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832B1 -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832B1
KR102534832B1 KR1020237002128A KR20237002128A KR102534832B1 KR 102534832 B1 KR102534832 B1 KR 102534832B1 KR 1020237002128 A KR1020237002128 A KR 1020237002128A KR 20237002128 A KR20237002128 A KR 20237002128A KR 102534832 B1 KR102534832 B1 KR 10253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hammer
chute
hold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913A (ko
Inventor
준야 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ublication of KR2023001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Abstract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구비한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슈트의 내주벽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구를 작게 또한 저렴하게 탑재한다. 해머(H10)는, 초기상태(도4(A))에서는 슈트(GM31)에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하는 타격부재(H131)와, 컵(CP)을 탄성력에 의하여 제1홀딩부재(GM33)와의 사이에 협지해서 홀딩하는 제2홀딩부재(H121)를 구비하고, 초기상태로부터 회전함으로써 타격부재(H131)가 슈트(GM31)로부터 일단 이간된 타격준비상태(도4(B))가 되고, 제2홀딩부재(H121)는, 초기상태에서는 제1홀딩부재(GM33)와의 간격이 컵(CP)의 둘레벽(CP1)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격부재(H131)는, 해머(H10)가 타격준비상태로부터 초기상태로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할 때에 슈트(GM31)에 충격을 준다(도4(C)).

Description

커피머신
본 발명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구비한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콩을 사용한 조제(調製)를 실시하는 커피머신에서는, 커피콩 분쇄기구(그라인더)와 커피음료 추출기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나, 그라인더만을 탑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커피콩을 분쇄한 분쇄두를 배출하는 슈트가 설치된 커피머신에서는, 그 슈트의 내주벽에 분쇄두가 퇴적해버려 분쇄두의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모터구동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슈트를 두드리는 전용기구를 설치하여, 슈트를 두드렸을 때의 진동에 의하여 그 내주벽에 분쇄두가 퇴적해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커피머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등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 5-2325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서 제안된 커피머신에서는, 슈트를 두드리는 전용기구를 탑재하는 분만큼 커피머신이 커지고 또한 비용상승으로도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비추어 보아, 슈트의 내주벽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구를 작게 또한 저렴하게 탑재한 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커피머신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를 배출하는 슈트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회전할 수 있는 해머와,
제1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해머는, 초기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슈트에 접촉하는 타격부재와, 상기 슈트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를 수용하는 컵을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홀딩부재와의 사이에서 협지해서 홀딩하는 제2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초기상태로부터 회전함으로써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슈트로부터 일단 이간된 타격준비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딩부재와의 간격이 상기 컵의 둘레벽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해머가 상기 타격준비상태로부터 상기 초기상태로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할 때에, 상기 슈트에 충격을 주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피머신은, 커피콩을 사용한 조제를 실시하는 기기이면 널리 적용할 수 있어, 커피음료 제조장치이더라도 좋고, 커피콩 분쇄기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부여부재(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를 갖추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상기 해머는,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사이에 상기 컵을 넣으면 홀딩상태가 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홀딩상태는,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슈트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딩부재에 접촉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해머는, 다른 장소에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는, 분기된 장소에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즉 상기 해머는 제1암부[예를 들면 타격암(H13)]와 상기 제1암부와는 다른 제2암부[예를 들면 지지암(H1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아암부는, 상기 타격부재[예를 들면 타격부(H131)]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제2암부는 상기 제2홀딩부재[예를 들면 홀딩부(H121)]가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머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슈트에 접촉하는 제1암부와, 상기 홀딩상태에서는 상기 컵의 상기 둘레벽에 접촉하는 제2암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아암부는, 상기 초기상태에 있어서 상기 슈트에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타격부재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제2암부는, 상기 홀딩상태에 있어서 상기 컵의 상기 둘레벽에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제2홀딩부재가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미끄럼 방지부를 갖추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양방이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일방의 홀딩부재는, 상기 둘레벽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벽과 1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이며,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상기 일방에 대한 타방의 홀딩부재는, 상기 둘레벽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벽과 2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재는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방의 홀딩부재에 상당하는 것이고,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일방의 홀딩부재에 상당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상기 초기상태로부터 상기 타격준비상태로 이행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자의 오른손측에 위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 조작부는, 상기 초기상태에서 상기 홀딩상태로 이행할 때에도, 상기 홀딩상태에서 상기 초기상태에 되돌릴 때에도 조작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슈트의 내주벽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구를 작게 또한 저렴하게 탑재한 커피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커피콩 분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커피콩 분쇄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3]변형예의 해머기구를 슈트와 함께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해머(H10)의 타격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해머(H10)의 홀딩부(H121)와 고정홀딩부재(GM33)에 의하여 컵(CP)을 홀딩하는 홀딩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7](A)는, 도6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 프론트 커버(GM40)를 떼어낸 모습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해머기구(H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A)는 해머(H10)의 측면도이며, (B)는 해머(H10)와 슈트(GM31)를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커피콩 분쇄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2는 커피콩 분쇄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와, 이들을 제어하는 도2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1)를 갖추고 있다. 또한 커피콩 분쇄기(GM)는, 제어장치(11)와 무선으로 접속된 정보표시장치(12)(도2 참조)도 갖추고 있다. 정보표시장치(12)는, 커피콩 분쇄기(GM)의 각종 제어의 지시나 설정치 등의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로서, 각종 정보의 표시 이외에, 관리자나 사용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표시장치(12)에는 스피커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1)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l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lb)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이다. 이 기억부(1lb)에는 레시피가 기억되어 있다. 레시피는,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각종 조건의 정보나, 콩정보나, 레시피 작성자 정보나, 레시피 작성자의 코멘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실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F부(11c)는,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6)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과의 통신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수요자의 휴대단말(17)로부터 커피의 분쇄두 제조의 예약이나, 감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피콩 분쇄기(GM)와 서버(16)와 휴대단말(17)을 포함하여,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커피콩 분쇄 시스템(GS)을 구성한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레시피에 따라서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를 제어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처리부(11a)는, 액추에이터군(14)을 레시피에 따라서 제어하거나, 그 액추에이터군(14)을 정보표시장치(12)로부터의 지시나 센서군(13)의 검출결과 또는 서버(1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센서군(13)은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기구의 동작위치 검출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모터 등)이다.
도1에 나타내는 저장장치(4)는, 원통모양의 캐니스터 수납유닛(401)과, 그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 하여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상면을 덮는 제거 가능한 캡(401c)을 구비한다.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내측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캐니스터 수납실이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 수납실은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어 있고,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내측에는 복수의 캐니스터를 수납할 수 있다. 저장장치(4)에서는,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캐니스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품종이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나, 로스팅도(roasting 程度)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선택해서 그라인드 처리를 할 수도 있고, 품종이나 로스팅도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섞어서 그라인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은, 커피콩 분쇄기(GM)의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에 설치된 옵션부착부(GM11)에 착탈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옵션부착부(GM11)에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 이외에, 복수 종류의 유닛이 부착될 수 있다.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는,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유닛의 하부를 덮게 된다. 또, 커피콩 분쇄기(GM)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에,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유닛의 종류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분쇄장치(5)는, 제1그라인더(5A), 제2그라인더(5B) 및 분리장치(6)를 갖추고 있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로스트 커피콩은,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후에 제2그라인더(5B)로 더 분쇄되어서 분말상태로 된다. 즉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제1그라인더(5A)는 조대분쇄(粗大粉碎)용의 그라인더이며, 제2그라인더(5B)는 미세분쇄(微細粉碎)용의 그라인더이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각각 전동 그라인더로서, 구동원인 모터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칼날 등을 포함한다. 회전칼날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입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6)는 분쇄두로부터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는, 도1에 나타내는 슈트(GM31)로부터 배출된다.
도1에 나타내는 슈트(GM31)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는 분쇄두를 하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에는, 슈트(GM31)를 두드리는 해머부재(GM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해머부재(GM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GM3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대략 수평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는 분쇄두는, 슈트(GM31)의 내벽에 부딪쳐 그 내벽에 부착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해머부재(GM32)를 회전시켜서 슈트(GM31)를 두드리고, 그 부착된 분쇄두에 충격을 주어서 낙하시킨다.
계속하여 도1에 나타내는 해머부재(GM32)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같은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3은, 변형예의 해머기구를 슈트와 함께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3은 정면도로서, 지면 전방측이 정면측이 되고, 우측이 커피콩 분쇄기의 좌측이 된다.
해머기구(H1)는, 슈트(GM31)에 대하여, 커피콩 분쇄기의 좌측 즉 조작자의 오른손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1에 나타내는 해머부재(GM3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도3에 나타내는 해머기구(H1)는, 해머(H10)와, 샤프트(H20)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H2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프론트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해머(H10)는 초기위치로부터 수동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샤프트(H20)는 해머(H10)의 회전중심을 관통하고 있다. 이 샤프트(H2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이 삽입되어 있어, 초기위치로부터 수동으로 회전되는 해머(H1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해머(H10)의 회전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해머(H10)는, 유리섬유가 함유된 나일론수지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이 해머(H10)는, 샤프트 관통부(H11)와, 샤프트 관통부(H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암(H12)과, 샤프트 관통부(H11)로부터 슈트(GM31)측으로 연장된 타격암(H13)과, 샤프트 관통부(H11)로부터 슈트(GM31)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된 조작아암(H14)을 갖추고 있다.
도3에는 고정홀딩부재(GM33)가 나타나 있고, 또한 그 하방에는, 슈트(GM31)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를 수용하는 컵(CP)도 나타나 있다. 이 컵(CP)은, 커피콩 분쇄기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라, 조작자가 손에 들고 있는 상태이다.
도3에서는, 고정홀딩부재(GM33)는 1개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고정홀딩부재(GM33)는 커피콩 분쇄기의 깊이방향으로 2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도3에서는 동 도에 나타내는 고정홀딩부재(GM33)의 안쪽에 또 하나의 고정홀딩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홀딩부재(GM33)는, 해머(H10)의 지지암(H12)과 슈트(GM3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홀딩부재(GM33)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프론트 커버에 고정된 샤프트(GM331)와, 샤프트(GM331)의 하단에 부착된 고무캡(GM332)을 갖추고 있다.
해머(H10)의 지지암(H12)의 선단부에는, 고정홀딩부재(GM33)측으로 돌출한 홀딩부(H121)가 설치되어 있고, 도3에 나타내는 홀딩부(H121)는,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해머(H10)의 타격암(H13)의 선단부에는 타격부(H131)가 설치되어 있고, 도3에 나타내는 타격부(H131)는, 슈트(GM31)의 좌측벽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해머(H10)의 조작아암(H14)은, 조작자의 오른손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해머(H10)는 초기상태에 있다. 즉 해머(H1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의 화살표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어, 타격부(H131)가 슈트(GM31)에 접촉하는 동시에 홀딩부(H121)가 고정홀딩부재(GM33)에 접촉함으로써 화살표방향의 회전이 멈쳐져 있다.
도4는, 해머(H10)의 타격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4에는, 도3에 나타낸 컵(CP)은 나타내지 않고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생략되어 있다.
도4(A)는, 도3에 나타내는 해머(H10)와 마찬가지로 초기상태에 있는 해머(H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타격부(H131)가 슈트(GM31)의 좌측벽 부분에 접촉하는 동시에 홀딩부(H121)가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에 접촉한 상태이다. 이 초기상태의 해머(H10)의 조작아암(H14)은, 조작자의 오른손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조작자는, 조작아암(H14) 선단의 손가락걸이부(H141)의 뒷편에 손가락을 대고, 손가락걸이부(H141)를 들어올린다. 해머(H10)는, 도3에 나타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반시계방향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해머(H10)는 타격준비상태가 된다.
도4(B)는, 타격준비상태에 있는 해머(H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격준비상태에 있는 해머(H10)는, 타격부(H131)가 슈트(GM31)로부터 충분하게 이간(離間)된 상태에 있다. 또, 도4(B)에서는 타격암(H13)이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에 접촉하여, 그 이상 해머(H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다만 깊이방향으로 2개 배열된 고정홀딩부재(GM33)의 사이를 타격암(H13)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해머(H10)가 반시계방향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도4(B)에서는 손가락걸이부(H141)가 조작자에 의하여 아직 들어올려져 있다.
도4(C)에서는 조작자가 손가락걸이부(H14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낸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해머(H10)는, 도3에 나타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하여, 타격부(H131)가 슈트(GM31)의 좌측벽 부분을 두드려서 슈트(GM31)에 충격을 준다. 이 충격에 의하여 슈트(GM31)의 내주벽에 부착되어 있었던 분쇄두(Bdp)가 떨어져서 슈트(GM31)의 배출구(GM311)로부터 배출된다. 슈트(GM31)의 좌측벽 부분을 두드린 해머(H10)는, 도4(A)에 나타나 있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도5는, 해머(H10)의 홀딩부(H121)와 고정홀딩부재(GM33)에 의하여 컵(CP)을 홀딩하는 홀딩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5에서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생략되어 있다.
도5(A)는, 도3에 나타내는 해머(H10)와 마찬가지로 초기상태에 있는 해머(H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홀딩부(H121)가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에 접촉한 상태이다. 이 초기상태의 해머(H10)의 손가락걸이부(H141)를, 타격동작시와 마찬가지로 들어올린다. 다만, 여기에서는 타격동작만큼 높게 들어올릴 필요는 없고,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컵(CP)의 둘레벽(CP1)이 들어갈 정도의 간격이 생기면 좋다. 이 도5(A)에서는 해머(H10)의 하방에 컵(CP)이 준비되어 있다.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그러한 간격이 생기면, 컵(CP)을 들어올려서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의 사이에 컵(CP)의 둘레벽(CP1)을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하면, 컵(CP)을 쥔 채로 손가락걸이부(H14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낸다.
도5(C)에서는 조작자가 손가락걸이부(H14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낸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해머(H10)는, 도3에 나타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되돌아가서, 고무캡(GM332)에 대하여 홀딩부(H121)가 근접하고,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무캡(GM332)과 홀딩부(H121) 사이에 컵(CP)의 둘레벽(CP1)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여기에서는 1개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커피콩 분쇄기의 깊이방향으로 2개 나란히 설치된 고정홀딩부재(GM33)가, 컵(CP)의 둘레벽(CP1)의 내측으로부터 그 둘레벽(CP1)에 2군데에서 접촉하고, 해머(H10)의 홀딩부(H121)가, 그 둘레벽(CP1)의 외측으로부터 그 둘레벽(CP1)에 1군데에서 접촉한다. 도5(C)에 나타나 있는 해머(H10)의 상태를 홀딩상태라고 부른다. 이 홀딩상태의 해머(H10)에서는, 컵(CP)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컵(CP)이 홀딩되고 있다. 또한 고정홀딩부재(GM33)에 설치된 고무캡(GM332)이 컵(CP)의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여 컵(CP)은 보다 안정되게 홀딩된다. 또, 홀딩부(H121)는, 유리섬유가 함유된 나일론수지제로서, 미끄럼 방지재료가 부가되어 있지 않지만,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과 같이 홀딩부(H121)에도 미끄럼 방지재료를 부가하더라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부터 홀딩상태로의 이행은 손가락걸이부(H141)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손가락걸이부(H141)를 조작하지 않고, 컵(CP)을 들어올리는 힘으로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그 둘레벽(CP1)을 삽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컵(CP)이 금속제 등 깨어질 우려가 적은 것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을 필요 이상으로 강한 것으로 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컵(CP)을 들어올리는 힘만으로 초기상태로부터 홀딩상태로 용이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도5(C)에 나타나 있는 컵(CP)의 개구(CP2)는 슈트(GM31)의 배출구(GM31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그 배출구(GM311)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가 컵(CP)내에 확실하게 수용된다.
도5(D)는, 홀딩상태에 있는 해머(H10)의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로부터 컵(CP)을 빼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슈트(GM31)로부터의 분쇄두의 배출이 종료하면, 컵(CP)을 떼어낸다. 우선, 컵(CP)을 왼손으로 쥐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홀딩상태에 있는 해머(H10)의 손가락걸이부(H141)를 동 도(A)와 마찬가지로 조금 들어올린다. 이렇게 하면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컵(CP)을 하방으로 빼면 컵(CP)을 떼어낼 수 있다. 그 후에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 해머(H10)의 타격동작을 실시하여, 슈트(GM31)의 내주벽에 부착된 분쇄두를 때려서 떨어뜨리면 좋다.
종래의 커피콩 분쇄기에서는, 그라인드 처리가 한창인 때에 컵(CP)을 항상 쥐고 있지 않으면 안되어, 다른 작업을 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이 변형예에서는, 커피콩 분쇄기에 의하여 컵(CP)이 홀딩되기 때문에, 그라인드 처리가 한창인 때에 다른 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해머(H10)를, 컵(CP)의 홀딩과 슈트(GM31)의 타격이라고 하는 2개의 용도로 겸용하기 때문에, 이들 2개의 용도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는 것 보다도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비용도 저렴해진다. 또한 슈트(GM31)의 타격을 수동으로 한 것에 의하여 전동으로 하는 경우보다도 설치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비용도 저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슈트(GM31)의 타격을 수동으로 함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을 사용함으로써, 그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컵(CP)의 홀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슈트(GM31)의 타격과 컵(CP)의 홀딩에 공통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을 이용하는 경우에, 타격과 홀딩은 다른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해머(H10)의 공통인 부위에 의하여 타격과 홀딩을 실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슈트(GM31)와 타격부(H131) 사이에서 컵(CP)을 삽입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에, 슈트(GM31)와 타격부(H131) 중에서 적어도 일방에 고무캡(GM332)과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고무캡(GM332)과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는, 일반적으로 충격을 약하게 하는 기능도 있어, 슈트(GM31)의 타격시에는 그 타격에 의한 충격을 약하게 해버린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을 강한 것으로 할 필요가 발생하여, 조작아암(H14)의 조작이 힘들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변형예에서는, 타격부(H131)와 홀딩부(H121)를 다른 부위로 함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을 필요 이상으로 강한 것으로 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아암(H14)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를 제1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로 하였을 경우의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같은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6은,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6(A)는, 컵(CP)을 홀딩한 상태의 커피콩 분쇄기(GM)를, 기계의 좌측 비스듬한 앞, 즉 조작자에서 보면 우측 비스듬한 앞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동 도(B)는, 컵(CP)을 떼어낸 커피콩 분쇄기(GM)를, 기계의 우측 비스듬한 앞, 즉 조작자에서 보면 좌측 비스듬한 앞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6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는, 도3∼도5를 사용하여 설명한 해머기구(H1)와 닮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도6에는 해머(H10)의 조작아암(H14)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6(A)에는, 각각의 하단에 고무캡(GM332)이 부착된 2개의 고정홀딩부재(GM33)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6(B)에는, 해머(H10)의 홀딩부(H121)가 나타나 있다. 도6(A)에 나타나 있는 해머(H10)는 홀딩상태에 있고, 동 도(B)에 나타나 있는 해머(H10)는 초기상태에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에서는, 기계의 우측에 해머부재(GM32)가 설치되고, 조작자는 왼손으로 그 해머부재(GM32)를 조작해야 했지만, 도6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에서는, 기계의 좌측으로 조작아암(H14)이 연장되어 있어, 조작자는 오른손으로 조작아암(H14)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슈트(GM31)는, 좌측 반의 대부분이 프론트 커버(GM40)에 덮어져 있어, 해머(H10)의 타격부(H131)도 프론트 커버(GM40)에 의하여 보이지 않는다. 또, 배출구(GM311)는 프론트 커버(GM40)에 의하여 덮여져 있지 않다.
다음에 도6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의 해머기구(H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3∼도5를 사용하여 설명한 해머기구(H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7(A)는, 도6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 프론트 커버(GM40)를 떼어낸 모습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B)는 해머기구(H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머기구(H1)는, 해머(H10)와 샤프트(H20)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H20)는, 떼어낸 프론트 커버(GM4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7에는, 고정홀딩부재(GM33)의 샤프트(GM331)도 나타나 있다. 이 샤프트(GM331)의 상단 부분도 떼어낸 프론트 커버(GM40)에 고정되어 있다.
해머(H10)는, 유리섬유가 함유된 나일론수지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으로서, 샤프트 관통부(H11)와, 지지암(H12)과, 타격암(H13)과, 조작아암(H14)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해머기구(H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도 구비하고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은, 코일모양으로 권취된 코일부분과, 코일부분으로부터 2방향으로 연장한 암부를 갖추고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은 샤프트 관통부(H1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코일부분에는 샤프트(H20)가 관통하고 있다. 도7에서는, 상기 코일부분으로부터 2방향으로 연장된 것 중에서 일방의 암부(H31)가 보이고 있다. 또한 도7(B)에는, 샤프트(H20)의 선단에 부착되는 빠짐방지부재(H21)도 나타나 있다.
지지암(H12)의 선단부에는, 고정홀딩부재(GM33)측으로 돌출한 홀딩부(H121)가 설치되어 있고, 도7(A)에서는 그 홀딩부(H121)가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에 접촉하고 있다.
도7(A)에는 초기상태에 있는 해머(H10)가 나타나 있다. 이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에 탑재된 해머기구(H1)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방향이, 도3에 나타내는 해머기구(H1)와는 역방향이다. 즉 도7(A)에 나타나 있는 해머(H10)는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어, 타격부(H131)가 슈트(GM31)에 접촉하는 동시에 홀딩부(H121)가 고정홀딩부재(GM33)의 고무캡(GM332)에 접촉함으로써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도7(A)에서는 슈트(GM31)에 있어서 타격부(H131)가 접촉하는 장소가 보이지 않지만, 동 도(B)에서는 그 장소가 보인다. 슈트(GM31)에 있어서 타격부(H131)가 접촉하는 장소에는, L자모양의 수용부(GM312)가 설치되어 있다. 슈트(GM31)도, 해머(H10)와 마찬가지로 유리섬유가 함유된 나일론수지를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이 수용부(GM312)도 통부(GM313) 등과 함께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수용부(GM312)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두께가 두꺼워져 있다. 이 수용부(GM312)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만, 슬릿은, 제조상 수축 방지를 위하여 살을 깍아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7(B)를 사용하여 슈트(GM31)의 구조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이 도7(B)에는 프레임 부재(694)가 나타나 있다. 슈트(GM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GM31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가로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슈트(GM31)를 가로방향으로 열면,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그라인드 처리된 분쇄두의 배출구에 접근할 수 있어, 그 배출구 주위의 청소 등의 유지보수가 하기 쉽게 된다. 도7(B)에 나타나 있는 슈트(GM31)는, 상부 접합부(GM315)의 장소에서 프레임 부재(694)측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접합하고 있어, 슈트(GM31)가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슈트(GM31)의 통부(GM313)에서는, 상부 접합부(GM315)의 바로 옆 근처의 위치가 입구(3130)(도8(B) 참조)가 된다. 제2그라인더(5B)로 그라인드 처리된 분쇄두의 배출구는 프레임 부재(694)에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구에 입구(3130)가 접속하고, 그 배출구로부터 분쇄두가 튀어나온다. 분쇄두는, 이 입구(3130)와 수용부(GM312) 사이의 높이위치에서 통부(313)의 내주벽에 부딪쳐서, 내버려 두면 부딪친 위치에 분쇄두가 퇴적하여, 슈트(GM31)로부터의 분쇄두의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해머(H10)의 타격동작을 실시한다.
도7에 나타내는 해머(H10)의 타격동작에서는, 초기상태에 있는 해머(H10)의 조작아암(H14)의 선단부분이 되는 손가락걸이부(H141)에 손가락을 대어, 하측방향으로 가압한다(도7(A)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 참조). 해머(H10)는, 타격부(H131)가 일어나는 것 같이 회전하여, 타격준비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걸이부(H141)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해머(H1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한다. 즉 9시측의 위치에 설치된 수용부(GM312)를 향해서 타격부(H131)가 10시측의 위치로부터 급격하게 회전하여, 타격부(H131)가 수용부(GM312)를 두드림으로써 슈트(GM31)에 충격을 준다. 이 충격에 의하여 통부(GM313)의 내주벽에 부착되어 있었던 분쇄두가 탈락하여 슈트(GM31)의 배출구(GM311)로부터 배출된다. 수용부(GM312)는, 하방을 향할수록 해머(H10)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면(3121)과, 경사면(3121)의 하단으로부터 해머(H10)측으로 돌출한 돌출면(3122)을 갖추고 있다.
도8(A)는 해머(H10)의 측면도이며, 동 도(B)는 해머(H10)와 슈트(GM31)를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8(B)에서는 슈트(GM31)의 배출구(GM311)가 지면 전방측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8(B)에서는 도면의 하방이 제2그라인더(5B)측이 되고, 슈트(GM31)에 있어서 제2그라인더(5B)의 배출구에 접속하는 입구(3130)도 나타나 있다.
도8(A)에는, 타격부(H131)에 있어서 수용부(GM312)의 경사면(3121)에 접촉하는 제1타격면(1311)이 나타나 있다. 이 제1타격면(1311)은, 해머(H10)가 초기상태인 경우에는, 경사면(3121) 전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8(A)에는, 타격부(H131)에 있어서 수용부(GM312)의 돌출면(3122)에 접촉하는 제2타격면(1312)도 나타나 있다. 또한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타격면(1312)도, 해머(H10)가 초기상태인 경우에는, 돌출면(3122) 전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8(B)에서는 각 부의 가로폭의 길이는 화살표(Wt)로 나타내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된다. 도8(B)에 나타나 있는 돌출면(3122)의 가로폭보다도 제2타격면(1312)의 가로폭쪽이 넓고, 경사면(3121)의 가로폭보다도 제1타격면(1311)의 가로폭쪽이 넓다. 즉 타격부(H131)의 가로폭쪽이 수용부(GM312)의 가로폭보다도 넓어, 타격부(H131)가 수용부(GM312)에 확실하게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회전해온 타격부(H131)는, 처음에는 제1타격면(1311)이 경사면(3121)에 충돌하고 회전을 계속하며, 마지막에는 제2타격면(1312)이 돌출면(3122)에 충돌해서 멈춘다. 이 결과, 슈트(GM31)는 경사지게 가격된다. 즉 슈트(GM31)에는 하측방향의 충격과 가로방향의 충격이 가해져서, 복수방향의 진동이 발생하여, 내주벽에 부착되어 있었던 분쇄두가 보다 탈락되기 쉬워진다. 또, 도7에 나타내는 해머기구(H1)에서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은 필요 이상으로 강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상태에 있는 해머(H10)의 손가락걸이부(H141)를 하방으로 조금 강하게 치도록 함으로써 타격동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치는 조작을 반복해 연속적으로 실시하면, 슈트(GM31)에 대한 타격이 보다 유효하게 기능하게 된다.
다음에 컵(CP)의 홀딩동작에 대해서, 도6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6(B)에 나타나 있는 초기상태에 있는 해머(H10)의 손가락걸이부(H141)에 오른손의 손가락을 올려 가볍게 눌러서,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컵(CP)의 둘레벽(CP1)이 들어갈 정도의 간격을 만든다. 왼손으로 컵(CP)을 쥐고,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컵(CP)의 둘레벽(CP1)을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하면, 컵(CP)을 쥔채로 손가락걸이부(H14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낸다. 해머(H1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되돌아가고, 고무캡(GM332)과 홀딩부(H121) 사이에서 컵(CP)의 둘레벽(CP1)이 삽입되는, 도6(A)에 나타나 있는 상태(홀딩상태)가 된다. 즉 2개가 나란히 설치된 고정홀딩부재(GM33)가, 컵(CP)의 둘레벽(CP1)의 외측으로부터 그 둘레벽(CP1)에 2군데에서 접촉하고, 해머(H10)의 홀딩부(H121)가, 그 둘레벽(CP1)의 내측으로부터 그 둘레벽(CP1)에 1군데에서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컵(CP)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컵(CP)이 홀딩되고 있다. 또한 고무캡(GM332)이 컵(CP)의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여 컵(CP)은 보다 안정되게 홀딩되어 있다.
커피콩 분쇄기(GM)에서는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되어, 슈트(GM31)로부터 분쇄두가 배출되어, 커피콩 분쇄기(GM)에 홀딩된 컵(CP)에 분쇄두가 수용된다. 슈트(GM31)로부터의 분쇄두의 배출이 종료하면, 컵(CP)을 왼손으로 쥐고, 오른손의 손가락을 홀딩상태에 있는 해머(H10)의 손가락걸이부(H141)에 올리고 가볍게 가압한다. 이렇게 하면 홀딩부(H121)와 고무캡(GM332)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컵(CP)을 하방으로 빼면 컵(CP)을 떼어낼 수 있다. 이 후에 해머(H10)의 타격동작을 실시하여, 슈트(GM31)의 내주벽에 부착된 분쇄두를 때려 떨어뜨리면 좋다.
또, 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머기구(H1)에서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H30)의 탄성력을 필요 이상으로 강한 것으로 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초기상태로부터 홀딩상태로의 이행이나 홀딩상태로부터 초기상태로의 이행은, 손가락걸이부(H141)를 조작하지 않고 컵(CP)을 조작하는 힘만으로도 가능하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분쇄장치(5)]와,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를 배출하는 슈트[예를 들면 슈트(GM31)]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회전할 수 있는 해머[예를 들면 해머(H10)]와,
제1홀딩부재[예를 들면 고정홀딩부재(GM33)]를
구비하고,
상기 해머는, 초기상태[예를 들면 도3, 도4(A), 도5(A), 도6(B), 도7(A)]에서는 상기 슈트에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하는 타격부재[예를 들면 타격부(H131)]와, 상기 슈트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를 수용하는 컵[예를 들면 컵(CP)]을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홀딩부재와의 사이에서 협지해서 홀딩하는 제2홀딩부재[예를 들면 홀딩부(H121)]를 구비하고, 상기 초기상태로부터 회전함으로써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슈트로부터 일단 이간된 타격준비상태[예를 들면 도4(B)]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딩부재와의 간격이 상기 컵의 둘레벽[예를 들면 둘레벽(CP1)]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해머가 상기 타격준비상태로부터 상기 초기상태로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할 때에, 상기 슈트에 충격을 주는 것인[예를 들면 도4(C)],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예를 들면 커피콩 분쇄기(GM)나 상기의 음료제조장치].』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머신에 의하면,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슈트에 충격을 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슈트의 내주벽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구를 작게 또한 저렴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머는, 상기 컵을 홀딩하는 부재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타격부재와 홀딩부재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는 것 보다도 작게 되어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 커피머신은, 커피콩을 사용한 조제를 실시하는 기기이면 널리 적용할 수 있고, 커피음료 제조장치이더라도 좋고 커피콩 분쇄기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부여부재(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를 갖추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상기 해머는,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사이에 상기 컵을 넣으면 홀딩상태가 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홀딩상태는,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슈트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딩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해머는, 다른 장소에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는, 분기된 장소에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즉 상기 해머는 제1암부[예를 들면 타격암(H13)]과 상기 제1암부와는 다른 제2암부[예를 들면 지지암(H12)]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1아암부는, 상기 타격부재[예를 들면 타격부(H131)]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제2암부는 상기 제2홀딩부재[예를 들면 홀딩부(H121)]가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머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슈트에 접촉하는 제1암부와, 상기 홀딩상태에서는 상기 컵의 상기 둘레벽에 접촉하는 제2암부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1아암부는, 상기 초기상태에 있어서 상기 슈트에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타격부재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제2암부는, 상기 홀딩상태에 있어서 상기 컵의 상기 둘레벽에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제2홀딩부재가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미끄럼 방지부[예를 들면 고무캡(GM332)]를 갖추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컵이 보다 안정되게 홀딩된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제2홀딩부재와는 별도의 부재이기 때문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를 설치한다고 하여도, 상기 타격부재에 의한 상기 슈트의 타격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또, 양방이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일방의 홀딩부재[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홀딩부(H121)]는, 상기 둘레벽[예를 들면 둘레벽(CP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벽과 1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이며,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상기 일방에 대한 타방의 홀딩부재[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고정홀딩부재(GM33)]는, 상기 둘레벽[예를 들면 둘레벽(CP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벽과 2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상기 둘레벽을 3군데에서 홀딩함으로써 상기 컵이 더 한층 안정되게 홀딩된다.
또한,
『상기 제1홀딩부재는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방의 홀딩부재에 상당하는 것[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고정홀딩부재(GM33)]이며,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일방의 홀딩부재에 상당하는 것[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홀딩부(H121)]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 태양에 의하면, 회전할 수 있는 해머가 갖추는 상기 제2홀딩부재가 상기 둘레벽과 1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해머를 경량화 할 수 있어서 상기 해머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해머는, 상기 초기상태로부터 상기 타격준비상태로 이행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부[예를 들면 손가락걸이부(H141)]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자의 오른손측에 위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오른손잡이의 조작자에게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하기 쉽다.
또, 상기 조작부는, 상기 초기상태에서 상기 홀딩상태로 이행할 때에도, 상기 홀딩상태에서 상기 초기상태에 되돌릴 때에도 조작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피콩 분쇄기(GM)의 구성은, 커피콩 분쇄부 및 그 커피콩 분쇄부에 의하여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하는 추출장치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커피콩 분쇄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나타낸 몇개의 태양 및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의 내용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할 수 있고, 또한 목적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경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개의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는 목적에서 사용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그 용어의 엄밀한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그 균등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부」 등의 표현은 「유닛」, 「모듈」 등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GM 커피콩 분쇄기
4 저장장치
5 분쇄장치
5A 제1그라인더
5B 제2그라인더
6 분리장치
11 제어장치
12 정보표시장치
GM31 슈트
GM33 고정홀딩부재
H10 해머
H121 홀딩부
H131 타격부
H141 손가락걸이부
GM332 고무캡
CP 컵
CP1 둘레벽

Claims (5)

  1.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를 배출하는 슈트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회전할 수 있는 해머와,
    제1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해머는, 초기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슈트에 접촉하는 타격부재와, 상기 슈트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를 수용하는 컵을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홀딩부재와의 사이에서 협지해서 홀딩하는 제2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초기상태로부터 회전함으로써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슈트로부터 일단 이간(離間)된 타격준비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딩부재와의 간격이 상기 컵의 둘레벽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해머가 상기 타격준비상태로부터 상기 초기상태로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할 때에, 상기 슈트에 충격을 주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미끄럼 방지부를 갖추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일방의 홀딩부재는, 상기 둘레벽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벽과 1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이며,
    상기 제1홀딩부재와 상기 제2홀딩부재 중에서 상기 일방에 대한 타방의 홀딩부재는, 상기 둘레벽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벽과 2군데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재는,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방의 홀딩부재에 상당하는 것이고,
    상기 제2홀딩부재는, 상기 일방의 홀딩부재에 상당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상기 초기상태로부터 상기 타격준비상태로 이행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자의 오른손측에 위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KR1020237002128A 2021-06-25 2022-06-24 커피머신 KR10253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05831 2021-06-25
JP2021105831A JP7080525B1 (ja) 2021-06-25 2021-06-25 コーヒーマシン
PCT/JP2022/025294 WO2022270619A1 (ja) 2021-06-25 2022-06-24 コーヒーマ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13A KR20230017913A (ko) 2023-02-06
KR102534832B1 true KR102534832B1 (ko) 2023-05-18

Family

ID=8189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128A KR102534832B1 (ko) 2021-06-25 2022-06-24 커피머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64688B2 (ko)
EP (1) EP4183297A4 (ko)
JP (1) JP7080525B1 (ko)
KR (1) KR102534832B1 (ko)
CN (1) CN115835802B (ko)
CA (1) CA3194332A1 (ko)
TW (1) TWI819677B (ko)
WO (1) WO20222706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448A (ja) 2009-08-31 2011-03-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
WO2019031364A1 (ja) 2017-08-07 2019-02-14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5303A (en) * 1959-01-23 1961-04-12 Adolf Ditt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charge devices of grinding mills
JPH0121427Y2 (ko) * 1986-06-24 1989-06-26
JPH01155578U (ko) * 1988-04-20 1989-10-25
US4936515A (en) * 1989-08-17 1990-06-26 Unidynamics Corporation Coffee bean delivery and grinding system
JPH0523252A (ja) * 1990-09-03 1993-02-02 Fuji Electric Co Ltd ミル付コーヒ自動販売機
CH689754A5 (it) * 1995-07-31 1999-10-15 Lough J Ltd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bevande del tipo caffè espresso con introduzione automatica della polvere di caffè ed espulsione dei fondi.
CN1251504A (zh) * 1997-03-13 2000-04-26 埃格罗股份公司 制备咖啡粉的设备
US6412405B1 (en) * 2001-01-24 2002-07-02 Yuan-Hong Li Peeling device for the inner-embryo membrane of coffee bean
FR2877556B1 (fr) * 2004-11-09 2006-12-08 Seb Sa Distributeur automatique de boissons infusees
CN102743105A (zh) * 2011-04-19 2012-10-24 威斯达电器(中山)制造有限公司 具有防堵功能的磨豆咖啡机
CH706100A1 (de) * 2012-02-08 2013-08-15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mit Mahlwerk und abnehmbarem Siebträg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CN103263966A (zh) * 2013-06-17 2013-08-28 长兴电子材料(昆山)有限公司 一种粉碎球磨一体机
CN210169772U (zh) * 2019-05-23 2020-03-24 赣州新味电器有限公司 一种咖啡饮料机起沫装置
WO2020257869A1 (en) * 2019-06-28 2020-12-30 Breville Pty Limited Ground coffee dosing and packing
KR102239350B1 (ko) * 2021-03-03 2021-04-12 주식회사 우신인터내셔널 전동식 커피분쇄기
CN115299776A (zh) * 2021-05-07 2022-11-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研磨粉料筛选装置、咖啡机、茶叶萃取机及筛粉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448A (ja) 2009-08-31 2011-03-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
WO2019031364A1 (ja) 2017-08-07 2019-02-14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3297A4 (en) 2024-01-17
CN115835802B (zh) 2023-09-29
EP4183297A1 (en) 2023-05-24
CN115835802A (zh) 2023-03-21
WO2022270619A1 (ja) 2022-12-29
TWI819677B (zh) 2023-10-21
TW202312920A (zh) 2023-04-01
JP2023004249A (ja) 2023-01-17
KR20230017913A (ko) 2023-02-06
US20230255405A1 (en) 2023-08-17
US11864688B2 (en) 2024-01-09
JP7080525B1 (ja) 2022-06-06
CA3194332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16596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US9265377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KR102534832B1 (ko) 커피머신
EP4215094A1 (en) Coffee machine
JP7251109B2 (ja) 飲料供給装置
KR102566640B1 (ko) 커피머신
JP6467273B2 (ja) 遊技機
US20210153687A1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JP5565110B2 (ja) 自動販売機
KR20230098773A (ko) 커피머신
JP2001037654A (ja) コーヒーミルのコーヒー豆導入装置
ITRM950188U1 (it) Macchina distributrice di caffe' macinato al momento della richiesta nella quantita' desider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