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615B1 - 의료용 보냉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보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615B1
KR102530615B1 KR1020220147676A KR20220147676A KR102530615B1 KR 102530615 B1 KR102530615 B1 KR 102530615B1 KR 1020220147676 A KR1020220147676 A KR 1020220147676A KR 20220147676 A KR20220147676 A KR 20220147676A KR 102530615 B1 KR102530615 B1 KR 10253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cold
inner body
cold stora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Priority to KR102022014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보냉 성능을 조절하여 적합한 보냉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의료용 보냉 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의료용 보냉 용기는 외부 본체부, 내부 본체부, 냉매팩부, 단열부 및 커버부를 포함한다. 외부 본체부는 제1바닥면부와, 제1바닥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부와, 제1바닥면부 및 제1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내부 본체부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제2바닥면부와, 제2바닥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부와, 제2바닥면부 및 제2측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보냉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진다. 냉매팩부는 내측에 냉매를 수용하고, 저장공간에서 보냉 대상물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단열부는 수용공간에서 제1바닥면부 및 제2바닥면부의 사이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부는 내부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보냉 용기{COLD STORAGE CONTAINER FOR MEDICAL PURPOSE}
본 발명은 의료용 보냉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냉 성능을 조절하여 적합한 보냉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의료용 보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민감성 의약품과 같이 냉장을 요하는 물품 대상물을 보냉 상태로 보관하면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보냉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보냉 용기는 스티로품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의 용기에 대상물품을 저장하고 내부에 냉매를 채워 넣어 포장하여 이송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보냉 용기는 하드(Hard)한 재질의 규격화된 크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량화가 어렵고, 보냉 대상물에 따라 보냉 성능을 조절하여 적합한 보냉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38461호(2019.11.26.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냉 성능을 조절하여 적합한 보냉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의료용 보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바닥면부와, 상기 제1바닥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부와, 상기 제1바닥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외부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제2바닥면부와, 상기 제2바닥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부와, 상기 제2바닥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보냉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내부 본체부; 내측에 냉매를 수용하고, 상기 저장공간에서 보냉 대상물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냉매팩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바닥면부 및 상기 제2바닥면부의 사이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열부; 및 상기 내부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측면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단부는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측면부와 이격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측면부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스커트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스커트부는 동일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의 외측면 및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면은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열부 중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2측면부 및 상기 스커트부의 사이 공간에까지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는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연장부 중 제1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부에 상기 제1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가이드 공간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 공간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내부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측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제1오픈부를 가지고, 상기 제1오픈부에 결합되는 제1보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냉부는 상기 내부 본체부의 공극률보다 큰 공극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1오픈부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라인을 가지고, 상기 제1보냉부는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라인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돌기라인을 가지고, 상기 제1오픈부에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바닥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제2오픈부를 가지고, 상기 제2오픈부에 결합되는 제2보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바닥면에서 상기 제2오픈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제2보냉부는 상기 제1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오픈부를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제3오픈부를 가지고, 상기 제3오픈부에 결합되는 제3보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3오픈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제3보냉부는 상기 제2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오픈부를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공극률을 가지는 보냉부를 준비하고, 이 중 적절한 보냉부를 선택하여 각각의 오픈부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내부 본체부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서도 보냉 대상물에 적합한 보냉 효과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본체부가 연장부 및 스커트부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냉기가 누출되는 틈새 경로를 증가시켜 보냉 효과가 오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외부 본체부, 내부 본체부 및 단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열교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비교예로서의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와 도 5의 비교예의 성능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의 다른 형태의 커버부 및 내부 본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의 다른 형태의 커버부 및 내부 본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내부 본체부, 제1보냉부 및 제2보냉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커버부 및 제3보냉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료용 보냉 용기는 외부 본체부(100), 내부 본체부(200), 냉매팩부(300a,300b,300c), 단열부(400a,400b,400c) 및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본체부(100)는 제1바닥면부(110)와, 제1바닥면부(11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부(120)와, 제1바닥면부(110) 및 제1측면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130)을 가질 수 있다. 외부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 본체부(200)는 제2바닥면부(210)와, 제2바닥면부(21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부(220)와, 제2바닥면부(210) 및 제2측면부(220)에 의해 형성되고 보냉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230)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본체부(20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30)에 수용되어 외부 본체부(100)와 함께 의료용 보냉 용기의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보냉 대상물은 냉장을 요하는 대상물로서, 온도민감성 의약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냉장을 요하는 물품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냉매팩부(300a,300b,300c)는 내측에 냉매를 수용할 수 있다. 냉매로는 상 변화 물질(PCM)이 사용될 수 있다. 상 변화 물질로는 열전도도가 높아 축열 및 방열 시 온도 구배가 낮으며, 상 변화 시에 체적변화가 적고, 과냉각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잠열량, 비열 등 열적 특성이 우수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냉매로는 테트라데칸(Tetradeca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매팩부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일부 냉매팩부(300a)는 저장공간(230)에서 제2측면부(220)의 내면 상에 구비될 수 있고, 다른 냉매팩부(300b)는 제2바닥면부(210)의 상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230)에 보냉 대상물이 저장된 후에는, 다른 냉매팩부(300c)는 저장공간(230)에서 보냉 대상물의 상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매팩부(300a,300b,300c)는 저장공간(230)에 수용된 보냉 대상물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팩부(300a,300b,300c)의 냉매에 의해 저장공간(230)에는 보냉 대상물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요구되는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의료용 보냉 용기는 저장공간(230)에 삽입되는 이너백(9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냉 대상물은 이너백(900)에 담길 수 있다. 이너백(900)이 더 사용되는 경우, 냉매팩부(300a,300b,300c)는 이너백(90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열부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열부(400a,400b)는 수용공간(130)에서 제1바닥면부(110) 및 제2바닥면부(210)의 사이와, 제1측면부(120) 및 제2측면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부로는 판상형의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부(400a,400b)는 수용공간(130)에서 내부 본체부(200)의 제2바닥면부(210) 및 제2측면부(2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냉매에서 제공되는 냉기가 내부 본체부(200) 외측과 열교환되는 것을 막아 저장공간(230)이 요구되는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500)는 내부 본체부(20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부(500)의 상부에는 장착홈(502)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홈(502)에도 단열부(400c)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 본체부(200)는 단열부(400a,400b,400c)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500)는 마감커버(550)를 가질 수 있으며, 마감커버(550)는 장착홈(502)에 결합되어 단열부(400c)를 덮을 수 있고, 단열부(400c)가 커버부(5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외부 본체부, 내부 본체부 및 단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열교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 본체부(100)의 제1측면부(120)는 제1높이(H1)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본체부(200)의 제2측면부(220)는 제1높이(H1)보다 높은 제2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본체부(200)는 연장부(240) 및 스커트부(250)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240)는 제2측면부(22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스커트부(250)는 일단부가 연장부(2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측면부(220)와 이격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250)의 타단부(251)는 제1측면부(120)의 상단부(121)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부(200)가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면, 스커트부(250)의 타단부(251)는 외부 본체부(100)의 제1측면부(120)의 상단부(121)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면부(120) 및 스커트부(250)는 동일 두께(T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면부(120)의 외측면(122) 및 스커트부(250)의 외측면(252)은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본체부(100) 및 내부 본체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의 외측면은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어, 별도의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할 수 있고, 적재 공간에도 효과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한편, 제2측면부(220), 연장부(240) 및 스커트부(250)에 의해 그 사이에는 공간(26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측면부(120) 및 제2측면부(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400a)의 상부(410a)는 제2측면부(220) 및 스커트부(250)의 사이 공간(260)에까지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측면부(220), 연장부(240) 및 스커트부(250)가 단열부(400a)의 상부(410a)를 감쌀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냉매에 의한 냉기(F1)가 제2측면부(220)를 관통하더라도 제2측면부(220) 및 단열부(400a) 사이의 제1틈새(G1), 연장부(240) 및 단열부(400a) 사이의 제2틈새(G2), 그리고 스커트부(250) 및 단열부(400a) 사이의 제3틈새(G3)를 거쳐 제2측면부(220) 및 스커트부(250)의 사이의 제4틈새(G4)를 통해 누출되게 된다.
제1틈새(G1), 제2틈새(G2) 및 제3틈새(G3)를 포함하는 증가된 틈새 경로는 냉기(F1)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다. 즉, 냉매에 의한 냉기(F1)가 제2측면부(220)를 관통하더라도, 제1틈새(G1), 제2틈새(G2) 및 제3틈새(G3)를 합한 긴 거리의 틈새 경로를 통과해야만 제4틈새(G4)를 통해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냉기의 누출이 늦춰질 수 있고, 저장공간(230)의 보냉 효과가 오래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본체부(100) 및 내부 본체부(200)는 단열 성능을 가지면서도 내측에 공극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단열성의 발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부 본체부(100)는 제1공극률을 가질 수 있고, 내부 본체부(200)는 제1공극률보다 큰 제2공극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공극률은 단위 부피당 공극의 부피의 비율일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극률을 가지는 내부 본체부(200)는 제1공극률을 가지는 외부 본체부(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공극을 가질 수 있다.
공극은 냉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공극률을 가지는 내부 본체부(200)는 냉기를 좀 더 많이 저장하고 있을 수 있어 보냉 효과가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공극률이 큰 내부 본체부(200)는 경량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 보냉 용기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도록 도울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의료용 보냉 용기의 경량화에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본체부(200)는 돌출부(245)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245)는 연장부(240)의 상부에 연장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500)는 하부에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510)을 가질 수 있다.
삽입홈(510)에 돌출부(245)가 삽입되면, 연장부(240) 및 커버부(500) 사이의 틈새 길이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틈새의 경로가 돌출부(245) 및 삽입홈(510)에 의해 상측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다시 하측방향으로 꺾이기 때문에, 즉, 틈새의 경로가 반대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본체부(200) 및 커버부(500)의 사이를 통한 냉기(F2)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500)는 가압턱(560)을 더 가질 수 있다. 가압턱(560)은 커버부(50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제2측면부(220)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본체부(200) 및 커버부(500)의 사이를 통한 냉기(F2)의 누출은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5는 비교예로서의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와 도 5의 비교예의 성능 그래프이다.
먼저,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로서의 의료용 보냉 용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와 동일한 단열부(40a,40b,40c), 냉매팩부(30a,30b,30c)및 이너백(90)으로 구성되었으나, 차이점으로는 비교예로서의 의료용 보냉 용기는 단일의 본체부(10)로 구성되고, 본체부(10)에는 돌출부의 구성이 없고, 커버부(50)에는 삽입홈의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와 비교예로서의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열관류율 및 두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열전도율 0.038 0.038
외부 본체부 두께(T1) [mm] 15
내부 본체부 두께(T2) [mm] 15
본체부 두께(t3) [mm] 38
열관류율 [W/㎡k] 0.24 0.24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의 외부 본체부(100)와 내부 본체부(200), 그리고 비교예의 본체부(10)는 동일한 열전도율을 가졌는데, 동일한 열관류율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비교예에서는 본체부(10)의 두께(T3)를 38 mm로 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는 외부 본체부(100)의 두께(T1) 및 내부 본체부(200)의 두께(T2)를 각각 15mm로, 즉, 총 30mm로만 해도 되었다. 여기서, 열관류율은 단위 시간에 단위 면적의 고체 벽을 통과해서 단위 온도차를 갖는 고온 유체로부터 저온 유체로 전해지는 열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본체부(100) 및 내부 본체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의 전체 두께가, 비교예의 본체부(10)의 두께보다 감소되도록 하면서도 비교예와 동일한 열관류율 성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는 외부 본체부(100)와 내부 본체부(200)의 소재량이 절감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무게도 감소되어 경량화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에서는 제1측정 포인트(A-1)에서부터 제9측정 포인트(A-9)에서 온도가 측정되었고, 실시예에서도 비교예와 동일하게 제1측정 포인트(B-1)에서부터 제9측정 포인트(B-9)에서 온도가 측정되었다.
온도민감성 의약품은 2℃(하한온도(LSL)) 내지 8℃(상한온도(USL))의 온도 범위에서 저장되는 것이 권장된다.
그 결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름철 기온과 유사하게 외부온도(AT)가 변화할 때, 비교예로서의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공간의 온도가 상한온도(USL)를 넘었지만, 실시예에서는 저장공간의 온도가 하한온도(LSL)와 상한온도(USL) 사이에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커버부 및 내부 본체부의 결합 형태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의 다른 형태의 커버부 및 내부 본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의 다른 형태의 커버부 및 내부 본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인데,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본체부(200a)는 한 쌍의 가이드부(270)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70)는 연장부 중 제1횡방향(C1)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0a)의 상부에 제1횡방향(C1)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27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70)는 연장부(240a)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271)와, 수직 가이드(27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272)를 가질 수 있으며, 수직 가이드(271) 및 수평 가이드(272)에 의해 내측에는 가이드 공간(27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횡방향(C1)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0a)의 상부에는 제1횡방향(C1)으로 돌출부(245a)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500a)에는 돌출부(245a)에 삽입되는 삽입홈(5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횡방향(C1)에 수직한 제2횡방향(C2)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부(500a)는 제1횡방향(C1)을 따라 가이드 공간(273)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커버부(500a)가 가이드 공간(273)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면, 돌출부(245a)는 삽입홈(510a)에 삽입되게 되고, 커버부(500a)는 내부 본체부(200a)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수평 가이드(272)는 커버부(500a)를 연장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커버부(500a)가 연장부의 상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500a) 및 연장부 사이의 틈새 간격이 더욱 줄어들 수 있고, 커버부(500a) 및 연장부 사이의 틈새를 통한 냉기의 누출은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커버부(500a)는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520)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커버부(500a)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520)는 커버부(500a)의 일측에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 경우, 손잡이(520) 및 가이드부(270) 사이에 간섭이 없도록, 손잡이(520)는 한 쌍의 수평 가이드(27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내부 본체부, 제1보냉부 및 제2보냉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내부 본체부(200)는 제1오픈부(280)를 가질 수 있다. 제1오픈부(280)는 제2측면부(220)에 관통 형성되어 저장공간(2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냉부(600)는 제1오픈부(28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오픈부(280)에 결합되어 제1오픈부(280)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보냉부(600)는 제2측면부(22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보냉부(600)가 제1오픈부(280)에 결합되면, 제1보냉부(600)의 외측면은 제2측면부(220)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오픈부(280)는 제2바닥면부(210)의 측면(211)이 제1오픈부(280)의 하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보냉부(600)는 내부 본체부(200)의 하측에서 제1오픈부(280)에 삽입될 수 있고, 제1오픈부(28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내부 본체부(200)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본체부(200)는 가이드 홈라인(281)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라인(281)은 제1오픈부(280)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보냉부(600)는 양측면에 가이드 홈라인(281)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라인(601)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라인(281)은 내부 본체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보냉부(600)는 제1오픈부(280)의 하측에서 제1오픈부(28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냉부(600)는 내부 본체부(200)의 공극률보다 큰 공극률을 가질 수 있다.
제1보냉부(600)보다 작은 공극률을 가지는 내부 본체부(200)는 제1보냉부(600)보다 강성이 크기 때문에, 내부 본체부(200)의 형상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냉부(600)보다 공극률이 큰 제1보냉부(600)는 냉기를 더 많이 저장하고 있을 수 있어, 보냉 효과가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제1보냉부(600)는 제1오픈부(280)에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극률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제1보냉부를 미리 준비해 놓고, 보냉 대상물에 적합한 보냉 온도, 보냉 시간 등의 보냉 조건에 따라 그에 적합한 제1보냉부를 선택하여 제1오픈부(28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긴 보냉 시간이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큰 공극률을 가지는 제1보냉부를 선택하여 제1오픈부(280)에 결합하게 되면, 내부 본체부(200)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서도 제1보냉부만을 교체하여 원하는 보냉 시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오픈부(280)의 상단부는 스커트부(250)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오픈부(280)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제1보냉부(600)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보냉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보냉부(600)에 가이드 홈라인이 형성되고 제1오픈부(280)에 돌기라인이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하지 않고, 제1오픈부(280)에 가이드 홈라인(281)이 형성되고 제1보냉부(600)에 돌기라인(601)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보냉부(600)가 차지하는 부피가 좀 더 커지도록 함으로써, 제1보냉부(600)의 보냉 효율이 좀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본체부(200)는 제2오픈부(290) 및 제1받침대(291)를 가질 수 있다.
제2오픈부(290)는 제2바닥면부(210)에 관통 형성되어 저장공간(2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받침대(291)는 제2바닥면부(210)에서 제2오픈부(29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받침대(291)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오픈부(290)의 각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받침대(291)는 제2바닥면부(2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받침대(291)의 하면은 제2바닥면부(210)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2보냉부(610)는 제2오픈부(29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보냉부(610)는 저장공간(230)을 통해 제2오픈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보냉부(610)는 하부에 제1받침대(291)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요홈(611)을 가질 수 있다. 제1받침대(291)가 제1요홈(611)에 안착되면, 제2보냉부(610)의 상면과 제2바닥면부(21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냉 용기에서 커버부 및 제3보냉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부(500)는 제3오픈부(530), 제2받침대(531) 및 마감커버(550)를 가질 수 있다.
제3오픈부(530)는 커버부(5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받침대(531)는 제3오픈부(53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받침대(531)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3오픈부(530)의 각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받침대(531)는 커버부(5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받침대(531)의 하면은 커버부(500)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3보냉부(620)는 커버부(500)의 상측에서 제3오픈부(530)로 결합될 수 있다.
제3보냉부(620)는 하부에 제2받침대(531)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2요홈(621)을 가질 수 있다. 제2받침대(531)가 제2요홈(621)에 안착되면, 제3보냉부(620)의 상면과 커버부(500)의 상면(501)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500)의 상부에는 단열부(400c)가 구비될 수 있다. 단열부(400c)는 제3보냉부(62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500)에는 마감커버(550)가 결합될 수 있다. 마감커버(550)는 단열부(400c)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보냉부(600)는 제2측면부(22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저장공간(230)에서 제2측면부(22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냉매팩부(300a)와 바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보냉부(610)는 제2바닥면부(21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저장공간(230)에서 제2바닥면부(210)의 상면에 배치되는 냉매팩부(300b)와 바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보냉부(620)는 커버부(50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저장공간(230)에서 보냉 대상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매팩부(300c)와 바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230)의 보냉 효율이 더욱 증가되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기술한 내용 중, 제2실시예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은, 비록 그 내용이 제2실시예에 설명 중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2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외부 본체부 200: 내부 본체부
240: 연장부 245: 돌출부
250: 스커트부 260: 공간
270: 가이드부 280: 제1오픈부
290: 제2오픈부 300a,300b,300c: 냉매팩부
400a,400b,400c: 단열부 500: 커버부
530: 제3오픈부 600: 제1보냉부
610: 제2보냉부 620: 제3보냉부
900: 이너백

Claims (13)

  1. 제1바닥면부와, 상기 제1바닥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부와, 상기 제1바닥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외부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제2바닥면부와, 상기 제2바닥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부와, 상기 제2바닥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보냉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내부 본체부;
    내측에 냉매를 수용하고, 상기 저장공간에서 보냉 대상물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냉매팩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바닥면부 및 상기 제2바닥면부의 사이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열부; 및
    상기 내부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측면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단부는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측면부와 이격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측면부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연장부 중 제1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부에 상기 제1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가이드 공간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와,
    상기 수직 가이드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공간은 상기 수직 가이드와 상기 수평 가이드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부에는 제1횡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 공간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내부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커버부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는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한 쌍의 수평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측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제1오픈부를 가지고,
    상기 제1오픈부에 결합되는 제1보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냉부는 상기 제1오픈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제1보냉부는 보냉 온도 및 보냉 시간에 따라서 공극률이 서로 다른 복수 개 중 선택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스커트부는 동일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의 외측면 및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면은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열부 중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2측면부 및 상기 스커트부의 사이 공간에까지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냉부는 상기 내부 본체부의 공극률보다 큰 공극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바닥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제2오픈부를 가지고,
    상기 제2오픈부에 결합되는 제2보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부는 상기 제2바닥면부에서 상기 제2오픈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제2보냉부는 상기 제1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오픈부를 막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제3오픈부를 가지고,
    상기 제3오픈부에 결합되는 제3보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3오픈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제3보냉부는 상기 제2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오픈부를 막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냉 용기.
KR1020220147676A 2022-11-08 2022-11-08 의료용 보냉 용기 KR10253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676A KR102530615B1 (ko) 2022-11-08 2022-11-08 의료용 보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676A KR102530615B1 (ko) 2022-11-08 2022-11-08 의료용 보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615B1 true KR102530615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676A KR102530615B1 (ko) 2022-11-08 2022-11-08 의료용 보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154B1 (ko) * 2023-05-19 2024-03-19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보냉을 지원하는 보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75U (ko) * 1989-07-03 1991-02-27
JP2014139506A (ja) * 2012-08-23 2014-07-31 Pelican Biopharma Lcc 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120252A (ko) * 2013-04-02 2014-10-13 오씨아이 주식회사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1376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다용도 음식물 보관용기
KR102038461B1 (ko) 2018-11-15 2019-11-26 주식회사 탭스인터내셔널 저온운반 콘테이너 박스
KR102338952B1 (ko) * 2021-01-18 2021-12-15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콜드체인용 의약품 운송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75U (ko) * 1989-07-03 1991-02-27
JP2014139506A (ja) * 2012-08-23 2014-07-31 Pelican Biopharma Lcc 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120252A (ko) * 2013-04-02 2014-10-13 오씨아이 주식회사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1376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다용도 음식물 보관용기
KR102038461B1 (ko) 2018-11-15 2019-11-26 주식회사 탭스인터내셔널 저온운반 콘테이너 박스
KR102338952B1 (ko) * 2021-01-18 2021-12-15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콜드체인용 의약품 운송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154B1 (ko) * 2023-05-19 2024-03-19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보냉을 지원하는 보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615B1 (ko) 의료용 보냉 용기
US6966450B2 (en) Partitioned ice chest
WO2011118137A1 (ja) 冷蔵庫
JP2008525757A (ja) 冷却装置
JP2007523803A (ja) 断熱輸送コンテナ
JP2022020948A (ja) 冷蔵庫
KR200443141Y1 (ko) 보냉용 포장박스
JPH05193675A (ja) 食品を入れた受容器の冷凍又は温輸送用断熱包装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NO315441B1 (no) Beholder med en kjölemodul
KR200486363Y1 (ko) 육류용 포장상자
JP3436889B2 (ja) 保冷容器
JP2020122631A (ja) 冷蔵庫、及び真空断熱パネル
KR102301491B1 (ko) 보온 보냉 컨테이너
JP2015147578A (ja) 保冷容器
US20200011592A1 (en) Cooled storage container and cooler accessories
WO2020255886A1 (ja) 定温容器
JP2001227860A (ja) 電気冷蔵庫
WO2020105178A1 (ja) 冷蔵庫
JP5387931B1 (ja) 省エネを考慮した保冷具
JPH063043A (ja) 冷蔵庫
WO2018167867A1 (ja) 冷蔵庫
JP6528892B1 (ja) 保温容器
JP2023054107A (ja) 定温容器
KR19980041655U (ko) 이동식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