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91B1 - 보온 보냉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보온 보냉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491B1
KR102301491B1 KR1020190159755A KR20190159755A KR102301491B1 KR 102301491 B1 KR102301491 B1 KR 102301491B1 KR 1020190159755 A KR1020190159755 A KR 1020190159755A KR 20190159755 A KR20190159755 A KR 20190159755A KR 102301491 B1 KR102301491 B1 KR 10230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ld air
wall
air supply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919A (ko
Inventor
이강표
노현철
김미정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울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울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울티엘
Priority to KR102019015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4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05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운반용 보온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피운반체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목적지까지 운반되도록 온도를 능동적으로 유지시키는 운반용 보온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이고, 내부에 피운반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중 단열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냉매통;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부가 설치된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온 보냉 컨테이너{INSULATION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온 보냉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피운반체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목적지까지 운반되도록 온도를 능동적으로 유지시키는 운반용 보온 보냉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의약품을 냉장보관하여 운반하는데 필요한 의약품 냉장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약품을 담는 상자와 그 상자를 담는 상자에 냉기를 분출하는 냉매를 각 상자 내주면에 설치함으로써, 의약품을 운반하기에 적합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오랜 시간 유지하고, 운반용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무게를 낮추며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의약품 냉장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약품으로 그 종류나 쓰임새에 따라 적정 온도에서 보관하고, 때에 따라서는 운반중에도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세포 치료제(Cell Therapy Products)는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autologous), 동종(allogenic), 또는 이종(xenogen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혹은 선별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행위를 통해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개념 의약품'으로 환자 자신이나 타인 또는 다른 동물의 체세포를 채취하여 증식시키거나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켜 치료에 이용하는 등 적용범위가 넓고, 화상이나 암, 치매 등 각종 난 치성 질환의 치료에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포 치료제는 세포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거나 보완하기 위해서 살이 있는 세포를 체내에 이식해야 하기 때문에, 엄격한 제조 시설에서 훈련된 제조자에 의해 세포 치료제가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엄격한 제조시설에서 훈련된 제조자가 우수한 원료와 자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고 엄격한 품질시험을 만족하였다 하더라도 일단 보관 및 운반 상태가 적합하지 못한 경우에는 본래의 제품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만약, 세포 치료제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게 되면 세포벽이 파괴되어 세포의 생존율이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세포가 상온에 방치되면 세포의 활성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세포의 대사가 진행되다가 대사 부산물에 의하여 세포의 활성도가 오히려 급격하게 낮아지고 생존율이 감소하게 된다.
게다가, 운반용기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아 온도가 빈번히 변화하게 되면, 세포의 활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운반 도중의 온도변화는 단일 생명체인 세포가 그 활성도에 영향을 받아 효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며, 나아가 제조 당시 품질이 우수한 의약품들이 운반 과정에서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의약품의 운반용기는 생존율과 활성도를 안정적으로 지속시키는 적정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의약품 중 세포 치료제의 적정온도는 2~8℃이다.
도 1은 종래 세포 치료제(10)의 운반용기(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에는 적정온도(2~8℃)를 유지시키기 위해 스트로폼 등의 단열재로 만든 포장상자(22)에 얼음(1)이나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사용한다.
한편, 세포 치료제(10)는 세포 고유의 특성상 그 유효기간이 수일 이내로 매우 한정적인 바, 국제 운송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시간이 가장 빠른 항공운송을 이용하고 있는데, 항공운송은 다른 운송수단에 비교하여 운송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포장박스의 부피나 무게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세포 치료제(10)를 먼 거리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냉장 시간을 충분히 연장할 수 있는 양의 얼음(1)이 필요하고, 얼음(1)의 양에 비례하게 운반용기의 부피가 커지게 됨에 따라 운송비도 늘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세포 치료제(10)를 얼음(1)이나 드라이아이스 속에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얼음(1)이나 드라이아이스에 세포 치료제(10)가 마주 닿아 세포가 얼었다가 녹아 버려 세포의 생존율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비단 세포 치료제(10)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적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는 장기이식에 필요한 장기나 의약품들의 운반용에도 해당되는 문제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 온도 범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피운반체를 이동시키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해진 시간동안 운반이 어려운 경우라도 능동적으로 냉매통을 보완하여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이고, 내부에 피운반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중 단열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냉매통;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부가 설치된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조립체가 엇갈려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립체 각각은 3개의 연결된 이중단열 플레이트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중단열 플레이트가 절곡되는 절곡부의 외측은 원활하게 밴딩되도록 힌지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은 상기 이중단열 플레이트가 절곡시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경사면 중 하나에는 씰링부재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씰링부재가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통은, 뚜껑부와 냉매수용부로 구성되되, 상기 냉매수용부는 격벽에 의하여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일측 냉매수용부에는 제1 냉매가 수용되고, 상기 분할된 타측 냉매수용부에는 상기 제1 냉매보다 더욱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제2 냉매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의 내부에는 상기 분할된 상기 냉매수용부를 한번에 밀폐하도록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격벽상단끼움홈부가 형성된 밀폐마개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수용부의 외벽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부는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전물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내벽에는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외벽에는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온기를 배출하는 온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구와 상기 온기배출구는 상기 열전물체가 배치된 가상의 중심선에서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이고, 내부에 피운반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중 단열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냉매통;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하는 냉온기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온기공급부가 설치된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온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온기공급부는
상기 냉온기공급부는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전물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내벽에는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온기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외벽에는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온기 또는 냉기를 배출하는 온냉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구와 상기 온기배출구는 상기 열전물체가 배치된 가상의 중심선에서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가 기준값 이하로 낮아진 경우에는 수용부 내부로 온기를 공급하도록 냉온기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 온도 범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피운반체를 이동시키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해진 시간동안 운반이 어려운 경우라도 능동적으로 냉매통의 역할을 보완하여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보온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세포 치료제의 운반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컨테이너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조립체가 서로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조립체가 3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본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냉매통의 측면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냉매통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이중단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냉기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씰링하는 씰링수단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씰링수단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컨테이너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조립체가 서로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조립체가 3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컨테이너는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이고, 내부에 피운반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중 단열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냉매통(200);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에 의하여 수용부로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공급부(300);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냉기공급부(300)가 설치된 일측에 설치되어 냉기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는 한 쌍의 조립체(50)가 엇갈려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조립체(50)는 각각 3개의 연결된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는 외벽(110)을 구성하는 외층과 내벽(130)을 구성하는 내층과 외층과 내층 사이에 개재되는 진공단열재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는 내층과 진공단열재층(120)과 외층이 각각 차례로 적층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진공단열재층(120)은 진공층, 공기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중단열 플레이트는 진공단열재층을 생략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벽(110)과 내벽(130)을 구성하는 외층과 내층은 각각 단열재질이며 이 단열재질 사이에 진공단열재층(120)이 형성되어 이중단열 구조를 형성한다.
조립체(50)는 각각 3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3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는 각각 절곡되어 'ㄷ' 자 형상으로 모양을 잡고, 'ㄷ' 자 형상의 조립체(50)는 서로 엇갈려 물려 들어가 결합됨으로써 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육면체의 상면에 위치하는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는 후술할 힌지테이프(140)의 밴딩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개폐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절곡되는 절곡부의 외측은 원활하게 밴딩되도록 힌지테이프(140)가 부착되고, 절곡부의 내측은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절곡시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경사면(1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연결된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는 힌지테이프(140)가 밴딩되면서 수직하게 접힐 수 있으며, 두 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원할하게 접히도록 각각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는 양단에 경사면(150)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경사면(150) 중 하나에는 씰링부재(160)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씰링부재(160)가 안착되는 홈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수직하게 접힐때, 인접한 한 쌍의 경사면(150)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서로 접촉하는 양 경사면(150) 중 하나에는 씰링부재(160)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씰링부재(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부(17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두 개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가 수직하게 접힐때 일측 경사면(150)에 부착된 씰링부재(160)가 타측 경사면(150)에 형성된 홈부(170)에 삽입되어 자리 잡음으로써 씰링부재(160)가 뭉개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면서 위치를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2의 본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냉매통의 측면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냉매통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다.
냉매통은, 뚜껑부(210)와 냉매수용부(2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냉매수용부(230)는 격벽(240)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고, 분할된 일측 냉매수용부(230)에는 제1 냉매가 수용되고, 분할된 타측 냉매수용부(230)에는 제1 냉매보다 더욱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제2 냉매가 수용될 수 있다.
냉매통(200)은 작업자가 냉동고 등에 얼려서 사용할 수 있다. 냉매통(200)은 그 일면과 타면에 각각 오목부(201)와 볼록부(202)가 형성되고, 오목부(201) 보다 볼록부(202)가 더 길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가 복수의 냉매통(200)을 한번에 냉동시키기 위해서 냉매통(200)을 적층시킬 때 냉매통(200) 간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냉매통(200)이 본체부의 수용부에 배치될 때, 제2 냉매는 본체부의 내벽(13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제1 냉매는 수용부 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제1 냉매는 수용부에 수용된 피운반체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피운반체는 예컨대 의약품, 생체장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운반체는 설정된 범위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도 안되고, 너무 내려가도 안된다. 온도가 설정범위 이하로 내려가서 냉각되면 성분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설정범위를 초과하여 올라가도 성분이 변할 수 있다.
제2 냉매는 제1 냉매가 설정된 냉기를 유지하도록 제1 냉매에 냉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냉매는 제1 냉매보다 녹는점이 더 낮은 물질이다. 관리자가 냉매통(200)을 냉장 또는 냉동기에 넣어 보관하면 제2 냉매는 제1 냉매보다 더욱 낮은온도를 유지하면 냉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냉매수용부(230)는 제1 냉매와 제2 냉매를 분리 수용할 수 있도록 격벽(240)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다. 격벽(240)은 냉매수용부(230)의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격벽(240)의 상단부는 냉매수용부(230)의 상측부로 돌출되어 뚜껑부(2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뚜껑부(210)의 내부에는 분할된 냉매수용부(230)를 한번에 밀폐하도록 격벽(24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격벽상단끼움홈부가 형성된 밀폐마개(22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밀폐마개(220)의 재질은 코르크 재질일 수 있다. 맬폐마개는 뚜껑부(21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수용부(230)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밀폐마개(220)의 하단부에는 격벽상단끼움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자가 냉매수용부(230)에 제1 냉매와 제2 냉매를 채운 뒤에 밀폐마개(220)를 삽입 설치하면, 밀폐마개(220)의 격벽상단끼움홈부가 격벽(240)의 상단부에 끼움되면서 제1 냉매와 제2 냉매가 수용된 냉매수용부(230)를 한번에 밀폐할 수 있다.
관리자는 밀폐마개(220)를 삽입한 뒤에 커버를 덮어 밀폐마개(220)를 뚜껑부(21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매수용부(230)의 외벽(110)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내측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냉매수용부(230)의 외벽(110)에 면적을 크게 증가시켜 냉기의 제공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함몰부(250)는 또한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격벽(240)에 접촉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250)가 함몰되면서 격벽(240)에 접촉함으로써 격벽(240)을 냉매수용부(230) 내부에서 수직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이중단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냉기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씰링하는 씰링수단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씰링수단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기공급부(300)는 이중 단열구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전물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열전물체로부터 수용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구(320)와, 열전물체로부터 본체부의 외부로 온기를 배출하는 온기배출구(370)는 열전물체가 배치된 가상의 중심선(C)에서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냉기공급부(3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기공급부(300)는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외벽(110)과 내벽(130) 사이에 형성된 진공단열재층(120)에 설치될 수 있다. 외벽(110)과 내벽(130) 사이의 진공단열재층(120)에 열전물체가 배치되고 열전물체의 상부에는 제1 방열판(32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제2 방열판(33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방열판(320)의 상부에는 제1 방열핀(3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방열판(330)의 하부에는 제2 방열핀(350)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물체는 펠티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핀(340)은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외벽(110)에서 외부로 관통 형성된 온기배출구(370)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2 방열핀(350)은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내벽(130)에서 수용부측으로 관통 형성된 냉기공급구(32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온기배출구(370)에는 방열팬(390)이 설치될 수 있고, 냉기공급구(320)에는 냉각팬(38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기공급부(300)는 장시간 피운반체를 운반할 때 경우에 따라서 항공기나 차량 등으로 운반시 사고 기타 원인에 의하여 운반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통(200)의 설정된 냉기공급시간을 경과되어 냉매통(200)의 제2 냉매가 피운반체에 직접 냉기를 공급하는 제1 냉매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온도센서는 수용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러한 경우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바로 냉기공급부(300)가 작동하여 수용부의 온도를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컨테이너는 1차로 제2 냉매에 의하여 피운반체 냉기를 공급하는 제1 냉매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비상시 2차로 냉기공급부(300)에 의하여 제1 냉매의 온도를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시키므로 이중으로 수용부의 설정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냉기공급부(3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열전물체인 펠티어소자(31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일면에는 냉기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온기가 형성된다. 펠티어소자(310)의 일측에서 냉기가 형성되면 제2 방열판(330)을 통하여 냉기가 전달되고, 제2 방열판(33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방열핀(350)에 의하여 냉기가 발산된다. 이 때 냉각팬(380)이 작동하면서 수용부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펠티어소자(3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온기는 제1 방열판(320)을 통하여 전도되며, 제1 방열핀(340)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이 때 방열팬(390)이 작동하면서 본체부 외부로 열을 배출할 수 있다. 펠티어소자(310)는 열배출이 잘되면 냉각도 잘 공급된다.
본 구조에 의하여 이중단열구조의 내부에 펠티어소자(31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구조에서 냉기공급구(320)와 온기배출구(370)는 펠티어소자(310)가 배치된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필티어소자가 배치된 중심선(C)을 기준으로 냉기공급부(300)는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내벽(130) 하단에 형성되고, 온기배출구(370)는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외벽(110) 상단에 형성되므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외벽(110)에, 펠티어소자(310)자 배치된 중심선(C)의 축방향으로 전원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전원공에 진공캡(3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진공캡(30)은 팰티어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는 전원공을 씰링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펠티어소자(310)가 배치된 위치에 형성된 전원공에 진공캡(30)을 삽입 설치하고, 진공캡(30)을 잡고 돌려 전선통로를 넓히거나 좁혀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펠티어소자(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20)을 인출하고 진공캡(30)을 잡아 돌림으로써 전원선(20) 주변을 밀폐할 수 있다.
진공캡(30)의 구조 및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진공캡(30)은 내부에 암나사 구조가 형성된 몸체부(37)와, 전원공에 삽입되고, 외부고정부(41)와 홀고정부(42)를 가지는 씰링고정부(40)와, 몸체부(37) 내부에서 암나사 구조와 상호 결합하여 전선통로가 형성되되 전선통로의 직경을 넓히거나 좁히는 디스크부(31), 디스크부(31)의 중심측에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부(32), 제1 수용부(A)와 제2 수용부(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컨테이너를 제작함에 있어서 본체부에 진공캡(30)을 설치하여 냉기공급부(300)에 전달하는 전원공급라인 즉 전원선(20)을 씰링할 수 있다. 진공캡(30)은 본체부의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외벽(110)의 전선공에 삽입 설치된다. 이중단열 플레이트(100)를 구성하는 외벽(110)과 내벽(130)은 전선공이 형성된 부분에 외벽(110)과 내벽(130)을 연결하는 센터브릿지(121)가 형성되어 진공단열재층(120)을 밀폐 유지시킬 수 있다. 외벽(110)과 내벽(130)과 마찬가지로 센터브릿지(121) 역시 단열재질로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수용부(A)와 제2 수용부(B) 사이에는 일방향 체크밸브(43)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방향 체크밸브(43)에 의하여 에어는 제1 수용부(A)에서 제2 수용부(B) 쪽으로만 흐르며, 제2 수용부(B)에서 제1 수용부(A) 쪽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수용부(A)는 수축하고 제2 수용부(B)는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씰링고정부(4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에어가 제2 수용부(B)에서 제1 수용부(A) 쪽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도록 일방향 체크밸브(43)의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면에 미도시).
위 실시예에서 디스크부(31)의 전선통로의 직경을 축소 또는 확장시키는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연장부(32)를 붙잡기 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홀고정부(42)를 붙잡으면 홀고정부(42) 내부까지 연장된 연장부(32)를 함께 붙잡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씰링고정구(30)의 몸체부(33)와 씰링고정부(40)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은 씰링고정부(40) 전면 태두리에 형성된 홈에 몸체부(33)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홀고정부(42)를 붙잡고 씰링고정구(30)의 몸체부(33)를 돌림으로써 디스크부(31)의 전선통로의 직경을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직업자는 씰링고정부를 전선공에 삽입하고 외부고정부(41)를 눌러서 에어를 홀고정부(42)로 이동시켜 전선공에 진공캡(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뒤에 몸체부를 돌려 디스크부의 전선통로의 직경을 수축시켜 전선이 씰링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보온 컨테이너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면서도 냉기공급부(3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20)을 씰링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선(20)은 이중단열 플레이트(100)의 외벽(110)에 설치되는 제어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각종 소자가 실장된 P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가 수집한 수용부의 온도 정보를 기초로 비상시 냉기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 전원선
30: 진공캡
50: 조립체
100: 이중단열 플레이트
110: 외벽
120: 진공단열재층
121: 센터브릿지
130: 내벽
140: 힌지테이프
150: 경사면
160: 씰링부재
170: 홈부
200: 냉매통
210: 뚜껑부
220: 밀폐마개
230: 냉매수용부
240: 격벽
250: 함몰부
300: 냉기공급부
310: 펠티어소자
320: 제1 방열판
330: 제2 방열판
340: 제1 방열핀
350: 제2 방열핀
320: 냉기공급구
370: 온기배출구
380: 냉각팬
390: 방열팬
400: 제어부

Claims (8)

  1.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이고, 내부에 피운반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중 단열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냉매통;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부가 설치된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공급부는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전물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내벽에는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외벽에는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온기를 배출하는 온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공급구와 상기 온기배출구는 상기 열전물체가 배치된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되고, 상기 이중 단열구조의 상기 외벽에 상기 가상의 중심선(C)가 관통하는 위치에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며,
    컨테이너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단열구조의 상기 열전물체가 배치된 위치에 전원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에 진공캡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진공캡을 통하여 상기 열전물체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중 단열구조를 구성하는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 진공단열재층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단열재층을 밀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단열재질의 센터브릿지가 형성되는 보온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조립체가 엇갈려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립체 각각은 3개의 연결된 이중단열 플레이트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단열 플레이트가 절곡되는 절곡부의 외측은 원활하게 밴딩되도록 힌지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은 상기 이중단열 플레이트가 절곡시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경사면 중 하나에는 씰링부재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씰링부재가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은,
    뚜껑부와 냉매수용부로 구성되되, 상기 냉매수용부는 격벽에 의하여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일측 냉매수용부에는 제1 냉매가 수용되고, 상기 분할된 타측 냉매수용부에는 상기 제1 냉매보다 더욱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제2 냉매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컨테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내부에는 상기 분할된 상기 냉매수용부를 한번에 밀폐하도록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격벽상단끼움홈부가 형성된 밀폐마개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수용부의 외벽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컨테이너.
  8. 삭제
KR1020190159755A 2019-12-04 2019-12-04 보온 보냉 컨테이너 KR10230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55A KR102301491B1 (ko) 2019-12-04 2019-12-04 보온 보냉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55A KR102301491B1 (ko) 2019-12-04 2019-12-04 보온 보냉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19A KR20210069919A (ko) 2021-06-14
KR102301491B1 true KR102301491B1 (ko) 2021-09-13

Family

ID=7641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55A KR102301491B1 (ko) 2019-12-04 2019-12-04 보온 보냉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641B1 (ko) * 2022-04-11 2023-05-11 템프체인 주식회사 진공 단열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358Y2 (ja) * 1991-06-18 1998-02-1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複数液収納容器
US20070051782A1 (en) * 2005-09-07 2007-03-08 Gary Lantz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JP2015190655A (ja) * 2014-03-27 2015-11-02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保冷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1838A (en) * 1997-11-24 1999-06-02 Coolbox Portable,thermoelectric,temperature controlled receptacles.
KR20020054116A (ko) * 2000-12-27 2002-07-06 추후제출 열 민감성 제품용 단열 포장재
KR20100022669A (ko) * 2008-08-20 2010-03-03 김호칠 다층구조 보냉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358Y2 (ja) * 1991-06-18 1998-02-1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複数液収納容器
US20070051782A1 (en) * 2005-09-07 2007-03-08 Gary Lantz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JP2015190655A (ja) * 2014-03-27 2015-11-02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保冷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19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221B2 (en) Shipping system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s
JP5558415B2 (ja) 冷蔵庫
US20170350635A1 (en) Container with passive temperature controls
WO2014118821A1 (ja) 断熱函
EP2690387B1 (en) Refrigerator vegetable room
JP2015002989A (ja) 厨房カートのための2重機能食品トレイ支持チューブ
KR20080103493A (ko) 물류용 단열 용기를 이용한 수송 시스템
KR102301491B1 (ko) 보온 보냉 컨테이너
KR101457029B1 (ko) 저온 대상물 저장용 박스 패키지
KR101728767B1 (ko) 수송용 보냉 컨테이너
JPS5878076A (ja) 材料の冷却方法及び冷却容器
KR100874591B1 (ko) 의약품 냉장 운반용기
CN105939931A (zh) 厨房容器以及用于冷却厨房容器内部的冷却件
RU2495340C2 (ru) Термо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биопрепаратов
KR101336913B1 (ko) 택배용 상자
KR20120002901A (ko) 냉장 보관용 포장체
CN208938223U (zh) 一种智能售货柜
CN202262328U (zh) 一种活体水产品保温箱
CN109631449A (zh) 一种车载存储装置
WO2015063820A1 (ja) 断熱箱
US20160076802A1 (en) Freezer, in particular ultra-low temperature freezer
CN207823083U (zh) 一种具有冷藏功能的试管架
CN211961863U (zh) 储米装置
CN215555280U (zh) 用于滴眼液的冷藏盒
JP2006240684A (ja) 保冷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