아웃터 기어(5)의 전체 기어치의 개수는 인너 기어(4) 전체 기어치 개수의 절반밖에 안된다. 예를 들어, 인너 기어(4)의 기어치 개수가 28개이면 이에 대응하는 아웃터 기어(5)의 기어치 개수는 14개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이때 인너 기어(4)의 28 개 기어치에 반드시 여유분이 있어야 하는 바, 즉, 인너 기어(4) 상의 28 개 기어치가 모두 아웃터 기어(5) 상의 14 개의 기어치와 치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헬멧의 턱보호부(2)는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일방향으로 270도 넘는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도 없지만 수행할 필요도 없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턱보호부(2)의 최대 선회각도가 180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각도까지 선회한 턱보호부(2)로 구성된 하프-페이스 구조 헬멧을 착용할 때 착용만족도 및 안전성이 좋고 그 배치가 외관 스타일링을 쉽게 만족하고, 특히 기류의 저항이 작고 기류가 헬멧 외표면을 스쳐지나갈 때의 바람소리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체역학 원리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서, 전동부재(7)를 회전면 구조를 포함하는 부품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면 구조는 항상 아웃터 기어(5)와 함께 아웃터 기어 축선(O2)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하는 회전축선(O3)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선(O3)은 아웃터 기어 축선(O2)과 평행을 이루고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과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된다(도 19, 도 28, 도 29, 도 30 및 도 31을 참조). 여기서, 회전면 구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기둥면, 원추면, 구면, 환상면 및 이형 선회 곡면 등 여러 종류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은 상기 아웃터 기어(5)와 인너 기어(4)가 치합될 때 형성됨을 밝혀둔다(이때 인너 기어(4) 상에 상기 아웃터 기어 피치 원과 접하는 인너 기어 피치 원도 동시에 파생된다). 아웃터 기어(5)가 표준 기어인 경우 아웃터 기어 피치 원과 아웃터 기어 기준 원은 서로 겹치고, 아웃터 기어(5)가 표준 기어가 아닌 경우 즉, 변위 계수가 영이 아닌 변위 기어인 경우, 그 아웃터 기어 피치 원과 아웃터 기어 기준 원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인너 기어(4)가 표준 기어인 경우, 인너 기어 피치 원과 인너 기어 기준 원은 서로 겹치고, 인너 기어(4)가 표준 기어가 아닌 경우 즉, 변위계수가 영이 아닌 변위 기어인 경우 인너 기어 피치 원과 인너 기어 기준 원은 겹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회전면 구조를 포함하는 부품으로 전동부재(7)를 제작하는데, 이는 상기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가 결합 구속 관계를 형성할 때, 그리고 전동부재(7)와 턱보호부(2)의 프롱(2a)이 결합 구속 관계를 형성할 때, 바람직한 결합 방식과 제작 가공성을 얻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회전구조를 갖는 부품의 성형 가공 및 조립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전형적인 구멍 축 결합 형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축선(O3)을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과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아웃터 기어 축선(O2)과 평행되도록 설치한다. 이는 전동부재(7)가 아웃터 기어(5), 인너 기어(4) 및 슬롯(6) 3자의 배치 공간을 균형있게 분배하여 우수한 공간 배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동부재(7)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앞서 증명한 바와 같이, 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에, 아웃터 기어(5)의 피치 원 상에 배치되고 아웃터 기어 축선(O2)과 평형 설치된 회전축선(O3)이 있는 경우, 상기 회전축선(O3)의 운동규칙은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하는 반경 상에 항상 위치하게 되므로 슬롯(6)의 구조 및 배치 설계에 좋은 조건을 마련하였다. 앞서 설명한 전동부재(7)의 회전 축선(O3)과 아웃터 기어(5)의 아웃터 기어 축선(O2)이 평행되도록 설치하는 내용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들에 대해 반드시 절대적인 평행 상태를 요구하지 않으며, 일정한 불평행 오차가 존재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제조 오차, 장착 오차, 수력 변형,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 진동 변경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회전 축선(O3)과 아웃터 기어 축선(O2) 사이에 불평행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불평행 오차의 최종 효과가 턱보호부(2)의 정상적인 선회에 영향주지 않기만 하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선(O3)과 아웃터 기어 축선(O2) 양자가 평행 설치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정하여 처리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를 원기둥면 구조 형태(도 4, 도 17 내지 도 18, 도 27,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음)로 설계할 수 있으며,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를 원추면 구조 형태(미도시)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때 전동부재(7)는 단지 두개의 엔드부 및 하나의 회전축선(O3)을 가진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기둥면 구조 및 원추면 구조는 전형적인 구조 형태이며, 이들은 가공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결합형식도 아주 견고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설명된 원추면 구조 형태는 원뿔대의 구조 형태를 포함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가 원기둥면 구조 형태로 설계될 경우, 단일 직경만 갖는 원기둥면 구조이거나,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기둥면 구조일 수 있다(단, 이들 원기둥면들은 반드시 동축으로 설치되어야 하는데, 즉, 전동부재(7)는 유일한 회전축선(O3)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는 다음 경우도 포함한다. 즉, 결합 구속 관계의 역할을 하는 원기둥면 구조 또는 원추면 구조에 다른 형식의 회전면 구조, 예를 들어 제조, 장착 및 응력 집중을 쉽게 방지하는 챔퍼, 둥근각 및 원뿔각 등 보조 구조를 추가 결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보조 구조는 모두 전동부재(7) 상의 아웃터 기어(5) 또는 프롱(2a)과 결합 구속 관계를 발생시키는 회전면 구조를 파괴하지 않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관련 기구 내에서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 사이 및 상기 전동부재(7)와 프롱(2a)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아래 3 가지 경우 중 하나이다. (1) 상기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체결 연결되거나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전동부재(7)와 프롱(2a)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회전 결합 관계이다(도 4,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경우은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가 일체형 구조를 제작된 예시이며, 이때 전동부재(7)의 일단은 도 4, 도 24 내지 도 26의 커버(2b) 상의 원홀(2c)과 회전 결합된다); 또는, (2) 상기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회전 결합이고, 상기 전동부재(7)와 프롱(2a)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체결 연결되거나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다(미도시); 또는,(3) 상기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회전 결합이고, 상기 전동부재(7)와 프롱(2a)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도 회전 결합이다(미도시). 사실상,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 사이 및 상기 전동부재(7)와 프롱(2a)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상기 3 가지 경우 이외에, 기타 형식의 결합 구속 관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부재(7)와 아웃터 기어(5) 사이 또는/및 전동부재(7)와 프롱(2a)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는 회전 결합인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을 추가 결합할 수 있다. 즉, 회전 슬라이딩 타입의 결합 구속(미도시)이다. 여기서, 대표적인 예시로, 전동부재(7)는 원기둥형 구조이고, 아웃터 기어(5) 또는 프롱(2a) 상에서 그와 결합 구속하는 구조는 요홈 모양 구조이다. 이 경우 전동부재(7)는 아웃터 기어(5) 또는 프롱(2a)에 대해 회전 결합인 동시에 아웃터 기어(5) 또는 프롱(2a)에 대해 슬라이딩 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선회할 때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이탈을 방지하여 턱보호부(2)가 자세를 변화하는 과정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버텀 지지부(3), 헬멧 쉘 주체(1) 또는/및 아웃터 기어(5) 상에 인너 기어(4)의 축 방향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이탈 방지 부재(9a)를 설치하며, 상기 인너 기어(4),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 상에 아웃터 기어(5)의 축 방향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이탈 방지 부재(9b)를 설치한다. 여기서, 소위 축방향의 위치 이탈 방지는 제1 이탈 방지 부재(9a)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9b)를 설치하여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가 과도하게 위치 변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저지하고, 방지하고 제한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에 턱보호부(2)가 정상으로 선회하는 과정에 영향주는 행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에서의 정상적인 걸림에 영향주는 행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이탈 방지 부재(9a)의 배치는 버텀 지지부(3) 상에 설치하는 것, 헬멧 쉘 주체(1) 상에 설치 하는 것, 또는 인너 기어(4) 상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버텀 지지부(3), 헬멧 쉘 주체(1), 인너 기어(4) 중 임의의 두개 결합 및 3 개 부품에 모두 제1 이탈 방지 부재(9a)가 설치되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이탈 방지 부재(9b)의 배치는 인너 기어(4) 상에 설치하는 것, 버텀 지지부(3) 상에 설치하는 것 또는 헬멧 쉘 주체(1) 상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인너 기어(4), 버텀 지지부(3), 헬멧 쉘 주체(1) 중 임의의 두개 결합 및 3개 부품에 모두 제2 이탈 방지 부재(9b)가 설치되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한다. 도 4,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경우를 보면, 인너 기어(4)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 부재(9a)가 버텀 지지부(3)의 외측 받침판(3b) 상에 설치되고, 도 4 및 도 13 내지 도 16의 실시예에서 아웃터 기어(5)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 부재(9b)는 인너 기어(4)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이탈 방지 부재(9a)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9b)의 배치는, 상기 도 4, 도 10 내지 도 16 에 예시한 경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이탈 방지 부재(9a)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9b)의 구조는 플랜징 구조(도 4,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음), 버클 구조(즉, 스프링 후크 구조를 이용하여 걸림 고정한다. 미도시), 스냅링 구조(즉, 점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걸림 고정한다. 미도시), 체합볼트 구조(즉, 체합볼트 구조를 이용하여 걸림 고정한다. 미도시), 잠금핀 구조(즉, 잠금핀 구조를 이용하여 걸림 고정한다. 미도시), 덮판구조(도 4,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덮판구조 타입의 제2 이탈 방지 부재(9b)는 인너 기어(4) 상의 본체 구조 또는 연신체 구조일 수 있음)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 자석 흡인 구성(미도시) 또는 기타 형식의 구조 또는 구성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이탈 방지 부재(9a)는 버텀 지지부(3) 구조의 일부(도 4,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헬멧 쉘 주체(1) 구조의 일부(미도시) 또는 아웃터 기어(5) 구조의 일부(미도시)일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 부재(9b)는 인너 기어(4) 구조의 일부(도 4 및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음)일 수 있다. 또한, 제1 이탈 방지 부재(9a)는 버텀 지지부(3) 상에 체결되거나 헬멧 쉘 주체(1) 상에 체결되거나 아웃터 기어(5) 상에 체결되는 독립된 부품(미도시)일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 부재(9b)는 인너 기어(4) 상에 체결되거나 버텀 지지부(3) 상에 체결되거나 헬멧 쉘 주체(1) 상에 체결되는 독립된 부품(미도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너 기어(4) 상에 상기 턱보호부(2)의 프롱(2a)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제3 이탈 방지 부재(9c)(도 4, 도 13, 도 15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탈 방지 부재(9c)는 상기 인너 기어(4)의 본체(상기 본체의 연신체 또는 연장체를 포함)의 일부(도 4, 도 13, 도 15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인너 기어(4) 상에 체결되는 하나의 독립된 부품(미도시)일 수 있다. 한편, 그 구조는 플랜징 구조(도 4, 도 13, 도 15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걸림홈, 걸림핀, 걸림후프, 걸림커버 등 구조(미도시)일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의 다양한 형식의 구조일 수도 있다. 여기서, 플랜징구조는 성형 제조 및 실장시 쉽게 구현가능하며, 특히 이들은 턱보호부(2)와 프롱(2a) 사이의 슬라이딩 구속 쌍 중의 일부 내지 전체로 구성될 수도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랜징 구조 특징을 갖는 제3 이탈 방지 부재(9c)의 플랜징 형식은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 도 13, 도 15 및 도 31에 도시된 경우 중 플랜징 구조 형태인 제3 이탈 방지 부재(9c)의 플랜징 방향은 슬롯(6)을 멀리하는 형태이다. 즉, 그 플랜징 구조는 슬롯(6)의 외부를 향하며 사실상 이외에도 본 발명의 플랜징 구조인 제3 이탈 방지 부재(9c)의 플랜징 방향은 슬롯(6)을 향하는 형태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3 이탈 방지 부재(9c)를 설치하는 목적은 턱보호부(2)의 프롱(2a)이 축 방향에서 인너 기어(4)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소위말하는 “축 방향 이탈”은 프롱(2a)이 인너 기어 축선(O1)의 축방형으로, 턱보호부(2)의 정상적인 선회에 영향줄 정도로 인너 기어(4)를 이탈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제3 이탈 방지 부재(9c)의 기능은 턱보호부(2)의 프롱(2a)이 축방향으로 인너 기어(4)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프롱(2a)과 인너 기어(4)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의 신축 왕복 행위를 방해하지는 않는다.
전동부재(7)를 더욱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아웃터 기어(5)의 각 유효 기어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치를 선택하여 기어치 두께가 상기 아웃터 기어(5)의 전체 유효 기어치 평균 두께보다 두꺼운 이형 기어치(8a)로 한다. 또 외관상으로 볼 때, 상기 아웃터 기어(5)의 이런 이형 기어치(8a)는 1차적으로 실체 형상을 갖는 기어치이며, 치 형식에 속한다. 2차적으로 상기 이형 기어치(8a)의 치형 크기는 다른 정상적인 유효 기어치의 크기보다 조금 커야 한다(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음). 물론, 인너 기어(4) 상에 치홈 형식의 이형 치홈(8b)을 형성하여 아웃터 기어(5) 상의 상기 이형 기어치(8a)와 치합 및 매칭되도록 해야 한다. 물론 인너 기어(4) 상의 상기 이형 치홈(8b)의 치홈 너비는 기타 정상적인 기어치의 치홈 너비보다 약간 커야 한다(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음).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전동부재(7)는 단지 아웃터 기어(5) 상의 상기 이형 기어치(8a)와 결합 구속 관계(도 27 및 도 28을 참조)를 가진다. 아웃터 기어(5) 상에 치 모양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이형 기어치(8a)를 설치하는 이유는, 이형 기어치(8a)와 결합되는 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전동부재(7)의 세기 및 강도가 확실히 보장받을 수 있으므로, 헬멧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각종 자세 변환 과정을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인너 기어(4) 상의 슬롯(6)을 편평한 직선 홈모양 관통 슬롯, 즉 직선 홈모양의 슬롯(6)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 홈모양의 슬롯(6)은 인너 기어 축선(O1)을 향하거나 지나도록 배치할 수 있다(도 15, 도 16, 도 27, 도 28 및 도 31을 참조). 한편, 상기 인너 기어(4)와 프롱(2a)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구성된 슬라이딩 구속 쌍을,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으로 설계하고 상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은 인너 기어 축선(O1)을 향하거나 지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 홈모양의 슬롯(6)과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배치는 서로 겹치거나 서로 평행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6)을 "편평한 직선 홈모양의 관통 슬롯”으로 설계한다는 것은, 인너 기어 축선(O1)의 축 방향에서 관찰할 때, 상기 슬롯(6)이 납작길쭉한 형상 및 직선 홈 엣지(trough-edge)구조를 가지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직선 홈모양의 슬롯(6)이 인너 기어 축선(O1)을 향하거나 지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슬롯(6)의 주체 구조가 헬멧의 대칭면(P)으로 정사영할 경우, 그 사영 집합과 인너 기어 축선(O1)의 사영 집적점(accumulation point)이 교집되고, 상기 사영 집합이 그 기하 대칭선을 따라 연장될 경우 인너 기어 축선(O1)의 사영 집적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사영 집합의 대칭선이 인너 기어 축선(O1)을 지나는 사영 집적점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도 15, 도 16, 도 27, 도 28 및 도 31을 참조). 여기서, "상기 인너 기어(4)와 프롱(2a)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구성된 슬라이딩 구속 쌍을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으로 설계한다”는 것은, 상기 구속 쌍의 구속 행위로부터 생긴 효과가 인너 기어(4)와 프롱(2a) 사이의 운동이 직선 변위 동작이 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은 인너 기어 축선(O1)을 향하거나 지나도록 배치할 수 있다”라는 것은, 상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는 구조, 구성 또는 부품(예를 들어 프롱(2a)의 몸체 등)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인너 기어 축선(O1)을 향하거나 지나가는 상태를 의미한다(도 5, 도 6 및 도 31을 참조). 여기서, "상기 직선 홈모양의 슬롯(6)과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배치를 서로 겹치거나 서로 평행되게 설치한다"는 것은, 상기 슬롯(6) 및 슬라이딩 구속 쌍이 함께 헬멧의 대칭면(P)으로 정사영할 경우, 이들의 사영이 교집되고 특히, 상기 사영에서 상기 직선 홈모양의 슬롯(6) 사영 집합의 기하 대칭선과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사영집합의 기하 대칭선이 평행 상태를 나타내고, 특히 겹치는 상태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직선 홈모양의 슬롯(6)과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을 조합하여 겹치거나 평행되게 설치하는 것을 통해 다음 유익을 얻게 된다. 먼저, 전동부재(7)가 슬롯(6) 내에서 아무 간섭없이 원활하게 왕복이동할 수 있고, 다음으로, 프롱(2a)이 상기 슬롯(6)을 완전히 덮도록 조건을 마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때 전동부재(7)의 운동 궤적은 직선 왕복하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직선 궤적은 인너 기어(4) 상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된 직선 홈모양의 슬롯(6)에 항상 위치하게 된다. 전동부재(7)는 슬롯(6)과 상호 간섭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다(도 31을 참조). 한편, 턱보호부(2)의 프롱(2a)은 인너 기어(4)(즉, 슬롯(6)과)와 동일한 각속도 및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때 슬롯(6)은 사실상 납작하고 좁은 직선 홈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는 더 외측에 배치된 좁은 프롱(2a)의 몸체가 슬롯(6)을 항상 완전히 차단하도록 조건을 마련하였다. 다시 말해, 좁은 구조의 프롱(2a) 몸체를 이용하기만 해도 슬롯(6)을 항상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이때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기타 임의의 선회 과정 중의 어떤 중간 상태, 예를 들어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든지 프롱(2a)의 몸체가 인너 기어(4) 상의 슬롯(6)의 외표면에 잘 밀착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디자인 수요 및 기체 역학적 성능 수요에 적합하고 순응하도록 턱보호부(2)의 선회 동작을 크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즉,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 기구 중 전동부재(7)의 회전면 구조의 회전축선(O3)이 인너 기어 축선(O1)과 서로 겹치는 위치에 있으며(도 5, 도 6 및 도 31을 참조), 상기 관련 기구 중의 슬라이딩 구속 쌍에 포함된 직선 구속 요소는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구성된 평면(도 31을 참조)에 수직된다. 여기서 "직선 구속 요소”는 인너 기어(4) 및 프롱(2a)이 실질적으로 구속 행위에 참여한 구조 또는 구성이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에 속하는 경우를 기반으로 구성한 것이며, 직선 구조 및 구성을 포함하고, 이들 구조 및 구성은 홈, 레일, 로드, 변, 키, 축, 구멍, 슬리브, 기둥 및 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직선 제1 슬라이딩 레일(A)에 직선 제2 슬라이딩 레일(B)을 결합하여 구성된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이 설치되고,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직선 구속 요소(즉,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가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수직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1(a)는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인 경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위치와 자세를,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구성된 평면에 수직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배치하면 헬멧의 구조 설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프롱(2a)의 몸체가 인너 기어(4) 상의 슬롯(6)을 더 잘 덮을 수 있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직선 슬라이딩 레일형 슬라이딩 구속 쌍이 턱보호부(2)의 선회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도 31에는 프롱(2a) 커버를 숨길 때 프롱(2a), 슬롯(6), 전동부재(7) 사이의 상태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그 중, 도 31(a)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는 것에 해당되며, 이때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은 모두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구성된 평면에 수직되고, 이때 전동부재(7)의 회전축선(O3)과 인너 기어 축선(O1)은 겹쳐지고 전동부재(7)는 슬롯(6)의 가장 안쪽(상기 가장 안쪽은 전동부재(7)가 슬롯(6)에 대해 움직이는 하나의 이동 극한점이다)에 있다. 도 31(b)는 턱보호부(2)가 펼쳐져 상승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때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는 모두 인너 기어(4)와 함께 인너 기어 축선(O1)을 에워싸면서 동기 회전하고, 이때 전동부재(7)는 슬롯(6)의 어느 한 중간 위치까지 슬라이딩된다. 도 31(c)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되며(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에 해당됨), 이때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은 계속하여 인너 기어(4)와 함께 인너 기어 축선(O1)을 에워싸면서 동기 회전하고, 이때 전동부재(7)는 슬롯(6)의 가장 바깥쪽까지 슬라이딩한다(상기 가장 바깥쪽은 전동부재(7)가 슬롯(6)에 대해 움직이는 다른 한 이동 극한점이다.). 도 31(d)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후두부로 반락하는 위치 상태에 해당되고, 이때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은 계속하여 인너 기어(4)와 함께 인너 기어 축선(O1)을 에워싸면서 동기 회전하며, 이때 전동부재(7)는 슬라딩해서 슬롯(6)의 한 중간 위치로 돌아온다, 도 31(e)는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 후두부까지 반락한 상태 즉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해당된다(유의할 것은, 이 상태에서 상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의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은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구성된 평면에 수직되거나 수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 레일(B) 및 제1 슬라이딩 레일(A)가 인너 기어 축선(O1)과 아웃터 기어 축선(O2)으로 구성된 평면에 수직인 경우 전동부재(7)의 회전축선(O3)은 다시 인너 기어 축선(O1)과 겹치고 상기 전동부재(7)는 슬롯(6)의 가장 안쪽으로 되돌아오며 동시에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상기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선회시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180도 회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설계 구조가 갖는 2가지 의미 및 그에 따른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최대한 신축 변위할 수 있어 턱보호부(2)가 최대의 이동 경로를 얻게 되며 이 경우 턱보호부(2)의 선회능력, 예를 들어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을 지나가거나 헬멧의 다른 부재를 통과하는 능력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두번째,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최대한 선회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외관 및 헬멧의 기체 역학적 성능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는 경우 전동부재(7)의 회전축선(O3)과 인너 기어 축선(O1)이 겹치며 이러한 구조가 사실상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축선(O1)을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과 인접하는 방향으로 최대한 들어올림으로 인너 기어(4)가 차지하고 있는 귀 아래부분의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 공간은 헬멧의 외관 및 사용자의 착용 쾌적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효율적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기어(4)의 전체 유효 기어가 커버하는 중심각 α이 180도보다 크거나 같게 한다(도 27을 참조). 이렇게 설계하는 주된 목적은, 턱보호부(2)가 선회폭을 충분히 확보하게 함으로써 풀-페이스 헬멧 구조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사이의 변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있다. 이 경우 턱보호부(2)가 적어도 180도의 최대 선회각도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턱보호부(2) 위치에 대응하는 하프-페이스 구조 헬멧은 당연히 좋은 외관 구조와 기체 역학적 성능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심각 α을 360도보다 작게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인너 기어(4)는 기어치가 전체 둘레에 배치되지 않은 기어이다. 이러한 설계의 장점은 상기 인너 기어(4)가 많은 공간을 비워 걸림 기구, 잠금 기구, 리프팅 기구 등 다른 구성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턱보호부(2)를 특정 위치에 한정하는 걸림기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기구는 기어치가 전체 둘레에 배치되지 않은 인너 기어(4)의 에워싸인 영역 내에 배치된다. 물론, 인너 기어(4)의 전체 유효 기어가 커버하는 중심각 α이 360도와 같을 지라도, 즉, 인너 기어(4)의 기어치가 전체 둘레에 배치되더라도 턱보호부(2)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 기구, 잠금 기구 및 리프팅 기구(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가 모두 고정축 회전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너 기어(4) 내측 및 아웃터 기어(5) 외측 영역에 관련 기구를 더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및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상에서 일정한 안정성을 갖도록, 턱보호부(2)가 상기 위치 상태에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잠시 걸림, 정지 또는 멈출 수 있도록, 상기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 상에 하나의 제1 걸림 구조(10a)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인너 기어(4)의 본체 또는 그 연신체 상에 하나 이상의 제2 걸림 구조(10b)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 상에 제1 걸림 구조(10a)를 압박하여 제2 걸림 구조(10b)에 접촉하도록 하는 작용 스프링(11)을 설치할 수 있다(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제1 걸림 구조(10a)와 제2 걸림 구조(10b)는 서로 암수인 걸림 구성을 이용하며, 제1 걸림 구조(10a)와 제2 걸림 구조(10b)가 서로 걸림 결합될 때 턱보호부(2)를 현재 위치와 자세에서 멈추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이때 턱보호부(2)의 자세를 멈추게 하는 작용력은 주로 작용 스프링(11)에서 인가된 압박력 및 걸림 결합할 때 생성된 마찰력으로부터 온다(여기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자세는 위치 및 자태 두 가지 상태의 총합을 가리키며, 이는 턱보호부(2)의 위치 및 각도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걸림 구조(10b)는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걸림 구조(10b)와 제1 걸림 구조(10a)가 걸림 결합될 때 턱보호부(2)에 대해 약한 잠금 효과를 발생시키며, 의도적으로 간섭하지 않을 경우 턱보호부(2)는 일반적으로 약한 잠금 상태에 머물 수 있다. 이때, 턱보호부2는 주로 작용 스프링(11)의 작용력(턱보호부(2)의 움직임 추세를 저지하는 마찰력도 포함한다)에 의해 상기 실시간 위치를 유지하며, 인가된 외력이 일정한 크기에 도달할 때, 상기 턱보호부(2)는 상기 걸림구조의 속박을 극복하고 선회운동을 계속 강행할 수 있다(이때, 작용 스프링(11)은 퇴출 동작하며 잠금을 해제한다). 구조의 간소화 각도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상기 제1 걸림 구조(10a)는 돌출치 구조로, 상기 제2 걸림 구조(10b)는 오목홈 구조(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로 설계할 수 있다. 한편, 제2 걸림 구조(10b)는 다음과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즉,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걸림 구조(10a)와 걸림 결합하는 하나의 제2 걸림 구조(10b)를 설치한다(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음). 한편,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을 때도 상기 제1 걸림 구조(10a)와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구조(10b)를 설치한다(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렇게 되면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및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모두 턱보호부(2)에 대해 효과적으로 잠금할 수 있어 턱보호부(2)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착용자가 운전하는 동안 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헬멧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걸림 구조(10b)는 인너 기어(4)의 유효 기어치의 치홈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걸림 구조(10b)는 인너 기어(4)의 유효 기어치의 치홈을 직접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걸림 구조(10b)는 인너 기어(4)의 유효 기어치의 하나의 유기적인 구성일 수 있다. 도 32에서,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을 때 제1 걸림 구조(10a)와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구조(10b)가 바로 인너 기어(4)의 유효 기어치의 치홈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 또는 그 부근위치에 있을 때 제1 걸림 구조(10a)와 걸림 결합하는 하나의 제2 걸림 구조(10b)를 더 배치할 수 있다(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렇게 설계하는 목적은, 턱보호부(2)에 풀-페이스 헬멧 구조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사이에 다른 한 중간 자세를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중간 자세는 턱보호부(2)가 헬멧 돔 부분의 위치 또는 그 부근에 있는 것에 해당하며, 이는 현재 흔히 볼수 있는 헬멧 사용 상태이며, 소위말하는 턱보호부의 오픈 페이스 상태이다(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 상태는 착용자가 헬멧 턱보호부(2)를 임시로 올려 흡연, 대화, 물 마심 및 휴식 등 다양한 활동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턱보호부(2)가 헬멧 쉘 주체(1)의 돔 부분 또는 그 부근에 있을 때의 위치를 오픈 페이스 턱보호부 구조 위치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가변 턱보호 구조의 헬멧은 적어도 3가지 구조 상태가 있다. 즉, 풀-페이스 구조 헬멧, 하프-페이스 구조 헬멧 및 오픈 페이스 구조 헬멧으로서 이를 통해 헬멧 착용시 쾌적감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헬멧 착용시 쾌적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 상에 상승 보조 스프링(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 있다.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압축되어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이고,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로 선회하는 과정에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탄력을 방출하여 턱보호부(2)를 올리는 상태에 있고,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사이의 상태인 경우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이 기간 동안 턱보호부(2)의 선회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턱보호부(2)에 작용력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계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연관 기구 내의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로 구성된 치합 구속 쌍에서, 정상적인 기어치 치합 이외에도,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의 치합운동 과정에 개별 또는 복수의 비기어식 치합 행위를 추가 삽입할 수 있다. 즉,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정상적으로 기어치 치합하는 일부 간격, 구간 또는 과정에 과도성 비기어식 부재의 치합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홈 형식의 치합, 키/홈 형식의 치합 등과 같은 비기어식 치합 부재의 치합 형식(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인너 기어(4) 또는/및 아웃터 기어(5) 상에 설치되고,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 사이에서 운동 전달, 동력 전달하는 모든 치합 행위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모든 구조 및 소자(볼록한 구조 및 오목한 구조를 포함),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배치된 유효 기어치(치형이 큰 이형 기어치(8a), 치홈이 넓은 이형 치홈(8b) 및 치형이 약간 작은 수정 기어치(8c)를 포함한다. 도 30를 참조) 및 보조로 배치된 비기어식 치합 구성 등을 통틀어 치합 소자라고 한다. 이러한 비기어식 구성의 치합은 단지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턱보호부(2)의 신축 변위 및 각도 스윙식 위상의 자세 변화를 가이드하고 구속하는 메인 기구는 여전히 주로 전통적인 기어식 기어치를 통해 치합 구속을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어 구속 가변 턱보호 구조의 특성 및 행위를 실직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때 360도의 한 사이클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얻은 인너 기어(4)의 치합 소자의 개수를 인너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로 기록하고, 360도의 한 사이클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얻은 아웃터 기어(5)의 치합 소자의 개수를 아웃터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로 기록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인너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와 아웃터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의 비례 값은 관계식 ZR/Zr=2를 만족한다. 도 30를 참조하면, 도 30(a)는 치합에 실제 참여한 인너 기어(4)의 치합 소자가 사실상 360도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도 30(b)는 360도의 전체 둘레로 계산(또는 환산)하여 얻은 인너 기어(4)의 인너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를 보여준다. 도 30(b)에서 인너 기어(4)를 인너 기어(4)ZR로 표시하고 아웃터 기어(5)를 아웃터 기어(5)Zr로 표시하므로 이들이 등가 변환하여 얻은 기어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웃터 기어(5) 중 치합에 실제 참여한 전체 치합 소자의 총수는 14개이고, 상기 14개 치합 소자가 하나의 완전한 원주 상에 360도로 둘러싸여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아웃터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는 14개이다. 이론적으로, 이와 대응하는 인너 기어(4)의 치합 소자는 14개만 있으면 되며 14개의 아웃터 기어(5)의 치합 소자와 1대1로 쌍을 이루어 치합된다. 그러나 14 개의 치합 소자만 갖는 인너 기어(4)는 360도의 원주 전체에 배치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규정한 인너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와 아웃터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의 비례 값이 관계식 ZR/Zr=2를 만족하는 원칙에 근거해서 인너 기어(4)의 치합 소자를 배치하면, 이때 인너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은 28개가 된다. 그러므로 아웃터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가 14개이고, 인너 기어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가 28개인 파라미터에 따라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헬멧 쉘 주체(1)에서의 상대 위치 및 공간을 배치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실제 사용과정에서 본 발명은 반드시 인너 기어(4)의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에 따라 인너 기어(4)의 치합 소자 개수를 설계하지 않아도 된다. 인너 기어(4) 중 실제 치합에 참여한 치합 소자의 개수가 아웃터 기어 치합에 실제 참여한 치합 소자의 개수보다 작지 않으면 된다. 이렇게 설계하는 목적은, 인너 기어(4)의 회전속도가 항상 아웃터 기어(5)의 회전 속도의 절반이 되게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 및 슬롯(6)이 간단한 배치 형태, 예를 들어 직선 형태 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설계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의 아웃터 기어(5) 상에 물갈퀴 모양의 복판(5a)이 설치된다(도 4,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물갈퀴 모양의 복판(5a)은 아웃터 기어(5)의 기어치 단면에 설치되거나 아웃터 기어(5)의 기어치 두께 방향의 임의의 중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어치 일면상의 치홈 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갈퀴 모양의 복판(5a)은 아웃터 기어(5)의 모든 기어치 상에 배치될 수도, 아웃터 기어(5)의 일부 기어치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모든 기어치 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갈퀴 모양의 복판(5a)은 아웃터 기어(5)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도 4,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음), 아웃터 기어(5) 상의 하나의 독립적인 구성(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웃터 기어(5) 상에 물갈퀴 모양의 복판(5a)을 설치하는 목적은, 이를 통해 아웃터 기어(5)의 강도를 증가하고, 그 위에 전동부재(7)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설계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에서, 인너 기어(4) 상에 설치된 슬롯(6)은 인너 기어(4)와 프롱(2a)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의 일부 또는 전체 슬라이딩 구속 행위에 참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계의 장점은, 슬롯(6)의 구조적 특징을 충분히 이용하여 헬멧의 설계가 간결하며, 특히 턱보호부(2)의 프롱(2a)와 인너 기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의 구조가 간결하다. 다시 말해, 슬롯(6)의 두 레일 엣지는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제1 슬라이딩 레일(A)(도 4,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음)로도 겸용할 수 있는데, 이때, 프롱(2a) 상에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A)과 매칭되는 제2 슬라이딩 레일(B)(도 4,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음) 를 상응하게 설치하기만 하면,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A)은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B)과 쌍을 이루어 슬라이딩 구속 쌍(도 26을 참조)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너 기어(4)와 프롱(2a)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구속할 수 있고 또한 인너 기어(4)와 프롱(2a) 사이의 토크(torque)를 전달할 수 있다(즉, 상기 슬롯(6)을 통해 프롱(2a)의 선회운동을 인너 기어(4)에 전달하여 함께 동기 선회하며, 반대로, 상기 슬롯(6)을 통해 인너 기어(4)의 선회운동을 프롱(2a)에 전달하여 함께 동기 선회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에서, 인너 기어(4) 상에 설치된 슬롯(6)은 인너 기어(4)와 프롱(2a)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구속 쌍의 일부 또는 전체 슬라이딩 구속 행위에 참여한다”는 것은 아래 두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번째,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의 슬롯(6)과 프롱(2a)이 인너 기어(4)와 프롱(2a) 사이의 유일한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는 경우; 두번째,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의 슬롯(6)과 프롱(2a)이 인너 기어(4)와 프롱(2a)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구속 쌍의 일부를 이루는 경우로서, 상기 인너 기어(4)와 프롱(2a)은 슬롯(6)와 프롱(2a)의 슬라이딩 구속 쌍 이외에 다른 형식의 슬라이딩 구속 쌍을 가지며, 이러한 슬라이딩 구속 쌍은 모두 함께 인너 기어(4)와 프롱(2a) 사이의 신축과 선회행위를 구속하는데 참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계는, 공간을 절약하여 콤팩트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구속 쌍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하고 헬멧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설계에 의하면, 상기 헬멧에는 투명 소재로 제작되고, 바람과 모래 및 빗물이 헬멧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12)는 헬멧 쉘 주체(1)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쉴드축선(O4)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스윙운동하는 두 다리(13)를 포함한다(도 33 및 도 34을 참조). 즉, 상기 쉴드(12)는 아래로 내릴 때 방풍, 방사 및 방우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위로 올릴 때 착용자의 물 마심, 대화 등 활동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 쉴드(12)의 두 다리(13) 중 하나 이상의 다리(13)에 힘받침 레일 엣지(14)(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힘받침 레일 엣지(14)가 설치된 다리(13)는 버텀 지지부(3)와 헬멧 쉘 주체(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헬멧 쉘 주체(1)를 향하는 상기 버텀 지지부(3)의 내측 받침판(3a)에 관통된 구멍(15)이 형성되 있다(도 4,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그리고 아웃터 기어(5) 상에 상기 구멍(15)으로부터 뻗어 상기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터치할 수 있는 트리거 핀(16)이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17, 도 18, 도 20,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음). 쉴드(12)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 핀(16)과 힘받침 레일 엣지(14)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이때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출발하여 위로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트리거 핀(16)은 쉴드(12)의 다리(13)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반드시 접촉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의해 쉴드(12)가 선회 및 오픈 동작을 하도록 한다. 턱보호부(2)가 완전히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할 때 턱보호부(2)가 전체 복귀코스의 앞부분 3분의 2 동안 상기 트리거 핀(16)이 쉴드(12)의 다리(13)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접촉되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쉴드(12)가 선회 및 펼쳐지는 동작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턱보호부(2)가 완전히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출발하여 위로 올려지는 동작하면, 상기 트리거 핀(16)은 쉴드(12)의 다리(13)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접촉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쉴드(12)가 선회 및 오픈하는 동작을 하도록 한다”는 것은, 턱보호부(2)가 구동되면 상기 트리거 핀(16)이 바로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접촉하여 쉴드(12)가 올려지는 동작하도록 요구하지 아니며, 이때, 쉴드(2)는 일정하게 지연하여 구동가능하며, 이러한 지연은 기능 설계상의 지연 뿐만 아니라 관련 부품의 탄성 변형 및 간격 제거 과정 등의 원인에서 비롯된 지연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턱보호부(2)가 구동되면 그 순간에 상기 트리거 핀(16)이 바로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접촉하여 쉴드(12)가 오픈하도록 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33은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트리거 핀(16), 쉴드(12) 및 다리(13)의 연동 과정(여기서, 상기 턱보호부(2)는 초기 선회동작을 수행한다)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 33(a)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선회 대기 상태이고, 이때 쉴드(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고 도 33(b)는, 턱보호부(2)가 선회하기 시작하고→인너 기어(4)가 회전하고→아웃터 기어(5)가 인너 기어(4)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고→트리거 핀(16)이 아웃터 기어(5)와 함께 동기 회전하며→트리거 핀(16)이 다리(13)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접촉하여 이를 구동시키고→다리(13)가 쉴드 축선(O4)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스윙운동을 시작하고→쉴드(12)가 펼쳐지면서 상승하기 시작하는 것에 해당한다. 도 33(c)는 턱보호부(2)가 계속 선회하여 헬멧 쉘 주체(1)의 돔 꼭대기 부근에 도착하고→인너 기어(4)가 계속 회전하여 아웃터 기어(5)를 통해 트리거 핀(16)을 계속 회전시키고→트리거 핀(16)이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밀어 쉴드(12)가 위로 상승하여 최대 상승 한계 점까지 도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도 33(d)는 턱보호부(2)가 계속 선회하여 헬멧 쉘 주체(1)의 후두부(뒷통수) 위치에 도착하고→인너 기어(4)가 계속 회전하여 아웃터 기어(5)을 통해 트리거 핀(16)을 계속 회전시키고, 이때 쉴드(12)가 최고 상승 위치에 도달하여 머물러 있고, 트리거 핀(16)이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로부터 이미 이탈된 경우에 해당된다. 도 33(e)는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이미 도착하고, 트리거 핀(16)이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의 구동에 의해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로부터 더욱 이격된 경우에 해당된다. 도 34는 쉴드(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에 상기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트리거 핀(16)이 쉴드(12) 및 다리(13)와의 연동 과정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 34(a)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선회대기 상태에 있고, 쉴드(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에 해당된다. 도 34(b)는 턱보호부(2)가 복귀하기 위해 선회하기 시작하고→인너 기어(4)가 회전하고→아웃터 기어(5)가 인너 기어(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트리거 핀(16)이 아웃터 기어(5)와 함께 동기 화전하며→ 그러나 이때 트리거 핀(16)이 구동 다리(13)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아직 접촉하지 않아 쉴드(12)가 여전히 완전히 닫힌 상태에 머문 경우에 해당된다. 도 34(c)는 턱보호부(2)가 계속하여 복귀 선회운동하여 헬멧 쉘 주체(1)의 돔 꼭대기 부근에 도착하고→트리거 핀(16)이 인너 기어(4) 및 아웃터 기어(5)의 구동하에 힘받침 레일 엣지(14)에 접촉하는 데까지 회전하고→다리(13)가 트리거 핀(16)의 구동하에 동작하도록 하고→쉴드(12)가 쉴드축선(O4)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스윙운동하여 완전히 닫힌 위치를 벗어나며→쉴드(12)가 상승하고, 이 기간 동안 턱보호부(2)가 진행한 복귀코스는 전체 복귀코스의 2/3 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 도 34(d)는 턱보호부(2)가 계속 되돌아오고→인너 기어(4)가 계속 회전하여 아웃터 기어(5)를 통해 트리거 핀(16)을 계속 회전시키고→트리거 핀(16)이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밀어 쉴드(12)를 위로 상승시켜 최대 상승 한계 점까지 도달하게 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도 34(e)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고 인너 기어(4)가 계속 회전하여 아웃터 기어(5)를 통해 트리거 핀(16)을 계속 회전시키고, 이때 쉴드(12)가 최고 상승 위치에 도착하여 머물러 있으며, 트리거 핀(16)도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각 다리(13)에 하나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만 설치하여도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인 CN107432520A에 비해, 본 발명은 쉴드(12)를 구동하는 기구를 크게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으로 다리(13)의 설계 구조가 간소화되고 더욱 합리적이게 되었다. 이는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다리(13)가 힘인가받는 방향에서 두께 또는 구조배치가 현저하게 개선되었고, 강도 및 세기도 현저하게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다리(13)를 구동하는 트리거 핀(16)이 더욱 합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운행 궤적을 더 작은 범위로 제한할 수 있어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해졌다. 다음으로,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에서 힘인가받는 지점이 쉴드(12)의 쉴드축선(O4)에서 더 멀리 떨어지고 쉴드(12) 잠금기구의 힘인가 지점에 더 가깝다. 이로 인해 트리거 핀(16)과 힘받침 레일 엣지(14) 사이의 작용력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이렇게 설계하는 목적은 턱보호부(2)가 선회동작할 때 턱보호부(2)가 쉴드(12)에 걸려 정지되거나 턱보호부(2)와 쉴드(12)가 충돌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헬멧 착용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설계에 따르면, 상기 쉴드(12)의 다리(13)에 치형 제1 위치 잠금치(17)가 설치되고,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 상에 상기 제1 위치 잠금치(17)와 대응하는 제2 위치 잠금치(18)가 설치되고, 버텀 지지부(3) 또는/및 헬멧 쉘 주체(1) 상에 위치 잠금 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제1 위치 잠금치(17)는 쉴드(12)와 함께 동기화 운동하며, 상기 제2 위치 잠금치(18)는 헬멧 쉘 주체(1)에 대해 이동 또는 스윙운동할 수 있다. 쉴드(12)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위치 잠금치(18)는 위치 잠금 스프링(19)의 작용하에 제1 위치 잠금치(17)에 밀착하여 쉴드(12)가 약한 잠금 효과를 얻게 되며(도 35(a) 및 도 36(a)를 참조), 쉴드(12)가 외부 힘에 의해 올려지는 오픈 동작을 수행할 때 제1 위치 잠금치(17)는 제2 위치 잠금치(18)를 구동하여 위치 잠금 스프링(19)를 압박하도록 하며, 제2 위치 잠금치(18)에 위치 이동이 생기고 제1 위치 잠금치(17)에 대한 언록킹 동작을 수행한다(도 35(b) 및 도 36(b)을 참조). 여기서, 도 35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진행하여 초기 위치가 완전히 닫힌 쉴드(12)에 대해 언록킹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6은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여 초기 위치가 완전 닫힌 쉴드(12)에 대해 언록킹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 은, 본 발명의 상기 제1 위치 잠금치(17)와 제2 위치 잠금치(18)의 잠금구조는 한 쌍, 두 쌍 또는 더 많은 쌍에 잠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언록킹 동작”은 제1 위치 잠금치(17)가 회전하여 생긴 구동 압박에 의해 제2 위치 잠금치(18)에 퇴위 행위가 발행하여 제1 위치 잠금치(17)를 회전시키는 이벤트를 의미하며, 특히 완전히 닫힌 쉴드(12)에 대해 언록킹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35에서 도 35(a)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위치하고, 이때 제2 위치 잠금치(18)와 쉴드(12)의 다리(13) 상의 제1 위치 잠금치(17)가 록킹되어 쉴드(12)가 외부 먼지, 비물 등의 침투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완전히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도 35(b)는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선회하기 시작하여 약간 오픈된 동작을 수행하고→이때 턱보호부(2)가 인너 기어(4)를 구동하고→인너 기어(4)가 아웃터 기어(5)를 구동하며→아웃터 기어(5)가 트리거 핀(16)을 구동하고→트리거 핀(16)이 다리(13)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구동하며→다리(13)가 쉴드축선(O4)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스윙운동하며→제1 위치 잠금치(17)가 회전하여 제2 위치 잠금치(18)를 압박하여 언록킹 퇴위를 발생시키고→제2 위치 잠금치(18)가 언록킹되어 쉴드(12)가 완전히 닫힌 위치를 이탈하기 시작하여 약간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상태는 통풍 및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용하여 헬멧 내의 입김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35(b)는 제2 위치 잠금치(18)가 제1 위치 잠금치(17)에 대해 1차 언록킹 동작을 완료한 상태인 쉴드(12)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이탈하여 2차 잠금인 쉴드(12)가 약간 열린 위치에 멈춘 상태에 진입한 것을 나타낸다. 도 35(c) 및 도 35(d)은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계속 진행하고, 쉴드(2)가 트리거 핀(16)에 의해 더 많이 오픈한 위치로 구동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때 제1 위치 잠금치(17)는 제2 위치 잠금치(18)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도 36에서 도 36(a)는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 있고, 이때 제2 위치 잠금치(18)와 쉴드(12)의 다리(13) 상의 제1 위치 잠금치(17)는 록킹되어 쉴드(12)가 외부 먼지, 비물 등의 침투로부커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완전히 닫힌 상태에 해당된다. 도 36(b)는 턱보호부(2)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복귀 선회하기 시작하여 전체 복귀 코스의 앞부분 3분의 2 동안 트리거 핀(16)이 쉴드를 접촉 및 구동시켜 일정한 고정축 스윙운동하도록 하며→제1 위치 잠금치(17)가 회전하여 제2 위치 잠금치(18)를 압박하여 언록킹 퇴위하도록 하며→제2 위치 잠금치(18)가 언록킹되어 쉴드(12)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이탈하여 약간 열린 상태에 해당된다. 도 36(c) 및 도 36(d)은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계속 복귀하고, 쉴드(2)가 트리거 핀(16)에 의해 구동되어 더 많이 열린 위치에 도착하였고 제1 위치 잠금치(17)와 제2 위치 잠금치(18)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것에 해당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기재된 "약한 잠금"은 의도적으로 쉴드(12)를 구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쉴드(12)가 잠금 위치(즉, 닫힌 상태)에 멈추고 헬멧 착용자가 손으로 쉴드(12)를 강제로 젖히거나 턱보호부(2)를 강제로 구동하여 아웃터 기어(5) 상의 트리거 핀(16)이 구동 쉴드(12)의 다리(13)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14)를 강제로 구동할 경우 상기 쉴드(12)가 여전히 언록킹을 통해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턱보호부(2),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 및 전동부재(7)로 이루어진 관련 기구의 배치 형식을 통해, 인너 기어(4)와 아웃터 기어(5)가 모두 고정축 회전하도록 하며 이들은 서로 치합되어 운동 구속 쌍을 이루며; 인너 기어(4)에 턱보호부(2)의 프롱(2a)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속 쌍이 설치되어 있고, 프롱(2a), 인너 기어(4), 아웃터 기어(5)는 서로 구동하여 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아웃터 기어(5) 및 턱보호부(2)의 프롱(2a)과 모두 결합 구속 관계가 있는 전동부재(7)를 통해 프롱으로 하여금 인너 기어(4)에 대해 왕복형식의 변위 동작을 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턱보호부(2)의 위치와 자세를 구속하여 턱보호부(2)의 열기 또는 닫기 동작에 따라 정확하게 변화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턱보호부(2)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 사이에서의 변환을 구현하고 턱보호부(2)의 기하학적 운행 궤적의 유일성과 가역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관련 기구의 배치 형식 및 운행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은 턱보호부(2)의 자세 변환 과정에서, 턱보호부(2)의 프롱(2a) 몸체가 인너 기어(4)와 함께 동기 회전 운동하므로 인너 기어(4)의 슬롯(6)을 기본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구속 쌍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헬멧의 사용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이 헬멧 내부로 들어오는 경로를 차단시켜 헬멧 착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고정축 회전하는 아웃터 기어(5)가 차지하는 운행 공간도 작아 버텀 지지부(3)의 체결 구조가 자유롭게 배치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므로 버텀 지지부(3)의 지지 강도를 높여 전체 헬멧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 형상, 원리에 의한 각종 균등한 변화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1)

  1. 하나의 헬멧 쉘 주체, 하나의 턱보호부 및 두개의 버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두개의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에 체결되거나 헬멧 쉘 주체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턱보호부가 두개의 프롱(prong)을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프롱이 상기 헬멧 쉘 주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에 있어서,
    각각의 버텀 지지부와 대응하여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상기 헬멧 쉘 주체에 의해 구속되는 하나의 인너 기어(inner gear); 및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상기 헬멧 쉘 주체에 의해 구속되는 하나의 아웃터 기어(outer gea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너 기어는 그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아웃터 기어는 그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고; 인너 기어의 본체 또는 인너 기어의 부착 어샘블리 상에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하나의 전동부재가 추가 설치되고; 헬멧 쉘 주체의 동일 측에 위치한 버텀 지지부, 프롱,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및 전동부재는 공동으로 하나의 관련 기구를 이루며; 동일한 관련 기구내에서 상기 프롱은 인너 기어 위의 슬롯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기어와 인너 기어는 서로 치합되어 하나의 운동 구속 쌍을 이루고, 상기 인너 기어와 프롱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나의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며; 상기 전동부재는 그 일단에서 아웃터 기어와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며, 상기 구속 관계를 통해 전동부재가 아웃터 기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아웃터 기어가 전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전동부재는 그 타단에서 프롱과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며, 상기 구속 관계를 통해 프롱이 전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전동부재가 프롱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2. 하나의 헬멧 쉘 주체, 하나의 턱보호부 및 두개의 버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두개의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에 체결되거나 헬멧 쉘 주체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턱보호부가 두개의 프롱(prong)을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프롱이 상기 헬멧 쉘 주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에 있어서,
    각각의 버텀 지지부와 대응하여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상기 헬멧 쉘 주체에 의해 구속되는 하나의 인너 기어(inner gear); 및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상기 헬멧 쉘 주체에 의해 구속되는 하나의 아웃터 기어(outer gea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너 기어는 그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아웃터 기어는 그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이 가능하고; 인너 기어의 본체 또는 인너 기어의 부착 어샘블리 상에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하나의 전동부재가 추가 설치되고; 헬멧 쉘 주체의 동일 측에 위치한 버텀 지지부, 프롱,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및 전동부재는 공동으로 하나의 관련 기구를 이루며; 동일한 관련 기구내에서 상기 프롱은 인너 기어 위의 슬롯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기어와 인너 기어는 서로 치합되어 하나의 운동 구속 쌍을 이루고, 상기 인너 기어와 프롱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나의 슬라이딩 구속 쌍을 이루며; 상기 전동부재는 그 일단에서 아웃터 기어와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며, 상기 구속 관계를 통해 전동부재가 아웃터 기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아웃터 기어가 전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전동부재는 그 타단에서 프롱과 결합 구속 관계를 가지며, 상기 구속 관계를 통해 프롱이 전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거나 반대로 전동부재가 프롱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턱보호부, 동일한 관련 기구에 속한 상기 인너 기어, 아웃터 기어 및 전동부재가 수행하는 구동과 운행 로직은,
    a)먼저, 턱보호부가 초기 선회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턱보호부가 그 프롱을 통해 인너 기어가 회전 운동하도록 한 후, 인너 기어가 아웃터 기어와의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웃터 기어가 다시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이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이 인너 기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Slidable displacement)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b)먼저, 인너 기어가 초기 회전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인너 기어가 그와 프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을 통해 턱보호부가 상응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인너 기어가 아웃터 기어와의 치합관계를 통해 아웃터 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웃터 기어가 다시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이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이 인너 기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c)먼저, 아웃터 기어가 초기 회전 동작을 하고; 다음으로 상기 아웃터 기어가 그와 인너 기어의 치합관계를 통해 인너 기어를 회전시킨 후, 한편으로, 인너 기어가 그와 프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을 통해 턱보호부가 상응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아웃터 기어가 전동부재를 통해 프롱이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속 쌍의 연합 구속 하에 프롱이 인너 기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턱보호부가 그 선회 정도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상응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3. 청구항 1에 있어서,
    동일한 관련 기구에서, 상기 인너 기어와 아웃터 기어로 이루어진 운동 구속 쌍은 평면기어 전동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4. 청구항 3에 있어서,
    동일한 관련 기구에서, 상기 인너 기어 및 아웃터 기어는 모두 원기둥 기어 타입이며, 양자가 서로 치합될 때, 인너 기어의 피치 원 반경R(pitch circle radius)과 아웃터 기어의 피치 원 반경r이 관계식 R/r=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5. 청구항 4에 있어서,
    동일한 관련 기구에서, 상기 전동부재는 하나의 회전면(surface of revolution)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면 구조는 하나의 회전축선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선은 항상 아웃터 기어와 함께 아웃터 기어 축선을 에워싸면서 고정축 회전을 하며, 상기 회전축선은 아웃터 기어 축선과 평행 설치되며 아웃터 기어의 피치 원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의 회전면 구조는 원기둥면 구조 또는 원추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의 결합 구속 관계는,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가 체결 연결되거나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며, 전동부재와 프롱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회전 결합되거나; 또는,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회전 결합이고, 전동부재와 프롱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체결 연결이거나 전동부재와 프롱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거나; 또는,
    전동부재와 아웃터 기어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가 회전 결합이며, 상기 전동부재와 프롱 사이의 결합 구속 관계도 회전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텀 지지부, 헬멧 쉘 주체 또는 아웃터 기어 상에, 인너 기어의 축방향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인너 기어, 버텀 지지부 또는 헬멧 쉘 주체 상에 아웃터 기어의 축방향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인너 기어 상에 턱보호부의 프롱이 축 방향에서 느슨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이탈 방지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기어의 각 기어치(gear teeth)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치는 치 두께가 상기 아웃터 기어 상의 전체 유효 기어치의 평균 두께보다 큰 이형 기어치로 설계되고 상기 전동부재는 오직 이형 기어치와 결합 구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너 기어 상의 슬롯은 편평한 직선 홈모양의 관통 슬롯이며, 상기 직선 홈모양의 관통 슬롯은, 인너 기어 축선을 가리키거나 지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너 기어와 프롱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은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이며, 상기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은 인너 기어 축선을 가리키거나 지나가도록 배치되며, 상기 직선 홈모양 슬롯과 직선 구속형 슬라이딩 구속 쌍은 서로 겹치거나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의 전동부재의 회전면 구조의 회전축선은 인너 기어 축선과 겹치는 위치에 있고, 상기 관련 기구 중 슬라이딩 구속 쌍에 포함된 직선 구속 요소는 인너 기어 축선과 아웃터 기어 축선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너 기어의 전체 유효 기어가 커버한 중심각α은 180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헬멧 쉘 주체 상에 제1 걸림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인너 기어의 본체 또는 그 연신체 위에 하나 이상의 제2 걸림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헬멧 쉘 주체 상에 제1 걸림 구조가 제2 걸림 구조에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는 서로 암수 조합인 걸림 멈춤 구조를 이루며,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가 서로 걸림 결합될 때 스턱(stuck)을 발생시켜 턱보호부가 해당 위치와 자세에 머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구조는 돌출치 형태이고; 상기 제2 걸림 구조는 오목홈 형태이며; 제2 걸림 구조는,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 하나의 제2 걸림 구조가 상기 제1 걸림 구조와 걸림 결합되고;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 다른 하나의 제2 걸림 구조가 상기 제1 걸림 구조와 걸림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턱보호부가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일 때, 또 다른 하나의 제2 걸림 구조가 제1 걸림 구조와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버텀 지지부 또는 헬멧 쉘 주체 상에 상승 보조 스프링이 설치되고,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일 때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압축되어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이며; 턱보호부가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헬멧 쉘 주체의 돔 부분으로 선회하여 지나가는 도중에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턱보호부가 올려지도록 탄력을 방출하는 상태에 있으며; 턱보호부가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와 오픈 페이스 구조 위치 사이의 상태일 때, 상기 상승 보조 스프링은 턱보호부에 대한 작용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의 인너 기어에 포함된 치합 소자의 인너 기어의 완전 사이클(complete cycle) 당량 기어치 개수ZR와 아웃터 기어에 포함된 치합 소자의 아웃터 기어 완전 사이클 당량 기어치 개수Zr의 비례 값은 관계식 ZR/Zr=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의 아웃터 기어에 물갈퀴 모양의 복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구 내에서, 인너 기어에 형성된 슬롯은 인너 기어와 프롱의 슬라이딩 구속 행위에 참여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속 행위는 인너 기어와 프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속 쌍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에 하나의 쉴드가 배치되며, 상기 쉴드는 두개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다리는 헬멧 쉘 주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이들은 헬멧 쉘 주체에 대해 고정축 스윙 운동을 하며; 그 중, 하나 이상의 다리에는 힘받침 레일 엣지가 설치되어 있고, 힘받침 레일 엣지가 설치된 다리는 버텀 지지부와 헬멧 쉘 주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텀 지지부가 헬멧 쉘 주체를 향하는 내부 받침판 상에 하나의 관통모양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아웃터 기어 상에 상기 구멍으로부터 뻗어 상기 다리 힘받침 레일 엣지에 접촉가능한 트리거 핀이 설치되고; 상기 쉴드가 완전히 내려져 닫힌 상태일 때, 상기 트리거 핀과 힘받침 레일 엣지의 배치는, 턱보호부가 완전히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부터 펼쳐지는 동작을 하면, 상기 트리거 핀이 쉴드 다리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를 터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쉴드가 선회 펼쳐지도록 하고; 턱보호부가 완전히 하프-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에서 풀-페이스 헬멧 구조 위치로 복귀하면, 턱보호부가 전체 복귀코스의 앞부분 3분의 2 동안 상기 트리거 핀이 쉴드 다리 상의 힘받침 레일 엣지에 반드시 터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쉴드가 선회 펼쳐지도록 구현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쉴드의 다리에 치형 제1 위치 잠금치가 설치되어 있고, 버텀 지지부 또는 헬멧 쉘 주체에 상기 제1 위치 잠금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잠금치가 설치되고; 버텀 지지부 또는 헬멧 쉘 주체에 위치 잠금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 잠금치는 쉴드와 함께 운동하고, 상기 제2 위치 잠금치는 헬멧 쉘 주체에 대해 이동 또는 스윙할 수 있고; 쉴드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제2 위치 잠금치는 위치 잠금 스프링의 작용 하에 제1 위치 잠금치에 밀착하여 쉴드가 약한 잠금 효과를 얻도록 하고; 쉴드가 외력에 의해 펼쳐질 때, 상기 제1 위치 잠금치는 제2 위치 잠금치를 강제로 구동함으로써 위치 잠금 스프링을 압박하여 변위를 일으키게 하여 제1 위치 잠금치에 대해 언록킹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KR1020217018737A 2019-03-04 2019-10-25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KR102536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60133.8 2019-03-04
CN201910160133.8A CN109875177B (zh) 2019-03-04 2019-03-04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PCT/CN2019/113168 WO2020177342A1 (zh) 2019-03-04 2019-10-25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798A KR20210092798A (ko) 2021-07-26
KR102536804B1 true KR102536804B1 (ko) 2023-05-26

Family

ID=6693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737A KR102536804B1 (ko) 2019-03-04 2019-10-25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1696613B2 (ko)
EP (1) EP3884798B1 (ko)
JP (1) JP7197712B2 (ko)
KR (1) KR102536804B1 (ko)
CN (1) CN109875177B (ko)
AU (1) AU2019432494B2 (ko)
BR (1) BR112021011073A2 (ko)
CA (1) CA3116276C (ko)
CO (1) CO2021009510A2 (ko)
CR (1) CR20210397A (ko)
DE (1) DE112019005996T5 (ko)
ES (1) ES2878249B2 (ko)
GB (1) GB2592791B (ko)
PE (1) PE20212014A1 (ko)
PH (1) PH12021551218A1 (ko)
PL (1) PL242105B1 (ko)
PT (1) PT2020177342B (ko)
WO (1) WO2020177342A1 (ko)
ZA (1) ZA202102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5177B (zh) * 2019-03-04 2024-02-13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KR102182661B1 (ko) * 2019-11-04 2020-11-2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TWD215910S (zh) * 2020-07-08 2021-12-11 義大利商洛卡泰利股份公司 頭盔
CN112568539B (zh) * 2020-12-11 2023-07-25 江阴市达菲玛汽配科技有限公司 一种下巴护罩与面罩关联转动的头盔
US11903438B2 (en) 2020-12-11 2024-02-20 Jiangyin Dafeima Automobile Technology Co., Ltd. Helmet with associated rotation of chin guard and face mask
KR102433223B1 (ko) * 2021-02-09 2022-08-18 (주)에이치제이씨 친가드 회동 메커니즘
US11583026B2 (en) * 2021-02-09 2023-02-21 LIFT Airborne Technologies LLC Automatic visor locking system
KR102461899B1 (ko) * 2021-04-16 2022-11-0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CN216453577U (zh) * 2021-11-25 2022-05-10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头盔
KR102558430B1 (ko) * 2021-12-07 2023-07-24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2582371B1 (ko) * 2022-03-22 2023-09-26 (주)에이치제이씨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KR102646629B1 (ko) * 2022-05-02 2024-03-1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81659A (zh) 2005-12-15 2007-06-20 株式会社Hjc 开关头盔颌保护罩的装置
CN101331994A (zh) 2007-04-06 2008-12-31 驰埃雷益有限公司 上翻式防护头盔
CN105901820A (zh) 2016-06-08 2016-08-31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基于齿轮约束的可变护颚结构型头盔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6876Z2 (it) * 1985-11-05 1987-10-12 Vitaloni Spa Casco per motociclismo ed attivita analoghe con visiera e mentoniera mobili
JP3093742B2 (ja) * 1999-01-11 2000-10-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JP4656756B2 (ja) * 2001-05-18 2011-03-23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制御装置
US20030182716A1 (en) * 2002-04-02 2003-10-02 De-Ren Wu Helmet
KR100643074B1 (ko) * 2004-10-20 2006-11-10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안전모용 다기능 보호장구 장착대
ES2329494T3 (es) 2004-10-27 2009-11-26 Shark Sa Casco de proteccion con mentonera movil, en particular para el motociclismo.
FR2886521B1 (fr) * 2005-06-03 2007-09-07 Cbm Distrib Entpr Unipersonnel Casque de protection a visiere mobile
ITMI20051839A1 (it) * 2005-09-30 2007-04-01 Opticos Srl Congegno di controllo della posizione di una visiera per caschi di protezione
KR100649944B1 (ko) * 2005-12-06 2006-1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JP4215797B2 (ja) * 2006-12-14 2009-01-28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ロック機構
TW200836655A (en) * 2007-03-05 2008-09-16 Long Huei Helmet Co Compounded safety helmet
ITBG20080007A1 (it) 2008-01-29 2009-07-30 Ci Erre E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FR2960388B1 (fr) * 2010-05-27 2012-05-18 Zedel Casque de securite a reglage perfectionne
US20110302701A1 (en) * 2010-06-09 2011-12-15 Kin Yung Lung Industrial Co., Ltd. Posit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chin guard and visor plate of helmet
DE202010009313U1 (de) * 2010-06-21 2010-08-26 Kin Yong Lung Industrial Co., Ltd. Positionssteuermechanismus für Helm-Kinnschutz und -Visierplatte
EP2635144B1 (en) * 2010-11-01 2018-06-20 Voztec Limited A protective helmet
CN101991208B (zh) * 2010-11-10 2012-06-13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可变护颚结构头盔
US8813270B2 (en) * 2011-07-26 2014-08-26 Vladimiro Pizzi Helmet with flush aligned shield when closed
US9516911B2 (en) * 2013-03-29 2016-1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ardhat accessory interchange system
FR3023681B1 (fr) * 2014-07-21 2016-08-19 Shark Casque de protection a mentonniere mobile avec mecanisme de relevage automatique de l’ecran
GB2552547A (en) * 2016-07-29 2018-01-31 Smallwood Ioan A helmet
US10869521B2 (en) * 2016-10-14 2020-12-22 Kido Sports Co., Ltd. Helmet
JP6842993B2 (ja) * 2017-05-22 2021-03-1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CN107432520A (zh) * 2017-08-14 2017-12-05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头盔护罩掀开机构及配有该掀开机构的可变护颚头盔
CN107772608A (zh) * 2017-12-18 2018-03-09 上海阿忒加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电动开合的防护头盔
IT201800007541A1 (it) * 2018-07-26 2020-01-26 Nolangroup Spa Casco di protezione con meccanismo di sollevamento/abbassamento della visiera
US10973274B2 (en) * 2018-07-31 2021-04-13 Kimpex Inc. Helmet, mounting system for a helme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587766B1 (ko) * 2018-12-05 2023-10-1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US10786032B2 (en) * 2019-01-18 2020-09-29 Cookie Composites Group Pty Ltd. Skydiving helmet and visor mounting system
CN210124365U (zh) * 2019-03-04 2020-03-06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CN109875177B (zh) * 2019-03-04 2024-02-13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81659A (zh) 2005-12-15 2007-06-20 株式会社Hjc 开关头盔颌保护罩的装置
CN101331994A (zh) 2007-04-06 2008-12-31 驰埃雷益有限公司 上翻式防护头盔
CN105901820A (zh) 2016-06-08 2016-08-31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基于齿轮约束的可变护颚结构型头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2102690B (en) 2022-07-27
ES2878249A2 (es) 2021-11-18
CA3116276A1 (en) 2020-09-10
ES2878249R1 (es) 2022-10-20
CN109875177A (zh) 2019-06-14
CR20210397A (es) 2022-03-18
EP3884798A4 (en) 2022-03-09
ES2878249B2 (es) 2023-06-07
PH12021551218A1 (en) 2021-11-08
CA3116276C (en) 2023-05-16
PL438235A1 (pl) 2022-03-14
GB2592791A (en) 2021-09-08
EP3884798A1 (en) 2021-09-29
JP2022515533A (ja) 2022-02-18
WO2020177342A1 (zh) 2020-09-10
BR112021011073A2 (pt) 2021-08-31
AU2019432494B2 (en) 2022-07-28
GB202105668D0 (en) 2021-06-02
KR20210092798A (ko) 2021-07-26
DE112019005996T5 (de) 2021-08-12
GB2592791B (en) 2022-11-02
PE20212014A1 (es) 2021-10-18
PL242105B1 (pl) 2023-01-16
AU2019432494A1 (en) 2021-05-20
US20210274877A1 (en) 2021-09-09
US11696613B2 (en) 2023-07-11
PT2020177342B (pt) 2023-01-26
EP3884798B1 (en) 2024-04-17
CN109875177B (zh) 2024-02-13
JP7197712B2 (ja) 2022-12-27
CO2021009510A2 (es)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804B1 (ko) 기어 구속형 가변 턱보호 구조를 가진 헬멧
CN105901820B (zh) 一种基于齿轮约束的可变护颚结构型头盔
CN210124365U (zh)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TWI760193B (zh) 一種下巴護罩與面罩關聯轉動的頭盔
CN219982241U (zh) 一种齿轮约束式可变护颚型头盔
CN220124056U (zh) 一种定轴转动式可变护颚型头盔
CN116687093A (zh) 一种齿轮约束式可变护颚型头盔
CN207444353U (zh) 一种头盔护罩掀开机构及配有该掀开机构的可变护颚头盔
CN205757465U (zh) 一种基于齿轮约束的可变护颚结构型头盔
CN116849418A (zh) 一种定轴转动式可变护颚型头盔
US11903438B2 (en) Helmet with associated rotation of chin guard and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